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948B1 - 뜀뛰기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뜀뛰기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948B1
KR102266948B1 KR1020210052724A KR20210052724A KR102266948B1 KR 102266948 B1 KR102266948 B1 KR 102266948B1 KR 1020210052724 A KR1020210052724 A KR 1020210052724A KR 20210052724 A KR20210052724 A KR 20210052724A KR 102266948 B1 KR102266948 B1 KR 10226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astic
plate spring
spring
ste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환
Original Assignee
오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주환 filed Critical 오주환
Priority to KR1020210052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9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948B1/ko
Priority to PCT/KR2022/003347 priority patent/WO2022225181A1/ko
Priority to CN202280030433.4A priority patent/CN117202970A/zh
Priority to US18/287,663 priority patent/US20240189646A1/en
Priority to JP2023565236A priority patent/JP202451876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08Spring-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6Bars; Tubes; Leaf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4Platforms for reciprocating rotating motion about a vertic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5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5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vertical plane, e.g. steppers with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6Training devices for jumping; Devices for balloon-jumping; Jumping a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뜀뛰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스프링의 탄성 조절이 가능하고, 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뜀뛰기 운동으로 발생되는 탄발 여력을 보완하는 뜀뛰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판스프링 하부에 탄성력이 있는 탄발여력보완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뜀뛰기 운동으로 발생되는 탄발 여력을 보완할 수 있는 뜀뛰기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뜀뛰기 운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회전 가능한 디딤판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고정레버를 구비함으로써 뜀뛰기 운동 및 허리를 회전시키는 운동 중 원하는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디딤판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뜀뛰기 운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켜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뜀뛰기 운동기구{JUMPING MACHINE}
본 발명은 뜀뛰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판스프링의 탄성 조절이 가능하고, 탄발여력보완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뜀뛰기 운동으로 발생되는 탄발 여력을 보완하는 뜀뛰기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램폴린 등의 뜀뛰기 운동기구는 철제 프레임에 복수의 코일스프링을 매달아 작동하기 때문에 넓은 면적을 차지하며, 코일스프링을 탈착하는 방법 외에는 탄성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트램폴린은 천으로 되어 있어 사용자가 수평을 유지하기 힘들고, 트램폴린의 특성상 손잡이 설치도 어려워 사용 중에 사용자가 부상당할 우려가 있으며, 복수의 코일스프링의 작동으로 마찰음이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03127호는 점핑머신에 있어서, 점핑장치에 의해서 작동되는 점화장치, 및 완충작용을 하는 스프링이 내부에 설치된 몸체(12), 및 사용자의 신체 하중으로 압력을 전달하여 점핑장치를 가동시키도록, 몸체(12)와 연결되어 설치되는 상부발판(14)과 하부발판(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머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3421호는 좌대(10)의 중앙에 수직으로 장착된 지지관(11)의 내부에 삽입된 승강축(20)은 제1베어링(11b)과 제1스프링(11a)으로 지지되어 승강되고, 승강축(20)의 상부에 고정된 받침대(21)는 제2스프링(22a)으로 탄력 지지되어 승강되며, 받침대(21)의 보스(22)에 회전축(30)이 경사지게 장착되어 제2베어링(22b)으로 지지되며, 회전축(30)의 상부에는 경사진 발판(31)이 장착되어 발판(31)이 회전 및 승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핑·회전
운동머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180510호는 손잡이(11)가 구비된 기판(10)과; 일단부가 상기 기판(10)상에 축고정되는 디딤판부(30)와; 상기 디딤판부(3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핑머신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부(30)는 상기 기판(10)상에 일단부가 축고정되는 연결부재(310)와; 상기 연결부재(310)의 타단부에 좌우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축고정되는 디딤판(330)으로 구성되고, 상기 디딤판(330)의 좌우회전각도를 측정하는 회전각도측정부(70)와; 상기 디딤판(330)의 상하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측정부(90);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점핑에 의해 상기 디딤판부(30)의 연결부재(310)의 하부가 부딪치는 상기 기판(10)의 부분에 구비되어 상기 디딤판부(30)의 압력을 측정하는 로드셀(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지관절 및 근력강화용 점핑머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기구의 구조적·기계적 특성으로 소음과 마찰음이 심하고, 기구 사용자를 기구 발판에서 튀어 오르게 한 이후에도 탄발 여력이 높아 고정판을 포함한 전체가 요동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00312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3421호 한국등록특허 제10-118051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판스프링의 탄성 조절이 가능하고, 탄발여력보완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뜀뛰기 운동으로 발생되는 탄발 여력을 보완하는 뜀뛰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쉽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소음과 마찰음이 최소화된 뜀뛰기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의 재료를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강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뜀뛰기 운동기구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뜀뛰기 운동기구의 기부를 이루는 고정판(100);
