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070B1 -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070B1
KR102267070B1 KR1020200117505A KR20200117505A KR102267070B1 KR 102267070 B1 KR102267070 B1 KR 102267070B1 KR 1020200117505 A KR1020200117505 A KR 1020200117505A KR 20200117505 A KR20200117505 A KR 20200117505A KR 102267070 B1 KR102267070 B1 KR 102267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unit
microbubbles
flock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일형
Original Assignee
(주)지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지티앤 filed Critical (주)지티앤
Priority to KR102020011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0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를 위한 유입수 전체 용량에 대하여 전량이 처리수화 함에 있어 처리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러지 분리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되는 폐수와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서로 혼합시키는 폐수공급부와, 상기 폐수공급부와 관 연결되되 폐수와 공기를 서로 충돌시켜 상기 폐수공급부에서 생성된 미세기포보다 더 작은 미세기포의 계면(界面)에 해당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인 소수성 입자를 흡착시켜 플록복합체를 형성하는 응집플록부와, 상기 응집플록부와 관 연결되되 상기 응집플록부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보다 더 작은 크기의 미세기포를 전기분해로 생성하여 플록복합체의 부상(浮上)을 용이하게 하는 반응부 및 일측이 상기 반응부와 관 연결되어 부상된 플록복합체를 폐수와 함께 수용하되 수용된 해당 플록복합체와 폐수가 회전에 의해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되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어 개별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System for treating sludge in a wastewaterfacility}
본 발명은 슬러지 처리를 위한 유입수 전체 용량에 대하여 전량이 처리수화 함에 있어 처리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슬러지 분리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미세버블에 의해 유체 상부로 부상(浮上)시켜 처리하는 용존공기부상조(DAF)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응집혼화조 및 용존공기부상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용존공기부상조는 미세버블의 생성을 위해 처리수 일부를 환수(또는 반송수)시켜 사용한다.
일 예로, 유입수가 100 중량부의 수치라 가정하면 처리수 역시, 100 중량부의 수치가 이루어져야 정상이나 이중 약 20 내지 30 중량부 비율의 처리수는 미세기포의 생성을 위해 다수 환수시켜야 하기에 처리용량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존공기부상조는 응집된 플록체가 미세기포에 의해 유체 표면으로 항시 부상 및 이동될 수 있게 해당 용존공기부상조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다른 용량의 미세기포 발생부가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처리에 필요한 시간은 물론, 설치면적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0729470호(공고일:2007.06.15.) 국내공개특허 제10-2010-61808호(공개일:2010.06.09.) 국내등록특허 제10-1765118호(공고일:2017.08.04.)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폐수의 처리시간 단축은 물론, 미세기포 생성을 위한 처리수의 환수구성이 없이도 해당 미세기포의 생성이 가능하며,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고액분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은 유입되는 폐수와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서로 혼합시키는 폐수공급부와, 상기 폐수공급부와 관 연결되되 폐수와 공기를 서로 충돌시켜 상기 폐수공급부에서 생성된 미세기포보다 더 작은 미세기포의 계면(界面)에 해당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인 소수성 입자를 흡착시켜 플록복합체를 형성하는 응집플록부와, 상기 응집플록부와 관 연결되되 상기 응집플록부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보다 더 작은 크기의 미세기포를 전기분해로 생성하여 플록복합체의 부상(浮上)을 용이하게 하는 반응부 및 일측이 상기 반응부와 관 연결되어 부상된 플록복합체를 폐수와 함께 수용하되 수용된 해당 플록복합체와 폐수가 회전에 의해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되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어 개별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폐수공급부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는 18 ~ 20 미크론(㎛)의 크기이며, 상기 응집플록부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는 8 ~ 15 미크론(㎛)의 크기이고, 상기 반응부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는 200 나노(㎚) 이하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리부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폐수와 플록복합체를 상기 수용체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스크류와, 상기 수용체 내부와 연통되게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반응부와 관 연결되어 폐수와 플록복합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와, 상기 수용체 내부와 연통되게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스크류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와, 상기 수용체 내부와 연통되게 타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스크류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 및 상기 수용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스크류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스크류의 회전속도는 상기 수용체에 수용된 플록복합체가 난류(亂流)에 의해 상기 수용체 내측 하부로 가라앉지 못하는 속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응부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은 상기 응집플록부 및 상기 분리부와 관 연결되는 반응탱크 및 상기 반응탱크에 삽입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반응탱크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전기분해하여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촉매필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촉매필터부재는 상부가 상기 반응탱크 외부로 노출되어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봉, 상기 반응탱크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봉 하부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는 촉매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촉매필터는 메쉬(MESH) 형태의 티타늄(Ti:Titanium) 표면에 다공성 카본재료를 1㎛ 이상 코팅하고, 해당 카본재료 상면에 복합금속 촉매물을 1㎛ 코팅하여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미세기포 생성을 위한 처리수의 환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도 해당 미세기포의 생성은 물론, 유입수 전체 용량에 대하여 전량이 처리수화 함에 있어 처리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미세버블을 이용한 용존공기부상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에 대한 응집플록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대한 충돌챔버에 형성도니 제1 내지 제3혼합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대한 미세기포 계면에 생성된 플록복합체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에 대한 반응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에 대한 상세 구성도.
