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193B1 -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193B1
KR102264193B1 KR1020170033342A KR20170033342A KR102264193B1 KR 102264193 B1 KR102264193 B1 KR 102264193B1 KR 1020170033342 A KR1020170033342 A KR 1020170033342A KR 20170033342 A KR20170033342 A KR 20170033342A KR 102264193 B1 KR102264193 B1 KR 102264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network
emergency call
electronic device
server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5965A (ko
Inventor
이신덕
이현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3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193B1/ko
Priority to US16/492,223 priority patent/US10959080B2/en
Priority to PCT/KR2018/003124 priority patent/WO2018169364A1/ko
Priority to AU2018234352A priority patent/AU2018234352B2/en
Publication of KR20180105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5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들도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CALL, AND SERVER THEREFOR}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 및 부가 기능들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의 효용 가치를 높이고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 통신 서비스 제공자 또는 전자 장치 제조사들은 보다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다른 업체와의 차별화를 위해 전자 장치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전자 장치는 긴급 호가 가능한 네트워크 또는 긴급 호를 제공해주는 방법이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사용자가 위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상기 긴급 호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알려줘야 한다.
전자 장치가 긴급 호를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처리할지 또는 제2 통신 망(예: 2G/3G/4G 또는 LTE)을 통해 처리할지에 대한 결정은,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에 의해 미리 결정되었기 때문에, 전자 장치는 서버가 긴급 호를 지원하는지에 대해 알 수 없다. 또한, 제1 통신 망(예: VoWiFi)이 가능한 지역에서 제1 통신 망의 긴급 호 가능성을 전자 장치가 표시하지 못함으로써, 사용자는 긴급 호 가능 유무를 판단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가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 처리 유무를 인지할 수 있고, 이러한 긴급 호 처리 유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제공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버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등록이 실패되는 경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제공하는 서버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장치는 서로 다른 사업자게 제공하는 통신 망을 사용하여도 긴급 호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긴급 호 지원 여부에 대한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긴급 호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VoWiFi를 지원하는 IMS 서버의 긴급 호 처리 가능 여부를 전자 장치가 인지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서 전자 장치의 긴급 호 가능함을 인지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을 위한 내부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 지원이 가능함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 지원이 불가능함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문서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50), 디스플레이(160), 및 통신 인터페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0)는 구성요소들(110-170)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30)는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그램(140)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예를 들면, 커널(141), 미들웨어(143),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41), 미들웨어(143), 또는 API(145)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41)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41)은 미들웨어(143),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에서 전자 장치(10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43)는, 예를 들면, API(145)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이 커널(14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43)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47)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0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45)는 어플리케이션(147)이 커널(141) 또는 미들웨어(14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5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0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6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02),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70)는 무선 통신(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는 셀룰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은, 도 1의 구성요소 164로 예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62)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104), 또는 서버(106)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104), 또는 서버(106))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위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위급 상황을 감지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위치한 지역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6)로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제공하는(또는 상기 서버(106)가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 방식에서 제1 통신 망에 등록을 요청하는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101)의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망, 또는 상기 제2 통신 망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다른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망, 또는 상기 제2 통신 망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망, 또는 상기 제2 통신 망은 상기 서버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이다. 상기 제1 통신 망은 VoWiFi(voice over wireless fidelity)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망은 2G(2nd generation), 3G(3rd generation) 또는 4G(4th genera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의 전송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지원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하도록 상기 서버(10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등록 실패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서버(106)는 제2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서버(106)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분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120)는 서버(106)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긴급 호를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시도할지 또는 제2 통신 망으로 변경하여 시도할지를 나타내는 명령어가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하면, 제2 통신 망(예: 2G/3G/4G 또는 LTE)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유무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예: Emergency Call Only)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예: Emergency Call