상기 고정판(100) 상부에서 상하이동을 하며, 사용자가 발을 디디는 디딤판(200);
일측이 상기 고정판(10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디딤판(20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디딤판(200)을 수평하게 유지시키는 디딤판연결가동부(300);
상기 고정판(1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410)을 포함하는 탄성부(400); 및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단에 접촉하여 작용점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누름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디딤판(200)은 상기 디딤판(200)과 디딤판연결가동부(300) 사이에 구비되며 탄성력이 있는 디딤판탄성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디딤판탄성부(220)는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일측이 연결된 탄소강 재질의 코일스프링;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딤판(200)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판스프링받침부(420);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 상에 구비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기준점 역할을 하고, 상기 판스프링(410)이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제공하는 탄성력을 조절하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탄발여력을 보완하는 탄발여력보완부(430); 및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의 위치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4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에 일측이 연결된 탄소강 재질의 코일스프링(431); 및 상기 코일스프링(431)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부분과 접촉하고 상면이 원판형인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4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뜀뛰기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탄성부(220)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432)는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고무; 유리섬유; 윤활제;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는 상기 고정판(100)과 디딤판(200)을 연결하는 주링크암(310); 및 상기 주링크암(310)의 하 방향으로 상기 주링크암(310)과 수평하도록 상기 고정판(100)과 디딤판(200)을 연결하는 보조링크암(3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여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기준점위치확인부(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판스프링누름부(500)가 접하는 접점의 반대되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410)을 고정하는 판스프링잠금장치(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누름부(500)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단에 접촉되며, 작용점 역할을 하는 작용부(510); 및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작용부(510)를 연결하되,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초기각도를 조절하는 기준각도조절부(520)를 포함하되,
상기 작용부(510)는 최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판스프링(410)과 접촉하는 하우징(511)과, 상기 하우징(5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외륜(512)과, 상기 외륜(5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513)과, 상기 베어링(513)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륜(514)과, 상기 내륜(514)의 내측에 형성되는 튜브(515)와, 상기 튜브(515) 내측에 회전의 축으로 형성되는 작용축(51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준각도조절부(520)는 회동의 축인 각도조절축(521)과, 상기 각도조절축(5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각도조절핸들(522)과,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선택되는 부분과 결합하는 축결합부(523)와,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하측 단부와 결합하는 볼트 형태의 각도조절부말단(524)과, 상기 각도조절부말단(524)의 하부에 결합되는 볼베어링(5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410)은 일측의 두께와 타측의 두께가 다른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판스프링 하부에 탄성력이 있는 탄발여력보완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뜀뛰기 운동으로 발생되는 탄발 여력을 보완할 수 있는 뜀뛰기 운동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뜀뛰기 운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회전가능한 디딤판의 회전을 멈출 수 있는 고정레버를 구비함으로써 뜀뛰기 운동 및 허리를 회전시키는 운동 중 원하는 운동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디딤판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뜀뛰기 운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켜 줄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의 재료를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강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뜀뛰기 운동기구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링크암과 보조링크암이 디딤판과 이루는 각도를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함으로써 운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으며, 코일스프링과 탄성지지부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판스프링에 발생되는 탄발 여력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판스프링의 작용점에 해당되는 부분을 이동시키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준점위치확인부를 구비함으로써 판스프링의 작용점에 해당되는 부분의 위치가 어디인지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작용부와 기준각도조절부를 별도로 설치하되, 작용점에 해당되는 부분을 구름베어링으로 형성함으로써 판스프링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이 형성된 기둥을 구비함으로써 뜀뛰기 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디딤판에 안전하게 올라서는 것을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의 내부도.