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152B1 - Terminal Connector - Google Patents

Terminal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152B1
KR102267152B1 KR1020190143807A KR20190143807A KR102267152B1 KR 102267152 B1 KR102267152 B1 KR 102267152B1 KR 1020190143807 A KR1020190143807 A KR 1020190143807A KR 20190143807 A KR20190143807 A KR 20190143807A KR 102267152 B1 KR102267152 B1 KR 102267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connector
connector
elastic support
protrusion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6849A (en
Inventor
김세원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90143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152B1/en
Priority to KR1020210048190A priority patent/KR102267159B1/en
Publication of KR20210056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8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1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일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수단자(male terminal)가 배열된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 상기 메일 커넥터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메일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변형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암단자가 배열된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사이에서 상기 메일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수단자가 관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무빙 플레이트(moving p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ale terminal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re arranged;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one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and includ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projection portion; a female connector insertable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plurality of means;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between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female connector, and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male connector. plate) provides a terminal connector comprising a.

Description

터미널 커넥터{Terminal Connector}Terminal Connector

본 발명은 터미널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necto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the prior art.

터미널 커넥터는 전자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 부품이다. A terminal connector is a component configured to electrically connect electronic components.

도 1은 종래의 터미널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일 때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when a conventional terminal connector is assemble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터미널 커넥터(10)는 암단자(미도시)를 포함하는 피메일 커넥터(20), 암단자와 결합되는 수단자(32)를 포함하는 메일 커넥터(30) 및 무빙 플레이트(40)로 구성된다. 무빙 플레이트(40)는 피메일 커넥터(20) 및 메일 커넥터(30)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수단자(32)의 위치 결정 및 보호를 위해 구비된다. 무빙 플레이트(40)가 메일 커넥터(30)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피메일 커넥터(20)가 삽입된다. Referring to FIG. 1 , a conventional terminal connector 10 includes a female connector 20 including a female terminal (not shown), a male connector 30 including a male terminal 32 coupled to a female terminal, and a moving It consists of a plate (40). The moving plate 40 is configured to be movable between the female connector 20 and the male connector 30 , and is provided for positioning and protecting the means 32 . In a state where the moving plate 40 is inserted into the male connector 30 , the female connector 20 is inserted.

도 2는 종래의 무빙 플레이트가 메일 커넥터로부터 탈거(脫去)하는 경우의 터미널의 종단면도이다.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terminal when the conventional moving plate is detached from the male connector.

도 2(a)는 장축을 기준으로 절단한 종단면이다. 도 2(b)는 단축을 기준으로 절단한 종단면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터미널 커넥터(10)는 탈거시, 작업자의 성향에 따라, 상하 혹은 좌우로 기울어지며 탈거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힘이 가해진 부분만 결합 상태에서 이탈된다. 따라서, 무빙 플레이트(40) 중 상대적으로 힘을 덜 받는 미복귀 지점이 형성된다. 즉, 무빙 플레이트(40)가 상하 혹은 좌우로 기울어진 상태로 메일 커넥터(30) 내부에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기울어진 무빙 플레이트(40)를 수평으로 안착시키기 위하여 강제로 누르는 과정에서, 수단자(32)들에 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빙 플레이트(40)가 수평으로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피메일 커넥터(20)가 다시 삽입되는 경우, 수단자(32)가 암단자가 아닌 부적절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피메일 커넥터(20)의 격벽이 파손되거나 수단자(32)에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Figure 2 (a)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cut with respect to the long axis. Figure 2(b)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 cut based on the minor axis. 2(a) and 2(b), the conventional terminal connector 10 is detached by tilting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the operator when dismounting. In this case, only the portion to which the force is applied is released from the engaged state. Accordingly, a non-return point receiving relatively less force among the moving plate 40 is formed. That is, the moving plate 40 is present inside the male connector 30 in a state in which it is inclined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Therefore, in the process of forcibly pressing the workers to seat the inclined moving plate 40 horizontally, bending may occur in the means 32 . In addition, when the female connector 20 is re-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moving plate 40 is not seated horizontally, the means 32 may be coupled to an inappropriate position other than the female terminal.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artition wall of the female connector 20 is broken or the member 32 is deformed.

