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686B1 -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 Google Patents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686B1
KR102267686B1 KR1020200161212A KR20200161212A KR102267686B1 KR 102267686 B1 KR102267686 B1 KR 102267686B1 KR 1020200161212 A KR1020200161212 A KR 1020200161212A KR 20200161212 A KR20200161212 A KR 20200161212A KR 102267686 B1 KR102267686 B1 KR 10226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line
user
self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희
이호종
차호정
정찬일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프스
Priority to KR102020016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686B1/ko
Priority to US18/038,983 priority patent/US20240005486A1/en
Priority to PCT/KR2021/013878 priority patent/WO202211450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integumentary system, e.g. skin, hair or nails
    • A61B5/448Hair evaluation, e.g. for hair disorder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chanical, radiation or invasive therapies, e.g. surgery, laser therapy, dialysis or acupunctur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16H3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for handling medical images, e.g. DICOM, HL7 or PAC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Nurs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에 탈모 자가진단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은 체크리스트를 사용자가 직접 체크하는 방식으로 정확한 비교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체크리스트가 체크되어 탈모의 진행단계의 객관적인 판단이 어렵고, 탈모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일반 카메라로 이미지를 찍어 사용자의 사진촬영시 이마의 기울기, 깊이정보 등이 일정하지 않아 두상 형태 및 크기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고, 두상의 형태를 깊이정보가 없는 2D의 이미지만으로 판별하여 오차범위가 너무 커 자가진단의 실용성이 떨어지고, 자가진단을 실시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앞머리 헤어라인을 추천해주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라인을 선택할 수 없이 획일적인 형태로 필요모낭 갯수를 제공하여 자가진단의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모발 자가진단 몸체,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됨으로써, 깊이 카메라를 통해 입체적으로 탈모인의 두상을 측정하여 필요한 모발의 갯수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전체적인 두상 형상과, 눈, 코, 입의 위치 및 비율에 조화를 이루도록 어울리는 앞머리 헤어라인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앞머리 끝단을 이루는 모발의 대략적인 밀도를 측정하고, 헤어라인 형상 선택여부에 따라 필요한 모낭의 갯수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필요모수를 진단하여 모발이식의 필요성을 고취시키고, 모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관계병원의 모발이식 수술 병원을 연계하는 광고 마케팅을 통한 수익을 창출하고, 일정한 주기별로 알람을 설정하여 촬영하고, 변화되는 앞머리 헤어라인 비교사진을 식별하여 모발이식 시술후 경과를 자가진단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HAIR SELF-DIAGNOSIS SERVICE DEVICE}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전체적인 얼굴 형상에 조화를 이루도록 어울리는 앞머리 헤어라인을 제안하고, 앞머리 라인의 대략적인 모발 밀도를 측정하고, 헤어라인 형상 선택여부에 따라 필요한 모발의 갯수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필요모수를 자가진단하여 모발이식의 필요성을 고취시키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대사회에서 스트레스, 좋지 못한 식습관, 유전적인 요인 등으로 탈모인이 꾸준히 증가하여 탈모로 인한 고민이 증가하고, 탈모 외에도 얼굴을 작아보이게 하거나 자연스러운 헤어라인 등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라인을 형성하는 미용의 목적으로 헤어라인의 교정을 원하는 인구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에는 탈모 자가진단을 사용자가 직접 하는 경우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과, 탈모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하는 방법이 있었다.
