KR102269024B1 -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9024B1
KR102269024B1 KR1020190105662A KR20190105662A KR102269024B1 KR 102269024 B1 KR102269024 B1 KR 102269024B1 KR 1020190105662 A KR1020190105662 A KR 1020190105662A KR 20190105662 A KR20190105662 A KR 20190105662A KR 102269024 B1 KR102269024 B1 KR 102269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bellows
elevator
rop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6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25830A (en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5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9024B1/en
Publication of KR2021002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58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9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90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8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connection to the cars or cages, e.g.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에 관한 것으로,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로프의 단부가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벨로우즈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벨로우즈 스프링을 사용하여 승강기용 로프 샤클을 제작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및 균형추 이동에 따른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고, 벨로우즈 스프링에 스프링 시트, 너트 등의 부품을 일체화시켜 로드부에 스프링 조립 설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nd includes a rod portion, a socket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d portion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rope, and a spr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portion and formed of a bellows spring. Therefore, by manufacturing a rope shackle for an elevator using a bellows spring, vibration and noise caused by the movement of an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can be reduced, and parts such as a spring seat and a nut are integrated into the bellows spring to assemble and install the spring on the rod. can be simplified.

Description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이동에 따른 스프링의 횡 방향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승강기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capable of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of an elevator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tors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of a spring caused by the movement of an elevator car and a counterweight will be.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이나 화물이 직접 탑승 및 탑재되는 엘리베이터 카, 건물 내에 형성된 승강로의 상부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와 승강로 상에서 승강 구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 엘리베이터 카의 반대측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와 무게 균형을 유지하는 균형추(counter weight)가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n elevator is an elevator car in which passengers or cargo are directly boarded and mounted, a driving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a hoistway formed in a building to generate a driving force that can drive up and down on the elevator car and the hoistway, and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levator car A counter weight is installed to keep the weight of the car in balance.

또한, 구동장치에 의한 구동력으로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를 승강 구동시키기 위해 일측단은 엘리베이터 카와 연결되고 타측단은 균형추에 연결된 로프가 구비되고, 로프는 구동장치에 설치된 권상시브 및 이와 간격을 두고 설치된 폴리에 감아 걸어져 구동장치의 구동력에 의한 권상시브의 정·역회전으로 로프를 감고 풀어서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로 상에서 승강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lift and drive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by the driving force by the driving devic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elevator ca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rope connected to the counterweight, and the rope is a hoisting sheave installed in the driving device and a pulley installed at a distance therefrom. The elevator car can be driven up and down on the hoistway by winding and unwinding the rope by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hoisting sheave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riving device.

한편,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는 현수장치(로프)를 이용하여 기계대 및 승강로 상부에 매달아 고정하며 이때 로프 샤클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가 수직방향으로 이동시 안전하게 현수장치(로프)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fixed by hanging from the top of the machine stand and the hoistway using a suspension device (rope), and the rope shackle is used to safely hold the suspension device (rope) when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은 종래의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도 1에 나타낸 종래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10)는 로드(11)의 일단에 마련된 소켓(13)에 로프의 말단부가 인입되어 고정되고, 로드(11)의 타단에 마련된 스프링(15)을 통해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수직 이동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완충 역할을 한다. 스프링(15)은 압축 코일 스프링을 사용한다.In the conventional elevator rope shackle device 10 shown in FIG. 1 , the distal end of the rop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socket 13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d 11 , and through the spring 15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11 . It serves as a buffer for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and unexpected situations. The spring 15 uses a compression coil spring.

코일 스프링(coiled spring)은 단면이 원형이나 각형의 선재를 코일 상태로 감아 만든 스프링으로 하중을 가하는 방향에 의해서 인장 코일 스프링과 압축 코일 스프링이 있다.A coiled spring is a spring made by winding a wire rod having a circular or square cross section in a coil state, and there are a tension coil spring and a compression coil spring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a load is applied.

