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121B1 -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121B1
KR102268121B1 KR1020200112094A KR20200112094A KR102268121B1 KR 102268121 B1 KR102268121 B1 KR 102268121B1 KR 1020200112094 A KR1020200112094 A KR 1020200112094A KR 20200112094 A KR20200112094 A KR 20200112094A KR 102268121 B1 KR102268121 B1 KR 10226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losing control
door opening
do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정
신광호
최영선
김영관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00112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1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121B1/ko
Priority to PCT/KR2021/011866 priority patent/WO2022050727A1/ko
Priority to JP2023514730A priority patent/JP2023540316A/ja
Priority to CN202180053964.0A priority patent/CN11623522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가 제공된다.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출력된 QR 코드 용지(240)에 포함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되는 QR 코드 스캐너(130); 및 상기 QR 코드 스캐너(130)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의 판독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140)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상업용 건축물 내 구비되는 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업용 건축물의 상점 내에 배치된 QR 코드 발급기에서 출력된 QR 코드 용지를 활용하여 상업용 건축물 내 설치되는 남성 화장실 및 여성 화장실에 대해 해당 성별의 사용자에 대해서만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매장 고객, 특히 여성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매장, 음식점 등의 상점이 입점해 있는 상업용 건축물에는 상점 관리자, 상점 직원, 상점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설치되어 운영되는데, 이러한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은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로 구분되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은, 도 1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점 직원, 상점 고객 등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출입구(10)가 개방 상태로 운영되거나, 또는 도 1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화장실 출입구에 도어락(20)을 설치하여 비밀 번호를 알고 있는 상점 직원, 상점 고객만이 해당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어락이 설치되는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의 경우 상점 직원이 고객에게 도어락 비밀번호를 알려줌으로써 고객이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여기서 비밀번호가 상점 내 특정 장소에 기재되어 있음으로써 누구에게나 노출되어 있거나 또는 상점 직원이 상점 고객에게 구두로 비밀번호를 전달하는 등 도어락 비밀번호의 관리가 매우 허술하고, 그에 따라 남성이 여성용 화장실의 도어락 비밀번호를 어렵지 않게 인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상업용 건축물 내 설치되는 화장실의 경우, 도 1a에서와 같이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도 1b에서와 같이 도어락이 설치되더라도 그 비밀번호가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인적이 드문 시간에 여성용 화장실에 남성이 잠입하여 여성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거나 또는 몰래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불법 촬영된 영상을 유포하는 등의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상업용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몰래 카메라가 점차 소형화되고 은닉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 상황이다.
여성용 화장실에서 몰래 카메라가 발각되면 주변 CCTV 카메라를 이용해 용의자를 확인하여 추적 및 검거하고는 있지만 이는 사후적 조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그러므로,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성별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여성용 화장실에 남성의 출입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여성 고객들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할 때에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QR 코드 기반의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성별의 사용자에 대해서만 남성용 화장실 또는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여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을 이용하는 상점 고객, 특히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가 QR 코드 판독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내장하여 운영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보다 비용 경제적인 방식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업용 건축물 내 각 상점에 배치되는 QR 코드 발급기를 통해 화장실 출입 인증을 위한 QR 코드 용지를 출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점 고객이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활용할 필요가 없어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QR 코드 발급기를 통해 발급되는 QR 코드에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의 고유 코드를 포함시키거나 또는 발급되는 QR 코드의 유효 시간 내 사용 회수를 제한함으로써, 제공되는 QR 코드가 타인에 의해 또는 다른 목적으로 오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는, 출력된 QR 코드 용지에 포함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되는 QR 코드 스캐너; 및 상기 QR 코드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의 판독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는 상업용 건축물 내 구비되는 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QR 코드는 고유 코드, 성별 코드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고유 코드는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의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QR 코드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에 포함된 상기 고유 코드, 상기 성별 코드 및 상기 날짜/시간 정보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가 출입문 개방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QR 코드에 대해 상기 