한편 도 1의 확대된 도면과 같이, 종래의 피메일 커넥터(20) 및 무빙 플레이트(40)는 용이한 체결 및 이탈을 위해, 각각 피메일측 체결부(22) 및 플레이트측 돌기(4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측 돌기(42)는 피메일측 체결부(22)에 걸어맞춤 되며 고정된다. 이때, 피메일측 체결부(22)는 경사진 면을 포함한다. 따라서, 피메일 커넥터(20)가 무빙 플레이트(40)에서 탈거될 때, 피메일측 체결부(22)의 경사를 따라 플레이트측 돌기(42)가 탈거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무빙 플레이트(4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탈거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선, 피메일측 체결부(22)와 플레이트측 돌기(42)의 물리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한정된 무빙 플레이트(40)만이 피메일 커넥터(20)에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서로 걸어맞출 수 있는 구조를 가진 무빙 플레이트(40)와 피메일 커넥터(20)를 선별해야하는 작업상 어려움이 존재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 , the conventional female connector 20 and the moving plate 40 have a female-side fastening part 22 and a plate-side protrusion 42 for easy fastening and disengagement, respectively. include The plate-side protrusion 42 is engaged and fixed to the female-side fastening portion 22 . In this case, the female-side fastening part 22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ly, when the female connector 20 is detached from the moving plate 40 , the plate-side protrusion 42 slides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female-side fastening portion 22 in the detachment direc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moving plate 40 . can be easily separated. However, in order to apply the above-described removal method, the female-side fastening portion 22 and the plate-side protrusion 42 must be phys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at is, only the limited moving plate 40 is applicable to the female connector 20 . Accordingly,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operation of selecting the moving plate 40 and the female connector 20 having a structure that can be engaged with each other.

이에, 본 발명은 터미널 커넥터 체결시, 무빙 플레이트를 수평으로 안착 시킴으로써, 단자들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터미널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onnector capable of preventing damage to terminals by horizontally seating a moving plate when the terminal connector is fasten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피메일 커넥터 탈거시, 작업자가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정위치로 자동 복귀되어, 별도의 탈거 구조를 갖추지 않아도 됨으로써, 여러 종류의 피메일 커넥터가 적용 가능한 터미널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 connector to which various types of female connectors can be applie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since when the female connector is removed, it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apply force, and there is no need to have a separate removal structure.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일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수단자(male terminal)가 배열된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 상기 메일 커넥터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메일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변형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암단자가 배열된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사이에서 상기 메일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수단자가 관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무빙 플레이트(moving plat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male terminal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re arranged;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one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the elastic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and includ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projection portion; a female connector insertable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plurality of means;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between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female connector, and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male connector. plate) provides a terminal connector comprising a.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메일 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일면에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배치하되, 수단자를 중심으로 일측에 한 쌍의 탄성지지부 중 하나를, 다른 하나를 그 맞은편 타측에 배치하되, 한 쌍의 탄성지지부 각각은 서로 상기 복수의 수단자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일 커넥터의 수단자가 무빙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무빙 플레이트가 상기 탄성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무빙 플레이트를 상기 메일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male connector, one of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means, and the other is plac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he male connector. arranging each of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so as to b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means; and coupling the moving plate to the male connector so that the means of the male connector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moving plate, and the moving plate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part. provide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터미널 커넥터는 탄성지지부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무빙 플레이트가 탈거됨으로써, 단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connector use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moving plate is removed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apply a physical forc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terminal.

또한, 무빙 플레이트는 별도의 탈거 구조를 갖지 않더라도, 다양한 타입의 커넥터에 적용이 가능하여, 선별에 따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moving plate does not have a separate detachment structure,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onnectors,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according to selection.


도 1은 종래의 터미널 커넥터의 각 구성요소가 분해될 때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무빙 플레이트가 메일 커넥터로부터 탈거하는 경우의 터미널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가 메일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를 Ⅵ-Ⅵ'을 따라 자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에 힘이 가해졌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가 메일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when each component of a conventional terminal connector is disassembled.
2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terminal when the conventional moving plate is removed from the male connector.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support unit is coupled to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VI' of the elastic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suppor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support unit is coupled to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numerals such as first, second, i), ii), a), b) may be used. These sign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signs. When a part in the specification 'includes' or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explicitly stated to the contrary.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 커넥터의 분해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터미널 커넥터(1)는 메일 커넥터(100), 탄성지지부(200), 피메일 커넥터(300) 및 무빙 플레이트(4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terminal connector 1 includes a male connector 100 , an elastic support unit 200 , a female connector 300 , and a moving plate 400 .