Only)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예: No Service)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예: No Service)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지원 가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불가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긴급 호의 지원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제2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긴급 호를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시도할지 또는 제2 통신 망으로 변경하여 시도할지를 나타내는 명령어가 기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망 및 상기 제2 통신 망은 동일한 통신 사업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 적어도 하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1 통신 망 및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망 각각은 VoWiFi(voice over wireless fidelity)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망은 2G(2nd generation), 3G(3rd generation) 또는 4G(4th genera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서버(106)는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적어도 하나의 컨텐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등록이 실패되는 경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요청한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등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이 실패되면,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이 긴급 호를 지원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이 지원 가능하면,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이용하도록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이 지원 불가능하면,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불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이용하지 못함을 알리도록, 상기 생성된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긴급 호 연결을 위한 내부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101)의 내부 블럭도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 셀룰러 프로세서(270), IPC(Inter Processor Communication)(260) 및 WiFi 모뎀(280)을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는 어플리케이션 계층(220),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230) 및 라이브러리 계층(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계층(220), 어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230) 및 라이브러리 계층(240)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계층(220)은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되는 영역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계층(220)은 IMS 응용 프로그램, 비 IMS 응용 프로그램 및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 가능한 응용 프로그램등이 구동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프레임 계층(230)은 어플리케이션 계층(220)과 라이브러리 계층(240)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라이브러리 계층(240)은 IMS 프로토콜 스택, 비디오 엔진 및 오디오 엔진을 포함하는 IMS 라이브러리(241), RIL(Radio Interface Layer)(250), TCP/IP(242), ePDG(Enhanced Packet Data Gateway) 클라이언트(243)와 같은 IMS 서비스를 제공하기 필요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라이브러리 계층(240)은 상술한 구성 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MS 라이브러리(241)는 IMS 프로토콜 스택(IMS Protocol stack) 및 IMS 응용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MS 프로토콜 스택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 RTP(Real Time Protocol), RTCP(RTP control protocol),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MSRP(Message Session Reply Protocol),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등과 같은 IMS 표준에 정의된 프로토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IMS 라이브러리 내의 비디오 엔진 및 오디오 엔진은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디오 엔진은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엔진은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필요한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TCP/IP(242)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로써 노드(또는 전자 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을 행하기 위해서 규정된 프로토콜 집합이다. 그리고, ePDG 클라이언트(243)는 WiFi 모뎀을 통해 제공되는 SIP 메시지 또는 음성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ePDG 클라이언트(243)의 위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 내에 국한되지 않고, 셀룰러 프로세서(270)에 포함될 수 있거나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RIL(Radio Interface Layer)(250)은 무선 단말을 위한 운용 시스템으로서, 예를 들면, 윈도우 모바일(Windows Mobile)의 셀코어 레이어(CellCore layer)와 셀룰러 프로세서 내의 무선 프로토콜 스택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IL(250)은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 음성 통신, 데이터 통신과 같은 통신처리 모듈과 AT 명령 또는 고유통신 프로토콜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IPC(260)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와 셀룰러 프로세서(270) 간의 인터페이스 경로로써,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210)와 셀룰러 프로세서(270)는 IPC(260)를 통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셀룰러 프로세서(270)는 2G, 3G, 4G 또는 LTE를 통해 음성 통화 또는 영상 통화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프로토콜 스택에 따라 외부 기지국(또는 서버)과의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룰러 프로세서(270)는 RF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물리계층(Physical layer), 프로토콜 집합(protocol stack) 등 다수 개의 서브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뎀 송수신기는 서로 다른 통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다수 개의 통신 서브 모듈들로 구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네트워크는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지만,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네트워크,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셀룰러 프로세서(270)는 인터넷 표준 프로토콜을 포함하는 TCP/IP, 음성신호를 처리하는 음성엔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셀룰러 프로세서(270)는 도시된 구성 요소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WiFi 모뎀(280)은 해당 통신 규약(예: IEEE 802.11)에 따라서 SIP 메시지 또는 음성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셀룰러 프로세서(270)는 CS(Circuit Switch)에 기반하여 음성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모듈(예: 셀룰러 프로세서)을 통해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하고, 긴급 호의 개시에 대응하여 기준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제2 통신 모듈(예: WiFi 모뎀)을 통해 상기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는 제2 통신 모듈(예: WiFi 모뎀)을 통해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하고, 긴급 호의 개시에 대응하여 기준 조건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대응하여 제1 통신 모듈(예: 셀룰러 프로세서)을 통해 상기 긴급 호 연결을 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의 프로세서(120)(예: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IMS 라이브러리(241)를 구동시켜, WiFi 모뎀(280)을 통해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가 WiFi 모뎀을 통해 제공될 때, 프로세서(120)는 TCP/IP및 ePDG 클라이언트를 구동할 수 있다.