출입문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1회만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서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출입문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은, 상기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상기 QR 코드 용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QR 코드 발급기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 발급기는 상기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QR 코드 발급기는, 상기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의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상기 QR 코드 용지로서 출력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 기반의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성별의 사용자에 대해서만 남성용 화장실 또는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여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을 이용하는 상점 고객, 특히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가 QR 코드 판독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내장하여 운영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보다 비용 경제적인 방식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상업용 건축물 내 각 상점에 배치되는 QR 코드 발급기를 통해 화장실 출입 인증을 위한 QR 코드 용지를 출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점 고객이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활용할 필요가 없어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발급되는 QR 코드에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의 고유 코드를 포함시키거나 또는 발급되는 QR 코드의 유효 시간 내 사용 회수를 제한함으로써, 제공되는 QR 코드가 타인에 의해 또는 다른 목적으로 오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의 운영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 용지를 활용한 QR 코드 인증 기반으로 화장실 출입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QR 코드 발급기(200), 출입문(3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이 적용되는 시설물로서 매장, 음식점 등이 입점하는 상업용 건축물 내 설치되는 남성용 화장실 및 여성용 화장실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특정 성별의 사용자만 출입이 허용되어야 하고 다른 성별의 사용자 출입이 엄격하게 금지되어야 하는 상업용 건축물 내 다른 시설, 예를 들어 수유실, 여성용 탈의실 등의 다른 시설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이 동일하게 또는 실질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매장, 음식점 등의 상점이 입점하여 고객에게만 제한적으로 화장실 이용을 허용하는 상업용 건축물의 화장실에 보다 맞춤형으로 적용될 수 있고, 특히 상업용 건축물에 입점해 있는 각 상점마다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제한적으로 지정(예를 들어, 각 상점마다 1개 화장실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정)되어 있는 상업용 건축물 환경에서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상업용 건축물 내 설치되는 남성용 화장실 또는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300)에 또는 출입문(3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QR 코드의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디지털 방식으로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갖고, 상시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정전시 비상 작동을 위해서 비상 전원용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출입문(300)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성인의 가슴 높이 정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린이의 사용을 위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아래 쪽 지면에 계단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레일과 같은 슬라이딩 수단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문(300)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성인인지 또는 어린이인지를 감지함으로써 그 결과에 따라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출입문(300)과 기계적으로 결합되거나(이하 도 3a 참조)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 이하 도 3b 및 도 3c 참조) 결합될 수 있으며, 후자의 경우 출입문(300)과의 무선 통신을 위해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는 블루투스 칩과 같은 무선 통신 모듈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가 출입문(300)의 개폐 제어를 위해 사용하는 QR 코드는 QR 코드 용지(240, 이하 도 3, 도 4 참조)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여기서 QR 코드 용지(240)는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각각 구비되는 QR 코드 발급기(200)의 출력 모듈(220)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화장실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QR 코드 용지(240)에 출력된 QR 코드를 스캐닝하고, 그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QR 코드의 인증 여부에 따라 출입문(300)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체적인 동작, 절차 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메인 바디(110), 디스플레이(120), QR 코드 스캐너(130), 컨트롤러(14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a에 도시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엘리먼트(110, 120, 130, 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기능, 동작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불과하고, 따라서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전원부, 통신부, 알람부, 모니터링부, 등)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메인 바디(11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하고, 출입문(3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되거나, 또는 출입문(300)에 인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개선된 가시 효과를 위해 노출 표면이 소정의 컬러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도 2a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a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의 노출 표면에는 디스플레이(120), QR 코드 스캐너(130) 등이 매립 또는 구현될 수 있고, 컨트롤러(140)는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임베디드(embedded)될 수 있으며, 도어 구동모터(미도시)는 출입문 