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636B1 -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 Google Patents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636B1
KR102266636B1 KR1020190070630A KR20190070630A KR102266636B1 KR 102266636 B1 KR102266636 B1 KR 102266636B1 KR 1020190070630 A KR1020190070630 A KR 1020190070630A KR 20190070630 A KR20190070630 A KR 20190070630A KR 102266636 B1 KR102266636 B1 KR 10226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puzzle
diagnosis
user
on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6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2965A (en
Inventor
박신혜
Original Assignee
박신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신혜 filed Critical 박신혜
Priority to KR1020190070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636B1/en
Publication of KR20200142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63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1Region-based segm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90Determination of colour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온라인 진단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이미지 선택 수신부, 상기 선택에 따른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위한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색상 퍼즐 제공부, 기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재배치 결과를 사용자 진단으로 수신하는 사용자 진단 수신부 및 상기 재배치 결과에 따른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위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진단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상기 온라인 진단을 수행하는 온라인 진단 수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색상 퍼즐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방해 퍼즐을 중첩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wherein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includes an image selection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images from a user terminal, and a candidate according to the selection. A color puzzle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for online diagnosis based on an image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and a user diagnosis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the rearrangement result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a user diagnosis for a preset time limit and an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the online diagnosis with respect to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of the user diagnosis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relocation result, wherein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includes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ference puzzle is superimposed on at least one of the color puzzles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Description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본 발명은 관찰력과 표현력에 관한 온라인 진단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이해와 관찰력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line diagnosis technology for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that can effectively evaluate a user's visual understanding and observational power through online. .

창의적 학습의 하나로 디자인씽킹(Design Thinking) 방법론은 사용자를 관찰하여 고객 니즈(needs)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찾아 내기 위해 공감적 태도(mindset)를 활용하는 일종의 복잡한 문제 해결에 대한 논리 추론적 접근법에 해당할 수 있다. As one of creative learning, the Design Thinking methodology is a kind of complex problem solving logic that uses an empathic mindset to understand customer needs by observing users and find opportunities to solve them. This may be a speculative approach.

4차 산업혁명, 혁신적, 다양성 등 변화하는 사회속에서 창의력은 더욱 중요한 개인역량 평가의 기준이 되고 있으나 개인의 창의력 정도를 알 수 있는 수치화된 객관적 평가 시스템은 미비한 상황이며, 개인의 창의력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인 관찰력과 표현력에 대해 효과적인 진단을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중요성도 증가하고 있다.In a changing society such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novativeness, and diversity, creativity is becoming more important as a standard for evaluating individual competence, but a quantified objective evaluation system that can know the degree of individual creativity is insufficient. The importance of a system that can provide an effective diagnosis for the important factors of observation and expressiveness is also increasing.

한국등록특허 제10-1144632(2012.05.03)호는 창의력 개발용 퍼즐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퍼즐 밑판의 배경 이미지와 주제 이미지 및 힌트 이미지의 아이콘을 다운 받아 스스로 주제 이미지와 힌트 이미지의 숫자와 위치를 지정함으로써 독창적인 퍼즐 밑판을 설계하고, 이에 대한 각 퍼즐조각의 조립패턴을 스스로 개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144632 (2012.05.03) relates to a puzzle play equipment for creativity development, and a user downloads the background image of the puzzle base plate, the icon of the subject image and the hint image from the Internet, and the subject image and the hint image by themselv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signed to design a unique puzzle base by designating the number and location of the , and is configured to develop an assembly pattern for each puzzle piece by itself.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5883(2009.01.14)호는 창의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조립식 퍼즐블록에 관한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가 창의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각종 모양이 되도록 퍼즐을 조합하는 놀이를 할 때 유해물질이 발산되지 않도록 형성하며 블록의 표면에 발향 고무 코팅층을 형성시켜 부드러운 촉감과 은은한 향기를 발산하도록 하여 정신적 안정에 도움이 되는 조립식 퍼즐블록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09-0005883 (Jan. 14, 2009) relates to a prefabricated puzzle block for improving creativity, which is harmful when infants and children play by combining puzzles to form various shapes to develop creativity. Disclosed is a prefabricated puzzle block that helps mental stability by forming a material not to be emitted and by forming a fragrance rubber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the block to emit a soft touch and a subtle fragrance.

한국등록특허 제10-1144632(2012.05.0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44632 (2012.05.03)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05883(2009.01.14)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9-0005883 (2009.01.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의 시각적 이해와 관찰력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that can effectively evaluate a user's visual understanding and observational power through onli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각적 관찰을 통해 기본적인 자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색상 퍼즐을 통한 알고리즘 분석으로 간편한 진단을 제공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that provides simple diagnosis through algorithm analysis through color puzzle so that basic qualities can be evaluated through visual observ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색상 퍼즐과 함께 방해 퍼즐을 중첩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진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 and expressive power that can effectively perform a user diagnosis by providing a color puzzle generated based on an image selected by a user by overlapping the interference puzzle. would like to provide