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3의 C부분의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용부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기준각도조절부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통상의 기술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등이 이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내부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B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3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7은 작용부 실시예이며, 도 8은 기준각도조절부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는 사용자가 올라서서 뜀뛰기 운동을 할 수 있되, 공간을 적게 사용하면서 운동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최소화 하여 실내에서도 사용 가능한 운동기구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는 뜀뛰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고정판(100), 디딤판(200), 디딤판연결가동부(300), 탄성부(400) 및 판스프링누름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400)는 판스프링(410), 판스프링받침부(420), 탄발여력보완부(430) 및 탄성조절부(4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판(100)은 뜀뛰기 운동기구의 기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판(10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가 지면에 닿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100)은 ‘판’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고정판(100)을 판의 형상으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기초를 이루는 부분으로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디딤판(200)은 상기 고정판(100)의 상부에서 상하이동을 하며, 사용자가 발을 디디는 부분이다.
즉, 상기 디딤판(200)은 사용자가 올라서서 뜀뛰기 운동을 하게 되는 발판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디딤판(200)은 상하이동이 된다.
디딤판연결가동부(300)는 일측이 상기 고정판(10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디딤판(20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디딤판(200)을 수평하게 유지시킨다.
즉,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연결된 지점을 중심으로 왕복(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운동을 하게 되며,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연결된 디딤판(200)은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각도에 따라 상하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하이동은 정확한 수직이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원호를 따라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의 일측은 상기 고정판(100)과 회동가능하게 축 고정되고,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의 타측은 상기 디딤판(200)과 회동가능하게 축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축 고정은 힌지결합으로 할 수 있다.
탄성부(400)는 상기 고정판(100) 상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그 기준을 상기 고정판(100)으로 하기 위해 상기 탄성부(400)를 상기 고정판(100)에 설치한다.
판스프링(410)은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판스프링(410)은 일측을 고정시키며, 고정된 부분이 힘점에 해당된다.
판스프링받침부(420)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탄발여력보완부(43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 상에 구비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기준점 역할을 하며, 상기 판스프링(410)이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제공하는 탄성력을 조절한다.
즉,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를 이동하게 되면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가 상기 판스프링(410)에 접촉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기준점에 해당되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작용점에 해당되는 부분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탄발여력을 보완한다.
탄성조절부(44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의 위치를 조절한다.
즉, 상기 탄성조절부(44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가 상기 판스프링(410)에 닿는 부분(기준점에 해당되는 위치)을 조절한다.
이때, 상기 탄성조절부(440)의 조작에 필요한 핸들 등이 위치한 부분에,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해 어떻게 작동(어느 방향으로 회전 등)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표시(강, 약 등)를 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누름부(500)는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400)의 일단에 접촉하여 작용점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판스프링누름부(500)는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탄성력을 전달하는 작용점 역할을 한다.
