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6157B1 -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6157B1
KR102266157B1 KR1020200019180A KR20200019180A KR102266157B1 KR 102266157 B1 KR102266157 B1 KR 102266157B1 KR 1020200019180 A KR1020200019180 A KR 1020200019180A KR 20200019180 A KR20200019180 A KR 20200019180A KR 102266157 B1 KR102266157 B1 KR 10226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user
event
biometric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종현
Original Assignee
류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종현 filed Critical 류종현
Priority to KR102020001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6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13Multi-level security, e.g. mandatory access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이벤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선택된 상기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시작 시간 또는 시작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 요청 알람, 사용자의 생체인식과 소정의 시간 이내에 시작버튼을 클릭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시작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시작 단계와,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이벤트에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끝 시간 또는 끝 위치를 감지하면, 생체인식하라는 요청 알람과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내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끝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끝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상기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전송하는 결과 통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How to authenticate yourself by step-by-step biometrics in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스마트폰, 웨어러블 기기, 타블렛PC 등에 한정하지 않는 온라인 통신이 가능한 이동단말에서 온라인 이벤트의 단계별로 사용자의 생체 인식하여 본인인증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이벤트의 단계에서 복수의 생체 인식으로 본인인증을 하여 제 3자가 정당한 사용자를 대신하여 이동단말을 이벤트중에 사용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사전에 차단하므로,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특정하므로서 이동단말을 통한 이벤트의 기록과 복수의 이벤트 참여자중 사용자의 순위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단말은 무선 통신과 온라인상에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시간 뿐만 아니라 속도, 위치, 고도, 자이로, 근접, GPS 등 여러가지 센서가 구비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행동, 위치, 이동거리, 객체, 생체 등을 감지와 데이터 기록 할 수 있는 것으로 스마트폰, 타블렛PC, 웨어러블 기기 등이 대표적이다.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동과 생체 변화 등을 측정 및 기록하고 순위를 매기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래에 있으나,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계속적으로 이용하고, 제 3자가 상기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고 스마트폰 소유자인 사용자가 사용한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어 본인인증을 따로 하고 있지 않다.
온라인 이벤트의 대표적인 예인 온라인 게임에서도 아이디와 패스워드로만 본인인증을 할 뿐 복수의 생체 인식 등을 통해 본인 인증을 하고 있지 않아 아이디와 패스워드만 있으면 제 3자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온라인 이벤트에 참가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오프라인 이벤트에서는 이벤트를 관리, 감독하는 자가 있어 대리참가가 어려워 신뢰성을 확보하나, 다수가 참여하는 온라인상의 이벤트중 순위에 따라 차등의 상금을 지급하는 이벤트는 오프라인 이벤트와 다르게 육안으로 신분증과의 비교 등 본인 확인 절차가 없어 이동단말기 사용자가 아닌 제 3자가 이동단말을 소지하고 이벤트에 참가 등의 부정행위를 필터링 할 수 없어, 상금 지급을 전제로한 이벤트를 온라인에서 개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홍체, 지문, 얼굴 등 여러 가지 생체부분을 인식을 통한 본인확인은 종래의 스마트폰 등 이동단말에서 구현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잠금을 풀 때, 단발성으로 사용되어, 이와 같은 단발성 생체인식은 장시간의 이벤트에서 제 3자가 이동단말을 사용하여 대리 행위 등의 부정행위를 방지 하지 못한다.
즉, 이벤트의 시작단계에서 정당한 참가 하는 사용자가 단발성으로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통한 본인 인증후 제3자에게 이동단말을 건네주어 이벤트가 요구하는 행위를 제 3자가 수행하더라도, 서버는 이동단말로부터 받은 데이터에서 정당한 참가 하는 사용자가 이벤트를 수행하였다고 분석 및 인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하라는 알람 후 생체인식을 통한 본인인증에 대해 시간적 여유를 주게 되면 사용자를 대리하여 제 3자가 이동단말을 소지하는 기회를 주여 이벤트내에서 부정행위를 허용하게 된다.