벽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또는 화장실 내부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컨트롤러(140)에서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출입문(300)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 QR 코드 인식 실패에 관한 정보, QR 코드의 유효 시간 초과에 관한 정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상태 정보, 도어락 블루투스 설정을 위한 UI, QR 코드 유효 시간 설정을 위한 UI,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40)가 QR 코드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출입 승인” “출입 거부”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고, 기기 이상 또는 성별 판단 불가의 경우에는 “인식 실패”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QR 코드의 사용가능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 시간 초과”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국문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방문한 외국인의 편의를 위해서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가 국문과 영문의 병기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터치식(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축물 관리자는 출입문(300)과의 블루투스 통신 설정, QR 코드의 유효 시간(예를 들어, 3분 등) 설정 등을 디스플레이(120)를 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에 QR 코드의 판별 결과가 표시되는 시간 이외의 나머지 시간에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예를 들어, 건축물/상점 홍보 동영상 등)가 디스플레이(120)에 재생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이러한 콘텐츠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추가로 구비되어 내장되는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QR 코드 스캐너(130)는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QR 코드 용지(240)에 출력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QR 코드 인증에 기초하여 남성용 화장실 또는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경우 QR 코드 인증을 통해 남성인 것으로 인증되고 고유 코드가 일치하며 유효 사용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남성용 화장실의 출입문(300)이 개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여성의 경우 QR 코드 인증을 통해 여성인 것으로 인증되고 고유 코드가 일치하며 유효 사용 시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300)이 개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방문한 여성 고객은 상업용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 상점 직원을 통해 여성용의 QR 코드 용지(240)를 발급받을 수 있고, 발급받은 QR 코드 용지를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구비되는 QR 코드 스캐너(130)에 스캔하기만 하면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심리적으로 보다 안전하게 상업용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로, 각 상점에 배치되는 QR 코드 발급기(200)를 통해 발급되는 QR 코드는 보안 강화를 위해 그리고 악용 방지를 위해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복수의 코드는 고유 코드, 성별 코드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로 구성될 수 있는데, QR 코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컨트롤러(14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메인 바디(110) 내측에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임베디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QR 코드 스캐너(130)에 의해 스캐닝되는 QR 코드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40)는, (i) 컨트롤러(140)와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출입문(30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도어 구동모터를 통해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도 3a의 경우), (ii)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출입문(300)과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출입문(300)에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의 경우).
또한, 컨트롤러(140)는 QR 코드 발급기(200)에 의해 발급되어 상점 고객에게 제공되는 QR 코드 용지(240)의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QR 코드가 해당 상점과 연관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QR 코드인지 여부, QR 코드에 포함된 성별 정보가 남성인지 또는 여성인지 여부, QR 코드에 포함된 날짜/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사용 시간(예를 들어, 3분)을 만족하는지 여부 등을 판별하며, 그 판별 결과를 출입문개폐제어신호로서 생성하여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업용 건축물 내 각 상점에는 이용 가능한 화장실이 제한적으로 지정될 수 있는데, 특정 상점에 배치되는 QR 코드 발급기(200)에 의해 발급되는 QR 코드에는 해당 상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예를 들어, 상점에서 가장 인접한 화장실, 또는 상점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화장실, 등)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QR 코드 용지(240)의 QR 코드에 포함된 고유 코드를 검출한 결과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방문 상점에 대해 지정된 화장실이 아닌 다른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등), 컨트롤러(140)는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는 동작, 판독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들이 소프트웨어로서 프로그래밍되어 컨트롤러(140)에 탑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컨트롤러(140)는 상업용 건축물 내 남성용 화장실 또는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를 위한 절차들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를 원격에서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운영 서버, 그리고 화장실 출입을 위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등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업용 건축물의 화장실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40)는 QR 코드에 대해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1회만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성 사용자가 QR 코드 용지(240)를 활용하여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한 이후에 QR 코드 용지(240)를 제대로 폐기하지 않을 경우에, 해당 QR 코드 용지(240)를 남성이 습득함으로써 범죄에 악용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러(140)는 