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909B1 -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 Google Patents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909B1
KR102264909B1 KR1020200073507A KR20200073507A KR102264909B1 KR 102264909 B1 KR102264909 B1 KR 102264909B1 KR 1020200073507 A KR1020200073507 A KR 1020200073507A KR 20200073507 A KR20200073507 A KR 20200073507A KR 102264909 B1 KR102264909 B1 KR 102264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ilter
fan
outl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수연
Original Assignee
임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수연 filed Critical 임수연
Priority to KR1020200073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9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9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1Pivotable handles with one sock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Landscapes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which is to purify air inside a house and furniture, comprising: a housing embedded in a door; a filter set in a detachable cartridge shape; and a ventilation unit for inducting air from an inlet to flow the same to an outlet at a circulation passage.

Description

다목적 가구 손잡이{Multipurpose Furniture Handle}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본 발명은 다목적 가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문을 여닫을 때마다 실내 및 가구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맑고 건강에 유익한 향기가 배출되게 하는 다목적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nd to a multi-purpose handle that purifies the air in a room and furniture and emits a clean and healthy fragrance every time a door is opened or closed.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다목적 가구 손잡이는 장롱, 금고, 사물함 등 내부 적재공간을 가지는 가구의 문에 부착되는 손잡이로서, 걸쇠를 움직여 여닫이 기능을 할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되며, 손잡이 하우징의 전면 레버의 상부와 하부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성되고, 유입구와 배출구의 내측이 하우징 후면에서 연결부로 상하 연통되어 순환통로가 형성되며 문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고,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세트가 문의 후면 하우징 상부로부터 연결부에 삽입 장착되고, 연결부의 하부에는 팬날개가 구비되며 팬날개의 중심축은 레버의 중심축과 복수의 기어로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문의 여닫이 시 레버를 당기거나 회전시키면 팬이 작동하여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세트를 거친 후 배출구로 내보냄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고, 연결부에서 배출구 사이에는 방향제통이 구비되어 맑은 향기가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되게 함으로써, 문을 열고 닫을 때마다 공기정화와 방향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는 다목적 가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attached to a door of furniture having an internal loading space, such as a wardrobe, safe, and locker, and includes a le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by moving the clasp, and the front lever of the handle housing An inlet and an outlet are configur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unit, and the inner side of the inlet and outlet communicates up and down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to the connecting part to form a circulation path and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door, and a cartridge-type filter set is connec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ar housing of the door. The fan blad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entral axis of the fan blade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central axis of the lever and a plurality of gears. When the lever is pulled or rotated when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the fan operates to remove air from the inlet. It inhales, passes through the filter set, and purifies the air by sending it out to the outlet, and an air freshener container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 and the outlet so that the clear scent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thereby purifying the air and smelling the air every time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It is about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that can be enjoyed at the same time.

실내에 구비되는 가구는 의류, 침구류, 사무용품, 개인 소지품 등을 보관하는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하루에도 수 십번씩 여닫게 되는 일상적인 가정, 사무실의 필수품으로 이용되고 있다.Furniture provided indoors is used in various ways to store clothes, bedding, office supplies, personal belongings, etc., and is used as necessities in everyday homes and offices that are opened and closed dozens of times a day.

그런데 가구의 내부에는 다수의 의류, 침구류, 사무용품이 구비된 채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각종 냄새, 부패 등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 지속적인 환기가 필요하지만 내부 물건의 외부 노출 때문에 상시적으로 환기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다.However, since a large number of clothes, bedding, and office supplies are kept inside the furniture, there is a risk of various odors and rotting, so continuous ventilation is required. There are difficulties.

또한 가구의 외부는 실내 공간으로써 다양한 가구, 사무기기와 함께 많은 사람들의 출입이 이뤄지거나 또는 개인 공간으로서 환기가 적절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도 발생하며, 최근에는 공기 질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실내에서 별도의 공기정화기나 방향제를 설치하는 경우가 급격히 증가하는 상황인데 공기정화기나 방향제는 고가의 물품이면서 차지하는 공간이 커서 사람이 활동할 수 있는 생활공간이 줄어드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In addition, as the exterior of the furniture is an indoor space, many people enter and exit along with various furniture and office equipment, or as a personal space, there are situations in which ventilation is not performed properly. The number of installations of air purifiers and air fresheners is rapidly increasing, but air purifiers and air fresheners are expensive items and have many problems, such as reducing the living space for people to work because they occupy a large amount of space.

이에 실내에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가구를 활용하여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향기롭게 하여 공기청정기, 방향제 등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고, 또한 가구 내부에 보관되는 물품의 원활한 상태 유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기존 가구의 외관 디자인을 해치지 않고 멋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는 활용 방안이 필요하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functions of air purifiers and air fresheners by purifying and fragrant indoor air by utilizing furniture that must be provided in the room, and it can also have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smooth state of the items stored inside the furniture, At the same time, there is a need for a utilization plan that can maintain the stylishness without harming the exterior design of the existing furniture.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5023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350232