온라인의 이벤트는 다수가 동시에 참가하지 않고, 시차를 두고 같은 코스 또는 같은 규칙 하에 경쟁하여 이동단말과 서버를 이용하여 참가자의 결과를 기록하고 순위를 매기길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이벤트는 오프라인 이벤트와 다르게 육안으로 본인 확인 및 관리 감독 못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벤트의 정당한 참가자인 사용자가 아닌 제 3자가 상기 참가 하는 사용자로 오인될 수 있어, 온라인 이벤트에서의 부정행위를 차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이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부정행위 차단 방법중 하나인 이동단말의 생체인식이 이벤트 참여에 방해받지 않도록 이벤트의 본인인증 절차와 이벤트 순서를 단계별로 달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벤트의 구간 중 또는 시간 중에 한 번 이상의 생체 인식으로 본인인증을 하여, 이벤트 참가 하는 사용자가 중도에 바뀌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한 이벤트 참가 하는 사용자의 이벤트 이전의 행동 패턴 및 상황 등의 데이터와 이벤트중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한 참가 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상황 등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본인인증을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벤트중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한 이동단말 사용자의 행동 패턴과 센서 값의 변화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이벤트에서 허용하지 않는 기기 사용 및 대리행위 등 부정행위를 필터링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동단말이 온라인상 이벤트의 알고리즘이 지정된 시간 또는 지정된 위치가 되면 자동으로 이동단말 사용자에게 이동단말에서 하나 이상의 생체인식을 통한 본인인증을 시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이벤트의 시작점에서 생체인식을 하고, 끝 점에서도 생체인식을 하게 되면 제3자의 개입의 부정행위 방지가 기능하고, 추가적으로 이벤트중에 생체인식을 더하면 부정행위 방지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이벤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벤트 선택 단계;
상기 이동단말은 선택된 상기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시작 시간 또는 시작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단말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인식을 요청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에서 상기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소정의 시간 이내에 시작버튼을 클릭하라는 안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동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 이내에 시작버튼을 클릭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시작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시작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된 중간 시간 또는 중간 위치를 감지하면, 이동단말은 소정의 시간이내에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라는 요청 알람을 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내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이벤트에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끝 시간 또는 끝 위치를 감지하면, 이동단말은 소정의 시간이내에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라는 요청 알람을 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내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끝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끝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복수의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본인인증 분석결과 내지 부정행위 분석 결과 내지 상기 사용자의 개별 데이터 내지 상기 이벤트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순위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전송하는 결과 통보 단계;를 포함하여 달성 할 수 있다.
육안으로 본인 확인 및 관리 감독 못하는 온라인 이벤트중 이벤트 참가 하는 사용자가 아닌 제 3자가 대리 참가 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소정의 시간 이내로 시간 제한 하에 생체인식 절차 또는 시작버튼을 클릭하게 하므로서 이벤트 참가 하는 사용자가 아닌 제 3자가 대리 참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단말의 사용자가 온라인 이벤트를 수행함에 있어서, 이벤트의 생체인식 절차와 이벤트 순서를 단계별로 달리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단계별로 본인인증 절차가 이벤트 참여, 기록 등에 방해받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벤트의 구간 또는 시간중에도 한번 이상의의 생체 인식으로 본인인증을 하여, 이벤트 참가 하는 사용자가 중도에 바뀌는 대리행위, 허용하지 않는 기기 사용 등의 부정행위를 필터링 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한 이벤트 참가 하는 사용자의 과거 행동 패턴 및 상황 등의 데이터와 이벤트중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한 참가 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상황 등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데이터의 유사점을 통해 부정행위를 필터링 하는 효과가 있다.
이벤트중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한 참가 하는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상황 등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이벤트에서 허용하지 않는 기기 사용 및 대리행위 등 부정행위를 필터링 하는 것이 효과가 있다.
이동단말이 온라인상 이벤트의 알고리즘이 지정된 시간 또는 지정된 위치가 되면 자동으로 이동단말 사용자에게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통한 본인인증 절차를 시행하는 효과가 있다.
