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819B1 -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 - Google Patents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819B1
KR102264819B1 KR1020200043968A KR20200043968A KR102264819B1 KR 102264819 B1 KR102264819 B1 KR 102264819B1 KR 1020200043968 A KR1020200043968 A KR 1020200043968A KR 20200043968 A KR20200043968 A KR 20200043968A KR 102264819 B1 KR102264819 B1 KR 10226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ber
formwork
fiber structure
structure layer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구용
Original Assignee
신도이앤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이앤씨(주) filed Critical 신도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200043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6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matched moulds, e.g. for deforming sheet moulding compounds [SMC] or prepr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54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e.g. feeding or storage of prepregs or SMC after impregnation or during ageing
    • B29C70/541Positioning reinforcements in a mould, e.g. using clamping means for the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09Fabrics
    • B29K2105/0836Knitted fabr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FRP 제조용 거푸집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RP 제조용 거푸집은, 내측에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이 형성되는 공간인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거푸집; 유리섬유 구조층의 내측에 마련되어 유리섬유 구조층을 지지하는 내측 거푸집; 및 외측 거푸집 상에 형성되어 합성수지를 주입가능하게 마련되는 합성수지 주입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Mould for Manufacturing of FRP structure and FRP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주입구를 통하여 동시에 합성수지 주입해 입체형상으로 합성수지를 유리섬유에 함침할 수 있도록 하여 FRP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FRP는 유리섬유(Fiber Glass)를 주보강재로 하여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nsaturated Polyester Resin)를 함침 가공한 복합 구조재로서,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이라고 한다.
보강재로는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사용되고, 플라스틱으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가 많이 쓰인다.
이러한 FRP는 장력강도와 내충격성이 뛰어나고, 난연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므로, 많은 산업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FRP를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입체적 형상으로 제조할 수 없고, 유리섬유를 평판 형태로 마련하고 그 위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에폭시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롤러링(rollering)하는 방식으로 함침하여 제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제조방법은 제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제조 형상을 다양하게 마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70361호 (수광산업 주식회사), 2012.07.26.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주입구를 통하여 동시에 합성수지 주입하여, 입체형상으로 합성수지를 유리섬유에 함침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재활용 할 수 있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제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측에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이 형성되는 공간인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을 지지하는 내측 거푸집; 및 상기 외측 거푸집 상에 형성되어 합성수지를 주입가능하게 마련되는 합성수지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제조용 거푸집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은, 폭과 두께를 가지는 납작한 끈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와 폭과 두께를 가지는 납작한 끈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와 교차되는 복수의 제2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를 베짜기 방식으로 교차 형성하는 우븐 로빙층; 및 상기 우븐 로빙층 상에 상기 우븐 로빙층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구비하는 단위 로빙사를 복수개 배열하되 상기 우븐 로빙층의 복수의 상기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 간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마련하여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 로빙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우븐 로빙층 및 상기 스페이서 로빙사층은 교대로 복수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외측 거푸집은, 하방 평면에 기초가 되도록 마련되는 외측 베이스 거푸집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은, 상기 외측 베이스 거푸집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유리섬유 구조층;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의 외면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을 형성하는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거푸집은, 하방 평면에 기초가 되도록 마련되는 외측 베이스 거푸집; 및 상기 외측 베이스 거푸집과 결합되되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을 차폐하는 외측 하우징 거푸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주입구는, 상기 외측 하우징 거푸집을 관통하여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수지 주입구의 위치는, 상기 외측 거푸집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는 압력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상기 합성수지 주입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을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외측 거푸집에 연결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 배출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FRP 제조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조된 FRP 구조체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주입구를 통하여 동시에 합성수지 주입하여, 입체형상으로 합성수지를 유리섬유에 함침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재활용 할 수 있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제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가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유리섬유에 함침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을 마련하여, 합성수지와 유리섬유의 밀도차이로 인해 합성수지가 유리섬유에 골고루 함침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의 A-A'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B를 확대한 확대도 이다.