압축 코일 스프링(15)의 일측 로드(11)에는 스프링 시트(17)가 체결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15)을 받쳐주게 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15)의 타측 로드(11)에는 와셔(19a)와 너트(19b)가 체결되어 이의 체결력으로 로드(11)를 압축 코일 스프링(15)에 고정 지지시키게 된다.A spring seat 17 is fastened to one rod 11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5 to support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5 . A washer 19a and a nut 19b are fastened to the other rod 11 of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5 to fix and support the rod 11 to the compression coil spring 15 by the fastening force thereof.

종래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에 사용된 압축 코일 스프링은 형상의 비대칭성과 체적 비율이 낮아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수직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횡방향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이 취약하며 이로 인해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 compression coil springs used in the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s have low shape asymmetry and low volume ratio, so they have weak resistance to lateral direction and torsion that may occur during vertical movement of elevator cars and counterweights, which causes vibration and noise. there was.

또한, 종래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는 로드에 스프링 조립 설치시 스프링 시트, 와셔, 너트 등의 부품과 함께 일일이 연결하여 조립 및 설치해야 하므로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설치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vator rope shackle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the assembly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installation time is increased because 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must be connected one by one together with parts such as a spring seat, a washer, and a nut when a spring is assembled and installed on a rod.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5895(2001.05.03)호는 엘리베이터의 심블로드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로스헤드에 심블로드가 삽입 관통하는 식으로 설치되고, 이 삽입 설치된 심블로드의 외측에는 심블로드스프링이 탄력 설치되며, 상기 심블로드스프링의 하부측 심블로드에는 너트가 체결됨에 있어서, 상기 심블로드스프링의 상부측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관통한 심블로드의 양측 크로스헤드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사이에는 심블로드스프링과 직렬로 유압마운트를 설치함으로써 종진동은 물론 횡진동에 대해서도 감쇠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295895 (2001.05.03) relates to a shim rod suspension device for an elevator, which is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the shim rod is inserted through the crosshead, and a shim rod spring is located outside the inserted shim rod. In this elastic installation, the nut is fastened to the shim block on the lower side of the shim block spring, and a base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im block spring, and the crosshead and the base on both sides of the shim block passing through the base plate By installing a hydraulic mount in series with the thimble spring between the plates, it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damping effect for not only longitudinal vibration but also lateral vibration.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8763(2012.11.29)호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엘리베이터칸,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한 쌍의 받이부를 가지고 상기 엘리베이터칸의 상부에 고정된 장착대, 각 상기 받이부의 아래쪽에 각각 삽입된 한 쌍의 대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대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행거부재와, 상기 대향부와 상기 받이부와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상기 대향부 및 상기 받이부의 변위에 거스르는 방향으로 상기 대향부 및 상기 받이부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체와, 각 상기 받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행거부재에 접속된 샤클(shackle)을 가지는 클리트장치, 및 상기 샤클에 접속되어 상기 엘리베이터칸을 매다는 현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08763 (November 29, 2012) relates to an elevator device, and the car, having a pair of receiving part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r, A hanger member including a pair of opposing parts respectively inserted under each of the receiving units and displace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table, respectively, disposed between the opposing unit and the receiving unit in a direction to approach each other A cleat device having a pair of pressing bodies for pressing the oppos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in a direction opposed to displacement of the opposing part and the receiving part, and a shackle disposed between each of the receiving parts and connected to the hanger member and a suspension means connected to the shackle for suspending the car.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9589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295895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876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20876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이동에 따른 스프링의 횡 방향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승강기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capable of reducing elevator noise and vibration by increasing the resistance to tors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of a spr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an elevator car and a counterw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부품의 간소화를 통해 조립 공정이 간단하고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that can simplify the assembly process and shorten the installation time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parts.

실시예들 중에서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는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로프의 단부가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벨로우즈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한다.Among the embodiments, the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includes a rod part, a socket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d part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rope, and a spring par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part and formed of a bellows spring.