삭제delete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장롱, 금고, 사물함 등 내부 적재공간을 가지는 가구의 문에 부착되는 손잡이로서, 걸쇠를 움직여 여닫이 기능을 할 수 있는 레버가 구비되며, 손잡이 하우징의 전면 레버의 상부와 하부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성되고, 유입구와 배출구의 내측이 하우징 후면에서 연결부로 상하 연통되어 순환통로가 형성되며 문의 후면에 돌출 형성되고,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세트가 문의 후면 하우징 상부로부터 연결부에 삽입 장착되고, 연결부의 하부에는 팬날개가 구비되며 팬날개의 중심축은 레버의 중심축과 복수의 기어로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문의 여닫이 시 레버를 당기거나 회전시키면 팬이 작동하여 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세트를 거친 후 배출구로 내보냄으로써 공기를 정화시키고, 연결부에서 배출구 사이에는 방향제통이 구비되어 맑은 향기가 정화된 공기와 함께 배출되게 함으로써, 가구의 문을 열고 닫을 때마다 실내 및 가구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맑고 건강에 유익한 향기가 배출되게 하는 다목적 가구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s a handle attached to a door of furniture having an internal loading space such as a wardrobe, a safe, and a locker, and a lever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by moving a clasp. The inlet and outlet are configur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ront lever of the handle housing, and the inner side of the inlet and outlet communicates up and down from the rear of the housing to the connection part to form a circulation passage and protrudes from the rear of the door, and a cartridge-shaped filter The set is inserted and mounted on the connection part from the upper part of the rear housing of the door, the fan blade is provided on the bottom part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central shaft of the fan blade is coupled with the central shaft of the lever and a plurality of gears. The fan operates, sucks air from the inlet, passes through the filter set, and sends it out to the outlet to purify the air, and an air freshener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part and the outlet so that the clean fragrance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purified air, so that the door of the furniture is clos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that purifies the air in a room and furniture and emits a clean and healthy fragrance every time it is opened and closed.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는, 문에 설치되는 손잡이로서, 문에 매립되며 일측은 문의 전면에 노출되고 타측은 문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문의 측면으로 걸쇠가 노출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타측 상부에서 하향 삽입되며 탈부착 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세트;를 포함하되, 하우징은, 걸쇠와 연결되며 소정 반경으로 회전하면 걸쇠를 움직여 문을 개방하는 레버; 일측 레버의 상부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터널 형상의 개구부로 구비되는 유입구; 일측 레버의 하부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터널 형상의 개구부로 구비되는 배출구; 타측 내부에서 유입구와 배출구의 선단을 상하로 연통하는 내부공간으로서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이어지는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andle installed on a door, the housing is embedded in the door, one side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the other side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of the door and the latch is exposed to the side of the door; and a filter set in the form of a cartridge that is inserted downwardly and detachab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wherein the housing includes: a lever connected to the latch and rotating the latch by moving the latch to open the door; an inlet provided as a tunnel-shaped opening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lever toward the other; an outlet provided as a tunnel-shaped open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one lever toward the oth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as an internal space communicating the front end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n the up and down inside the other side, the connection portion forming a circulation passage leading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순환통로에는 유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환기부;가 더 포함되며, 환기부는, 연결부 하부 소정 위치에서 상부를 향해 구비되는 팬날개; 팬날개의 중심에 하향 연결되는 팬회전축; 팬회전축에 결합된 원형 톱니 형상의 팬기어; 팬기어에 수평으로 맞물리며 톱니 결합되는 부채꼴 형상의 레버기어; 레버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레버의 회전 중심과 상하 연결되는 레버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회전축, 레버기어, 팬기어, 팬회전축이 맞물려 회전되며 팬날개를 회전시켜 유입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irculation passage includes a ventilation unit that sucks air from the inlet and moves it to the outlet, and the ventilation unit includes: a fan blade provided up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connection unit; a fan rotation shaft downward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an blades; a fan gear having a circular sawtooth shape coupled to the fan rotation shaft; a fan-shaped lever gear that is horizontally engaged with the fan gear and coupled with teeth; It further includes a lever rotation shaf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r gear and connected up and down with the rotation center of the lever, and as the lever rotates, the lever rotation shaft, the lever gear, the fan gear, and the fan rotation shaft are engaged and rotated, and the fan blade is rotated at the inlet. The method further comprises generating an airflow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의 하단으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구간의 소정 위치에 하향 배치되는 방향스펀지; 스펀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제통;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rection sponge is arranged downwardly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the outlet; It further includes a perfume contain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on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세트는, 연결부에 대응되며 삽입되는 형태로서 상면은 하우징 타측 상단에 대응되고 하면은 연결부 하부 소정 깊이까지 대응되며, 상부 일측면에는 유입구에 대향되는 필터입구; 하단에는 연결부에 대향되는 필터출구; 필터입구와 필터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 층으로 구성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순환통로에 연통하는 형태로 구비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lter set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portion and is inserted, the upper surface corresponds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lower surface correspo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filter inlet opposite to the inlet on the upper one side; The filter outlet opposite to the connection part at the bottom; It further includes a filter unit composed of at least one filter layer between the filter inlet and the filter outlet, and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부는, 대나무 탄화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lter unit further includes a bamboo carbonized filter.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다목적 가구 손잡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문을 열고 닫을 때마다 하우징 내부의 팬이 작동하면서 형성된 기류가 하우징 내부의 필터를 거치며 실내 공간 또는 가구의 내부에 배출됨으로써 실내 및 가구 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며 특히 가구 내부의 물품을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First, every time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the airflow formed by the operation of the fan inside the housing passes through the filter inside the housing and is discharged into the indoor space or the interior of the furniture, thereby purifying the air in the room and furniture. can be kept

둘째, 하우징 내부에 방향제가 구비되어 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와 함께 배출됨으로써 공기 정화와 방향 효과를 동시에 누릴 수 있다.Second, the air freshener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air discharged by the fan, so that air purification and aroma effect can be enjoyed at the same time.

셋째, 필터는 하우징에 삽입되며 탈부착되는 카트리지 방식으로서 지속적인 관리와 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하다.Third, the filter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and detachable cartridge type, enabling continuous management and permanent use.

넷째, 필터 및 방향제는 대나무 진공 탄화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에 좋으면서 은은한 향을 제공할 수 있다.Fourth, filters and air fresheners can be made of bamboo vacuum carbonizing agents, and thus can provide a subtle fragrance while being good for health.

다섯째, 손잡이 하우징은 문에 매립되고 필터와 팬이 구비되는 하우징의 후면은 문의 후면에 노출 형성됨으로써 가구의 외관 디자인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공기 정화, 방향 효과를 가지도록 장착될 수 있다.Fifth, the handle housing is embedded in the door, and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provided with the filter and the fan is ex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so that it can be mounted to have an air purification and direction effect without impairing the exterior design of the furni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필터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환기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기 환기부를 하부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lter set of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ventilation unit of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ntilation unit from the bottom.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This embodiment is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member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shown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필터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의 환기부를 측면에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상기 환기부를 하부에서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multi-purpose furni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lter set of a handle, Fig. 4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ventilation part of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side, and Figure 4 (b) is the ventilation part from the bottom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10)는 하우징(100), 필터세트(200), 환기부(300), 방향제통(400)을 포함한다.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 a filter set 200 , a ventilation unit 300 , and an air freshener container 400 .

하우징(100)은 문(12)에 매립되는 다목적 가구 손잡이(10)의 외형을 형성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전체적으로는 육면체의 형상일 수 있다.The housing 100 forms the external shape of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embedded in the door 12 and may have a hexahedral shape as a who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하우징(100)의 일측은 문(12)의 전면에 노출되고 문(12)을 개방할 수 있는 레버(110)가 구비되며, 중심부는 문(12)에 매립된 상태이고 타측은 문(12)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며 문(12)의 측면으로는 걸쇠(120)가 노출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housing 100 is ex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12 and provided with a lever 110 that can open the door 12 , the central part is embedded in the door 12 , and the other side is the door 12 . I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rear side of the door 12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latch 120 is ex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12 .

하우징(100)의 타측 돌출 부위는 문(12)의 후면에 구비되므로 가구(11)의 외관상으로는 눈에 띄지 않게 구비되며, 필터세트(200)가 하우징(100)의 타측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삽입되는 형상으로 장착이 될 수 있고, 타측 하단 필터세트(200)의 하부에는 환기부(300) 및 방향제통(400)이 구비될 수 있다.The other protruding portion of the housing 100 i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12 so that it is not conspicuously provided on the exterior of the furniture 11 , and the filter set 200 move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 It may be mounted in a vertically inserted shape, and the ventilation unit 300 and the air freshener container 400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filter set 200 on the other side.

하우징(100)은 문(12)에 설치되어 문(12)을 개폐하는 기능으로서 사용되며, 이때 타측 문짝 또는 벽체에 결합되며 문(12)을 고정시키는 걸쇠(120)가 측면에 구비되는데, 레버(110)의 일측에는 하부 방향으로 레버회전축(331)이 구비되고 레버회전축(331)은 걸쇠(120)와 연결된다.The housing 100 is installed on the door 12 and used as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2, and at this time, a latch 120 that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door leaf or wall and fixes the door 12 is provided on the side, a lever One side of 110 is provided with a lever rotation shaft 331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ever rotation shaft 331 is connected to the clasp 120 .

따라서 레버(110)를 사용자 쪽으로 잡아당기거나 또는 가구(11) 내측으로 밀거나 또는 돌출형 레버인 경우에는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동작을 취하게 되면 레버(110)가 소정 반경 회전되면서 레버회전축(331)이 함께 회전되고 레버회전축(331)에 연결된 걸쇠(120)의 위치가 변화되면서 타측 문(12)과의 결합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lever 110 is pulled toward the user, pushed inside the furniture 11, or when the lever 110 is rotated by holding it by hand in the case of a protruding lever, the lever 110 rotates a predetermined radius and the lever rotation shaft 331 is rotated. ) is rotated together and the position of the latch 120 connected to the lever rotation shaft 331 is changed to release the coupling state with the door 12 on the other side.