이동단말을 이용하여 이벤트의 시작점 뿐만 아니라, 끝 점과 하나 이상의 중간점에도 생체인식을 하여, 한 번 이상의 생체인식과 축적된 생체인식 데이터 들을 비교 분석을 통해 본인인증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의 구간별로 생체인식 본인인증 방법을 표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의 시간별로 본인인증 방법을 표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이벤트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 이전과 이벤트 중의 이동단말 센서들 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벤트의 구간별로 본인인증 방법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과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이벤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80), 서버(1)에 전송한다.
이벤트는 여러 사람이 참가하는 스포츠 경기, 불특정 다수가 참여하는 행사 및 대회를 의미하며, 참가자는 이벤트에서 정한 룰과 목표를 달성하는 기록경쟁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의 이벤트 뿐 만 아니라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혼합된 이벤트도 의미하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동단말(12, 14, 16, 22, 24, 32, 34)은 무선통신을 할 수 있으며, GPS, 가속센서, 자이로센서, 근접센서, 밝기센서, RGB센서, 홀센서, 모션센서, 온도 습도 센서, 기압센서, 지자기센서, 지문인식센서, 심장박동센서 등 여러 가지 센서와 카메라 등이 있으며, 종래의 기술의 예로는 스마트폰, 웨어러블 시계, 타블렛PC 등이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동단말(12, 14, 16, 22, 24, 32, 34)은 센서로 지문, 홍채, 정맥, 얼굴, 음성 등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일부분인 생체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특정하여 특정인을 다른사람과 구별 및 본인인증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이동하여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12, 14, 16)은 GPS를 비롯한 센서를 통해 선택된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시작 위치(10, 81)를 감지하면, 사용자가 소지한 이동단말(12)에서는 사용자의 생체인식을 요청하는 알람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이동단말(14)에서 생체인식을 하면(82), 다음 단계로 이동단말(16)은 소정의 시간 이내에 시작 버튼을 클릭하라는 안내를 생성(83)한다.
소정의 시간 이내는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정한 시간 이내를 뜻하며, 이벤트별로 정한 시간은 다를 수 있으며, 소정의 시간 이내를 이벤트의 알고리즘이 정한 시간 이내로 대체가 가능하며, 소정의 시간 이내로 제한하는 이유는 생체 인식후 제3자가 이동단말을 소지하여 이벤트에 참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소정의 시간을 몇 초로하여 사용자가 제 3자에게 이동단말(12, 14, 16, 22, 24, 32, 34)을 건내 주는 시간을 허용하지 않기 위함이며, 소정의 시간은 선텍된 이벤트 알고리즘에 의해 정해진다.
사용자가 이동단말(16)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 이내에 시작버튼을 클릭하고(83),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시작 데이터를 서버(1)에 전송하는 것을 시작 단계의 특징으로 하며, 시작버튼(46)은 사용자가 이벤트의 시작을 알리는 절차이다.
시작데이터는 시작단계중에 이동단말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말하는 것으로 시작시간 또는 시작 위치 감지 시간, GPS값, 생체인식 데이터, 시작버튼 클릭 시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32, 34)이 상기 이벤트에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끝 위치(30)를 GPS 등을 통해 감지(86)하면, 이동단말(32)은 소정의 시간이내에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라는 요청 알람을 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내 상기 이동단말(34)에서 생체인식을 하고(87),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끝 데이터를 상기 서버(1)에 전송하는 끝 단계(86, 87)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만약 끝 단계(86, 87)가 없다면, 시작 단계(81, 82, 83)에서의 생체인식(82)한 사용자가 시작버튼(83)을 클릭한후 제 3자에게 이동단말(12, 14, 16)을 건네고 이벤트에서 정한 룰에 따라, 끝 위치(86)를 통과하면 사용자인지 제 3자인지 알 수가 없다.