실시예들 중에서,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이미지 선택 수신부, 상기 선택에 따른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위한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색상 퍼즐 제공부, 기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재배치 결과를 사용자 진단으로 수신하는 사용자 진단 수신부 및 상기 재배치 결과에 따른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위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진단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상기 온라인 진단을 수행하는 온라인 진단 수행부를 포함한다.In embodiments, an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includes an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a selection regard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images from a user terminal, and a candidat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ion. A color puzzle providing unit that generates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for online diagnosis and provides them to the user terminal, a user diagnosis receiver that receives the rearrangement result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user diagnosis for a preset time limit, and the rearrangement result and an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the online diagnosis with respect to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of the user diagnosis based on the position change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상기 이미지 선택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이미지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된 이미지를 상기 선택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may receive, as the selection, an image recommended by an im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상기 색상 퍼즐 제공부는 상기 후보 이미지를 동일한 크기를 가진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픽셀별 색상 중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색상을 해당 부분 이미지의 대표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해당 고유 식별자와 정답 위치 및 대표 색상을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표 색상을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고 각 색상 퍼즐의 위치를 랜덤화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divides the candidate image into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having the same size, an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 color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colors for each pixel is used as a representativ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artial image. determining,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ssociating the unique identifier with the correct answer position and a representative color,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unique identifier, and assigning a representative colo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to obtain the plurality of After generating color puzzles and randomizing the positions of each color puzzle, the step of providing the color puzzles to the user terminal may be performed.

상기 색상 퍼즐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방해 퍼즐을 중첩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may overlap the obstacle puzzle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nd provide the overlapping puzzle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색상 퍼즐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대표 색상 중 가장 밝은 색상과 가장 어두운 색상의 중간 색상을 상기 방해 퍼즐의 대표 색상으로 부여할 수 있다.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may provide an intermediate color between the lightest color and the darkest color among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interference puzzle.

상기 온라인 진단 수행부는 상기 사용자 진단에 따른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위치가 해당 정답 위치와 일치하는 비율을 기초로 상기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의 등급을 분류하여 상기 온라인 진단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may classify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grades based on a ratio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coincide with the corresponding correct positions, and provide the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online diagnosis. .

상기 온라인 진단 수행부는 상기 사용자 진단에 따른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위치와 해당 정답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모든 색상 퍼즐들에 대한 거리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의 등급을 분류하여 상기 온라인 진단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nd the corresponding correct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and classifies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based on the sum of the distances for all color puzzles. It can be provided as a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상기 온라인 진단 시스템은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상기 온라인 진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학습방법을 가이드(guide)하는 학습방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learning method guide unit for guiding a learning method regarding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reflecting at least one of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The disclosed technology may have the following effects. However, this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or only the following effects, so the scope of the disclosed technology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hereb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은 시각적 관찰을 통해 기본적인 자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색상 퍼즐을 통한 알고리즘 분석으로 간편한 진단을 제공할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imple diagnosis by analyzing an algorithm through a color puzzle to evaluate basic qualities through visual observ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은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색상 퍼즐과 함께 방해 퍼즐을 중첩시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진단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perform user diagnosis by providing a color puzzle generated based on a user-selected image by superimposing a disturbing puzzle. ha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온라인 진단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온라인 진단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색상 퍼즐 시각화를 이용한 온라인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이용하는 색상 퍼즐 시각화의 개념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사용하는 방해 퍼즐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방해 퍼즐 및 색상 퍼즐을 이용한 온라인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shown in FIG. 1 .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diagnosis process using color puzzle visualization performed by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shown in FIG. 1 .
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lor puzzle visualization used in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block puzzle used in an on-line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diagnosis process performed by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diagnosis process using a block puzzle and a color puzzle.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Since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an embodiment for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text. That is, since the embodiment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equivalents capable of realizing the technical idea. In addition, since the object or effect pres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mean that a specific embodiment should include all of them or only such effec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hereby.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aning of the terms describ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follow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ter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termed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Meanwhile, other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etc.,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s to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refer to the embodi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these It is intended to indicate that a combination exis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dentifiers (eg, a, b, c, etc.)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in context. Unless otherwise specified, it may occur in a different order from the specified order. That is, each step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defined in general used in the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cannot be interpreted as having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진단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n online diagnosis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진단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110), 온라인 진단 장치(13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online diagnosis system 100 may include a user terminal 110 , an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 and a database 150 .

사용자 단말(110)은 온라인 상에서 이미지의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진단을 수행하고 그 진단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스마트폰, 노트북 또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태블릿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도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10)은 온라인 진단 장치(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은 온라인 진단 장치(130)와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a diagnosis on the expressive power and observation power of an image online and confirming the diagnosis result,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lso, i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a tablet PC.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through a network, and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may b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의 선택한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색상 퍼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테스트를 수행하고 테스트 결과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또는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과 블루투스, WiFi, 통신망 등을 통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corresponds to a computer or program capable of performing a test on a user's image expression and observation ability using a color puzzle generated based on an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performing an online diagnosis based on the test result. It can be implemented as a server that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be wirelessly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Bluetooth, WiFi, a communication network, etc., and may exchange data with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network.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데이터베이스(150)와 연동하여 온라인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도 1과 달리, 데이터베이스(150)를 내부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프로세서, 메모리, 사용자 입출력부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store information necessary for online diagnosis in association with the database 150 . Meanwhile, unlike FIG. 1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the database 150 therein. In addition,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including a processor, a memory, a user input/output unit,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