도 8은 도 6에 대한 플록복합체가 미세기포에 의해 부상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며,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이하, 간략하게 '분리시스템'이라 한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리시스템(1)은 크게 폐수공급부(100), 응집플록부(200), 반응부(300) 및 분리부(400)를 포함하되, 상술한 구성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되어 상기 분리부(400)를 통해 최종적으로 슬러지와 처리수로 개별 분리되어 처리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폐수공급부(100)는 후술하는 분리부(400)를 통해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하고자 하는 폐수와 함께 응집플록부(200)를 통해 미세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폐수탱크(110) 및 상기 폐수탱크(110)와 관 연결되는 공기유입부재(1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진 폐수탱크(110)는 제어부(500)를 통해 상기 폐수탱크(110) 내부에 일정량의 폐수가 수용되어 응집플록부(200) 방향으로 해당 폐수를 공급한다.
공기유입부재(120)는 폐수탱크(110)와 응집플록부(200) 사이에 설치되되 모터나 펌프 등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 후, 마이크로 단위의 크기를 갖는 미세기포로 공급되어 해당 폐수와 미세기포가 상기 응집플록부(200)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다.(도 5 참조)
그리고, 상기 응집플록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입된 폐수와 미세기포를 서로 혼합 및 충돌시켜 마이크로 단위 입자를 갖는 미세기포를 생성하여 해당 미세기포의 계면(界面)에 해당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인 소수성 입자를 흡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응집관(210) 및 충돌부재(2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응집관(210)은 양측이 개방된 관(PIPE)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충돌부재(220)가 서로 면접하게 설치되어 폐수공급부(100)와 관 연결된 상기 응집관(210) 입구 측을 통해 유입된 미세기포 및 폐수가 다수의 상기 충돌부재(220)를 거쳐 상기 응집관(210) 출구 측을 통해 후술하는 응집플록부(200)로 공급될 수 있게 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충돌부재(220)는 폐수와 미세기포를 반복되게 서로 혼합 및 충돌시켜 마이크로 단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미세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충돌챔버(221) 및 제1 내지 제3혼합공(223,225,227)을 포함한다.
충돌챔버(2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되되 해당 일측 외면은 응집관(210) 내벽과 기밀이 유지되게 가스킷 등을 통해 결합하며, 타측은 이웃하는 다른 충돌챔버(221)의 개구된 부분으로 폐수가 유입되 용이하게 폐쇄된 원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4를 더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혼합공(223)은 충돌챔버(221)의 개구된 입구 측과 가까운 위치의 것을 의미하며,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충돌챔버(221) 임의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경사지게 천공 형성된다.
제2혼합공(225)은 상술한 제1혼합공(223)과 충돌챔버(221)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상기 충돌챔버(221) 외면에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혼합공(223)과 달리, 경사지지 않게 천공 형성된다.
