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8117B1 -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8117B1
KR102268117B1 KR1020200112092A KR20200112092A KR102268117B1 KR 102268117 B1 KR102268117 B1 KR 102268117B1 KR 1020200112092 A KR1020200112092 A KR 1020200112092A KR 20200112092 A KR20200112092 A KR 20200112092A KR 102268117 B1 KR102268117 B1 KR 10226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losing control
door opening
door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정
신광호
최영선
김영관
Original Assignee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토지주택공사 filed Critical 한국토지주택공사
Priority to KR1020200112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1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117B1/en
Priority to JP2023514731A priority patent/JP2023542624A/en
Priority to PCT/KR2021/011865 priority patent/WO2022050726A1/en
Priority to CN202180053962.1A priority patent/CN1160186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72D bar cod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evice (100) for controlling an opening/closing of an entrance door. The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door comprises: a QR code scanner (130) configured to scan a QR code displayed on a user terminal (300); and a controller (150) that generates an entranc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based on a reading of the scanned QR code by the QR code scanner (130) and equipped with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door (500) according to the generated entranc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wherein the device (100) for controlling the opening/closing of the entrance door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one part of a woman's toilet among a plurality of woman's toilets provided in a building.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relieving a woman's anxiety.

Description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본 발명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QR 코드의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학교, 회사, 관공서 등 일반 건축물 내 설치되는 여성 화장실에서 여성인 경우에 한하여 출입문이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여성 사용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QR code authentication method to open the door only for women in women's restrooms installed in general buildings such as schools, companies, and government offic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resolving psychological anxiety of female users.

학교, 회사, 관공서 등 일반 건축물에는 남성용 화장실과 여성용 화장실이 구분되어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반 건축물 내 화장실은 관리자, 근무자, 방문자 등 해당 건축물을 사용하는 사용자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마련된 시설에 해당하므로 출입구(10)가 개방 상태로 운영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따라서 건축물에 일반인 출입이 허용되는 시간 동안 일반인 남성 또는 내부자 중 남성이 여성용 화장실에 상시 무단으로 출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적절한 수단과 방법이 없다. In general buildings such as schools, companies, and government offices, it is common for men's and women's toilets to be operated separately. As shown in FIG. 1, the toilet in a general building corresponds to a facility provided for anyone using the building, such as managers, workers, and visitors, so it is common that the entrance 10 is operated in an open state, and therefore the building There are no appropriate means and methods to prevent regular male or insider males from entering the women's restroom without permission during the time during which public access is permitted to the public.

인적이 드문 시간에 여성용 화장실에 남성이 잠입하여 여성을 상대로 범죄를 저지르거나 또는 몰래 카메라 등을 설치하여 불법 촬영된 영상을 유포하는 등의 범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몰래 카메라가 점차 소형화되고 은닉 기술이 점차 발전하고 있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은 점점 커져만 가고 있는 상황이다. The number of crimes such as men breaking into women's restrooms at rare times, committing crimes against women, or distributing illegally filmed videos by installing hidden cameras, etc., continues to increase. Anxiety among women who use it is increasing. In recent years, hidden cameras are becoming smaller and hidden technology is gradually developing, so the anxiety of women using the women's restroom is increasing.

여성용 화장실 등에서 몰래 카메라가 발각되면 주변 CCTV 카메라를 이용해 용의자를 확인하여 추적 및 검거하고는 있지만 이는 사후적 조치에 불과하기 때문에,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When a hidden camera is discovered in a women's restroom, etc., the suspects are identified, tracked, and arrested using the surrounding CCTV cameras, but since this is only a follow-up measure, it is insufficient to relieve the anxiety of women using the women's restroom.

그러므로, 학교, 회사, 관공서 등 일반 건축물 내 설치되는 여성용 화장실에 출입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성별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여성용 화장실에 남성의 출입 자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여성들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할 때에 보다 편안한 마음으로 공중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타입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제어 시스템에 관한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ased on the gender of the user who wants to enter the women's toilet installed in a general building such as a school, company, or government office, it fundamentally blocks men's access to the women's toilet, so that women can use the women's toilet.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a new type of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control system that allows users to use public facilities with a more comfortable mind at the time.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QR 코드 기반의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여성의 경우만 제한적으로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여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QR code-based authentication method to restrictly open and close the door for women, thereby relieving the anxiety of women using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또한, 본 발명은 QR 코드의 발급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를 출입문에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convenience of women using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by implementing an application access code that can download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at enables the issuance of a QR code on the do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and system.

또한, 본 발명은 QR 코드를 발급함에 있어 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QR 코드에 출입문이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불법 또는 가짜 QR 코드의 활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use of illegal or fake QR codes by including a cod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responding to a QR code generated through a similar application in issuing a QR code. aim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가 QR 코드 판독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내장하여 운영하고 유사시에는 건축물 관리자가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보다 비용 경제적인 방식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women's toilet in a general building has built-in software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reading of the QR code, and in case of emergency, the building manager can respond immediate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capable of providing a user with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ervice in a more cost-effective manner without an operation server.

또한, 본 발명은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권한을 부여함에 있어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후 통신사 본인 인증 과정을 통해 사용자 당 1회선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으로 제한함으로써,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출입할 수 있는 QR 코드의 불법 사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QR code that can access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by limiting the right to use the application to one line per user through the mobile operator's authentication process after downloading the application in granting the right to us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that can block the illegal use of in advan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되는 QR 코드 스캐너; 및 상기 QR 코드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의 판독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는 건축물 내 구비되는 복수의 여성용 화장실 중 적어도 일부의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될 수 있다.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QR code scanner configured to scan a QR code displayed in a user terminal; and a controller mounted with a program for generating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ading of the QR code scanned by the QR code scanner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generated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The control device may be installed in at least some of the women's toilets among the plurality of women's toilets provided in the building.

또한, 상기 QR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에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QR code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from an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by executing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or may be generated in the user terminal when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s executed.

또한, 상기 QR 코드 스캐너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의 일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가 추가로 구현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 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application access code is additionally implemented in an area of the main body where the QR code scanner is disposed, and by accessing the application access cod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QR 코드는 비밀 코드, 성별 코드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비밀 코드는 상기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및 관리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에서 부여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날짜/시간 정보 코드는 상기 QR 코드가 발급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QR code is composed of a secret code, a gender code and a date/time information code, the secret code includes a unique code given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that operates and manages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e date The /time information code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date and time the QR code was issued.

또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QR 코드 스캐너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에 포함된 상기 비밀 코드, 상기 성별 코드 및 상기 날짜/시간 정보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가 출입문 개방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reads the secret code, the gender code, and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included in the QR code scanned by the QR code scanner, and when the read information satisfies the door opening condition, the door It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generate a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ignal to allow the opening of the.

