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787B1 - Onestop banner stand - Google Patents

Onestop banner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787B1
KR102264787B1 KR1020200046664A KR20200046664A KR102264787B1 KR 102264787 B1 KR102264787 B1 KR 102264787B1 KR 1020200046664 A KR1020200046664 A KR 1020200046664A KR 20200046664 A KR20200046664 A KR 20200046664A KR 102264787 B1 KR102264787 B1 KR 10226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opening
hanging rod
closing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학률
인충수
Original Assignee
김학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률 filed Critical 김학률
Priority to KR102020004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7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7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7/00Flags; Banners; Mountings therefor
    • G09F2017/005Means for mounting flags to ma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nner holder, which has a simpler configuration, and is installed at once by pushing a banner hanging rod in a one-stop man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ner holder comprises: a body including an opening part, the front part of which is opened, and a mounting part formed along both sides from the opening part and o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is mounte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ing a front part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of the body and side parts extending from the front part to both sides; and a hinge part connecting the bod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may open and close the opening part of the body by rotating about the hinge part.

Description

원스톱 배너 거치대{ONESTOP BANNER STAND}One-stop banner stand {ONESTOP BANNER STAND}

본 발명은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스톱 방식으로 배너를 설치하는 배너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ner holder. In more detail, it relates to a banner holder for installing a banner in a one-stop manner.

일반적으로, 각종 행사, 공연 등의 광고를 위하여 도로 또는 공원에는 현수막 등의 배너가 설치된다. 배너는 배너 걸이봉에 걸린 상태로 배너 거치대를 통해 가로등 또는 가로수와 같은 지주에 설치된다. In general, banners such as placards are installed on roads or parks for advertisements of various events and performances. The banner is installed on a post such as a street lamp or a tree through the banner holder in a state of being hung on the banner hanging ro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배너 거치대(10)는 내부에 배너 걸이봉(200)을 고정하는 몸체(11) 및 상기 몸체(11)에 형성되는 체결밴드홈(13)으로 구성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배너(300)를 지주(400)에 매달기 위하여, 작업자 등은 먼저 체결밴드(12)를 종래의 배너 거치대(10)의 체결밴드홈(13)에 삽입한 다음 체결부재(12)를 가로등 또는 가로수와 같은 지주(400)의 외주면에 감싼 후 드릴을 이용하여 체결밴드의 양 단을 체결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설치된 배너(300)를 교체하거나 철거하는 경우, 작업자 등이 배너 거치대(10)를 일일이 분리하고 재설치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 및 비용이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As shown in FIG. 1 , the conventional banner holder 10 includes a body 11 for fixing the banner hanging rod 200 therein and a fastening band groove 13 formed in the body 11 .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 order to hang the banner 300 on the post 400, the operator first inserts the fastening band 12 into the fastening band groove 13 of the conventional banner holder 10, and then the fastening member ( 12) was wrapp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400 such as a street lamp or tree, and then both ends of the fastening band were fastened using a drill. 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when replacing or dismantling the installed banner 300 , the operator or the like has to separate and reinstall the banner holder 10 one by one, resulting in considerable work time and cost.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90242호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교체, 제거가 용이한 배너 거치대(20)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문헌의 배너 거치대(20)는 거치부(21a)를 구비하는 제1 브라켓(21) 및 상기 제1 브라켓(21)의 상측에 위치하는 제2 브라켓(22)로 구성되며, 배너 걸이봉(200)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링(23, 24)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배너 거치대(20)에 의하면, 작업자 등이 상기 제1 브라켓(21)에 대하여 상기 제2 브라켓(22)을 열고 닫음으로써 배너 걸이봉(200)을 거치 및 분리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90242 discloses a banner holder 20 that is easy to install, replace, and remove, as shown in FIGS. 2 and 3 . The banner holder 20 of the utility model document is composed of a first bracket 21 having a holding portion 21a and a second bracket 22 positioned above the first bracket 21, and the banner hanger Retaining rings 23 and 24 for fixing the rod 200 so as not to move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banner holder 2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or the like can mount and separate the banner rod 200 by opening and closing the second bracket 22 with respect to the first bracket 21 .