레버(110)와 걸쇠(120)는 공지의 기술로서 일반적인 손잡이와 유사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lever 110 and the clasp 120 may be manufactured in a shape similar to a general handle a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레버(110)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처럼 판상의 매립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구 형상 또는 갈고리 형상의 돌출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 기능과 형상 또한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손잡이로서의 기능이 발휘되는 한 그 형상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The lever 110 may be formed in a plate-like buried typ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 and on the other hand, may be configured as a spherical or hook-shaped protrusion, and its function and shape are also known. Since it is a technology, the description is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 is not limited as long as the function as a handle is exhibited.

하우징(100)의 일측 상부 즉 레버(110)의 상부에는 터널 형상의 개구부로서 유입구(131)가 구비되며, 일측 하부 즉 레버(110)의 하부에는 터널 형상의 개구부로서 배출구(133)가 구비될 수 있다.An inlet 131 is provided as a tunnel-shaped opening at the upp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housing 100 , ie, an upper portion of the lever 110 , and an outlet 133 is provided as a tunnel-shaped opening at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00 , that is, a lower portion of the lever 110 . can

유입구(131) 및 배출구(133) 모두 하우징(100)의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소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131)의 선단과 배출구(133)의 선단은 하우징(100)의 타측 내부에서 연결부(132)에 의해 상하 연결될 수 있다.Both the inlet 131 and the outlet 133 may be horizontally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00 to the other side, and the front end of the inlet 131 and the front end of the outlet 133 are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 It may be vertic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art 132 inside.

연결부(132)는 유입구(131)와 배출구(133)를 연결하는 내부공간으로서 유입구(131) 및 배출구(133)와는 연직한 방향으로 직선의 공간을 형성하며 따라서 유입구(131), 연결부(132), 배출구(133)에 이르는 구간은 ㄷ자 형상의 내부 공간으로서 외부와 연통되는 순환통로(130)를 형성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132 is an internal space connecting the inlet 131 and the outlet 133, and forms a straight spac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let 131 and the outlet 133, and thus the inlet 13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32. , the section leading to the outlet 133 may form a circulation passage 130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s a U-shaped inner space.

다만 배출구(133)는 하우징(100)의 일측 전면으로 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하우징(100)의 타측 후면으로 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는 하우징(100)의 양측 전면과 후면 모두를 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는 바 순환통로(130)의 형태 또한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다.However, the outlet 133 may be provided to face one 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0 , or may be provided to face the other side rear side of the housing 100 , or may be provided to face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housing 100 . The shape of the bar circulation passage 130 may also have various shapes.

순환통로(130)는 유입구(131)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연결부(132)를 지나 배출구(133)로 빠져나가면서 하우징(100) 내부와 외부를 순환 연결하는 통로의 기능을 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assage 130 may function as a passage for circulatingly connec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while the air flowing in from the inlet 131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32 and exits to the outlet 133 .

필터세트(200)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하우징(100)의 타측 상면에서 하우징(100) 내부의 연결부(132)를 향해 수직한 방향으로 삽입되며 장착이 될 수 있다. The filter set 200 is in the form of a cartridge, and is inserted and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toward the connection part 132 inside the housing 100 .

결국 필터세트(200)와 연결부(132)는 상호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필터세트(200)는 연결부(132) 내측에 꼭 맞는 형상의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As a result, the filter set 200 and the connection part 132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filter set 200 may have a hexahedral shape that fits inside the connection part 132 .

필터세트(200)는 하우징(100) 타측에 삽입과 제거가 자유로운 탈부착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장착할 때는 상면에서 필터세트(200)를 끼워 밀어 넣으면서 부착하고, 탈거할 때는 필터세트(200) 상단에 구비된 필터손잡이(240)를 잡아당기면서 하우징(100) 외측으로 빼낼 수 있다.The filter set 200 may be configured in a detachable manner in which insertion and removal are free from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when mounted, the filter set 200 is inserted from the upper surface and attached while being pushed in, and when removed, the filter set 200 is removed. It can be pulled out of the housing 100 while pulling the filter handle 240 provided at the top.

필터세트(200)의 상면은 하우징(100) 타측 상면과 일치하며, 필터세트(200)의 하면은 연결부(132)의 소정 깊이까지 이어지는데 그 깊이는 연결부(132)와 배출구(133)의 절곡된 접합부위에 미치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set 200 coincides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set 200 extends to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connection part 132, and the depth is the bent of the connection part 132 and the outlet 133. It may be provided so as not to reach the junction part.

필터세트(200)의 하면 깊이가 연결부(132)의 소정 깊이까지만 구성되는 것은 연결부(132)의 하부에 후술하게 될 환기부(300)의 팬날개(310), 팬기어(320), 팬회전축(321)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다.The fact that the bottom depth of the filter set 200 is configured only up to a predetermined depth of the connection part 132 is a fan blade 310, a fan gear 320, and a fan rotation shaft of the ventilation part 300 to be described later below the connection part 132. This is because 321 may be provided.

필터세트(200)는 내측에 필터가 구성되고 순환통로(130)에 연통되는 내부 구조를 가지며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순환통로(130)를 거쳐 다시 외부로 배출될 때 필터세트(200)에 연통되어 순환됨으로써 공기가 정화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The filter set 200 is configured with a filter on the inside and has an internal structure that communicates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130 , and communicates with the filter set 200 when external air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130 . By being circulated, it can function to allow the air to be discharged in a purified state.

이를 위해 필터세트(200)는 필터부(210), 필터입구(220), 필터출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lter set 200 may include a filter unit 210 , a filter inlet 220 , and a filter outlet 230 .

필터부(210)는 연결부(13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필터는 공기 정화 물질이 부착된 메쉬 형태의 판상으로서 필터부(210)의 횡단면을 따라 다수의 필터가 다층을 이루어 순환통로(130)에 유입된 외부공기가 다단계 필터링 과정을 거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 unit 210 is composed of at least one filter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unit 132.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is a mesh-shaped plate to which an air purifying material is attached. A plurality of filters are multi-layered along the cross-section so that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130 can be discharged after undergoing a multi-stage filtering process.

이때 필터부(210)가 형성되는 공간은 좁은 통로와 같은 형상이므로 공기 정화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늘리는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pace in which the filter unit 210 is formed is shaped like a narrow passage, measures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air may be required to increase the air purification effect.

이를 위해 필터부(210)를 형성하는 필터 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선의 경사진 형태로 지그재그 방식으로 다단 구성되어 필터부(210)를 통과하는 공기가 필터 층에 넓은 면적으로 접촉하고 여러 번 통과되어 다중 필터링 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lter layer forming the filter unit 210 is configured in multi-stage in a zigzag manner in an obliquely inclined form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10 is in contact with the filter layer in a large area and It may be provided to be multi-filtered by passing it several times.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필터 층을 수평하게 나란히 배치하되 필터 층의 간격을 좁게 하여 밀착된 상태로 다수의 필터를 다단 구성할 수도 있으며, 공기 정화 효과 극대화를 위한 방법으로서 그 형태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Alternatively,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lters may be configured in multiple stages in a state of close contact by arranging the filter layers side by side horizontally, but narrow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lter layers, and as a method for maximizing the air purification effect, the shape is limited. do not leave

필터입구(220)는 필터세트(200) 상부 일측면에 구비된 개구부로서 유입구(131)에 대향되도록 형성되며, 필터출구(230)는 필터세트(200)의 하면으로서 개방된 형태를 지니며 연결부(132)에 대향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lter inlet 220 is an opening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filter set 200 , and is formed to face the inlet 131 , and the filter outlet 230 has an open shape as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set 200 and has an open connection part.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opposite to (132).