메일 커넥터(100)는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에 피메일 커넥터(300)가 삽입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일 커넥터(100)와 피메일 커넥터(300)는 각각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수단자(140) 및 암단자를 통해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된다. 복수의 수단자(140)가 암단자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수단자(140)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400)는 복수의 수단자(140)들이 관통하도록 구성된 관통홀(420)을 포함한다. 무빙 플레이트(400)는 피메일 커넥터(300)의 삽입을 가이드함으로써, 단자의 위치를 결정하고 보호하기 위해 구비된다. In the male connector 100 , the female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therein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e male connector 100 and the female connector 300 are electrically coupled through a plurality of means 140 and female terminals respectively disposed therein. Damage may occur to the means 140 while the plurality of means 140 are coupled to the female terminals. The moving plate 400 includes a through hole 420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means 140 . The moving plate 400 is provided to guide the insertion of the female connector 300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and to protect it.

탄성지지부(200)는 메일 커넥터(100)의 수용공간(120)의 일면 상에 배치되며, 메일 커넥터(100)와 무빙 플레이트(400) 사이에 배치된다. 탄성지지부(200)는 메일 커넥터(100)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된 돌출부(220) 및 수용공간(120)의 일면에 배치되며 돌출부(2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받침부(260) 포함한다. 피메일 커넥터(300)가 메일 커넥터(100)에 삽입될 때, 돌출부(220)는 최고(最高)점에서 무빙 플레이트(400) 일면과 접촉한다. The elastic support unit 20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20 of the male connector 100 , and is disposed between the male connector 100 and the moving plate 400 .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protrud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00 and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otrusion 220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and the accommodation space 120 and a support part 260 configured to support the protrusion 220 . ) are included.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male connector 100 , the protrusion 220 comes into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moving plate 400 at the highest point.

탄성지지부(200)는 탄성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컨대, 탄성지지부(200)의 재료로 금속이 선택될 수 있다. 금속은 연성 및 전성이 크기 때문에, 탄성지지부(200) 제작시에 유리하다. 또한, 복원력이 큰 금속의 경우에, 작업자는 피메일 커넥터(300) 탈거시 더 용이하게 수행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을 갖는 재료라면 다양한 재료가 선택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y be selected as the material of the elastic support 200 . Since the metal has great ductility and malleability, it is advantageous in manufacturing the elastic support unit 200 .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metal having a large restoring force, the operator can more easily perform the removal of the female connector 3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aterials may be selected as long as the material has elasticity.

돌출부(220)가 탄성을 가지며 메일 커넥터(100)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어 탄성지지부(200)는 대략 판스프링 구조를 갖는다. 피메일 커넥터(300) 탈거시, 작업자가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판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인해, 무빙 플레이트(400) 및 피메일 커넥터(300)가 자동적으로 탈거되며 정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피메일 커넥터(300) 및 무빙 플레이트(400)는 별도의 탈거 구조를 갖추지 않아도 탈거가 용이하다. 따라서, 다종류의 피메일 커넥터가 터미널 커넥터(1)에 적용가능하다. 그러므로, 무빙 플레이트(400)와 결합 가능한 피메일 커넥터(300)를 선별하기 위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업무 효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protrusion 220 has elasticity and protrude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00 , the elastic support unit 200 has a substantially plate spring structure.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removed, even if an operator does not apply a physical force, the moving plate 400 and the female connector 300 are automatically removed and restored to their original positions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leaf spring. For this reason, the female connector 300 and the moving plate 400 are easy to remove even without a separate removal structure. Accordingly, various types of female connectors are applicable to the terminal connector 1 . Therefore, the working time for selecting the female connector 300 that can be combined with the moving plate 400 is shortened,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한편, 탄성지지부(200)의 자세한 구조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한다.Meanwhil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elastic support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가 메일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support unit is coupled to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메일 커넥터(100)는 체결홈(160)을 포함하고, 탄성지지부(200)는 체결홈(160)과 끼움 결합 가능한 체결돌기(240)를 포함한다. 따라서, 메일 커넥터(100)가 별도의 고정장치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탄성지지부(200)가 메일 커넥터(100)에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ale connector 100 includes a fastening groove 160 , and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includes a fastening protrusion 240 that can be fitted with the fastening groove 160 . Accordingly, even if the male connector 100 does not include a separate fixing device, the elastic support 200 may be fixed to the male connector 100 .