제3혼합공(227)은 제2혼합공(225)과 충돌챔버(221) 타측 방향으로 이웃하게 상기 충돌챔버(221) 외면에 임의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가 경사지게 천공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혼합공(227)의 경사 방향은 상술한 제1혼합공(223)의 경사 방향과 반대되게 형성된다.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기포 생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제1 내지 제3혼합공(223,225,227) 각각의 천공 지름은 1.5 ~ 3mm 이내의 지름을 갖도록 천공 형성되며, 각각의 상기 제1 내지 제3혼합공(223,225,227) 간의 간격은 8 ~ 10mm 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3혼합공(223,227)의 경사각은 25 ~ 30도의 경사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으로 형성된 미세기포와 함께 폐수가 응집관(210) 내부로 유입되면 상기 응집관(210) 입구 측과 가까운 최초의 충돌챔버(221)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충돌챔버(221) 외면에 형성된 제1 내지 제3혼합공(223,225,227)을 통해 와류 현상이 일어나게 혼합됨과 동시에 상기 응집관(210) 내부 및 상기 충돌챔버(221) 내부에서 단계별로 서로 충돌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입부재(120)를 통해 생성되는 미세기포보다 더 작은 크기의 미세기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응집플록부(200)로 생성된 마이크로 단위 입자를 갖는 미세기포는 최종적으로 해당 미세기포의 계면에 다수의 소수성 입자가 서로 흡착(응집)된 플록복합체를 형성하도록 하며, 후술하는 반응부(3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와 함께 분리부(400) 내측으로 용이하게 부상(浮上)될 수 있도록 한다.(도 8 참조)
그리고, 상기 반응부(300)는 도 1,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응집플록부(200)와 관 연결되되 상기 응집플록부(200)를 통해 형성된 플록복합체가 용이하게 부상하여 분리부(4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폐수를 전기분해하여 나노 단위의 입자 크기의 미세기포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반응탱크(310) 및 촉매필터부재(320)를 포함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서의 반응부(300)는 다수가 설치되어 각각의 상기 반응부(300)를 통해 동일시간대에 대량의 폐수를 전기분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전해질이 더 부가될 수 있다.
예컨대 반응탱크(310)는 속이 빈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외면은 충돌부재(220) 및 수용체(410)와 관 연결되며, 내부에는 촉매필터부재(320)가 삽입되어 폐수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촉매필터부재(320)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반응탱크(310) 내부로 유입된 폐수(플록복합체가 형성된 미세기포 포함)에 전기분해를 가하여 나노 단위를 입자를 갖는 미세버블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전극봉(321) 및 촉매필터(323)를 포함한다.
전극봉(321)은 상부가 반응탱크(310) 상부로 노출되되 하부는 상기 반응탱크(310)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그 상부는 전원공급부(51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설치되어 촉매필터(323)를 통해 나노 단위의 미세기포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촉매필터(323)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판의 형상을 갖도록 다수가 전극봉(32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촉매필터(323)는 나노 입자 단위의 미세기포 생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메쉬(MESH) 형태의 티타늄(Ti:Titanium) 표면에 다공성 카본재료를 1㎛ 이상 코팅하고, 그 상면에 복합금속 촉매물을 1㎛ 코팅하여 생성한다.
여기서, 복합금속 촉매물은 백금과 로듐(Rh)으로 이루어진 제1촉매물과 레늄(Re), 이리듐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진 제2촉매물을 1:1 비율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본재료 효과는 산화반응 과전압 감소, 낮은 에너지에 반응, 넓은 전기 화학적 활성 영역 및 전극 활동 증가의 장점을 가지며, 복합금속 촉매물은 전극 비 표면적 증가, 금속 촉매 고분산에 기여, 높은 전기전도율 및 전극활동의 안정성 등의 장점을 갖게 한다.
하여, 반응부(300)를 통해 생성된 나노 입자 단위의 미세기포는 도시한 바와 같이, 플록복합체에 다수가 흡착된 상태에서 응집플록부(200)에서 생성된 마이크로 단위의 미세기포의 부상력을 기반으로 분리부(400)인 수용체(410) 내측으로 용이하게 부상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한다.
이를 위해, 폐수공급부(1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는 18 ~ 20 미크론(㎛)의 크기이며, 응집플록부(2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는 8 ~ 15 미크론(㎛)의 크기이고, 반응부(3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는 200 나노(㎚) 이하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반응부(300)는 나노 크기의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예를 들어, 플록복합체의 크기나 용량에 따라) 응집플록체(2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보다 작은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기포 생성도 함께 이루어져 분리부(400) 방향으로의 부상 효과가 더욱 용이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분리부(4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반응부(300)를 통해 폐수와 함께 부상된 플록복합체(미세기포 포함)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처리수와 슬러지로 개별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용체(410) 및 분리스크류(420)를 포함한다.
예컨대 수용체(410)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측 하부는 반응탱크(310)와 관 연결되며, 타측 상부와 하부에는 각각 슬러지가 배출되는 제1배출구(413) 및 처리수가 배출되는 제2배출구(415)가 형성된다.
수용체(410) 내부에는 분리스크류(4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삽입 설치되며, 그 외면에는 제어부(500)의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분리스크류(4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모터(430)가 설치된다.