그러나, 종래기술인 상기 실용신안문헌에 의한 경우, 작업자 등은 배너를 설치하기 위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제2 브라켓(22)을 들어 올려서 개방해야 하고, 제1 브라켓(21)의 거치부(21a)에 배너 걸이봉을 거치한 후에 다시 제2 브라켓(22)을 내려서 닫아야 한다. 즉,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롭다는 한계가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utility model document, which is a prior art, the operator or the like must directly lift the second bracket 22 and open it as shown in FIG. 3 (b) to install the banner, and the first bracket 21 ), the second bracket 22 should be lowered and closed again after the banner hanging rod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1a. That is, there is a limit that the installation work is very cumberso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원스톱 방식으로 배너 걸이봉을 밀어 넣음으로써 설치가 한번에 이루어지는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설치 작업이 보다 단순해지며, 설치 시간 및 투입 인력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원스톱 배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made of a simpler configuration, and to provide a banner holder that is installed at once by pushing the banner hanging rod in a one-stop manner. 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one-stop banner cradle that makes the installation work simpler and can dramatically reduce the installation time and input manpower.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스톱 배너 거치대는 전면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부 및 상기 개방부로부터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배너 걸이봉이 거치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개방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방부 및 상기 전방부로부터 양 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개폐부; 및 상기 몸체 및 개폐부를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몸체의 개방부를 개폐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stop banner holder is formed along both sides from the opening portion and the opening portion of the front portion is opened, the body including a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is mounte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including a front part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of the body and side parts extending from the front part to both sides; and a hinge part connecting the body and the opening/closing part, wherein the opening/closing part may rotate around the hinge part to open and close the opening part of the bod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배너 걸이봉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개폐부의 전방부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개폐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고, 이에 의해, 상기 배너 걸이봉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몸체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ner hanging rod presses the front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through the opening part,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rotates around the hinge part by the pressing and is pushed backward, thereby, The banner hanging rod may be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by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배너 걸이봉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 안착된 다음, 상기 개폐부는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anner hanging rod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rotating it around the hinge and moving for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배너 걸이봉이 몸체의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바닥면으로부터 힌지부까지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배너 걸이봉의 최상단까지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is mounted on the holder of the body,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hinge part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end of the banner hanging rod.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배너 걸이봉이 몸체의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힌지부로부터 개폐부의 측면부의 전방 말단부까지의 길이는, 힌지부로부터 배너 걸이봉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rod is mounted on the holder of the body, the length from the hinge part to the front end of the side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from the hinge part to the uppermost end of the banner hanging rod. It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배너 걸이봉이 몸체의 거치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힌지부로부터 개폐부의 측면부의 후방 말단부까지의 길이는, 힌지부로부터 배너 걸이봉의 최상단까지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rod is mounted on the holder of the body, the length from the hinge part to the rear end of the side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from the hinge part to the uppermost end of the banner hanging rod.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개폐부의 전방부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스토퍼를 구비할 수 있다.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include a first stopper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ont part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상기 몸체는 내측 또는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깃대 수납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ay include at least one flagpole receiving part on the inside or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서, 상기 몸체의 후면은 장착되는 지주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may include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to be mounted.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스톱 방식으로 배너 걸이봉을 밀어 넣으면서 배너 거치대에 장착시키는 바, 배너의 설치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작업자 등이 일일이 배너 거치대를 열고 닫지 않아도 되므로, 배너 설치 작업이 보다 단순해지며, 설치 시간 및 투입 인력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the bar is mounted on the banner holder while pushing the banner hanging rod in a one-stop manner,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banner becomes easier. In addition, since the operator does not need to open and close the banner holder one by one, the banner installation operation becomes simpler, and the installation time and input manpower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너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또 다른 배너 거치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배너 거치대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배너 걸이봉이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 거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배너 걸이봉이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에 거치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가 지주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개폐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후면이 곡면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후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깃대 수납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view showing another banner hold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anner holder of Figure 2;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 front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FIG.
7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is mounted on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is mounted on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pole.
10 is a side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curved back surface.