상기 판스프링누름부(500)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단에 접촉되며, 작용점 역할을 하는 작용부(510); 및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작용부(510)를 연결하되,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초기각도를 조절하는 기준각도조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용부(510)는 최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판스프링(410)과 접촉하는 하우징(511)과, 상기 하우징(5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외륜(512)과, 상기 외륜(5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513)과, 상기 베어링(513)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륜(514)과, 상기 내륜(514)의 내측에 형성되는 튜브(515)와, 상기 튜브(515) 내측에 회전의 축으로 형성되는 작용축(5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기구의 특성상 지렛대 압축의 최대점에서 지렛대 작용을 순간적으로 해제할 경우, 압축과 해제가 동시에 순간적으로 이루어져 굴절되었던 상기 판스프링(410)의 직선화 작용으로 베어링의 구르는 방향이 순간적으로 반대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구조에서는 베어링의 순간적인 방향전환이 어렵고, 가해지는 부하에 의해 체결구조의 풀림현상이 발생하며, 내구성이 저하될 뿐 아니라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하우징(511), 외륜(512), 베어링(513), 내륜(514), 튜브(515) 및 작용축(516)으로 구성되는 작용부(510)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의 순간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체결구조의 풀림현상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작용축, 원통형 튜브, 내륜, 원통형 베어링 및 외륜을 혼용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기구의 작용과 반작용에 의한 베어링의 순간적 방향전환에도 구동방향을 자유롭게 전환할 수 있어 마찰과 부하가 없게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준각도조절부(520)는 회동의 축인 각도조절축(521)과, 상기 각도조절축(5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각도조절핸들(522)과,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선택되는 부분과 결합하는 축결합부(523)와,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하측 단부와 결합하는 볼트 형태의 각도조절부말단(524)과, 상기 각도조절부말단(524)의 하부에 결합되는 볼베어링(52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도조절핸들(522)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각도조절축(521)이 회전하며,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상기 탄성부(40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된다. 이때, 상기 축결합부(523)는 각도조절축(521)의 흔들림을 고정하여 기구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서도 상기 각도조절축(521)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볼베어링(525)은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수직방향의 충격을 분산시켜 종래의 기구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이 쉬웠던 상기 기준각도조절부(520)의 충격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디딤판(200)은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디딤판(20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레버(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딤판(200)의 회전을 위해 상기 디딤판(200)의 하부에 볼베어링을 설치할 수 있다(도 6 참조).
이는 뜀뛰기 운동 및 허리를 회전시키는 운동 중 원하는 운동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뜀뛰기 운동을 할 때 디딤판(200)이 회전되면 운동하는 사람이 위험할 수 있으므로, 뜀뛰기 운동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디딤판(200)의 회전이 안 되도록 할 수 있는 고정레버(2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디딤판(200)은 상기 디딤판(200)과 디딤판연결가동부(300) 사이에 구비되며, 탄성력이 있는 디딤판탄성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딤판탄성부(220)는 상기 디딤판(200)의 하부에 구비되어, 뜀뛰기 운동 시 발생되는 충격을 1차적으로 완충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는 부드러운 뜀뛰기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준다(도 6 참조).
상기 디딤판탄성부(220)는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일측이 연결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딤판(200)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탄소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는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디딤판연결가동부(300)는 상기 고정판(100)과 디딤판(200)을 연결하는 주링크암(310)과 상기 주링크암(210)의 하 방향으로 상기 주링크암(210)과 수평하도록 상기 고정판(100)과 디딤판(200)을 연결하는 보조링크암(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주링크암(310)의 고정판(100)과 연결된 연결축과 디딤판(200)과 연결된 연결축 간의 거리와, 상기 보조링크암(320)의 고정판(100)과 연결된 연결축과 디딤판(200)과 연결된 연결축 간의 거리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주링크암(310)의 고정판(100)과 연결된 연결축과 상기 보조링크암(320)의 고정판(100)과 연결된 연결축을 연장한 연장선이, 상기 주링크암(310)의 디딤판(200)과 연결된 연결축과 상기 보조링크암(320)의 디딤판(200)과 연결된 연결축을 연장한 연장선과 평행하다면, 상기 디딤판(200)과 지면의 각도가 항상 일정하도록 유지되기 때문(평행사변형 형상 참고)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탄발여력보완부(43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에 일측이 연결된 코일스프링(431)과, 상기 코일스프링(431)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 부분과 접촉하여 기준점 역할을 하는 탄성지지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는 상기 