데이터베이스(150)는 온라인 진단을 수행하여 사용자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저장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110)들로부터 수집한 사용자의 개인정보와 진단 결과를 저장할 수 있고, 온라인 진단에 사용되는 이미지와 색상 퍼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온라인 진단 장치(130)가 온라인 진단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집 또는 가공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base 150 may correspond to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various information requir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online diagnosis and providing a diagnosis result regarding the user's image expression and observation ability. The database 150 may store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diagnosis results collected from the plurality of user terminals 110 , and may store information about images and color puzzles used for online diagnos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store information collected or processed in various forms while performing the online diagnosis and providing the result.

도 2는 도 1에 있는 온라인 진단 장치의 물리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hysical configuration of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shown in FIG. 1 .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be implemented to include a processor 210 , a memory 230 , a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a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

프로세서(2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수행하고 그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서의 각 동작들을 처리하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고, 그 과정 전반에서 읽혀지거나 작성되는 메모리(230)를 관리할 수 있으며, 메모리(230)에 있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 간의 동기화 시간을 스케줄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온라인 진단 장치(13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할 수 있고, 메모리(230), 사용자 입출력부(250) 및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들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온라인 진단 장치(130)의 CPU(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현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execute an on-line diagnosis based on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process each operation in the process of providing the diagnosis result, and may store the memory 230 that is read or written throughout the process. can be managed, and a synchronization time between the volatile memory and the nonvolatile memory in the memory 230 can be scheduled.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mory 230 ,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 and 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to control the flow of data therebetween. can The processor 210 may be implemented as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of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

메모리(230)는 SSD(Solid State Drive) 또는 HDD(Hard Disk Drive)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되어 온라인 진단 장치(130)에 필요한 데이터 전반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보조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고,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구현된 주기억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230 is implemented a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solid state drive (SSD) or a hard disk drive (HDD) and may include an auxiliary storage device used to store overall data required for the online diagnostic device 130, It may include a main memory implemented as a volatile memory such as random access memory (RAM).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환경 및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화상 키보드 또는 포인팅 장치와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입력장치 및 모니터 또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어댑터를 포함하는 출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출력부(250)는 원격 접속을 통해 접속되는 컴퓨팅 장치에 해당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서버로서 수행될 수 있다.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environment for receiving a user input and an environment for outputting specific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include an in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touch pad, a touch screen, an on-screen keyboard, or a pointing device, and an output device including an adapter such as a monitor or a touch screen. In an embodiment, the user input/output unit 250 may correspond to a computing device accessed through a remote connection, and in such a case, the online diagnosis device 130 may be performed as a server.

네트워크 입출력부(270)은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 또는 시스템과 연결하기 위한 환경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및 VAN(Value Added Network) 등의 통신을 위한 어댑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input/output unit 270 includes an environment for connecting with an external device or system through a network, for example, a local area network (LAN), a 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a wide area network (WAN), and a VAN (Wide Area Network) (VAN). It may include an adapter for communication such as Value Added Network).

도 3은 도 1에 있는 온라인 진단 장치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FIG.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 색상 퍼즐 제공부(320),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 학습방법 가이드부(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includes an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10 , a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 a user diagnosis receiving unit 330 , an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 and a learning method guide unit 350 . and a control unit 360 .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복수의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을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이미지들을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특정 개수의 후보 이미지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이미지 선택을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The image selection receiver 310 may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images from the user terminal 110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store various images for diagnosing the user's image expression and observation power in the database 150, and the image selection receiver 310 selects an image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a specific number of candidate images provided to the user. can receive To this end, 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10 may generate an interface for receiving image selection from the user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 and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image through the corresponding interface.

일 실시예에서,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이미지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된 이미지를 선택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다양한 개인정보를 사용자의 동의 하에 저장할 수 있고,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 전공 및 적업 등 적어도 하나의 개인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적합한 후보 이미지를 추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는 학습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추천 모델을 통해 추천된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고, 추천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한 것으로 처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10 may receive as a selection an image recommended by an im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 can The online diagnosis device 130 may store various person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with the user's consent, and use at least one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user's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by using big data analysis to provide a specific user with Appropriate candidate images can be recommended. To this end, 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10 may utilize the recommended image through the image recommendation model generated through learning, and may process the recommended image as selected by the user.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선택에 따른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위한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온라인 진단은 사용자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테스트에 해당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공된 기본 이미지에 따라 색상 퍼즐을 조립한 결과를 기초로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본 이미지가 500*500 픽셀의 사이즈인 경우 색상 퍼즐은 125*125 픽셀로 구성된 16개의 정사각형 퍼즐로서 가로 4행 * 세로 4열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크기와 배치 구조를 갖는 색상 퍼즐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for online diagnosis based on the selected candidate imag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 Here, the online diagnosis may correspond to a test on the user's image expression and observation ability, and the diagnosi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result of assembling the color puzzle according to the basic image provid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basic image has a size of 500*500 pixels, the color puzzle is 16 square puzzles composed of 125*125 pixels, arranged in the form of 4 horizontal rows * 4 vertical columns, and may be provided to the user.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generate and provide color puzzles having various sizes and arrangement structures to the user.