여기서 탈모 자가진단 체크 리스트를 작성하는 방법은 체크리스트를 사용자가 직접 체크하는 방식으로 정확한 비교데이터를 기준으로 비교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체크리스트가 체크되어 탈모의 진행단계의 객관적인 판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탈모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으로 판단하는 방법은 일반 카메라로 이미지를 찍어 사용자의 사진촬영시 이마의 기울기, 깊이정보 등이 일정하지 않아 두상 형태 및 크기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없고, 두상의 형태를 깊이정보가 없는 2D의 이미지만으로 판별하여 오차범위가 너무 커 자가진단의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자가진단을 실시하더라도 사용자에게 어울리는 앞머리 헤어라인을 추천해주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헤어라인을 선택할 수 없이 획일적인 형태로 필요모낭 갯수를 제공하여 자가진단의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0001)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0689호(2018.06.19. 등록)
상기의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깊이 카메라를 통해 입체적으로 탈모인의 두상을 측정하여 필요한 모발의 갯수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전체적인 두상 형상과, 눈, 코, 입의 위치 및 비율에 조화를 이루도록 어울리는 앞머리 헤어라인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앞머리 끝단을 이루는 모발의 대략적인 밀도를 측정하고, 헤어라인 형상 선택여부에 따라 필요한 모낭의 갯수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필요모수를 진단하여 모발이식의 필요성을 고취시키고, 모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관계병원의 모발이식 수술 병원을 연계하는 광고 마케팅을 통한 수익을 창출하고, 일정한 주기별로 알람을 설정하여 촬영하고, 변화되는 앞머리 헤어라인 비교사진을 식별하여 모발이식 시술후 경과를 자가진단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는
사각 프레임 구조로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며 양손으로 그립하여 얼굴의 정면에 위치시킨 후 두상의 깊이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앞머리 헤어라인을 촬영하는 모발 자가진단 몸체와,
모발 자가진단 몸체에서 촬영된 두상 깊이정보 및 앞머리 헤어라인 정보를 식별하고, 앞머리 헤어라인의 경계에 위치한 모발의 밀도를 자동분석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형태에 적합한 헤어라인을 추천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헤어라인을 선택하여 이미지화하여 디스플레이해주고, 추천 및 선택된 이미지화에 따른 모발 필요모수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깊이 카메라를 통해 입체적으로 탈모인의 두상을 측정하여 필요한 모발의 갯수의 오차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전체적인 두상 형상과, 눈, 코, 입의 위치 및 비율에 조화를 이루도록 어울리는 앞머리 헤어라인을 제안하고, 사용자의 앞머리 끝단을 이루는 모발의 대략적인 밀도를 측정하고, 헤어라인 형상 선택여부에 따라 필요한 모낭의 갯수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필요모수를 진단하여 모발이식의 필요성을 고취시키고, 모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관계병원의 모발이식 수술 병원을 연계하는 광고 마케팅을 통한 수익을 창출하고, 일정한 주기별로 알람을 설정하여 촬영하고, 변화되는 앞머리 헤어라인 비교사진을 식별하여 모발이식 시술후 경과를 자가진단할 수 있는 좋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전체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구성요소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스마트 단말지지 홀더에 스마트 단말기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좌·우 양측에 위치한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접어 부피를 줄인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두상 분석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추천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적립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모발 자가진단 몸체(100),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200)으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발 자가진단 몸체(100)는 사각 프레임 구조로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며 양손으로 그립하여 얼굴의 정면에 위치시킨 후 두상의 깊이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앞머리 헤어라인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110), 스마트 단말지지 홀더(120), 카메라 수신장치(130), 손잡이부(140), 촬영 스위치(150)로 구성된다.
상기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110)은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상단 중앙에 슬라이드 구조로 탈결합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전방 중앙에 결합되는 깊이 카메라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110)은 사각 프레임 구조의 좌·우 양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레일 홈(111)이 형성되어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상단 중앙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고, 사각 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깊이 카메라 고정프레임이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사각 프레임의 후면 상단 중앙에 카메라 수신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깊이 카메라(11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마트 단말 지지 홀더(120)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결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클립의 간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 지지 홀더(120)는 좌·우측에 스마트 단말기를 지지하는 스마트 단말 클립이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고, 내부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이루어져 다양한 스마트 단말기 크기에 대응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수신장치(130)는 유선 및 블루투스, wifi 네트워크 송수신을 통해 깊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깊이촬영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단말기에 송신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수신장치(130)는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110)에 결합된 깊이 카메라, 스마트 단말지지 홀더(120)에 결합되는 스마트 단말기, 촬영 스위치(150)와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 스위치를 푸쉬하면 깊이 카메라로 3차원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좌·우 측면에 대칭으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형 봉 형상으로, 사용자가 모발 자가진단 몸체를 두손으로 안정적으로 그립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촬영 스위치(150)는 손잡이부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버튼 구조 또는 터치 구조 형상으로, 깊이 카메라 및 스마트 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을 통해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200)은 모발 자가진단 몸체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두상 깊이정보 및 앞머리 헤어라인 정보를 식별하고, 앞머리 헤어라인의 경계에 위치한 모발의 밀도를 자동분석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형태에 적합한 헤어라인을 추천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앞머리 헤어라인을 선택하고 이미지화하여 디스플레이해주고, 추천 및 선택된 앞머리 헤어라인에 따른 모발 필요모수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식별 ID 입력부(210), 사용자 두상 분석부(220), 헤어라인 추천부(230), 필요모발 예측부(240)로 구성된다.