12 is a view showing the rear side of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ne-stop banner hold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lagpole receiving unit.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only exemplifi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xamples.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changes and may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called a second element, and simila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will have to be understood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element is present in the middle. Other expressions for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hat is, expression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is not precluded in advanc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사시도이며;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평면도이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정면도이며; 도 5의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저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의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plan view of a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b) is a front view of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c) is a bottom view of the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one-stop banner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스톱 배너 거치대(100)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를 개폐하는 개폐부(120) 및 상기 몸체(110)와 상기 개폐부(120)를 연결하는 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100)에 의하면, 작업자 등이 원스톱 방식으로 배너 걸이봉(200)을 개폐부(120) 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배너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The one-stop banner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 an opening/closing unit 12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110 , and a hinge connecting the body 110 and the opening/closing unit 120 . It may include a branch 130 . According to the one-stop ban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can easily install the banner by pushing the banner hanging rod 200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n a one-stop manner.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10)는 개방부(115) 및 거치부(114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방부(115)는 몸체의 전면(111) 일부가 개방됨으로써 형성되며, 개폐부(12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14a)는 상기 개방부(115)로부터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110)는 상기 거치부(114a)를 따라 전방 상측으로 연장되는 걸림부(11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14b)는, 거치부(114a)에 안착된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부(114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배너 걸이봉(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는 체결밴드홀(11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밴드(12)가 상기 체결밴드홀(113)을 통해 삽입되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400)에 배너 거치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110)는 밑면에 형성되는 빗물 배출 구멍(140)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4 , the body 110 may include an opening 115 and a mounting portion 114a. The opening part 115 is formed by open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111 of the body, and may be opened and closed b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 The mounting portion 114a is formed along both sides from the open portion 115 , and the banner hanging rod 200 may be mounted thereon. In addition, the body 110 may include a locking portion 114b that extends forward upward along the mounting portion 114a. The stopping part 114b prevents the banner hanging rod 200 seated on the mounting part 114a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holding part 114a, and helps the banner hanging rod 200 to be mounted more stably. can In addition, a fastening band hole 113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110 , and the fastening band 12 is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band hole 113 to the post 400 as shown in FIG. 9 . It is possible to fix the banner holder 100 to the. On the other hand, the body 110 may optionally be provided with a rainwater discharge hole 140 formed on the bottom.

상기 개폐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개방부(115)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방부(120a) 및 상기 전방부(120a)로부터 양 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며, 배너 걸이봉(20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몸체(110)의 개방부(115)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120)(특히, 측면부(120b))는, 배너 걸이봉(200)이 상기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거치된 후, 상기 배너 걸이봉(200)을 하방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120)는, 상기 배너 걸이봉(200)의 상면에 소정의 힘을 인가함으로써,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부(114a) 내에서 헛돌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고 거치부(114a)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배너 걸이봉(200)은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부(114a) 상에 고정될 수 있다.The opening/closing part 120 may include a front part 120a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115 of the body 110 and side parts 120b extending to both sides from the front part 120a. The opening/closing unit 120 may be rotatable around the hinge unit 130 , and may open/close the opening unit 115 of the body 110 by pressing the banner hanging rod 200 . 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particularly, the side part 120b) is, after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4a of the body 110, the banner hanging rod 200 downwards. can be pressurized.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prevents the banner hanging rod 200 from spinning or moving in the cradle 114a, and 114a) can be avoided. That is, the banner hanging rod 200 may be more stably fix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또한, 상기 힌지부(130)는 상기 몸체(110) 및 개폐부(120)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힌지부(130)는 몸체(110)와 개폐부(120)와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일체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양 측면에 결합홈(118)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118)에 대응하도록 상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서로 체결되면서 힌지부(130)를 구성할 수 있다. Also, the hinge unit 130 may connect the body 110 and the opening/closing unit 120 to each other. The hinge part 130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body 110 and the opening/closing part 120 , or may be configured as an integral part.