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853B1 -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853B1
KR102267853B1 KR1020180028075A KR20180028075A KR102267853B1 KR 102267853 B1 KR102267853 B1 KR 102267853B1 KR 1020180028075 A KR1020180028075 A KR 1020180028075A KR 20180028075 A KR20180028075 A KR 20180028075A KR 102267853 B1 KR102267853 B1 KR 102267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fan
disposed
cove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80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06898A (en
Inventor
최지훈
김석현
설혜연
오민규
임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28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853B1/en
Publication of KR20180106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8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8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3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5/00Devices not covered by group F25D11/00 or F25D13/00, e.g. non-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3Mounting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21/00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321/02Details of 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s;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s
    • F25B2321/025Removal of heat
    • F25B2321/0251Removal of heat by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1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using air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6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 F25D2323/0026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incoming air flow through the back top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02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 F25D2323/0028Details for cooling refrigerating machinery characterised by the fans
    • F25D2323/00284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저장실을 냉각하고, 열전소자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히트 싱크를 마주보게 배치된 방열팬; 이너 케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방열팬을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흡입공이 형성된 방열커버; 및 방열 커버와 방열팬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thermoelectric module that cools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fan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cov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se and having at least one outer suction hole facing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a blocking member blocking a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over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Refrigerat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장실이 열전모듈에 의해 냉각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storage compartment is cooled by a thermoelectric module.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등을 차게 하거나 저온에서 보관하여 부패, 변질을 방지하는 장치이다.A refrigerator is a device that cools food or medicines or stores them at a low temperature to prevent spoilage and deterioration.

냉장고는 식품이나 약품 등이 저장되는 저장실과, 저장실을 냉각하는 냉각장치를 포함한다.The refrigerator includes a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food or medicine is stored, and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the storage compartment.

냉각장치의 일예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구,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An example of the cooling device may be composed of a refrigeration cycle devic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mechanism, and an evaporator.

냉각장치의 다른예는 서로 다른 금속을 결합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였을 때 서로 다른 금속의 양 단면에 온도 차가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 열전모듈(TEM: Thermoelectric Module)로 구성될 수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cooling device may be composed of a thermoelectric module (TEM) using a phenomenon in which a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in both end surfaces of different metals when different metals are combined and an electric current flows.

냉동사이클 장치는 열전모듈에 비해 효율이 높은 반면, 압축기의 구동시 소음이 큰 단점이 있다.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has higher efficiency than the thermoelectric module, but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mpressor is noisy when driving.

반면에, 열전모듈은 냉동사이클 장치에 비해 효율이 낮으나, 소음이 적은 장점이 있고, CPU 냉각장치, 차량의 온도조절시트, 소형 냉장고 등에 활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is less efficient than the refrigeration cycle device, but has the advantage of low noise, and can be used in a CPU cooling device, a vehicle temperature control seat, a small refrigerator, and the like.

KR 19970030644 U (1999.05.25. 공개)KR 19970030644 U (1999.05.25. published) KR 20080040112 A (2009.11.03. 공개)KR 20080040112 A (published on Nov. 3, 200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일 과제는, 방열팬에 의한 소음이 저감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reducing noise caused by a heat dissipation fa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방열 효율이 향상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고, 열전소자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상기 히트 싱크를 마주보게 배치된 방열팬;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방열팬을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흡입공이 형성된 방열커버; 및 상기 방열 커버와 상기 방열팬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단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thermoelectric module that cools the storage chamber and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fan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cov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se and having at least one outer suction hole facing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a blocking member blocking a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over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방열팬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t dissipation fan.

상기 방열팬은, 팬; 및 상기 팬의 둘레에 배치된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쉬라우드 및 방열커버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a fan; and a shroud disposed around the fan, wherein the block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contact each of the shroud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방열커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roud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상기 방열 커버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커버부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cover may include a cover part; and a suction grill mounted on the cover portion and having the outer suction hole formed therein, wherein the block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상기 흡입그릴은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된 메쉬이고, 상기 와이어의 두께는 1mm 이상 1.6mm 이하일 수 있다.The suction grill is a mesh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and the thickness of the wire may be 1 mm or more and 1.6 mm or less.

상기 커버부는, 후방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그릴이 장착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함몰부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cover part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rear and include a recessed part to which the suction grill is mounted, and the blocking member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recessed part.

상기 차단 부재는 다공성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may be made of a porous material.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복수개이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아우터 흡입공 간의 거리는 1mm 이상 1.5mm 이하일 수 있다.The outer suction hole may be plural, and a distance between a pair of outer suction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outer suction holes may be 1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복수개이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아우터 흡입공 간의 센터 간 거리는 7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The outer suction hole may be plural, and a center-to-center distance between a pair of outer suction holes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outer suction holes may be 7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복수개이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직경이 7mm 이상 8mm 이하인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고, 열전소자와 쿨링 싱크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상기 쿨링 싱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각팬; 상기 히트 싱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방열팬; 상기 방열팬을 마주보는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이 형성된 방열커버; 및 상기 방열 커버와 상기 방열팬 사이의 간극을 막으면서 상기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 상기 쿨링 싱크, 상기 히트 싱크, 상기 방열팬 및 상기 방열커버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방열커버의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차단부재가 형성하는 통로를 지난 후에 방열팬을 통과한다.
The outer suction hole may be plural, and the outer suction hole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7 mm or more and 8 mm or less.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cludes: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thermoelectric module for cooling the storage chamber,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 cooling sink, and a heat sink; a cooling fan disposed to face the cooling sink; a heat dissipation fan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cover having a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facing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a blocking member forming a passage for 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while blocking a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over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wherein the cooling fan, the cooling sink, the heat sink, and the heat dissipation A fan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are sequentially disposed, an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passe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an afte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formed by the blocking memb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부재가 방열팬과 방열커버 사이의 간극을 막아 재순환에 의한 유동교란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써 유동 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고, 히트 싱크의 방열 효율이 상승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ing member blocks the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to prevent flow disturbance due to recirculation, thereby reducing noise generated by flow disturbance, and Heat dissipation efficiency may be increased.

또한, 차단부재는 방열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blocking member ha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by the driving of the heat dissipation fan.

또한, 외기가 흡입되는 아우터 흡입공의 크기 및 형상을 각각 한정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방열팬에 닿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외기의 흡입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limit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outer suction hole through which the outside air is suck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ser's finger from touching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to reduce the generation of noise due to the suction of the outside ai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와 수납부재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 및 방열팬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열전모듈 및 방열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열전모듈 및 방열팬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 및 방열팬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열전모듈과 방열팬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1은 열전모듈과 방열팬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이 열전모듈 홀더에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이 이너 케이스 및 열전모듈 홀더에 장착된 경우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냉장고의 열전모듈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배면도이다.
도 20는 도 19에 도시된 흡입 그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 그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ri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n which the main body, the door, and the storage member are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rear surface of an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hermoelectric module and a heat dissipation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shown in FIG. 5 .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shown in FIG. 5 as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ermoelectric module and a heat dissipation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are fixed by fixing pins.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hermoelectric module and a heat dissipation fan are fixed by fixing pins.
12 is a front view of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hermoelectric module is mounted on a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thermoelectric module mounted on an inner case and a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eriphery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6 .
18 is a front view of a heat dissipa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rear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suction grill shown in FIG. 19 .
2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와 도어와 수납부재가 분리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본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너 케이스의 배면이 도시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rior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body, a door, and a storage member are separate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an inn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협탁 냉장고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협탁 냉장고는 음식물의 저장 기능 이외에도 협탁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흔히 부엌에 비치되는 일반 냉장고와 달리, 협탁 냉장고는 침실의 침대 옆에 비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협탁 냉장고의 높이는 침대의 높이와 유사함이 바람직하며, 일반 냉장고보다 높이가 낮고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다.Hereinafter,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the case of a side table refrigerator as an example. A side table refrigerator can serve as a side table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storing food. Unlike a regular refrigerator that is often provided in the kitchen, the side table refrigerator can be used next to the bed in the bedroom. Therefor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height of the side table refrigerator is preferably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bed, and the height of the side table refrigerator is lower than that of a general refrigerator and can be formed compactly.

다만,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종류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However,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t can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refrigerator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S)이 형성된 본체(1)와, 저장실(S)을 개폐하는 도어(2)와, 저장실(S)를 냉각하는 열전모듈(3)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ols the main body 1 in which the storage compartment S is formed, the door 2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S, and the storage compartment S. It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3).

본체(1)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의 높이는 협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400mm 이상 700mm 이하임이 바람직하다. 즉, 냉장고의 높이는 400mm 이상 700mm 이하일 수 있다.The body 1 may be formed in a box shape.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 is preferably 400 mm or more and 700 mm or less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a side table. That is, the height of the refrigerator may be 400 mm or more and 700 mm or less.

본체(1)의 상면은 수평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본체(1)의 상면을 협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may be horizontal, and the user may utiliz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 as a side table.

본체(1)는 복수개 부재의 결합체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ody 1 may b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members.

본체(1)는 이너 케이스(10), 캐비닛(12)(13)(14), 캐비닛 바텀(15), 드레인 파이프(16), 트레이(17)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는 피시비 커버(18) 및 방열 커버(8)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ody 1 may include an inner case 10 , cabinets 12 , 13 and 14 , a cabinet bottom 15 , a drain pipe 16 , and a tray 17 . The body 1 may further include a PCB cover 18 and a heat dissipation cover 8 .

이너 케이스(10)에는 저장실(S)이 마련될 수 있다. 저장실(S)은 이너 케이스(1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0)의 일면은 개방될 수 있고, 상기 개방된 일면은 도어(2)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너 케이스(10)의 전면이 개방될 수 있다.A storage compartment S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case 10 . The storage compartment S may be formed inside the inner case 10 . One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may be opened, and the opened surface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2 . Preferably,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may be opened.

이너 케이스(10)의 배면에는 열전모듈 장착부(10a)가 형성될 수 있다. 열전모듈 장착부(10a)는 이너 케이스(10)의 배면 중 일부가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열전모듈 장착부(10a)는 이너 케이스(10)의 저면보다 상면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A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protrudes backward.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ortion 10a may be formed closer to an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than to a bottom surface thereof.

열전모듈 장착부(10a)의 내부에는 쿨링 유로(S1, 도 16 참조)가 마련될 수 있다. 쿨링 유로(S1)는 열전모듈 장착부(10a)의 내부 공간이고, 저장실(S)과 연통될 수 있다. A cooling passage S1 (refer to FIG. 16 ) may be provided inside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The cooling passage S1 is an internal sp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chamber S.

또한, 열전모듈 장착부(10a)에는 열전모듈 장착홀(10b)이 형성될 수 있다. 열전모듈(3)의 후술하는 쿨링 싱크(32)는 그 적어도 일부가 쿨링 유로(S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Also, a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0b may be form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ortion 10a. At least a portion of the cooling sink 32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be disposed in the cooling passage S1 .

캐비닛(12)(13)(14)는 냉장고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The cabinets 12, 13, and 14 may constitute the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캐비닛(12)(13)(14)은 이너 케이스(10)의 외부를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12)(13)(14)은 이너 케이스(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캐비닛(12)(13)(14)과 이너 케이스(10)의 사이에는 발포재가 삽입될 수 있다.The cabinets 12 , 13 , and 14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inner case 10 . The cabinets 12 , 13 , and 14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se 10 , and a foam material may be inserted between the cabinets 12 , 13 , 14 and the inner case 10 .

캐비닛(12)(13)(14)는 복수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12)(13)(14)는 아우터 캐비닛(12), 탑 커버(13), 백 플레이트(14)를 포함할 수 있다.The cabinets 12, 13, and 14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The cabinets 12 , 13 , and 14 may include an outer cabinet 12 , a top cover 13 , and a back plate 14 .

아우터 캐비닛(12)은 이너 케이스(10)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아우터 캐비닛(12)은 이너 케이스(10)의 좌측, 우측 및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단, 아우터 캐비닛(12)과 이너 케이스(10)의 위치 관계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outer cabinet 1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inner case 10 . In more detail, the outer cabinet 12 may be located on the left, right, and lower sides of the inner case 10 . However,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outer cabinet 12 and the inner case 10 may be changed as needed.

아우터 캐비닛(12)은 이너 케이스(10)의 좌측면, 우측면 및 저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아우터 캐비닛(12)은 이너 케이스(10)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outer cabinet 12 may be disposed to cover a left side, a right sid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 The outer cabinet 1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se 10 .

아우터 캐비닛(12)은 냉장고의 좌측면, 우측면 및 저면을 구성할 수 있다.The outer cabinet 12 may constitute a left side, a right side, and a bottom side of the refrigerator.