결국 필터세트(200)를 하우징(100) 타측에 삽입하면 필터세트(200)는 하우징(100)에 매립되는 형태로 필터세트(200)의 상면과 하우징(100) 타측 상면이 일치하면서 장착되고, 이 상태는 연결부(132)에 필터부(210)가 꼭 들어맞고 필터입구(220)는 유입구(131)와 대향되며 통로를 형성하고 필터출구(230)는 연결부(132)의 하부에 대향되며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Eventually, when the filter set 200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the filter set 200 is mounted while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set 20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coincid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set 200 in the form of being embedded in the housing 100, In this state, the filter unit 210 fits the connector 132 snugly, the filter inlet 220 faces the inlet 131 and forms a passage, and the filter outlet 230 faces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or 132 and faces the passage. It can be defined as forming

즉 필터세트(200)가 장착되면 유입구(131)로 들어온 공기는 필터입구(220)를 지나 연결부(132)에 장착된 필터부(210)를 지나면서 필터링 되고 필터출구(230)를 거쳐 배출구(133)로 빠져나가는 흐름을 형성하게 되면서, 하우징(100)에 있어서 유입구(131)로 들어온 공기가 연결부(132)를 거쳐 배출구(133)로 배출되며 순환통로(130)를 형성하는 것과 동일한 공기 흐름을 이루게 된다.That is, when the filter set 200 is installed, the air entering the inlet 131 passes through the filter inlet 220 and is filtered while passing through the filter unit 210 mounted on the connection unit 132, and passes through the filter outlet 230 to the outlet ( 133), the air entering the inlet 131 in the housing 100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33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2, and the same air flow as forming the circulation passage 130 will achieve

본 발명의 필터세트(200)는 카트리지 형태로서 필터부(210)의 필터링 기능이 소진되면 새로운 필터로 교환 장착하거나 세척한 후에 연결부(132)에 장착하면서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The filter se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cartridge, and when the filtering function of the filter unit 210 is exhausted, i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while replacing it with a new filter or installing it on the connection unit 132 after washing.

한편 본 발명의 필터부(210)는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일반 필터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필터부(210)는 대나무 탄화 필터로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lter unit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general filter that is commonly used, but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lter unit 210 may be provided as a bamboo carbonized filter.

대나무 탄화 필터는 대나무를 1,500℃의 고온 진공에서 연소시켜 취득된 대나무 분말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밀폐된 진공 상태의 공간에 대나무를 적재하고 착화시켜 고온 상태에서 연소시킨 후 남은 대나무 재를 분쇄하여 미세한 분말로 만든 후에 상기 분말을 필터부(210)의 메쉬 형상 판에 부착하여 제작할 수 있다.Bamboo carbonization filter can be manufactured using bamboo powder obtained by burning bamboo in a high-temperature vacuum of 1,500 ° C. More specifically, bamboo is loaded in a sealed vacuum space, ignited, and burned at a high temperature. After the bamboo ash is pulverized into a fine powder, the powder may be attached to the mesh-shaped plate of the filter unit 210 to be manufactured.

대나무는 가격이 저렴하고 원적외선 방출 기능이 있는 친환경적 재료로서 인체에 무해한 특징을 가지므로 필터부(210)에 적용되는 필터로서 적합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Since bamboo is an eco-friendly material having a low price and a far-infrared emission function, i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so it may have characteristics suitable as a filter applied to the filter unit 210 .

대나무가 탄화과정을 거치게 되면 건강에 더욱 좋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When bamboo goes through the carbonization process, it can have a better effect on health.

우선 대나무숯의 공기정화작용과 음이온 효과가 심신을 안정시키면서 기분을 편안하게 하고, 탄화된 대나무숯이 내뿜는 알파파가 현대인의 각종 스트레스를 말끔히 해소시켜주는 심신안정효과를 누릴 수 있다.First of all, the air purifying effect and negative ion effect of bamboo charcoal calms the mind and body and makes you feel comfortable, and the alpha waves emitted by the carbonized bamboo charcoal can enjoy the mental and physical stabilization effect that relieves various stresses of modern people.

대나무숯의 음이온 방출효과를 나타내내는 지표로써 대나무숯 평균음이온수(lons/cc) 값은 167이며, 숲속 평균음이온수(lons/cc)가 1,000∼2,000 인 것에 비춰보면 상당량의 음이온이 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As an index indicating the negative ion emission effect of bamboo charcoal, the average negative ion water (lons/cc) value of bamboo charcoal is 167, and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negative ion water (lons/cc) in the forest is 1,000 to 2,000, a significant amount of negative ions are emitted. Able to know.

또한 대나무숯은 탁월한 흡착작용으로 뛰어난 냄새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대나무숯을 사용하기 전 황화수소 농도가 100ppm인 상태에서 대나무숯을 설치하면 사용 후 1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황화수소의 농도는 3.5ppm수준으로 96% 감소되는 뛰어난 탈취효과를 나타내고 있다.In addition, bamboo charcoal has an excellent odor removal effect due to its excellent adsorption action. If bamboo charcoal is installed with a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of 100 ppm before use, the hydrogen sulfide concentration is 3.5 ppm at the time of 1 hour after use. It shows an excellent deodorizing effect that is reduced by 96%.

대나무숯은 욕탕의 물을 알칼리수로 변화시켜 물을 부드럽게 만들어 주며, 원적외선 방사로 인한 온열효과로 목욕 후 한기를 느끼지 않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해주는데 특히 목탄에 비해 미네랄이 2배 많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보호 효과도 뛰어나다.Bamboo charcoal makes the water soft by changing the water in the bath to alkaline water, and the thermal effect of far-infrared radiation makes it not feel cold after bathing and improves blood circulation. In particular, it contains twice as much minerals as charcoal to protect the skin. The effect is excellent.

이는 대나무숯의 미네랄 함량을 비교하면 확연히 알 수 있는데, 대나무숯은 칼슘 0.39, 칼륨과 나트륨 1.04, 규소 1.60의 함량을 가지는 반면, 비장탄의 경우 칼슘 0.63, 칼륨과 나트륨 0.34, 규소 0.01의 함량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어 미네랄 함량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This can be clearly seen by comparing the mineral content of bamboo charcoal. Bamboo charcoal has a calcium content of 0.39, potassium and sodium 1.04, and silicon 1.60, whereas bincho charcoal has a calcium content of 0.63, potassium and sodium 0.34, and silicon 0.01. It is found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mineral content.

대나무숯은 또한 전기 전도성이 뛰어나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전자파 차폐 효과도 우수한데, 대나무숯을 600℃에서 제조한 경우 차폐효과(DB)는 0∼5로써 68.4%의 차폐율을 나타내며, 대나무숯을 800℃에서 제조한 경우 차폐효과(DB)는 10∼37로써 90.0∼99.9%의 차폐율을 나타내고, 대나무숯을 1,000℃에서 제조하게 되면 차폐효과(DB)는 50∼70으로써 99.99% 차폐할 수 있게 된다.Bamboo charcoal is also excellent i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effect to prevent static electricity. When bamboo charcoal is manufactured at 600℃, the shielding effect (DB) is 0-5, indicating a shielding rate of 68.4%. When manufactured at 800℃, the shielding effect (DB) is 10 to 37, which shows a shielding rate of 90.0 to 99.9%, and when bamboo charcoal is manufactured at 1,000℃, the shielding effect (DB) is 50 to 70, which is 99.99%. be able to

또한 대나무숯은 수면 중 흘리는 땀이나 소변 등 다량의 수분을 순식간에 흡수하여 불순물을 분해할 수 있으며, 또한 풍부한 미네랄성분이 수질을 정화하고 물입자를 작게 하여 수돗물을 맛있는 약수로 바꿀 수 있어 수분흡착 및 수질정화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bamboo charcoal can quickly absorb a large amount of moisture such as sweat or urine during sleep to decompose impurities. In addition, the rich mineral component purifies the water quality and makes the water particles smaller to turn tap water into delicious mineral water. and water purification effect.

