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245B1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245B1
KR102267245B1 KR1020200131684A KR20200131684A KR102267245B1 KR 102267245 B1 KR102267245 B1 KR 102267245B1 KR 1020200131684 A KR1020200131684 A KR 1020200131684A KR 20200131684 A KR20200131684 A KR 20200131684A KR 102267245 B1 KR102267245 B1 KR 10226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kin
mask
skin
no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6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기진
김용덕
강명수
Original Assignee
동명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산업(주) filed Critical 동명산업(주)
Priority to KR102020013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2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2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02Lining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capable of blocking harmful substances, facilitating breathing, or preventing fogging. The mask comprises: an outer skin unit; an inner skin unit; and a hanging unit. The outer skin unit has an area for covering a nose and a mouth and includes a first cover unit which allows an end to be bent toward the nose as an area for covering the nose an upper part. The inner skin unit has a space arranged inside the outer skin unit, allows both side end units and a lower end unit to be entirely fixed to the outer skin unit, and is upwardly opened between the outer skin unit and the inner skin unit, and includes a second cover unit arranged under the first cover unit and allowing an end to be bent toward the outer skin unit in an upper part. The hanging unit is formed to be hanged on ears in the both side end units of the outer skin unit and the inner skin unit fixed to each other.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발명은 유해물질이 차단되면서 호흡이 용이하고 또한 김 서림이 방지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that facilitates breathing while blocking harmful substances and prevents fogging.

마스크(mask)는 코와 입 등 호흡기를 가려 공기 중의 먼지, 분진, 악취, 유해가스 등이나 바이러스, 세균 등의 유해물질이 호흡기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방독면이나 방진마스크와 달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섬유재의 시트에 간단한 구조의 필터가 구비된 것이 대부분이다.A mask is designed to cover the respiratory tract, such as the nose and mouth, to prevent dust, dust, odor, and harmful gases in the air or harmful substances such as viruses and bacteria from entering the respiratory tract. Unlike a gas mask or dust mask, it is easy to carry. Most of the filters are provided with a simple structure on the sheet of fiber material so that this can be done.

한편, 산업화가 가속화되면서 환경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최근 신종 바이러스의 발현으로 인해 더 높은 수준의 마스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as industrialization accelerates, environmental pollutant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a higher level of mask is required due to the recent emergence of new viruses.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는 유해물질의 차단이 강화된 소재나 구조가 채용됨에 따라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이 불편하거나, 또는 날숨에 따른 배출 공기가 대부분 눈을 향해 상부로 배출되어 안경에 김 서림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mask, as a material or structure with enhanced blocking of harmful substances is employed, breathing is uncomfortable while wearing the mask, or most of the exhaust air due to exhalation is discharged toward the eye, so that the glasses are fogged. This is an easily generated problem.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95919호(2000.09.15 공고)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195919 (Announcement on September 15, 200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마스크 내로 배출된 공기가 마스크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김 서림이 방지되는 마스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sk in which fogging is prevented by minimizing the discharge of air discharged into the mask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s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코 및 입을 덮는 면적을 가지며 상부에 코를 덮는 영역으로서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1 커버부를 갖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양측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외피부의 양측단부 및 하단부에 전체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외피부와의 사이에서 상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제1 커버부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끝이 상기 외피부를 향해 굽은 제2 커버부를 갖는 내피부, 및 서로 고정된 상기 외피부 및 상기 내피부의 양측단부에서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한다.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skin having an area covering the nose and mouth and having a first cover portion bent toward the nose as an area covering the nose on the upper portion, both ends and both ends while being disposed inside the outer skin A second cover having a lower end fixed to both ends and a lower end of the outer skin as a whole and having a space open upwardly between the outer skin and being disposed under the first cover at the upper end and curved toward the outer skin It includes an inner skin having a portion, and a hook portion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hung on the ears at both ends of the outer skin and inner skin fix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상기 외피부는 상단부에서 상기 외피부의 끝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혀 재봉되면서 형성되는 외피 마감부를 가질 수 있다.In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kin may have an outer skin finish formed by folding and sewing the end of the outer ski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t the upper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상기 내피부는 상단부에서 상기 내피부의 끝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혀 재봉되면서 형성되는 내피 마감부를 가질 수 있다.In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kin may have an endothelial finish formed by folding and sewing the end of the inner skin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t the upper e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의 일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면으로부터 상단부 끝까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양측단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In the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virtual horizontal plane passing one point of the outer skin to the end of the upper end may be longer from both ends toward the center in the lateral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는, 코 및 입을 덮는 면적을 가지며, 상부에 코를 덮는 영역으로서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1 커버부를 갖는 외피부, 상기 외피부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양측단부가 상기 외피부의 양측단부에,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외피부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외피부와의 사이에서 상향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제1 커버부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2 커버부를 갖는 내피부, 및 서로 고정된 상기 외피부 및 상기 내피부의 양측단부에서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부를 포함한다.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rea covering the nose and mouth, the outer skin having a first cover portion bent toward the nose as an area covering the nose on the upper portion, and both ends while being disposed inside the outer skin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outer skin, and the lower end is entir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and has a space open upwardly between the outer skin and the end while being disposed under the first cover at the upper portion It includes an inner skin having a second cover portion bent toward the nose, and a hook portion formed so as to be able to be hung on the ears at both ends of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fixed to each other.