아우터 캐비닛(12)는 복수개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우터 캐비닛(12)는 냉장고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와, 베이스의 좌측 상부에 배치된 좌측 커버와, 베이스의 우측 상부에 배치된 우측 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베이스와 좌측 커버와 우측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좌측판과 우측판이 스틸이나 알류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uter cabinet 12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members. The outer cabinet 12 may include a base that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refrigerator, a left cover disposed on the upper left side of the base, and a right cover disposed on the upper right side of the base. In this case,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base, the left cover, and the right cover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base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left and right plates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or aluminum.

아우터 캐비닛(12)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아우터 캐비닛(12)은 절곡되거나 밴딩된 하판과, 좌측판과, 우측판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우터 캐비닛(12)은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경우, 스틸이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cabinet 12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member, and in this case, the outer cabinet 12 may include a bent or bent lower plate, a left plate, and a right plate. When the outer cabinet 12 is composed of one member, it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such as steel or aluminum.

탑 커버(13)는 이너 케이스(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3)는 냉장고의 상면을 구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탑 커버(13)의 상면을 협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top cover 13 may be disposed above the inner case 10 . The top cover 13 may constitute an upper surface of the refrigerator. A user may utilize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cover 13 as a side table.

탑 커버(13)는 판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탑 커버(13)는 우드(wood)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냉장고의 외관이 보다 세련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우드 재질은 일반적인 협탁에 사용되므로, 사용자는 냉장고의 협탁 용도를 좀 더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다.The top cover 13 may be manufactured in a plate shape, and the top cover 13 may be formed of a wood material. Accordingly, the appearance of the refrigerator can be formed more stylishly. In addition, since the wood material is used for a general side table,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feel the use of the side table of the refrigerator.

탑 커버(13)는 이너 케이스(1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3)의 적어도 일부는 이너 케이스(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top cover 13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 At least a portion of the top cover 1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se 10 .

탑 커버(13)의 상면은 아우터 캐비닛(12)의 상단과 일치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탑 커버(13)의 좌우방향의 폭은 아우터 캐비닛(12)의 좌우방향 내부폭과 동일할 수 있다. 탑 커버(13)의 좌측면 및 우측면은 아우터 캐비닛(12)의 내면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top surface of the top cover 13 may be disposed to coincide with the top of the outer cabinet 12 . The left-right width of the top cover 13 may be the same as the left-right inner width of the outer cabinet 12 . Left and right sides of the top cover 13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binet 12 .

백 플레이트(14)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4)는 이너 케이스(10)의 후방이면서 탑 커버(13)의 하측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4)는 이너 케이스(10)의 배면을 전후 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back plate 14 may be vertically disposed. The back plate 14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10 and below the top cover 13 . The back plate 1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rea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in the front-rear direction.

백 플레이트(14)는 이너 케이스(1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14)는 이너 케이스(10)의 열전모듈 장착부(10a)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ack plate 14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inner case 10 . The back plate 14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ortion 10a of the inner case 10 .

백 플레이트(14)에는 관통공(14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4a)은 이너 케이스(10)의 열전모듈 장착홀(10b)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4a)의 크기는 이너 케이스(10)의 열전모듈 장착홀(10b)의 크기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14a may be formed in the back plate 14 . The through hole 14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0b of the inner case 10 .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4a may b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0b of the inner case 10 .

캐비닛 바텀(15)은 이너 케이스(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캐비닛 바텀(15)은 이너 케이스(10)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The cabinet bottom 15 may be positioned below the inner case 10 . The cabinet bottom 15 may support the inner case 10 from below.

캐비닛 바텀(15)은 이너 케이스(10)의 외측 저면과, 아우터 캐비닛(12)의 내측 저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캐비닛 바텀(15)는 이너 케이스(10)를 아우터 캐비닛(12)의 내측 저면과 이격시킬 수 있다. 캐비닛 바텀(15)은 아우터 캐비닛(12)의 내면과 함께 로어 방열 유로(92, 도 16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The cabinet bottom 15 may be disposed between an outer bottom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and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binet 12 . The cabinet bottom 15 may separate the inner case 10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abinet 12 . The cabinet bottom 15 may form a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refer to FIG. 16 ) together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abinet 12 .

드레인 파이프(16)는 저장실(S)과 연통될 수 있다. 드레인 파이프(16)은 이너 케이스(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고, 이너 케이스(10) 내에서 제상 등에 의해 발생한 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The drain pipe 16 may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chamber S. The drain pipe 16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case 10 , and may discharge water generated by defrosting or the like in the inner case 10 .

트레이(17)는 드레인 파이프(16)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고, 드레인 파이프(16)에서 낙하한 물을 수용할 수 있다. The tray 17 may be located below the drain pipe 16 , and may receive water that has fallen from the drain pipe 16 .

트레이(17)는 캐비닛 바텀(15)과 아우터 캐비닛(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17)는 후술할 로어 방열 유로(92, 도 16 참조)에 위치할 수 있고, 로어 방열 유로(92)로 안내된 고온의 공기에 의해 트레이(17)에 수용된 물이 증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트레이(17)의 물을 자주 비워주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The tray 1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binet bottom 15 and the outer cabinet 12 . The tray 17 may be located in a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refer to FIG. 16 ) to be described later, and water contained in the tray 17 may be evaporated by the high-temperature air guided to the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 Due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water of the tray 17 does not need to be emptied frequently.

방열 커버(8)는 백 플레이트(14)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백 플레이트(14)를 전후방향으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방열 커버(8)는 백 플레이트(14)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be disposed behind the back plate 14 ,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back plate 14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ack plate 14 .

방열 커버(8)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be vertically disposed.

방열 커버(8)의 상단은 탑 커버(13)와 이격될 수 있다. 즉, 방열 커버(8)의 높이는 아우터 캐비닛(12)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할 피시비 커버(18)는 본체(1)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top cover 13 . That is, the height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outer cabinet 12 . In this case, the PCB cover 18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expos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 .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열 커버(8)의 상단이 탑 커버(13)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피시비 커버(18)가 방열 커버(8)의 전방에 위치하여 본체(1)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end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top cover 13 . In this case, the PCB cover 18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and may not be expos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 .

방열 커버(8)는 커버부(81)와, 커버부(81)에 장착되는 흡입그릴(8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81)와 흡입그릴(82)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별개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include a cover part 81 and a suction grill 82 mounted on the cover part 81 . The cover part 81 and the suction grill 82 may be integrally formed, or may be formed as separate members from each other.

방열 커버(8)에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흡입공(83)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outer suction hole 83 may be formed in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흡입그릴(82)에는 복수개의 아우터 흡입공(8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흡입공(83)은 방열팬을 마주볼 수 있고, 방열팬(5)의 구동 시, 외부 공기는 아우터 흡입공(83)을 통해 방열팬(5)으로 흡입될 수 있다.A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83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grill 82 .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face the heat radiation fan, and when the heat radiation fan 5 is driven, external air may be sucked into the heat radiation fan 5 through the outer suction hole 83 .

아우터 흡입공(83)의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ize and shape of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be changed as needed.

흡입그릴(82)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방열팬(5)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핑거가드일 수 있다. 아우터 흡입공(83)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들어가지 않을 정도의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suction grill 82 may be a finger guard that prevents the user's fingers from approaching the heat dissipation fan 5 .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suction hole 83 is formed to a size such that a user's finger does not enter.

커버부(81)에는 커버 관통공(81a)이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관통공(81a)은 방열팬(5)을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A cover through hole 81a may be formed in the cover part 81 . The cover through hole 81a may be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heat dissipation fan 5 .

커버 관통공(81a)은 흡입 그릴(82)와 방열팬(5)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우터 흡입공(83)을 통해 흡입된 공기는 커버 관통공(81a)을 통과하여 방열팬(5)으로 흡입될 수 있다.The cover through hole 81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uction grill 82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 Air sucked through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be sucked into the heat dissipation fan 5 through the cover through hole 81a.

흡입 그릴(82)는 커버 관통공(81)을 커버할 수 있다. The suction grill 82 may cover the cover through hole 81 .

흡입 그릴(82)는 방열팬을 마주볼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흡입 그릴(82)의 전면은 전후 방향에 대해 방열 팬(5)을 마주볼 수 있다.The suction grill 82 may face the heat dissipation fan. In more detail, the front surface of the suction grill 82 may face the heat dissipation fan 5 with respect to the front-rear direction.

흡입 그릴(82)는 방열팬(5)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흡입 그릴(82)과 방열팬(5) 사이의 이격거리는 흡입 그릴(82)의 전방 최대 탄성변형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흡입그릴(82)을 손으로 눌러도 흡입 그릴(82)이 방열팬(5)에 닿지 않을 수 있다.The suction grill 8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dissipation fan 5 .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grill 82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longer than the front maximum elastic deformation length of the suction grill 82 .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suction grill 82 by hand, the suction grill 82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fan 5 .

커버부(81)에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함몰부(84)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84)는 커버부(81)의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A recessed portion 84 formed by being recessed backward may be formed in the cover portion 81 . The recessed part 84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cover part 81 backward.

커버 관통공(81a)는 함몰부(84)에 형성될 수 있고, 흡입 그릴(82)은 함몰부(84)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부(81)에 함몰부(84)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비교했을 때, 흡입 그릴(82)과 방열팬(5) 간의 거리가 멀어질 수 있어, 냉장고의 전후방향 길이를 늘리지 않고도 흡입 그릴(82)과 방열팬(5) 사이에 요구되는 이격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ver through hole 81a may be formed in the depression 84 , and the suction grill 82 may be mounted in the depression 84 .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recessed part 84 is not formed in the cover part 81 , the distance between the suction grill 82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can be increased, so that the suction grille does not increase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refrigerato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secure the requir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82)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방열 커버(8)는 백 플레이트(14)와 함께 리어 방열유로(91, 도 16 참조)를 형성할 수 있다. 리어 방열유로(91)는 방열 커버(8)의 전면과 백 플레이트(14)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리어 방열유로(91)는 커버부(81)의 전면과 백 플레이트(14)의 배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form a rear heat dissipation passage 91 (refer to FIG. 16 ) together with the back plate 14 .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and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14 . In more detail,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part 81 and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14 .

방열팬(5)의 구동 시, 냉장고 외부의 공기는 아우터 흡입공(83)를 통해 방열팬(5)으로 흡입될 수 있다. 아우터 흡입공(83)로 흡입된 공기는 히트 싱크(33)에서 열교환되어 가열될 수 있고, 리어 방열유로(91)로 안내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Wh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is driven, air outside the refrigerator may be sucked into the heat dissipation fan 5 through the outer suction hole 83 . The air sucked into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be heated by heat exchange in the heat sink 33 , and may be guided to the rear heat dissipation passage 91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방열팬(5)과 방열커버(8) 사이의 간극(86, 도 17 참조)을 막는 차단부재(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locking member 85 for blocking a gap 86 (refer to FIG. 17 )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차단부재(85)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람하게는, 차단 부재(85)는 사각형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차단부재(85)는 복수개의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have a ring shape. Preferably, the blocking member 85 may have a rectangular annular shape.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members.

차단부재(85)는 다공성 재질(porous material)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의 재질은 에틸렌 프로필렌(EPDM: Ethylene propylene)일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have a porous material. 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blocking member may be ethylene propylene (EPDM: Ethylene propylene).

다공성 재질을 갖는 차단부재(85)는 흡음 및 흡진 성능이 뛰어나므로, 방열팬의 구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Since the blocking member 85 having a porous material has excellent sound absorption and absorption performanc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duc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an.

차단부재(85)는 방열커버(8)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85)는 방열커버(8)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85)가 커버 관통공(81a)의 내둘레에 접하도록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blocking member 85 is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cover through hole (81a).

차단부재(85)는 커버부(81) 및/또는 흡입그릴(8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있다. 차단부재(85)가 커버부(81)에 접하는 경우, 차단부재(85)는 함몰부(84)에 접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ver part 81 and/or the suction grill 82 . When the blocking member 85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81 , the blocking member 85 may contact the recessed portion 84 .

차단부재(85)는 방열팬(5)과 방열커버(8) 사이의 간극(86, 도 17 참조)을 막을 수 있다. 이로써 열전모듈(3)의 히트 싱크(33)에서 가열된 공기가 방열팬(5)과 방열커버(8) 사이의 간극(86)으로 유동되어 방열팬(5)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부재(85)는, 상기 방열커버(8)의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83)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열커버(8)의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83)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차단부재(85)가 형성하는 통로를 지난 후에 방열팬(5)을 통과할 수 있다. The blocking member 85 may block the gap 86 (refer to FIG. 17 )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air heated by the heat sink 33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from flowing into the gap 86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and sucked into the heat dissipation fan 5 . . The blocking member 85 may form a passage for 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83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Accordingly,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83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pas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an 5 after passing through the passage formed by the blocking member 85 .