게다가 대나무숯은 1,000℃ 이상의 초고온에서 제조되어 무균질이며, 또한 살균력을 지닌 죽초액을 첨가함으로써 세균번식을 억제하여 항균력을 배가시킬 수 있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매우 높아 수면 중 전신을 내측으로부터 온화하게 덥혀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건강 증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bamboo charcoal is sterile because it is manufactured at an ultra-high temperature of 1,000℃ or higher, and by adding bamboo vinegar with sterilizing power, it suppresses the growth of bacteria and doubles the antibacterial power, and the far-infrared emissivity is very high, which warms the whole body from the inside gently during sleep. It may have a health-promoting effect by promoting circulation and metabolism.

본 발명의 다목적 가구 손잡이(10)는 상술한 장점을 지닌 대나무의 탄화된 숯을 이용하여 필터와 방향제로 사용함으로써 건강에 더욱 유용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hibit more useful effects on health by using the carbonized charcoal of bamboo having the above-described advantages as a filter and air freshener.

환기부(300)는 순환통로(130)에 공기를 유입시키고 배출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ventilation unit 300 may be provided to function to generate a flow of air to introduce and discharge air into the circulation passage 130 .

환기부(300)는 이를 위해 팬날개(310), 팬기어(320), 팬회전축(321), 레버기어(330), 레버회전축(3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ventilation unit 300 may include a fan blade 310 , a fan gear 320 , a fan rotation shaft 321 , a lever gear 330 , and a lever rotation shaft 331 .

팬날개(310)는 연결부(132)의 하부에 구비된 프로펠러 형상으로서 상면을 향하며 연결부(132)의 폭에 밀착되도록 꼭 들어맞는 형상일 수 있으며 팬날개(310)가 회전하면 연결부(132)의 상부에서 연결부(132)의 하부 방향으로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The fan blade 310 has a shape of a propeller provided under the connection part 132 and faces the upper surface and may have a shape that fits closely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part 132, and when the fan blade 310 rotates, the connection part 132 of An airflow may be formed in a downward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132 from the upper part.

팬날개(310)의 중심에는 팬회전축(321)이 고정 결합되어 하부로 연장되며, 팬회전축(321)의 하단에는 원형 톱니기어 형상의 팬기어(320)가 구비되어 팬회전축(321)의 중심과 팬기어(320)의 중심이 연결될 수 있다. A fan rotation shaft 321 is fixedly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fan blade 310 and extends downward, and a fan gear 320 in the form of a circular toothed gea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an rotation shaft 321 so that the center of the fan rotation shaft 321 is provided. and the center of the fan gear 320 may be connected.

즉 팬회전축(321)의 상단은 팬날개(310)의 중심에 연결 고정되고, 팬회전축(321)의 하단은 팬기어(320)의 중심에 연결 고정된 상태이며, 팬기어(320)가 회전하면 팬회전축(321)이 회전하면서 팬날개(310)에 회전력을 부가하여 회전을 일으킬 수 있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fan rotating shaft 321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center of the fan blade 310 , and the lower end of the fan rotating shaft 321 is connected and fixed to the center of the fan gear 320 , and the fan gear 320 rotates. When the fan rotation shaft 321 rotates, rotation can be caused by ad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fan blades 310 .

팬기어(320)는 레버기어(330)와 수평으로 맞물리며 톱니 결합된 형태를 이루는데, 레버기어(330)는 부채꼴 형상의 톱니 기어로서 호에 해당되는 부위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 부분이 팬기어(320)의 외주면 톱니와 맞물려 접합되면서 기어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다.The fan gear 320 is horizontally engaged with the lever gear 330 to form a toothed combination. The lever gear 330 is a fan-shaped toothed gear, with teeth formed in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arc, and the toothed portion is a fan. It is possible to achieve a gear coupling state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ear 320 .

레버기어(3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연결부(132)와 하우징(100)의 일측 사이에 매립된 형태로 구비되고 레버기어(330)의 타측 부채꼴 호의 톱니 부분만 연결부(132)에 수평하게 노출 형성되며, 팬기어(320)는 연결부(132)의 하부 중심에 구비되어 레버기어(330)와 수평하게 톱니 결합된 상태를 이루며, 팬날개(310)를 둘러싸는 테두리가 연결부(132)의 내측 벽에 고정됨으로써 팬회전축(321)으로 연결된 팬기어(320)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The lever gear 330 is provided in a form embedded between the connection part 132 and one side of the housing 100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nly the toothed portion of the other side sector arc of the lever gear 330 is horizontal to the connection part 132 . The fan gear 320 is provid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connection part 132 to form a horizontally toothed connection with the lever gear 330, and the rim surrounding the fan blade 310 is the connection part 132. By being fixed to the inner wall of the fan, the fan gear 320 connected to the fan rotation shaft 321 can also maintain a fixed position.

레버기어(330)의 일측에는 레버회전축(331)이 상향 구비되며 레버회전축(331)은 레버(110)가 당겨지거나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며 회전력을 레버기어(330)에 전달하고 레버기어(330)는 소정 반경으로 회전될 수 있다. One side of the lever gear 330 is provided with a lever rotating shaft 331 upward, and the lever rotating shaft 331 rotates together when the lever 110 is pulled or rotated,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to the lever gear 330 and the lever gear 330 )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radius.

즉 문(12)을 열기 위해 레버(110)를 당기거나 회전시키면 레버회전축(331)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레버기어(330)가 소정 반경 회전되며 레버기어(330)의 타측 톱니에 맞물린 팬기어(320)가 회전되면서 팬회전축(321)의 상단에 연결된 팬날개(31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hen the lever 110 is pulled or rotated to open the door 12, the lever rotation shaft 331 is rotated, and accordingly, the lever gear 33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radius, and the fan gear engaged with the teeth of the other side of the lever gear 330 ( As the 320 rotates, the fan blades 310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fan rotation shaft 321 can rotate.

레버기어(330)의 톱니가 이루는 부채꼴 호의 길이는 팬기어(320)의 원호 대비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레버기어(330)가 조금만 회전하더라도 팬기어(320)는 기어의 차이로 인해 강하게 많은 회전을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유입구(131)로부터 외부 공기를 강하게 흡입하여 연결부(132)를 거친 후 배출구(133)로 빠져나갈 수 있는 풍력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The length of the sectoral arc formed by the teeth of the lever gear 330 may be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compared to the arc of the fan gear 320 , and therefore, even if the lever gear 330 rotates a little, the fan gear 320 may be formed due to the difference in gears. It is possible to perform many rotations strongly, so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wind force that can strongly suck external air from the inlet 131 , pas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32 , and then exit to the outlet 133 .

한편 레버(110)를 당기고 난 후 놓으면 원위치로 돌아가게 되는데 레버기어(330) 또한 이에 맞춰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으며, 이때 레버기어(330)가 반대로 회전하더라도 팬기어(320)는 맞물려 회전되지 않도록 톱니의 방향이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ver 110 is pulled and released,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lever gear 330 can als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in accordance with this. At this time, even if the lever gear 33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fan gear 320 is engaged and rotated. The direction of the sawtooth may be configured to be inclined in one direction.

따라서 팬기어(320)와 팬날개(310)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면서 유입구(131)에서 배출구(133) 방향으로만 기류가 형성되게끔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an gear 320 and the fan blades 310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and the air flow can be formed only in the direction from the inlet 131 to the outlet 133 .