본 발명에 따르면, 날숨에 따라 배출된 공기가 외피부 및 내피부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 후 마스크의 상부로 이동시 제2 커버부에 의해 흐름이 차단되면서 다시 하향으로 안내됨으로써 마스크의 상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최소화되어 착용 안경에서의 김 서림이 방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discharged upon exhalation is discharged to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kin and the inner skin and then moves to the upper part of the mask, the flow is blocked by the second cover part and guided downward again, so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sk is minimized to prevent fogging of the wearing glasses.

또한, 외피부 및 내피부의 이중 구조를 취함으로써 외부 유해물질의 유입을 확실히 차단하면서도, 코에 대해서는 외피부의 제1 커버부로만 덮도록 구조화됨으로써, 코 및 입을 모두 이중 소재로써 덮는 종래의 마스크와 비교하여 코 호흡시 호흡이 더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taking a double structure of the outer skin and inner skin, while reliably blocking the inflow of external harmful substances, it is structured to cover only the first cover part of the outer skin with respect to the nose, thereby covering both the nose and the mouth with a double material. In comparis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breathing is easier when breathing through the nos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에 대응되는 사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크의 요부에 대응되는 사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에서 돌기부가 더 형성된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corresponding to the mask shown in FIG. 1;
3 is a view from above of the main part of the mask shown in FIG. 1;
4 is a photograph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 of the mask shown in FIG. 3;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mask shown in FIG. 1;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state wearing the mask shown in FIG. 1;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rotrusion is further formed in the mask shown in FIG. 1;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in part of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에 대응되는 사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의 요부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마스크의 요부에 대응되는 사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마스크의 요부 단면도, 그리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1 is a view showing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corresponding to the mask shown in FIG. 1, FIG. 3 is a view from above of the main part of the mask shown in FIG. 1, FIG. 4 is FIG. A photograph corresponding to the main part of the mask shown in 3 , FIG. 5 is a 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the mask shown in FIG. 1 , and FIG. 6 is a main part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sk shown in FIG. 1 is worn.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외피부(110), 내피부(120), 및 걸이부(130)를 포함한다.1 to 6 , the mask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skin 110 , an inner skin 120 , and a hook 130 .

외피부(110)는 예컨대 면 소재 등, 호흡 과정에서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outer skin 110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that can block harmful substances in the breathing process, such as, for example, cotton material.