한편, 탄성지지부(200)는 단측면 부근의 일측 및 그 맞은편 타측에 복수의 수단자(140)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탄성지지부(200)는 메일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피메일 커넥터(300)가 메일 커넥터(100)에 삽입될 때, 피메일 커넥터(300)의 일측에만 힘이 가해지더라도, 무빙 플레이트(400)가 가능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무빙 플레이트(400)의 상하 좌우 방향으로 균일한 힘이 제공되어, 일 방향으로 무빙 플레이트(400)가 기울어지는 문제점이 개선될 수 있다. 무빙 플레이트(400)가 수평인 상태로 원복되면, 피메일 커넥터(300)와 재결합시에도 수평 상태로 결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단자(140)에 손상 발생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support unit 200 may be arranged as a pair around the plurality of means 140 on one side near the short sid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it. In this case, each of the elastic support units 200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ral axis of the male connector 100 . Accordingly,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inserted into the male connector 100 ,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only one side of the female connector 300 , the moving plate 400 can be kept as horizontal as possible. That is, a uniform force is provid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of the moving plate 400 , so that the problem of inclination of the moving plate 400 in one direction can be improved. When the moving plate 400 is restored to a horizontal state, it is possible to couple to the female connector 300 in a horizontal state even when recombine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means 14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를 Ⅵ-Ⅵ'을 따라 자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에 힘이 가해졌을 때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support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VI-VI' of the elastic support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200)는 돌출부(220), 체결돌기(240) 및 받침부(260)를 포함하는, 대략 판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includes a protrusion 220 , a fastening protrusion 240 , and a support part 260 , and is approximate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돌출부(220)의 적어도 일부는 피메일 커넥터(300) 삽입시, 무빙 플레이트(4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돌출부(220)는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돌출부(220)는 무빙 플레이트(4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돌출부(220)는 제1 굽힘부(222) 및 제2 굽힘부(224)를 포함한다.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220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moving plate 400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inserted. 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 220 is configured to be elastically deformable, the protrusion 220 may provide an elastic force to the moving plate 400 . Meanwhile, the protrusion 220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222 and a second bent portion 224 .

제1 굽힘부(222)는 메일 커넥터(100)에 무빙 플레이트(400) 및 피메일 커넥터(300)가 결합될 때, 무빙 플레이트(400)의 하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1 굽힘부(222)는 받침부(260)로부터 메일 커넥터(100)의 높이 방향으로 최장거리 이격되어 있는 부분이다. 제1 굽힘부(222)는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어, 무빙 플레이트(400)가 메일 커넥터(10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어지더라도 쉽게 복원될 수 있다.The first bent portion 222 is a portion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400 when the moving plate 400 and the female connector 300 are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100 . Accordingly, the first bent portion 222 is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ortion 260 by the longest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00 . Since the first bent portion 222 is gently bent, it can be easily restored even if the moving plate 400 is inclined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00 .

제1 굽힘부(222)는 받침부(260)의 폭 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분기점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한 쌍의 탄성지지부(200)가 좌우 대칭형으로 배치될 경우, 상하 혹은 좌우로 균일한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굽힘부(222)가 받침부의 폭 방향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bent part 222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art 260 in the branching direction. Accordingly, when the pair of elastic support units 200 are symmetrically disposed as shown in FIG. 4 , uniform elastic force can be provid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bent part 222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support part in the width direction.

제2 굽힘부(224)는 받침부(260)로부터 돌출부(220)가 분기되는 지점과 제1 굽힘부(222) 사이에서 형성된 부분이다. 돌출부(220)가 받침부(260)와 일체로 형성되며, 받침부(260)로부터 분기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돌출부(220)의 일단에 제2 굽힘부(224)가 형성된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제2 굽힘부(224)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2 굽힘부(224) 대신 힌지(hinge) 형태의 체결부로 대체 가능하다.The second bent portion 224 is a portion formed between the branching point of the protrusion 220 from the support portion 260 and the first bent portion 222 . Since the protrusion 22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support 260 and has a branching structure from the support 260 , the second bent portion 224 is formed at one end of the protrusion 22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including the second bent part 224 , and a hinge-type fastening part may be used instead of the second bent part 224 .