또한, 분리스크류(420)는 외면에는 유체(폐수 및 플록복합체)가 회전에 의해 유속이 생성되어 해당 유체를 수용체(410)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날개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분리스크류(420)의 회전속도는 수용체(410) 내부로 유입된 유체 특히, 플록복합체가 유체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류(亂流)에 의해 상기 수용체(410) 하부측 방향으로 가라앉지 않을 정도인 5 내지 15rpm 의 회전속도를 갖도록 하여, 상기 분리스크류(420)의 회전을 통해 수용체(410)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슬러지는 상기 수용체(410) 상부에만 머무르게 이송시켜 해당 슬러지는 제2배출구(41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처리수는 제1배출구(41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1)은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미세기포 생성을 위한 처리수의 환수 구성이 존재하지 않아도 해당 미세기포의 생성은 물론, 유입수 전체 용량에 대하여 전량이 처리수화 함에 있어 처리시간의 단축이 가능하며, 설치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본 발명에 따른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100: 폐수공급부
110: 폐수탱크 120: 공기유입부재
200: 응집플록부
210: 응집관 220: 충돌부재
221: 충돌챔버 223: 제1혼합공
225: 제2혼합공 227: 제3혼합공
300: 반응부
310: 반응탱크 320: 촉매필터부재
321: 전극봉 323: 촉매필터
400: 분리부
410: 수용체 411: 유입구
413: 제1배출구 415: 제2배출구
420: 분리스크류 430: 회전모터
500: 제어부
510: 전원공급부

Claims (4)

  1. 유입되는 폐수와 유입된 공기에 의해 생성된 미세기포를 서로 혼합시키는 폐수공급부(100);
    상기 폐수공급부(100)와 관 연결되되 폐수와 공기를 서로 충돌시켜 상기 폐수공급부(100)에서 생성된 미세기포보다 더 작은 미세기포의 계면(界面)에 해당 폐수에 포함된 슬러지인 소수성 입자를 흡착시켜 플록복합체를 형성하는 응집플록부(200);
    상기 응집플록부(200)와 관 연결되되 상기 응집플록부(2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보다 더 작은 크기의 미세기포를 전기분해로 생성하여 플록복합체의 부상(浮上)을 용이하게 하는 반응부(300); 및
    일측이 상기 반응부(300)와 관 연결되어 부상된 플록복합체를 폐수와 함께 수용하되 수용된 해당 플록복합체와 폐수가 회전에 의해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되면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어 개별 배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40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부(400)는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체(410)와, 상기 수용체(4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그 회전에 의해 폐수와 플록복합체를 상기 수용체(410)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처리수와 슬러지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스크류(420)와, 상기 수용체(410) 내부와 연통되게 일측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반응부(300)와 관 연결되어 폐수와 플록복합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구(411)와, 상기 수용체(410) 내부와 연통되게 타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스크류(420)에 의해 분리된 처리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1배출구(413)와, 상기 수용체(410) 내부와 연통되게 타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스크류(420)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가 외부로 배출되는 제2배출구(415) 및 상기 수용체(410)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분리스크류(42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30)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스크류(420)의 회전속도는 상기 수용체(410)에 수용된 플록복합체가 난류(亂流)에 의해 상기 수용체(410) 내측 하부로 가라앉지 못하는 속도를 갖도록 하며,
    상기 반응부(300)는 속이 빈 함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외면은 상기 응집플록부(200) 및 상기 분리부(400)와 관 연결되는 반응탱크(310) 및 상기 반응탱크(310)에 삽입 설치되되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반응탱크(310) 내부로 유입된 폐수를 전기분해하여 미세기포를 생성하는 촉매필터부재(320)를 포함하되, 상기 촉매필터부재(320)는 상부가 상기 반응탱크(310) 외부로 노출되어 전원공급부(510)와 연결되는 한 쌍의 전극봉(321), 상기 반응탱크(310)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전극봉(321) 하부 외면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웃하게 다수 형성되는 촉매필터(323)를 포함하며, 상기 촉매필터(323)는 메쉬 형태의 티타늄 표면에 다공성 카본재료를 1㎛ 이상 코팅하고, 해당 카본재료 상면에 백금과 로듐(Rh)으로 이루어진 제1촉매물과 레늄(Re), 이리듐 및 팔라듐으로 이루어진 제2촉매물을 1:1 비율로 사용한 복합금속 촉매물을 1㎛ 코팅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수공급부(1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는 18 ~ 20 미크론(㎛)의 크기이며, 상기 응집플록부(2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는 8 ~ 15 미크론(㎛)의 크기이고, 상기 반응부(300)에서 생성되는 미세기포의 입자 크기는 200 나노(㎚) 이하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17505A 2020-09-14 2020-09-14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KR102267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05A KR102267070B1 (ko) 2020-09-14 2020-09-14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7505A KR102267070B1 (ko) 2020-09-14 2020-09-14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070B1 true KR102267070B1 (ko) 2021-06-18

