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566B1 -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 Google Patents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566B1
KR102264566B1 KR1020190047568A KR20190047568A KR102264566B1 KR 102264566 B1 KR102264566 B1 KR 102264566B1 KR 1020190047568 A KR1020190047568 A KR 1020190047568A KR 20190047568 A KR20190047568 A KR 20190047568A KR 102264566 B1 KR102264566 B1 KR 10226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valuation
usability
target device
evaluation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4108A (ko
Inventor
구윤서
오상하
공현중
유보람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충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7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56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4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05/00Evaluating, monitoring or diagnosing in the context of a particular type of medical ca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nomic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제공한다.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고,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고,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 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고,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Description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User compatibility evaluation method for medical device using Virtual Reality}
본 발명은 의료기기의 제품 제작 전에 의료기기가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설계 및 개발 되었는지를 평가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술도구, 진단기기, 판독기기나 환자의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의료 기기가 개발되는 과정에서, 새로 개발된 의료기기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대한 기능 검사,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한 안전 검사, 해당 의료기기를 사용할 사용자가 사용 방식을 잘 인식하고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및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등이 실시된다.
이 중 사용적합성 평가는 현재, 의료기기의 실물 샘플이 완성되면, 해당 의료기기가 사용될 임상 환경과 유사한 시험 환경에 설치된 뒤, 다양한 시나리오 하에 해당 의료기기를 의료인들이 사용하는 것에 의해 사용적합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의료기기가 수술 시에 사용되는 장비일 경우, 수술실과 유사한 수술환경에 의료기기를 설치하여 의료인이 사용해보도록 하고, 진단이나 판독에 사용되는 경우 진단이 이루어지는 진찰실 또는 판독이 이루어지는 모니터링 실 등의 환경을 마련한 뒤, 해당 환경에서 의료인이 사용해 본 뒤, 사용시 발생한 오류를 기재하여 그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의료기기 제품에 반영하여, 수정하는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된다. 이와 같은 평가의 한 예를 아래의 표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작업 참가자 상세내용
치과용 진료대에 기구 연결 SUBJECT 1 호스 모양이 비슷하여 핸드피스용 아울렛에 핸드피스 대신 다른 기구를 연결함. 이 후 핸드피스가 동작하지 않는 것을 보고 호스가 잘못 꽂힌 것을 확인 후 재 연결함
SUBJECT 2 출수 기구 연결 시 고정을 위한 고정핀을 제대로 꽂지 않음. 이 후 물이 새는 것을 발견 후 고정 핀을 잘못 꽂은 것을 인지하고 다시 연결함
진료대 및 기구 종료 SUBJECT 3 본체의 조명등 스위치를 전원스위치로 오인하여 한번 누름. 전원이 종료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조명등 버튼 임을 인지하고 전원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종료함.
SUBJECT 4
SUBJECT 5
치과용 진료대에 기구를 연결하여 진료 환경에서 사용되는 장비의 경우, 참가자 SUBJECT 1은 해당 장비를 사용하기 위해 핸드피스 및 타 기구들을 연결했으나, 핸드피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을 확인한 후 바로 인지하여 핸드피스 연결 튜브를 다시 제대로 연결한 것을 기재한 것이며, 다른 참가자 SUBJECT 2 역시 출수기를 연결했는데 고정 핀을 제대로 꽂지 않아서 물이 새는 것을 확인하고 재 연결한 것을 기재한 것이다. 실제 진료 환경에서 이러한 오연결이 이루어져 진료가 지연되거나 장비가 잘못 작동되면, 환자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기 때문에, 사용적합성 평가의 참가자에 의해 오연결이 자주 나타났다면, 진료대와 기구의 연결에 관한 안내 표시가 충분치 않은 것이므로, User Interface 가독성을 위한 수정이 제품의 sample에 가해져야 한다. 진료대 및 기구 종료 작업의 경우, 장비를 다 사용한 뒤 전원을 오프 시키기 위한 작업에서 전원 스위치를 눌러, 기기의 전원을 꺼야 하는 상황인데, 다수의 참가자(SUBJECT 3, SUBJECT 4, SUBJECT 5)가 조명등 스위치를 전원스위치로 오인하여 누르게 된 결과가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것의 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 역시 조명등 스위치가 전원스위치로 오인되지 않도록 하는 수정이 필요하게 되며, 이는 제품의 sample에 적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의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의 경우, 실물 sample을 제작한 후 평가의 수정사항을 반영해 재생산이 이루어져야 해서, 의료기기를 생산하는 기업의 시간적, 경제적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데에 따른 비용이 발생하며, 물리적으로 해당 환경 내에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해서 병원을 포함한 여러 기관에 걸쳐서 평가가 필요한 경우, 여러 기관에서 동시에 진행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적합성 평가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어지럼증을 갖고 있는 환자나 녹내장을 갖고 있는 환자가 사용하게 될 의료기기의 경우, 사용적합성 평가를 실시하는 의료인과 어지럼증 환자나 녹내장 환자의 주변 환경 인지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정확한 사용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지기 어려웠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894455호, 공고일자 2018년 09월 04일.