상기 로드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부와 나선 체결될 수 있다.The rod part may be helically fastened to the spring part by forming a threa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스프링부는 다수의 판스프링들을 용접을 통해 균일한 피치를 갖도록 벨로우즈 성형한 벨로우즈 스프링, 및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로드부에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을 고정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pring part includes a bellows spring formed by bellows forming a plurality of plate springs to have a uniform pitch through welding, and a spring seat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bellows spring, respectively,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bellows spring to the rod part. can be configured.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을 관통하는 상기 로드부와의 나선 체결을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와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pring seat may have a washer shape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helically fastening with the rod part passing through the bellows spring.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시트를 용접을 통해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The spring unit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by welding the bellows spring and the spring seat.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스프링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로드부와 상기 스프링 시트 사이의 체결력을 높이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pr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nut provided on the spring seat and increasing a fastening force between the rod unit and the spring seat.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는 스프링을 체적이 균일한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하여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이동에 따른 스프링의 횡 방향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승강기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다.The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pring in the shape of a bellows with a uniform volume to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lateral direction and torsion of the sprin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to reduce elevator noise and vibration. can be reduc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는 벨로우즈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를 일체로 하여 로드에 조립 설치시 시간을 단축하고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다.The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ime and simplify parts when assembling and installing the bellows spring and the spring seat as an integral part of the ro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는 로드에 탄성 및 강도가 우수한 벨로우즈 스프링을 연결하여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수직 이동 및 돌발 상황에 대한 완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buffering efficiency against the vertical movement and sudden situation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by connecting a bellows spring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strength to the rod.

도 1은 종래의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벨로우즈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벨로우즈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의 일체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엘리베이터 카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균형추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2 is a view showing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llows spring in FIG. 2 .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integral structure of the bellows spring and the spring seat in FIG.
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6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on a counterweight.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있는 벨로우즈 스프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있는 벨로우즈 스프링과 스프링 시트의 일체형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llows spring in FIG. 2, and FIG. 4 is a bellows spring and a spring seat in FIG. It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integrated structure.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100)는 로드부(110), 소켓부(120) 및 스프링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2 to 4 , the rope shackle device 100 for an elevator may include a rod part 110 , a socket part 120 , and a spring part 130 .

로드부(110)는 금속제의 가는 환봉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드부(110)의 일측에는 소켓부(120)가 구비될 수 있고 타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스프링부(130)와 나선 체결될 수 있다.The rod part 110 may be made of a thin round bar made of metal and may be coupled to one side of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In one embodiment, the socket part 12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d part 110 ,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n the other side to be helically fastened to the spring part 130 .

소켓부(120)는 로프의 일단부가 접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켓부(120)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어 로프가 인입될 수 있다. 소켓부(120)의 내부공간에는 쐐기가 삽입되어 로프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소켓부(120)는 하단부가 하방으로 갈수록 외경이 감소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ocket part 12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pe. In one embodiment, the socket unit 120 is provided with an internal space therein, the rope can be introduced. A wedg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socket part 120 so that the rope can be hung and fixed. Here, the socket part 120 may be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decreasing toward the lower end thereof.

스프링부(130)는 로프로부터의 힘을 받고 로드부(210)를 지지하는 스프링(210)과, 스프링(210)을 로드부(110)에 고정시키는 스프링 시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pring unit 130 may include a spring 210 that receives the force from the rope and supports the rod unit 210 , and a spring seat 220 that fixes the spring 210 to the rod unit 110 .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210)은 벨로우즈(bellows) 형상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pring 210 may be formed of a spring in the shape of a bellows.