판스프링(410)으로 발생되는 탄발 여력을 보완(감소) 시키기 위해 상기 판스프링(410)과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력도 전달하여야 하고, 상기 판스프링(410)과 접촉되는 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판스프링(410)과 접촉되는 부분의 마찰력도 줄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일스프링(431)은 탄소강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지지부(432)는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판스프링누름부(500)가 접하는 접점의 반대되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410)을 고정하는 판스프링잠금장치(4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410)을 상기 판스프링잠금장치(460)를 통하여 상기 탄성부(400)에 견고히 고정함으로써, 기구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충격 또는 요동으로 발생될 수 있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풀림을 방지하고, 상기 판스프링(41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고정이 풀렸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부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판스프링잠금장치(460)는 볼트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디딤판탄성부(220)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의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432)는 열가소성 수지; 열가소성 고무; 유리섬유; 윤활제;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탄성지지부의 재료를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로 하여 강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경도, 내구성, 내오존성, 내부식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뜀뛰기 운동기구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열가소성 고무 10~20중량부, 유리섬유 1~10중량부, 윤활제 1~10중량부, 아크릴 에멀젼 1~10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1~10중량부 및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염화비닐, 폴리우레탄, 아크릴 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아세탈 수지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고무는 탄성, 내후성 및 내오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스티렌계 열가소성 고무, 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무, 우레탄계 열가소성 고무, 아미드계 열가소성 고무, 에스테르계 열가소성 고무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EPDM(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천연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의 고무와 동적 가교하거나 혼합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고무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고무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2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고무의 함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2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탄성지지부의 강도 및 내열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유리섬유는 강도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섬유의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탄성지지부의 계면 특성, 강도 및 내열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윤활제는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파라핀계 오일, 나프텐계 오일, 동식물유, 합성유, 그리스, 그래파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윤활제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탄성지지부의 기계적 특성 및 열적 특성이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 에멀젼은 접착성 및 탄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사용되는 아크릴계 수지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 공중합체 등이 있다.
아크릴 에멀젼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접착성 및 탄성이 충분히 발현될 수 없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의 성분들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 난연성, 내열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20~40:60~8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조성물의 내구성, 내열성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의 성분들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 난연성, 내열성 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산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메틸 아크릴산, 에틸 아크릴산, 부틸 아크릴산, 2-에틸 헥실 아크릴산, 데실아크릴산, 메틸 메타크릴산, 에틸 메타크릴산, 부틸 메타크릴산, 2-에틸 헥실 메타크릴산, 데실메타크릴산 등이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아크릴산 모노머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의 중량비는 2~10:100:20~50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치 범위에서 조성물의 내구성, 내열성 등이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공중합체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비스페놀 A(BP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TMPT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HDGE)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BGE)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에폭시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스페놀 