즉, 오프라인 이벤트는 같은 시간에 같은 장소에서 다수가 이벤트를 참가하고, 이벤트 참가자를 감시와 감독하는 자가 있어 신분증과 얼굴 대조 등을 통해 본인인증이 가능하고, 이벤트중 부정행위를 감시하나, 본 발명에서의 실시 예인 온라인 이벤트는 다수의 참가자가 다른 시간에 같은 조건의 이벤트를 실시 할 수 있어, 감시 감독하는 자가 없어 본인인증이 어렵고, 참가자 바꾸어 치기 등 부정행위의 배제할 수 없다.
이동단말(22, 24)이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된 중간 위치를 감지(20, 84)하면, 이동단말(22)은 중간 알람을 하고, 상기 중간 알람 이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상기 이동단말(24)에서 생체 인식을 유도(85)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단계(84, 85)가 이벤트 알고리즘에 의해 한번 이상 있을 수 있다.
시작단계(81, 82, 83)와 끝 단계(86, 87)사이에, 이동단말(22, 24)이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된 하나 이상의 중간 위치(20, 84)를 감지하면, 이동단말(22)은 소정의 시간이내에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라는 요청 알람을 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내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24)을 하고(85),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중간 단계(84, 85)의 중간 위치(20)은 시작 위치(10)와는 다르게 사용자에게 중간 위치 또는 시간을 공개하지 않아, 언제 어느 장소에 중간 단계가 있을지 몰라 부정행위의 방지가 가능하고, 이벤트 중간에 생체 인식을 유도(85)하게 하여 시작단계(81, 82, 83)에서의 생체인식(82)과 중간단계(84, 85)에서의 생체 인식(85)를 비교 분석하여 동일인 또는 이벤트의 정당한 참가자인지를 판단 할 수 있는 생체인식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이동단말의 중간 알람(22)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생체인식(24)을 유도하게 시간 제한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부정행위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소정의 시간은 이벤트 알고리즘에 의해 시간이 정해진다.
중간단계(84, 85)가 없다면, 사용자가 시작 위치(10)에서 시작단계(81, 82, 83)를 마치고, 이동단말(22, 24)를 제 3자에게 건네주고 이벤트에 참가 하고, 사용자는 부정한 도구 및 방법으로 끝 위치(30)에 미리와 대기하고 있다가, 제 3자로부터 이동단말(32, 34)를 건네 받아 사용자가 끝 단계(86, 87)를 행하면, 서버(1)는 시작단계의 생체 인식(14, 82)과 끝 단계 생체인식(34, 87)이 동일하다고 분석하여 사용자를 정당한 참가자로 인정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가 미리 알지 못하는 불특정 시간에 중간단계(84, 85)에서 생체인식(24, 85)를 실시하여 시작단계의 생체인식(14, 82)과 중간단계의 생체 인식(24, 85)와 끝 단계의 생체인식(24, 87)을 분석하여 세 단계의 생체 인식이 동일한지를 분석하여 제 3자가 사용자를 대신하여 이벤트 참가하는 지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이벤트에서의 부정행위를 필터링 하기 위하여, 서버(1)는 이동단말(12, 14, 16, 22, 24, 32, 34)로 부터 수신 받은 복수의 데이터를 분석(88)하여 본인인증 분석 결과 내지 부정행위 분석 결과 내지 사용자의 개별 데이터 내지 이벤트에서의 사용자의 순위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전송하는 결과 통보 단계(89,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고 있다,
본인인증 분석, 부정행위 분석, 사용자의 개별 데이터, 사용자의 이벤트에서의 순위를 선택적으로 이동 단말에 전송하는 것은 본인인증 분석 또는 부정행위 분석에서 부정참가자로 간주(90)되면, 사용자의 개별 데이터와 사용자의 순위는 무의미하여 이동단말에는 부정 참가자로 간주 되었다는 안내문만 전송하기 때문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의 구간별로 본인인증 방법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의 시간별로 본인인증 방법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하여 전술한 내용에 대조하면, 도 1은 이벤트 구간에서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시작 위치인 시작단계(10), 중간 위치인 중간단계(20)와 끝 위치인 끝단계(30)로 구분하며, 도 2는 같은 위치인 같은 건물(31)에 있지만 이벤트 기간에서 시간의 변화(47, 57, 67)에 따라 시작 시간인 시작단계(40), 중간 시간인 중간단계(50), 끝 시간인 끝 단계(60)로 단계가 구분되어 도1과 도2는 구간과 시간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2와 도 3과 같이, 시작단계(81, 82, 83)는 사용자(40)가 이벤트에서 정한 건물(31) 위치와 특정 시간(47)이 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42, 44, 46)에서 알람(42), 생체인식(14), 시작버튼 클릭(16)을 하면 이동단말은 생성된 시작데이터를 서버(1)에 전송한다.