한편, 도어(2)는 저장실(S)을 개폐할 수 있다. 도어(2)는 본체(1)와 결합될 수 있으며, 그 결합 방식 및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어(2)는 경첩에 의해 개폐 가능한 단일의 일방향 도어 또는 복수개의 양방향 도어일 수 있다. 이하, 도어(2)는 본체(1)에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서랍형 도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door 2 can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S). The door 2 may be coupled to the body 1 , and the coupling method and number thereof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door 2 may be a single one-way door or a plurality of two-way doors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hinge.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door 2 is a drawer-type door that is slidably connect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1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어(2)는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도어(2)는 이너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커버할 수 있고, 이로써 저장실(S)을 개폐할 수 있다.The door 2 may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 . The door 2 may cover the open front of the inner case 10 , thereby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S.

도어(2)는 우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door 2 may be formed of a wood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어(2)의 상하방향 높이는 아우터 캐비닛(1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도어(2)의 하단부는 아우터 캐비닛(12)의 내측 저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height of the door 2 may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outer cabinet 12 . The lower end of the door 2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outer cabinet 12 .

도어(2)의 하단과 아우터 캐비닛(12)의 하단 사이에는 로어 방열유로(92, 도 16 참조)와 연통되는 방열유로 출구(90)가 형성될 수 있다.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oor 2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cabinet 12 , a heat dissipation passage outlet 90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heat dissipation passage 92 (refer to FIG. 16 ) may be formed.

도어(2)는 본체(1)와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어(2)에는 한쌍의 슬라이딩 부재(20)가 구비될 수 있고, 슬라이딩 부재(20)는 저장실(S)에 구비된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19)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2)는 이너 케이스(10)의 개방된 전면을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며 전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The door 2 may be coupled to the body 1 in a sliding manner. A pair of sliding members 20 may be provided in the door 2 , and the sliding members 20 may be slidably fastened to a pair of sliding rails 19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S to be slidable. Accordingly, the door 2 can be slid back and forth while maintaining a state facing the open front of the inner case 10 .

슬라이딩 레일(19)은 이너 케이스(10)의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에 구비될 수 있다. 슬라이딩 레일(19)은 이너 케이스(10)의 상면보다 저면에 가까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The sliding rail 19 may be provided on the left inner surface and the right inner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 The sliding rail 19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bottom surface than the top surface of the inner case 10 .

사용자는 도어(1)를 당김으로써 저장실(S)을 열 수 있고, 도어(2)를 밀어 넣어 저장실(S)을 닫을 수 있다.The user may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S by pulling the door 1 and may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S by pushing the door 2 .

한편, 냉장고는 저장실(S)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납부재(6)(7)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t least one accommodating member (6) (7)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S).

수납부재(6)(7)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수납부재(6)(7)는 선반이나 드로워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수납부재(6)(7)가 드로워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types of the housing members 6 and 7 are not limited. For example, the receiving members 6 and 7 may be shelves or drawers. 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housing members 6 and 7 are drawers.

수납부재(6)(7)에는 음식물이 놓여지거나 수납될 수 있다. Food can be placed o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members 6 and 7 .

각 수납부재(6)(7)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케이스(10)의 좌측 내면 및 우측 내면에는 수납부재(6)(7)의 개수와 대응되는 적어도 한 쌍의 수납부재 레일이 구비될 수 있고, 각 수납부재(6)(7)는 상기 수납부재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Each of the housing members 6 and 7 may be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least one pair of accommodating member rail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accommodating members 6 and 7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inner surfaces of the inner case 10, and each accommodating member 6 and 7 is It may be slidably fastened to the member rail.

수납부재(6)(7)는 도어(2)와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부재(6)(7)는 도어(2)와 마그넷(magnet)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도어(2)를 잡아당겨 저장실(S)을 오픈하면, 수납부재(6)(7)는 도어(2)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수납부재(6)(7)가 도어(2)와 함께 이동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이동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ousing members 6 and 7 may be configured to move together with the door 2 . For example, the housing members 6 and 7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door 2 by a magnet. In this case, when the user pulls the door 2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S, the accommodating members 6 and 7 may move forward along the door 2 .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housing members 6 and 7 are configured to move independently without moving together with the door 2 .

수납부재(6)(7)는 저장실(S)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torage members 6 and 7 may be horizontally disposed in the storage chamber S.

수납부재(6)(7)의 상면은 개방될 수 있고, 음식물은 수납부재(6)(7)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s of the accommodating members 6 and 7 may be opened, and food may be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members 6 and 7 .

수납부재(6)(7)는 제1수납부재(6)와 제2수납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수납부재(6)는 제2수납부재(7)보다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members 6 and 7 may include a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and a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

제1수납부재(6)와 제2수납부재(7)의 전후방향 길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제1수납부재(6)와 제2수납부재(7)의 상하방향 높이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The length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한편, 열전모듈(3)은 저장실(S)을 냉각시킬 수 있다. 열전 모듈(3)은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저장실(S)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cool the storage chamber (S). 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utilize the Peltier effec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S low.

열전모듈(3)은 방열커버(8)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열전모듈(3)은 열전소자(31, 도 6 참조)와, 쿨링 싱크(32, 도 6 참조)와, 히트 싱크(33, 도 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include a thermoelectric element 31 (refer to FIG. 6 ), a cooling sink 32 (refer to FIG. 6 ), and a heat sink 33 (refer to FIG. 6 ).

열전소자(31)는 저온부와 고온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온부와 고온부는 열전소자(31)에 인가되는 전압의 방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31)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저온부와 고온부의 온도차가 결정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include a low temperature part and a high temperature part, and the low temperature part and the high temperature par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direction of a voltag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lso, a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low-temperature portion and the high-temperature portion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열전소자(31)는 쿨링 싱크(32)와 히트 싱크(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쿨링 싱크(32)와 히트 싱크(33) 각각과 접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sink 32 and the heat sink 33 , and may contact the cooling sink 32 and the heat sink 33 , respectively.

열전소자(31)의 저온부는 쿨링 싱크(32)와 접할 수 있고, 열전소자(31)의고온부는 히트 싱크(33)와 접할 수 있다.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contact the cooling sink 32 , and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contact the heat sink 33 .

열전모듈(3)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서는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한편, 냉장고는 공기를 열전모듈(3)의 쿨링 싱크(32)와 저장실(S)로 순환시키는 냉각팬(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장고는 외부의 공기를 열전모듈(3)의 히트 싱크(33)으로 유동시키는 방열팬(5)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cooling fan 4 for circulating air to the cooling sink 32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and the storage compartment S. 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fan 5 for flowing external air to the heat sink 33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냉각팬(4)는 열전모듈(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방열팬(5)은 열전모듈(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4)은 전후방향으로 쿨링 싱크(32)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방열팬(5)은 전후방향으로 히트 싱크(33)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oling fan 4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in the rear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The cooling fan 4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ooling sink 32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33 in the front-rear direction.

냉각팬(4)은 이너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냉각팬(4)은 저장실(S)의 공기를 쿨링 유로(S1, 도 16 참조)로 유동시킬 수 있고, 쿨링 유로(S1)에 배치된 쿨링 싱크(32)와 열교환된 저온의 공기는 다시 저장실(S)로 유동되어 저장실(S) 내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The cooling fan 4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case 10 . The cooling fan 4 may flow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S to the cooling passage S1 (refer to FIG. 16 ), and the low-temperature air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sink 32 disposed in the cooling passage S1 is returned to the storage chamber It flows to (S) to keep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chamber (S) low.

방열팬(5)은 외부의 공기를 방열커버(8)에 형성된 아우터 흡입공(83)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방열팬(5)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그릴(82)에 형성된 아우터 흡입공(83)를 통해 흡입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suck in external air through the outer suction hole 83 formed in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In more detail,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suck in external air through the outer suction hole 83 formed in the suction grill 82 .

방열팬(5)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백 플레이트(14)와 방열 커버(8) 사이에 위치한 히트 싱크(33)와 열교환되며 히트 싱크(33)를 방열할 수 있다. 히트 싱크(33)와 열교환된 고온의 공기는 리어 방열 유로(91, 도 16 참조)와 로어 방열 유로(92, 도 16 참조)로 차례로 안내되어 도어(2)의 하측에 위치한 방열유로 출구(90)로 취출될 수 있다.The air sucked in by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exchange heat with the heat sink 33 located between the back plate 14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to radiate heat from the heat sink 33 . The high-temperature air heat-exchanged with the heat sink 33 is sequentially guided to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refer to FIG. 16) and the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refer to FIG. 16), and the heat dissipation flow path outlet 90 located below the door 2 ) can be extracted.

방열팬(5)은 흡입 그릴(82)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팬(5)은 아우터 흡입공(83)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uction grill 82 .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er suction hole 83 .

냉각팬(4) 및 방열팬(5)의 상세한 구성은 이후 자세히 설명한다.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cooling fan 4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 및 방열팬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열전모듈 및 방열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열전모듈 및 방열팬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 및 방열팬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핀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열전모듈과 방열팬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11은 열전모듈과 방열팬이 고정핀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이 열전모듈 홀더에 장착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전모듈이 이너 케이스 및 열전모듈 홀더에 장착된 경우의 절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shown in FIG. 5 , and FIG. 7 is the thermoelectric module shown in FIG. 5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heat dissipation fan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ermoelectric module and a heat dissipation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p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side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are fixed by the fixing pins, FIG. 11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are fixed by the fixing pins, and FIG. 12 is It is a front view of a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and FIG. 1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when the thermoelectric module according to the example is mounted on the inner case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이하, 도 5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열전모듈(3) 및 방열팬(5)의 상세한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Hereinafter, detailed configurations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4 .

열전 모듈(3)은 펠티에 효과를 활용하여 저장실(S)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열전모듈(3)은 열전소자(31)와, 쿨링 싱크(32)와, 히트 싱크(33)을 포함한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utilize the Peltier effect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S low. The thermoelectric module 3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31 , a cooling sink 32 , and a heat sink 33 .

열전소자(31)는 쿨링 싱크(32)와 히트 싱크(3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쿨링 싱크(32)와 히트 싱크(33) 각각과 접할 수 있다. 열전소자(31)의 저온부는 쿨링 싱크(32)와 접할 수 있고, 열전소자(32)의 고온부는 히트 싱크(33)와 접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oling sink 32 and the heat sink 33 , and may contact the cooling sink 32 and the heat sink 33 , respectively. 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contact the cooling sink 32 , and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2 may contact the heat sink 33 .

열전소자(31)에는 퓨즈(35)가 구비될 수 있고, 열전소자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퓨즈(35)는 열전소자(31)에 인가되는 전압을 차단시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include a fuse 35 , and when an overvoltage is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fuse 35 may block the voltage applied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쿨링싱크(32)는 열전소자(31)의 저온부에 연결된 냉각 열교환기일 수 있고, 저장실(S)을 냉각할 수 있다. 그리고, 히트싱크(33)는 열전소자(31)의 고온부에 연결된 가열 열교환기일 수 있고, 쿨링싱크(33)에서 흡열한 열을 방열할 수 있다. The cooling sink 32 may be a cooling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low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nd may cool the storage chamber S. In addition, the heat sink 33 may be a heating heat exchanger connected to the high temperature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nd may radiate heat absorbed by the cooling sink 33 .

열전모듈(3)은 방열커버(8)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쿨링싱크(32)는 히트 싱크(33) 보다 이너 케이스(1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쿨링 싱크(32)는 열전소자(31)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쿨링 싱크(32)는 열전소자(31)의 저온부와 접하여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The cooling sink 32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inner case 10 than the heat sink 33 . The cooling sink 32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The cooling sink 32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to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그리고, 히트싱크(33)는 쿨링싱크(32) 보다 후술하는 방열 커버(8)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33)는 열전소자(31)의 고온부와 접하여 고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 히트 싱크(33)는 후술하는 제어부(18a) 아래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sink 33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to be described later than the cooling sink 32 . The heat sink 33 may be in contact with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to be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The heat sink 33 may be disposed below the control unit 18a to be described later.

열전모듈(3)은 열전소자(31)와 쿨링 싱크(32) 및 히트 싱크(33) 중 어느 하나가 관통공(14a)에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열전모듈(3)은 히트 싱크(33)가 관통공(14a)에 관통되게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열전소자(31) 및 쿨링 싱크(32)는 관통공(14a)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히트 싱크(33)는 일부가 관통공(14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any on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the cooling sink 32 , and the heat sink 33 may be dispos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4a. 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heat sink 33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4a. In this case,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nd the cooling sink 32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through hole 14a, and a portion of the heat sink 33 may be located in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14a.

쿨링 싱크(32)는 쿨링 플레이트(32a)와, 쿨링 핀(32b)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oling sink 32 may include a cooling plate 32a and a cooling fin 32b.