Family

ID=76623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7505A KR102267070B1 (ko) 2020-09-14 2020-09-14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07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70B1 (ko) 1999-08-28 2007-06-15 클라우스탈러 엄웰테크니크-인스티튜트 쥐엠비에이치(큐테크-인스티튜트) 폐수 시설의 슬러지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0075794A (ja) * 2008-09-24 2010-04-08 Niihama Pump Seisakusho:Kk 加圧浮上水処理装置及び加圧浮上水処理方法
KR20100061808A (ko) 2007-08-24 2010-06-09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높은 용존 산소 농도를 이용한 활성 슬러지 하수 처리용 시스템
KR101665619B1 (ko) * 2015-12-24 2016-10-24 엔비넷 주식회사 조류, cod, 질소 및 인을 제거하는 이리듐 합금 나노촉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부상 응집방식의 방류수 처리장치
KR101765118B1 (ko) 2016-10-26 2017-08-04 환경관리 주식회사 슬러지 저발생 고도처리 시스템
KR20200054472A (ko) * 2018-11-11 2020-05-2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부상분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470B1 (ko) 1999-08-28 2007-06-15 클라우스탈러 엄웰테크니크-인스티튜트 쥐엠비에이치(큐테크-인스티튜트) 폐수 시설의 슬러지 처리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00061808A (ko) 2007-08-24 2010-06-09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높은 용존 산소 농도를 이용한 활성 슬러지 하수 처리용 시스템
JP2010075794A (ja) * 2008-09-24 2010-04-08 Niihama Pump Seisakusho:Kk 加圧浮上水処理装置及び加圧浮上水処理方法
KR101665619B1 (ko) * 2015-12-24 2016-10-24 엔비넷 주식회사 조류, cod, 질소 및 인을 제거하는 이리듐 합금 나노촉매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전기분해 부상 응집방식의 방류수 처리장치
KR101765118B1 (ko) 2016-10-26 2017-08-04 환경관리 주식회사 슬러지 저발생 고도처리 시스템
KR20200054472A (ko) * 2018-11-11 2020-05-20 한국산업기술시험원 부상분리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76183B2 (ja) 電解凝集反応器、ならびに電解凝集反応器を備えた汚染水処理装置および方法
CN102936072B (zh) 一种纳米催化电解絮凝气浮装置
KR102145037B1 (ko) 급속 부상 여과장치
US20120186992A1 (en) Electrocoagulation for treating liquids
JP6771496B2 (ja) ソノエレクトロケミストリーによって流体を処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40027271A1 (en) Electrocoagulation for treating liquids
KR10227837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키머 및 이를 포함한 수처리 장치
CN108689584B (zh) 一种污泥混合浓缩排放一体罐
GB25006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fluids by media assisted electro-based treatment
Cheng et al.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bisphenol A using an integrated system of a new gas-liquid-solid circulating fluidized bed reactor and micrometer Gd-doped TiO2 particles
KR20200054473A (ko) 미세기포 기반의 응집부상분리 폐수처리시스템
KR102267070B1 (ko) 인라인 스크류 방식의 미세기포를 이용한 슬러지 분리시스템
CN103723867A (zh) 一种双效气浮高藻水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JP2002153887A (ja) 水処理方法及び同方法を用いる水処理装置
CN107151043A (zh) 铁碳微涡絮凝装置及废水处理系统
KR101751250B1 (ko) 배오존을 이용한 부상분리와 무포기 오존 반응기를 이용한 수 처리장치
JP2005021869A (ja) 水中プラズマによる水処理方法及びその水処理装置
KR101989833B1 (ko) 연속 순환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JP4870708B2 (ja) 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941078B1 (ko) 입자 크기가 제어되는 버블 반응에 의한 용존공기 부상시스템
CN216038788U (zh) 一种微涡混凝沉淀池
CN115196832A (zh) 一种用于高浓废水处理的臭氧氧化技术
CN210945315U (zh) 一种污泥调质用高效混合装置
CN212504150U (zh) 一种电催化氧化装置和废水处理系统
US7347939B2 (en) Adjustable contaminated liquid mix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