중간단계(84, 85)는 사용자(50)가 시작단계와 같은 위치(31)에 있다. 즉, 시간이 변화하여 시작단계의 시간(47)은 1시이나, 중간단계의 시간(57)은 3시이며, 시간 변화(57)를 감지한 이동단말(52, 54)은 중간알람(52)과 생체인식(54)을 하면, 중간데이터를 서버(1)에 전송한다.
끝 단계(86, 87)는 시작 단계(40)와 중간 단계(50)와 같은 위치(31)에 있으나, 시작단계는 1시(47), 중간단계는 3시(57)이며, 끝 단계는 이와 구분되는 6시(67)으로 이와 같이 이동단말(62, 64)이 끝 시간(67)을 감지하면, 끝 단계의 요소인 알람(62)과 생체인식(64)를 하면, 이동단말(62, 64)는 끝 데이터를 서버(1)에 전송한다.
결과통보 단계(88, 89 ,90)는 도 1에서 전술한 바와 같으며, 도 2에서의 시작 단계, 중간단계, 끝단계에서의 소정의 시간 이내는 이벤트 알고리즘에서 정한 시간을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벤트 이전과 이벤트 중의 이동단말 센서들 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순서도이다.
도 4와 같이 상기 이벤트 선택 단계와 상기 시작 단계의 사이에, 상기 이벤트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버는 상기 이벤트 중에 상기 이동단말의 복수개의 센서에서 수집(72)하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73)와 비교하여 본인인증과 부정행위를 판단할 수 있는 이벤트 이전의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하는 행동 데이터 수집(70)하고 분석(71) 단계 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동단말은 종래의 기술의 예인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시계 등이 대표적이고, 복수개의 센서가 있어, 사용자의 특유의 동작, 거리에 따르는 발 걸음 횟수, 체온의 변화 등을 다양한 사용자의 행동을 감지하여 데이터로 변환 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특정한 사용자를 구별 할 수 있고 부정한 도구 및 방법 등의 부정행위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이벤트의 성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를 수집 할수 있으며, 수집된 이벤트 이전과 이벤트 중의 데이터를 분석과 비교(71, 73)를 하여 이벤트 이전과 이벤트 중의 사용자가 동일인 인지를 포함하는 부정행위를 판단(74)하여, 행동 데이터의 패턴이 다를 경우 부정 참가자로 간주(75)하여, 본인인증 분석결과만 이동단말에 전송하고, 동일인일 경우, 서버는 사용자의 본인인증과 개별 데이터와 순위 등을 사용자의 이동단말에 전송한다(76).