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5 (a) and 5 (b), coupling grooves 118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dy 110 and correspond to the coupling grooves 118. A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closing unit 120 so that the hinge portion 130 may be configured while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upling protrus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100)에 따르면, 도 7a 및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너 걸이봉(200)은 상기 몸체(110)의 개방부(115)를 통해 상기 개폐부(120)의 전방부(120a)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개폐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후방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7b 및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상기 거치부(114a)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배너 거치대(10)의 경우, 배너(300)를 설치할 때 작업자 등이 일일이 배너 거치대(10)를 지주(400)에 장착해야 했고, 배너 거치대(10)와 별개로 배너(300)(배너 걸이봉(200) 포함)만을 교체할 수도 없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배너 거치대(20)의 경우, 배너(300) 설치 시 작업자 등이 일일이 상부 부품인 제2 브라켓(22)을 들어 올려서 개방한 후, 배너 걸이봉을 제1 브라켓(21)에 장착하고, 제2 브라켓(22)을 내려서 닫아야만 했다. 이로 인해, 배너 설치 시(즉, 배너 걸이봉 거치 시)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배너 설치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한계가 있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스톱 방식으로 배너 걸이봉(200)을 상기 개방부(115)를 통해 개폐부(120) 측으로 밀어 넣음으로써(도 9의 화살표 참조), 배너 걸이봉(200)이 자연스럽게 거치부(114a)에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배너를 게양하기 위하여 배너 걸이봉(200)을 배너 거치대(100)의 본체(110) 내측에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ne-stop ban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7A and 8A ,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opened through the opening 115 of the body 110 . The front part 120a of the opening/closing part 120 is pressed, and by the pressing, the opening/closing part 120 may be rotated about the hinge part 130 to be pushed back in.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7B and 8B , the banner hanging rod 200 may b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to be seated inside the body 110 .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anner holder 10 shown in FIG. 1 , when installing the banner 300 , workers or the like had to individually mount the banner holder 10 to the post 400 , and the banner holder 10 and the banner separately from the banner holder 10 . (300) (including the banner hanging rod 200) could not be replaced onl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banner holder 20 shown in FIG. 2 , when the banner 300 is installed, the operator lifts and opens the second bracket 22 , which is an upper part, one by one, and then attaches the banner hanging rod to the first bracket. It was mounted on (21), and the second bracket (22) had to be lowered and closed. For this reason,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is required and manpower is wasted when installing the banner (ie, when mounting the banner hanging rod). In addition, there was a limitation that banner installation work was very cumbersome.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 by pushing the banner hanging rod 200 towar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through the opening part 115 in a one-stop manner (refer to the arrow in FIG. 9) , it is possible to allow the banner hanging rod 200 to be naturally sea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ore easily install the banner hanging rod 200 inside the main body 110 of the banner holder 100 in order to hoist the banner compared to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너 걸이봉(200)이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안착된 다음, 상기 개폐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즉,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개폐부(120)는 개방부(150) 측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방부(150)를 폐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개방부(150)를 통하여 몸체(110)의 외측으로 빠져나갈 수 없으며, 상기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10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rotates around the hinge part 130 and moves forward. You can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at is, with the banner hanging rod 200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10 ,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20 may be rotated toward the opening 150 to close the opening 150 . Accordingly, the banner hanging rod 200 can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body 110 through the opening 150, and can be stably fixed to the mounting portion 114a of the body 110.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스톱 배너 거치대(100)에서 상기 몸체(110)는 상기 개폐부(120)의 전방부(120a)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1 스토퍼(116)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후방 상면에 위치하는 제2 스토퍼(1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는데, 이러한 개폐부(120)의 움직임의 범위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120)는, 전방으로 회전 동작할 때 몸체(110)의 제1 스토퍼(116)에 간섭되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후방으로 회전 동작할 때 몸체(110)의 제2 스토퍼(117)에 간섭되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제1 스토퍼(116) 또는 제2 스토퍼(117)의 구성에 의해, 상기 개폐부(120)가 몸체(110)보다 앞쪽으로 돌출되거나 몸체(11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 in the one-stop banner holder 100 , the body 110 has a first stopper 116 positioned in front of the front part 120a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 can be provided. In addition, the body 110 may include a second stopper 117 located on the rear upper surface. The opening/closing unit 120 rotates around the hinge unit 130 , and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range of movement of the opening/closing unit 120 . Accordingly, the opening/closing unit 120 is limited in forward movement while interfering with the first stopper 116 of the body 110 when rotating forward, and rotating the second part of the body 110 when rotating backward. While interfering with the stopper 117, the backward movement may be restricted. That is,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stopper 116 or the second stopper 117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from protruding forward from the body 110 or from protruding upwards of the body 1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너 걸이봉(200)이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바닥면으로부터 힌지부(130)까지의 높이(H1)는, 바닥면으로부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까지의 높이(H2)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상관관계(H1>H2)에 의해, 개폐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몸체(110)의 개방부(115)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4a of the body 110 ,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hinge part 130 . The height (H1) may be greater than the height (H2)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end (X)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Due to this correlation (H1>H2), the opening/closing unit 120 may be rotated around the hinge unit 130 to open/close the opening unit 115 of the body 110 .