외피부(110)는 제1 외피본체(111)와 제2 외피본체(112)가 서로 재봉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 및 입을 덮을 정도의 면적을 가진다. 외피부(110)는 제1 외피본체(111) 및 제2 외피본체(112)의 재봉 부분(113)이 외피부(110)의 중앙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outer skin 110 may be formed by sewing the first outer skin body 111 and the second outer skin body 112 to each other, and has an area sufficient to cover the nose and mouth. In the outer skin 110 , the sewing part 113 of the first outer skin body 111 and the second outer skin body 112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outer skin 110 .

외피부(110)는 외피부(110)의 일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면으로부터 상단부 끝까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양측단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갈수록 길어질 수 있다. 달리 말해 외피부(110) 상단부의 높이는 양측단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갈수록 수평면으로부터 높아진다.The outer skin 110 may have a vertical length from the virtual horizontal plane passing a point of the outer skin 110 to the end of the upper end toward the center from both ends in the lateral direction.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skin 110 increases from the horizontal plane toward the center along the lateral direction from both ends.

외피부(110)는 상단부에서 외피부(110)의 끝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혀 재봉되면서 형성되는 외피 마감부(114)를 가질 수 있다. 상단 끝부분에서의 외피부(110)의 내측면은 외피 마감부(114)에 의해 얼굴 쪽으로 더 돌출된다. 따라서 얼굴에 닿는 외피부(110) 상단부의 내측면은 외피 마감부(114)에 의해 얼굴에 더 밀착될 수 있다. The outer skin 110 may have an outer skin finish 114 formed by folding and sewing the end of the outer skin 11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t the upper e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110 at the upper end is further projected toward the face by the outer skin finish 114 .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skin 110 in contact with the face may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face by the outer skin finish 114 .

외피부(110)는 횡 방향의 중앙 부근 상부에서 코를 덮는 영역으로서 상단부의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1 커버부(115)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마스크(1)는 외피부(110)가 제1 커버부(115)를 가짐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1)를 착용했을 때 제1 커버부(115)가 착용자의 코를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덮는다.The outer skin 110 is a region covering the nose in the upper part near the cent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has a first cover part 115 with the tip of the upper end bent toward the nose. The mask 1 of this embodiment has the outer skin 110 having the first cover part 115, so that when the mask 1 is worn as shown in FIG. 6, the first cover part 115 is the wearer's It naturally adheres and covers the nose.

내피부(120) 또한 유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피부(120)는 제1 내피본체(121) 및 제2 내피본체(122)가 서로 재봉되어 내피부(120)를 형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제1 내피본체(121) 및 제2 내피본체(122)의 재봉 부분(123)이 내피부(120)의 중앙 부분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The inner skin 120 may also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capable of blocking harmful substances. In the endothelial skin 120 , the first endothelial body 121 and the second endothelial body 122 may be sewn together to form the inner skin 120 , and accordingly, the first endothelial body 121 and the second endothelial body 122 . ) of the sewing portion 123 is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inner skin (120).

내피부(120)는 상단부에 내피 마감부(124)를 가질 수 있다. 내피 마감부(124)는 착용 과정에서 코 밑에 닿을 수 있는데 코는 제1 커버부(115)가 밀착되어 덮인 상태이므로 내피 마감부(124)가 코 밑에 밀착될 필요는 없다. 양호한 착용감을 위해서도 코 밑에 접촉되는 내피부(120)의 면은 돌출 부분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고려하여 내피 마감부(124)는 외피 마감부(114)와 달리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 접혀 재봉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kin 120 may have an endothelial finish 124 at an upper end thereof. The endothelial finish 124 can be touched under the nose during the wearing process, and since the first cover part 11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nose, the endothelial finish 124 does not need to be in close contact under the nose. For a good fit, it is preferable that the surface of the inner skin 120 in contact under the nose does not have a protruding portion.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endothelial finish 124 may be formed while being folded and sewn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unlike the outer skin finish 114 .

