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620B1 - 효율가변 안테나 - Google Patents

효율가변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620B1
KR102265620B1 KR1020150057864A KR20150057864A KR102265620B1 KR 102265620 B1 KR102265620 B1 KR 102265620B1 KR 1020150057864 A KR1020150057864 A KR 1020150057864A KR 20150057864 A KR20150057864 A KR 20150057864A KR 102265620 B1 KR102265620 B1 KR 102265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switching element
unit
efficiency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600A (ko
Inventor
박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5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620B1/ko
Priority to US15/138,957 priority patent/US9954509B2/en
Publication of KR20160126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6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38Impedance-ma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30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 H01Q9/42Resonant antennas with feed to end of elongated active element, e.g. unipole with folded element, the folded parts being spaced apart a small fraction of the operating wave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01Q1/46Electric supply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0Structural association of antennas with earthing switches, lead-in devices or lightning prot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Landscapes

  • Details Of Aerial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효율가변 안테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안테나는, 급전부; 제1접지부; 제2접지부;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제1접지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1스위칭 소자; 및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2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효율가변 안테나{EFFICIENCY VARIABLE ANTENNA}
본 발명은 효율가변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테나와 회로간 격리도(isolation)는, 활용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에 따라 -6 내지 -15dB까지 확보될 것이 요구된다. 특히 와이파이(Wi-Fi)와 블루투스(Bluetooth)를 동시에 처리하는 모듈의 등장으로 인해, 현재에는 와이파이 안테나와 블루투스 안테나간 -25dB까지의 격리도가 요구되며, 머지않아 -30dB 이하의 격리도가 요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수동적으로 격리도가 확보된다고 하여도, 기기(예를 들어, DTV, 블루레이(blue-ray) 디바이스) 등에 안테나를 장착하는 경우, 주변의 다양하고 복잡한 반사체에 의해 격리도 확보는 더욱 어려워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안테나의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주로 공존특성(co-ex)을 측정하게 되는데, 종래의 안테나와 이를 트리밍하는 방법은, 이러한 공존특성 성능을 측정하고 이를 개선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를 줄일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능동적으로 안테나 효율과 방사패턴을 최적화하여 전송속도를 향상할 수 있는, 효율가변 안테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는, 급전부; 상기 급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적어도 셋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매칭소자; 상기 매칭소자 중 제1 및 제2 인덕터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접지부; 상기 제1인덕터를 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1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인덕터를 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2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는,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초크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는, 급전부; 제1접지부; 제2접지부;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제1접지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1스위칭 소자; 및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2스위칭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는,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초크 인덕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는,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1스위칭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1인덕터; 상기 제2접지부와 상기 제2스위칭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2인덕터;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직접 전원을 인가받는 제3인덕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디바이스에 장착하는 경우 능동적으로 안테나 효율과 방사패턴을 최적화함으로써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별도의 트리밍 없이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공존특성의 측정과 개선과 관련한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의해 트리밍되는 안테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가 인쇄회로기판(PCB)에 인쇄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공존특성의 측정과 개선에 대해 설명하고,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공존특성의 측정과 개선과 관련한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트리밍되는 안테나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공존특성 측정과 개선을 위하여, 레퍼런스 샘플 안테나의 공존특성을 측정하고 개선 샘플의 공존특성을 측정하는 방식으로서, 레퍼런스 샘플 대비 개선 샘플의 결과가 낮을 경우, 안테나 트리밍을 통해 개선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1의 트리밍 과정에 사용되는 안테나로서, 안테나 급전부(100)와, 안테나 매칭소자(210~240) 및 2단의 