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을 기준으로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하부의 앞쪽에 위치하는 말단부를 전방 말단부(123a)라 할 때, 배너 걸이봉(200)이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힌지부(130)로부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전방 말단부(123a)까지의 길이(R1)는, 힌지부(130)로부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까지의 길이(L)보다 짧을 수 있다(L>R1). 이에 따라, 개폐부(120)는, 배너 걸이봉(200)의 가압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간 후에도, 배너 걸이봉(200)이 개방부(115)를 통해 거치부(114a)에 안착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원위치로(즉, 개방부(115)를 향해 전방으로) 되돌아 올 수 있다. 이는 힌지부(130)로부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전방 말단부(123a)까지의 길이(R1)가 힌지부(130)로부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까지의 길이(L)보다 짧으므로, 개폐부(120)가 원래 위치로 복귀할 때 배너 걸이봉(200)과 간섭하지 않기 때문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d portion located in front of the lower portion of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sid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end portion 123a,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the body. In the stat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of 110 , the length R1 from the hinge portion 130 to the front end portion 123a of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from the hinge portion 130 . It may be shorter than the length (L) to the top end (X) of the banner hanging bar 200 (L>R1). According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even after being pushed backward by the pressure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as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seated on the holder 114a through the opening 115, naturally,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ie, forward towards the opening 115 ). This means that the length (R1) from the hinge portion 130 to the front end portion 123a of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the length from the hinge portion 130 to the uppermost end (X)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 Since it is shorter than L), the opening/closing part 12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anner hanging rod 200 when it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면을 기준으로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하부의 뒤쪽에 위치하는 말단부를 후방 말단부(123b)라 할 때, 배너 걸이봉(200)이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힌지부(130)로부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후방 말단부(123b)까지의 길이(R2)는, 힌지부(130)로부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까지의 길이(L)보다 길 수 있다(R2>L). 이에 따라, 상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후방 말단부(123b)가 상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을 기준으로 배너 걸이봉(200)의 후단과 일정 부분 간섭하기 때문에, 상기 개폐부(120)가 원위치로 복귀한 다음 몸체(110)의 앞쪽으로 더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가 거치부(114a)에 거치된 배너 걸이봉(200)을 가압하면서 상기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부(114a) 내에서 헛돌거나 거치부(114a)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ar end portion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wer side of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is referred to as the rear end portion 123b,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the body In the state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4a of 110 , the length R2 from the hinge part 130 to the rear end part 123b of the side part 120b of the opening/closing part 120 is from the hinge part 130 . It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L) to the top end (X) of the banner hanging bar 200 (R2>L). Accordingly, the rear end portion 123b of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partially interferes with the rear end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with respect to the uppermost end (X)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from protruding further to the front of the body 110 after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In addition, while the side part 120b of the opening/closing part 120 presses the banner hanging rod 200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114a, the banner hanging rod 200 rotates idle in the mounting part 114a or the mounting part ( 114a) can also be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100)에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는 측면을 기준으로 후면(122)이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는 측면을 기준으로 후면(122)이 곡선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부(120b)의 후면(122)이 곡선 형상인 경우, 측면부(120b)의 무게중심이 뒤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개폐부(120)는 몸체 내측에 안착된 배너 걸이봉(200)을 보다 강한 힘으로 누를 수 있다. 또한, 개폐부(120)가 원위치로 돌아올 때, 몸체(110)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상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one-stop ban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have. Alternatively, as shown in (b) of FIG. 10 , the rear surface 122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20b of the opening/closing unit 120 may have a curved shape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When the rear surface 122 of the side portion 120b has a curved shap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ide portion 120b is located at the rear, the opening/closing portion 120 applies a stronger force to the banner hanging rod 200 seated inside the body. can be pressed with In addition, when the opening/closing unit 12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dy 110 from protruding forward as much as possible. However,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closing unit 120 may have various shape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스톱 배너 거치대(100)에서, 상기 몸체(110)의 후면(112)은 배너 거치대가 장착되는 지주(40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곡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로등 또는 가로수와 같은 지주(400)는 대부분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배너 거치대(100)의 후면(112)이 곡선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배너 거치대(100)를 지주(400)의 외주면에 보다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며, 배너 거치대(100)가 지주(400)에 장착된 채 외부환경에 의해 흔들리거나 움직이는 문제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 in the one-stop ban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urface 112 of the body 110 is a post 400 on which the banner holder is mounted. ) may include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general, most of the posts 400 such as street lamps or trees have a cylindrical shape. In consideration of this, when the rear surface 112 of the banner holder 100 includes a curved shape, the banner holder 1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post 400, and the banner holder 100 is a support ( 4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shaking or moving by the external environment as much as possible.