본 발명은, 의료기기가 실제 환경에서 적합하게 사용하도록 설계 및 제작되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물 sample을 제작하지 않은 채, 3차원 가상 현실 장치를 이용해 평가를 수행하고,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은,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와,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 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와,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평가 방법은,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사용될 상기 가상공간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방법은, 상기 가상공간이 사용자의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선택을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방법은,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환경 속성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을 상기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은 정상, 어지럼증, 녹내장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시되는 상기 결합 컨텐츠 내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때의 사용 순서에 관한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방법에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를 보면서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 정해진 방식과 상이하게 사용한 내용을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정해진 방식은 상기 평가 대상기기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주변기기와의 연결 방식, 상기 사용 시나리오 상에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의 요구되는 작업에 대해 눌러져야 하는 버튼의 3차원상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방법에서,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재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상기 주변 기기 및 상기 가상 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도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도출된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방법의 각 단계가 동일한 평가 대상기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외의 복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얻어진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한 뒤, 상기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및 상기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이고,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이고, 상기 결합 컨텐츠는 제 1 결합 컨텐츠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상이한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한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동일한 제 2 결합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상기 제 2 결합 컨텐츠를 동기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기화된 제 1 및 제 2 결합 가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더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실물 샘플(sample)을 제작한 후 평가의 수정사항을 반영해 재생산이 이루어질 필요 없이, 미리 평가를 수행하여, 기기 샘플 제작 전 수정 사항을 반영하여 후속 개발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기기를 생산하는 기업의 시간적, 경제적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실 사용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데에 따른 비용의 최소화가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장치, 및 시스템만 구비하면, 여러 주체가 신속하게 평가를 진행한 뒤, 그 결과를 취합하여 수정 필요 여부를 도출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정의 시청각적 증상을 갖고 있는 환자가 사용하게 될 의료기기의 평가에서도, 해당 환자의 증상을 고려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정확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의료기기가 사용될 임상 환경과 유사하게 마련된 시험 환경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마련된 가상 공간 컨텐츠 및 사용자가 가상 공간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한 양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특정 평가 대상 의료기기 및 이에 대응되는 주변 의료기기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특정 평가 대상 기기를 사용할 사용자의 환경 속성으로서 설정 가능한 일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택된 가상 공간 컨텐츠 및 가상 기기 컨텐츠들이 결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결합 컨텐츠 내에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된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 결합 컨텐츠에 사용자 환경 속성을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사용자의 동작이나 리액션을 센싱하여 사용자 입력으로서 획득하는 입력부(210), 가상(VR, Virtual Reality)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220), 제어부(230) 및 가상 현실 컨텐츠나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거나 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나 관성 센서 등의 사람의 동작 센싱부(도시안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을 센싱하여 사용자 입력으로서 획득한다. 