또한, 상기 컨트롤러에서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출입문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door is opened, which is determined based on the QR code read by the controller.

또한,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은, 상기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비밀 코드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an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that is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providing the QR code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ting update information of the secret code included in the QR code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may include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후 가입 시 통신사 본인 인증을 통해 사용자 당 1회선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을 부여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perating server may be additionally configured to grant the right to use the application for one line per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ompany's own authentication when signing up after downloading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 기반의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여성의 경우만 제한적으로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여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QR code-based authentication method to restri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nly for women,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anxiety of women using the women's toilet in a general building. ca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의 발급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를 출입문에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tionally implementing an application access code for downloading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at enables issuance of a QR code on the door, for women in general buildings The convenience of women using the toile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를 발급함에 있어 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QR 코드에 출입문이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불법 또는 가짜 QR 코드의 활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ssuing a QR code, by including a cod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responding to the QR code generated through a similar application to prevent illegal or fake QR code Its use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가 QR 코드 판독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내장하여 운영하고 유사시에는 건축물 관리자가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보다 비용 경제적인 방식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has built-i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QR code reading and operates it In case of emergency, an additional management/operation server is not provided by allowing the building manager to respond immediately, and accordingly,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more cost-effective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권한을 부여함에 있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및 설치 후 통신사 본인 인증을 통해 여성인 경우에 한하여 사용 권한을 부여 받으며, 사용 권한 부여 이력을 확인하여 사용자 당 1회선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으로 제한함으로써,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출입할 수 있는 QR 코드의 불법 사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ranting the right to us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after downloading and installing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t is used only for women through the communication company's own authentication It is possible to block in advance the illegal use of QR codes that can access women's restrooms in general buildings by limiting the application usage rights to one line per user by checking the authorization history and by checking the authorization history.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공 화장실의 출입문(10)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 인증 기반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30)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In order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drawings 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 brief description of each drawing is provided.
1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door 10 of a general public toilet.
2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based on whether a QR code is authenti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based on QR code authent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QR cod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various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being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of being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 사용자 단말(300), 통신망(400), 출입문(50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2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 an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 a user terminal 300 , a communication network 400 , It may be composed of an entrance door 500 and the like.

참고로,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이 적용되는 시설물로서 학교, 회사, 관공서 등 일반 건축물 내 설치되는 여성용 화장실을 예시적으로 기술하고 있으나, 여성만의 출입이 허용되어야 하고 남성의 출입이 엄격하게 금지되어야 하는 일반 건축물 내 다른 시설, 예를 들어 수유실, 여성용 탈의실 등의 다른 시설에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이 동일하게 또는 실질상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below, as a facility to which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nd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a women's toilet installed in a general building such as a school, company, or government office is provided. Although described as an example, in other facilities in a general building where only women should be allowed and men should be strictly prohibited, for example, other facilities such as a nursing room and women's changing ro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nd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1000 may be equally or substantially identically appli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은 건축물 관리자가 상주하거나 또는 유사시 즉시 대응이 가능한 건축물의 화장실에 보다 맞춤형으로 적용될 수 있고, 또한 층별로 일반 화장실과 QR 코드 인증 화장실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건축물(예를 들어, 5층 건물에서 1, 5층은 QR 코드 인증 화장실로 운영하면서, 2~4층은 일반 화장실로 운영하는 건축물), 동일 층 내에서도 일반 화장실과 QR 코드 인증 화장실을 분리하여 운영하는 건축물(예를 들어, 동쪽 화장실은 QR 코드 인증 화장실로 운영하면서, 서쪽 화장실은 일반 화장실로 운영하는 건축물) 등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nd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ustomized and applied to the toilet of a building where a building manager resides or can respond immediately in case of an emergency, and also includes a general toilet and a toilet for each floor. Buildings with separate QR code authentication toilets (for example, in a 5-story building, the 1st and 5th floors are operated as QR code authentication toilets and the 2nd-4th floors are operated as general toilets), and general toilets on the same floor It may be more suitable for buildings that operate separately from a QR code-certified toilet (for example, a building in which the east toilet is operated as a QR code-certified toilet and the west toilet is operated as a general toilet).

따라서, QR 코드의 활용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는(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개폐 제어 장치의 고장, 등) 상주하고 있는 건축물 관리자에게 문의하거나(이 경우 호출 버튼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음), 또는 QR 코드 인증 화장실을 대신하여 다른 층의 또는 다른 위치의 일반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the use of QR codes is impossible (eg, a breakdown of a smartphone or an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etc.), ask the building manager (in this case, a call butt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or Q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normal toilet on a different floor or in a different location in place of the code-certified toilet.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일반 건축물 내 설치되는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500)에 또는 출입문(50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QR 코드의 인증 결과에 따라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디지털 방식으로 IP(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갖고, 상시 전원 또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정전시 비상 작동을 위해서 비상전원용 충전식 배터리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is disposed on or adjacent to the door 500 of a women's restroom installed in a general building, and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result of the QR code. . For example,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P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a digital manner, and may be operated using constant power or battery power. For emergency operation, a rechargeable battery for emergency power may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의 편리한 이용을 위해 출입문(500)에 대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성인의 가슴 높이 정도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어린이의 사용을 위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아래 쪽 지면에 계단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레일과 같은 슬라이딩 수단에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출입문(500)에 접근하는 사용자가 성인인지 또는 어린이인지를 감지함으로써 그 결과에 따라 상하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자동으로 그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door 500 for convenient use by the user, for example, may be disposed at about the height of an adult's chest. Also, a stair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on the ground below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for the use of children. Alternatively,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being coupled to a sliding means such as a rail, and whether a user approaching the door 500 is an adult or not. By detecting whether it is a child, the height may be automatically adjusted through sliding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LTE, 5G 등의 통신망(400)을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LTE, 5G 등의 무선 통신을 위한 모뎀(칩)이 내장될 수 있으며, 출입문(500)과는 기계적으로(이하 도 3a 참조) 또는 무선 통신 가능하게(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로 연결, 이하 도 3b 참조) 결합될 수 있다.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400 such as LTE, 5G, etc., and for this purpose, a modem (chip)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LTE, 5G, etc. It may be built-in, and may be coupled to the door 500 mechanically (refer to FIG. 3A below) or to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eg, connected to Bluetooth, see FIG. 3B below).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로부터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되는 또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생성된 QR 코드를 스캐닝하고, 그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참고로, QR 코드의 인증에 따라 출입문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구체적인 동작, 절차 등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Therefor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ans the QR code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from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or generated by the user terminal 300, and read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result. For reference, the specific operation, procedure, etc. of opening or closing the door according to the authentication of the QR cod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메인 바디(110), 디스플레이(120), QR 코드 스캐너(130),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 컨트롤러(1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 도시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엘리먼트(110, 120, 130, 140, 1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기능, 동작 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엘리먼트에 불과하고, 따라서 추가의 엘리먼트(예를 들어, 전원부, 통신부, 알람부, 모니터링부, 등)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As shown in FIG. 2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 a display 120 , a QR code scanner 130 , an application access code 140 , and a controller. (150), and the like. For reference, the elements 110 , 120 , 130 , 140 , and 150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shown in FIG. 2 are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this is merely an exemplary element for description, and thus additional elements (eg, a power supply unit, a communication unit, an alarm unit, a monitoring unit, etc.)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메인 바디(11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몸체를 구성하고, 출입문(5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부착되거나, 또는 출입문(500)에 인접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고, 개선된 가시 효과를 위해 노출 표면이 소정의 컬러를 갖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그 형상은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in body 110 constitutes the body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 and may be attached to at least a partial region of the door 500 , or may be attached adjacent to the door 500 . In addition, the main body 110 may be made of metal or synthetic resin, and the exposed surface may be implemented to have a predetermined color for an improved visible effect, and its shape may be rectangular as exemplarily shown in FIG. 2 . It may be a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의 노출 표면에는 디스플레이(120), QR 코드 스캐너(130),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 등이 매립 또는 구현될 수 있고, 컨트롤러(150)에는 QR 코드를 판독하고 그 판독 결과에 따라 출입문(500)을 개폐 제어하는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임베디드될 수 있다. 참고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일부를 구성하는 컨트롤러(150)를 블록으로 도시하였으나 컨트롤러(15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내부에서 칩 또는 모듈로 내장되어 시각적으로는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s exemplarily shown in FIG. 2 , the display 120 , the QR code scanner 130 , the application access code 140 , etc. may be embedded or implement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 and the controller Software for reading the QR code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according to the reading result may be programmably embedded in 150 . For reference, although FIG. 2 shows the controller 150 constituting a part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s a block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150 is located inside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 It may not be visually visible as it is embedded as a chip or module.