아울러, 상기 몸체(110)의 후면(112)은,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몸체의 후면(112)과 배너 거치대가 장착되는 지주(40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대되면서, 상기 후면(112)은 미끄러짐 없이 지주(400)에 보다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surface 112 of the body 110 may include a friction member 500 as shown in Fig. 12 (a), or a protrusion as shown in Fig. 12 (b). 600) may be included. As a result,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rear surface 112 of the body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st 400 on which the banner holder is mounted is increased, and the rear surface 112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post 400 without slipping.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너 거치대(100)에서, 몸체(110)는 내측 및/또는 외측에 깃발 등의 깃대를 수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깃대 수납부(1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통 행사나 공연이 있는 경우, 다양한 나라의 국기 또는 깃발 등을 길거리의 가로수나 가로등에 매달아 놓기도 한다. 이를 감안하여, 상기 본 발명의 배너 거치대(100)는 상기 깃대 수납부(150)를 구비함으로써 깃대를 꽂아 놓을 수 있는 수납함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깃대 수납부(150)는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s shown in FIG. 13 , in the ban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10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flagpole accommodating unit 150 capable of accommodating a flagpole such as a flag inside and/or outside. can do. Usually, when there is an event or performance, flags or flags of various countries are hung from trees or street lamps on the street. In consideration of this, the banner hol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function as a holder in which a flagpole can be inserted by having the flagpole receiving unit 150 . For example, the flagpole receiving part 15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only exemplar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will b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원스톱 배너 거치대
110 : 몸체
120 : 개폐부
120a : 전방부
120b : 측면부
130 : 힌지부
114a : 거치부
114b : 걸림부
100: One-Stop Banner Holder
110: body
120: opening and closing part
120a: front part
120b: side part
130: hinge part
114a: holding part
114b: locking part

Claims (8)

전면(111) 일부가 개방되는 개방부(115) 및 상기 개방부(115)로부터 양 측면을 따라 형성되며 배너 걸이봉(200)이 거치되는 거치부(114a)를 포함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의 개방부(115)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전방부(120a) 및 상기 전방부로부터 양 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0b)를 포함하는 개폐부(120); 및
상기 몸체(110) 및 개폐부(120)를 연결하는 힌지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120)는 상기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몸체(110)의 개방부(115)를 개폐하며,
배너 걸이봉(200)이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바닥면으로부터 힌지부(130)까지의 높이(H1)는 바닥면으로부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까지의 높이(H2)보다 큰
원스톱 배너 거치대.
a body 110 including an opening 115 in which a portion of the front 111 is opened and a mounting portion 114a formed along both sides from the opening 115 and o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mounted;
an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ncluding a front part 120a positioned adjacent to the opening part 115 of the body and side parts 120b extending to both sides from the front part; and
and a hinge part 130 connecting the body 11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opens and closes the opening part 115 of the body 110 by rotating about the hinge part 130,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of the body 110,
The height (H1)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hinge part 130 is greater than the height (H2)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top end (X)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One-stop banner stand.
제1항에 있어서,
배너 걸이봉(200)은 상기 개방부(115)를 통해 상기 개폐부(120)의 전방부(120a)를 가압하고, 상기 가압에 의해 상기 개폐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고, 이에 의해, 상기 배너 걸이봉(200)은 상기 거치부(114a)에 거치됨으로써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안착되는
원스톱 배너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anner hanging rod 200 presses the front part 120a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through the opening part 115,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rotates around the hinge part 130 by the pressing. Pushed into the rear, thereby,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10 by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One-stop banner stand.
제2항에 있어서,
배너 걸이봉(200)이 상기 몸체(110)의 내측에 안착된 다음, 상기 개폐부(120)는 힌지부(130)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원위치로 복귀하는
원스톱 배너 거치대.