또한,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시되며 가상 객체를 선택하도록 가상 컨텐츠를 지시하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조절패드 및 버튼과 같은 누름부(도시안됨)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가상의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것으로 미리 정의되어 있는 주변기기에 관한 가상 주변기기 컨텐츠(224), 평가 대상기기가 사용되어야 하는 사용 공간을 가상공간으로서 제작해놓은 가상공간 컨텐츠(226) 및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게 될 사용자 환경에 관한 사용자 환경 컨텐츠(22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 내의 컨텐츠는 3차원의 가상(VR) 영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는, 병원의 수술실이나, 판독실, 진단실 등에서 의료인에 의해 사용되는 의료기기에 관한 컨텐츠나, 어지럼증 환자나, 시야가 좁게 보이는 녹내장 환자 등의 생활 보조를 위해 환자의 생활 환경에서 사용되는 의료기기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료기기는 가정용 의료기기가 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가정용 의료기기로는 혈압계, 혈당계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평가 대상 의료기기는 1인에 의해 사용되는 의료기기나, 2인 이상의 역할 분담에 의해 각각 정해진 동작으로 사용되는 의료기기일 수 있다.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는 각 종류별로, 그에 대응되는 사용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시나리오는 의료기기의 제품이 제작될 때, 의료기기 사용을 위해 참조되는 사용자 매뉴얼의 내용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주변기기 컨텐츠(224)는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데에 필요한 전원 케이블, 네트워크 케이블, 어댑터 등에 관한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마다 사용에 필요한 주변기기 컨텐츠(224)가 미리 정의되어 맵핑되어 있을 수 있다.
가상공간 컨텐츠(226)는 수술실, 진단실, 판독실, 혹은 환자가 거주하는 일반적인 가정집 또는 환자가 생활하는 입원실 등을 가상공간으로 제작하여 둔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환경 속성(228)은 정상인의 시야 조건, 어지럼증 환자의 흔들리는 화면의 시야조건, 혹은 녹내장 환자와 같이 정상인 보다 보이는 시야범위가 좁은 시야조건에 관한 컨텐츠 속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컨텐츠 결합부(232) 및 평가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결합부(232)는 저장부(220) 내에 저장된 컨텐츠 중,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에 의해 선택된 평가대상 기기 컨텐츠와, 선택된 평가대상 기기 컨텐츠에 따라, 그에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 컨텐츠를 선택하여 로딩하고,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및 주변기기 컨텐츠가 사용될 환경에 해당하는 가상공간 컨텐츠를 선택하여 로딩한 뒤, 선택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주변기기 컨텐츠 및 가상공간 컨텐츠를 결합할 수 있다.
평가부(236)는 가상 결합 컨텐츠를 의료기기 평가 장치(예를 들면, 가상 현실 장치)의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시되는 사용 시나리오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이나 리액션을 기초로 입력부(210)에 의해 획득된 사용자 입력값을 수신하고, 미리 정해져 있는 올바른 사용에 관한 동작이나 리액션 값과 대비하여, 평가 대상 의료기기에 대해 사용자가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했는지에 관한 평가 결과를 도출한다. 올바른 방식으로 사용했는지에 관한 판단 기준의 일예로서, 진료대와 기구의 연결 위치 시비, 요구되는 작업(예를 들면, 조명등이 필요한 상황)을 위해 대응되는 적절한 버튼(조명등 버튼)이 눌러졌는지 등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진료대와 기구의 연결이 잘못 연결되었거나, 조명등 버튼이 눌러져야 하는 작업 상황에서, 전원오프 버튼이나, 경고음 버튼 등이 눌러진 경우, 평가부에서 어떤 작업 상황에서 어떤 오류를 사용자가 범했는지를 평가하여, 이를 저장부(220) 내에 저장해 둘 수 있다.
제어부(230)는 또한, 속성 반영부(234)나 동기화부(238)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속성 반영부(234)는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자 환경 속성(228) 내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대상 의료기기의 사용자의 상태가 선택되면, 선택된 속성을 사용자 환경 속성(228)으로부터 로딩하여 결합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특성으로서 반영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상태는 예를 들면, 정상, 어지럼증, 녹내장 중 하나일 수 있다. 정상이 선택된 경우에는, 컨텐츠 결합부(232)에 의해 제작된 가상 결합 컨텐츠의 속성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선택된 속성이 어지럼증인 경우에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의 화면에 어지럼증 증상 발병시에 환자에게 나타나는 잔상 증상, 예를 들면 잔상효과를 반영할 수 있다. 선택된 속성이 녹내장인 경우에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제시되는 가상 결합 컨텐츠의 적어도 일부의 시야 범위를 사용자가 볼 수 없도록 검정색으로 마킹하여 제시할 수 있다.