돌출부(220)는 제3 굽힘부(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굽힘부(226)는 제1 굽힘부(222)와 돌출부(220)의 일단의 사이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220)의 일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메일 커넥터(100)의 일면과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평행면을 슬라이딩면(228)이라고 정의한다.The protrusion 22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bent portion 226 . The third bent portion 226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222 and one end of the protrusion 220 . Accordingly, a portion including one end of the protrusion 220 may be configured to b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100 . This parallel plane is defined as the sliding plane 228 .

슬라이딩면(228)은 돌출부(220)가 제3 굽힘부(226)를 포함함으로써 형성된다. 슬라이딩면(228)은 돌출부(220)의 일단과 제3 굽힘부(226)의 사이에서 형성된다. 슬라이딩면(228)은 메일 커넥터(100)의 일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딩면(228)은 폭과 너비를 갖는 판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라이딩시에, 메일 커넥터(100)와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마찰력이 증가한다. 돌출부(220)가 한번에 미끄러지지 않아 슬라이딩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무빙 플레이트(4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sliding surface 228 is formed by the protrusion 220 including the third bend 226 . The sliding surface 228 is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protrusion 220 and the third bent portion 226 . The sliding surface 228 is configured to slide on one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100 . The sliding surface 228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plate shape having a width and a width. Accordingly, during slid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male connector 100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Since the protrusion 220 does not slide at once, the sliding effect may be enhanced. In addition, the moving plate 400 may be stably supported.

슬라이딩면(228)의 적어도 일부에는 마찰감소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마찰감소부는 탄성지지부(200)보다 마찰계수가 더 작은 소재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딩면(228)이 마찰감소부를 포함함으로써, 슬라이딩면(228)이 메일 커넥터(100)의 일면에서 슬라이딩할 때, 메일 커넥터(100)의 마모가 방지될 수 있다. A friction reducing part (not shown) may be coupl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liding surface 228 . The friction reducing part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maller coefficient of friction than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 Since the sliding surface 228 includes a friction reducing portion, when the sliding surface 228 slides on one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100 , wear of the male connector 100 can be prevented.

체결돌기(240)는 받침부(260)의 적어도 일측에서 돌출된 돌기이다. 메일 커넥터(100)의 체결홈(160)에 체결돌기(240)가 삽입되면서, 탄성지지부(200)가 메일 커넥터(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체결돌기(240)는 바람직하게는 단측면에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지지부(200)의 고정력 및 메일 커넥터(100)와의 체결 위치에 따라 장측면에 체결돌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실시예는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fastening protrusion 240 i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ide of the support part 260 . As the fastening protrusion 2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60 of the male connector 100 , the elastic support 200 may be fixed to the male connector 100 . On the other h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40 is preferably formed on the short si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astening protrusion 240 may be included on the long side according to the fixing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unit 200 and the fastening position with the male connector 100 . A corresponding embodiment is shown in FIG. 9 ,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in FIG. 9 .

받침부(260)는 제2 굽힘부(224)를 통해 돌출부(220)와 연결되며, 돌출부(2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부(260)는 대략 환형이다. 따라서, 안정적으로 돌출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 받침부(260)가 환형으로 형성될 시, 받침부 내부 공간에 제1 가이드면(262) 및 제2 가이드면(미도시)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220)의 적어도 일 측면과 대면하며 돌출부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받침부(260)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이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에서 자세히 설명한다.The support part 260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220 through the second bent part 224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rotrusion 220 . Preferably, the abutment 260 is approximately annula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protrusion 220 . When the support part 260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the first guide surface 262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not shown) are included in the space inside the support part. In this case, it may face at least one side of the protrusion 220 and guide the protrus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nnular support portion 260 as shown, and various shapes may be selected.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피메일 커넥터(300) 체결 전/후의 탄성지지부(200)의 형상을 비교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돌출부(220)에 피메일 커넥터(300) 삽입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돌출부(220)의 적어도 일 측면이 제1 가이드면(262) 또는 제1 맞은편에 형성된 제2 가이드면(미도시)과 접촉하며, 각 가이드면을 따라 슬라이딩한다.5 and 7 , the shape of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before and after the female connector 300 is fastened can be compared.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protrusion 220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emale connector 300 as sh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shown in FIG. 7 , at least one side of the protrusion 220 is placed on the first guide surface 262 or the first opposite side. It is in contact with the formed second guide surface (not shown), and slides along each guide surface.