접지(GND)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프로세스에서는, 종료까지 반복적인 안테나 트리밍을 통해 공존특성을 개선하며, 이때 셋트 장착 및 제거의 과정을 통해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1의 과정을 통해 우수한 샘플이 확보되어도 펌웨어가 변경되면 모든 프로세스가 반복하게 되며, 안테나 트리밍은 그 개수에 따라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므로, 개발기간 또한 증가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바이스에 장착하는 경우 능동적으로 안테나 효율과 방사패턴을 최적화함으로써 전송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디바이스에 장착되어 별도의 트리밍 없이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단독으로의 우수한 성능을 가질 뿐 아니라, 디바이스에 실장되었을 때 안테나 효율을 가변함으로써 공존특성을 최적화하여, 스루풋(throughput)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트리밍 작업을 거치지 않고 디바이스에 장착하는 경우 효율 및 방사패턴의 가변으로 가장 우수한 성능의 효율 및 방사패턴을 탐색할 수 있어,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우수한 성능을 구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1)는, 도 2와 같은 종래의 안테나에 능동 회로를 추가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1)는, 급전부(10), 안테나 매칭소자(21~25), 제1 및 제2 접지부(GND1, GND2), 제1 및 제2DC 차단 커패시터(31, 32), 제1 및 제2RF 초크(choke) 인덕터(41, 42) 및 제1 및 제2 스위칭 소자(51, 52)를 포함할 수 있다.
급전부(10)로 유기되는 전기적 신호는 본 발명의 안테나(1)에 의해 무선에너지로 방사될 수 있다.
매칭소자(21~25)는, 안테나(1)의 공진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접지부(GND1, GND2)에 연결된 제 및 제2스위칭 소자(51, 52)가 각각 온 또는 오프되어 안테나(1)의 접지가 변화하게 되어, 방사패턴과 효율을 가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안테나의 급전부(10)가 안테나(1)의 '+pole'을 구성하고, 접지가 '-pole'을 구성하게 되는데, 접지의 변화에 따라 안테나(1)의 전체적인 효율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51, 52)는 예를 들어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위칭을 수행하는 다양한 RF 소자가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51, 52)의 전원은 제1 및 제2RF 초크 인덕터(41, 42)로부터 공급될 수 있고, 제1 및 제2RF 초크 인덕터(41, 42)의 인덕턴스는 전기적으로 매칭소자(21~25)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를 차단하는 값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인덕터는 그 크기에 따라 고유의 Q값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그 특성을 활용하여 공진주파수를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DC 차단 커패시터(31, 32)는, 방사체로 유기되는 전원을 각각 차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가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인쇄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가 구현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의 동작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일예시도로서, 도 4에서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51, 52)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각각 가변되는 안테나(1)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5a는 제1스위칭 소자(51)는 온이고, 제2스위칭 소자(52)는 오프인 경우이고, 도 5b는 제1스위칭 소자(51)는 오프이고, 제2스위칭 소자(52)는 온인 경우이다. 또한, 도 5c는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51, 52)가 모두 온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a와 같이 제1스위칭 소자(51)는 온이고, 제2스위칭 소자(52)는 오프인 경우, 제1접지부(GND1)만을 사용하게 되어 안테나(1)의 방사패턴과 효율의 가변이 가능하다.
또한, 도 5b와 같이 제1스위칭 소자(51)는 오프이고, 제2스위칭 소자(52)는 온인 경우, 제2접지부(GND2)만을 사용하게 되어 안테나(1)의 방사패턴과 효율의 가변이 가능하다.
또, 도 5c와 같이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51, 52)가 모두 온인 경우 제1 및 제2접지부(GND1, GND2)를 모두 사용하게 됨으로써, 안테나(1)의 방사패턴과 효율의 가변이 가능하다.
이때, 각 경우 안테나(1)의 효율은 접지부(GND1, GND2)의 구조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될 수 있지만, 접지부(GND1, GND2)의 상황에 따라 안테나(1)의 효율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안테나의 효율이 증가되고 격리도의 최적화로 공존특성(CO-EX)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펌웨어에 따른 안테나의 트리밍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위칭 소자를 활용하여 안테나의 전류방향을 가변함으로써 격리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최적화할 수 있다.
다음 표 1 및 표 2는, 도 2의 안테나의 효율 및 공존특성(co-ex)(표 1)과 격리도(표 2)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격리도의 단위는 [dB]이다.
밴드 2.4㎓ 5㎓
ANT0 33% 58%
ANT1 58% 56%
BT 18%
co-ex 34
밴드 2.4㎓ 2.5㎓
ANT0-ANT1 -23 -23
ANT0-BT -27 -28
ANT1-BT -27 -28
또한, 아래의 표 3 및 표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의 효율 및 공존특성(co-ex))(표 3)과 격리도(표 4)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격리도의 단위는 [dB]이다.
D1 온 D2 온 D1 온 D2 오프 D1 오프 D2 온
밴드 2.4㎓ 5㎓ 2.4㎓ 5㎓ 2.4㎓ 5㎓
ANT0 33% 58% 33% 58% 33% 58%
ANT1 58% 56% 58% 56% 58% 56%
BT 18% 40% 25%
co-ex 34 47 42
D1 온 D2 온 D1 온 D2 오프 D1 오프 D2 온
밴드 2.4㎓ 2.5㎓ 2.4㎓ 2.5㎓ 2.4㎓ 2.5㎓
ANT0-ANT1 -23 -23 -23
ANT0-BT -27 -28 -26 -28 -27 -29
ANT1-BT -27 -28 -29 -32 -32 -41
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에 의하면, 효율, 공존특성 및 격리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효율가변 안테나는, 도 1과 같은 트리밍 과정을 거칠 필요 없이, 스위칭 소자의 온 또는 오프에 따라 접지를 변화시켜, 효율이 증가되고 격리도의 최적화로 공존특성(CO-EX)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되는 디바이스의 변화에 따라 트리밍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다양한 디바이스에 자유로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BT 동작 또는 비동작시 각각 와이파이 안테나의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21~25: 매칭소자 31, 32: DC 차단 커패시터
41, 42: RF 초크 인덕터 51, 52: 스위칭 소자