한편, 결합 컨텐츠에 반영될 사용자 환경 속성은, 사용자가 평가대상 의료기기를 선택하면, 속성 반영부(234)에 의해 평가대상 의료기기 의 종류에 의해 기정해져 있는 사용자 상태가 결정되어 반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어지럼증 환자의 생활 보조를 위한 평가대상 의료기기의 경우, 별도의 사용자 선택 없이도,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통해 제시되는 가상 결합 컨텐츠는 잔상 효과가 가미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동기화부(238)는 평가 대상 의료기기에 대해 적어도 2인의 사용자가 동시에 각자의 역할대로 동작시켜야 하는 경우, 제 1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서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와, 제 2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서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 간의 시간 및 공간에 따른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술시 심장에 전기 충격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장 충격기의 경우, 전극을 연결하여 홀딩한 채로 피수술자에게 부착하여야 하는 의사와, 기기의 출력 버튼을 눌러야 하는 간호사의 두명이 의료기기의 사용자로서 존재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어지는 의료기기가 사용적합성 평가 대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의사의 역할로서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제 1 사용자와 간호사의 역할로서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하는 제 2 사용자가 필요하고, 제 1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제 2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에 제시되는 3차원 영상의 동기화가 필수이므로, 결합 컨텐츠를 각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전이나, 제시한 직후 제 1 및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 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동기화가 이루어진 후에는,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센싱하여, 이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동일한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240)는 속성 반영부(234)에 의해 결정된 사용자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 영상으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HMD(Head Mounted Device) 타입의 가상 현실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저장부(220)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명령어 등이 저장될 수 있는 DB(database)나, Flash Ram이나, 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가상공간 컨텐츠,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주변기기 컨텐츠, 사용자 환경 속성, 사용 시나리오를 포함한 결합 컨텐츠, 사용자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결합 컨텐츠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마련된 가상 공간 컨텐츠(226) 및 가상 공간 컨텐츠(226)를 디스플레이하는 가상 현실 장치를 착용하고 있는 사용자(350)를 나타낸다.
사용자(350)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신체의 일부, 예를 들면 두부에 착용함으로써, 수술실에 관한 가상 공간(310), 진단실에 관한 가상공간(320), 입원실에 관한 가상공간(330), 환자의 거주공간에 관한 가상공간(340)등을 체험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가상 공간 컨텐츠(226) 내에서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객체의 움직임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 및 이에 대응되는 주변기기 컨텐츠(420)를 도시한다.
도 2의 저장부(2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 중 특정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대응되는 주변기기 컨텐츠(420)는, 저장부(22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주변기기 컨텐츠(224) 가운데, 선택된 특정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에 대응되는 주변기기 컨텐츠(420)가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특정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410)마다, 해당 평가 대상기기의 사용에 필요한 소정 주변기기 컨텐츠(420)가 미리 정의되어 맵핑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222) 및 주변기기 컨텐츠(224)는 추가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를 업데이트 하여 저장부(220) 내에 저장함으로써, 각 컨텐츠의 선택의 풀을 확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사용자의 환경으로서 설정 가능한 사용자 환경 속성(228)의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 환경 속성(228) 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환경 속성 그룹은, 정상 상태(510), 어지럼증 상태(520), 녹내장으로 인한 시야 좁음 상태(530)등 시각적, 청각적으로 영향을 받는 환자의 여러 가지 증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사용자 환경은 사용자가 입력부(210)를 통해 