A 100중량부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5~30중량부,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 5~20중량부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 5~2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은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첨가의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강도가 저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탄성부(40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여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기준점위치확인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점위치확인부(450)는 뜀뛰기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현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가 어느 정도 탄성력으로 세팅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에서 탄발여력보완부(430)의 위치와 대응되는 측면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가 외부로 돌출되어 이동 가능한 가이드 홈을 형성하여, 상기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 밖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돌기의 위치를 확인하게 되면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도 1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의 판스프링누름부(500)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단에 접촉되며, 작용점 역할을 하는 작용부(510)와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작용부(510)를 연결하되,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초기각도를 조절하는 기준각도조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각도조절부(520)는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에 연결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작용부(510)의 작용점에 해당되는 부분과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핸들을 돌리면 상기 작용부(510)의 기준이 되는 플레이트와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종 볼트, 너트, 연결축, 고정핀, 베어링 등 다양한 기계적인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410)은 동일한 두께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판스프링의 탄성을 주요 탄성으로 이용하고, 코일 스프링은 완충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판스프링은 단면적에 의해 탄성력이 결정되며 코일 스프링은 재질과 구조에 따라 탄성력이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두 힘을 보강하거나 완화하여 탄성력이 발휘되고 탄성의 반응속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판스프링(410)이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 즉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강도 및 유연성을 조절하여 최적화된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뜀뛰기 운동기구는 상기 고정판(100)의 수직 상부방향으로 상기 고정판(100)에 연결된 기둥(600)과, 상기 기둥(600)과 연결되며, 상기 기둥(600)을 따라 이동 및 고정 가능한 발판(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둥(600)은 운동하는 사람이 손으로 잡고 안전하게 뜀뛰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발판(700)은 뜀뛰기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디딤판(200)에 안전하게 올라서는 것을 도와주는 보조발판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뜀뛰기 운동기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판(100)의 하단에 부착되는 탄성매트 및 흡착 고무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기구는 하중에 의한 충격 및 기구의 흔들림으로 층간소음이 발생되어 분쟁 요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뜀뛰기 운동기구의 경우, 탄성매트를 통하여 바닥과 기구 사이의 완충을 통하여 충격에 의한 층간소음을 방지하고, 흡착 고무발을 통하여 기구를 바닥에 고정하여 흔들림으로 발생할 수 있는 층간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구를 통한 운동을 수행하더라도 층간소음이 발생하지 않아 분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100)의 하단에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기 위한 볼트장착구멍이 형성되어 평소에는 바퀴를 분리하고 기구를 사용하다가 이사 또는 위치 변경을 위한 이동이 필요할 경우 바퀴의 볼트를 볼트장착구멍과 결합하는 동작을 통해 바퀴를 장착하여 이동을 더욱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우레탄 100중량부, 폴리에틸렌 70중량%와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30중량%를 블렌드한 열가소성 고무 15중량부, 유리섬유 5중량부, 파라핀 오일 5중량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멀젼 5중량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5중량부 및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아크릴산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 5중량부를 혼합한 후 압출 가공하여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비스페놀 A(BP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 에테르(TMPTGE),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HDGE) 및 부틸글리시딜 에테르(BGE)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에폭시 화합물 5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및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의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멀젼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폴리우레탄 조성물의 인장강도, 내열성, 마찰계수 및 내산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는 ASTM D 638에 의거하여 측정하였으며, 내열성은 100℃로 유지되는 열풍 순환식 가열로에서 상기 조성물을 3시간 가열한 후 조성물의 황변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마찰계수는 roller-and-disk 시험기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수직하중과 회전시에 발생하는 접선 마찰력을 측정하여 계산하였다.