일 실시예에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후보 이미지를 동일한 크기를 가진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로 분할하는 단계,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픽셀별 색상 중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색상을 해당 부분 이미지의 대표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해당 고유 식별자와 정답 위치 및 대표 색상을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표 색상을 부여하여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고 각 색상 퍼즐의 위치를 랜덤화한 후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divides the candidate image into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having the same siz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 color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colors for each pixel is selected.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partial image,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ssociating the unique identifier with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representative color,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unique identifier, and assigning a representative colo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Thus, a step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randomizing the position of each color puzzle, and providing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to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performed.

즉,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를 기초로 색상 퍼즐을 생성할 수 있고, 색상 퍼즐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온라인 진단을 위한 각 색상 퍼즐별 정답 위치와 대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색상 퍼즐을 식별하기 위하여 색상 퍼즐별로 고유의 식별자(identifier)를 부여할 수 있다.That is,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generate a color puzzle based on the image selected by the user, and in the process of generating the color puzzle, the correct position and representative color for each color puzzle for online diagnosis may be provided. . Also,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assign a unique identifier to each color puzzle in order to identify the color puzzle.

한편,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색상 퍼즐에 대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후보 이미지를 분할하여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을 생성할 수 있고,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해 픽셀별 색상 중 출현빈도(또는 출현비율)가 가장 높은 색상을 해당 부분 이미지의 대표 색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각 부분 이미지에 대해 픽셀별 색상의 평균 색상을 해당 부분 이미지의 대표 색상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provide a representative color to the color puzzle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by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and for each partial image, a color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r appearance ratio) among colors for each pixel is selected as the corresponding part. It can be determined 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image. As another example,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determine an average color of each pixel color for each partial image as a representativ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artial image.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생성된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테스트를 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과정에서 각 색상 퍼즐의 위치를 랜덤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색상 퍼즐의 위치를 전체 범위 내에서 랜덤화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각 행 또는 열 범위 내에서만 랜덤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randomize the position of each color puzzle while providing the generated plurality of color puzzles to the user for testing. For example, the position of each color puzzle may be randomized within the entire range, and in some cases, the position may be randomly changed only within the range of each row or column.

일 실시예에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복수의 색상 퍼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방해 퍼즐을 중첩시켜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해 퍼즐은 사용자가 선택한 후보 이미지로부터 정상적으로 생성된 색상 퍼즐이 아니라 사용자의 테스트가 보다 정확히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채택된 추가적인 색상 퍼즐에 해당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by overlapping the interference puzzle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Here, the interference puzzle may correspond not to a color puzzle normally generated from a candid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but may correspond to an additional color puzzle adopted to enable the user's test to be performed more accurately.

예를 들어, 정상적인 경우에는 하나의 기본 이미지에 대해 총 16개의 색상 퍼즐이 제공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2개 또는 3개의 방해 퍼즐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해 퍼즐이 존재하더라도 정상적인 색상 퍼즐만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 방해 퍼즐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하는 경우보다 더 높은 점수(또는 등급)를 획득할 수 있다.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한 후 추가적인 방해 퍼즐을 생성하여 임의의 색상 퍼즐과 중첩시켜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n a normal case, a total of 16 color puzzles may be provided for one basic image, and two or three obstacle puzzles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Accordingly, even if the interference puzzle exists, when the test is performed using only the normal color puzzle, the user can obtain a higher score (or grade) than when the test is performed using the interference puzzle. After generating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generate an additional disturbing puzzle, overlap it with an arbitrary color puzzle, and provide it to the user terminal 110 .