도 4는 도 1의 외측 거푸집, 유리섬유 구조층 및 내측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1의 유리섬유 구조층의 정면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에 연결되는 합성수지 주입용 펌프 및 공기배출용 펌프가 연결되는 구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의 A-A'으로 자른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B를 확대한 확대도 이고, 도 4는 도 1의 외측 거푸집, 유리섬유 구조층 및 내측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도 2의 C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1의 유리섬유 구조층의 정면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에 연결되는 합성수지 주입용 펌프 및 공기배출용 펌프가 연결되는 구조의 개략도이다.
이들 도면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100)은, 외측 거푸집(110)과, 내측 거푸집(120)과, 합성수지 주입구(320)와, 브라켓(130)과, 공기 배출관(420)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구조층(200)은, 베이스 유리섬유 구조층(210)과,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220)을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 유리섬유 구조층(210)과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220) 각각은, 우븐 로빙층(201)과,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을 포함한다.
외측 거푸집(110)은, 내측에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200)이 형성되는 공간인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110a)을 형성 공간을 형성하며, 하방 평면에 기초가 되도록 마련되는 외측 베이스 거푸집(111)과, 외측 베이스 거푸집(111)과 결합되되 유리섬유 구조층(200)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차폐하는 외측 하우징 거푸집(112)을 포함한다.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110a)은, 외측 거푸집(110)과 내측 거푸집(120)이 이격되어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며, 유리섬유 구조층(200)에 합성섬유를 함침하여 FRP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된 합성수지는 열가소성 합성수지계 즉,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스틸렌(PS), 염화비닐(PVC), 플로오르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아세트산수지, 폴리아미드수지, 아세탈수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측 베이스 거푸집(111)은 거푸집을 사용한 FRP 구조체를 제조하기 위한 베이스로써, 지면에 안정적으로 마련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지면이 아닌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평판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내측 거푸집(120)은, 유리섬유 구조층(200)의 내측에 마련되어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지지한다.
합성수지 주입구(320)는 외측 거푸집(110) 상에 형성되며, 외측 거푸집(110)을 관통하여 합성수지를 주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외측 거푸집(110)과 내측 거푸집(120) 사이에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110a)에 안정적으로 마련된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합성섬유로 함침하여 효율적으로 FRP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다시 말해, 합성수지 주입구(320)는 외측 하우징 거푸집(112)을 관통하여 복수개 형성되고, 외측 거푸집(110)의 내측에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형성하며,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차폐하는 외측 하우징 거푸집(112)을 마련하여 유리섬유 구조체를 함침하기 위한 합성수지가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측 하우징 거푸집(112)은 외측 베이스 거푸집(111) 및 아래에서 설명할 브라켓(130)과 함께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차폐하며, 외측 하우징 거푸집(112)에는 합성수지 주입구 위치 결정 과정을 거쳐 합성수지를 주입할 수 있는 합성 수지 주입구(320)의 위치를 결정하여 합성수지 주입구(32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합성수지를 주입할 수 있는 합성수지 주입구(320)가 외측 베이스 거푸집(111)이 아닌 외측 하우징 거푸집(112)에 마련되어 합성수지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유리섬유 구조층(200)을 함침시킬 수 있어 제조 효율을 증대시킨다.
브라켓(130)은, 외측 거푸집(110), 유리섬유 구조층(200) 및 내측 거푸집(120)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에 결합되어 외측 거푸집(110), 유리섬유 구조층(200) 및 내측 거푸집(120)을 지지하며, 합성수지가 누액 되는 것을 효율 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30)은, 평판 브라켓(130)과, 앵글 브라켓(130)을 포함한다.
공기 배출관(420)은 외측 거푸집(110)에 연결되어 유리섬유 구조층(200)의 공기를 배출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배출관(420)은 복수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구조층(200)은, 외측 베이스 거푸집(111)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유리섬유 구조층(210)과, 내측 거푸집(120)의 외면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을 형성하는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2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유리섬유 구조층(210)과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220) 각각은, 폭과 두께를 가지는 납작한 끈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201a) 및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201a)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2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201b)를 베짜기 방식으로 교차하여 형성하는 우븐 로빙층(201)을 포함한다.