제1 굽힘부(222)는 피메일 커넥터(300)가 완전히 체결되더라도, 즉 최대로 힘이 가해지더라도 180도 보다 작은 각도를 유지한다. 즉, 돌출부(220)는 수평으로 연장되지 않고 일정한 각도를 유지함으로써, 탄성을 잃지 않을 수 있다. 작업자가 물리적으로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돌출부(220)가 원복되며 무빙 플레이트(400)를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피메일 커넥터(300) 탈거시 자동 복귀가 용이하다. 이로인해, 피메일 커넥터(300)의 탈거시 강제로 힘을 가하게 되어 수단자(140)에 손상이 가해지고,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bent portion 222 maintains an angle of less than 180 degrees even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completely fastened, that is, even when a maximum force is applied. That is, the protrusion 220 may not lose elasticity by maintaining a constant angle without extending horizontally. Even if the operator does not physically apply a large force, the protrusion 220 is restored and the moving plate 400 is pushed out. Therefore, it is easy to automatically return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removed. For this reason,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removed, a force is forcibly applied, so that damage is applied to the means 140 and deformation can be prevented.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의 사시도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support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탄성지지부(800)의 받침부(860)는 직선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지지부(200)는 돌출부(220)의 길이가 환형 받침부(260)의 내부에 형성된 제1 가이드면(262) 및 제2 가이드면(미도시)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프레스 성형으로 제작함에 있어 어려움이 존재할 수 있다. 하지만, 받침부(860)가 직선형으로 형성될 경우, 환형일때보다 제작 과정이 용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 the support part 860 of the elastic support part 800 is linear. In the elastic suppo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220 is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guide surface 262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not shown) formed in the annular support portion 260 . It can be formed long. In this case, there may be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by press molding. However, when the support part 860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the manufacturing process may be easier than when it is annular.

한편, 탄성지지부(800)는 체결돌기(8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돌기(840)를 포함하지 않더라도, 메일 커넥터(100)의 체결홈(160)에 체결가능하도록 탄성지지부(800)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Meanwhile, the elastic support part 800 may include a fastening protrusion 840 . However, even if the fastening protrusion 840 is not included, the length of the elastic support part 800 may be extended to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160 of the male connector 100 .

상기한 점들에 비추어 보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800)의 받침부(860)가 직선형으로 형성될 경우,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지지부(200)가 환형일 때보다 설계 및 제조에 있어 용이할 수 있다.In light of the above points, when the support part 860 of the elastic support part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and improved than when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annular. It may be easy to manufacture.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20)는 일 실시예에 의한 돌출부(220)와 동일한 형상 및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가 메일 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Meanwhile, the protrusion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the same shape and characteristics as the protrusion 2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9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lastic support unit is coupled to a male 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메일 커넥터(100)의 수용공간(120)의 일면 상에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한 쌍의 탄성지지부(900)는 메일 커넥터(100)의 장측면 부근의 일측 및 그 맞은편 타측에 복수의 수단자(140)를 중심으로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탄성지지부(900)는 메일 커넥터(100)의 폭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대칭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메일 커넥터(100)의 폭 방향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좌우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메일 커넥터(300) 탈거시, 피메일 커넥터(300) 및 무빙 플레이트(400)에 더 강한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 a pair of elastic support units 900 may be further includ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20 of the male connector 100 .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900 may be arranged as a pair around the plurality of means 140 on one side near the long side of the male connector 10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hereto. In this case, each of the elastic support parts 900 is preferably arrang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10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le connector 100 from tilting left and righ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in the width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female connector 300 is removed, a stronger restoring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female connector 300 and the moving plate 400 .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9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200)와는 달리, 받침부(960)의 장측면에 체결돌기(940)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940)는 메일 커넥터(100)의 내부 장측면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된다. 따라서,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900)가 메일 커넥터(100)에 고정될 수 있다.In the elastic support part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unlike the elastic support pa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astening protrusion 940 may be formed on the long side surface of the support part 960 . The fastening protrusion 94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groove formed on the inner long side of the male connector 100 . Accordingly, the elastic support unit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may be fixed to the male connector 100 .