내피부(120)는 외피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내피부(120)의 양측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외피부(110)의 양측단부 및 하단부에 전체적으로 재봉되면서 고정된다. 그에 따라 외피부(110)와 내피부(120)의 사이에 상향으로 개방된 공간(51)이 형성된다.The inner skin 120 is fixed while being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110, while the both ends and the lower end of the inner skin 120 are sewn as a whole to both ends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skin 110, respectively. Accordingly, an upwardly open space 51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kin 110 and the inner skin 120 .

내피부(120)는 횡 방향의 중앙 상부에 제1 커버부(115)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상단부의 끝이 외피부(110)를 향해 굽은 제2 커버부(125)를 갖는다. 제2 커버부(125)는 마스크(1)를 착용했을 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콧구멍 밑에 근접하여 위치된다. 제2 커버부(125)는 공간(51) 내로 배출된 공기가 상향으로 이동될 때 공기 흐름을 차단하여 공기가 마스크(1)의 상부로 배출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ner skin 120 has a second cover portion 125 disposed below the first cover portion 115 in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 end of the upper end is curved toward the outer skin 110 . The second cover part 125 is located close to the bottom of the nostril as shown in FIG. 6 when the mask 1 is worn. The second cover part 125 blocks the air flow when the air discharged into the space 51 moves upward to minimize the air being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sk 1 .

걸이부(130)는 서로 재봉되어 고정된 외피부(110) 및 내피부(120)의 양측단부에서 형성된다. 걸이부(130)는 예컨대 끈 형태일 수 있으며, 마스크(1)는 걸이부(130)에 의해 귀에 걸 수 있다.The hook 13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skin 110 and inner skin 120 that are sewn and fixed to each other. The hook 130 may be,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string, and the mask 1 may be hung on the ear by the hook 130 .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도 6와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 후 착용자의 날숨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제2 커버부(125)의 상면을 따라 하향 안내되면서 외피부(110)와 내피부(120) 사이의 공간(51)으로 유입된다. 공간(51)은 상향으로만 개방되어 있어 공간(51)으로 유입된 공기는 하향 이동 후 다시 상향 이동되는데, 이때 외피부(110) 쪽으로 굽은 형태를 갖는 제2 커버부(125)는 상향 이동되는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향 이동되는 공기는 제2 커버부(125)의 하면에 의해 상향 흐름이 차단되면서 다시 하향하도록 안내된다. 그에 따라 마스크(1)의 상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최소화되어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nd th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wearer's exhalation after wearing is guided downwar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125, and the outer skin 110 and inner skin 120 ) is introduced into the space 51 between the Since the space 51 is only opened upwar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51 moves upward again after downward movement.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part 125 having a curved shape toward the outer skin 110 is moved upward. It blocks the airflow. The upwardly moving air is guided downward again while the upward flow is block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125 . Accordingly,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sk 1 is minimized, thereby preventing the glasses from fogging up.