벨로우즈(bellows) 종류에는 용접형 벨로우즈와 성형 벨로우즈가 있다. 용접형 벨로우즈(Welded Bellows)는 압연금속의 박판을 원판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한 재료를 여러장 겹쳐놓고 내경 및 외경의 원주를 교차하여 정밀 용접하여 제작한다. 무산화 분위기에서 용접하며 용접부는 표면 장력에 의하여 완전한 구형이 된다. 성형 벨로우즈(Formed Bellows)는 0.05∼0.02㎜의 초미니 박판을 비소모 전극봉에 불활성가스를 이용 모재 사이에서 발생하는 아크열로 2겹 또는 용도에 따라 다층의 다이아프램을 용접하여 제작한다. 벨로우즈 스프링은 내외경의 비를 크게 하거나 두께를 얇게 하여 스프링계수를 아주 작게 할 수 있고, 1피치(pitch)당의 변형량을 탄성 영역 내에서 설계함으로서 직선성이 좋고 히스테리시스도 작게 된다.There are two types of bellows: welded bellows and molded bellows. Welded Bellows are manufactured by stacking several sheets of rolled metal press-processed materials in the shape of a disk, crossing the circumferences of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and welding them precisely. Welding in a non-oxidizing atmosphere, the welded part becomes a perfect spherical shape due to the surface tension. Formed Bellows are manufactured by welding two-ply or multi-layered diaphragm according to the use by using arc heat generated between base materials using inert gas for non-consumable electrode rods of ultra-mini thin plates of 0.05~0.02mm. The bellows spring can have a very small spring coefficient by increasing the ratio of inner and outer diameters or thinning the thickness. By designing the amount of deformation per pitch within the elastic region, the linearity is good and the hysteresis is small.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 스프링(210)은 복수개의 판스프링을 쌓아서 용접을 통해 완성된 용접형 벨로우즈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벨로우즈 스프링(210)은 연신율이 우수한 박판 재료를 튜브로 만든 다음 외측에 벨로우즈 성형 금형을 넣어 튜브 내부에 고압의 유체압력을 가하여 성형할 수 있다. 벨로우즈 스프링(210)은 종래의 코일 압축 스프링의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세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 니켈 합금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The bellows spring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manufactured as a welded bellows completed through welding by stacking a plurality of leaf springs. Here, the bellows spring 210 may be formed by making a thin plate material having an excellent elongation into a tube, and then putting a bellows molding mold on the outside to apply a high pressure fluid pressure to the inside of the tube. The bellows spring 210 may use a material such as semi-austenitic stainless steel or nickel alloy to maintain the rigidity of the conventional coil compression spring.

세미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강은 스테인레스 강으로서의 내식성을 증가하고 석출경화에 의해 강도를 주어 고강력 스테인레스 강으로 스프링 특성, 긴 수명 등이 요구되는 등의 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Semi-austenitic stainless steel increases the corrosion resistance of stainless steel and gives strength by precipitation hardening. It is a high-strength stainless steel that can be used for applications requiring spring characteristics and long life.

니켈 합금은 벨로우즈 재료로서 내식성, 내열성이 가장 뛰어난 재료로서 하스텔로이(Hastelloy) C-22는 내산, 고온용으로서 사용되어진다.Nickel alloy is a bellows material with the highest corrosion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and Hastelloy C-22 is used for acid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

일 실시예에서, 벨로우즈 스프링(210)은 도 3에 보여진 바와 같이, 용접된 판과 판 사이의 피치(p)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되어 축방향, 횡방향,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보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내경은 로드부(110)를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로드부(110)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유효경은 다음의 수학식 1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bellows spring 210, as shown in Fig. 3, the pitch (p) between the welded plate and the plate becomes uniform as a whole to reinforce the resistance to axial, transverse, and torsion.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bellows spring 210 may have a size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rod part 110 to insert and support the rod part 110 . At this time, the effective diameter of the bellows spring 210 can be calculated through the following Equation (1).

[수학식1][Equation 1]

유효경(㎜) = (외경 + 내경) / 2Effective diameter (mm) = (outer diameter + inner diameter) / 2