톱니의 세부 형상과 결합 구조에 의한 톱니 기어의 세부 동작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toothed gear by the detailed shape of the teeth and the coupling structure is a known techniq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목적 가구 손잡이(10)는 방향 기능이 구비되며 레버(110)를 잡고 당기거나 회전시켜 문(12)을 여닫을 때마다 방향제가 배출될 수 있다.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has a direction function, and the air freshener can be discharged whenever the door 12 is opened or closed by holding the lever 110 and pulling or rotating it.

이를 위해 방향스펀지(410)가 연결부(132)의 하단으로부터 배출구(133)에 이르는 구간의 소정 위치에 하향 배치되며, 방향스펀지(410)의 상단은 상기 순환통로(130)의 배출구(133) 구간에 노출되어 접하고 방향스펀지(410)의 하단은 방향제가 담겨 있는 방향제통(400)에 연결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direction sponge 410 is dispos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2 to the outlet 133, and the upper end of the direction sponge 410 is the outlet 133 sec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130. The lower end of the fragrance sponge 410 may be provided in a state connected to the fragrance container 400 in which the fragrance is contained.

즉 연결부(132)의 하단에서 배출구(133)에 이르는 순환통로(130)의 배출구(133) 구간 통로에는 방향스펀지(410)가 부착되고, 상기 방향스펀지(410)의 하부에는 방향제통(400)이 구비된 상태이며, 방향스펀지(410)와 방향제통(400)은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에 매립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at is, a fragrance sponge 410 is attached to the passage in the outlet 133 section of the circulation passage 130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132 to the outlet 133, and the fragrance container 400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agrance sponge 410. In this state, the fragrance sponge 410 and the fragrance container 400 may be formed in a state embedded i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100 .

방향스펀지(410)는 외주면에 나선이 형성된 관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방향제통(400)의 상부에는 방향스펀지(410)의 외주면에 대응되며 나선이 형성된 돌출 입구가 형성되고, 고정부재가 구비되어 방향제통(400)의 상부와 방향스펀지(410)의 외주면을 감싸며 방향제통(400)과 방향스펀지(410)를 결합시켜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direction sponge 410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rrounded by a tube in which a spiral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protruding inlet in which a spiral is formed and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rection sponge 41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erfume barrel 400, and fixed A member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portion of the fragrance container 40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agrance sponge 410 , and to couple the fragrance container 400 and the fragrance sponge 410 to maintain a fixed state.

다만 방향스펀지(410)와 방향제통(400)이 결합되는 형태는 제한을 두지 아니하며 상호 누수 없이 긴밀한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 및 형상도 사용될 수 있다.However, the form in which the fragrance sponge 410 and the fragrance cylinder 400 are coupled is not limited, and any member and shape capable of maintaining a close coupling relationship without mutual leakage may be used.

방향제통(400)은 하우징(100)의 타측 하면에 구비될 수 있는 덮개를 제거한 후 하우징(100)의 하단으로 빼낼 수 있으며, 방향제통(400)에 방향제를 채우고 난 후 다시 하우징(100)의 하단 내측으로 삽입하고 고정부재로 방향제통(400)과 방향스펀지(410)를 결합시킨 후 덮개를 닫아 채울 수 있다.The perfume container 400 can be pulled out to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100 after removing the cover that may be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after filling the perfume container 400 with the perfume, the It can be filled by closing the cover after inserting it into the lower inner side and coupling the fragrance container 400 and the fragrance sponge 410 as a fixing member.

방향스펀지(410) 또한 상기 방향제통(400)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덮개를 제거한 후 방향제통(400)을 빼낸 후에 새 것으로 교체될 수 있으며, 방향제통(400) 및 방향스펀지(410)는 상기 절차와 같은 탈부착식으로 구비되어 장기간 지속적으로 반복 사용될 수 있다.The perfume sponge 410 can also be replaced with a new one after removing the cover after removing the cover according to the same procedure as the perfume bottle 400, and the perfume bottle 400 and the perfume sponge 410 are the above procedures. It can be used repeatedly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it is provided in a detachable type such as

방향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대나무 탄화 응축 타르가 사용될 수 있다.As the fragrance,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mboo carbonized condensed tar may be used.

본 발명의 대나무 방향제는 대나무를 밀폐된 진공 상태의 공간에서 착화시켜 연소시킨 후 연소된 대나무 연기가 밀폐 공간의 일측에 구비된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되면 대나무 연기를 포집한 후 응축, 냉각하여 타르로 추출한 후 물에 희석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bamboo air freshe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gnites and burns bamboo in a sealed vacuum space, and then when the burned bamboo smok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an exhaust pip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aled space, the bamboo smoke is collected, condensed, and cooled. It can be prepared by diluting with water after extraction with tar.

결국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대나무를 연소시킨 후 얻어지는 재와 타르를 이용하여 필터와 방향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대나무로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과 함께 상술한 바와 같이 건강 증진효과가 뛰어난 대나무 향을 퍼지게 할 수 있다.After all,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sh and tar obtained after burning bamboo can be used as filters and air fresheners. can spread

이에 필터 및 방향제는 대나무의 연소 물질을 이용하는 것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의 필터와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ly, filters and air fresheners are not limited to using bamboo combustion materials, and filters and air fresheners of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이상의 설명을 토대로 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가구 손잡이(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An example of using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is as follows.

사용자가 가구(11)의 문(12)을 열기 위해 가구(11)에 설치된 다목적 가구 손잡이(10)의 레버(110)를 당기거나 회전시키면 레버(110)의 일측에 구비된 레버회전축(331)이 회전하고 레버회전축(331)과 연결된 걸쇠(120)의 위치가 변경되면서 타측 문(12)과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며 문(12)이 열리게 된다.When the user pulls or rotates the lever 110 of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installed on the furniture 11 to open the door 12 of the furniture 11 , the lever rotation shaft 331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r 110 . As the rotation and the position of the latch 120 connected to the lever rotation shaft 331 are changed, the coupling state with the other door 12 is released, and the door 12 is opened.

이때 레버(110)가 당겨지고 레버회전축(331)이 회전됨과 동시에 레버기어(330)가 소정 반경으로 회전하게 되고 레버기어(330)의 부채꼴 호 부분의 톱니 기어에 맞물리며 기어 결합된 팬기어(320)가 회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ver 110 is pulled and the lever rotation shaft 331 is rotated, and the lever gear 330 rotates at a predetermined radius. The fan gear 320 is engaged with the toothed gear of the sectoral arc portion of the lever gear 330 and is gear-coupled. ) can be rotated.

레버기어(330)의 부채꼴 호의 길이는 팬기어(320)의 원호 대비 상대적으로 매우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기어(330)가 조금만 회전해도 팬기어(320)는 많은 회전이 이뤄지게 되며, 팬기어(320)의 중심에 구비된 팬회전축(321)에 의해 팬날개(310)에 강한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Since the length of the sectoral arc of the lever gear 330 is relatively long compared to the arc of the fan gear 320, even if the lever gear 330 rotates a little, the fan gear 320 rotates a lot, and the fan gear ( A strong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fan blades 310 by the fan rotation shaft 321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320 .

