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933B1 -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933B1
KR102264933B1 KR1020190119182A KR20190119182A KR102264933B1 KR 102264933 B1 KR102264933 B1 KR 102264933B1 KR 1020190119182 A KR1020190119182 A KR 1020190119182A KR 20190119182 A KR20190119182 A KR 20190119182A KR 102264933 B1 KR102264933 B1 KR 102264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otrusion
unit connector
bin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7065A (ko
Inventor
정이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90119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9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7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08Modular b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58Electrical interconnections between 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는: 수용공간부를 구비하고, 공용으로 사용되도록 블록형으로 형성되는 단위커넥터와, 단위커넥터와 이웃하는 단위커넥터를 상호 결합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는, 단위커넥터를 조립하여 커넥터를 형성함에 있어, 공용화된 단위커넥터를 결속부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커넥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금형비용을 절감하여 커넥터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BLOCK ASSEMBLY TYPE COMMON CONNECTOR}
본 발명은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단위커넥터를 조립하여 커넥터를 형성함에 있어, 공용화된 단위커넥터를 결속부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커넥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금형비용을 절감하여 커넥터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서 점차적으로 일반차량,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 자동차는 고전압/고전류를 사용하게 되므로,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량 내부의 부품에 안정적으로 공급 및 분배하기 위한 전기장치를 필요로 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자제어를 위하여 많은 부품들이 모듈 형태로 제작되고 있으며, 사용전류나 전기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연결된 전선이나 통신선들의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자동차의 부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자동차의 부품에 장착되었을 때 전기적인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여러 가지 안전검사를 거치게 된다. 그리고, 통상의 커넥터는 상호 탈착되는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을 구비하며, 상호 결합된 암하우징과 숫하우징이 고정부재의 결합을 통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런데, 기존에 개발된 인라인 커넥터들은 차량의 구조를 고려하여 시리즈, 타입별로 다양한 형태의 커넥터를 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부품 공간활용도가 현저하게 떨어질 뿐만아니라, 각 타입별로 별도의 커넥터를 제작해야 하므로 금형비용등 커넥터 제조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850446호(2018.04.13, 발명의 명칭: 전선 접속용 커넥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단위커넥터를 조립하여 커넥터를 형성함에 있어, 공용화된 단위커넥터를 결속부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커넥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금형비용을 절감하여 커넥터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는, 수용공간부를 구비하고, 공용으로 사용되도록 블록형으로 형성되는 단위커넥터; 및 상기 단위커넥터와 이웃하는 상기 단위커넥터를 상호 결합하는 결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커넥터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피메일장착부의 조립으로 피메일 단위커넥터로 사용되거나, 상기 수용공간부에 메일장착부의 조립으로 메일 단위커넥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커넥터에는 터미널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단자가 상기 피메일장착부와 상기 메일장착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부는, 상기 단위커넥터의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부; 및 상기 결속돌부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단위커넥터의 4개의 측면 중 다른 2개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속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돌부는 상기 단위커넥터의 상측면과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단위커넥터의 하측면과 좌,우측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속돌부는 구속보강부에 의해 상기 결속홀부에 보강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위커넥터는 회전방지확인부에 의해 이웃하는 다른 상기 단위커넥터에 회전이 방지되면서 조립 위치를 확인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는, 단위커넥터를 조립하여 커넥터를 형성함에 있어, 공용화된 단위커넥터를 결속부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커넥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금형비용을 절감하여 커넥터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속보강부를 이용하여 결속돌부와 결속홈부가 더 견고하게 구속되게 함으로써, 단위커넥터 간에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지확인부를 이용하여 단위커넥터의 측면에 2개소 이상의 위치와 결합되개 함으로써, 단위커넥터의 회전이 방지되게 하고, 결합 상태가 보강되게 할 수 있디.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에서, 구속보강부와 회전방지확인부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의 조립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에서, 구속보강부와 회전방지확인부의 분리 및 조립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는, 단위커넥터(100) 및 결속부(200)를 포함한다.
단위커넥터(100)는 수용공간부(110)를 구비하고, 공용으로 사용되도록 블록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이다. 단위커넥터(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의 최소 단위를 지칭하는 것으로서, 1개만 사용될 수도 있으나 주로 장착부(200)를 이용하여 2개 이상 결속하여 사용한다.