일 실시예에 따른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상단 및 하단부에는 도 4에 보여진 바와 같이, 스프링 시트(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프링 시트(220)는 로드부(110)에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단부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부품에 해당할 수 있다. 스프링 시트(220)는 와셔(washe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용접하여 일체형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 시트(220)는 벨로우즈 스프링(210)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는 스프링 시트(220) 중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시트에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로드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선 체결될 수 있다. 스프링 시트(220)는 벨로우즈 스프링(210)과 별개의 부품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때,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스프링 시트(220)가 걸림 안착될 수 있다.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요홈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로드부(110)에 조립하기 전에 스프링 시트(220)의 일부를 벨로우즈 스프링(210)과 나선 체결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a spring seat 220 may be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bellows spring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Here, the spring seat 220 may correspond to a component for stably coupling the end of the bellows spring 210 to the rod part 110 . The spring seat 220 may be formed in a washer shape, and may be manufactured integrally by welding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llows spring 210 . In this case, the spring seat 22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bellows spring 210 . At least one of the spring sheets 220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ellows spring 210 may have a screw thread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be helically fastened with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d part 110 . The spring seat 220 may be manufactured as a separate component from the bellows spring 210 . At this time, grooves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bellows spring 210 so that the spring seat 220 may be caught and seated. A thread may be formed in the groove of the bellows spring 210 , and a portion of the spring seat 220 may be screwed to the bellows spring 210 before assembling it to the rod part 110 .

일 실시예에서, 복수개의 스프링 시트들(220) 중 로드부(110)와 나선 체결되는 스프링 시트에는 너트(230)를 더 포함하여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너트(230)는 스프링 시트(220)와 용접을 통해 일체로 구성될 수 있고, 로드부(110)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선 체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nut 230 may be further included in the spring seat helically fastened to the rod part 110 among the plurality of spring seats 220 to improve the fastening force. In this case, the nut 23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spring seat 220 through welding, and may be helically fastened with a thread formed in the rod part 110 .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100)의 조립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assembly and installation process of the rope shackle device 100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벨로우즈 스프링(210)과 스프링 시트(220)가 일체형 구조로 된 경우에는 스프링부(130)를 소켓부(120)가 구비된 로드부(110)에 연결하고 로드부(110)와 스프링부(130)의 스프링 시트(220)에 각각 형성된 나사산을 서로 체결하여 로프 샤클장치(100)를 조립한다.First, when the bellows spring 210 and the spring seat 220 have an integrated structure, the spring part 130 is connected to the rod part 110 provided with the socket part 120 and the rod part 110 and the spring part The rope shackle device 100 is assembled by fastening the threads respectively formed on the spring seat 220 of 130 to each other.

벨로우즈 스프링(210)과 스프링 시트(220)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벨로우즈 스프링(2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된 요홈에 각각 스프링 시트(220)를 걸림 안착시켜 고정시킨 후 로드부(110)에 연결하여 로프 샤클장치(100)를 조립한다.When the bellows spring 210 and the spring seat 220 are not of an integrated structure, the spring seat 220 is hooked and seated in the grooves formed at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bellows spring 210, respectively, and fixed, and then the rod unit 110 ) to assemble the rope shackle device 100 .

조립된 로프 샤클장치(100)는 스프링부(130)를 관통한 로드부(110)를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에 각각 고정시킨 후 소켓부(120)에 로프의 단부를 체결하여 설치 완료한다. The assembled rope shackle device 100 is installed by fixing the rod part 110 passing through the spring part 130 to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respectively, and then fastening the end of the rope to the socket part 120 .

도 5는 엘리베이터 카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in an elevator car.

도 5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300)는 승강로 내에서 복수개의 로프들에 의해서 매달려 있다. 엘리베이터 카(300)의 상부에는 장착대(310)가 고정되어 있다. 장착대(310)에는 각 로프의 일단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로프 샤클장치(100)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100)는 로프의 수만큼 설치되게 된다. 일예로 3개의 로프에 의해서 엘리베이터 카(300)가 매달리는 경우 로프 샤클장치(100) 또한 3개를 설치해야 한다. 로프 샤클장치(100)는 장착대(310)에 대해서 스프링부(130)를 통과한 로드부(110)가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게 된다. 소켓부(120)에는 로프의 단부가 체결되게 된다. 스프링부(130)를 구성하는 벨로우즈 스프링(210)은 엘리베이터 카(300)의 하중에 의해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엘리베이터 카(300)의 이동중 로프를 통해 엘리베이터 카(3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5, the elevator car 300 is suspended by a plurality of ropes in the hoistway. A mounting 31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levator car 300 . A plurality of rope shackle devices 100 to which one end of each rope is individually connected are held on the mounting table 310 . That is, the rope shackle device 100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be installed as many as the number of ropes. For example, when the elevator car 300 is suspended by three ropes, three rope shackle devices 100 must also be installed. In the rope shackle device 100 , the rod part 110 passing through the spring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mount 310 is fixed through a bolt or the like. The end of the rope is fastened to the socket part 120 . The bellows spring 210 constituting the spring unit 130 generates an elastic repulsive force by the load of the elevator car 300 and reduces vibration or noise transmitted to the elevator car 300 through the rope while the elevator car 300 is moving. can be effectively reduced.