쿨링 플레이트(32a)는 열전소자(31)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쿨링 플레이트(32a)의 일부는 단열부재(37)에 형성된 전열소자 수용홀로 삽입되어 열전소자(31)와 접할 수 있다. 쿨링 플레이트(32a)는 쿨링 핀(32b)과 열전소자(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쿨링 플레이트(32a)는 열전소자(31)의 저온부와 접하여 쿨링 핀(32b)의 열을 열전소자(31)의 저온부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oling plate 32a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 portion of the cooling plate 32a may be inserted into the heat transfer element accommodating hol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to contact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The cooling plate 32a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oling fins 32b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nd the cooling plate 32a is in contact with the low-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to transfer heat from the cooling fins 32b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 31) can be transferred to the low-temperature part.

쿨링 플레이트(32a)는 열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쿨링 플레이트(32a)는 이너 케이스(10)의 열전모듈 장착홀(10b)에 위치할 수 있다. The cooling plate 32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The cooling plate 32a may be locat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0b of the inner case 10 .

쿨링 싱크(32)는 이너 케이스(10)의 열전모듈 장착홀(10b)을 막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쿨링 플레이트(32a)는 이너 케이스(10)의 열전모듈 장착홀(10b)을 막을 수 있다.The cooling sink 32 may be disposed to block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0b of the inner case 10 . Preferably, the cooling plate 32a may block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0b of the inner case 10 .

쿨링 핀(32b)은 쿨링 플레이트(32a)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쿨링 핀(32b)은 쿨링 플레이트(32a)의 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oling fins 32b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cooling plate 32a. The cooling fins 32b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surface of the cooling plate 32a.

쿨링 핀(32b)은 쿨링 플레이트(32a)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쿨링 핀(32b)은 그 적어도 일부가 열전모듈 장착부(10a) 내의 쿨링 유로(S1)에 위치할 수 있고, 쿨링 유로(S1) 내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The cooling fins 32b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cooling plate 32a. At least a part of the cooling fins 32b may be located in the cooling passage S1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and may heat exchange with air in the cooling passage S1 to cool the air.

쿨링 핀(32b)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을 늘리기 위해 복수개의 핀(fin)을 가질 수 있다. 쿨링 핀(32b)은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다. 쿨링 핀(33b)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핀(fin) 각각은 좌측면과 우측면을 갖고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수직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oling fin 32b may have a plurality of fins to increase the heat exchange area with air. The cooling fins 32b may be formed to guide air in a vertical direc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fins constituting the cooling fins 33b may be configured as a vertical plate having a left side and a right side and disposed long in a vertical direction.

쿨링 핀(32b)은 냉각팬(4)의 팬(42)과 열전소자(31)의 사이에 위치되게 배치될 수 있고, 냉각팬(4)의 팬(42)에서 송풍된 공기를 어퍼 토출공(45)과 로어 토출공(46)으로 안내할 수 있다. 냉각팬(4)의 팬(42)에서 송풍된 공기는 쿨링 핀(32b)에 안내되어 상, 하로 분산될 수 있다.The cooling fins 32b may be dispos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an 42 of the cooling fan 4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nd the air blown from the fan 42 of the cooling fan 4 is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hole. (45) and the lower discharge hole (46) can be guided. The air blown by the fan 42 of the cooling fan 4 may be guided to the cooling fins 32b and dispersed up and down.

히트 싱크(33)는 방열 플레이트(33a)와, 방열 파이프(33b)와, 방열 핀(33c)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sink 33 may include a heat dissipation plate 33a, a heat dissipation pipe 33b, and a heat dissipation fin 33c.

방열 플레이트(33a)는 열전소자(31)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33a)의 일부는 단열부재(37)에 형성된 소자 장착홀로 삽입되어 열전소자(31)와 접할 수 있다. 방열 플레이트(33a)는 열전소자(31)의 고온부와 접하여 열을 방열 파이프(33b) 및 방열 핀(33c)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may be disposed to contact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may be inserted into the devic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to contact the thermoelectric device 31 .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may be in contact with the high temperature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to conduct heat to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and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방열 플레이트(33a)는 열전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방열 플레이트(33a)과 방열 핀(33c) 중 적어도 하나는 백 플레이트(14)의 관통공(14a)에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one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and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4a of the back plate 14 .

방열 파이프(33b)는 전열 유체가 내장된 히트 파이프(heat pipe)일 수 있다. 방열 파이프(33b)의 일부는 방열 플레이트(33a)를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방열 핀(33c)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may be a heat pipe in which a heat transfer fluid is embedded. A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may be dispos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and another portion may be disposed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방열 파이프(33b) 중 방열 플레이트(33a)에 접하는 부분에서는 방열 파이프(33b) 내부의 전열 유체가 증발될 수 있고, 방열 핀(33c)에 접하는 부분에서는 전열 유체가 응축될 수 있다. 전열 유체는 밀도차 및/또는 중력에 의해 방열 파이프(33b) 내를 순환하며 방열 플레이트(33a)의 열을 방열 핀(33c)으로 전도시킬 수 있다.In a portion of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in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the heat transfer fluid inside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may be evaporated, an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the heat transfer fluid may be condensed. The heat transfer fluid circulates in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due to a density difference and/or gravity, and may conduct heat from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to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방열 핀(33c)은 방열 플레이트(33a)과 방열 파이프(33b)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되는 것이 가능하고, 방열 플레이트(33a)와 이격되되 방열 파이프(33b)를 통해 방열 플레이트(33a)에 연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방열 핀(33a)이 방열 플레이트(33a)와 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방열 파이프(33b)는 생략될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is capable of being in contact with at least one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and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and is connected to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It is also possible When the heat dissipation fins 33a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may be omitted.

방열 핀(33c)은 방열 파이프(33b)에 수직하게 배치된 복수개의 핀(fin)을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in 33c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ns vertically disposed on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방열 핀(33c)은 방열팬(5)에서 송풍된 공기를 안내할 수 있고, 방열 핀(33c)의 공기 안내방향은 쿨링 핀(32b)의 공기 안내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쿨링 핀(32b)이 상하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경우, 방열 핀(33c)은 공기를 좌우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guide the air blown by the heat dissipation fan 5 , and the air guide dire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be different from the air guide direction of the cooling fins 32b . For example, when the cooling fins 32b guide ai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guide the ai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방열 핀(33c)는 공기를 수평방향(특히,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중 좌우방향)으로 안내하게 형성될 수 있고, 방열핀(33c)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핀(fin) 각각은 상면과 하면을 갖고 수평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be formed to guide air in a horizontal direction (especially,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mo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ins constituting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It is preferable to consist of horizontal plates arranged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방열 핀(33c)이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방열 핀(33c)에 안내된 공기 중 제어부(18a)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가 많을 수 있다. 반면에, 상기와 같이 방열 핀(33c)이 수평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경우, 방열 핀(33c)에 안내된 공기 중 제어부(18a)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는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are formed to be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may be a large amount of air flowing toward the control unit 18a among the air guided by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On the other hand, when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are formed to be lo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ir flowing toward the control unit 18a among the air guided by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be minimized.

방열 플레이트(33a)는 방열 핀(33c)과 열전소자(31)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방열 핀(33c)은 방열 플레이트(33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may be locat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nd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heat dissipation plate 33a.

방열 핀(33c)은 백 플레이트(14)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방열 핀(33c)은 백 플레이트(14)와 방열 커버(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방열 팬(5)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어 방열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back plate 14 .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ck plate 14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and may be heat-exchanged with external air sucked by the heat dissipation fan 5 to radiate heat.

열전모듈(3)은 모듈 프레임(34)과 단열부재(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further include a module frame 34 and a heat insulating member 37 .

모듈 프레임(34)은 박스 형상일 수 있다. 모듈 프레임(34)은 내부에 단열부재(37) 및 열전소자(31)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모듈 프레임(34) 및 단열부재(37)는 열전소자(31)를 보호할 수 있다.The module frame 34 may have a box shape. The module frame 34 may have a space in which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are accommodated therein. The module frame 34 and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may protect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모듈 프레임(34)는 열전도로 인한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듈 프레임(34)은 플라스틱 등의 비금속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모듈 프레임(34)은 히트 싱크(33)의 열이 쿨링 싱크(32)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module frame 3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minimizing heat loss due to heat conduction. For example, the module frame 34 may have a non-metal material such as plastic. The module frame 34 may prevent heat from the heat sink 33 from being conducted to the cooling sink 32 .

모듈 프레임(34)의 전면에는 가스켓(36)가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36)은 고무 등과 같은 탄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가스켓(36)는 사각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스켓(36)은 실링부재일 수 있다.A gasket 36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dule frame 34 . The gasket 36 may have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The gasket 36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ring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gasket 36 may be a sealing member.

가스켓(36)는 열전모듈 장착부(10a)의 배면 및/또는 열전모듈 장착홀(10b)의 둘레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스켓(36)은 모듈 프레임(34)과 열전모듈 장착부(10a) 사이에 배치되어 전후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다.The gasket 36 may be dispos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ack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and/or the periphery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0b. The gasket 3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odule frame 34 and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ortion 10a and compres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가스켓(36)는 열전모듈 장착부(10a)내 쿨링유로(S1)의 차가운 공기가 열전모듈 장착홀(11b)과 쿨링 싱크(32) 사이의 틈새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gasket 36 may prevent the cool air of the cooling passage S1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ortion 10a from leaking into a gap between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hole 11b and the cooling sink 32 .

모듈 프레임(34)에는 체결부(34a)가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34)는 모듈 프레임(34)의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34)는 모듈 프레임(34)의 좌면과 우면에서 각각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module frame 34 may be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34a. The fastening part 34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module frame 34 . The fastening part 34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ly from the left and right surfaces of the module frame 34 , respectively.

체결부(34a)는 보스(34b)를 포함할 수 있다. 보스(34b)의 내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볼트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이너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이너 케이스(10)에 형성된 체결홀(10c)을 관통하여 모듈 프레임(34)의 체결부(34a)에 결합될 수 있고, 좀 더 상세하게는 체결부(34a)의 보스(34b)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열전모듈(3)과 이너 케이스(10)가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이너 케이스(10) 내의 차가운 공기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astening part 34a may include a boss 34b. A thread may be formed inside the boss 34b, and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bolt may be fastened thereto. The fasten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ortion 34a of the module frame 34 through a fastening hole 10c formed in the inner case 10 inside the inner case 10 , and in more detail, the fastening member may be coupled to the fastening part 34a of the module frame 34 . It may be coupled to the boss 34b of the portion 34a. As a result, the thermoelectric module 3 and the inner case 10 can be securely fastened, and the cold air in the inner case 10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단열부재(37)는 열전소자(31)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단열부재(37)는 열전소자(31)의 상면과 좌측면과 하면과 우측면을 감싸게 배치될 수 있다. 열전소자(31)는 단열부재(37)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단열부재(37)에는 전후방향에 대해 개방된 열전소자 수용홀이 마련될 수 있고, 열전소자(31)는 열전소자 수용홀 내에 위치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the left surface, the lower surface, and the right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be located in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may be provided with a thermoelectric element accommodating hole open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be locat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ccommodating hole.

단열부재(37)의 전후방향 두께는 열전소자(31)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in the front-rear direction may be thick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단열부재(37)는 열전소자(31)에서 열이 열전소자(31)의 둘레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전소자(31)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열전소자(31)의 둘레는 단열부재(37)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히트 싱크(33)에서 발상된 열이 쿨링 싱크(32)로 열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may prevent heat from being conducted to the peripher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That is, the peripher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may be surrounded by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 and transfer of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ink 33 to the cooling sink 32 may be minimized.

단열부재(37)는 열전소자(31)와 함께 모듈 프레임(34)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모듈 프레임(34)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모듈 프레임(34)은 단열부재(37)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may be disposed inside the module frame 34 together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31 , and may be protected by the module frame 34 . The module frame 34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heat insulating member 37 .

냉장고는 열전모듈(3)을 이너 케이스(10) 및/또는 백 플레이트(14)에 고정시키는 열전모듈 홀더(11, 도 3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frigerator may further include a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11 (refer to FIG. 3 ) for fixing the thermoelectric module 3 to the inner case 10 and/or the back plate 14 .

열전모듈 홀더(11)은 열전모듈(3)을 이너 케이스(10) 및/또는 백 플레이트(14)와 결합시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11 may couple the thermoelectric module 3 to the inner case 10 and/or the back plate 14 .

열전모듈 홀더(11)은 이너 케이스(10)의 열전모듈 장착부(10a) 및/또는 백 플레이트(14)와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11 may be coupled to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ortion 10a and/or the back plate 14 of the inner case 10 by a fastening member (not shown) such as a screw.