긴급 호를 연결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셀룰러 프로세서(270)의 2G/3G/4G 프로토콜 스택을 통해 기지국과 시그널링하여 연결을 설정한 후, 긴급 통화 서비스를 위한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20)(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기준 조건을 설정(예: 타이머를 구동 또는 긴급 호 연결 개시 카운팅)하고 셀롤러 프로세서(270)가 긴급호 연결을 기준 조건을 만족하면 WiFi 모뎀(280)을 통해 긴급 서비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타이머가 만료되거나 또는 긴급 호 연결 개시 횟수가 미리 결정된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 WiFi 모뎀(280)을 통해 긴급 서비스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긴급통화 서비스의 경우, 프로세서(120)(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WiFi 모뎀(280)을 통해 긴급 세션을 수행할 수 있고, 셀룰러 프로세서(270)에 대한 긴급호를 종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긴급통화 서비스의 경우, 프로세서(120)(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WiFi 모뎀(280)을 통해 긴급 세션을 수행하고, 셀룰러 프로세서(270)에 대한 긴급 세션 설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0에서,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로부터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의 요청을 수신하여 전자 장치를 제1 통신 망에 등록시킬 수 있다.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되면, 전자 장치(101)는 상기 제1 통신 망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게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가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 방식들 중에서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전자 장치(101)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2에서, 서버(106)는 제1 통신 망에 전자 장치(101)의 등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를 제1 통신 망으로 등록할지 또는 등록하지 않을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제1 통신 망, 또는 상기 제2 통신 망 중 적어도 하나를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망, 또는 상기 제2 통신 망은 상기 서버가 상기 지역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 서비스이다. 상기 제1 통신 망은 VoWiFi(voice over wireless fidelity)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망은 2G(2nd generation), 3G(3rd generation) 또는 4G(4th genera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제1 통신 사업자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또는 제2 통신 사업자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4에서, 서버(106)는 제1 통신 망에 전자 장치(101)의 등록이 성공되는지 또는 실패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자신을 관리하는 통신 사업자 망에 가입된 전자 장치인지 또는 가입되지 않은 전자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자신을 관리하는 통신 사업자 망에 가입된 전자 장치이면 상기 전자 장치를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자신을 관리하는 통신 사업자 망에 가입되지 않은 전자 장치이면 상기 전자 장치를 등록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6에서, 서버(106)는 긴급 호 지원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106)에 대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지원 가능 여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하도록 상기 서버(10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등록 실패를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제1 통신 망을 관리하는 통신 사업자가 제공하는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하여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도록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6)는 등록 성공을 전자 장치로 알리고자 하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서버(106)의 상태를 나타내는 다양한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106)는 등록 실패 메시지를 전자 장치로 보내는 경우, 상기 응답 메시지에 제1 통신 망을 사용하지 못함을 의미하는 에러 메시지(예: 403 에러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제1 통신 망을 등록하지 않고,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처리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판단 결과, 제2 통신 망을 통해서도 긴급 호를 처리하지 못하는 경우, 메시지(예: No Service)를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의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를 '1'을 설정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응답 메시지의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를 '0'을 설정하여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가 '1'을 설정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상기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가 '0'을 설정된 메시지가 수신되면,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망은 VoWiFI 프로토콜에 기반한 통신 망이고, 상기 제2 통신 망은 2G/3G/4G 또는 LTE에 기반한 통신 망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18에서, 서버(106)는 상기 전자 장치(101)에게 제2 통신 망 지원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전자 장치가 제1 통신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등록되지 못하면, 제1 통신 사업자의 제2 통신 망을 상기 전자 장치에 지원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20에서, 서버(106)는 제2 통신 망 지원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6)는 제1 통신 사업자의 제2 통신 망이 상기 전자 장치에 지원 가능하면, 제2 통신 망 지원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101)로 전송되지 않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22에서, 서버(106)는 긴급 호 지원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통신 망에 등록되지 않으면, 상기 서버(106)는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106)는 상기 요청을 전송한 전자 장치(101)가 상기 서버(106)가 제공하는 통신 망을 서비스 받고 있는 장치인지 또는, 서비스를 받지 않는(예: 다른 통신 사업자의 서비스를 받음) 장치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록이 실패하는 경우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상기 서버(106)가 제공하는 통신 망에 가입되지 않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제1 통신 망에서 전자 장치(101)로 긴급 호 지원이 가능한지 또는 가능하지 않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24에서, 서버(106)는 긴급 호 지원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가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101)가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예: Emergency Call Only)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326에서, 서버(106)는 긴급 호 지원 불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가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예: No Servic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지원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0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106)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위급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위급 상황을 감지하여 전자 장치(101)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제1 통신 망에 등록이 성공되면,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장치(101)가 위치한 