팬날개(310)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순환통로(130)의 시작점인 유입구(131)에서 외부로부터 공기를 강하게 흡입할 수 있게 되고 유입구(131)로 들어온 기류는 연결부(132)를 거쳐 배출구(133)로 배출된다.As the fan blade 310 strongly rotates, air can be strongly sucked from the outside at the inlet 131,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circulation passage 130, and the airflow entering the inlet 131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part 132 and the outlet 133. is emitted as

이때 순환통로(130)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은 유입구(131)로부터 시작되어 필터입구(220)를 지나면서 수평으로 흘러들어오고 이후 연결부(132)의 절곡부위를 만나 방향이 전환되면서 필터부(210)를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지나며 외부의 오염된 공기는 필터링 되며 정화가 이뤄지고, 팬날개(310)를 지나 연결부(132) 하단부와 배출구(133)의 절곡 연결부(132)위를 만나며 다시 수평방향으로 배출구(133) 방향으로 흘러나가게 된다.At this tim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circulation passage 130 starts from the inlet 131 and flows in horizontally as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inlet 220 , and then meets the bent portion of the connection unit 132 and the direction is changed while changing the filter unit 210 . ) passing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 external polluted air is filtered and purified, and it passes through the fan blade 310 and meets the lower end of the connector 132 and the bent connector 132 of the outlet 133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gain. It flows out in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33 .

이때 연결부(132) 하단부와 배출구(133) 사이에 구비된 방향스펀지(410)는 방향제통(400)에 담겨진 방향제를 머금은 상태로 구비되고 연결부(132)를 지나 배출구(133)로 빠져나가는 공기의 흐름에 실려 함께 배출구(133) 밖으로 흘러나가게 되면서 외부 공간에 방향물질을 배출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ragrance sponge 410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132 and the outlet 133 is provided in a state containing the fragrance contained in the air freshener container 400 and passing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132 to the outlet 133. As it flows out of the outlet 133 together with the flow, the fragrance material is discharged to the external space.

따라서 레버(110)를 당겨 문(12)을 열고 닫을 때마다 외부의 공기가 다목적 가구 손잡이(10) 내부로 유입된 후 다시 배출되면서 공기는 정화되고 향기가 퍼지게 된다.Therefore, whenever the door 12 is opened and closed by pulling the lever 110, external air is introduced into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and then discharged again, thereby purifying the air and spreading the fragranc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133)의 방향은 레버(110)의 하부에 위치하여 하우징(100)의 전면 즉 가구(11)의 외측에 구비되어 정화된 공기와 방향제가 외부 공간에 퍼질 수 있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배출구(133)의 방향이 하우징(100)의 후면 즉 가구(11)의 내측으로 향하도록 형성되어 레버(110)가 당겨질 때마다 정화된 공기와 방향제가 가구(11)의 내측 공간으로 퍼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33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ever 110 and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100, that is, on the outside of the furniture 11 so that purified air and air freshener can be spread to the outside space. Alternatively, the direction of the outlet 133 is formed to face the rear of the housing 100 , that is, the inside of the furniture 11 , so that whenever the lever 110 is pulled, the purified air and air freshener ar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furniture 11 . It may be provided to spread into space.

또는 배출구(133)가 하우징(100)의 전면과 후면, 즉 가구(11)의 외부와 내부 모두를 향하도록 양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레버(110)를 당길 때마다 정화된 공기와 방향제가 가구(11)의 내부와 외부 모든 방향으로 퍼지도록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 plurality of outlets 133 are formed in both directions to face both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housing 100 , that is, both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furniture 11 , so that whenever the lever 110 is pulled, purified air and air freshener are released into the furniture 11 . ) can be spread both inside and outside.

이때 배출구(133)가 복수로 구성된 경우 배출구(133)가 향하는 방향에는 방향스펀지(410)가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방향제통(400)은 단일의 통이 복수의 방향스펀지(410)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또는 각각의 방향스펀지(410)와 방향제통(400)이 별도로 각 배출구(133)마다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case, when the outlet 133 is configured in plurality, a direction sponge 410 may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outlet 133 faces, respectively, and the air freshener tube 400 is used by connecting a single tube to a plurality of direction sponges 410 . Alternatively, each of the fragrance sponge 410 and the fragrance container 400 may be separately provided for each outlet 133 .

공기 정화 기능이 소진되었다고 판단되면 필터손잡이(240)를 잡고 필터세트(200)를 상부로 끌어올려 빼낸 후에 필터부(210)를 새 것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세척을 하여 기능을 복원시킬 수 있으며, 교체 또는 세척이 완료되면 필터세트(200)를 다시 하우징(100) 후면 상부에서 연결부(132)에 맞춰 끼워 넣으면서 장착하여 재사용 할 수 있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ir purification function is exhausted, hold the filter handle 240 and pull up the filter set 200 to the upper part and then replace the filter unit 210 with a new one or wash to restore the function. When the cleaning is complete, the filter set 200 can be re-used by fitting it into the connection part 132 from the upper rear of the housing 100 .

또한 방향제가 소진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하우징(100) 하단의 덮개를 열고 방향제통(400)을 하부로 빼낸 후 방향제통(400)에 방향제를 채운 후 다시 방향스펀지(410)에 맞춰 삽입을 시킨 후에 하우징(100) 하단 덮개를 닫아 고정시킴으로써 교체를 완료할 수 있다.In addi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ragrance is exhausted, open the cover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and take out the fragrance container 400 to the bottom, fill the fragrance container 400 with the fragrance, and then insert it again according to the fragrance sponge 410, and then insert it into the housing. (100) The replacement can be completed by closing and fixing the bottom cover.

상기 절차에 따른 본 발명의 다목적 가구 손잡이(10)의 동작을 정리하면, 레버(110)를 당겨서 걸쇠(120)가 풀리는 순간 동시에 팬날개(310)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구(131)로 들어가게 되고 유입된 공기는 정화가 이뤄진 후 방향제와 함께 배출구(133)를 통해 가구(11)의 외부 또는 내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Summing up the operation of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e fan blade 310 strongly rotates at the same time as the latch 120 is released by pulling the lever 110, and external air flows into the inlet 131. After being purified, the introduc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r inside of the furniture 11 through the outlet 133 together with the air freshener.

따라서 본 발명의 다목적 가구 손잡이(10)가 부착된 가구(11)의 문(12)을 여닫을 때마다 실내의 공기는 정화되고 향기가 가득 퍼지게 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whenever the door 12 of the furniture 11 to which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is opened or closed, the air in the room is purified and the fragrance is fully sprea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다목적 가구 손잡이(10)를 구성하는 하우징(100)은 플라스틱과 같은 가소성 수지를 원료로 한 사출 성형물일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사출 성형 시 항균 물질이 배합되어 생산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0 constituting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may be an injection-molded product using a plastic resin such as plastic as a raw material, and an antibacterial material is blended during injection molding of the housing 100 to produce can b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써 하우징(100)에 첨가되는 항균 물질은 항균,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고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는 구리가 사용될 수 있으며, 구리는 사출 과정에서 분말 가루의 형태로 가소성 수지에 첨가되어 하우징(100)의 성형 시 구리 성분이 포함된 상태로 제조되도록 할 수 있다.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antibacterial material added to the housing 100, copper may be used which has antibacterial and antiviral action and has little toxicity to the human body, and copper is added to the plastic resin in the form of powder during the injection process. It may be added so that the copper component is included when the housing 100 is molded.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하우징(100)은 항균 성분이 있는 금속성 주물 제품으로 제작될 수도 있는데, 다목적 가구 손잡이(10)로 설치될 수 있고 상술된 다목적 가구 손잡이(10)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으며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항균 물질이 사용되는 한 그 제조 방법과 재질에는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However,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100 may be made of a metallic casting product having an antibacterial component, and it may be installed as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and the function of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0 described above will be performe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terial as long as antibacterial substances that are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are used.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 : 다목적 가구 손잡이
11 : 가구
12 : 문
100 : 하우징
110 : 레버
120 : 걸쇠
130 : 순환통로
131 : 유입구
132 : 연결부
133 : 배출구
200 : 필터세트
210 : 필터부
220 : 필터입구
230 : 필터출구
240 : 필터손잡이
300 : 환기부
310 : 팬날개
320 : 팬기어
321 : 팬회전축
330 : 레버기어
331 : 레버회전축
400 : 방향제통
410 : 방향스펀지
10 :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11: Furniture
12 : door
100: housing
110: lever
120: clasp
130: circulation passage
131: inlet
132: connection part
133: outlet
200: filter set
210: filter unit
220: filter inlet
230: filter outlet
240: filter handle
300: ventilation
310: fan wings
320: fan gear
321: fan rotation shaft
330: lever gear
331: lever rotation shaft
400: air freshener
410: aroma sponge