열전모듈 홀더(11)는 열전모듈(3)과 함께 백 플레이트(14)의 관통공(14a)를 막을 수 있다. The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11 may block the through hole 14a of the back plate 14 together with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열전모듈 홀더(11)에는 중공부(11a)가 구비될 수 있다. 중공부(11a)는 열전모듈 홀더(11)의 일부가 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A hollow part 11a may be provided in the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11 . The hollow portion 11a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holder 11 protrudes forward.

모듈 프레임(34)는 중공부(11a)에 삽입되어 끼워질 수 있고, 중공부(11a)는 모듈 프레임(34)의 둘레를 감쌀 수 있다. The module frame 34 may be inserted and fitted into the hollow portion 11a , and the hollow portion 11a may wrap around the module frame 34 .

열전모듈(3)의 전방부는 백 플레이트(14)의 관통공(14a)의 전방에 위치하고, 열전모듈(3)의 후방부는 백 플레이트(14)의 관통공(14a)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The front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through hole 14a of the back plate 14 , and the rea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be located in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14a of the back plate 14 . .

열전모듈(3)은 센서(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39)는 쿨링 싱크(32)에 배치될 수 있다. 센서(39)는 온도센서나 제상센서일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module 3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39 . The sensor 39 may be disposed on the cooling sink 32 . The sensor 39 may be a temperature sensor or a defrost sensor.

한편, 방열팬(5)은 열전모듈(3)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팬(5)은 히트 싱크(33)의 후방에 히트 싱크(33)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고, 외부 공기를 히트 싱크(33)로 송풍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33 at the rear of the heat sink 33 , and may blow external air to the heat sink 33 .

방열팬(5)은 흡입 그릴(82)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방열팬(5)는 아우터 흡입공(83)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uction grill 82 .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to face the outer suction hole 83 .

방열팬(5)은 팬(52)과, 팬(52)의 둘레에 배치된 쉬라우드(51)를 포함할 수 있다. 방열팬(5)의 팬(52)은 축류형 팬일 수 있다.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include a fan 52 and a shroud 51 disposed around the fan 52 . The fan 52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an axial fan.

방열팬(5)는 히트 싱크(33)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방열팬(5)에 의해 송풍된 공기의 유동 저항이 최소화되고, 히트 싱크(33)에서의 열교환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sink 33 . Accordingly, the flow resistance of the air blown by the heat dissipation fan 5 is minimized, and heat exchange efficiency in the heat sink 33 can be increased.

방열팬(5)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핀(53)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핀(53)은 히트 싱크(33)와 접할 수 있고, 방열팬(5)을 히트 싱크(33)로부터 이격시킴과 동시에 히트 싱크(33)에 고정시킬 수 있다. At least one fixing pin 53 may be provided in the heat dissipation fan 5 . The fixing pins 53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33 ,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heat sink 33 and fixed to the heat sink 33 at the same time.

고정핀(53)은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xing pin 53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low thermal conductivity, such as rubber or silicone.

고정핀(53)은 헤드부(53a), 바디부(53b), 고정부(53c), 연장부(53d)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in 53 may include a head portion 53a, a body portion 53b, a fixing portion 53c, and an extension portion 53d.

헤드부(53a)는 히트 싱크(33)에 접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헤드부(53a)는 히트 싱크(33)의 방열 파이프(33b) 및/또는 방열핀(33c)에 접할 수 있다. The head part 53a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 sink 33 . In more detail, the head part 53a may be in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pipe 33b and/or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of the heat sink 33 .

방열핀(33c)은 히트 파이프(33b)가 관통 배치된 부분에 홈(33d)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핀(33c)에 형성된 홈(33d)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a groove 33d may be formed in a portion through which the heat pipe 33b is disposed. The grooves 33d formed in the heat dissipation fins 33c may be elong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고정핀(53)의 헤드부(53a)는 방열핀(33c)의 홈(33d)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head portion 53a of the fixing pin 53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33d of the heat dissipation fin 33c.

헤드부(53a)는 바디부(53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head portion 53a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portion 53b.

바디부(53b)는 방열팬(5)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바디부(53b)는 쉬라우드(53)에 형성된 고정핀 관통홀에 배치될 수 있다.The body part 53b may be disposed on the heat dissipation fan 5 . In more detail, the body portion 53b may be disposed in a fixing pin through hole formed in the shroud 53 .

바디부(53b)의 전후방향 길이는 방열팬(5)의 전후방향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바디부(53b)는 헤드부(53a)와 고정부(53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A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53b may be the same as a thicknes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 The body part 53b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head part 53a and the fixing part 53c.

고정부(53c)는 바디부(53b)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53c)는 고정핀(53)이 방열팬(5)의 쉬라우드(51)을 관통한 후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53c)는 쉬라우드(51)의 배면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fixing part 53c may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body part 53b. The fixing part 53c may be fixed after the fixing pin 53 penetrates the shroud 51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 The fixing part 53c may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hroud 51 .

연장부(53d)는 고정부(53c)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53d)의 직경은 고정부(53c)보다 작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53d)의 외둘레에는 나사산 등이 형성될 수 있다.The extension part 53d may be formed to extend backward from the fixing part 53c. The diameter of the extension portion 53d may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at of the fixing portion 53c.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tension portion 53d.

연장부(53d)는 방열커버(8)와 결합되거나 방열 커버(8)를 관통할 수 있다.The extension 53d may be coupled to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or penetrate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방열팬(5)은 외부의 공기를 방열커버(8)의 흡입그릴(82)에 형성된 아우터 흡입공(83)를 통해 흡입시킬 수 있다. 방열팬(5)에 의해 흡입된 공기는 백 플레이트(14)와 방열 커버(8) 사이에 위치한 히트 싱크(33)와 열교환되면서 히트 싱크(33)를 방열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suck in external air through the outer suction hole 83 formed in the suction grill 82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The air sucked in by the heat dissipation fan 5 may radiate heat from the heat sink 33 while exchanging heat with the heat sink 33 positioned between the back plate 14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이 도시된 사시도이다.1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ling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 15를 참조하여 냉각팬(4)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oling fan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5 .

냉각팬(4)는 열전모듈(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쿨링 싱크(32)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The cooling fan 4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ooling sink 32 .

냉각팬(4)은 공기를 쿨링 유로(S1)와 저장실(S)로 순환시킬 수 있다. 냉각팬(4)에 의해 쿨링 유로(S1)와 저장실(S) 간에 강제 대류가 이뤄질 수 있다. 냉각팬(4)은 저장실(S)의 공기를 쿨링 유로(S1)로 유동시킬 수 있고, 쿨링 유로(S1)에 배치된 쿨링 싱크(32)와 열교환된 저온의 공기는 다시 저장실(S)로 유동되어 저장실(S) 내의 온도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The cooling fan 4 may circulate air to the cooling passage S1 and the storage chamber S. Forced convection may be made between the cooling flow path S1 and the storage chamber S by the cooling fan 4 . The cooling fan 4 may flow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S to the cooling passage S1, and the low-temperature air heat-exchanged with the cooling sink 32 disposed in the cooling passage S1 is returned to the storage chamber S. It is possible to keep the temperature in the storage chamber (S) low by flowing.

냉각팬(4)은 팬 커버(41) 및 팬(4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oling fan 4 may include a fan cover 41 and a fan 42 .

팬 커버(41)는 이너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커버(41)는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팬 커버(41)는 저장실(S)과 쿨링 유로(S1)를 구획할 수 있다. 팬 커버(41)의 전방에는 저장실(S)이 위치할 수 있고, 후방에는 쿨링 유로(S1)가 위치할 수 있다.The fan cover 41 may be disposed inside the inner case 10 . The fan cover 41 may be vertically disposed. The fan cover 41 may partition the storage compartment S and the cooling passage S1 . A storage compartment S may be positioned at the front of the fan cover 41 , and a cooling flow path S1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fan cover 41 .

팬 커버(41)에는 이너흡입공(44) 및 이너토출공(45)(46)이 형성될 수 있다. An inner suction hole 44 and an inner discharge hole 45 and 46 may be formed in the fan cover 41 .

이너 흡입공(44) 및 이너 토출공(45)(46)의 개수, 크기 및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number, size, and shape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and the inner discharge hole 45 and 46 may vary as needed.

이너 토출공(45)(46)은 어퍼 토출공(45)과 로어 토출공(46)을 포함할 수 있다. 어퍼 토출공(45)은 이너 흡입공(44)보다 위에 형성될 수 있고, 로어 토출공(46)은 이너 흡입공(44)보다 아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저장실(S)의 온도 분포가 균일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inner discharge holes 45 and 46 may include an upper discharge hole 45 and a lower discharge hole 46 . The upper discharge hole 45 may be formed above the inner suction hole 44 , and the lower discharge hole 46 may be formed below the inner suction hole 44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storage chamber (S) can be uniform by the above configuration.

어퍼 토출공(45)의 면적과, 로어 토출공(46)의 면적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The area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and the area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may be the same as each other.

로어 토출공(46)의 상단(46a)과 이너 흡입공(44)의 하단(44b) 사이의 거리(G1)는 어퍼 토출공(45)의 하단(45b)과 이너 흡입공(44)의 상단(44a) 사이의 거리(G2)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 흡입공(44)은 어퍼 토출공(45)보다 로어 토출공(46)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distance G1 between the upper end 46a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and the lower end 44b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is the lower end 45b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and the upper end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It may be formed closer than the distance G2 between the (44a). That is, the inner suction hole 4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lower discharge hole 46 than the upper discharge hole 45 .

이너 흡입공(44)의 면적은 팬(41)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너 토출공(45)(46)의 면적은 이너 흡입공(44)의 면적 대비 일정한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The area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may vary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fan 41 , and the area of the inner discharge hole 45 and 46 may be formed in a constant ratio to the area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

이너 토출공(45)(46)의 면적은 이너 흡입공(44)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너 토출공(45)(46)의 면적은 이너 흡입공(44) 면적의 1.3배 이상 1.5배 이하일 수 있다.The area of the inner discharge holes 45 and 46 may b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 Preferably, the area of the inner discharge holes 45 and 46 may be 1.3 times or more and 1.5 times or less the area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

팬 커버(41)에는 팬 수용부(47)가 구비될 수 있다. 팬 수용부(47)는 팬 커버(41)의 전면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팬 수용부(47)의 내부에는 팬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팬(42)의 적어도 일부는 팬 수용부(47)에 형성된 팬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너 흡입공(44)은 팬 수용부(47)에 형성될 수 있다.The fan cover 41 may include a fan accommodating part 47 . The fan accommodating part 47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an cover 41 protrudes forward, and a fan accommodating space may be formed in the fan accommodating part 47 . At least a portion of the fan 42 may be disposed in a f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the fan accommodating part 47 . The inner suction hole 44 may be formed in the fan receiving part 47 .

팬(42)은 쿨링 유로(S1)에 배치될 수 있고, 팬 커버(41)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팬 커버(41)는 팬(42)을 전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The fan 42 may be disposed in the cooling passage S1 , and may be disposed behind the fan cover 41 . The fan cover 41 may cover the fan 42 from the front.

팬(42)는 쿨링 싱크(32)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팬(42)는 이너 흡입공(44)과 쿨링 싱크(3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an 4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cooling sink 32 . The fan 4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ction hole 44 and the cooling sink 32 .

팬(42)은 이너 흡입공(44)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팬(42)의 구동시, 저장실(S) 내부의 공기는 이너 흡입공(44)을 통해 쿨링 유로(S1)로 흡입되어 열전 모듈(3)의 쿨링 싱크(32)와 열교환되며 냉각될 수 있다. 냉각된 공기는 이너 토출공(45)(46)을 통해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고, 이로써 저장실(S)의 온도가 저온으로 유지될 수 있다.The fan 4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inner suction hole 44 . When the fan 42 is driven, the air inside the storage chamber S is sucked into the cooling passage S1 through the inner suction hole 44 to b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sink 32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 The cooled air may be discharged to the storage chamber S through the inner discharge holes 45 and 46, whereby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hamber S may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좀 더 상세히, 쿨링 싱크(32)에서 냉각된 공기의 일부는 상방으로 안내되어 어퍼 토출공(45)을 통해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고, 다른 일부는 하방으로 안내되어 로어 토출공(46)을 통해 저장실(S)로 토출될 수 있다.In more detail, a portion of the air cooled by the cooling sink 32 may be guided upward and discharged to the storage chamber S through the upper discharge hole 45 , and another portion may be guided downward and discharged to the lower discharge hole 46 . ) through the storage chamber (S) can be discharged.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냉장고의 열전모듈 주변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커버의 정면도이다.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6, and FIG. 18 is a front view of a heat dissipation co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이너 흡입공(44) 및 로어 토출공(46) 각각의 적어도 일부는 제1수납부재(6)와 제2수납부재(7)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 또한, 어퍼 토출공(45)의 적어도 일부는 저장실(10)의 상면과 제2수납부재(7)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16 to 18 ,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inner suction hole 44 and the lower discharge hole 46 may face between the first storage member 6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7 . In addi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may f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10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7).