지역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6)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전자 장치(101)가 제공하는(또는 상기 서버(106)가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 방식에서 제1 통신 망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2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버(106)로부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지원 가능 정보가 포함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하도록 상기 서버(106)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4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가능 정보에 기반하여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응답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응답 메시지를 분석하여 상기 서버(106)에 대한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분석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6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버(106)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지원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등록이 실패되는 경우(또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등록이 실패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할 수 있다.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서버(106)는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18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지원이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한 긴급 호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 지원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서버(106)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이 가능한지 또는 불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20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지원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지원 불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가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예: No Service)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버(106)로부터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1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하면,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의 가능 유무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예: No Service)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예: No Service)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동작 422에서,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지원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긴급 호 지원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가 제1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전자 장치(101)가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도록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예: Emergency Call Only)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예: No Service)를 포함하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정보(예: No Service)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서버로부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전송된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응답 메시지에 상기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면,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하는 동작; 및 상기 전환된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지원 가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긴급 호의 지원 가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의 지원 불가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긴급 호의 지원 불가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수신된 제2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상기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 지원이 가능함을 표시한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긴급 호 지원이 불가능함을 표시한 예시도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버(106)로부터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상기 수신된 메시지에 상기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1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하면,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제2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의 가능 유무를 나타내는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분석하여 제2 사업자의 제2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 가능 여부를 디스플레이(16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의 디스플레이(160)는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기능들에 대한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60)의 일부 영역(예: 510)에 긴급 호 지원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버(106)로부터 수신된 긴급 호 지원 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60)의 일부 영역(예: 51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가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예: Emergency Call Only)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디스플레이(160)의 일부 영역(예: 520)에 긴급 호 지원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서버(106)로부터 수신된 긴급 호 지원의 불가능을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60)의 일부 영역(예: 520)에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6)는 전자 장치(101)가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예: VoWiFi)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이용한 긴급 호의 이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전자 장치(101)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01)(예: 프로세서(120))는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의 연결이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예: Emergency Call Only)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상기 서버(106)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에서 다른 사업자의 제1 통신 망의 지원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는 전자 장치(101)의 초기 화면(또는 바탕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구성된 유닛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로직, 논리 블록, 부품, 또는 회로 등의 용어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 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예: 메모리(130))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예: CD-ROM, DVD, 자기-광 매체 (예: 플롭티컬 디스크), 내장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101: 전자 장치 102: 제1 외부 전자 장치
106: 서버 110: 버스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50: 입출력 인터페이스 160: 디스플레이
170: 통신 인터페이스