내산성은 상기 조성물을 10중량%의 황산에 실온에서 5일간 침지한 후, 조성물의 상태를 관찰하여 탁월, 우수, 보통,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인장강도
(kg/cm2)
340 350 265 275
내열성 우수 탁월 불량 불량
마찰계수 0.6 0.4 1.2 1.1
내산성 우수 탁월 불량 불량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2는 인장강도, 내열성, 내마모성 및 내산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2는 상기 특성이 실시예에 비하여 열등함을 알 수 있다.
100: 고정판 200: 디딤판
210: 고정레버 220: 디딤판탄성부
300: 디딤판연결가동부 310: 주링크암
320: 보조링크암 400: 탄성부
410: 판스프링 420: 판스프링받침부
430: 탄발여력보완부 431: 코일스프링
432: 탄성지지부 440: 탄성조절부
450: 기준점위치확인부 460: 판스프링잠금장치
500: 판스프링누름부 510: 작용부
511: 하우징 512: 외륜
513: 베어링 514: 내륜
515: 튜브 516: 작용축
520: 기준각도조절부 521: 각도조절축
522: 각도조절핸들 523: 축결합부
524: 각도조절부말단 525: 볼베어링
600: 기둥
700: 발판

Claims (5)

  1. 뜀뛰기 운동기구의 기부를 이루는 고정판(100);
    상기 고정판(100) 상부에서 상하이동을 하며, 사용자가 발을 디디는 디딤판(200);
    일측이 상기 고정판(10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디딤판(20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디딤판(200)을 수평하게 유지시키는 디딤판연결가동부(300);
    상기 고정판(1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각도의 변화에 따라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판스프링(410)을 포함하는 탄성부(400); 및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단에 접촉하여 작용점 역할을 하는 판스프링누름부(500)를 포함하는 뜀뛰기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디딤판(200)은
    상기 디딤판(20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레버(210); 및
    상기 디딤판(200)과 디딤판연결가동부(300) 사이에 구비되며 탄성력이 있는 디딤판탄성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디딤판탄성부(220)는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일측이 연결된 탄소강 재질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디딤판(200)의 일부분과 접촉하는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400)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판스프링(41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판스프링받침부(420);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 상에 구비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기준점 역할을 하고, 상기 판스프링(410)이 디딤판연결가동부(300)에 제공하는 탄성력을 조절하되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탄발여력을 보완하는 탄발여력보완부(430);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와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의 위치를 조절하는 탄성조절부(440);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와 연결되며, 외부에서 관찰 가능하여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의 위치 확인이 가능한 기준점위치확인부(450); 및
    상기 판스프링누름부(500)가 접하는 접점의 반대되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판스프링(410)을 고정하는 판스프링잠금장치(4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스프링(410)은
    일측의 두께와 타측의 두께가 다른 테이퍼진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탄발여력보완부(430)는
    상기 판스프링받침부(420)에 일측이 연결된 탄소강 재질의 코일스프링(431); 및
    상기 코일스프링(431)의 끝단에 연결되며,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부분과 접촉하고 상면이 원판형인 고분자 플라스틱 재질의 탄성지지부(432)를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누름부(500)는
    상기 판스프링(410)의 일단에 접촉되며, 작용점 역할을 하는 작용부(510); 및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작용부(510)를 연결하되,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가 상기 고정판(100)과 이루는 초기각도를 조절하는 기준각도조절부(520)를 포함하며,
    상기 작용부(510)는
    최외측에 위치하여 상기 판스프링(410)과 접촉하는 하우징(511)과, 상기 하우징(511)의 내측에 형성되는 외륜(512)과, 상기 외륜(512)의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513)과, 상기 베어링(513)의 내측에 형성되는 내륜(514)과, 상기 내륜(514)의 내측에 형성되는 튜브(515)와, 상기 튜브(515) 내측에 회전의 축으로 형성되는 작용축(516)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511), 외륜(512), 베어링(513), 내륜(514), 튜브(515) 및 작용축(516)으로 구성되는 작용부(510)를 사용함으로써, 베어링의 순간적인 방향전환이 가능하고 체결구조의 풀림현상이 방지되며 내구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며,
    상기 기준각도조절부(520)는
    회동의 축인 각도조절축(521)과, 상기 각도조절축(521)을 회전시키기 위한 각도조절핸들(522)과,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선택되는 부분과 결합하는 축결합부(523)와,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하측 단부와 결합하는 볼트 형태의 각도조절부말단(524)과, 상기 각도조절부말단(524)의 하부에 결합되는 볼베어링(525)을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핸들(522)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각도조절축(521)이 회전하여, 상기 디딤판연결가동부(300)와 상기 탄성부(400)가 이루는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축결합부(523)는 각도조절축(521)의 흔들림을 고정하여 기구를 사용할 때 발생되는 충격에서 상기 각도조절축(521)이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볼베어링(525)은 상기 각도조절축(521)의 수직방향의 충격을 분산시켜 상기 기준각도조절부(52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2724A 2021-04-23 2021-04-23 뜀뛰기 운동기구 KR10226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24A KR102266948B1 (ko) 2021-04-23 2021-04-23 뜀뛰기 운동기구