이미 스캐닝이 완료되어 출입문(300)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 QR 코드가 이후에 다시 스캐닝되는 경우, 3가지의 조건, 즉 (i) 고유 코드의 조건, (ii) 성별 조건, 및 (iii) 유효 사용 시간 조건을 모두 충족할지라도 해당 QR 코드에 대해서는 다시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QR 코드 발급기(200)는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의 사용을 위한 QR 코드 용지(240)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발급기(200)는, 도 2a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10)와 출력 모듈(220)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QR 코드 발급기(200)가 별개의 독립적인 장치로서 구현되어 각 상점에 배치되는 것으로 기술하지만,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 발급기(200)가 POS(Point of Sales) 장치에 통합 구현됨으로써 QR 코드 용지(240)의 출력을 위한 장치 비용과 공간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발급기(200)는 잠금 기능(예를 들어, 비밀번호 잠금 등)이 추가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인증된 사용자(즉, 상점 관리자, 상점 직원 등)만이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쳐야만 화장실 사용을 위한 QR 코드 용지(240)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점 직원이 부재하는 동안에 또는 상점 직원이 다른 업무에 집중하고 있을 때에, 남성 고객이 QR 코드 발급기(200)를 무단으로 사용하여 여성용 QR 코드 용지를 출력 및 소지함으로써 여성용 QR 코드 용지를 범죄에 악용하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발급기(200)는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상점 직원은 상점을 방문한 고객이 화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QR 코드 발급기(200)를 활용하여 해당 화장실의 출입문(300)을 개방할 수 있는 QR 코드가 인쇄된 QR 코드 용지(240)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화장실 이용자의 성별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예를 들어, 터치 방식의 “남(男)” 아이콘 또는 “여(女)” 아이콘, 이하 도 4 참조), 상점 직원은 해당 고객의 성별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QR 코드 용지(240)의 발급을 요청하며, 그에 응답하여 QR 코드 발급기(200)의 출력 모듈(220)을 통해 성별 코드가 포함된 QR 코드 용지(240)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10)에서 성별 선택 아이콘 이외의 영역에서는 소정의 컨텐츠(예를 들어, 해당 상점의 홍보 동영상, 등)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 저장을 위해 QR 코드 발급기(200)에는 메모리(미도시)가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디스플레이(210)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점 점원으로부터 QR 코드 용지(240)를 제공받은 고객은 해당 QR 코드 용지(240)를 지정된 화장실에 배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 스캐닝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 발급기(200)에서 발급되는 QR 코드가 용지로서 출력되는 것을 대신하여, 발급되는 QR 코드를 고객의 사용자 단말(400)로 제공할 수도 있는데 그러한 시스템이 도 2b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2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QR 코드 발급기(200)는 출력 모듈(220)을 대신하여 송신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점 점원이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되는 성별 선택 아이콘 중에서 방문 고객의 성별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QR 코드의 생성 요청이 수신되면, QR 코드 발급기(200)에서 QR 코드가 발급되고 발급된 QR 코드가 송신 모듈(230)을 통해 해당 고객의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될 수 있다.
따라서, QR 코드 발급기(200)로부터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400)로 수신한 고객은 사용자 단말(400)에 표시되는 QR 코드를 지정된 화장실에 배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 스캐닝하기만 하면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을 이용할 수도 있다.
참고로, 발급된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4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고객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터치식 숫자 키패드 등)가 디스플레이(210)에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발급된 QR 코드는 SNS(social network service) 메신저의 타입으로 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메시지의 타입으로 사용자 단말(400)에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매장에 비치되는 QR 코드 발급기(200)와 연동되는 NFC 통신 장치를 추가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본인의 단말 장치를 NFC 통신 장치에 근접시키면 사용자의 단말 장치에 QR 코드가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사용자 단말(4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상업용 건축물 내 각 상점에 배치되는 QR 코드 발급기(200)를 통해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의 개방을 위한 QR 코드 용지(240)를 발급받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 발급된 QR 코드 용지(240)에 출력된 QR 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화장실의 출입문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탑재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따라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도 3a의 (a)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출입문(300)의 개방이 허용되지 않는 반면, 도 3a의 (b)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도어 구동모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또는, 컨트롤러(140)는 내부에 탑재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따라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데, 도 3b의 (a)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출입문(300)의 개방이 허용되지 않는 반면, 도 3b의 (b)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출입문(300)에 대해 블루투스 기반으로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QR 코드의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스캐닝된 QR 코드에 포함된 고유 코드가 해당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된 화장실의 성별 정보와 QR 코드의 성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 의해 스캐닝된 QR 코드의 성별 코드가 남성인 경우, 등),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이 경과된 경우, QR 코드가 이미 스캐닝을 완료한 QR 코드인 경우, 등 다양할 수 있다.