디스플레이(12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컨트롤러(150)에서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출입문(500)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 QR 코드 인식 실패에 관한 정보, QR 코드의 유효 시간 초과에 관한 정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상태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120 may be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 and information on whether the door 500 is opened or not, which is determined based on the QR code read by the controller 150 , QR code recognition failure information about the QR code, information regarding the expiration of the valid time of the QR code, status information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nd the like may be displayed.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가 QR 코드를 판별한 결과에 따라 “출입 승인” “출입 거부”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고, 기기 이상 또는 성별 판단 불가의 경우에는 “인식 실패”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QR 코드의 사용가능시간을 초과한 경우에 “사용 시간 초과”와 같은 정보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는 국문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외국인 화장실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국문과 영문의 병기로서 제공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such as “access approval” “access deni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troller 150 determining the QR code, and in the case of device abnormality or gender determination impossible, “recognition Information such as “failur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and information such as “exceeded use tim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when the usable time of the QR code is exceeded. Here,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120 may be expressed in Korean, 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provided as both Korean and English for the convenience of foreign toilet users.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터치식(touch-sensitive) 디스플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건축물 관리자는 출입문(500)과의 블루투스 통신 설정, QR 코드의 유효 시간 설정 등을 디스플레이(120)를 터치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20)에 QR 코드의 판별 결과가 표시되는 시간 이외의 나머지 시간에는 사용자의 흥미를 유발하거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예를 들어, 건축물 홍보 동영상 등)가 디스플레이(120)에 재생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이러한 콘텐츠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메모리(미도시)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120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sensitive display, and accordingly, the building manager touches the display 120 to set Bluetooth communication with the door 500, set the valid time of the QR code, and the like. This can be easily controlled. In additio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maining time other than the time when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QR cod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various contents that can arouse the user's interest or provide information (for example, a building promotional video, etc.) may be implemented to be reproduced on the display 120 , and such content may be stored in advance in a memory (not shown)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nd may be periodically updated.

참고로, 디스플레이(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For reference, the display 120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Flexible Display),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etc. may be implemen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QR 코드 스캐너(130)는 사용자 단말(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QR 코드 인증에 기초하여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사용자는, 즉 여성 사용자는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 출입을 위한 QR 코드를 소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 받을 수 있고, 이렇게 발급받은 QR 코드는 가상의 신분증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하의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을 위한 QR 코드를 발급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용어로 지칭하기로 한다. The QR code scanner 130 may be configured to scan a QR cod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women's restroom is controlled based on QR code authentication, and the user, that is, a female user, can receive a QR code for entering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through a predetermined application, Since the QR code issued in this way serves as a virtual identification card, in this specification, an application that can issue a QR code for access to a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will be referred to as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

사용자는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고, 여기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후 애플리케이션 회원 가입 시에 통신사 본인 인증을 거침으로써 여성 사용자에 한하여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Users can download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rough application download services such as the Play Store and App Store, wher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the virtual ID is issued only to female users by going through the mobile operator's identity authentication when registering as an application memb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application to be granted permission to use it.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을 부여 받는 횟수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 후 회원 가입 시 통신사 본인 인증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자 당 1회선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다수의 스마트폰을 보유하는 사용자에 대해 단 1대의 스마트폰을 통한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을 부여함으로써,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QR 코드의 부정 사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Here,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times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s granted use may be limited. For example,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may grant one line of application use rights per user in performing authentication of a communication company when registering as a member after downloading and installing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By granting the right to use the application through only one smartphone to users who have multiple smartphone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raudulent use of QR codes through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s in advance.

추가로, 다수의 스마트폰을 보유하는 사용자가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사용 권한을 부여 받은 스마트폰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기존 스마트폰의 권한을 해지한 후에 신규 스마트폰에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을 부여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user who has a plurality of smart phones wants to change the smart phone to which the user is granted the right to us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uthority of the existing smart phone. may be further configured to grant the right to use the application to a new smartphone after canceling the

또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남성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및 설치 후 통신사 본인 인증을 통해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을 부여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경우라도 QR 코드가 생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거나, 설사 남성 사용자에 대해 QR 코드가 생성될지라도 발급되는 QR 코드에 남성의 성별 정보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에 남성이 출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man downloads and installs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and then allows the user to be granted the right to use the application through personal authentication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QR code from being generated, or even if the male Even if a QR code is generated for a use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block men from entering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by including the male gender information in the issued QR code.