1 : 서버 31 : 건물
10, 40 : 시작점
20, 50 : 중간점
30, 60 : 끝점
47, 57, 67 : 시계
12, 42 : 시작 단계중 이동단말의 시작알람
14, 44 : 시작 단계중 이동단말의 생체인식
16, 46 : 시작 단계중 이동단말의 시작버튼
22, 52 : 중간 단계중 이동단말의 중간알람
24, 54 : 중간 단계중 이동단말의 생체인식
32, 62 : 끝 단계중 이동단말의 중간알람
34, 64 : 끝 단계중 이동단말의 생체인식

Claims (3)

  1. 사용자가 이동단말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하나 이상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혼합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경기 또는 행사 또는 대회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인 이벤트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이벤트 선택 단계;

    상기 이동단말은 선택된 상기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시작 시간 또는 시작 위치를 감지하면, 상기 이동단말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생체인식을 요청하는 알람을 생성하여, 상기 이동단말에서 상기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면, 상기 이동단말은 소정의 시간 이내에 시작버튼을 클릭하라는 안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가 이동단말에서 상기 소정의 시간 이내에 시작버튼을 클릭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시작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하는 시작 단계;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이벤트에 알고리즘에서 지정한 끝 시간 또는 끝 위치를 감지하면, 이동단말은 소정의 시간이내에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라는 요청 알람을 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내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끝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끝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복수의 상기 데이터를 분석하여 본인인증 분석결과 내지 부정행위 분석 결과 내지 상기 사용자의 개별 데이터 내지 상기 이벤트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순위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이동단말에게 전송하는 결과 통보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단계와 상기 끝 단계의 사이에,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이벤트의 알고리즘에서 지정된 중간 시간 또는 중간 위치를 감지하면, 이동단말은 소정의 시간이내에 사용자가 생체인식하라는 요청 알람을 하여, 상기 사용자가 소정의 시간 이내 상기 이동단말에서 생체인식을 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생성된 중간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중간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선택 단계와 상기 시작 단계의 사이에, 상기 이벤트의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적으로, 서버는 상기 이벤트 중에 상기 이동단말의 복수개의 센서에서 수집하는 사용자의 행동 데이터와 비교하여 본인인증 또는 부정행위를 판단할 수 있는 이벤트 이전의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상기 이동단말로부터 수집하는 행동 데이터 수집 단계; 를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KR1020200019180A 2020-02-17 2020-02-17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KR10226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80A KR102266157B1 (ko) 2020-02-17 2020-02-17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180A KR102266157B1 (ko) 2020-02-17 2020-02-17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6157B1 true KR102266157B1 (ko) 2021-06-16

Family

ID=76602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180A KR102266157B1 (ko) 2020-02-17 2020-02-17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61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812A (ko) * 2021-09-02 2023-03-09 (주)씨유박스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970A (ko) * 2011-10-19 2013-04-29 주식회사 위즈디엔에스코리아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보제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2970A (ko) * 2011-10-19 2013-04-29 주식회사 위즈디엔에스코리아 생체 정보를 이용한 정보제공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812A (ko) * 2021-09-02 2023-03-09 (주)씨유박스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3033288A1 (ko) * 2021-09-02 2023-03-09 (주)씨유박스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93260B1 (ko) * 2021-09-02 2023-10-24 (주)씨유박스 생체정보 템플릿을 이용한 좌석 이탈 관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re et al. Zebra: Zero-effort bilateral recurring authentication
Sun et al. Accelerometer-based speed-adaptive gait authentication method for wearable IoT devices
JP4196973B2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方法
Buriro et al. Please hold on: Unobtrusive user authentication using smartphone's built-in sensors
US922329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 user of an electronic device
Gamboa et al. An Identity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Human Computer Interaction Behaviour.
Wolff Behavioral biometric identification on mobile devices
Niu et al. Gesture authentication with touch input for mobile devices
JP2007193656A (ja) 本人認証装置
CN109243011A (zh) 智能门锁生物信息开锁方法和智能门锁
KR102266157B1 (ko) 이동단말에서 단계별 생체인식으로 본인인증 방법
JP2005202730A (ja) 生体照合を用いた個人認証装置、個人認証方法、及び通行制御装置
Karanikiotis et al. Continuous implicit authentication through touch traces modelling
US202204141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authentication
US1195418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io-behavioral authentication
EP3448078B1 (en) Electroni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Stragapede et al. IJCB 2022 mobile behavioral biometrics competition (MobileB2C)
CN109249898B (zh) 认证装置及认证方法
Shen et al. Waving gesture analysis for user authentication in the mobile environment
CN112989937B (zh) 用户身份验证的方法和装置
WO2015028916A1 (en) Context-dependent authentication system, method and device
Shrestha et al. Walk-unlock: Zero-interaction authentication protected with multi-modal gait biometrics
US11860985B2 (en) Adjusting biometric detection thresholds based on recorded behavior
JP6942957B2 (ja) 認証システム、認証制御装置、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15248910A (zh)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身份认证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