상기 식별 ID 입력부(210)는 자가진단할 인물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ID를 부여하고, 식별 ID 설정에 따른 성별 및 나이, 모발 자가진단 몸체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3차원 안면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 각각 식별 ID를 부여하고, 부여된 식별 ID별로 개인 정보를 분류하여 사용자의 로그인을 통해 이름, 성별, 나이 등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두상 촬영 정보, 접속날짜 정보, 기간별 헤어라인 변화 정보 등 사용자의 개인정보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식별 ID 입력부(100)는 일정한 주기별로 두상 이미지 촬영 알람을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주기별로 변화되는 헤어라인 비교사진을 촬영함으로써 탈모의 진행상황, 모발관리에 따른 변화되는 상황, 모발이식 수술후 경과를 주기적으로 자가진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두상 분석부(220)는 식별 ID 입력부의 각 식별 ID에 사용자의 3차원 두상 정보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눈·코·입·귀·이마·헤어라인의 키포인트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 맞춤형태의 3차원 두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3차원 두상 이미지 촬영단계(221), 탈모영역 판단단계(222), 모발밀도정보 판단단계(223)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3차원 두상 이미지 촬영단계(221)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얼굴인식영역 내에 사용자의 앞머리 헤어라인이 육안으로 관찰되도록 앞머리를 후방으로 넘긴 상태의 3차원 두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최초 두상 촬영모드, 최초 이미지 보간 촬영모드로 구성된다.
이때 3차원 두상 이미지 촬영단계(221)에서 선명하지 않은 형태의 3차원 깊이정보가 촬영되는 경우 선명하지 않은 3차원 두상 이미지를 기준으로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웹서버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두상 이미지 촬영정보와 가장 근접한 인종별 표준 두상 정보를 검출하고, 3차원 두상 방향 촬영정보와 검출된 두상 정보와 매칭시켜 촬영되지 않은 사용자의 두상 부분을 보간한다.
이를 통해 선명하지 않은 3차원 두상 이미지 촬영정보로도 사용자와 가장 근접한 형태의 두상 정보를 검출할 수 있어 오차범위를 최소화하는 사용자 두상의 형태의 3차원 가상 두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1)를 통해 개개인이 각각 획득한 3차원 사용자 두상 정보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웹서버에 추가적으로 저장되어 추후에 촬영되는 사용자 두상정보에 빅데이터 정보로 활용된다.
여기서, 탈모영역 판단단계(222)는 3차원 두상 데이터 매핑단계에서 매핑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헤어라인의 윤곽선 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 헤어라인 윤곽선 정보와, 추천 헤어라인 윤곽선 정보를 비교하여 탈모 경계영역을 특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모발밀도정보 판단단계(223)는 매핑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모발과 열굴 및 피부조직의 헤어라인의 윤곽선 부분을 자동확대하여 두피 내부에서 솟아오르는 모발의 끝점을 검출하고, 두피면적 당 모발의 평균분포 갯수를 파악하여 모발 밀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두상 분석부(220)는 사용자 두상 깊이정보 및 앞머리 헤어라인 정보, 모발 밀도 정보를 식별하여 모발이식 필요영역에 따른 필요한 모발의 갯수 오차를 최소화하고, 사용자의 전체적인 두상 형상과, 눈, 코, 입의 위치 및 비율에 조화를 이루도록 어울리는 앞머리 헤어라인을 제안할 수 있다.