그러므로, 여성 사용자는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할 때에 미리 다운로드 받아 사용 권한을 부여 받은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QR 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고, 발급받은 QR 코드를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구비되는 QR 코드 스캐너(130)에 스캔하기만 하면 보다 용이하게 그리고 보다 안전하게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when a female user wants to use a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a QR code can be issued by running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at has been downloaded in advance and given permission to use, and uses the issued QR code to control the door opening/closing (100) It is possible to use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more easily and more safely by simply scanning the QR code scanner 130 provided in the building.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 스캐너(130)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110)의 일 영역에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는 예를 들어 QR 코드일 수 있고, 안드로이드용 QR 코드(141)와 IOS용 QR 코드(1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 받지 않은 상태에서도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에 배치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에 접속함으로써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다. In this regard, according to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access code 14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an area of the main body 110 in which the QR code scanner 130 is disposed. The application access code 140 may be, for example, a QR code, and may be composed of a QR code 141 for Android and a QR code 142 for IOS,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as not previously downloaded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By accessing the application access code 140 implemented i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disposed in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can be easily downloaded and used.

참고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발급되는 QR 코드는 보안 강화를 위해 그리고 악용 방지를 위해 복수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는데, QR 코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5에서 보다 상술하기로 한다. For reference, the QR code issued by executing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des for security enhancement and abuse prevention. For a mor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QR cod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5 below. do.

QR 코드를 판독하고 그 결과에 따라 출입문(500)을 개폐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는 컨트롤러(150)에 프로그래밍 가능하게 임베디드(embedded)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컨트롤러(150)는 프로세서(processor),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컨트롤러(150)는 QR 코드 스캐너(130)에 의해 스캐닝되는 QR 코드의 판독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Software for reading the QR code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according to the result may be programmably embedded in the controller 150, for example, the controller 150 is a processor, micro-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micro-processor), a micro-controller (micro-controller), or the like. The controller 150 generates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ading result of the QR code scanned by the QR code scanner 130,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based on the generated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have.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i) 컨트롤러(150)와 전자적으로 연결되고 출입문(500)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도어 구동모터(미도시)를 통해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거나(예를 들어, 도 3a의 경우), (ii)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출입문(500)과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출입문(500)에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도어락의 개폐를 제어할 수도 있다(예를 들어, 도 3b의 경우).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may (i)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through a door driving motor (not shown) that is electron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50 and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door 500 . Or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gure 3a), (ii) by transmitting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to the door 500 connected to the door 500 implemented as a door lock an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Bluetooth) to the door lock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eg, in the case of FIG. 3B).

또한, 컨트롤러(150)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 의해 관리 및 운영되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된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식별하고, 해당 QR 코드가 정상적인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된 QR 코드인지 여부, QR 코드 발급자의 성별이 여성인지 여부, QR 코드에 포함된 날짜와 시간 정보가 유효 사용 시간(예를 들어, 30초, 이하 상세하게 기술함)을 만족하는지 여부 등을 판별하며, 그 판별 결과를 출입문개폐제어신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50 identifies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QR code issued through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managed and operated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corresponding QR code is a normal virtual Whether it is a QR code issued through an ID issuance application, whether the gender of the QR code issuer is female, the date and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R code determines the effective use time (for example, 30 seconds, described in detail below).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satisfied,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can be generated as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는 동작, 판독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들이 소프트웨어로서 프로그래밍되어 컨트롤러(150)에 탑재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컨트롤러(150)는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를 위한 절차들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를 원격에서 제어 및 관리하기 위한 관리/운영 서버를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A series of operations including an operation of reading the scanned QR code,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based on the read result, etc. may be programmed as software and mounted on the controller 150,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150 may be implemented to automatically perform procedures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of a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and thus a management/operation server for remotely controlling and managing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no need.

사용자 단말(300)은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된 QR 코드가 저장 또는 임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활용하여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할 수 있거나 또는 메인 바디(110)에 부착된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를 통해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기 이전에 출입문(500)에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와 같다.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QR code issued through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may be stored or temporarily stored. A user may use the user terminal 300 to download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n advance through an application download service such as a play store or an app store, or through the application access code 140 attached to the main body 110 , a general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from the door 500 before using the women's restroom in the building.

참고로, 사용자 단말(300)은 가입자 유닛, 가입자국, 이동국, 모바일 단말, 원격국, 원격 단말, 모바일 디바이스, 액세스 단말, 단말, 무선 통신 디바이스,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사용자 장비(UE)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은 셀룰러 전화, 코드리스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LL) 스테이션,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 무선 접속 능력을 구비한 핸드헬드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되는 다른 프로세싱 디바이스일수 있다. For reference, the user terminal 300 is referred to as a subscriber unit, subscriber station, mobile station, mobile terminal, remote station, remote terminal, mobile device, access terminal, terminal,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er agent, user device, or user equipment (UE). may be referred to. An access terminal is a cellular telephone, cordless telephone,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telephone, wireless local loop (WLL) station,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handheld device with wireless connectivity capability, computing device or wireless modem connected to It may be another processing device.

여기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QR 코드 생성 요청을 수신하고 그에 응답하여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와 실시간 동기화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컨트롤러(150)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발급되는 QR 코드와 관련된 정보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QR 코드에 포함되는 비밀 코드의 업데이트 정보가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로부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로 실시간으로 송신될 수 있고, 날짜와 시간 정보가 GPS 기반으로 실시간 동기화될 수 있다. Here,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configured to receive the QR code gener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300 and transmit the QR code to the user terminal 300 in response thereto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in real time. Thereby, it becomes possible for the controller 150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00 to determine information related to the QR code issued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 For example, update information of the secret code included in the QR code may be transmitted from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in real time, and date and time information may be synchronized in real time based on GPS. .

여기서, 도 2에는 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부에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가입자 정보, 발급된 QR 코드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Here, although not explicitly shown in FIG. 2 ,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torage unit, and the storage unit includes subscriber information for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and the issued QR. Information about the code, etc. may be stored.

참고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의 저장부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HDD(Hard Disk Drive),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CF(Compact Flash)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SM(Smart Media) 카드, MMC(Multimedia)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저장 장치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저장부가 인터넷 상에서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storage unit of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DD (Hard Disk Drive), ROM (Read Only Memory), RAM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 flash memory, CF (Compact Flash) card, SD (Secure Digital) card, SM (Smart Media) card, MMC (Multimedia) card or memory stick, etc. may be implemented as a storage device of , or the storage unit may be replaced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n the Internet.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 코드 인증 여부에 기초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용자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의 개방을 위한 QR 코드를 발급받을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 발급된 QR 코드를 스캐닝함으로써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3A and 3B are conceptual diagram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based on whether the QR code is authentic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may be issued a QR code for opening a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through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and the QR code issued to the QR code scanner 130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canning the code, you can request to open the door to the women's restroom.