3. The method of claim 2,
After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seated on the inside of the body 110,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rotated about the hinge part 130 and moved forward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One-stop banner sta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배너 걸이봉(200)이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힌지부(130)로부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전방 말단부(123a)까지의 길이(R1)는, 힌지부(130)로부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까지의 길이(L)보다 짧은
원스톱 배너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of the body 110,
The length (R1) from the hinge part 130 to the front end part 123a of the side part 120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0 is the length from the hinge part 130 to the uppermost end (X)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 L) shorter than
One-stop banner stand.
제1항에 있어서,
배너 걸이봉(200)이 몸체(110)의 거치부(114a)에 거치된 상태에서,
힌지부(130)로부터 개폐부(120)의 측면부(120b)의 후방 말단부(123b)까지의 길이(R2)는, 힌지부(130)로부터 배너 걸이봉(200)의 최상단(X)까지의 길이(L)보다 긴
원스톱 배너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In a state in which the banner hanging rod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114a of the body 110,
The length (R2) from the hinge portion 130 to the rear end portion 123b of the side portion 120b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0 is the length from the hinge portion 130 to the uppermost end (X) of the banner hanging rod 200 ( L) longer than
One-stop banner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는 내측 또는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깃대 수납부(150)를 포함하는
원스톱 배너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110 includes at least one flagpole receiving part 150 on the inside or outside.
One-stop banner st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의 후면(112)은 장착되는 지주(400)의 외주면과 대응하는 곡선 형상을 포함하는
원스톱 배너 거치대.
According to claim 1,
The rear surface 112 of the body 110 includes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st 400 to be mounted.
One-stop banner stand.
KR1020200046664A 2020-04-17 2020-04-17 Onestop banner stand KR1022647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64A KR102264787B1 (en) 2020-04-17 2020-04-17 Onestop banner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664A KR102264787B1 (en) 2020-04-17 2020-04-17 Onestop banner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787B1 true KR102264787B1 (en) 2021-06-15

Family

ID=7641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664A KR102264787B1 (en) 2020-04-17 2020-04-17 Onestop banner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78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341B1 (en) * 2023-02-25 2023-12-11 이향제 Hanging style bunting for pill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69B1 (en) * 2006-11-15 2007-10-09 장진호 Banner type flag holder
KR200440902Y1 (en) * 2007-09-10 2008-07-08 이영길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OF SlLDE DETACHING TYPE
KR20090006073U (en) * 2007-12-14 2009-06-18 이영길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of detaching type
KR200490242Y1 (en) * 2019-02-01 2019-10-16 김민장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669B1 (en) * 2006-11-15 2007-10-09 장진호 Banner type flag holder
KR200440902Y1 (en) * 2007-09-10 2008-07-08 이영길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OF SlLDE DETACHING TYPE
KR20090006073U (en) * 2007-12-14 2009-06-18 이영길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of detaching type
KR200490242Y1 (en) * 2019-02-01 2019-10-16 김민장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2341B1 (en) * 2023-02-25 2023-12-11 이향제 Hanging style bunting for pilla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4787B1 (en) Onestop banner stand
US7743954B2 (en) Retractable clothes hanger
US6256961B1 (en) Utility pole base construction
KR101967447B1 (en) Banner holding assembly
KR200490242Y1 (en) Hanger For Banner Displaying
CN212252271U (en) Mounting structure of different trompils of adaptation
KR20120007645U (en) Rotary hoist
KR101265223B1 (en) Lamp hook
KR102077199B1 (en) Pipe cover
CN215407831U (en) Municipal garden afforestation construction protector
KR20100016734A (en) A supporting assembly and a double vinyl house thereof
KR200303631Y1 (en) Attachable partition for desk
JP4417598B2 (en) Aerial cable holding device
KR102426113B1 (en) Flagpole holder
CN213174642U (en) Skirting line structure convenient to installation
KR200362653Y1 (en) A hanging screen billboard
CN219159904U (en) Folding bracket
CN210830761U (en) High temperature hose assembly convenient to concatenation
CN218390674U (en) Clothes support rod
KR20100012760U (en) A frame for advertising light panal which can open and close in the front side
CN113700102B (en) Non-ceramic breakage-proof upright post basin
KR200147200Y1 (en) Flagpole for advertisement
KR200211599Y1 (en) Banner rack bar swivel device.
KR20080099415A (en) A frame
KR101824927B1 (en) Hatch frame structure type adverti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