상기 헤어라인 추천부(230)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웹서버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촬영된 사용자의 두상 이미지에 따라 사용자와 근접하는 가상 얼굴형상을 검출하고, 가상 얼굴형상에 적합한 앞머리 헤어라인 이미지 복수개를 자동 매칭시켜 순위별로 추천하고, 추천된 순위별 앞머리 헤어라인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가상얼굴 검출단계(231), 헤어라인 자동설정단계(232), 헤어라인 선택단계(233), 모발이식 영역판단단계(234), 필요모발수 예측단계(235)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상얼굴 검출단계(231)는 사용자 두상 분석부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라인 형상 및 눈·코·입·귀·이마·헤어라인 이미지를 기준으로 셋팅된 가상얼굴 형상과 가장 근접한 가상얼굴 형상을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헤어라인 자동설정단계(232)는 가상얼굴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가상얼굴에 적합한 가상 앞머리 헤어라인 순위를 순차적으로 대조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헤어라인 선택단계(233)는 헤어라인 자동설정단계에서 순차적으로 대조된 가상 앞머리 헤어라인 중 사용자가 직접 앞머리 헤어라인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모발이식 영역판단단계(234)는 헤어라인 선택단계에서 선택한 앞머리 헤어라인을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적용시켜 사용자의 앞머리 헤어라인과 선택된 가상 앞머리 헤어라인과의 이마 넓이 차이영역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필요모발수 예측단계(235)는 모발이식 영역판단단계에서 측정된 이마 넓이에 모발밀도 자동분석부에서 측정된 모발 밀도정보를 대비하여 필요모발을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라인 추천부(230)는 사용자의 두상과 가장 근접한 가상얼굴 형상을 검출하여 순차적으로 적합한 헤어라인을 대조하여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고, 선택된 헤어라인을 기준으로 사용자 앞머리 헤어라인과 대조하여 모발이식 필요영역을 특정하고 모발 밀도정보를 대비하여 3차원 깊이정보에 따른 사용자 맞춤형 필요모발수를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어, 탈모전문의사의 상담없이도 사용자가 직접 탈모 자가진단을 할 수 있고, 주기별 체크할 경우 탈모진행여부를 판단하여 탈모를 예방하도록 하고, 탈모진행에 따른 모발이식의 필요성을 고취시킬 수 있다.
상기 필요모발 예측부(240)는 식별 ID가 설정된 사용자의 모발밀도 자동분석부, 헤어라인 추천부에 따른 앞머리 헤어라인을 대조하여 사용자의 모발밀도 대비 모발필요영역을 측정하고, 필요모발 갯수를 예측하여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200)는 이벤트부(25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이는 포인트 적립부(251), 할인 이벤트부(252)로 구성된다.
상기 포인트 적립부(251)는 사용자가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휴병원에서 진단 및 수술시 회원전용 식별 ID를 추가적으로 부여받고, 회원전용 식별 ID로 로그인하여 포인트를 적립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출석 포인트 적립부(251a), 광고재생 포인트 적립부(251b), 구매 포인트 적립부(251c), 퀴즈 포인트 적립부(251d), 추천인 코드 적립부(251e)가 포함된다.
상기 출석 포인트 적립부(251a)는 사용자의 데이터가 저장된 식별 ID로 로그인하여 날자별 출석시 출석포인트를 적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고재생 포인트 적립부(251b)는 연계된 제휴병원에서 제공하는 광고를 재생하고, 광고재생이 끝나는 시점에 포인트를 적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매 포인트 적립부(251c)는 연계된 제휴병원의 탈모예방 용품 리스트를 표시하여 사용자 추천용품 광고를 형성하고, 포인트 적립 이벤트를 진행중인 탈모예방 용품 리스트를 구매시 포인트를 적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퀴즈 포인트 적립부(251d)는 탈모예방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고, 탈모예방관련 퀴즈를 풀어 정답을 맞출시 포인트를 적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추천인 코드 적립부(251e)는 사용자의 지인 및 소개로 제3자가 회원전용 식별 ID를 부여받아 사용자의 추천인 코드 입력시 사용자와 제3자의 회원전용 식별 ID에 각각 포인트를 적립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할인 이벤트부(252)는 연계된 제휴병원 리스트를 표시하여 광고를 형성하고, 연계된 제휴병원 방문시 포인트 적립부에서 적립된 포인트를 차감하여 할인 이벤트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부(250)는 사용자에게는 일정한 주기별로 헤어라인 상태를 판단하여 탈모의 자가진단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의 활용을 고취시키고, 퀴즈를 통해 모발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여 탈모가 더이상 진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연계병원 및 탈모제품 판매업체에게는 광고 마케팅효과 및 환자의 모집효과를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1)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먼저,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스마트 단말지지 홀더에 스마트 단말기를 고정시키고, 카메라 수신장치를 통해 유·무선으로 깊이 카메라, 스마트 단말기, 촬영 스위치를 연결시킨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좌·우측에 위치한 손잡이부를 그립하여 전체적인 얼굴과 앞머리 헤어라인이 잘 보이도록 깊이카메라의 위치를 잡은 후 촬영 스위치를 푸쉬하여 사용자 두상을 3차원 촬영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시킨다.