컨트롤러(150)는 탑재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따라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도 3a에서와 같이 슬라이딩 도어로 구현되는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의 (a)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반면, 도 3a의 (b)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도어 구동모터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50 may read the scanned QR code according to the installed software (program) and generat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ad QR code, and using this, it is implemented as a sliding door as shown in FIG. 3A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 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QR code fails as in (a) of FIG. 3a, the control is not to allow the opening of the door 500, while the authentication of the QR code is successful as in (b) of FIG. 3a. In this case, by activating the door driving motor,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allow the opening of the door 500 .

또는, 컨트롤러(150)는 내부에 탑재된 소프트웨어(프로그램)에 따라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도 3b에서와 같이 도어락으로 구현되는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의 (a)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반면, 도 3b의 (b)에서와 같이 QR 코드의 인증이 성공하는 경우 출입문(500)을 블루투스 기반으로 개방을 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ler 150 may read the scanned QR code according to the software (program) mounted therein and generat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ad QR code, and using this, the door lock as shown in FIG. 3b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implemented as . For example, when the authentication of the QR code fails as in (a) of FIG. 3b, the control is not to allow the opening of the door 500, while the authentication of the QR code is successful as in (b) of FIG. 3b. In this case, the door 500 may be controlled to allow opening based on Bluetooth.

예를 들어, QR 코드의 인증이 실패하는 경우는, 예를 들어 스캐닝된 QR 코드가 인증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에서 발급된 QR 코드가 아닌 위조 QR 코드인 경우, 요청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이 아닌 경우,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이 경과된 경우, 등 다양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authentication of the QR code fails, for example, if the scanned QR code is a counterfeit QR code rather than a QR code issued by an authenticated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f the gender of the requesting user is not female , when the valid usage time of the QR code has elapsed, and so on.

QR 코드 판독에 따른 그 결과 정보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는데, (i)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출입문개방정보에 부합하는 경우 “출입 승인”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고, (ii)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출입문개방정보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출입 거부”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으며, (iii)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식별 불가능한 경우 “인식 실패”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고, (iv) QR 코드의 판별 정보가 설정된 이용 시간을 초과한 경우 “사용가능시간 초과” 등의 문구가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될 수 있다. Information as a result of reading the QR code may be display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120. (i)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QR code matches the door opening information, a phrase such as “access approval”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ii)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QR code does not match the door opening information, a phrase such as “access denied”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iii)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QR code If identification is not possible, a phrase such as “recognition failure”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and (iv)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QR code exceeds the set usage time, a phrase such as “exceeded available tim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120 ) can be displayed.

이와 같이 QR 코드 판독에 따른 결과가 텍스트로서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실시예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고, 스피커를 통해 “출입 승인” “출입 거부” “인식 실패” “사용가능시간 초과” 등의 안내가 음성으로서 표출될 수도 있거나, 또는 디스플레이(120)를 통한 텍스트 표시와 스피커를 통한 음성 출력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o or alternatively to the embodiment in which the result according to the QR code reading is visually shown to the user as tex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speaker (not shown) In addition, guidance such as “access approval” “access denied” “recognition failure” “available time exceeded” may be displayed as voice through the speaker, or text display through the display 120 and voice through the speaker The outputs may be implemented simultaneously.

참고로, 도 3a에서는 출입문(500)이 구동모터를 활용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성을 그리고 도 3b에서는 출입문(500)이 도어락 기반의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고, 따라서 임의의 구성을 갖는 출입문(500)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For reference, Fig. 3a show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oor 500 is opened and closed in a sliding manner using a drive motor, and in Fig. 3b,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oor 500 is opened and closed in a door lock-based opening and closing method is shown, but this is the e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nly an example for understanding, and therefore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door 500 having any configur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따르면, 스캐닝된 QR 코드를 판독하는 동작, 판독된 결과에 기초하여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는 동작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동작들이 소프트웨어로서 프로그래밍되어 컨트롤러(150)에 탑재되기 때문에 별도의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성용 화장실에 배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도어락 등을 신설 또는 교체하기만 하면 대부분의 일반 건축물에 본 QR 코드 기반의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ries of operations including an operation of reading the scanned QR code and an operation of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based on the read result are performed as software. Since it is programmed and mounted on the controller 15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additional management / operation server, so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ost for system construction as well as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disposed in the women's bathroom This QR code-based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ervice can be easily applied to most general buildings by simply installing or replacing door locks, etc.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of a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사용자는, 즉 여성 사용자는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S410).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플레이 스토어, 앱 스토어 등의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서비스를 통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미리 다운로드할 수 있거나, 또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를 통해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 이용 이전에 출입문(500)에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음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First, a user, that is, a female user, may download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for safe use of women's restrooms in general buildings (S410). A user may pre-download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rough an application download service such as a play store or an app store using the user terminal 300, or an application access code 140 implemented i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s described abov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can be downloaded from the door 500 before using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through the .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 및 설치 후 본인 인증을 통해 사용 권한을 부여 받은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300)에서 실행하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출입문의 개방을 위한 QR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은 발급된 QR 코드를 수신할 수 있다(S420).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단말(300) 자체에서 화장실 인증을 위한 QR 코드가 생성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After downloading and installing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when a user who is authorized to use the application through identity authentication runs the application in the user terminal 300,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generates and generates a QR code for opening the door. The generated QR code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the user terminal 300 may receive the issued QR code (S420). For refer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generate a QR code for toilet authentication in the user terminal 300 itself by executing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여기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발급된 QR 코드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와 동기화되도록 구성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실시간으로 공유 또는 전달될 수 있다. 참고로, 보안 강화를 위해 그리고 악용 방지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는 다양한 코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는데, 그러한 QR 코드(30)의 세부 구성이 도 5에 예시적으로 도시된다. Here, the QR code issued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may be shared or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configured to be synchronized with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 For reference, the QR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ecurity enhancement and to prevent abuse may include various code information,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such a QR code 30 is exemplarily shown in FIG. 5 .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30)는 비밀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로 구성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the QR cod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secret code 31 , a gender code 32 , and a date/time information code 33 .

QR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비밀 코드(31)는 인증된, 즉 진정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발급되는 QR 코드만을 선별하기 위한 코드로서, 가짜의 또는 유사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QR 코드로 남성이 여성용 화장실 등을 무단 침입하는 범죄를 차단하기 위한 코드에 해당한다. Among the plurality of codes included in the QR code 30, the secret code 31 is a code for selecting only a QR code issued by an authenticated, that is, a tru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generated through a fake or similar application. The QR code corresponds to a code to block the crime of men breaking into women's restrooms without permission.