Claims (21)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디스플레이;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긴급 호에 대한 지원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상기 긴급 호에 대한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긴급 호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이 실패됨을 나타내고, 상기 긴급 호에 대한 지원 여부에 대한 다른 정보가 포함된 다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긴급 호가 지원 가능함을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긴급 호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전자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정보가 포함된 상기 다른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전자 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망은 제1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긴급 호가 제2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1 통신 망에서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2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의해 지원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긴급 호의 지원 가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전자 장치.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 및 제2 통신 망에서 지원 불가능함에 응답하여, 상기 긴급 호의 지원 불가능에 대한 다른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전자 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를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시도할지 또는 상기 제1 통신 망을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한 후 시도할지를 나타내는 명령어가 기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제1 통신 망 및 상기 제2 통신 망은 동일한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전자 장치가 위치한 지역에 적어도 하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제1 통신 망은 VoWiFi(voice over wireless fidelity)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통신 망은 2G(2nd generation), 3G(3rd generation) 또는 4G(4th generatio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9. 전자 장치에서 긴급 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
    상기 전송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긴급 호에 대한 지원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상기 긴급 호에 대한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긴급 호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이 실패됨을 나타내고, 상기 긴급 호에 대한 지원 여부에 대한 다른 정보가 포함된 다른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긴급 호가 지원 가능함을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응답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긴급 호가 가능하다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가능하다는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정보가 포함된 상기 다른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제2 통신 망으로 전환하는 동작; 및
    상기 전환된 제2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망은 제1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상기 다른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응답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긴급 호가 제2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제1 통신 망에서 지원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망을 통해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긴급 호의 지원 가능 여부를 나타내고,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2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의해 지원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된 상기 메시지를 기반으로, 상기 긴급 호의 지원 가능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2 서비스 제공자의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4.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 및 제2 통신 망에서 지원 불가능함에 응답하여, 상기 긴급 호의 지원 불가능에 대한 다른 메시지를 표시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5. 삭제
  16. 서버에 있어서,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 및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제1 통신 망에 등록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망에 등록됨을 나타내고,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긴급 호에 대한 지원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요청에 포함된 상기 전자 장치의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요청한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등록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기반하여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긴급 호 이용 가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응답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통신 망에 대한 상기 전자 장치의 등록이 실패되면, 상기 긴급 호의 지원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서버.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가능하면, 상기 긴급 호의 지원 가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망을 통해 긴급 호를 시도하도록 상기 생성된 상기 다른 응답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1 통신 망에서 지원 불가능하면, 상기 긴급 호가 제2 통신 망에서 지원 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2 통신 망에서 지원 가능함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망을 통해 상기 긴급 호를 시도하도록, 상기 긴급 호가 상기 제2 통신 망에서 이용 가능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 회로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는 서버.
  21.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서버는 유선 통신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결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되는 서버.
KR1020170033342A 2017-03-16 2017-03-16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KR102264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42A KR102264193B1 (ko) 2017-03-16 2017-03-16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US16/492,223 US10959080B2 (en) 2017-03-16 2018-03-1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and server therefor
PCT/KR2018/003124 WO2018169364A1 (ko) 2017-03-16 2018-03-16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AU2018234352A AU2018234352B2 (en) 2017-03-16 2018-03-16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call, and server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3342A KR102264193B1 (ko) 2017-03-16 2017-03-16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65A KR20180105965A (ko) 2018-10-01
KR102264193B1 true KR102264193B1 (ko) 2021-06-14

Family

ID=63523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3342A KR102264193B1 (ko) 2017-03-16 2017-03-16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59080B2 (ko)
KR (1) KR102264193B1 (ko)
AU (1) AU2018234352B2 (ko)