다음으로,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식별 ID 입력부를 통해 각 개인별 식별 ID 정보를 부여받고, 부여받은 식별 ID에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촬영된 3차원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웹 서버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3차원 사용자 두상 이미지 데이터에서 사용자의 얼굴형상, 눈·코·입·귀·이마·헤어라인 이미지를 검출하고, 사용자 두상 이미지 영역에서 모발과 얼굴 및 피부조직의 헤어라인 경계선 부분을 자동확대하여 두피 내부에서 솟아오르는 모발의 끝점을 검출하고, 두피면적 당 모발의 평균분포 갯수를 파악하여 모발 밀도를 측정한다.
다음으로, 웹서버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성별 및 나이 및 사용자의 눈·코·입·귀·이마·헤어라인에 따라 사용자와 근접하는 가상 얼굴형상을 검출하고, 가상 얼굴형상에 적합한 앞머리 헤어라인 이미지 복수개를 자동 매칭시켜 순위별로 추천하고, 추천된 순위별 앞머리 헤어라인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선택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앞머리 헤어라인 이미지와 실제 앞머리 헤어라인을 대조하여 모발밀도 대비 모발필요영역을 측정하고, 필요모발 갯수를 예측하여 안내한다.
이때,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과 연계된 제휴병원을 추천받고,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포인트를 적립하여 할인받는다.
100 : 모발 자가진단 몸체 110 :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
120 : 스마트 단말지지 홀더 130 : 카메라 수신장치
140 : 손잡이부 150 : 촬영 스위치
200 :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 210 : 식별 ID 입력부
220 : 사용자 두상 분석부 221 : 2차원 두상 이미지 촬영단계
222 : 키포인트 검출단계 223 : 3차원 두상 데이터 매핑단계
224 : 탈모영역 판단단계 225 : 모발밀도정보 판단단계
230 : 헤어라인 추천부 231 : 가상얼굴 검출단계
232 : 헤어라인 자동설정단계 233 : 헤어라인 선택단계
234 : 모발이식 영역단단단계 235 : 필요모발수 예측단계
240 : 필요모발 예측부 250 : 이벤트부
251 : 포인트 적립부 252 : 할인 이벤트부

Claims (7)

  1. 사각 프레임 구조로 사용자가 정면을 바라보며 양손으로 그립하여 얼굴의 정면에 위치시킨 후 두상의 깊이를 측정하고, 사용자의 앞머리 헤어라인을 촬영하는 모발 자가진단 몸체(100)와,
    모발 자가진단 몸체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두상 깊이정보 및 앞머리 헤어라인 정보를 식별하고, 앞머리 헤어라인의 경계에 위치한 모발의 밀도를 자동분석하고,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얼굴형태에 적합한 헤어라인을 추천하거나, 사용자가 직접 앞머리 헤어라인을 선택하고 이미지화하여 디스플레이해주고, 추천 및 선택된 앞머리 헤어라인에 따른 모발 필요모수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200)으로 구성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200)은
    자가진단할 인물정보를 식별할 수 있도록 식별 ID를 부여하고, 식별 ID 설정에 따른 성별 및 나이, 모발 자가진단 몸체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3차원 안면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식별 ID 입력부(210)와,
    식별 ID 입력부의 각 식별 ID에 사용자의 3차원 두상 정보를 촬영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눈·코·입·귀·이마·헤어라인의 키포인트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 맞춤형태의 3차원 두상 데이터를 분석하는 사용자 두상 분석부(220)와,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웹서버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설정된 사용자의 성별 및 나이, 촬영된 사용자의 두상 이미지에 따라 사용자와 근접하는 가상 얼굴형상을 검출하고, 가상 얼굴형상에 적합한 앞머리 헤어라인 이미지 복수개를 자동 매칭시켜 순위별로 추천하고, 추천된 순위별 앞머리 헤어라인 이미지 중 사용자가 선택하는 헤어라인 추천부(230)와,
    식별 ID가 설정된 사용자 두상 분석부, 헤어라인 추천부에 따른 앞머리 헤어라인을 대조하여 사용자의 이마에서 모발밀도 대비 모발필요영역을 측정하고, 필요모발 갯수를 예측하여 안내하는 필요모발 예측부(2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발 자가진단 몸체(100)는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상단 중앙에 슬라이드 구조로 탈결합되는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전방 중앙에 결합되는 깊이 카메라를 지지하는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110)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결합되는 스마트 단말기의 좌·우측을 지지하는 클립의 간격을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스마트 단말 지지 홀더(120)와,