이를 위해 비밀 코드(31)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부여하는 혼합 문자, 부호 등으로 구성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비밀 코드(31)의 암호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만 생성 및 저장될 수 있으며, 비밀 코드(31)의 업데이트 정보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송신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secret code 31 may include a unique code consisting of mixed characters, symbols, etc. given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 and the password information of this secret code 31 is only available i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 It may be generated and stored, and update information of the secret code 31 may be transmitted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

그러므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와 동기화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에 이러한 비밀 코드가 부재하거나 또는 비밀 코드가 구비될지라도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생성된 비밀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Therefore,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synchronized with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is this secret to the QR code scanned by the QR code scanner 130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Even if the code is absent or the secret code is provided, the opening of the door 500 may not be allowed if it does not match the secret code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

참고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의 QR 코드 생성 요청에 응답하여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가 발급하는 QR 코드에 포함되는 이러한 비밀 코드(31)는 (i) 고정 값의 코드로 구현될 수 있거나, (ii) 미리 결정된 주기(예를 들어, 매일, 매주, 매월 등)로 업데이트될 수 있거나, (iii) QR 코드의 발급 시 매번 새로운 비밀 코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is secret code 31 included in the QR code issued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in response to a QR code generation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implemented as (i) a code of a fixed value or , (ii) may be updated at a predetermined cycle (eg, daily, weekly, monthly, etc.), or (iii) may be implemented with a new secret code each time the QR code is issued.

또한, QR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성별 코드(32)는 QR 코드를 발급받은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에 해당함을 입증하기 위한 코드에 해당한다. 따라서, 컨트롤러(150)는 QR 코드 스캐너(130)에 의해 스캐닝된 QR 코드에 이러한 성별 코드가 부재하거나 또는 성별 코드가 구비될지라도 해당 성별이 남성으로 판별되는 경우에는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In addition, among the plurality of codes included in the QR code 30 , the gender code 32 corresponds to a code for verifying that the gender of the user who is issued the QR code is female. Therefore, the controller 150 permits the opening of the door 500 when the corresponding gender is determined to be a male even if such a gender code is absent or a gender code is provided in the QR code scanned by the QR code scanner 130 . may not

또한, QR 코드(30)에 포함되는 복수의 코드 중에서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는 발급받은 QR 코드의 이용 가능한 유효 시간 판별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QR 코드는 ‘2020.04.01 PM 2:34:56’의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를 가짐으로써, 해당 QR 코드가 2020년 4월 1일 오후 2시 34분 56초에 발급되었다는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참고로, 날짜/시간 정보 코드(33)에 포함되는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는 GPS를 통해 자동으로 수신되는 정보에 해당하여 정확도가 매우 높고, 그러한 날짜/시간 정보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 사이에서 동기화 되므로(즉,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서의 날짜/시간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의 날짜/시간 정보와 동일함),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와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의 시각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용자 불편함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Also, among a plurality of codes included in the QR code 30 ,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33 may be used to determine the available valid time of the issued QR code. For example, the QR code illustrated in FIG. 5 has a date/time information code 33 of '2020.04.01 PM 2:34:56', so that the QR code is displayed at 2:34 PM on April 1, 2020. It may indicate information that it was issued at minute 56 seconds. For reference, the date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33 corresponds to information automatically received through GPS and has very high accuracy, and such date/time information includes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nd Since it is synchronized betwee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s 200 (that is, the date/time information i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is the same as the date/time information i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 and the user inconvenienc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ime betwee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can be fundamentally blocked.

예를 들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300)에 발급되는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150)는 날짜/시간 정보 코드(33)에 포함된 QR 코드(30)의 발급 날짜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유효 시간(예를 들어, 30초) 이내에 스캔이 시도되는 경우에만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의 출입문 개폐 제어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apparatus 100 may set the effective use time of the QR code issued to the user terminal 300 . Therefore, the controller 150 is based on the issuance date and time information of the QR code 30 included in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33, the scan is attempted within a preset effective time (eg, 30 seconds) Only in this case,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of women's restrooms in general buildings can be executed.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의 유효 사용 시간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서 설정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건축물 관리자가 QR 코드 유효 사용 시간을 설정할 수 있음은 이미 기술한 바와 같다. 따라서, 컨트롤러(150)는 QR 코드에 포함된 날짜/시간 정보 코드(33)에 기초하여 QR 코드의 스캐닝 시점이 QR 코드의 발급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유효 사용 시간(예를 들어, 30초)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고, 유효 사용 시간 이내인 경우에만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Alternative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ive use time of the QR code can be set i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nd the building manager can set the effective use time of the QR code through the display 120 is already as described. Therefore, the controller 150 determines whether the scanning time of the QR code is within a preset effective use time (eg, 30 seconds) from the issuance time of the QR code based on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33 included in the QR code. can be determined, and the opening of the door 500 can be allowed only within the effective use time.

여기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30)는 개인 정보로서 성별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개인정보 제공 및 유출에 대한 사용자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QR 코드(30)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암호화되어 사용자 단말(300)에 전달되고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통해 복호화가 이루어지므로 개인정보보안을 보다 강화할 수 있다. Here, as shown in FIG. 5 , the QR cod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only gender information as personal information, so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user's objection to the provision and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QR code ( 30) is encrypted i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nd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decryption is performed through software mounted o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so that personal information securit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QR 코드는 사용자 단말(300)에 디스플레이되어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QR 코드 스캐너(130)를 통해 스캐닝될 수 있다(S430). QR 코드를 스캐닝하는 동작, 기능, 원리, 등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바와 실질상 동일하므로, 본 단락에서는 QR 코드 스캐닝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은 생략하도록 한다. Returning to FIG. 4 again, the QR code received from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 and scanned through the QR code scanner 130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S430). Since the operation, function, principle, and the like of scanning a QR code ar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ose known in the art,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QR code scanning will be omitted in this paragraph.

스캐닝된 QR 코드는 컨트롤러(150)에 의해 분석될 수 있고 컨트롤러(150)는 분석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S440),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500)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S450). The scanned QR code may be analyzed by the controller 150 and the controller 150 may generat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analyzed QR code (S440), and according to the generated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the door ( 500) can b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S450).