WO (1) WO20181693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7892B2 (ja) * 2018-06-21 2021-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Ue及び通信制御方法
US10972893B1 (en) * 2020-02-06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vehicle to everything assisted next generation emergency ca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6805A (ja) * 2010-01-04 2013-05-13 ジーティーイ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発展型パケットシステム及びその緊急呼出のアタッチメント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8522B2 (en) * 2005-08-02 2019-01-08 Qualcomm Incorporated VoIP emergency call support
US9602552B2 (en) * 2008-06-02 2017-03-21 Blackberry Limited Coding and behavior when receiving an IMS emergency session indicator from authorized source
US8811935B2 (en) * 2010-01-12 2014-08-19 Blackberry Limited Emergency services in home cells system and method
WO2011098230A1 (en) * 2010-02-09 2011-08-18 T-Mobile International Austria Gmbh Method for indicating an emergency call availability to a mobile equipment (me),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WO2012140654A1 (en) * 2011-04-14 2012-10-18 Ben Shlush Avi Methods and systems for routing authentication and/or identification data of a cellular subscriber
US8849237B2 (en) 2011-05-11 2014-09-30 Qualcomm Incorporated Priority registration for in-vehicle emergency call service
KR20130020252A (ko) * 2011-08-19 2013-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 긴급 호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30064287A (ko) * 2011-12-08 2013-06-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 전화를 지원하는 와이파이 망에서 긴급 호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56408B1 (ko) 2013-03-21 2019-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50021446A (ko) * 2013-08-20 2015-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전화 번호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6000759A1 (en) * 2014-07-01 2016-01-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nodes for handling esm information
US10555252B2 (en) * 2015-04-03 2020-02-04 Provenance Asset Group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ation and selection of an evolved packet data gateway
KR20160120515A (ko) * 2015-04-08 2016-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긴급 호를 연결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JP6585188B2 (ja) * 2015-05-18 2019-10-02 インテル アイピ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ローミングシナリオにおいて、HPLMNが優先されるePDG選択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ES2954114T3 (es) * 2015-05-18 2023-11-20 Deutsche Telekom Ag Procedimiento para mejorar la gestión de llamadas de emergencia de un equipo de usuario que se conecta a un punto de acceso inalámbrico, mientras se inicia una llamada de emergencia, sistema para mejorar la gestión de llamadas de emergencia, red de comunicación móvil para mejorar la gestión de llamadas de emergencia, equipo de usuario, punto de acceso inalámbrico, programa y producto de programa informático
US10291662B2 (en) * 2015-08-26 2019-05-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obtaining operator network identification number of visited network
US10057927B2 (en) * 2016-05-16 2018-08-21 Apple Inc. Emergency services support for non-cellular wireless access
US10531268B2 (en) * 2016-11-17 2020-01-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a warning messag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GB2559231B (en) * 2016-11-24 2021-09-29 Reliance Jio Infocomm Ltd A system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n emergency call over a wireless LAN network
CN109819428B (zh) * 2017-11-20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处理业务的方法和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6805A (ja) * 2010-01-04 2013-05-13 ジーティーイー コーポレーション 発展型パケットシステム及びその緊急呼出のアタッチメント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5965A (ko) 2018-10-01
AU2018234352A1 (en) 2019-10-31
US20200015063A1 (en) 2020-01-09
AU2018234352B2 (en) 2022-05-19
WO2018169364A1 (ko) 2018-09-20
US10959080B2 (en)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57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ata in edge computing system
US10440091B2 (en) Communic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EP3091721B1 (en) Ims based call transfer between devices of the same subscriber
KR102035405B1 (ko) 지오-펜스 인가 프로비저닝
US20160191621A1 (en) Method of shar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637871B2 (en) Location-based authentication
KR102256642B1 (ko) 메시지 송수신 장치 및 메시지 송수신 방법
EP278769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ferring web real-time communication session
US201702649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contents
US20140244715A1 (en) Interaction between devices displaying application status information
US9525667B2 (en) Method and system for roaming website account and password
KR102462427B1 (ko) 메시지 통합 관리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US11956239B2 (en) Identity misconfiguration detection for role-based access control
KR20160123652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운영 방법
KR102264193B1 (ko) 긴급 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서버
CN111371676A (zh) 一种客服功能接入方法和相关装置
JP6301936B2 (ja) 位置に基づく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キ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763082B2 (en) Optimizing setup for wireless devices
KR20180116715A (ko) 통화 대기 설정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150126197A1 (en)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controlling sms in communication system
EP3677067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device for joint transmission thereof
US20150326641A1 (en) Mobile to mobile remote control
US20210021674A1 (en) Connection Management Service
EP3099036B1 (en) Method for reproducing call hold tone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KR20160120515A (ko) 긴급 호를 연결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