선택하여,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는, 평가 대상 의료기기마다, 해당 의료기기를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의 상태가 맵핑되어 있어, 평가 대상 의료기기가 선택되면, 해당 의료기기에 맵핑되어 있는 사용자 환경 속성이 자동으로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결합 컨텐츠 내에 사용 시나리오가 함께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650)가 좌측 그림과 같이, HMD 등의 가상 현실 장치를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장치로서 착용하면, 가상 공간 컨텐츠, 평가대상 기기 컨텐츠(630) 및 주변기기 컨텐츠(640)가 결합된 가상 결합 컨텐츠(610) 내에, 평가대상 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한 사용 시나리오(620)가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사용자는 사용 시나리오(620), “탁자 위의 장비를 찾으세요” 및 “선반 위의 전극을 장비와 연결하세요” 등의 메시지에 따라, 사용자가 탁자 측을 향하여 움직이면, 예를 들어 걸음을 걷거나, 몸을 기울이는 등의 이동 모션을 취하면, 가상 결합 컨텐츠(610)에 대한 사용자의 시야가 탁자 측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변경되어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에 근접하게 되면,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 상에 기재된 텍스트나, 로고, 마크 등이 식별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뻗어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를 집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사용자의 손에 대응되는 객체가 결합 컨텐츠(610) 내에 표시될 수 있다. 그 후, 사용 시나리오(620)에 따라, 사용자가 선반 측으로 이동하는 모션을 취하면, 사용자가 가상공간 내에서 주변기기 컨텐츠(640)에 근접하게 되고, 주변기기 컨텐츠(640)의 형태나, 그립부, 그 위에 새겨진, 텍스트나, 로고, 마크, 연결 안내 태그 등이 식별 가능할 정도로 확대되어 제시되고, 사용자는 자신의 손을 뻗어 주변기기 컨텐츠(640)를 집거나 이동시킬 수 있고,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630)에 연결 또는 결합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결합 컨텐츠에 사용자 환경 속성을 반영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도시한다.
좌측에 도시된 결합 컨텐츠(710)는 사용자 환경 속성으로서 정상이 선택된 경우이며, 우측에 도시된 결합 컨텐츠(720)는 사용자 환경 속성으로서 어지럼증이 선택된 경우이다. 결합 컨텐츠(720)와 같이, 어지럼증의 사용자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경우 정상인의 환경 속성이 반영된 결합 컨텐츠(710)에 비해 선명도가 떨어지고, 잔상 효과 등에 의해 시야가 흐릿하게 제공되며, 평가 대상기기나, 주변 대상기기 등 주변 사물에 대한 인지도가 떨어지도록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사용하여,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이 수행되는 순서도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를 착용하면, 해당 장치를 이용해 의료기기에 대해 사용적합성 평가가 가능한 복수의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영상이 사용자에게 제시된다. 이때, 컨텐츠 영상은 가상 현실 영상일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이들 중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한 특정 평가대상 기기를 선택하면(S80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선택된 평가대상 기기에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 컨텐츠를 로딩한다(S810). 이때, 사용자는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할 때, 3차원 가상(VR) 영상으로 제시되 있는 복수의 평가 대상기기 중 선택하고자 하는 기기를, 가상 디스플레이 내에서 손에 대응되는 객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평가 대상기기를 가리키는 커서와, 이를 이동시키는 조절패드 및 누름 버튼 등을 이용하여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한 평가 대상기기를 위치시킬 가상공간을 선택한다(S801). 가상공간은 사용자의 판단에 기초해 선택될 수 있고, 또한 평가 대상기기가 주로 사용되는 가상공간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선택한 평가 대상기기를 주로 사용하게 될 사용자가 정상인인지 시청각적으로 증상이 있는 환자인지를 고려하여, 사용자 환경 속성을 선택한다(S803). 이때, 평가 대상기기를 주로 사용할 사용자 타입이 미리 정의되어 있어,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에 의해 사용자 환경 속성이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200)는 선택된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맵핑된 관련 주변기기 컨텐츠, 선택된 가상공간을 결합하여 결합 컨텐츠를 생성하고, 해당 평가 대상기기의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를 위해 사용자가 따라야 하는 사용 시나리오를 결합 컨텐츠 내에 포함시켜서 결합 컨텐츠를 생성한 뒤,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한다(S820). 여기서, 사용 시나리오는 평가대상 기기의 타입이나 종류에 의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사용자 환경 속성이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에 반영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환경 속성으로서 어지럼증이 선택된 경우, 결합 컨텐츠의 화면에 잔상 효과를 부가하여, 정상인이 선택된 경우보다 선명도가 떨어지고, 시야의 가시거리가 더 짧거나, 객체 식별력이 떨어지는 화면이 제시될 수 있다.