도 6은 균형추에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on a counterweight.

도 6을 참조하면, 균형추(400)는 승강로 내에서 복수개의 로프들에 의해서 매달려 있다. 각 로프는 승강로의 상부에 설치된 권상기의 구동쉬브에 감겨 있고, 균형추(400)는 구동쉬브의 회전에 의해 승강로 내에서 승강된다. 균형추(400)의 상부에는 장착대(410)가 고정되어 있다. 균형추의 장착대(410)에는 엘리베이터 카(300)의 장착대(410)에 일단부에 접속된 각 로프의 타단부가 개별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로프 샤클장치(100)가 보유지지되어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100)는 로프의 수만큼 설치되게 된다. 일예로 3개의 로프에 의해서 균형추(400)가 매달리는 경우 로프 샤클장치(100) 또한 3개를 설치해야 한다. 로프 샤클장치(100)는 장착대(410)에 대해서 스프링부(130)를 통과한 로드부(110)가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게 된다. 소켓부(120)에는 로프의 단부가 체결되게 된다. 스프링부(130)를 구성하는 벨로우즈 스프링(210)은 균형추(400)의 하중에 의해 탄성반발력을 발생하고 균형추(400)의 이동중 로프를 통해 균형추(400)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counterweight 400 is suspended by a plurality of ropes in the hoistway. Each rope is wound around the drive sheave of the hoisting machin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and the counterweight 400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hoistway by the rotation of the drive sheave. A mount 410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400 . A plurality of rope shackle devices 100 are held by the mounting table 410 of the counterweight to which the other end of each rope connected to the mounting table 410 of the elevator car 300 is individually connected. That is, the rope shackle device 100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o be installed as many as the number of ropes. For example, when the counterweight 400 is suspended by three ropes, three rope shackle devices 100 must also be installed. In the rope shackle device 100 , the rod part 110 passing through the spring part 130 with respect to the mount 410 is fixed through a bolt or the like. The end of the rope is fastened to the socket part 120 . The bellows spring 210 constituting the spring unit 130 generates an elastic repulsive force by the load of the counterweight 400 and effectively reduces vibration or noise transmitted to the counterweight 400 through the rope while the counterweight 400 is moving. can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100)는 종래의 코일 압축 스프링을 벨로우즈 스프링으로 변경함으로써 횡방향 및 비틀림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의 이동시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rope shackle device 100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increase the resistance to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orsion by changing the conventional coil compression spring to a bellows spring, and thus vibration and noise that may occur when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are moved. There is a reduction effect.

일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100)는 벨로우즈 스프링에 스프링 시트 및 너트 등을 일체형 구조로 하고 로드부에 나사선으로 체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와 균형추에 설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부품을 간소화할 수 있다.The rope shackle device 100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has a bellows spring and a spring seat and a nut as an integral structure and is screwed to the rod part, so that the installation time for the elevator car and the counterweight can be shortened and the parts can be simplified. can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and may be changed.