로어 토출공(46)의 하단(46b)은 제1수납부재(6)의 후방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로어 토출공(46)의 하단(46b)은 제1수납부재(6)의 배면측 상단(63)의 후방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lower end 46b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may be located at the rear uppe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 In more detail, the lower end 46b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may be located at the rear upper side of the upper end 63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

제1수납부재(6)의 배면(61)은 수평 방향에 대해 로어 토출공(46)의 아래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고, 로어 토출공(46)은 수평방향에 대해 제1수납부재(6)와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수납 부재(6)는 수평 방향에 대해 로어 토출공(46)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rear surface 61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may be disposed to face the bottom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lower discharge hole 46 may be disposed to face the bottom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 and may not overlap. That is,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may be disposed so as not to cover the lower discharge hole 46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이로써, 로어 토출공(46)으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의 유동이 제1수납부재(6)에 방해받지 않을 수 있어 저장실(S) 내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해질 수 있다. 또한, 저온의 공기는 하강하므로 제1수납부재(6)에 수납된 음식물을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ow of low-temperature air discharged to the lower discharge hole 46 may not be disturbed by the first storage member 6 , so that the air circulation inside the storage chamber S may be smooth. In addition, since the low-temperature air descends, the food stored in the first storage member 6 can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저장실(S)의 공기 순환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로어 토출공(46)와 제1수납부재(6)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로어 토출공(46)의 하단(46b)과 제1수납부재(6)는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제1수평방향 이격거리(D1)만큼 이격되고, 동시에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제1수직방향 이격거리(H1)만큼 이격될 수 있다. In order to further facilitate air circulation in the storage chamber S, the lower discharge hole 46 and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lower end 46b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and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are spaced apart by a first horizontal distance D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 first vertical distance H1 in the vertical direction. ) can be spaced apart.

좀 더 상세히, 제1수평방향 이격거리(D1)는 제1수납부재(6)의 배면(61)에서 상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연장선과 로어 토출공(46) 사이의 수평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수직방향 이격거리(H1)는 로어 토출공(46)의 하단(46b)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선과 제1수납부재(6)의 상단(60)사이의 수직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first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D1 may mea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an extension line exten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rear surface 61 of the first storage member 6 and the lower discharge hole 46 . . The first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1 may mea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n extension line horizontally extending forward from the lower end 46b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and the upper end 60 of the first storage member 6 . have.

제1수평방향 이격거리(D1)은 저장실(S)의 배면과 제1수납부재의 이격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저장실(S)의 배면은 팬 커버(41)의 전면일 수 있다. 제1수직방향 이격거리(H1)는 로어 토출공(46)의 하단(46b)과 제1수납부재(6)의 상단(60)의 높이차일 수 있다.The first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D1 may mea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S and the first storage member.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S may be the front surface of the fan cover 41 . The first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1 may be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lower end 46b of the lower discharge hole 46 and the upper end 60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

어퍼 토출공(45)의 일부는 수평 방향에 대해 제2수납부재(7)과 오버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어퍼 토출공(45)의 상측 일부는 제2수납부재(7)의 상단(70)과 저장부(S)의 상면 사이를 향할 수 있고, 어퍼 토출공(45)의 하측 일부는 제2수납부재(7)의 배면(71)을 마주볼 수 있다.A portion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may overlap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more detail, a portion of the upper side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may face between the upper end 70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unit S,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is The rear surface 71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may face each other.

어퍼 토출공(45)의 상단(45a)은 제2수납부재(7)의 배면측 상단(73)의 후방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end 45a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may be located at the rear upper side of the rear upper end 73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

이로써 어퍼 토출공(45)이 제2수납부재(7)와 수평방향에 대해 오버랩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저장실(S)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고, 냉장고가 컴팩트하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upper discharge hole 45 does not overlap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height of the storage compartment S can be lowered, and the refrigerator can be compactly formed.

이에 더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팬 커버(41)에서 이너 흡입공(44)은 어퍼 토출공(45)보다 로어 토출공(46)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앞서 설명한 수납부재(6)(7)와 이너 흡입공(44) 및 이너 토출공(45)(46) 간의 위치관계를 만족시키기 위한 저장실(S)의 높이가 더욱 낮아질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fan cover 41 , the inner suction hole 44 may be formed closer to the lower discharge hole 46 than the upper discharge hole 45 .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storage chamber S for satisfy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accommodating members 6 and 7 and the inner suction hole 44 and the inner discharge hole 45 and 46 described above can be further lowered.

제2수납부재(7)의 배면(71)의 적어도 일부는 상방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수납부재(7)의 배면(71) 중 어퍼 토출공(45)을 마주보는 부분은 상방 경사지게 형성된 구배면(72)일 수 있다. 어퍼 토출공(45)의 하측 일부는 구배면(72)을 마주볼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71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may be inclined upward.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71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facing the upper discharge hole 45 may be a sloped surface 72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may face the inclined surface 72 .

구배면(72)는 어퍼 토출공(45)으로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를 제2수납부재(7)의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로써 제2수납부재(7)에 수납된 음식물을 저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The inclined surface 72 may guide the low-temperature air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discharge hole 45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 Accordingly, the food stored in the second storage member 7 can be maintained at a low temperature.

저장실(S)의 공기 순환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해, 어퍼 토출공(45)과 제2수납부재(7)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퍼 토출공(45)의 상단(45a)과 제2수납부재(7)는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제2수평방향 이격거리(D2)만큼 이격되고, 동시에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제2수직방향 이격거리(H2)만큼 이격될 수 있다. In order to further facilitate air circulation in the storage chamber S, the upper discharge hole 45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7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upper end 45a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are spaced apart by a second horizontal distance D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a second vertical distance H2 in the vertical direction. ) can be spaced apart.

좀 더 상세히, 제2수평방향 이격거리(D2)는 제2수납부재(7)의 배면(71)과어퍼 토출공(45) 사이의 수평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제2수직방향 이격거리(H2)는 어퍼 토출공(45)의 상단(45a)에서 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연장선과 제2수납부재(7)의 상단(70)사이의 수직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second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D2 may mean a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71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and the upper discharge hole 45 . The second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2 may mean a vertical distance between an extension line horizontally extending forward from the upper end 45a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and the upper end 70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 have.

제2수평방향 이격거리(D2)은 저장실(S)의 배면과 제2수납부재(7)의 이격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저장실(S)의 배면은 팬 커버(41)의 전면일 수 있다. 제2수직방향 이격거리(H2)는 어퍼 토출공(45)의 상단(45a)과 제2수납부재(7)의 상단(60)의 높이차일 수 있다.The second horizontal direction separation distance D2 may mea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hamber S and the second storage member 7 . In this case, the rea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S may be the front surface of the fan cover 41 . The second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H2 may be a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end 45a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and the upper end 60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

제2수납부재(7)의 배면(71)과 어퍼 토출공(45) 사이의 제2수평방향 이격거리(D2)는, 제1수납부재(6)의 배면(61)과 로어 토출공(46) 사이의 제1수평방향 이격거리(D1)보다 길 수 있다. 이는 제1수납부재(6)와 달리, 제2수납부재(7)는 수평방향에 대해 어퍼 토출공(45)의 일부를 마주보기 때문에 저장실(S)의 공기 순환을 위한 추가적인 이격거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1수납부재(6)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2수납부재(7)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The second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rear surface 71 of the second storage member 7 and the upper discharge hole 45 is the rear surface 61 of the first storage member 6 and the lower discharge hole 46 ) may be longer than the first horizontal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m. Unlike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since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faces a part of the upper discharge hole 4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 additional separation distance for air circulation of the storage chamber S is required. Because. Accordingly,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

이너 흡입공(44)은 제1수납부재(6)와 제2수납부재(7)의 사이를 향할 수 있다. 이너 흡입공(44)은 제2수납부재(7)와 수평방향에 대해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이너 흡입공(44)으로의 공기 유동이 원활해지고 저장실(S)의 온도가 내려가 냉장고의 냉장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The inner suction hole 44 may face between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6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 The inner suction hole 44 may not overlap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the air flow to the inner suction hole 44 is smoothed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orage compartment S is lowered, thereby improving the refrigeration performance of the refrigerator.

제2수납부재(7)의 상하방향 높이는 제1수납부재의 상하방향 높이(F1)보다 낮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제1수납부재(6)에는 보틀(bottle) 등과 같이 높이가 높은 음식물이 수납될 수 있고, 제2수납부재(7)에는 그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음식물이 수납될 수 있다.The vertical height of the second accommodating member 7 may be lower than the vertical height F1 of the first accommodating member. Due to this configuration, food having a high height such as a bottle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storage member 6 , and food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can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storage member 7 .

한편, 냉장고에는 방열유로(91)(92) 및 쿨링유로(S1)가 형성될 수 있다. 쿨링유로(S1)에는 쿨링 싱크(32)가 배치되고, 방열유로(91)(92)에는 히트싱크(33)가 배치될 수 있다. 쿨링유로(S1)는 저장실(S)와 연통될 수 있고, 방열유로(91)(92)는 본체(1)의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Meanwhile, heat dissipation passages 91 and 92 and cooling passages S1 may be formed in the refrigerator. A cooling sink 32 may be disposed in the cooling passage S1 , and a heat sink 33 may be disposed in the heat dissipation flow passages 91 and 92 . The cooling passage S1 may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chamber S, and the heat dissipation passages 91 and 92 may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of the body 1 .

저장실(S)의 공기는 냉각팬(4)의 구동에 의해 쿨링유로(S1)로 안내될 수 있고, 쿨링 싱크(32)와 열교환되며 냉각될 수 있다. The air in the storage chamber S may be guided to the cooling passage S1 by the driving of the cooling fan 4 , and may be cooled by heat exchange with the cooling sink 32 .

쿨링 유로(S1)는 이너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쿨링 유로(S1)는 열전모듈 장착부(10a)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쿨링 유로(S1)는 팬 커버(41)의 배면과, 열전모듈 장착부(10a)의 내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passage S1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case 10 . In more detail, the cooling flow path S1 may be located inside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The cooling flow path S1 may be form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fan cover 4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mounting part 10a.

쿨링 유로(S1)는 이너 흡입공(44) 및 이너 토출공(45)(46)과 연통될 수 있다. 쿨링 싱크(32)는 팬(42)을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쿨링 유로(S1)는 이너 흡입공(44)으로 흡입된 공기를 이너 토출공(45)(46)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cooling passage S1 may communicate with the inner suction hole 44 and the inner discharge hole 45 , 46 . The cooling sink 3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an 42 . The cooling passage S1 may guide the air sucked into the inner suction hole 44 to the inner discharge holes 45 and 46 .

외부 공기는 방열팬(5)의 구동에 의해 방열유로(91)(92)로 안내될 수 있고, 히트 싱크(33)와 열교환되며 가열될 수 있다. The outside air may be guided to the heat dissipation passages 91 and 92 by the driving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 and may be heated by heat exchange with the heat sink 33 .

방열유로(91)(92)는 이너 케이스(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passages 91 and 92 may be located outside the inner case 10 .

방열유로(91)(92)는 이너 케이스(10)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방열유로(91)와, 이너 케이스(10)의 하측에 위치한 로어 방열유로(92)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flow paths 91 and 92 may include a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locat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10 and a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located at a lower side of the inner case 10 .

리어 방열유로(91)는 백 플레이트(14)와 방열 커버(8)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방열유로(91)는 백 플레이트(14)의 배면과 방열 커버(8)의 내측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back plate 14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may be formed by the rear surface of the back plate 14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히트 싱크(33)는 리어 방열유로(91)에 배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33)는 방열팬(5)을 마주보게 배치될수 있다. 리어 방열유로(91)의 적어도 일부는 기계실일 수 있다.The heat sink 33 may be disposed in the rear heat dissipation passage 91 . The heat sink 33 may be disposed to face the heat dissipation fan 5 . At least a portion of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may be a machine room.

리어 방열유로(91)는 아우터 흡입공(83)과 연통될 수 있다. 리어 방열유로(91)는 방열팬(5)에 의해 아우터 흡입공(83)로 흡입된 공기를 로어 방열유로(92)으로 안내할 수 있다.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may communicate with the outer suction hole 83 .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may guide air sucked into the outer suction hole 83 by the heat dissipation fan 5 to the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

로어 방열유로(92)는 캐비닛 바텀(15)과 아우터 캐비닛(1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로어 방열유로(92)는 리어 방열유로(91)와 연통될 수 있다.The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abinet bottom 15 and the outer cabinet 12 . The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may communicate with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

로어 방열유로(92)는 리어 방열유로(91) 에서 유동된 공기를 도어(2) 하측의 방열유로 출구(90)로 안내할 수 있다.The lowe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2 may guide the air flowing in the rear heat dissipation flow path 91 to the heat dissipation flow path outlet 90 under the door 2 .