제시된 결합 컨텐츠를 보면서, 사용자는 제시되는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이동하는 모션, 손으로 기기를 잡는 모션 등을 취하고, 가상 현실 장치(200)는 이를 센싱하여, 센싱된 사용자 움직임을 기초로, 평가대상 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S830). 이 때,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현재 제작된 가상의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에서 수정이 가해져야 하는 부분, 예를 들면, 출력 버튼의 사용자 식별력을 증가시킬 것 혹은 튜브의 삽입 플러그의 형태에 대한 변경이 필요한 것 등을 도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 결과를 출력하고 저장한다(S840). 이때, 평가 대상기기에 관해, 복수의 사용자에 의한 순차적이고 누적적인 평가가 필요한 경우, 저장된 평가결과를 다시 로딩하여, 다른 사용자에 대해 단계(S801, S802, S803, S810, S820, S830, S840)를 수행한 뒤, 수행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모두 저장하고, 저장된 결과 모두를 고려하여 적합 여부에 대한 최종 평가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순서도에서는 제시되지 않았지만, 평가 대상기기의 종류에 따라서 2인 이상이 각자의 역할을 따라 사용하게 되는 기기가 있을 수 있으며, 이 때는 제 1 사용자, 제 2 사용자가 각각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하고, 제 1 사용자 및 제 2 사용자 중 마스터 역할이 부여된 1인이, 단계(S801 내지 S803)을 수행하면, 단계 S820부터는 각 사용자에게 동일한 가상 결합 컨텐츠가 제공되어, 동일 가상 공간을 체험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적정한 평가를 위해서는, 제 1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제 2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에 제시되는 가상 영상의 동기화가 필수이므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전이나, 제시한 직후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 간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센싱하여, 이들의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가상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제 1 및 제 2 사용자의 움직임을 모두 고려하여,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은, 이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로딩되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
220: 저장부
222: 평가 대상기기 컨텐츠
224: 주변기기 컨텐츠
226: 가상공간 컨텐츠
228: 사용자 환경 속성
230: 제어부
232: 컨텐츠 결합부
234: 속성 반영부
236: 평가부
238: 동기화부
240: 디스플레이부
350, 650: 사용자
610, 710, 720: 가상 결합컨텐츠

Claims (14)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미리 정해져 있는 판단 기준 동작과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도출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도출된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고, 상기 방법의 각 단계가 동일한 평가 대상기기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외의 복수의 다른 사용자에 대해 수행된 뒤 얻어진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한 뒤, 상기 제 1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 및 상기 제 2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기초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선택되면, 상기 평가 대상기기가 사용될 상기 가상공간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은 사용자의 상기 가상공간에 대한 선택을 기초로 결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시되는 상기 결합 컨텐츠 내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때의 사용 순서에 관한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를 보면서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 정해진 방식과 상이하게 사용한 내용을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 상기 주변기기 및 상기 가상공간 중 적어도 하나는 업데이트가 가능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7.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 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미리 정해져 있는 판단 기준 동작과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기초로, 사용자 환경 속성을 결정하여,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을 상기 제시되는 결합 컨텐츠에 반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은 상기 평가 대상기기의 사용이 예상되는 사용자의 질병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환경 속성은 정상, 어지럼증, 녹내장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9.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때의 사용 순서에 관한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되며,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미리 정해져 있는 판단 기준 동작과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를 보면서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 정해진 방식과 상이하게 사용한 내용을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 정해진 방식은 상기 평가 대상기기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주변기기와의 연결 방식, 상기 사용 시나리오 상에서 상기 평가 대상기기의 요구되는 작업에 대해 눌러져야 하는 버튼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10.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할 때의 사용 순서에 관한 사용 시나리오가 포함되며,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미리 정해져 있는 판단 기준 동작과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상기 가상 컨텐츠를 보면서 상기 가상공간 내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 대상기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기 정해진 방식과 상이하게 사용한 내용을 상기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재수행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11. 삭제
  1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기 저장되어 있는 가상 컨텐츠 중에서 평가 대상기기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가상 컨텐츠 중에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와 맵핑되어 있는 주변기기를 로딩하는 단계;