여기서, QR 코드 판독에 따른 그 결과 정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데, (i)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출입문개방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출입 승인”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고, (ii)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출입문개방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출입 거부”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iii)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식별 불가능한 경우 “인식 실패”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고, (iv)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설정된 이용 시간을 초과한 경우 “사용가능시간 초과”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v) QR 코드가 이미 스캐닝된 QR 코드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 완료 QR 코드”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140)는 하기의 조건이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만, 즉 (i) QR 코드의 고유 코드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와 일치하고 (ii) QR 코드의 성별 코드가 해당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성별 정보와 일치하며 (iii) QR 코드의 날짜/시간 정보 코드로부터 유효 사용 시간 이내에 QR 코드가 스캐닝되는 경우에만,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추가로 각 QR 코드에 대해서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1회만 생성하는 것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QR 코드 판독에 따른 결과가 텍스트로서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스피커를 통해 “출입 승인” “출입 거부” “인식 실패” “사용가능시간 초과” “사용 완료 QR 코드” 등의 안내가 음성으로서 표출될 수도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텍스트 표시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참고로, 도 3a에서는 출입문(3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성을 그리고 도 3b와 도 3c에서는 출입문(300)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따라서 임의의 구성을 갖는 출입문(300)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는 동작, 판독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들이 소프트웨어로서 프로그래밍되어 컨트롤러(140)에 탑재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성용 또는 여성용 화장실에 배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도어락 등을 신설 또는 교체하기만 하면 대부분의 상업용 건축물에 본 QR 코드 기반의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3a와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에 각각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어 운영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가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제어를 동시에 구현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이 도 3c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도 3c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이 서로 인접 배치되는 환경에서, 남성용 화장실의 출입문(300)과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300)의 대략 중간 위치에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고,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2개의 출입문(300)과 동시에 블루투스 통신 기반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방문한 남성 사용자가 상점 내 QR 코드 발급기(200)를 통해 발급된 남성용 QR 코드 용지(240)를 수령하여 화장실을 이용하기 위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 해당 QR 코드 용지(240)를 스캐닝하면, 컨트롤러(140)는 성별 코드가 일치하지 않는 여성용 화장실에는 QR 코드 인증 실패로 판단하여 출입문(300)을 개방하지 않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함과 동시에(도 3c의 좌측), 성별 코드가 일치하고 고유 코드가 일치하며 유효 사용 시간의 조건을 충족하면 QR 코드 인증 성공으로 판단하여 남성용 화장실에 출입문(300)을 개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도 3c의 우측).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단일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를 활용하여 상업용 건축물 내 인접 배치된 남성용 화장실 및 여성용 화장실을 동시에 제어함으로써, QR 코드 인증 기반의 화장실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 구축을 위한 비용을 보다 절감할 수 있다.
참고로, 보안 강화를 위해 그리고 악용 방지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는 다양한 코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그러한 QR 코드(3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다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 용지를 활용한 QR 코드 인증 기반의 화장실 출입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먼저,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방문한 고객은 상점 직원에게 화장실 사용을 요청하고, 상점 직원은 이에 응답하여 화장실 사용을 위한 QR 코드 용지(240)를 발급해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상점 직원은 고객의 외모, 목소리 등으로부터 해당 고객의 성별을 판별한 후, QR 코드 발급기(200)의 디스플레이(210)에 표시된 성별 표시 아이콘 중에서 해당하는 성별의 아이콘을 클릭(또는 터치)함으로써 출력 모듈(220)을 통해 QR 코드 용지(240)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210)에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고, QR 코드 용지(240)의 출력 시에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을 상점 점원이 설정할 수도 있는데, 다만 설정되는 유효 사용 시간이 소정의 최대 시간(예를 들어, 10분)을 초과할 수 없도록 QR 코드 발급기(2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점 고객이 여성인 것으로 가정하면, 상점 직원은 디스플레이(210)의 여성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여성 화장실 사용을 위한 QR 코드 용지(240)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제공하고, QR 코드 용지(240)를 전달받은 고객은 지정 화장실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 QR 코드 용지(240)를 스캐닝함으로써 용이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출입문(300)을 개방하여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다.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컨트롤러(140)는, (i) QR 코드의 고유 코드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와 일치하고(즉, 방문 상점에 지정된 화장실에 해당하고), (ii) QR 코드의 성별 코드가 여성(F)이며, (iii) QR 코드의 날짜/시간 정보 코드로부터 QR 코드의 스캐닝이 유효 시간(예를 들어, 3분) 이내에 이루어지고, 추가로 (iv) 해당 QR 코드가 이전에 사용된 적이 없는 신규 QR 코드이면, 출입문(300)을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 및 출력하여 출입문(300)을 개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30)는 고유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로 구성될 수 있다.