본 실시예에 따른 탄성지지부(900)의 돌출부(920)의 길이는 받침부(960)의 길이에 상응하게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protrusion 920 of the elastic support 9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to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support 960 .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일 커넥터(100)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20)의 일면에 한 쌍의 탄성지지부(200)를 메일 커넥터(100)에 배치된 복수의 수단자(140)를 중심으로 일측에 하나를, 다른 하나를 그 맞은편 타측에 배치하되, 한 쌍의 탄성지지부 각각은 복수의 수단자(140)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메일 커넥터(100)의 복수의 수단자(140)가 무빙 플레이트(400)의 관통홀(420)을 관통하고, 무빙 플레이트(400)가 탄성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도록 무빙 플레이트(400)를 메일 커넥터(100)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미널 커넥터(1)의 제조방법을 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200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120 formed inside the male connector 100 , and a plurality of means 140 are arranged in the male connector 100 . A step of arranging one on one side and the other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center, each of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being symmetrical about the plurality of means 140, and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100 The moving plate 400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100 so that the means 140 of the moving plate 4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420 of the moving plate 400 , and the moving plate 400 is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unit 200 . Discloses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erminal connector (1) comprising the step of making.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is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is embodiment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intended to explain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embodiment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embodiment.

10: 터미널 커넥터 20: 피메일 커넥터
30: 메일 커넥터 40: 무빙 플레이트
100: 메일 커넥터 200: 탄성지지부
220: 돌출부 240: 체결돌기
260: 받침부 300: 피메일 커넥터
400: 무빙 플레이트 800: 탄성지지부
900: 탄성지지부
10: terminal connector 20: female connector
30: male connector 40: moving plate
100: male connector 200: elastic support part
220: protrusion 240: fastening protrusion
260: support 300: female connector
400: moving plate 800: elastic support part
900: elastic support

Claims (11)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일면에서 돌출된 복수의 수단자(male terminal)가 배열된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
상기 메일 커넥터의 상기 일면 상에 배치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메일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며 탄성변형 가능한 돌출부를 포함하는 탄성지지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가능하고, 상기 복수의 수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된 복수의 암단자가 배열된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탄성지지부 및 상기 피메일 커넥터의 사이에서 상기 메일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수단자가 관통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관통홀을 포함하는 무빙 플레이트(moving plate)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일 커넥터에 상기 무빙 플레이트 및 상기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하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굽힘부; 및
상기 제1 굽힘부와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받침부로부터 분기되는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굽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a male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male terminals protruding from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therein are arranged;
a support portion disposed on the one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and an elastic support portion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protruding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and includ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projecting portion;
a female connector insertable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and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able to the plurality of means; and
A moving plate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configured to be movable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between the elastic support part and the female connector,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means. ), including
The protrusion is
a first bending part configured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moving plate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point at which the protrusion diverges from the support portion
Terminal connector comprising a.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굽힘부와 상기 돌출부의 일단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제3 굽힘부 및
상기 돌출부의 일단과 상기 제3 굽힘부의 사이에서 형성되며, 상기 메일 커넥터의 일면 상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딩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protrusion is
a third bent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and one end of the protrusion; and
and a sliding surface formed between one end of the protrusion and the third bent portion and configured to slide on one surface of the male connec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마찰감소부가 결합되되,
상기 슬라이딩면과 상기 메일 커넥터간의 마찰계수보다 상기 마찰감소부와 상기 메일 커넥터간의 마찰계수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4. The method of claim 3,
A friction reducing part is coupled to at least part of the sliding surface
and a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friction reducing portion and the male connector is smaller than a coefficient of friction between the sliding surface and the mal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굽힘부가 상기 받침부의 폭 방향의 중심축으로부터 분기점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bent portion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entral ax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branch poin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는 복수의 수단자를 중심으로 단측면 부근의 일측 및 그 맞은편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지지부 각각은 상기 메일 커넥터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male connector includes a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ide near the short sid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he plurality of means,
Each of the elastic support parts is a termin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so as to be symmetrical about a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일 커넥터는 복수의 수단자를 중심으로 장측면 부근의 일측 및 그 맞은편 타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탄성지지부 각각은 상기 메일 커넥터의 폭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좌우 및 상하대칭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mal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respectively disposed on one side near the long side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he long side around the plurality of means,
Each of the elastic support parts is a termin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so as to be symmetrical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about a central ax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le connec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적어도 일측에서 돌출된 하나 이상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일 커넥터는 상기 체결돌기가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체결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part includes one or more fastening protrusions protruding from at least one side,
The male connector is a termin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astening groove configured to fit the fastening proj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적어도 일부는 직선형이며, 상기 받침부의 적어도 일단이 상기 체결홈에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9. The method of claim 8,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art is linear, and at least one end of the support part is configured to be fit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돌출부를 감싸도록 적어도 일부가 환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connecto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so as to surround the protrusion.
메일 커넥터 내부에 형성된 수납공간의 일면에 한 쌍의 탄성지지부를 배치하되, 상기 메일 커넥터의 복수의 수단자를 중심으로 일측에 한 쌍의 탄성지지부 중 하나를, 다른 하나를 그 맞은편 타측에 배치하되, 한 쌍의 탄성지지부 각각은 서로 상기 복수의 수단자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일 커넥터의 수단자가 무빙 플레이트의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무빙 플레이트가 상기 탄성지지부의 돌출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상기 무빙 플레이트를 상기 메일 커넥터에 결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메일 커넥터에 상기 무빙 플레이트 및 피메일 커넥터가 결합될 때, 상기 무빙 플레이트의 하면과 적어도 일부가 접촉하도록 구성된 제1 굽힘부; 및
상기 제1 굽힘부와 상기 돌출부가 받침부로부터 분기되는 지점 사이에 형성되는 제2 굽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커넥터의 제조방법.
A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formed inside the male connector, and one of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is disposed on one side around the plurality of means of the male connector and the other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he male connector. , arranging each of the pair of elastic support parts so as to be left and righ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means; and
coupling the moving plate to the male connector such that the means of the male connector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moving plate, and the moving plate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of the elastic support part.
including,
The protrusion is
a first bending part configured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a lower surface of the moving plate when the moving plate and the female connector are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A second bent portion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and a point at which the protrusion diverges from the support portio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erminal connector comprising a.
KR1020190143807A 2019-11-11 2019-11-11 Terminal Connector KR1022671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07A KR102267152B1 (en) 2019-11-11 2019-11-11 Terminal Connector
KR1020210048190A KR102267159B1 (en) 2019-11-11 2021-04-14 Terminal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07A KR102267152B1 (en) 2019-11-11 2019-11-11 Terminal Connecto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90A Division KR102267159B1 (en) 2019-11-11 2021-04-14 Termin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49A KR20210056849A (en) 2021-05-20
KR102267152B1 true KR102267152B1 (en) 2021-06-21