일 실시예에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대표 색상 중 가장 밝은 색상과 가장 어두운 색상의 중간 색상을 방해 퍼즐의 대표 색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정상적으로 생성된 복수의 색상 퍼즐들과 식별되도록 하기 위하여 복수의 색상 퍼즐들이 속한 색상 범위 밖의 색상을 방해 퍼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방해 퍼즐을 이용하여 테스트를 수행한다면 사용자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은 평균보다 낮을 확률이 높다. 또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색상 외에 명도, 채도 등을 기초로 방해 퍼즐을 생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assign a color intermediate between the lightest color and the darkest color among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interference puzzle. On the contrary,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provide the interference puzzle with a color outside the color range to which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belong in order to be identified from the normally generated plurality of color puzzles. In this case, if the user performs the test using the interference puzzl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image expression and observation ability of the user are lower than the average. Also,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generate a disturbing puzzle based on brightness, saturation, etc. in addition to the color.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는 기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재배치 결과를 사용자 진단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는 3분이라는 제한 시간 동안 사용자가 색상 퍼즐을 재배치한 결과를 사용자 진단으로서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진단은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 테스트 결과에 해당할 수 있고, 이 경우 사용자가 기본 이미지를 참고하여 제공된 색상 퍼즐을 재배치한 결과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는 사용자 진단에 관한 정보로서 색상 퍼즐의 고유 식별자와 해당 식별자와 연관된 배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diagnosis receiver 330 may receive the rearrangement result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a user diagnosis for a preset time limit. For example, the user diagnosis receiving unit 330 may receive a result of rearranging the color puzzle by the user for a limited time of 3 minutes as a user diagnosis. The user diagnosis may correspond to a test result performed by the user, and in this case, may correspond to a result of the user rearranging the provided color puzzle with reference to the basic image. The user diagnosis receiver 330 may receive a unique identifier of the color puzzle and a placement position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r as information about the user diagnosis.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재배치 결과에 따른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위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 진단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온라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색상 퍼즐에 대한 정답 위치와 사용자에 의해 배치된 실제 위치를 비교한 결과를 기초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배치시킨 색상 퍼즐이 기본 이미지와 유사할수록 진단 결과는 좋아질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may perform an online diagnosis regarding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of the user diagnosis based on the change i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rearrangement result. That is,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may generate a diagnosis result based on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ct position for the color puzzle with the actual position placed by the user. Accordingly, the more similar the color puzzle placed by the user is to the basic image, the better the diagnosis result may be.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사용자 진단에 따른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위치가 해당 정답 위치와 일치하는 비율을 기초로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의 등급을 분류하여 온라인 진단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전에 진단 결과를 분류하기 위한 등급 기준을 설정할 수 있고,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해당 등급 기준을 기초로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각 색상 퍼즐은 생성 시점에서 정답 위치가 결정되므로, 정답 위치와 사용자가 배치한 위치가 일치하는 비율이 높을수록 진단 결과도 높아질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모든 색상 퍼즐에 대해 정답 위치와의 일치 여부를 결정한 후 사용자 진단에 따른 일치 비율을 결정할 수 있고, 등급 기준에 따라 최종 진단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classifies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grades based on the ratio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match the corresponding correct positions, and as a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can provide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set a rating criterion for classifying the diagnosis result in advance, and the online diagnosis performer 340 may generate the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corresponding rating criterion. Since the correct position of each color puzzle is determined at the time of creation, the higher the ratio between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position placed by the user, the higher the diagnosis result may be.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may determine whether all color puzzles match the correct answer positions, and then may determine the matching ratio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and may determine the final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the rating criteria.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사용자 진단에 따른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위치와 해당 정답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모든 색상 퍼즐들에 대한 거리의 총합을 기초로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의 등급을 분류하여 온라인 진단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calculates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nd the corresponding correct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and based on the sum of the distances for all color puzzles,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can be provided as a result of online diagnosis by classifying the

즉, 색상 퍼즐이 정답 위치에 정확히 배치된 경우 해당 색상 퍼즐의 정답 위치와의 거리는 0에 해당할 수 있다. 반대로, 색상 퍼즐이 정답 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경우 정답 위치와의 거리는 0보다 클 수 있다. 색상 퍼즐 간의 거리는 색상 퍼즐의 중심 좌표 간의 거리로서 산출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lor puzzle is correctly arrang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distance from the correct position of the color puzzle may correspond to 0. Conversely, if the color puzzle is not placed at the correct position, the distance from the correct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0. The distance between color puzzles may be calculated as a distance between center coordinates of the color puzzle.

결과적으로, 모든 색상 퍼즐들에 대한 정답 위치와의 거리의 총합이 클수록 진단 결과는 낮아질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모든 색상 퍼즐들에 대한 거리의 총합을 산출한 후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최종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larger the sum of the distances from the correct answer positions for all color puzzles, the lower the diagnosis result may be.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may calculate the sum of distances for all color puzzles and then generate a final diagnosis result according to a preset grade criterion.

학습방법 가이드부(350)는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온라인 진단의 결과에 따라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학습방법을 가이드(guide)할 수 있다. 학습방법 가이드부(350)는 온라인 진단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을 반영하여 시각적 표현력과 관찰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The learning method guide unit 350 may guide the learning method regarding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reflecting at least one of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The learning method guide unit 350 may provide a learning method that can help improve visual expression and observation ability by reflecting the user's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based on the online diagnosis result.

제어부(370)는 온라인 진단 장치(13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 색상 퍼즐 제공부(320),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 학습방법 가이드부(350) 간의 제어 흐름 또는 데이터 흐름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 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10 ,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 the user diagnosis receiving unit 330 ,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 and the learning method. A control flow or a data flow between the guide units 350 may be managed.

도 4는 도 1에 있는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색상 퍼즐 시각화를 이용한 온라인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diagnosis process using color puzzle visualization performed by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shown in FIG. 1 .

도 4를 참조하면,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복수의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10).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색상 퍼즐 제공부(320)를 통해 선택에 따른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위한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S430).Referring to FIG. 4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images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10 (step S410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generate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for online diagnosis based on a candidate image selected through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and provide them to the user terminal 110 (step S430).

또한,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를 통해 기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재배치 결과를 사용자 진단으로 수신할 수 있다(단계 S450).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를 통해 재배치 결과에 따른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위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 진단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온라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470).Also,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receive the rearrangement result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a user diagnosis for a preset time limit through the user diagnosis receiving unit 330 (step S450).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perform an online diagnosis regarding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of the user diagnosis based on the change i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rearrangement result through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step) S470).