한편, 피시비 커버(18)는 제어부(18a)를 커버할 수 있다. 제어부(18a)는 피시비 기판 등과 같은 전자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a)는 냉장고에 구비된 각 센서의 측정값을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a)는 열전모듈(3), 냉각팬(4) 및 방열팬(5)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a)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요소를 더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the PCB cover 18 may cover the control unit 18a. The controller 18a may include an electronic component such as a PCB board. The control unit 18a may receive and store the measured values of each sensor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The controller 18a may control the thermoelectric module 3 , the cooling fan 4 ,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 The control unit 18a may further control additional components as necessary.

제어부(18a)는 히트 싱크(33) 및/또는 방열팬(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히트 싱크(33) 및/또는 방열팬(5)와 제어부(18a) 사이에는 배리어(18b)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배리어(18b)는 제어부(18a)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배리어(18b)는 히트 싱크(33)에 방출된 열에 의해 제어부(18a)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18b)는 히트 싱크(33)에서 가열된 공기가 제어부(18a)로 유동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a may be located above the heat sink 33 and/or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a barrier 18b is formed between the heat sink 33 and/or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control unit 18a. may be provided. That is, the barrier 18b may be located below the control unit 18a. The barrier 18b may prevent the controller 18a from being overheat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 sink 33 . Also, the barrier 18b may prevent the air heated in the heat sink 33 from flowing to the controller 18a.

배리어(18b)는 방열 커버(8) 및/또는 백 플레이트(14)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베리어(18b)는 피시비 커버(18)에 장착되거나 피시비 커버(18)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rrier 18b may be mounted to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and/or the back plate 14 . Alternatively, the barrier 18b may be mounted on the PCB cover 18 o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CB cover 18 .

피시비 커버(18)는 방열 커버(8)의 상부 또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피시비 커버(18)는 제어부(18a)의 후방 및/또는 상측을 커버할 수 있다.The PCB cover 18 may be disposed above or in front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The PCB cover 18 may cover the rear and/or upper side of the control unit 18a.

피시비 커버(18)는 탑 커버(13)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너 케이스(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피시비 커버(18)는 후술할 열전모듈(3)의 히트 싱크(33) 및/또는 방열팬(5)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PCB cover 18 may be disposed below the top cover 13 , and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inner case 10 . In addition, the PCB cover 18 may be located above the heat sink 33 and/or the heat dissipation fan 5 of the thermoelectric module 3 to be described later.

예를 들어, 방열 커버(8)의 상단이 탑 커버(13)와 이격되는 경우에는 피시비 커버(18)가 제어부(18a)의 후방을 커버할 수 있다. 이로써 제어부(18a)가 본체(1)의 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pper end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cover 13 , the PCB cover 18 may cover the rear of the control unit 18a.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rol unit 18a from being expos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 .

반면, 방열 커버(8)의 상단이 탑 커버(13)와 접하는 경우에는 방열 커버(8)에 의해 제어부(18a)가 본체(1)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피시비 커버(18)가 제어부(18a)의 상측을 커버하고, 후측은 커버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end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is in contact with the top cover 13, the control unit 18a is not exposed to the rear of the main body 1 by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so the PCB cover 18 is the control unit ( The upper side of 18a) may be covered, and the rear side may not be covered.

한편, 차단부재(85)는 방열팬(5)과 방열 커버(8) 사이의 간극(86)을 막을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부재(85)는 방열팬(5)의 쉬라우드(51)와 방열 커버(8) 사이의 간극(86)을 막을 수 있다.Meanwhile, the blocking member 85 may block the gap 86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In more detail, the blocking member 85 may block the gap 86 between the shroud 51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방열팬(5)과 방열 커버(8) 사이의 간극(86)이 차단부재(85)에 의해 막히지 않을 경우, 아우터 흡입공(83)를 통해 방열팬(5)으로 흡입된 공기는 히트 싱크로 송풍되어 히트 싱크(33)에서 가열될 수 있고, 히트 싱크(33)에서 가열된 공기 중 일부가 쉬라우드(51)와 방열 커버(8) 사이의 간극(86)으로 유동되어 방열팬(5)으로 재흡입되어 유동 교란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동 교란은 낮은 주파수 영역 톤의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미 가열된 공기가 다시 히트 싱크(33)로 송풍되어 히트 싱크(33)의 방열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When the gap 86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is not blocked by the blocking member 85 , the air sucked into the heat dissipation fan 5 through the outer suction hole 83 is blown by the heat sink. to be heated in the heat sink 33 , and some of the air heated in the heat sink 33 flows into the gap 86 between the shroud 51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to the heat dissipation fan 5 . Re-suction can result in flow disturbances. Such flow disturbance may generate low-frequency tone noise, and the already heated air may be blown back to the heat sink 33 , thereby reducing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heat sink 33 .

차단부재(85)는 히트 싱크(33)에서 가열된 공기가 방열팬(5)과 방열커버(8) 사이의 간극(86)으로 유동되어 방열팬(5)으로 흡입되는 재순환(Re-circulation)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유동 교란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저감될 수 있고, 히트 싱크(33)의 방열 효율이 상승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e blocking member 85, the air heated by the heat sink 33 flows into the gap 86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and is sucked into the heat dissipation fan 5. Re-circulation.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ise generated by flow disturbance can be reduced, and the heat dissipation efficiency of the heat sink 33 can be increased.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단부재(85)는 다공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차단부재(85)는 방열팬(5)의 구동 자체에서 발생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member 85 may have a porous material. Accordingly, the blocking member 85 can effectively reduce vibration and noise generated by the driving itself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

차단부재(85)는 방열팬(5) 및 방열 커버(8)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contact each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차단부재(85)는 방열팬(5)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부재(85)는 쉬라우드(51)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재(85)는 쉬라우드(51)에 접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 In more detail,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roud 51 .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in contact with the shroud 51 .

차단부재(85)는 방열커버(8)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방열커버(8)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and may be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차단부재(85)는 커버부(81) 및/또는 흡입그릴(82)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있다. 차단부재(85)가 커버부(81)에 접하는 경우, 차단부재(85)는 함몰부(84)에 접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cover part 81 and/or the suction grill 82 . When the blocking member 85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81 , the blocking member 85 may contact the recessed portion 84 .

차단부재(85)의 전후 방향 길이(L)는 두께(T)보다 길 수 있다. 차단부재(85)의 전후 방향 길이(L)는 15mm 이상 20mm 이하일 수 있고, 차단부재(85)의 두께(T)는 5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The length L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T. The length L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15 mm or more and 20 mm or less, and the thickness T of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5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배면도이고, 도 20는 도 19에 도시된 흡입 그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19 is a rear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shown in FIG. 19 .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방열커버(8)에 형성된 아우터 흡입공(83)는 복수개의 타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19 and 20 , the outer suction hole 83 formed in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may be formed in a plurality of perforated structures.

흡입 그릴(82)에는 복수개의 아우터 흡입공(83)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흡입공(83)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83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grill 82 .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표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소음을 측정한 테이블이다.Table 1 is a table in which nois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measured.

방열 커버조건heat dissipation cover condition 측정
위치
Measure
location
냉각팬 및 방열팬 조건Cooling fan and heat dissipation fan conditions
저속sleaze 중속medium speed 고속high speed 흡입그릴(82) 미포함, 차단부재(85) 포함Suction grill (82) not included, blocking member (85) included 전방forward 17.917.9 19.119.1 19.919.9 후방rear 19.119.1 20.720.7 21.621.6 D=8mm, C=1mm인 흡입그릴(82), 차단부재(85) 포함D=8mm, C=1mm suction grill (82), including blocking member (85) 전방forward 18.118.1 19.219.2 20.220.2 후방rear 18.818.8 21.121.1 21.921.9 D=8mm, C=1.5mm인 흡입그릴 (82), 차단부재(85) 포함D=8mm, C=1.5mm suction grill (82), including blocking member (85) 전방forward 18.418.4 19.719.7 20.520.5 후방rear 20.220.2 22.122.1 23.223.2 D=7mm, C=1mm인 흡입그릴 (82), 차단부재(85) 포함D=7mm, C=1mm suction grill (82), including blocking member (85) 전방forward 18.518.5 19.819.8 20.720.7 후방rear 20.720.7 21.521.5 23.523.5 D=7mm, C=1.5mm인 흡입그릴 (82), 차단부재(85) 포함D=7mm, C=1.5mm suction grill (82), including blocking member (85) 전방forward 18.818.8 20.520.5 21.321.3 후방rear 20.620.6 21.921.9 23.823.8

표 1에서 표시된 소음의 단위는 dBA이다. 소음 측정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측정 소음은 냉장고에서 전방으로 1m 떨어진 위치와, 후방으로 1m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측정된 것이다. 또한, 냉각팬(4) 및 방열팬(5) 조건과 관련하여, 저속 조건 시 냉각팬(4)은 851rpm, 방열팬(5)은 1807rpm으로 구동되고, 중속 조건시 냉각팬(4)은 922rpm, 방열팬(5)은 1903rpm으로 구동되고, 고속 조건시 냉각팬(4)은 947rpm, 방열팬(5)은 2001rpm으로 구동된다. 또한, 차단부재(85)의 전후 방향 길이(L)는 20mm 이고, 차단부재(85)의 두께(T)는 10mm이다.The unit of noise indicated in Table 1 is dBA. With respect to the noise measurement position, the measured noise was measured at a position 1 m away from the refrigerator and 1 m apart from the rear, respectively.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conditions of the cooling fan 4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the cooling fan 4 is driven at 851 rpm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at 1807 rpm under the low speed condition, and the cooling fan 4 is operated at 922 rpm under the medium speed condition. , the heat dissipation fan 5 is driven at 1903 rpm, the cooling fan 4 is driven at 947 rpm,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is driven at 2001 rpm under high-speed conditions. In additio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L of the blocking member 85 is 20mm, and the thickness T of the blocking member 85 is 10mm.

냉장고는 흡입그릴(82)가 미포함된 경우에 소음이 가장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흡입그릴(82)이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흡입그릴(82)이 장착되더라도 흡입그릴(82)이 미 포함된 경우보다 소음이 급격하게 커지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refrigerator may have the smallest noise when the suction grill 82 is not included.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uction grill 82 is mounted for the safety of the user. Even if the suction grill 82 is moun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noise does not increase abruptly than when the suction grill 82 is not included.

표 1을 참조하면, 흡입 그릴(82)에 형성된 아우터 흡입공(83)의 직경(D) 및 아우터 흡입공간의 거리(C)를 달리함에 따라 측정 소음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아우터 흡입공(83)의 직경(D)이 7mm 또는 8mm이고, 아우터 흡입공(83) 간의 거리(C)가 1mm 또는 1.5mm 인 경우, 흡입 그릴(82)이 미포함된 경우에 비해 측정 소음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d noise varies as the diameter D of the outer suction hole 83 formed in the suction grill 82 and the distance C of the outer suction space are varied. However, when the diameter (D) of the outer suction hole 83 is 7mm or 8mm and the distance (C) between the outer suction holes 83 is 1mm or 1.5mm,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suction grill 82 is not included. It can be seen that the nois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따라서, 아우터 흡입공(83)의 직경(D)은 7mm 이상 8mm 이하일 수 있다. 복수개의 아우터 흡입공(83)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아우터 흡입공(83) 간의 거리(C)는 1mm 이상 1.5mm 이하일 수 있다. 복수개의 아우터 흡입공(83)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아우터 흡입공(83)의 센터 간 거리(P)는 7mm 이상 10mm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diameter D of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be 7 mm or more and 8 mm or less. A distance C between a pair of adjacent outer suction holes 83 among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83 may be 1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A distance P between centers of a pair of outer suction holes 83 adjacent to each other among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83 may be 7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바람직하게는, 아우터 흡입공(83)의 직경(D)은 8mm이고,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아우터 흡입공(83) 간의 거리(C)는 1mm 일 수 있다.Preferably, the diameter D of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be 8 mm, and the distance C between the pair of outer suction holes 83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1 mm.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입 그릴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21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suction gri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흡입그릴(82)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Sinc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suction grill 82, the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흡입 그릴(82)은 복수개의 와이어(87)로 구성된 메쉬(mesh)일 수 있다. 흡입 그릴(82)은 각 와이어(87)의 사이에 형성된 사각 형상의 아우터 흡입공(83)이 형성될 수 있다.The suction grill 82 may be a mesh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87 . The suction grill 82 may have a rectangular outer suction hole 83 formed between each wire 87 .