도 7은 전술한 마스크(1)에서 돌기부(52)가 더 형성된 예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공간(51) 내에서 공기의 상향 흐름을 더욱 최소화하기 위하여, 외피부(110)의 내측면 및/또는 내피부(120)의 외측면 상에서 공간(51)을 향해 돌출되면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기부(52)가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52)는 외피부(110)의 내측면 및/또는 내피부(120)의 외측면 상에 띠 형태의 마스크용 소재를 덧대어 재봉 등의 방식으로 부착함으로써 형성되거나 또는 외피부(110)의 내측면 및/또는 내피부(120)의 외측면 자체에 주름이 생기도록 가공 처리함으로써 형성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외피부(110)의 내측면 및 내피부(120)의 외측면 모두에 돌기부(52)가 형성된 예가 제시된다. 날숨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공간(51) 내에서 하향 이동된 후 상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돌기부(52)에 충돌되고 충돌 과정에서 지그재그 방향으로 흐름이 형성된다. 그 과정에서 외피부(110)의 내측면 및 내피부(120)의 외측면과 마찰하여 이동 속도가 늦춰진다. 그 후 제2 커버부(125)의 하면에 이르게 되어 제2 커버부(125)에 의한 차단 효과가 더해지면서 마스크(1)의 상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이 더욱 최소화된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protrusion 52 is further formed in the mask 1 described above. Th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pace 5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110 and/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120 in order to further minimize the upward flow of air in the space 51 . A plurality of protrusions 52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ile protruding toward may be form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otrusion 52 is formed by attaching a band-shaped mask material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110 and/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120 by sewing, or the like, or of the outer skin 110 . It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such as formed by processing the inner surface and/or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120 to wrinkle itself. 7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rotrusions 52 are formed on bo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120 . The air discharged through exhalation collides with the protrusion 52 in the process of moving upward after moving downward in the space 51 , and a flow is formed in the zigzag direction in the collision process. In the process, the movement speed is slowed by fri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11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kin 120 . After that, it reache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part 125 , and the blocking effect by the second cover part 125 is added, and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sk 1 is further minimiz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외피부(110) 및 내피부(120)로써 이중으로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구조이다. 그 때문에 입으로 호흡하는 경우는 들숨 때 호흡이 다소 불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코에 대해서는 이중으로 덮지 않고 외피부(110)의 제1 커버부(115)로만 덮기 때문에 코로 호흡하는 경우는 원활한 호흡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that doubles as an outer skin 110 and an inner skin 120 to block harmful substances. For this reason, breathing through the mouth may be somewhat uncomfortable when breathing in. However, since the mask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vers only the first cover part 115 of the outer skin 110 without double covering the nose, smooth breathing is possible when breathing through the nos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에 관하여, 도 8에 도시된 요부 단면도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as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n in FIG. 8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의 구성 중 전술한 일 실시예의 마스크(1)에 포함된 구성과 동일한 것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시하고 또한 이하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여 기재하되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일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신하며, 이하에서는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Amo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sk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nfiguration as included in the mask 1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lso used below.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replaced with a description in one embodiment, and a different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는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외피부(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내피부(120')는 외피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양측단부가 외피부(110)의 양측단부에 전체적으로 재봉되면서 고정된다. 다만 일 실시예와 다르게, 내피부(120')의 하단부는 외피부(110)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착용시 착용자의 코 아래에 가까운 외피부(110)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재봉되면서 고정된다.The mask 2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ame outer skin 110 as described in one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inner skin 120 ′ is fixed while being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110 and both ends are sewn to both ends of the outer skin 110 as a whole. However, unlike one embodimen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kin 120 ′ is not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skin 110 , but is fixed while being sewn as a whol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110 close to the wearer's nose when worn.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외피부(110)와 내피부(120') 사이에 공간(51')이 형성되는데, 일 실시예에서는 공간(51)이 외피부(110)의 하단부까지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에서 공간(51')은 외피부(110)의 상하방향 폭 중에서 대체로 중간보다 높은 영역에 형성된다.Therefore, even in this embodiment, a space 51 ′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kin 110 and the inner skin 120 ′. In one embodiment, the space 51 is formed up to the lower end of the outer skin 110 , but in this embodiment The space 51 ′ is formed in a region generally higher than the middle of the width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outer skin 110 .

내피부(120')는 상부에 제1 커버부(115)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2 커버부(125')를 갖는다. 내피부(120')는 마스크(2)를 착용했을 때 착용자의 코 밑을 향해 연장되면서 제2 커버부(125')가 코 밑이면서 인중의 상측 부근을 중심으로 하는 피부를 횡 방향을 따라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밀착된다. 본 실시예는 내피부(120')의 상단부가 피부에 접촉되므로 접촉 과정에서 양호한 착용감을 위해 접촉면에 돌출 부분이 형성되지 않도록, 본 실시예의 내피 마감부(124')는 일 실시예와 달리 내피부(120')의 끝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힌 채 재봉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inner skin 120' has a second cover part 125' disposed under the first cover part 115 on the upper part and the tip is bent toward the nose. When the inner skin 120' is extended toward the wearer's nose when the mask 2 is worn, the second cover part 125' naturally contacts the skin centered on the upper side of the pharynx under the nose along the lateral direction. become attached to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end of the inner skin 120' is in contact with the skin, so that a protruding portion is not formed on the contact surface for a good fit during the contact process, the endothelial finish portion 124' of this embodiment is different from the one embodiment of the inner skin ( 120') may be formed by sewing with the ends folded inward from the outside.