마지막으로,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학습방법 가이드부(350)를 통해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온라인 진단의 결과에 따라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학습방법을 가이드(guide)할 수 있다(단계 S490).Finally,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guides the learning method regarding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reflecting at least one of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through the learning method guide unit 350 . It can be done (step S49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이용하는 색상 퍼즐 시각화의 개념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color puzzle visualization used in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로서 500*500 픽셀 이미지를 온라인 진단에 사용할 수 있다(그림 (a)).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가 선택한 기본 이미지를 기초로 125*125 픽셀 크기를 가진 16개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할 수 있다(그림 (b-1)). 16개의 색상 퍼즐들은 각각 정답 위치가 결정되어 저장될 수 있고, 사용자가 16개의 색상 퍼즐들을 정확한 위치로 배치할 경우 기본 이미지와 유사한 색상 분포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그림 (c)).Referring to FIG. 5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use a 500*500 pixel image as an image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for online diagnosis (Fig. (a)).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generate 16 color puzzles having a size of 125*125 pixels based on the basic image selected by the user (Fig. (b-1)). For each of the 16 color puzzles, the correct position can be determined and stored, and when the user arranges the 16 color puzzles in the correct position, an image having a color distribution similar to that of the basic image can be obtained (Fig. (c)).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기본 이미지를 기초로 생성된 정상적인 색상 퍼즐 16개와 함께 사용자의 시각적 혼동을 유발하는 방해요소로서 4개의 방해 퍼즐을 추가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그림 (b-2)). 사용자는 방해 퍼즐을 사용하여 퍼즐을 맞출 수 있으며, 사용자의 결정에 따라 방해 퍼즐의 사용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방해 퍼즐의 위치를 랜덤화하여 정상적인 색상 퍼즐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방해 퍼즐의 위치를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온라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additionally generate four obstacle puzzles as an obstacle that causes visual confusion of the user along with 16 normal color puzzles generated based on the basic image (Fig. (b-) 2)). The user may use the obstructive puzzle to solve the puzzle, and whether to use the obstructing puzzle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user's decision. In particular,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randomize the position of the obstructive puzzle and provide it to the user along with the normal color puzzle, and the user may perform the online diagnosis without knowing the position of the obstructing puzzle.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기본 이미지와 랜덤화되어 배치된 색상 퍼즐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기 설정된 제한시간(예를 들어, 3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재배치된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그림 (d)).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색상 퍼즐 배치 결과를 기초로 최종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basic image and the randomly arranged color puzzle, and receive the rearranged result from the user for a preset time limit (eg, 3 minutes) (Fig. (d)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generate a final diagnosis result based on the color puzzle arrangement result received from the use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사용하는 방해 퍼즐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6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 block puzzle used in an on-line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색상 퍼즐 제공부(320)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위한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그림 (a)).Referring to FIG. 6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generates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for online diagnosis based on a candidate image selec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terminal 110 . It can be done (Fig. (a)).

일 실시예에서,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기본 이미지로부터 생성되는 정상적인 색상 퍼즐과 방해 퍼즐(650)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색상 퍼즐 제공부(320)는 복수의 색상 퍼즐들 중 가장 밝은 색상 퍼즐(630)과 가장 어두운 색상 퍼즐(610)의 중간 색상을 방해 퍼즐(650)의 대표 색상으로 부여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provide both a normal color puzzle and a disturbing puzzle 650 generated from a basic image. In particular,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may provide the intermediate color between the lightest color puzzle 630 and the darkest color puzzle 610 among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interference puzzle 650 .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색상 퍼즐과 방해 퍼즐(650)을 함께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방해 퍼즐(650)이 아닌 정상적인 색상 퍼즐만을 이용하여 기본 이미지와 유사하도록 재배치하는 과정을 테스트로서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방해 퍼즐(650)을 정상 퍼즐과 중첩시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는 처음에는 방해 퍼즐(650)만을 인지할 수 있으나, 사용자에 의해 방해 퍼즐(650)의 위치가 변경되는 순간 해당 방해 퍼즐(650)에 중첩되어 가려진 색상 퍼즐을 확인할 수 있다(그림 (b)).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provide both the color puzzle and the interference puzzle 650 , and the user may perform a process of rearranging the color puzzle to be similar to the basic image using only the normal color puzzle, not the interference puzzle 650 , as a test. can In this case,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obstruction puzzle 650 by overlapping the normal puzzle, and the user may recognize only the obstruction puzzle 650 at first, but ) at the moment when the position is changed, it is possible to check the color puzzle that is overlapped and hidden on the corresponding interference puzzle 650 (Fig. (b)).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진단 장치에서 수행되는 온라인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online diagnosis process performed by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에게 기본 이미지와 색상 퍼즐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색상 퍼즐은 생성 단계에서 정답 위치와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고,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특정 제한 시간 동안 재배치된 결과로서 사용자 진단을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provide a user with a basic image and a color puzzle. In this case, each color puzzle may be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correct answer position in the generating step, and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be reloca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user diagnosis receiver 330 for a specific time limit. Diagnosis can be received.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를 통해 진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사용자 진단에 따른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위치가 해당 정답 위치와 일치하는 비율을 기초로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의 등급을 분류하여 온라인 진단의 결과로서 제공할 수 있다.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generate a diagnosis result through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 In one embodiment,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classifies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based on the ratio in which the posi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match the corresponding correct positions, and as a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the level of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the observation power are classified. can provide