PCT/KR2022/003347 WO2022225181A1 (ko) 2021-04-23 2022-03-10 뜀뛰기 운동기구
CN202280030433.4A CN117202970A (zh) 2021-04-23 2022-03-10 跳跃运动器材
US18/287,663 US20240189646A1 (en) 2021-04-23 2022-03-10 Jumping exercise equipment
JP2023565236A JP2024518763A (ja) 2021-04-23 2022-03-10 ジャンピング運動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724A KR102266948B1 (ko) 2021-04-23 2021-04-23 뜀뛰기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948B1 true KR102266948B1 (ko) 2021-06-17

Family

ID=76603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724A KR102266948B1 (ko) 2021-04-23 2021-04-23 뜀뛰기 운동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89646A1 (ko)
JP (1) JP2024518763A (ko)
KR (1) KR102266948B1 (ko)
CN (1) CN117202970A (ko)
WO (1) WO202222518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181A1 (ko) * 2021-04-23 2022-10-27 오주환 뜀뛰기 운동기구
WO2023038390A1 (ko) * 2021-09-10 2023-03-16 오주환 공압을 이용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26Y1 (ko) * 2002-05-17 2002-08-27 이은하 점프엔트위스트
KR20040068062A (ko) * 2004-06-26 2004-07-30 오경찬 판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조절가능 뜀뛰기 운동기구
KR20050026842A (ko) * 2003-09-09 2005-03-16 최정삼 완력기
KR20060003127A (ko) 2004-07-05 2006-01-10 유원삼 점핑머신
KR20110107702A (ko) * 2010-03-25 2011-10-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하지관절 및 근력강화용 점핑머신
KR20130043421A (ko) 2011-10-20 2013-04-30 홍만의 점핑·회전운동머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948B1 (ko) * 2021-04-23 2021-06-17 오주환 뜀뛰기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226Y1 (ko) * 2002-05-17 2002-08-27 이은하 점프엔트위스트
KR20050026842A (ko) * 2003-09-09 2005-03-16 최정삼 완력기
KR20040068062A (ko) * 2004-06-26 2004-07-30 오경찬 판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조절가능 뜀뛰기 운동기구
KR20060003127A (ko) 2004-07-05 2006-01-10 유원삼 점핑머신
KR20110107702A (ko) * 2010-03-25 2011-10-0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하지관절 및 근력강화용 점핑머신
KR101180510B1 (ko) 2010-03-25 2012-09-06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하지관절 및 근력강화용 점핑머신
KR20130043421A (ko) 2011-10-20 2013-04-30 홍만의 점핑·회전운동머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181A1 (ko) * 2021-04-23 2022-10-27 오주환 뜀뛰기 운동기구
WO2023038390A1 (ko) * 2021-09-10 2023-03-16 오주환 공압을 이용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KR20230037837A (ko) * 2021-09-10 2023-03-17 오주환 공압을 이용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KR102605952B1 (ko) * 2021-09-10 2023-11-23 오주환 공압을 이용하는 뜀뛰기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89646A1 (en) 2024-06-13
CN117202970A (zh) 2023-12-08
WO2022225181A1 (ko) 2022-10-27
JP2024518763A (ja) 202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6948B1 (ko) 뜀뛰기 운동기구
US5527245A (en) Aerobic and anaerobic exercise machine
US9302136B2 (en) Three-point adjustment multi-purpose exercise machine
US7544156B2 (en) Exercise arm apparatus with pivotal linkage system
US9901766B2 (en) Rope machine
US7537552B2 (en) Exercise device with centrally mounted resistance rod and automatic weight selector apparatus
US5312313A (en) Device to prevent binding of a guidance system for an upper body exercise apparatus
WO2010104363A2 (ko) 복합 벤치프레스
US20010016543A1 (en) Treadmill with adjustable cushioning members
WO2006044013A2 (en) Exercise device with single resilient elongate rod and weight selector controller
US11027170B2 (en) Multi-planar rotational platform and suspension exercise device
US20160287929A1 (en) Treadmill extender
US20220249928A1 (en) Dampeners for sporting equipment and sporting equipment including the same
CN201526138U (zh) 一种悬浮式拼装地板
RU2579728C1 (ru) Силовой тренажер романа затирального
CN209475479U (zh) 一种健身车
CN221286809U (zh) 一种可调磁阻的磁阻风扇单车
CN219743789U (zh) 一种拉线式训练器
CN114534188B (zh) 一种腿部康复训练器
CN220070702U (zh) 一种扶手位置的调节机构
CN212914420U (zh) 一种体育健身用的拉伸器组件
CN219662764U (zh) 一种拉力训练器
CN216653284U (zh) 一种多功能俯卧撑架
CN212262272U (zh) 一种医疗康复用腿部训练装置
CN215461821U (zh) 一种锻炼臂力的健身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