Claims (5)

문에 설치되는 손잡이로서,
문에 매립되며 일측은 문의 전면에 노출되고 타측은 문의 후면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우징; 및
하우징의 타측 상부에서 하향 삽입되며 탈부착 되는 카트리지 형태의 필터세트;를 포함하되,
하우징은, 문을 개방하는 레버; 일측 레버의 상부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터널 형상의 개구부로 구비되는 유입구; 일측 레버의 하부에서 타측으로 향하는 터널 형상의 개구부로 구비되는 배출구; 타측 내부에서 유입구와 배출구의 선단을 상하로 연통하는 내부공간으로서 유입구에서 배출구로 이어지는 순환통로를 형성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순환통로에는 유입구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환기부;가 더 포함되며,
환기부는, 연결부 하부 소정 위치에서 상부를 향해 구비되는 팬날개; 팬날개의 중심에 하향 연결되는 팬회전축; 팬회전축에 결합된 원형 톱니 형상의 팬기어; 팬기어에 수평으로 맞물리며 톱니 결합되는 부채꼴 형상의 레버기어; 레버기어의 일측에 구비되며 레버의 회전 중심과 상하 연결되는 레버회전축;을 더 포함하고,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레버회전축, 레버기어, 팬기어, 팬회전축이 맞물려 회전되며 팬날개를 회전시켜 유입구에서 배출구 방향으로 기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가구 손잡이.
A handle installed on a door, comprising:
The housing is embedded in the door, one side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rear of the door; and
A filter set in the form of a cartridge that is inserted downwardly from the upper part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is detachable;
The housing includes a lever for opening the door; an inlet provided as a tunnel-shaped opening from an upper portion of one lever toward the other; an outlet provided as a tunnel-shaped open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one lever toward the other; It further includes; an internal space that communicates up and down the front end of the inlet and the outlet in the other side and forms a circulation passage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The circulation passage further includes a ventilation unit that sucks air from the inlet and moves it to the outlet,
The ventilation unit may include: a fan blade provided up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low the connection unit; a fan rotation shaft downwardly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fan blades; a fan gear having a circular sawtooth shape coupled to the fan rotation shaft; a fan-shaped lever gear that is horizontally engaged with the fan gear and coupled with teeth; A lever rotation shaf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ver gear and vertic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center of the lever; further comprising,
As the lever rotates, the lever rotating shaft, the lever gear, the fan gear, and the fan rotating shaft are engaged and rotated, and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further comprising generating airflow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by rotating the fan blad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의 하단으로부터 배출구에 이르는 구간의 소정 위치에 하향 배치되는 방향스펀지; 스펀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방향제통;을 더 포함하는 다목적 가구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a direction sponge dispos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section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part to the outlet;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comprising a; air freshen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onge.
제1항에 있어서,
필터세트는, 연결부에 대응되며 삽입되는 형태로서 상면은 하우징 타측 상단에 대응되고 하면은 연결부 하부 소정 깊이까지 대응되며, 상부 일측면에는 유입구에 대향되는 필터입구; 하단에는 연결부에 대향되는 필터출구; 필터입구와 필터출구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 층으로 구성되는 필터부;를 더 포함하며 순환통로에 연통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다목적 가구 손잡이.
According to claim 1,
The filter set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part and is inserted, the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the low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lower part of the connection part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filter inlet opposite to the inlet on the upper one side; The filter outlet opposite to the connection part at the bottom; The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further comprising a filter unit comprising at least one filter layer between the filter inlet and the filter outlet, and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circulation passage.
제4항에 있어서,
필터부는, 대나무 탄화 필터로 구성되는 다목적 가구 손잡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lter unit is a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composed of a bamboo carbonized filter.
KR1020200073507A 2020-06-17 2020-06-17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KR1022649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07A KR102264909B1 (en) 2020-06-17 2020-06-17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507A KR102264909B1 (en) 2020-06-17 2020-06-17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909B1 true KR102264909B1 (en) 2021-06-15

Family

ID=76412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507A KR102264909B1 (en) 2020-06-17 2020-06-17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90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950Y1 (en) * 2005-05-06 2005-08-09 이명임 knob for furniture
KR100921536B1 (en) * 2007-11-14 2009-10-12 김응국 A door with apparatus for cleaning air
KR20120004430U (en) * 2010-12-13 2012-06-21 신장공업주식회사 Handle structure for cabinet door with ventil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KR20130004731U (en) * 2012-01-27 2013-08-06 송대규 Built-in wardrobe
KR101350232B1 (en) 2012-06-01 2014-01-15 김원제 A cover of door knob being exhaled bactericide and incense
KR101381039B1 (en) * 2014-02-20 2014-04-14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er with ventilation handl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950Y1 (en) * 2005-05-06 2005-08-09 이명임 knob for furniture
KR100921536B1 (en) * 2007-11-14 2009-10-12 김응국 A door with apparatus for cleaning air
KR20120004430U (en) * 2010-12-13 2012-06-21 신장공업주식회사 Handle structure for cabinet door with ventilation and deodorization function
KR20130004731U (en) * 2012-01-27 2013-08-06 송대규 Built-in wardrobe
KR101350232B1 (en) 2012-06-01 2014-01-15 김원제 A cover of door knob being exhaled bactericide and incense
KR101381039B1 (en) * 2014-02-20 2014-04-14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Locker with ventilation hand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70360B (en) Electrothermal smokeless roaster
KR200490019Y1 (en) Purifying air purifier using cottonwood
CN101322852B (en) Toilet air purification device
CN100366165C (en) Improved food processing apparatus
CN103322622B (en) A kind of air purification system of bathroom
KR200422381Y1 (en) Multi-function shoes cabinet
KR20150001741U (en) An Air Purifier Using Cypress
CN108709256A (en) A kind of air purifier with aromatherapy function
KR102264909B1 (en) Multipurpose Furniture Handle
CN104874003A (en) Refrigerator odor remover
CN206113148U (en) Air cleaner with stage treatment function
EP1144303A2 (en) Ozone generator
CN205460041U (en) In -band courage drifting fragrance machine
KR100718249B1 (en) Module type air purification apparatus
CN2805503Y (en) Shoes cabinet capable of taking out moisture, killing bacteria and disinfecting
CN107940588A (en) A kind of air cleaner with classification processing function
KR102057057B1 (en) Sterilizer of refrigerator using uv lamp for generating ozone
CN206355349U (en) A kind of taste removal disinfecting cabinet for towel
KR200427783Y1 (en) Device for shoes sterilization deodorize having intercept function air using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CN208859739U (en) A kind of air purifier with aromatherapy function
KR200401575Y1 (en) The charcoal filter
KR102221390B1 (en) Air Purification Hinge
KR100584211B1 (en) A functional interior pressure three stories water pipe and manufacture device
RU81684U1 (en) CAR AIR CLEANER "AVERS-HELFI-AIR"
KR100809005B1 (en) Ai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