본 실시예에서도 도 1에서 참조되는 걸이부(130)가 형성된다. 걸이부(130)는 서로 고정된 외피부(110) 및 내피부(120')의 양측단부에서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hook 130 referenced in FIG. 1 is formed. The hook 130 is formed so that it can be hung on the ears at both ends of the outer skin 110 and the inner skin 120 ′ fixed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2)는 착용시, 외피부(110)와 내피부(120') 사이의 공간(51')이 제2 커버부(125')를 갖는 내피부(120')에 의해 외피부(110) 내측이면서 입 부근의 공간(53')으로부터 격리된다. 따라서, 입에 의한 날숨시 배출된 공기는 제2 커버부(125')를 갖는 내피부(120')에 의해 상향 이동이 차단된다. 그로 인해 마스크(2)의 상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최소화되어 착용 안경에 대한 김 서림이 방지된다.When the mask 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worn, the space 51 ′ between the outer skin 110 and the inner skin 120 ′ is externally formed by the inner skin 120 ′ having the second cover part 125 ′. While inside the skin 110, it is isolated from the space 53' near the mouth. Accordingly, the air discharged during exhalation through the mouth is blocked from moving upward by the inner skin 120 ′ having the second cover portion 125 ′. As a result, the air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sk 2 is minimized to prevent fogging of the wearing glasses.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실시예는 바람직한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련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나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is embodiment is only a preferred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is embodimen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embodiment.

1: 마스크 51,51': 공간
52: 돌기부 110: 외피부
111: 제1 외피본체 112: 제2 외피본체
114: 외피 마감부 115: 제1 커버부
120,120': 내피부 121: 제1 내피본체
122: 제2 내피본체 124,124': 내피 마감부
125,125': 제2 커버부 130: 걸이부
1: mask 51,51': space
52: protrusion 110: outer skin
111: first shell body 112: second shell body
114: outer shell finish 115: first cover portion
120, 120': inner skin 121: first endothelial body
122: second endothelial body 124, 124': endothelial end portion
125, 125': second cover part 130: hook part

Claims (5)