와이어(87)는 제1와이어(87a)와 제2와이어(8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와이어(87a)와 제2와이어(87b)는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다. 어느 하나의 아우터 흡입공(83)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1와이어(87a)와,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제2와이어(87b)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The wire 87 may include a first wire 87a and a second wire 87b. The first wire 87a and the second wire 87b may b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Any one of the outer suction holes 83 may be formed by a pair of first wires 87a adjacent to each other and a pair of second wires 87b adjacent to each other.

바람직하게는, 제1와이어(87a)와 제2와이어(87b)는 서로 직교하게 배치될 수 있고, 아우터 흡입공(83)은 정사각 형상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wire 87a and the second wire 87b may be dispos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and the outer suction hole 83 may have a square shape.

표 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소음을 측정한 테이블이다.Table 2 is a table in which nois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measured.

방열 커버조건heat dissipation cover condition 측정
위치
Measure
location
냉각팬 및 방열팬 조건Cooling fan and heat dissipation fan conditions
저속sleaze 중속medium speed 고속high speed 흡입그릴(82) 미포함, 차단부재(85) 포함Suction grill (82) not included, blocking member (85) included 전방forward 17.917.9 19.119.1 19.919.9 후방rear 19.119.1 20.720.7 21.621.6 B=1mm인 흡입그릴(82), 차단부재(85) 포함B = 1mm suction grill (82), including blocking member (85) 전방forward 18.518.5 19.519.5 20.620.6 후방rear 20.120.1 21.721.7 22.822.8 B=1.6mm인 흡입그릴(82), 차단부재(85) 포함B = 1.6mm suction grill (82), including blocking member (85) 전방forward 18.518.5 19.619.6 20.120.1 후방rear 20.420.4 21.221.2 22.222.2

표 2에서 표시된 소음의 단위는 dBA이다. 소음 측정위치와 관련하여, 상기 측정 소음은 냉장고에서 전방으로 1m 떨어진 위치와, 후방으로 1m 이격된 위치에서 각각 측정된 것이다. 또한, 냉각팬(4) 및 방열팬(5) 조건과 관련하여, 저속 조건 시 냉각팬(4)은 851rpm, 방열팬(5)은 1807rpm으로 구동되고, 중속 조건시 냉각팬(4)은 922rpm, 방열팬(5)은 1903rpm으로 구동되고, 고속 조건시 냉각팬(4)은 947rpm, 방열팬(5)은 2001rpm으로 구동된다. 또한, 차단부재(85)의 전후 방향 길이(L)는 20mm 이고, 차단부재(85)의 두께(T)는 10mm이다. 또한, 흡입그릴(82)에는 가로변 및 세로변의 길이가 각각 1인치의 단위 길이(A)인 가상의 사각형 내에 4개의 행과 4개의 열로 구성된 16개의 아우터 흡입공(83)이 형성된 상태이다.The unit of noise indicated in Table 2 is dBA. With respect to the noise measurement position, the measured noise was measured at a position 1 m away from the refrigerator and 1 m apart from the rear, respectively.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conditions of the cooling fan 4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the cooling fan 4 is driven at 851 rpm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at 1807 rpm under the low speed condition, and the cooling fan 4 is operated at 922 rpm under the medium speed condition. , the heat dissipation fan 5 is driven at 1903 rpm, the cooling fan 4 is driven at 947 rpm,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is driven at 2001 rpm under high-speed conditions. In additio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L of the blocking member 85 is 20mm, and the thickness T of the blocking member 85 is 10mm. In addition, in the suction grill 82, 16 outer suction holes 83 composed of 4 rows and 4 columns are formed in an imaginary square having a unit length A of 1 inch, respectively, on a horizontal side and a vertical side.

표 2을 참조하면, 흡입 그릴(82)을 구성하는 와이어(87)의 두께(B)를 달리함에 따라 측정 소음이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와이어(87)의 두께(B)가 1mm 또는 1.6mm인 경우, 흡입 그릴(82)이 미포함된 경우에 비해 측정 소음이 크게 차이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2,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ment noise varies as the thickness B of the wire 87 constituting the suction grill 82 is changed. However, when the thickness (B) of the wire 87 is 1mm or 1.6mm, it can be seen that the measurement noise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case in which the suction grill 82 is not included.

따라서, 와이어(87)의 두께(B)는 1mm 이상 1.6mm 이하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thickness B of the wire 87 may be 1 mm or more and 1.6 mm or less.

또한, 흡입그릴(82)에는 1평방 인치당 4개의 행과 4개의 열로 구성된 16개의 아우터 흡입공(83)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16 outer suction holes 83 composed of 4 rows and 4 columns per 1 square inch may be formed in the suction grill 82 .

도 22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일부 단면도이다.2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차단부재(85)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와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Sinc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except for the blocking member 85 , the overlapping content will be omitted and the differences will be mainly described.

차단부재(85)는 방열커버(8)와 방열팬(5)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부재(85)는 방열팬(5)의 쉬라우드(51)와 방열커버(8)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 In more detail,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hroud 51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차단부재(85)는 방열팬(5) 및 방열 커버(8)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차단부재(85)는 쉬라우드(51)의 배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방열 커버(8)의 전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contact each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In more detail, the blocking member 85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shroud 51 , and may be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본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부재(85)가 방열팬(5)과 방열커버(8) 사이에 배치되므로, 방열팬(5)과 방열커버(8) 사이의 간극(86)을 좀더 직접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85)가 방열팬(5)과 방열커버(8) 각각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압착될 수 있으므로 차단부재(85)와 방열팬(5) 사이의 틈새 및 차단부재(85)와 방열커버(8) 사이의 틈새가 각각 효과적으로 실링될 수 있다. 이로써 차단부재(85)는 더욱 효과적으로 유동 교란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blocking member 85 is disposed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the gap 86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is more directly blocked. can In addition, since the blocking member 85 can be compress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y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respectively, the gap between the blocking member 85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5 and the blocking member 85 and The gaps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overs 8 can each be effectively sealed. Accordingly, the blocking member 85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flow disturbance.

또한, 차단부재(85)는 다공성 재질을 가지므로 방열팬(5)의 구동에 의한 진동이 차단부재(85)에 의해 흡진되어 방열커버(8)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ocking member 85 has a porous material, vibration caused by the driving of the heat dissipation fan 5 is absorbed by the blocking member 85 to prevent the vibration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8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본체 10: 이너 케이스
3: 열전모듈 31: 열전소자
32: 쿨링 싱크 33: 히트 싱크
4: 냉각팬 5: 방열팬
51: 쉬라우드 52: 팬
8: 방열커버 81: 커버부
82: 흡입그릴 83: 아우터 흡입공
84: 함몰부 85: 차단부재
1: body 10: inner case
3: thermoelectric module 31: thermoelectric element
32: cooling sink 33: heat sink
4: cooling fan 5: heat dissipation fan
51: shroud 52: fan
8: heat dissipation cover 81: cover part
82: suction grill 83: outer suction hole
84: recessed portion 85: blocking member

Claims (11)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고, 열전소자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상기 히트 싱크를 마주보게 배치된 방열팬;
상기 이너 케이스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방열팬을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아우터 흡입공이 형성된 방열커버; 및
상기 방열 커버와 상기 방열팬 사이의 간극을 막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열팬은,
팬; 및
상기 팬의 둘레에 배치된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쉬라우드와 접촉하면서 상기 쉬라우드의 둘레를 둘러싸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히트 싱크와 이격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thermoelectric module that cools the storage chamber and includes a thermoelectric element and a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fan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cover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ase and having at least one outer suction hole facing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and a blocking member blocking a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over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The heat dissipation fan,
Pan; and
a shroud disposed around the fan;
The blocking member surrounds the circumference of the shroud while in contact with the shroud,
The blocking member is spaced apart from the heat sink.
저장실이 형성된 이너 케이스;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고, 열전소자와 쿨링 싱크와 히트 싱크를 포함하는 열전모듈;
상기 쿨링 싱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냉각팬;
상기 히트 싱크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방열팬;
상기 방열팬을 마주보는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이 형성된 방열커버; 및
상기 방열 커버와 상기 방열팬 사이의 간극을 막으면서 상기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을 통해 흡입된 공기의 통로를 형성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 상기 쿨링 싱크, 상기 히트 싱크, 상기 방열팬 및 상기 방열커버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방열커버의 복수의 아우터 흡입공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차단부재가 형성하는 통로를 지난 후에 방열팬을 통과하는 냉장고.
an inner case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thermoelectric module for cooling the storage chamber, the thermoelectric module including a thermoelectric element, a cooling sink, and a heat sink;
a cooling fan disposed to face the cooling sink;
a heat dissipation fan disposed to face the heat sink;
a heat dissipation cover having a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facing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and a blocking member forming a passage for 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while blocking a gap between the heat dissipation cover and the heat dissipation fan,
The cooling fan, the cooling sink, the heat sink, the heat dissipation fan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are sequentially disposed,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outer suction holes of the heat dissipation cover passes through the passage formed by the blocking member and then passes through the heat dissipation fa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쉬라우드 및 방열커버 각각에 접하도록 배치된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member is dispos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f the shroud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팬은, 팬; 및
상기 팬의 둘레에 배치된 쉬라우드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방열커버 사이에 배치된 냉장고.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eat dissipation fan, a fan; and
a shroud disposed around the fan;
The block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shroud and the heat dissipation cov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커버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이 형성된 흡입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부재는 상기 커버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냉장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heat dissipation cover,
cover part; and
It is mounted on the cover portion and includes a suction grill having the outer suction hole formed therein,
The blocking member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cover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은 복수개의 와이어로 구성된 메쉬이고,
상기 와이어의 두께는 1mm 이상 1.6mm 이하인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uction grill is a mesh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The thickness of the wire is 1mm or more and 1.6mm or less refrigera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후방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되고 상기 흡입그릴이 장착된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함몰부에 접하도록 배치된 냉장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part is formed to be recessed toward the rear and includes a recessed part on which the suction grill is mounted,
The blocking member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recessed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는 다공성 재질로 구성된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blocking member is a refrigerator made of a porous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복수개이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아우터 흡입공 간의 거리는 1mm 이상 1.5mm 이하인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uction hole is a plurality,
A distance between a pair of adjacent outer suction holes among the outer suction holes is 1 mm or more and 1.5 m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복수개이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 중 서로 인접한 한 쌍의 아우터 흡입공 간의 센터 간 거리는 7mm 이상 10mm 이하인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uction hole is a plurality,
A distance between centers between a pair of adjacent outer suction holes among the outer suction holes is 7 mm or more and 10 mm or les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복수개이고,
상기 아우터 흡입공은 직경이 7mm 이상 8mm 이하인 원형으로 형성된 냉장고.
The method of claim 1,
The outer suction hole is a plurality,
The outer suction ho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ith a diameter of 7 mm or more and 8 mm or less.
KR1020180028075A 2017-03-21 2018-03-09 Refrigerator KR1022678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8075A KR102267853B1 (en) 2017-03-21 2018-03-09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608 2017-03-21
KR1020180028075A KR102267853B1 (en) 2017-03-21 2018-03-09 Refrigerato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608 Division 2017-03-21 2017-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898A KR20180106898A (en) 2018-10-01
KR102267853B1 true KR102267853B1 (en) 2021-06-23

Family

ID=63878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8075A KR102267853B1 (en) 2017-03-21 2018-03-09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85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893722U (en) * 2019-02-19 2020-01-03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Refrigerating and freezing device
KR20220023025A (en) * 2020-08-20 2022-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Refriger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1076A (en) * 1993-04-14 1996-03-26 Marlow Industries, Inc. Compact thermoelectric refrigerator and module
US6085699A (en) * 1995-04-04 2000-07-11 Srp 687 Pty Ltd. Air inlets for water heaters
KR970030644U (en) 1995-12-29 1997-07-24 Structure of ca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403109B1 (en) 2006-11-02 2014-06-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for compensating channel error and method for determining modulation and coding sche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898A (en)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7404B1 (en) Refrigerator
KR102309117B1 (en) Refrigerator
KR101829222B1 (en) Refrigerator
US11280526B2 (en) Refrigerator
KR102267853B1 (en) Refrigerator
KR102420992B1 (en) Refrigerator
AU2020228790B2 (en) Refrigerator with return air inlets formed in two sidewalls of cabinet
KR102531202B1 (en) Refrigerator
KR101477686B1 (en) Table type refrigerator of heat dissipation structure
JP5687050B2 (en) Cooling storage
CN219063863U (en) Bottom refrigeration equipment
CN219222966U (en) Embedded refrigeration equipment
JP2012002483A (en) Refrigerator-freezer
KR20210063725A (en) Refrigerator
JP2006242498A (en) Refrigerator built-in kitchen system
JP2007040663A (en) Refrigerator
KR20040062776A (en) Radiation Structure of Apparatus Room for Kimchi-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