QR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고유 코드(31)는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배치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에 해당할 수 있다. 상업용 건축물 내 복수의 화장실이 설치되는 경우, 각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할당되는 고유 코드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IP와 연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상점의 직원이나 고객이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은 그 개수가 제한되고(예를 들어, 남성용 화장실 및 여성용 화장실 각 1개), 예를 들어 지정된 화장실은 해당 상점에서 가장 인접한 화장실일 수 있으며, QR 코드(30)에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31)를 포함시킴으로써 상점 방문 고객이 지정된 화장실 이외의 다른 화장실을 사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QR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성별 코드(32)는 QR 코드 용지(240)를 발급받은 사용자의 성별을 표시하는 코드(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M”, 여성의 경우 “F”)일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40)는 QR 코드 스캐너(130)에 의해 스캐닝된 QR 코드에 이러한 성별 코드가 부재하거나 또는 성별 코드가 구비될지라도 해당 성별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가 설치되는 화장실의 이용 가능한 성별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QR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는 발급받은 QR 코드의 이용 가능한 유효 시간 판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QR 코드는 ‘2020.08.01 PM 2:34:56’의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를 가짐으로써, 해당 QR 코드가 2020년 8월 1일 오후 2시 34분 56초에 발급되었다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통신 기능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와 QR 코드 발급기(200) 사이의 시간 오차를 관리자가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와 QR 코드 발급기(200)에 와이파이(Wifi) 통신 기능을 추가로 구비하여 두 장치(100, 200)를 서로 페어링함으로써 시간을 동기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화장실 현장에 배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와 상점 내 배치되는 QR 코드 발급기(200) 사이의 시간 차이에 따른 사용자 불편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건축물 관리자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거나 또는 QR 코드 용지(240)의 발급 시에 발급자(예를 들어, 상점 점원 등)가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데(이 경우, 출력되는 QR 코드 용지(240)에 유효 사용 시간에 관한 정보가 추가로 출력될 수도 있음), 두 경우 모두에서 설정되는 유효 사용 시간은 소정의 최대 시간(예를 들어, 10분)을 초과할 수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날짜/시간 정보 코드(33)에 포함되는 QR 코드(30)의 발급 날짜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유효 시간(예를 들어, 3분 등) 이내에 스캔이 시도되는 경우에만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30)는 개인 정보로서 성별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개인정보 제공 및 유출에 대한 사용자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QR 코드 용지(240)에 출력되는 QR 코드를 QR 코드 발급기(200)에서 암호화하고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복호화를 수행하면, QR 코드의 해킹 등을 방지함으로써 부정한 방법으로 QR 코드를 도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안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 기반의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해당 성별의 사용자에 대해서만 남성용 화장실 또는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여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을 이용하는 상점 고객, 특히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가 QR 코드 판독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내장하여 운영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보다 비용 경제적인 방식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상업용 건축물 내 각 상점에 배치되는 QR 코드 발급기를 통해 화장실 출입 인증을 위한 QR 코드 용지를 출력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점 고객이 화장실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및 사용자 단말을 추가로 활용할 필요가 없어 상업용 건축물 내 화장실에 보다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발급되는 QR 코드에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의 고유 코드를 포함시키거나 또는 발급되는 QR 코드의 사용 회수를 제한함으로써, 제공되는 QR 코드가 타인에 의해 또는 다른 목적으로 오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30: QR 코드 31: 고유 코드
32: 성별 코드 33: 날짜/시간 정보 코드
100: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110: 메인 바디
120: 디스플레이 130: QR 코드 스캐너
140: 컨트롤러 200: QR 코드 발급기
210: 디스플레이 220: 출력 모듈
230: 송신 모듈 240: QR 코드 용지
300: 출입문 400: 사용자 단말

Claims (7)

  1.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로서,
    출력된 QR 코드 용지(240)에 포함된 QR 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되는 QR 코드 스캐너(130); 및
    상기 QR 코드 스캐너(130)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의 판독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30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140)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상업용 건축물 내 구비되는 화장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QR 코드는, 해당 상점에서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 용지(240)는 소정의 인증 절차를 거친 사용자에 의해서만 QR 코드 발급기(200)를 활용하여 출력되며, 상기 QR 코드 발급기(200)는 상기 해당 상점 내에서 POS 장치에 통합 구현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고유 코드, 성별 코드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로 구성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QR 코드 스캐너(130)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에 포함된 상기 고유 코드, 상기 성별 코드 및 상기 날짜/시간 정보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가 출입문 개방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0)는, 상기 QR 코드에 대해 상기 출입문(300)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1회만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40)에서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출입문(300)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0)를 더 포함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6. 제 1 항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상기 QR 코드 용지(240)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QR 코드 발급기(200)를 포함하고,