우븐 로빙층(201)에 합성수지가 함침되어 본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FRP 구조체의 보강재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구조층(200)은, 우븐 로빙층(201) 상에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201a)들 간의 간격(d1)보다 넓은 간격(d2)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로빙사(202a) 및 제1 로빙사(202a)에 교차되는 복수의 제2 로빙사(202b)가 마련되어 이격공간부(S1)를 형성하는 스페이서(spacer) 로빙사층(202)을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이 이격공간부(S1)를 마련하므로, 유리섬유의 비중이 합성수지의 비중보다 커서 발생할 수 있는 불균일 함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우븐 로빙층(201)의 두께는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의 두께 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합성수지를 보강할 수 있다.
아래의 [비교실험 1]은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이 없이 단순 유리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켜 합성수지의 함침 균일도를 측정한 것이다.
[비교실험 1]
Figure 112020037478128-pat00001
이와 같이 [비교실험1]의 경우 층분리의 문제가 발생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구조층(200)은, 주된 보강제로 우븐 로빙층(201)이 마련되고 복수의 우븐 로빙층(201) 사이에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을 마련하여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에 형성되는 이격공간부(S1)으로 합성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되어 [비교실험 1]의 층분리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섬유 구조층(200)에 합성수지가 균일하게 함침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유리섬유 구조층(200)은, 우븐 로빙층(201) 및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은 우븐 로빙층(201) 및 스페이서 로빙사층(202)을 1개의 층으로 구분하여 미리 결정된 두께에 따라 교대로 복수개 적층시켜 적절한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주입구를 통하여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합성수지 주입할 수 있으므로, 입체형상으로 합성수지를 유리섬유에 함침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고, 재활용 할 수 있는 거푸집을 사용하여 제조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가 효율적으로 균일하게 유리섬유에 함침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을 마련하여, 합성수지와 유리섬유의 밀도차이로 인해 합성수지가 유리섬유에 골고루 함침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의 크기를 용이하게 확장 또는 변경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 및 형태의 FRP 구조체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110 : 외측 거푸집
120 : 내측 거푸집 130 : 브라켓
200 : 유리섬유 구조층

Claims (7)

  1. 내측에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이 형성되는 공간인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을 지지하는 내측 거푸집; 및
    상기 외측 거푸집 상에 형성되어 합성수지를 주입가능하게 마련되는 합성수지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은,
    하방 평면에 기초가 되도록 마련되는 외측 베이스 거푸집을 포함하며,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은,
    상기 외측 베이스 거푸집 상에 배치되는 베이스 유리섬유 구조층;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의 외면에 입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을 형성하는 입체 유리섬유 구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제조용 거푸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은,
    폭과 두께를 가지는 납작한 끈 형상으로 마련되는 복수의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와 폭과 두께를 가지는 납작한 끈 형상으로 마련되되 상기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와 교차되는 복수의 제2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를 베짜기 방식으로 교차 형성하는 우븐 로빙층; 및
    상기 우븐 로빙층 상에 상기 우븐 로빙층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구비하는 단위 로빙사를 복수개 배열하되 상기 우븐 로빙층의 복수의 상기 제1 단위 우븐 유리섬유체 간의 간격보다 넓은 간격으로 마련하여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스페이서(spacer) 로빙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우븐 로빙층 및 상기 스페이서 로빙사층은 교대로 복수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제조용 거푸집.
  3. 삭제
  4. 내측에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이 형성되는 공간인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을 지지하는 내측 거푸집; 및
    상기 외측 거푸집 상에 형성되어 합성수지를 주입가능하게 마련되는 합성수지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은,
    하방 평면에 기초가 되도록 마련되는 외측 베이스 거푸집; 및
    상기 외측 베이스 거푸집과 결합되되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을 차폐하는 외측 하우징 거푸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제조용 거푸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주입구는 복수개 마련되며,
    상기 합성수지 주입구의 위치는, 상기 외측 거푸집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의 변형 및 손상을 방지하는 압력을 계산하여 복수개의 상기 합성수지 주입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제조용 거푸집.
  6. 내측에 유리섬유로 형성되는 유리섬유 구조층이 형성되는 공간인 유리섬유 구조층 형성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을 지지하는 내측 거푸집; 및
    상기 외측 거푸집 상에 형성되어 합성수지를 주입가능하게 마련되는 합성수지 주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의 길이방향 양측 말단에 결합되어 상기 외측 거푸집,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 및 상기 내측 거푸집을 지지하는 브라켓; 및
    상기 외측 거푸집에 연결되어 상기 유리섬유 구조층의 공기를 배출하는 복수의 공기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RP 제조용 거푸집.