코 및 입을 덮는 면적을 가지며, 상부에 코를 덮는 영역으로서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1 커버부(115)를 갖는 외피부(110);
상기 외피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양측단부 및 하단부가 상기 외피부(110)의 양측단부 및 하단부에 전체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외피부(110)와의 사이에서 상향으로 개방되는 공간(51)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제1 커버부(115)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끝이 상기 외피부(110)를 향해 굽은 제2 커버부(125)를 갖는 내피부(120); 및
서로 고정된 상기 외피부(110) 및 상기 내피부(120)의 양측단부에서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부(110)의 일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면으로부터 상단부 끝까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양측단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an outer skin 110 having an area covering the nose and mouth, and having a first cover portion 115 with a tip bent toward the nose as an area covering the nose on the upper portion;
While disposed inside the outer skin 110, both ends and lower ends are entirely fixed to both ends and the lower end of the outer skin 110, and has a space 51 that is opened upwardly between the outer skin 110 and the outer skin 110. , the inner skin 120 having a second cover portion 125 disposed under the first cover portion 115 on the upper end and bent toward the outer skin 110; and
It includes a hook portion 130 formed so as to be hung on the ears at both ends of the outer skin 110 and the inner skin 120 fixed to each othe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virtual horizontal plane passing one point of the outer skin 110 to the end of the upper end increases from both ends to the center in the lateral dir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110)는 상단부에서 상기 외피부(110)의 끝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혀 재봉되면서 형성되는 외피 마감부(1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kin 110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uter skin finish portion 114 formed by folding the end of the outer skin 11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t the upper end and sew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피부(120)는 상단부에서 상기 내피부(120)의 끝이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접혀 재봉되면서 형성되는 내피 마감부(1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skin (120)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endothelial finish (124) formed by folding the end of the inner skin (12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t the upper end and sewing.
코 및 입을 덮는 면적을 가지며, 상부에 코를 덮는 영역으로서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1 커버부(115)를 갖는 외피부(110);
상기 외피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면서 양측단부가 상기 외피부(110)의 양측단부에,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외피부(110)의 내측면에 전체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외피부(110)와의 사이에서 상향으로 개방되는 공간(51')을 가지며, 상부에 상기 제1 커버부(115)의 아래에 배치되면서 끝이 코를 향해 굽은 제2 커버부(125')를 갖는 내피부(120'); 및
서로 고정된 상기 외피부(110) 및 상기 내피부(120')의 양측단부에서 귀에 걸 수 있도록 형성되는 걸이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외피부(110)의 일 지점을 지나는 가상의 수평면으로부터 상단부 끝까지의 상하방향 길이가 양측단부로부터 횡 방향을 따라 중앙으로 갈수록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an outer skin 110 having an area covering the nose and mouth, and having a first cover portion 115 with a tip bent toward the nose as an area covering the nose on the upper portion;
While being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outer skin 110, both ends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outer skin 110, and the lower end is entire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skin 110, between the outer skin 110 and an inner skin 120' having a space 51' open upward and having a second cover part 125' bent toward the nose while disposed under the first cover part 115 on the upper part; and
It includes a hook portion 130 formed so as to be hung on the ears at both ends of the outer skin 110 and the inner skin 120' fixed to each other,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length from the virtual horizontal plane passing one point of the outer skin 110 to the end of the upper end increases from both ends to the center in the lateral direction.
삭제delete
KR1020200131684A 2020-10-13 2020-10-13 Mask KR1022672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84A KR102267245B1 (en) 2020-10-13 2020-10-13 Mas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684A KR102267245B1 (en) 2020-10-13 2020-10-13 Mas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245B1 true KR102267245B1 (en) 2021-06-21

Family

ID=76600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684A KR102267245B1 (en) 2020-10-13 2020-10-13 Mas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24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19Y1 (en) 2000-03-15 2000-09-15 김열규 A mask of steam up prevention
KR100755274B1 (en) * 2007-05-25 2007-09-04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Mask
KR20100007100U (en) * 2008-12-31 2010-07-08 김승봉 Mask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919Y1 (en) 2000-03-15 2000-09-15 김열규 A mask of steam up prevention
KR100755274B1 (en) * 2007-05-25 2007-09-04 (주)한국원자력 엔지니어링 Mask
KR20100007100U (en) * 2008-12-31 2010-07-08 김승봉 Mask for protection against the col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4604B1 (en)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KR101854270B1 (en) Dust respirator
KR101710046B1 (en) A Mask Unit Having Defensing of a Glass Steam Removing
KR200456585Y1 (en) Mask
KR102568995B1 (en) Mask
JP2022136292A (en) mask
JPH105360A (en) Sanitary mask
KR20120055926A (en) The Dust Respirator
KR102267245B1 (en) Mask
KR20220025619A (en) Transparent type face mask with large volume of ventilation
KR20160133635A (en) A Mask Unit Having Defensing of a Glass Steam Removing
KR20220051946A (en) Mask
JP2015009151A (en) Medical face mask
KR102219597B1 (en) Mask for improving breath
KR102624660B1 (en) Mask
KR102265308B1 (en) Mask having functional nose support
JP3230429U (en) Mask separator and mask
KR20190002556U (en) Mask for blocking fine dust
CN107319653A (en) A kind of ventilative respirator
KR20210107233A (en) Mask
CN212911788U (en) Haze-proof mask
KR102185275B1 (en) Mask Tube
CN211751914U (en) Protective mask
RU214058U1 (e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KR102632090B1 (en) A Multipurpose Mask with an Inner Fenc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