단위커넥터(100)에는 터미널단자(10)가 삽입되는 삽입홀부(120)가 형성되어 터미널단자(10)가 피메일장착부(30)와 메일장착부(40)에 각각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피메일장착부(30)와 메일장착부(40)는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단위커넥터(100)의 수용공간부(110)에 결합되어 삽입홀부(120)를 통해 각각 삽입되는 터미널단자(10)가 접속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구성이다. 피메일장착부(30)는 터미널단자(10) 중에 피메일타입(슬롯타입)의 단자가 장착되는 구성이고, 메일장착부(40)은 터미널단자(10) 중에서 메일타입(핀타입)의 단자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상호 결합된다.
결속부(200)는 단위커넥터(100)와 이웃하는 단위커넥터(100)를 상호 결합하는 구성이다.
결속부(200)는 단위커넥터(100)를 너비방향으로 다수열 및/또는 상측으로 다수층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형상을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단위커넥터(100)는 한가지 타입만 제작한 후, 상하방향과 좌우방향으로 결합하여 다양한 형상의 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단위커넥터(100)의 삽입홀부(120)에 피메일장착부(30)를 장착하면 피메일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고, 단위커넥터(100)의 삽입홀부(120)에 메일장착부(40)를 결합하면 메일커넥터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결속부(200)는, 단위커넥터(100)의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 중심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부(210)와, 결속돌부(210)에 대응 결합되도록 단위커넥터(100)의 4개의 측면 중 다른 2개의 측면 중심부위에 함몰 형성되는 결속홀부(220)를 포함한다.
결속돌부(210)는 단위커넥터(100)의 상측면과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결속홀부(220)는 단위커넥터(100)의 하측면과 좌,우측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결속돌부(210)의 외측너비는 결속홀부(220)의 내측너비에 대해 0.1~5%의 오차범위 내에서 크게 형성되어 압입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결속돌부(210)는 구속보강부(300)에 의해 결속홀부(220)에 보강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속보강부(300)는, 결속돌부(210)의 둘레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속보강돌부(310)와, 구속보강돌부(310)에 구속되도록 결속홀부(220)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보강홈부(320)를 포함한다.
구속보강돌부(310)는 원호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물론, 구속보강돌부(3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구속보강홈부(320)는 원호홈 형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물론, 구속보강돌부(31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단위커넥터(100)는 회전방지확인부(400)에 의해 이웃하는 다른 단위커넥터(100)에 회전이 방지되면서 조립 위치를 확인하게 한다.
회전방지확인부(400)는, 단위커넥터(100)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확인돌부(410)와, 회전방지확인돌부(410)에 대응 결합되도록 단위커넥터(100)의 좌,우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확인홈부(20)를 포함한다.
회전방지확인돌부(410)는 단위커넥터(100)의 어느 하나의 측면의 상측에 다수개(도면에서 2개) 형성되고, 이웃하는 반대측 단위커넥터(100)의 다른 하나의 측면의 상측에 다수개(도면에서 2개) 형성되는 회전방지확인홈부(420)에 끼워짐으로써, 결속부(200)에 의한 미세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조립위치를 견고하게 보정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회전방지확인돌부(410)와 회전방지확인홈부(420)는 상측에 위치하여 단위커넥터(100)의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가 바뀌는 것을 작업자에게 미리 확인시켜줌으로써, 조립성 향상을 도와준다.
회전방지확인돌부(410)와 회전방지확인홈부(420)는 원형돌기와 원형홈으로 형성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가능하다. 회전방지확인돌부(410)와 회전방지확인홈부(420)의 돌출 길이와 함몰 깊이는 결속돌부(210)와 결속홀부(220)의 돌출 길이와 함몰 깊이보다 적게 형성하도록 한다. 이로써, 결속돌부(210)와 결속홀부(220)가 먼저 결속된 후에 회전방지확인돌부(410)와 회전방지확인홈부(42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회전방지확인돌부(410)의 외경은 회전방지확인홈부(420)의 내경에 대해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로써, 회전방지확인돌부(410)와 회전방지확인홈부(420)는 상호 구속기능보다는 회전방지기능 및 조립위치 확인가능을 수행하는 측면이 더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는, 단위커넥터를 조립하여 커넥터를 형성함에 있어, 공용화된 단위커넥터를 결속부를 이용하여 상호 조립함으로써, 작업자가 원하는 형태로 커넥터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여 금형비용을 절감하여 커넥터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속보강부를 이용하여 결속돌부와 결속홈부가 더 견고하게 구속되게 함으로써, 단위커넥터 간에 분리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방지확인부를 이용하여 단위커넥터의 측면에 2개소 이상의 위치와 결합되개 함으로써, 단위커넥터의 회전이 방지되게 하고, 결합 상태가 보강되게 할 수 있디.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터미널단자 30 : 피메엘장착부
40 : 메일장착부 100 : 단위커넥터
110 : 단위커넥터 110 : 수용공간부
120 : 삽입홀부 200 : 결속부
210 : 결속돌부 220 : 결속홀부
300 : 구속보강부 310 : 구속보강돌부
320 : 구속보강홈부 400 : 회전방지확인부
410 : 회전방지확인돌부 420 : 회전방지확인홈부

Claims (7)