100: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
110: 로드부 120: 소켓부
130: 스프링부
210: 벨로우즈 스프링 220: 스프링 시트
230: 너트
300: 엘리베이터 카 310: 장착대
400: 균형추 410: 장착대
100: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110: rod part 120: socket part
130: spring part
210: bellows spring 220: spring seat
230: nut
300: elevator car 310: mount
400: counterweight 410: mount

Claims (6)

로드부;
상기 로드부의 일단에 구비되고 로프의 단부가 연결되는 소켓부; 및
상기 로드부의 타단에 구비되고 벨로우즈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프링부는
다수의 판스프링들을 용접을 통해 균일한 피치를 갖도록 벨로우즈 성형한 벨로우즈 스프링; 및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로드부에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을 고정 지지하는 스프링 시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의 상단부와 하단부 각각에 나사산이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어 상기 요홈에 상기 스프링 시트가 걸림 안착되고 상기 로드부에 조립되기 전에 상기 스프링 시트의 일부가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과 나선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
rod part;
a socket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rod part and connected to an end of the rope; and
A spring port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rod portion and formed of a bellows spring,
the spring part
a bellows spring formed by bellows forming a plurality of leaf springs to have a uniform pitch through welding; and
I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bellows spring, respectively,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spring seat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bellows spring to the rod portion
A threaded groove is formed i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bellows spring, the spring seat is caught and seated in the groove, and a part of the spring seat is spirally fastened to the bellows spring before being assembled to the rod part.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스프링부와 나선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od portion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pirally fastened to the spring part by forming a threa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시트는
상기 벨로우즈 스프링을 관통하는 상기 로드부와의 나선 체결을 위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와셔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pring seat is
A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washer shape in which a thread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 helically fastening with the rod part passing through the bellows spring.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스프링 시트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로드부와 상기 스프링 시트 사이의 체결력을 높이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용 로프 샤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pring portion
The rope shackle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nut provided on the spring seat and increasing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rod part and the spring seat.
KR1020190105662A 2019-08-28 2019-08-28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KR1022690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62A KR102269024B1 (en) 2019-08-28 2019-08-28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662A KR102269024B1 (en) 2019-08-28 2019-08-28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30A KR20210025830A (en) 2021-03-10
KR102269024B1 true KR102269024B1 (en) 2021-06-24

Family

ID=7514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662A KR102269024B1 (en) 2019-08-28 2019-08-28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90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9206A (en) * 2021-11-25 2022-03-29 贵州中航电梯有限责任公司 Elevator fag end damp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626A (en) * 2003-09-03 2005-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uppor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895B1 (en) 1999-03-15 2001-07-12 장병우 Thimble rod suspension device for elevator
EP2330066B1 (en) 2008-10-01 2016-12-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device
KR20130101684A (en) * 2012-03-06 2013-09-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pring of suspension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5626A (en) * 2003-09-03 2005-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uppor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5830A (en) 202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355378A1 (en) Rope terminal arrangement and an elevator
KR102269024B1 (en) Rope shackle device for elevator
CN111316013B (en)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ng vehicle damping unit in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JP5886682B2 (en) Elevator
JP2009280207A (en) Wheel suspension
JP4929785B2 (en) Elevator control cable device
JP2013180868A (en) Space-saving elevator
CN105889393A (en) Shock absorber and vehicle provided with same
CN106351353B (en) Early rigidity-adjustable spiral spring damper
WO2018109881A1 (en) Tension support device for elevator
JPWO2004083092A1 (en) Elevator rope grip structure
CN209943398U (en) Extension spring
CN112695911A (en) Self-adaptive variable-rigidity tuned mass damper
JP4087518B2 (en) Tension balancer for overhead wire
CN114810897B (en) Steel wire rope-spring combined type shock absorber
JPH07232876A (en) Elevator car suspending mechanism
CN211088059U (en) Vibration reduction structure
CN109707140A (en) A kind of new elevator shaft
CN218147227U (en) Damping device of cable braiding machine
CN217401524U (en) Engineering machinery shock absorber capable of preventing cracking
JP2009029535A (en) Control cable hanging device
JP7134335B2 (en) Shock absorber spring supports and elevator shock absorbers
JP5556595B2 (en) Guide rail bottom end adjustment device
CN217676724U (en) Vertical prestress tensioning universal base
CN210059640U (en) Reinforcing steel bar stretc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