    상기 QR 코드 발급기(200)는 상기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에 배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 발급기(200)는, 상기 상업용 건축물 내 상점의 관리자에 의해 선택되는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QR 코드를 상기 QR 코드 용지(240)로서 출력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KR1020200112094A 2020-09-03 2020-09-03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226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94A KR102268121B1 (ko) 2020-09-03 2020-09-03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PCT/KR2021/011866 WO2022050727A1 (ko) 2020-09-03 2021-09-02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JP2023514730A JP2023540316A (ja) 2020-09-03 2021-09-02 出入り口扉の開閉制御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202180053964.0A CN116235227A (zh) 2020-09-03 2021-09-02 出入门开闭控制装置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94A KR102268121B1 (ko) 2020-09-03 2020-09-03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121B1 true KR102268121B1 (ko) 2021-06-22

Family

ID=7660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94A KR102268121B1 (ko) 2020-09-03 2020-09-03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40316A (ko)
KR (1) KR102268121B1 (ko)
CN (1) CN116235227A (ko)
WO (1) WO20220507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27A1 (ko) * 2020-09-03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84B1 (ko) * 2016-01-27 2016-09-06 주식회사 다누시스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102004136B1 (ko) * 2018-09-03 2019-10-17 안산도시공사 수영장 입장관리 및 안심서비스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6521A (ko) * 2001-08-21 2003-03-03 김정용 바코드와 얼굴 인식을 이용한 신분 인증 시스템과 이를이용한 신분 인증 방법
KR20200086151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코맥스 도어락 운영 시스템 및 이의 출입 검증 방법
KR102268121B1 (ko) * 2020-09-03 2021-06-22 한국토지주택공사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4784B1 (ko) * 2016-01-27 2016-09-06 주식회사 다누시스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 인증 시스템
KR102004136B1 (ko) * 2018-09-03 2019-10-17 안산도시공사 수영장 입장관리 및 안심서비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27A1 (ko) * 2020-09-03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3540316A (ja) 2023-09-22
CN116235227A (zh) 2023-06-06
WO2022050727A1 (ko) 2022-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8717B (zh) 存取控制方法、存取控制系統及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9424699B2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US20170352212A1 (en) Electronic access control and location tracking system
KR101829018B1 (ko)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KR101633062B1 (ko)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자동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92618A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통제 방법
KR101722900B1 (ko) 임시 비밀번호 설정이 가능한 도어락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68121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2268117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2303793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8883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9899A (ko) 모바일, 이를 이용한 자물쇠 관리 방법 및 이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50137662A (ko) 근거리통신을 이용한 시설 보안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63591B1 (ko) Qr코드를 이용한 출입 관리장치
KR20110090635A (ko) 도어락 장치 및 그것의 키 관리 방법
KR20180063585A (ko) 스마트 도어락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6456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150142914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출입 인증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56312A (ko) 비콘 기반 동적 인증정보를 이용한 전자출입명부시스템
JP2006077471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1720330B1 (ko) 특정 사용자에 맞춤형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도어락 시스템 및 메시지 제공 방법
KR20190020708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170140147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180087221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20170029468A (ko) 텍스트표시 디스플레이 액정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