도 7에서,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사용자 진단에 따른 색상 퍼즐들의 각 위치를 정답 위치와 비교할 수 있고, 일치하는 경우 1, 불일치하는 경우 -1을 부여할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모든 색상 블록에 대해 비교 결과가 부여된 경우 이를 통합할 수 있고, 전체 색상 블록의 수에 대한 정답 위치 일치 수의 비율로서 진단 결과를 결정할 수 있다.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는 미리 설정된 등급 기준에 따라 50%의 일치 비율을 가진 사용자 진단에 대해 '하' 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FIG. 7 ,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may compare each position of the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with the correct position, and may give 1 if they match and -1 if they do not match. When the comparison results for all color blocks are given,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may integrate them, and may determine the diagnosis result as a ratio of the number of correct positions to the total number of color blocks.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may classify a user diagnosis having a matching rate of 50% as a 'low' grade according to a preset grade criterion.

도 8은 방해 퍼즐 및 색상 퍼즐을 이용한 온라인 진단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nline diagnosis process using a block puzzle and a color puzzle.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이미지 선택 수신부(310)를 통해 사용자 단말(110)로부터 복수의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할 수 있다(단계 S810).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색상 퍼즐 제공부(320)를 통해 선택에 따른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위한 복수의 색상 퍼즐들과 적어도 하나의 방해 퍼즐을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10)에게 제공할 수 있다(단계 S830).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receive a selection regard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images from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10 (step S810).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generates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and at least one interference puzzle for online diagnosis based on a candidate image selected through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20 and provides the generated puzzles to the user terminal 110 . can be (step S830).

또한,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사용자 진단 수신부(330)를 통해 기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재배치 결과를 사용자 진단으로 수신할 수 있다(단계 S850). 온라인 진단 장치(130)는 온라인 진단 수행부(340)를 통해 재배치 결과에 따른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위치 변화를 기초로 사용자 진단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온라인 진단을 수행할 수 있다(단계 S870).Also,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receive the rearrangement result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a user diagnosis for a preset time limit through the user diagnosis receiver 330 (step S850). The online diagnosis apparatus 130 may perform an online diagnosis regarding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of the user diagnosis based on the change i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rearrangement result through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40 (step) S87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00: 온라인 진단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 130: 온라인 진단 장치
150: 데이터베이스
210: 프로세서 230: 메모리
250: 사용자 입출력부 270: 네트워크 입출력부
310: 이미지 선택 수신부 320: 색상 퍼즐 제공부
330: 사용자 진단 수신부 340: 온라인 진단 수행부
350: 학습방법 가이드부 360: 제어부
510: 방해 퍼즐
610: 가장 어두운 색상 퍼즐 630: 가장 밝은 색상 퍼즐
650: 방해 퍼즐
100: online diagnostic system
110: user terminal 130: online diagnosis device
150: database
210: processor 230: memory
250: user input/output unit 270: network input/output unit
310: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320: color puzzle providing unit
330: user diagnosis receiving unit 340: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350: learning method guide unit 360: control unit
510: Disruption Puzzle
610: darkest color puzzle 630: lightest color puzzle
650: Disruption Puzzle

Claims (8)