    유선 및 블루투스, wifi 네트워크 송수신을 통해 깊이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깊이촬영 정보를 수신하여 스마트 단말기에 송신하는 카메라 수신장치(130)와,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좌·우 측면에 대칭으로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원형 봉 형상으로, 사용자가 모발 자가진단 몸체를 두손으로 안정적으로 그립하도록 형성되는 손잡이부(140)와,
    손잡이부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버튼 구조 또는 터치 구조 형상으로, 깊이 카메라 및 스마트 단말기와 블루투스 송수신을 통해 촬영하는 촬영 스위치(1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110)은
    사각 프레임 구조의 좌·우 양측에 수직 길이방향으로 레일 홈(111)이 형성되어 모발 자가진단 몸체의 상단 중앙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삽입되고, 사각 프레임의 하단 중앙에 깊이 카메라 고정프레임이 이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112)가 형성되고, 사각 프레임의 후면 상단 중앙에 카메라 수신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깊이 카메라(1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카메라 수신장치(130)는
    깊이 카메라 고정 프레임에 결합된 깊이 카메라, 스마트 단말지지 홀더에 결합되는 스마트 단말기, 촬영 스위치와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되어 촬영 스위치를 푸쉬하면 깊이 카메라로 3차원 촬영된 이미지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기에 저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 두상 분석부(220)는
    모발 자가진단 어플리케이션의 얼굴인식영역 내에 사용자의 앞머리 헤어라인이 육안으로 관찰되도록 앞머리를 후방으로 넘긴 상태의 3차원 두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3차원 두상 이미지 촬영단계(221)와,
    3차원 두상 데이터 매핑단계에서 매핑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헤어라인의 윤곽선 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 헤어라인 윤곽선 정보와, 추천 헤어라인 윤곽선 정보를 비교하여 탈모 경계영역을 특정하는 탈모영역 판단단계(222)와,
    매핑된 사용자 이미지에서 모발과 얼굴 및 피부조직의 헤어라인의 윤곽선 부분을 자동확대하여 두피 내부에서 솟아오르는 모발의 끝점을 검출하고, 두피면적 당 모발의 평균분포 갯수를 파악하여 모발 밀도를 측정하는 모발밀도정보 판단단계(223)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헤어라인 추천부(230)는
    사용자 두상 분석부에서 검출된 사용자의 안면 외곽라인 형상 및 눈·코·입·귀·이마·헤어라인 이미지를 기준으로 셋팅된 가상얼굴 형상과 가장 근접한 가상얼굴 형상을 검출하는 가상얼굴 검출단계(231)와,
    가상얼굴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가상얼굴에 적합한 가상 앞머리 헤어라인 순위를 순차적으로 대조하는 헤어라인 자동설정단계(232)와,
    헤어라인 자동설정단계에서 순차적으로 대조된 가상 앞머리 헤어라인 중 사용자가 직접 앞머리 헤어라인을 선택하는 헤어라인 선택단계(233)와,
    헤어라인 선택단계에서 선택한 앞머리 헤어라인을 사용자 얼굴 이미지에 적용시켜 사용자의 앞머리 헤어라인과 선택된 가상 앞머리 헤어라인과의 이마 넓이 차이영역을 측정하는 모발이식 영역판단단계(234)와,
    모발이식 영역판단단계에서 측정된 이마 넓이에 모발밀도 자동분석부에서 측정된 모발 밀도정보를 대비하여 필요모발을 예측하는 필요모발수 예측단계(235)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KR1020200161212A 2020-11-26 2020-11-26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KR10226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12A KR102267686B1 (ko) 2020-11-26 2020-11-26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US18/038,983 US20240005486A1 (en) 2020-11-26 2021-10-08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having improved self-diagnosis accuracy for hair, and self-diagnosis service device for hair by using same
PCT/KR2021/013878 WO2022114508A1 (ko) 2020-11-26 2021-10-08 모발 자가진단 정확성을 향상시킨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212A KR102267686B1 (ko) 2020-11-26 2020-11-26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686B1 true KR102267686B1 (ko) 2021-06-23

Family