보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50)는 수신된 QR 코드에 포함된 비밀 코드(31), 성별 코드(32)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33)를 식별하고, (i) 식별된 비밀 코드(31)를 통해 QR 코드가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된 정상적인 QR 코드에 해당하고, (ii) QR 코드를 발급한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에 해당하며, 그리고 (iii) QR 코드의 발급 날짜 및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유효 시간 조건(예를 들어, 30초 등)을 충족하는 경우에만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50 identifies the secret code 31, the gender code 32 and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33 included in the received QR code, (i) the identified secret code 31 the QR code corresponds to a normal QR code issued through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i) the gender of the user who issued the QR code is female, and (iii) the issuance date and time information of the QR code. Based on the validity time condition (eg, 30 seconds, etc.), the opening of the door 500 may be allowed only when it is satisfi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150)는 QR 코드에 포함되는 3가지 코드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경우에 한하여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즉, 3가지 코드 중 어느 하나의 코드 조건도 충족하지 않으면 출입문(500)의 개방을 불허)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와 같은 3중 확인 절차를 통해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ler 1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ning of the door 500 only when all three codes included in the QR code are satisfied (that is, any one of the three cod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that disallows the opening of the door 500 if the code condition is not met, and through this triple confirmation procedure,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female users using women's toilets in general buildings is significantly improved. can be improved

여기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QR 코드의 발급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300)이 분실 신고된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성의 분실된 스마트 폰을 남성이 습득하여 악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사용자 단말(300)의 분실 신고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이 분실 신고된 단말로 확인될 경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해당 사용자 단말에 생성되는 QR 코드에 전화번호와 분실신고 단말기 정보를 추가로 생성하게 하여 위 3가지 코드의 조건을 충족할지라도, 즉 (i) 식별된 비밀 코드(31)를 통해 QR 코드가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된 QR 코드에 해당하고, (ii) QR 코드를 발급한 사용자의 성별이 여성에 해당하고, 그리고 (iii) QR 코드의 유효 시간 조건을 충족할지라도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Here,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terminal 300 requesting issuance of the QR code is a lost terminal. In order to prevent a woman's lost smart phone from being acquired and misused by men,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check whether the user terminal 300 is reported lost i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nd the user When the terminal 300 is identified as a lost terminal,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satisfies the conditions of the above three codes by additionally generating a phone number and loss report terminal information in the QR code generated in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even if (i) through the identified secret code 31, the QR code corresponds to the QR code issued through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i) the gender of the user who issued the QR code corresponds to a female; And (iii) even if the validity time condition of the QR code is satisfied, the opening of the door 500 may not be allowed.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는 경찰서 등의 기관과 추가로 통신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분실 신고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여성용 화장실을 출입하려는 요청이 확인되면 즉각적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의 위치 정보 등을 경찰서에 송신함으로써 예비 범죄자 검거 및 범죄 감소에 상당히 기여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urthe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an institu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and when a request to enter the women's restroom is confirmed using the user terminal reported as lost By immediately transmit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to the police station,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arrest of preliminary criminals and the reduction of cri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 기반의 인증 방식을 활용하여 여성의 경우만 제한적으로 출입문이 개폐되도록 하여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QR code-based authentication method to restric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only for women, women using the women's toilet in a general building can relieve anxie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의 발급을 가능하게 하는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를 출입문에 추가로 구현함으로써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이용하는 여성들의 편의성을 보다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tionally implementing an application access code for downloading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hat enables issuance of a QR code on the door, for women in general buildings The convenience of women using the toile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QR 코드를 발급함에 있어 유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QR 코드에 출입문이 반응하지 않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시킴으로써 불법 또는 가짜 QR 코드의 활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ssuing a QR code, by including a code that prevents the door from responding to the QR code generated through a similar application to prevent illegal or fake QR code Its use can be completely block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가 QR 코드 판독에 따라 출입문의 개폐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자체 내장하여 운영하고 유사시에는 건축물 관리자가 즉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관리/운영 서버를 구비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보다 비용 경제적인 방식으로 출입문 개폐 제어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installed in the women's restroom in a general building has built-in software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ccording to the QR code reading and operates it In case of emergency, an additional management/operation server is not provided by allowing the building manager to respond immediately, and accordingly,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ervic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in a more cost-effective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에 의하면,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권한을 부여함에 있어 통신사 본인 인증을 통해 사용자 당 1회선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으로 제한함으로써, 일반 건축물 내 여성용 화장실을 출입할 수 있는 QR 코드의 불법 사용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granting the right to use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by limiting the right to use the application to one line per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company identity authentication, general buildings You can block the illegal use of QR codes to access your women's restroom in advance.

한편, 본 명세서에 기재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코드,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의 주문형 반도체(ASIC)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DSPD)들, 프로그램어블 논리 디바이스(PLD)들, 필드 프로그램어블 게이트 어레이(FPGA)들, 프로세서들, 컨트롤러들, 마이크로컨트롤러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여기서 제시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다른 전자 유닛들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middleware, microcode, software, and/or a combination thereof. For example, various embodiments may include one or more application specific semiconductor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s). ),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other electronic units designed to perform the functions presented herein, or a combination thereof.

또한,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명령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되거나 인코딩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에 수록 또는 인코딩된 명령들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 또는 다른 프로세서로 하여금 예컨대, 명령들이 실행될 때 방법을 수행하게끔 할 수 있다.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판독가능한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기타 광학 디스크 저장 매체, 자기 디스크 저장 매체 또는 기타 자기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various embodiments may be embodied in or encod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comprising instructions. The instructions embodied or encoded on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cause a programmable processor or other processor to perform a method, eg, when the instructions are executed.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s computer storage media, which may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For example, such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RAM, ROM, E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edia, magnetic disk storage media, or other magnetic storage devices.

이러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등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을 지원하도록 동일한 디바이스 내에서 또는 개별 디바이스들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 "~부"로 기재된 구성요소들, 유닛들, 모듈들, 컴포넌트들 등은 함께 또는 개별적이지만 상호 운용가능한 로직 디바이스들로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 유닛들 등에 대한 서로 다른 특징들의 묘사는 서로 다른 기능적 실시예들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며, 이들이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실현되어야만 함을 필수적으로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하나 이상의 모듈들 또는 유닛들과 관련된 기능은 개별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되거나 또는 공통의 또는 개별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 내에 통합될 수 있다.Such hardware, software, firmware, etc. may be implemented in the same device or in separate devices to support the various operation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Additionally, components, units, modules, components, etc. described as “part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together or individually as separate but interoperable logic devices. Depictions of different features of modules, units, etc. are intended to emphasize different functional embodiments, and do not necessarily imply that they must be realized by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Rather, functionality associated with one or more modules or units may be performed by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or integrated within common or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러한 동작들이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모든 도시된 동작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임의의 환경에서는,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들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기술된 구성요소들이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Although acts are shown in the figures in a particular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se acts need to be performed in the particular order shown, or sequential order, or all shown acts need to be performed to achieve a desired result. . In certain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Moreover, the division of various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quiring such divis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described components will generally be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to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can be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est embodiment has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the specification.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30: QR 코드 31: 비밀 코드 32: 성별 코드 33: 날짜/시간 정보 코드
100: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110: 메인 바디
120: 디스플레이 130: QR 코드 스캐너
140: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 150: 컨트롤러
200: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 300: 사용자 단말
400: 통신망 500: 출입문
30: QR Code 31: Secret Code 32: Gender Code 33: Date/Time Information Code
100: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110: main body
120: display 130: QR code scanner
140: application access code 150: controller
200: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300: user terminal
400: communication network 500: door