Family

ID=761429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07A KR102267152B1 (en) 2019-11-11 2019-11-11 Terminal Connector
KR1020210048190A KR102267159B1 (en) 2019-11-11 2021-04-14 Terminal Connecto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90A KR102267159B1 (en) 2019-11-11 2021-04-14 Terminal Conn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6715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455B1 (en) 2022-02-11 2024-04-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Moving plat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20230172299A (en) 2022-06-15 2023-12-2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Moving plate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6076A (en) * 2012-12-06 2014-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Lever-type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8183U (en) * 1992-12-04 1994-06-28 関東自動車工業株式会社 Connector structure
JPH1041019A (en) * 1996-07-25 1998-02-13 Dai Ichi Denshi Kogyo Kk Electric connector
KR101872842B1 (en) * 2016-11-08 2018-06-2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Connector for preventing bending of termi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16076A (en) * 2012-12-06 2014-06-26 Sumitomo Wiring Syst Ltd Lever-type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849A (en) 2021-05-20
KR102267159B1 (en) 2021-06-21
KR20210056957A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7159B1 (en) Terminal Connector
US6547608B2 (en) Receptacle terminal and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with pin terminal
CN107039806B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10756475B2 (en) Holding frame for a heavy plug-type connector
JP2001208935A (en) Connection structure of optical connector
JP6058355B2 (en) connector
US20190115679A1 (en) Two piece clean body female electric terminal
US10283889B2 (en) Electrical terminal with balanced front end protection
US6491442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in which an optical fiber is protected even when connection is not made
US20130129284A1 (en) Electrical-optical hybrid connector and receptacle thereof
KR101514372B1 (en) Connector
US20060280409A1 (en) Optical connector
KR100228457B1 (en) Connector device
US9583872B2 (en)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elastic engaging portion
CN109950728B (en) Electrical terminal assembly with split shroud
US11137554B2 (en) Optical connection structure
CN104979719A (en) Usb receptacle
US11509086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843129B1 (en) Plug-and-socket connector for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KR20220088042A (en) Rearholder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US7927150B2 (en) Connectors including spring tabs for holding a contact module
CN112886324A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20170135A (en) MPO optical connector plug
JP2020031053A (en) Contact assembly
KR102617534B1 (en) Plug, receptacle and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