ID=76598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212A KR102267686B1 (ko) 2020-11-26 2020-11-26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6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565A (ko) 2021-08-09 2023-02-16 김병구 모발 진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펌 시술방법
CN116705336A (zh) * 2023-07-19 2023-09-05 北京云数智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影像分析的智能化植发评估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89B1 (ko) 2016-01-22 2018-06-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기반의 두피 진단 정보 제공 방법
KR101946466B1 (ko) * 2017-03-21 2019-02-11 (주)이노진 탈모 진단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90123067A (ko) * 2018-04-23 2019-10-31 (주)이노진 탈모 진단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689B1 (ko) 2016-01-22 2018-06-2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기반의 두피 진단 정보 제공 방법
KR101946466B1 (ko) * 2017-03-21 2019-02-11 (주)이노진 탈모 진단을 위한 촬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KR20190123067A (ko) * 2018-04-23 2019-10-31 (주)이노진 탈모 진단 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2565A (ko) 2021-08-09 2023-02-16 김병구 모발 진단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열펌 시술방법
CN116705336A (zh) * 2023-07-19 2023-09-05 北京云数智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影像分析的智能化植发评估系统
CN116705336B (zh) * 2023-07-19 2024-02-09 北京云数智康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影像分析的智能化植发评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3068B1 (en) Body modeling and garment fitting using an electronic device
KR102267686B1 (ko) 모발 자가진단 서비스 장치
CN105844072B (zh) 刺激提示系统、刺激提示方法、计算机以及控制方法
KR102058733B1 (ko)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석으로 현재의 트렌드와 고객의 피부타입을 반영한 개인 맞춤형 화장품 자동 판매기
US20040143513A1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KR102339381B1 (ko) 자동 쇼핑 어시스턴트를 이용한 개인화 쇼핑을 위한 시스템, 플랫폼 및 방법
JP2004501463A (ja) 虹彩サイズを用いた人体顔面の画像からの対象物測定方法及び寸法決め方法
CN109983505A (zh) 人物动向记录装置、人物动向记录方法及程序
KR101807233B1 (ko) 피부 분석기를 이용한 피부 분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WO201607614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00099657A (ko) 관계 분석 방법, 관계 분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관계 분석 장치
US20130102854A1 (en) Mental state evaluation learning for advertising
US20050119539A1 (en) System for analyzing the skin
WO2004042511A2 (en)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programs to retail customers
KR20180000557A (ko) 미용실 스마트미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미용 서비스 방법
JP2021128807A (ja) 評価方法、評価装置および評価プログラム
US20130262182A1 (en) Predicting purchase intent based on affect
KR101996211B1 (ko) 미용실 운영 및 고객 관리 시스템
JP2012022538A (ja) 注目位置推定方法、画像表示方法、注目コンテンツ表示方法、注目位置推定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WO2018029963A1 (ja) メイクアップ支援装置およびメイクアップ支援方法
KR20180110842A (ko) 가상체험을 기반으로 하는 고객 맞춤형 반영구화장 시술 추천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2267688B1 (ko) 모발 자가진단 정확성을 향상시킨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JP745178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JP4924376B2 (ja) メイクアップ録画配信システム
US20240005486A1 (en) Method for executing application having improved self-diagnosis accuracy for hair, and self-diagnosis service device for hair by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