  7. 제1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FRP 제조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조된 FRP 구조체.
KR1020200043968A 2020-04-10 2020-04-10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 KR102264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68A KR102264819B1 (ko) 2020-04-10 2020-04-10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968A KR102264819B1 (ko) 2020-04-10 2020-04-10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819B1 true KR102264819B1 (ko) 2021-06-15

Family

ID=7641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968A KR102264819B1 (ko) 2020-04-10 2020-04-10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8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1759A (ko) * 2010-12-03 2012-06-13 유로꼽떼르 단일 교차 선을 갖는 복합 재료 보강재를 포함하는 부품의 제작
KR101170361B1 (ko) 2011-12-19 2012-08-10 수광산업 주식회사 펌프용 frp 임펠러 제조방법
KR101641719B1 (ko) * 2015-07-16 2016-07-21 주식회사 와이제이엠게임즈 수지 이송 성형을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 성형 방법 및 성형 장치
KR20180109375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에스컴텍 인퓨전 성형을 이용한 일체형 입체구조물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90049297A (ko) * 2017-11-01 2019-05-09 이호석 플랙시블한 튜브가 적용된 hc구조물 및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1759A (ko) * 2010-12-03 2012-06-13 유로꼽떼르 단일 교차 선을 갖는 복합 재료 보강재를 포함하는 부품의 제작
KR101170361B1 (ko) 2011-12-19 2012-08-10 수광산업 주식회사 펌프용 frp 임펠러 제조방법
KR101641719B1 (ko) * 2015-07-16 2016-07-21 주식회사 와이제이엠게임즈 수지 이송 성형을 이용한 섬유강화플라스틱 성형 방법 및 성형 장치
KR20180109375A (ko) * 2017-03-28 2018-10-08 주식회사 에스컴텍 인퓨전 성형을 이용한 일체형 입체구조물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90049297A (ko) * 2017-11-01 2019-05-09 이호석 플랙시블한 튜브가 적용된 hc구조물 및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0156B2 (en) Three-dimensional spacer fabric resin interlaminar infusion media process and vacuum-induced reinforcing composite laminate structures
US20080295950A1 (en) Open Grid Fabric Resin Infusion Media and Reinforcing Composite Lamina
CN102990943B (zh) 包括蒙皮和加强筋的结构的制造方法
KR100570229B1 (ko) 탄소섬유직물,그직물을사용하는섬유강화플라스틱성형품,및그성형품의제조방법
JP2802430B2 (ja) モールディング方法
JP2019509914A (ja) 給気管を製造する方法
US4090002A (en) Reinforced fiber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8574696B2 (en) Electronic device housing assembly
JP6164591B2 (ja) 連続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複合材料製造用の強化繊維/樹脂繊維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00105654A (ko) 교차 벽들을 갖는 폐쇄 구조물의 직조방법
WO2006079501A1 (en) Panel structure and relative process for making it
JP6138045B2 (ja) Rtm工法用高目付炭素繊維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rtm工法
US7930907B2 (en) Crimp-free infusible reinforcement fabric and composite reinforced material therefrom
RU2640760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й фасонной части, композитная фасонная часть, многослойный конструктивный элемент и элемент лопасти ротора и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KR20130129112A (ko) 섬유 강화 플라스틱제 시트 파일
KR102264819B1 (ko) Frp 구조체 제조용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조된 frp 구조체
US7579292B2 (en) Open-work knitted textile resin infusion medium and reinforcing composite lamina
KR101112198B1 (ko) 섬유강화 복합재, 이의 진공 주입 성형 장치 및 이의 진공 주입 성형 방법
KR20200068893A (ko) 중공단면을 가진 섬유강화복합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4818B1 (ko) 거푸집을 사용한 frp 구조체 제조방법
WO2007057430A1 (en) Knitted infusion fabric
KR102095338B1 (ko) 권취가능 판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6665149B2 (ja) 繊維強化樹脂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90632B1 (ko) Ⅴartm공정을 이용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성형방법
US10544525B2 (en) Fibrous structure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