Claims (5)

  1. 급전부;
    상기 급전부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임피던스 매칭을 위한, 적어도 셋의 인덕터를 포함하는 매칭소자;
    상기 매칭소자 중 제1 및 제2 인덕터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접지부;
    상기 제1인덕터를 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1스위칭 소자; 및
    상기 제2인덕터를 회로와 연결 또는 분리하는 제2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초크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초크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전기적으로 상기 매칭소자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를 차단하는 값을 갖는 효율가변 안테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와 각각 연결되어 방사체로 유기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 및 제2 DC 차단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효율가변 안테나.
  3. 급전부;
    제1접지부;
    제2접지부;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제1접지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1스위칭 소자; 및
    상기 급전부와 상기 제2접지부를 온 또는 오프하는 제2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및 제2초크 인덕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초크 인덕터의 인덕턴스는 전기적으로 매칭소자에 의해 결정되는 공진주파수를 차단하는 값을 갖는 효율가변 안테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스위칭 소자와 각각 연결되어 방사체로 유기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제1 및 제2 DC 차단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효율가변 안테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지부와 상기 제1스위칭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1인덕터;
    상기 제2접지부와 상기 제2스위칭 소자 사이에 배치되고, 임피던스 매칭을 수행하는 제2인덕터; 및
    상기 급전부로부터 직접 전원을 인가받는 제3인덕터를 포함하는 효율가변 안테나.
KR1020150057864A 2015-04-24 2015-04-24 효율가변 안테나 KR102265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64A KR102265620B1 (ko) 2015-04-24 2015-04-24 효율가변 안테나
US15/138,957 US9954509B2 (en) 2015-04-24 2016-04-26 Efficiency variable antenn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864A KR102265620B1 (ko) 2015-04-24 2015-04-24 효율가변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600A KR20160126600A (ko) 2016-11-02
KR102265620B1 true KR102265620B1 (ko) 2021-06-17

Family

ID=57146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864A KR102265620B1 (ko) 2015-04-24 2015-04-24 효율가변 안테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54509B2 (ko)
KR (1) KR1022656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7918A1 (en) * 2002-11-18 2006-05-11 Tadashi Oshiyama Antenna for a plurality of bands
US20150054697A1 (en) * 2013-08-22 2015-02-26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Tunable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032A (ko) * 2004-09-08 2006-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고주파 수신기의 입력동조회로
KR101382818B1 (ko) * 2007-10-26 2014-04-0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임피던스 매칭 장치
JP2010239246A (ja) * 2009-03-30 2010-10-21 Fujitsu Ltd モノポールとループを組み合わせた動作周波数を調整可能なアンテナ
TWI617094B (zh) * 2013-06-03 2018-03-0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多頻天線組件及具有該多頻天線組件的無線通訊裝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97918A1 (en) * 2002-11-18 2006-05-11 Tadashi Oshiyama Antenna for a plurality of bands
US20150054697A1 (en) * 2013-08-22 2015-02-26 Chiun Mai Communication Systems, Inc. Tunable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employ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15596A1 (en) 2016-10-27
US9954509B2 (en) 2018-04-24
KR20160126600A (ko) 2016-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59117B (zh) 用于减少天线间互耦的天线组件和自愈式的去耦合方法
KR101087150B1 (ko) 다중대역 안테나 시스템
US9627755B2 (en) Multiband antenna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9806418B2 (en) Antenna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US20200076059A1 (en) Antenna structure
KR101217468B1 (ko) 기생 커플링 공진을 부가한 역f 안테나
US9748661B2 (en) Antenna for achieving effects of MIMO antenna
EP3185354A1 (en) Antenna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US20120218165A1 (en) Antenna-matching device, antenna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727579B2 (en) Device and method of reducing mutual coupling of two antennas by adding capacitors on ground
US20180062270A1 (en) Antenna structu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9300045B2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antenna element
US20150009086A1 (en) Active antenna system with multiple feed por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03145B2 (en) Antenna-device substrate and antenna device
TW201445899A (zh) 射頻匹配電路及無線通訊裝置
US6795027B2 (en) Antenna arrangement
TWI539669B (zh) 通訊裝置
KR102265620B1 (ko) 효율가변 안테나
US20150280319A1 (en) Frequency-switchable active antenna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Zhong et al. Biplanar monopole with DSPSL feed and coupling line for broadband mobile phone
US20150061954A1 (en) Antenna assembly
KR101473717B1 (ko) 광대역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WO2002065582A1 (en) Wireless terminal
Sui et al. Quad-IFA MIMO Antennas Using Self-curing Decoupling Technique
KR20130077133A (ko) 패치 안테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