    상기 평가 대상기기 및 상기 주변기기를 가상 공간에 결합한 결합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결합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 동작을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사용자 동작을 미리 정해져 있는 판단 기준 동작과 대비하여 상기 평가 대상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 대상기기는 적어도 둘 이상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기이고,
    상기 사용자는 제 1 사용자이고,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는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이고,
    상기 결합 컨텐츠는 제 1 결합 컨텐츠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와 상이한 제 2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장치를 착용한 제 2 사용자에게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동일한 제 2 결합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결합 컨텐츠와 상기 제 2 결합 컨텐츠를 동기화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단계에서, 상기 동기화된 제 1 및 제 2 결합 가상 컨텐츠에 대해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더 센싱하여 센싱된 상기 제 1 사용자 동작 및 상기 제 2 사용자 동작을 기초로 상기 평가 대상 기기에 관한 최종 사용적합성 평가 결과를 도출하는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4. 제 1 항 내지 제 10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47568A 2019-04-23 2019-04-23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KR10226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8A KR102264566B1 (ko) 2019-04-23 2019-04-23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568A KR102264566B1 (ko) 2019-04-23 2019-04-23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08A KR20200124108A (ko) 2020-11-02
KR102264566B1 true KR102264566B1 (ko) 2021-06-15

Family

ID=73397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568A KR102264566B1 (ko) 2019-04-23 2019-04-23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5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00B1 (ko) 2014-10-15 2016-02-0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99614B2 (ja) * 2000-11-14 2010-01-20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医用画像診断装置の撮影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KR20060086668A (ko) * 2005-01-27 2006-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Vr 환경에서 제품 평가를 수행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01617B1 (ko) * 2007-12-17 2010-12-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모바일 정보기기의 사용성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046197A (ko) * 2012-10-10 2014-04-18 주식회사 씨씨 동작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프로그램을 저장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894455B1 (ko) 2017-04-05 2018-09-04 부산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의학용 일반촬영 검사 가상현실 컨텐츠 제작-운용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1300B1 (ko) 2014-10-15 2016-02-0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전 기기의 인간 공학 적합성 평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의료기기 파트 의료기기의 - 2: 사용적합성 엔지니어링 적용에 관한 가이던스".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2017년 11월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4108A (ko) 2020-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655184B (zh) 用于放置手术端口的引导
US1043841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ixed reality medical training
US20220334787A1 (en) Customization of overlaid data and configuration
US11980429B2 (en) Tracking methods for image-guided surgery
US1035984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102515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stances from an object
US11297285B2 (en) Dental and medical loupe system for lighting control, streaming, and augmented reality assisted procedures
KR100998182B1 (ko) 수술용 로봇의 3차원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2070066A1 (en) Monitoring of user visual gaze to control which display system displays the primary information
CN101511296A (zh) 用于在患者身体上定位电极的系统和方法
EP4062419A1 (en) Reconfiguration of display sharing
WO2022070059A1 (en) Shared situational awareness of the device actuator activity to prioritize certain aspects of displayed information
US20170236273A1 (en) Remote image transmission system, display apparatus, and guide displaying method thereof
CN111248851A (zh) 一种视功能自测方法
CN109044263A (zh) 眼睛视线的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264566B1 (ko) Vr을 활용한 의료기기 사용적합성 평가 방법
US1151455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ntraocular image processing system
US9619023B2 (en) Terminal,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munication program
US10810758B2 (en) Method and system using augmentated reality for positioning of ECG electrodes
US20170027538A1 (en) Mobile data glasse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a medical network and medical staff using mobile data glasses
KR102407393B1 (ko) 편측무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00558A1 (en) Augmented reality surgery set-up for robotic surgical procedures
WO2021044523A1 (ja) 手術支援装置
WO2024058965A1 (en) Determination of a contour physical distance within a subject based on a deformable three-dimensional model
Wang et al. Master‐slave motion alignment for an open surgical cons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