사용자 단말로부터 복수의 후보 이미지들 중 어느 하나에 관한 선택을 수신하는 이미지 선택 수신부;
상기 선택에 따른 후보 이미지를 기초로 온라인 진단을 위한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색상 퍼즐 제공부;
기 설정된 제한 시간 동안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재배치 결과를 사용자 진단으로 수신하는 사용자 진단 수신부; 및
상기 재배치 결과에 따른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에 대한 위치 변화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 진단의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상기 온라인 진단을 수행하는 온라인 진단 수행부를 포함하되,
상기 온라인 진단 수행부는 상기 사용자 진단에 따른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위치가 해당 정답 위치와 일치하는 비율을 기초로 상기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의 등급을 분류하여 상기 온라인 진단의 결과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an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regard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candidate images from the user terminal;
a color puzzle providing unit generating a plurality of color puzzles for online diagnosis based on the candidate image according to the selection and providing them to the user terminal;
a user diagnosis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result of re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s a user diagnosis for a preset time limit; and
and an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the online diagnosis regarding image expression and observation power of the user diagnosis based on a change in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rearrangement result;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classifies the image expressive power and observation power grades based on a ratio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coincide with the corresponding correct positions, and provides the results as the results of the online diagnosis. An online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and expressive pow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선택 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기초로 이미지 추천 알고리즘에 의해 추천된 이미지를 상기 선택으로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mage selection receiving unit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as the selection an image recommended by an image recommendation algorithm based 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based onlin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퍼즐 제공부는
상기 후보 이미지를 동일한 크기를 가진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픽셀별 색상 중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색상을 해당 부분 이미지의 대표 색상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해 고유 식별자를 부여하고 해당 고유 식별자와 정답 위치 및 대표 색상을 연관시켜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부분 이미지들 각각에 대표 색상을 부여하여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을 생성하고 각 색상 퍼즐의 위치를 랜덤화한 후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dividing the candidate image into a plurality of partial images having the same size;
determining,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 color having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among colors for each pixel as a representative color of the corresponding partial image;
assigning a unique identifi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and storing the corresponding unique identifier in association with a correct answer position and a representative color; and
Diagnosis of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characterized in that by giving a representative colo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artial images, generating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randomizing the position of each color puzzle, and providing it to the user terminal An online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퍼즐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방해 퍼즐을 중첩시켜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An online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 and expressive power, characterized in that overlapping a disturbing puzzle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nd providing them to the user termin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퍼즐 제공부는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대표 색상 중 가장 밝은 색상과 가장 어두운 색상의 중간 색상을 상기 방해 퍼즐의 대표 색상으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color puzzle providing unit
An online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 and expressive power,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mediate color between the lightest color and the darkest color among the representative color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is given as the representative color of the interference puzz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진단 수행부는
상기 사용자 진단에 따른 상기 복수의 색상 퍼즐들 각각의 위치와 해당 정답 위치 간의 거리를 산출하고 모든 색상 퍼즐들에 대한 거리의 총합을 기초로 상기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의 등급을 분류하여 상기 온라인 진단의 결과로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nline diagnosis performing unit
The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by calculating the distance between each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color puzzles and the corresponding correct answer position according to the user diagnosis and classifying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based on the sum of the distances for all color puzzles An online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diagnosing observation and express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as
제1항에 있어서,
성별, 나이, 전공 및 직업 중 적어도 하나를 반영한 상기 온라인 진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미지 표현력과 관찰력에 관한 학습방법을 가이드(guide)하는 학습방법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찰력과 표현력 진단을 위한 색상 퍼즐 시각화 기반의 온라인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Diagnosis of observational power and expressive pow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earning method guide unit for guiding a learning method regarding the image expression power and observation power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online diagnosis reflecting at least one of gender, age, major and occupation An online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KR1020190070630A 2019-06-14 2019-06-14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KR10226663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30A KR102266636B1 (en) 2019-06-14 2019-06-14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630A KR102266636B1 (en) 2019-06-14 2019-06-14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65A KR20200142965A (en) 2020-12-23
KR102266636B1 true KR102266636B1 (en) 2021-06-18

Family

ID=74089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630A KR102266636B1 (en) 2019-06-14 2019-06-14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63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43919A1 (en) * 2006-04-12 2007-10-18 Paul Thelen Computer implemented puzzle
JP4759696B2 (en) * 2005-09-14 2011-08-31 光昭 勝矢 Color vision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using color matrix
KR101634619B1 (en) * 2016-03-14 2016-06-29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Dementia cognition evaluating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5883A (en) 2007-07-10 2009-01-14 박민혜 Puzzl block for assembly
KR101144632B1 (en) 2010-03-25 2012-05-11 최훈규 Puzzle toy for developing creative pow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9696B2 (en) * 2005-09-14 2011-08-31 光昭 勝矢 Color vision characteristic evalu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using color matrix
US20070243919A1 (en) * 2006-04-12 2007-10-18 Paul Thelen Computer implemented puzzle
KR101634619B1 (en) * 2016-03-14 2016-06-29 주식회사 그린메디넷 Dementia cognition evaluating devi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965A (en) 2020-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wind et al. Using presence questionnaires in virtual reality
Micallef et al. Towards perceptual optimization of the visual design of scatterplots
CN105518783B (en) Video segmentation based on content
US2018036555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N109643399B (en) Interactive performance visualization of multi-class classifiers
Raftopoulos et al. How enterprises play: Towards a taxonomy for enterprise gamification
Ali et al. A framework for game engine selection for gamification and serious games
US92515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920167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whether parameter configurations meet predetermined criteria
Ericson et al. Space syntax visibility graph analysis is not robust to changes in spatial and temporal resolution
CN104991971B (en) A kind of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of video information
Hojo et al. Analysis of factors predicting who obtains a ball in basketball rebounding situations
JP2017153783A (en) Matching method and matching system of user in game
Collaris et al. Strategyatlas: Strategy analysis for machine learning interpretability
CN110322029A (en) Resource recommendatio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19101861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66636B1 (en) Online diagnosis system based on color puzzle visualization for observation and expression power diagnosis
KR1017458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 learning course automatic generation
CN111639025B (en) Software tes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20140015807A (en) Method and terminal for researching preference and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having the researching terminal
US20200302507A1 (en) Item presentation method, item presentation program, and item presentation apparatus
KR20230159249A (en) Coding test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6121433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cceptability by verifying unverified questionnaire items
US20220280086A1 (en) Management server, method of generating relative pattern information between pieces of imitation drawing data, and computer program
KR101104883B1 (en) Retrieval system for billiards movies and method there 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