Claims (8)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로서,
사용자 단말(300)에서 디스플레이되는 QR 코드를 스캐닝하도록 구성되는 QR 코드 스캐너(130); 및
상기 QR 코드 스캐너(130)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의 판독에 기초하여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출입문개폐제어신호에 따라 출입문(500)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컨트롤러(150)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건축물 내 구비되는 복수의 여성용 화장실 중 적어도 일부의 여성용 화장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QR 코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설치된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되고, 상기 QR 코드 스캐너(130)가 배치되는 메인 바디(110)의 일 영역에 추가로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 접속 코드(140)에 접속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상기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이 다운로드되며,
상기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다운로드 및 설치 후 통신사 본인 인증을 진행함에 있어,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 의해서 사용자 당 1회선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권한이 부여되고,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와 실시간 동기화되어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발급된 QR 코드가 실시간으로 공유 또는 전달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As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QR code scanner 130 configured to scan the QR cod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300; and
A controller 150 on which a program is mounted to generat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based on the reading of the scanned QR code by the QR code scanner 130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500 according to the generated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 including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t least some of the women's toilets provided in the building,
The QR code is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300 by executing a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300, and in addition to an area of the main body 110 where the QR code scanner 130 is disposed. By accessing the implemented application access code 140,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is downloaded to the user terminal 300,
After downloading and installing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in proceeding with the communication company identity authentication,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grants the right to use the application of one line per user,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is synchronized with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in real time so that the QR code issued from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is shared or delivered in real tim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QR 코드는 비밀 코드, 성별 코드 및 날짜/시간 정보 코드로 구성되고,
상기 비밀 코드는 상기 가상 신분증 발급 애플리케이션을 운영 및 관리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에서 부여하는 고유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날짜/시간 정보 코드는 상기 QR 코드가 발급된 날짜 정보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1,
The QR code is composed of a secret code, a gender code and a date/time information code,
The secret code includes a unique code given by the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that operates and manages the virtual ID issuance application, and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date and time the QR code was issued. doing,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50)는, 상기 QR 코드 스캐너(130)에서 스캐닝된 QR 코드에 포함된 상기 비밀 코드, 상기 성별 코드 및 상기 날짜/시간 정보 코드를 판독하고, 판독된 정보가 출입문 개방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상기 출입문(500)의 개방을 허용하는 출입문개폐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ler 150 reads the secret code, the gender code, and the date/time information code included in the QR code scanned by the QR code scanner 130, and the read information satisfies the door opening condition. further configured to generate a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ignal allowing the opening of the door 500 in the cas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150)에서 판독된 QR 코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출입문(500)의 개방 여부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120)를 더 포함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120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door 500 is opened or not determined based on the QR code read by the controller 150,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제 1 항에 따른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 및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QR 코드를 상기 사용자 단말(300)에 제공하고, 상기 QR 코드에 포함된 비밀 코드의 업데이트 정보를 상기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100)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애플리케이션 운영 서버(200)를 포함하는,
출입문 개폐 제어 시스템(1000).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claim 1; and
It is communicatively coupled with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to provide the QR code to the user terminal 300, and update information of the secret code included in the QR code to the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100. comprising an application operation server 200 configured to transmit;
Door opening/closing control system (1000).
삭제delete
KR1020200112092A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KR1022681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92A KR102268117B1 (en)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JP2023514731A JP2023542624A (en) 2020-09-03 2021-09-02 Entrance/exit door opening/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PCT/KR2021/011865 WO2022050726A1 (en) 2020-09-03 2021-09-02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
CN202180053962.1A CN116018624A (en) 2020-09-03 2021-09-02 Door opening and closing control device and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092A KR102268117B1 (en)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117B1 true KR102268117B1 (en) 2021-06-22

Family

ID=76600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092A KR102268117B1 (en) 2020-09-03 2020-09-03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42624A (en)
KR (1) KR102268117B1 (en)
CN (1) CN116018624A (en)
WO (1) WO2022050726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26A1 (en) * 2020-09-03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46B1 (en) * 2013-03-21 2015-03-02 모젼스랩(주) method of entrance control through instant QR code
KR20170115304A (en) * 2016-04-07 2017-10-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phone-based access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method and its access control system
KR102004136B1 (en) * 2018-09-03 2019-10-17 안산도시공사 System for managing entrance and relaxing in swimming pool
KR20200049406A (en) * 2018-10-31 2020-05-08 종 진 임 The device and method to make user to use specific QR code App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6185A (en) * 2016-08-05 2018-02-14 주식회사 세미코어 Toilet secutity device using gender identification
CN107542359B (en) * 2017-09-30 2019-04-02 深圳正品创想科技有限公司 A kind of door opening method and device of Porta Potti
KR102268117B1 (en) * 2020-09-03 2021-06-22 한국토지주택공사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646B1 (en) * 2013-03-21 2015-03-02 모젼스랩(주) method of entrance control through instant QR code
KR20170115304A (en) * 2016-04-07 2017-10-17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martphone-based access authentication key management method and its access control system
KR102004136B1 (en) * 2018-09-03 2019-10-17 안산도시공사 System for managing entrance and relaxing in swimming pool
KR20200049406A (en) * 2018-10-31 2020-05-08 종 진 임 The device and method to make user to use specific QR code Ap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726A1 (en) * 2020-09-03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opening and closing of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50726A1 (en) 2022-03-10
CN116018624A (en) 2023-04-25
JP2023542624A (en)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8717B (en) Access control method, access control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KR101296863B1 (en) Entry authentication system using nfc door lock
WO2019245383A1 (en) Improved access control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ontrolling access of persons into restricted areas
KR20160050841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KR10163751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ntrance and exit
KR101722900B1 (en) Door lock system capable of setting a temporary password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JP2012144899A (en) Electronic key management device, locking/unlocking system, electronic key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5359848B2 (en) IC card authentication system and IC card authentication method
KR20200044748A (e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SmartKey AND Access Control System for Them
KR20180125729A (en) Vehicle acc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through code display
CN113678177A (en) Security enhancement door lock and access door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same
KR20180079855A (en) Entrance managing system using of a mobile device
KR1020635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open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KR102268117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US20220108573A1 (en) Remote device interface and telephone entry system
KR102112975B1 (en) Access Control Method Using SmartKey Based On Hybrid Security Environment AND Access Control System for Them
KR101912743B1 (en) Smart door rock system
KR102303793B1 (en) An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method thereof
JP2004120257A (en) Lock management system and lock management method
KR102358883B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method therefor
KR102268121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KR102256961B1 (en) An apparatus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and a method thereof
KR100803536B1 (en) Door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certification function by one time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JP2008152408A (en) Movement information holding device,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645125B1 (en) Entrance Certification Method Using NFC of Smart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