  1. 수용공간부를 구비하고, 공용으로 사용되도록 블록형으로 형성되는 단위커넥터; 및 상기 단위커넥터와 이웃하는 상기 단위커넥터를 상호 결합하는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부는, 상기 단위커넥터의 4개의 측면 중 2개의 측면 중심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결속돌부; 및 상기 결속돌부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단위커넥터의 4개의 측면 중 다른 2개의 측면 중심부위에 함몰 형성되는 결속홀부;를 포함하며,
    상기 결속돌부는 상기 단위커넥터의 상측면과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단위커넥터의 하측면과 좌,우측면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결속돌부는 구속보강부에 의해 상기 결속홀부에 보강 구속되고,
    상기 구속보강부는, 상기 결속돌부의 둘레에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속보강돌부; 및 상기 구속보강돌부에 구속되도록 상기 결속홀부의 내측면에 함몰 형성되는 구속보강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커넥터는 회전방지확인부에 의해 이웃하는 다른 상기 단위커넥터에 회전이 방지되면서 조립 위치를 확인하게 하고,
    상기 회전방지확인부는, 상기 단위커넥터의 좌,우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확인돌부; 및 상기 회전방지확인돌부에 대응 결합되도록 상기 단위커넥터의 좌,우측면 중 다른 하나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방지확인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방지확인돌부와 상기 회전방지확인홈부는 단위커넥터의 상측에 위치하여 단위커넥터의 상측 위치와 하측 위치가 바뀌는 것을 작업자에게 미리 확인시켜주며,
    상기 회전방지확인돌부와 상기 회전방지확인홈부의 돌출 길이와 함몰 깊이는 상기 결속돌부와 상기 결속홀부의 돌출 길이와 함몰 깊이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속돌부와 상기 결속홀부가 먼저 결속된 후에 상기 회전방지확인돌부와 상기 회전방지확인홈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커넥터는 상기 수용공간부에 피메일장착부의 조립으로 피메일 단위커넥터로 사용되거나, 상기 수용공간부에 메일장착부의 조립으로 메일 단위커넥터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커넥터에는 터미널단자가 삽입되는 삽입홀부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단자가 상기 피메일장착부와 상기 메일장착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19182A 2019-09-26 2019-09-26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KR102264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82A KR102264933B1 (ko) 2019-09-26 2019-09-26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182A KR102264933B1 (ko) 2019-09-26 2019-09-26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065A KR20210037065A (ko) 2021-04-06
KR102264933B1 true KR102264933B1 (ko) 2021-06-15

Family

ID=75472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182A KR102264933B1 (ko) 2019-09-26 2019-09-26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9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3121A (ja) * 2015-12-02 2017-06-08 住友電装株式会社 分割コネクタおよび該分割コネクタのロック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3152U (ja) * 1991-12-20 1993-07-13 三菱自動車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コネクタを備えた電装品
KR100869320B1 (ko) * 2007-10-05 2008-11-18 장세일 조립식 멀티콘센트
KR102648813B1 (ko) * 2016-12-20 2024-03-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인트 커넥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03121A (ja) * 2015-12-02 2017-06-08 住友電装株式会社 分割コネクタおよび該分割コネクタのロック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065A (ko)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2774B2 (en) Joint connector
US10290966B2 (en) Joint connector
US9325092B2 (en) Electric connecting structure
JP2020167156A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2017010758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US6573453B2 (en) Wiring har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104521071A (zh) 电连接器
CN113678327A (zh) 模块化电路板插接连接组件
KR102264933B1 (ko) 블록조립형 공용 커넥터
WO2016208369A1 (ja) 複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200101911A1 (en) Wire harness
EP3466769B1 (en) Vehicle electrical cen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WO2019193352A1 (en) Modular electromagnetic shielding housing
JP2017135032A (ja) コネクタ
US20190081427A1 (en) Connector
JP7410562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023204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2492963B1 (ko) 고전압 커넥터 어셈블리
US20140287629A1 (en) Plug-type element
KR102179449B1 (ko) 모듈형 커넥터
KR102077019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5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KR102077016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US9379462B2 (en) Cable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102077014B1 (ko) 양방향 조인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