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872B1 -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872B1
KR102263872B1 KR1020200052270A KR20200052270A KR102263872B1 KR 102263872 B1 KR102263872 B1 KR 102263872B1 KR 1020200052270 A KR1020200052270 A KR 1020200052270A KR 20200052270 A KR20200052270 A KR 20200052270A KR 102263872 B1 KR102263872 B1 KR 10226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design
driver
visibilit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2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옐로나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옐로나이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옐로나이프
Priority to KR1020200052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872B1/ko
Priority to US17/234,082 priority patent/US1133868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13Virtual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9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information is handled, e.g. showing information on plural displays or prioriti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driv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 B60K35/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instruments for controlling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1Instrument graphical user interfaces or menu asp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49Instrument input by detecting viewing direc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8Information management
    • B60K2360/186Displaying information according to releva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21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using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41Instruments adapted for user detection
    • B60K2370/11
    • B60K2370/152
    • B60K2370/186
    • B60K2370/21
    • B60K2370/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차량 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하는 눈 위치 검출부, 검출된 눈 위치, 차량 내 클러스터의 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기초로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결정하는 시인성 영역 결정부, 결정된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연관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 및 검색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중 운전자가 선택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차량 내 클러스터에 적용하는 클러스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에 관련된다.

Description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CLUSTER UI DESIGN USING POSITION OF DESIGN ELEMENTS}
실시예들은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들은 각 운전자마다 상이한 시인성 영역을 확인하고 이에 적절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추천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차량의 클러스터는 주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예컨대 클러스터는 속도, 엔진 RPM, 연료의 잔량, 냉각수 온도, 브레이크액, 워셔액 등의 상태를 나타낸다. 최근에는 이러한 클러스터가 아날로그 형태에서 디지털로 전환되고 있으며, 디지털 전환에 따라 더 많은 정보가 클러스터에 표시되어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크러나 클러스터 화면과 운전자 사이에는 스티어링휠이 위치하게 되어 클러스터 화면의 일부가 스트어링휠에의해 가려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은 시트나 스티어링 휠의 위치를 조절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운전자의 자세를 변화시켜 운전자에게 피로감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운전자마다 자신의 취향에 맞는 클러스터 디자인을 필요로할 수 있는데 다양한 클러스터 디자인을 임의로 적용하게 되면 운전자의 시인성 영역에 중요한 정보가 배치되어 운전자가 이를 확인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운전자의 시인성 영역에 적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9-0050227호
본 명세서는 클러스터 화면의 일부가 스티어링휠에 의해 가려져 운전자가 볼수 없는 영역이 아닌 볼 수 있는 시인성 영역에 최대한 클러스터 디자인 UI 표시요소가 배치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시인성 영역에 표시될 클러스터 디자인 표시 요소의 종류나 기능을 고려해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시인성 영역과 클러스터 UI 디자인 표시요소의 영역을 비교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나 중첩되는 영역에 포함된 표시요소의 성질을 기초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클러스터 화면의 영역을 단안 시인성 영역과 양안 시인성 영역으로 구분하거나, 좌안과 우안의 시력을 이용하여 상술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는 차량 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하는 눈 위치 검출부, 검출된 눈 위치, 차량 내 클러스터의 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기초로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결정하는 시인성 영역 결정부, 결정된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연관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 및 검색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중 운전자가 선택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차량 내 클러스터에 적용하는 클러스터 관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가공하는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에 포함된 표시정보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표시정보의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클러스터 내 표시정보 분포 맵을 생성하고, 상기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는, 생성된 표시정보 분포맵과 상기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비교하여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는, 각 표시정보의 중요도를 반영하여 상기 표시정보 분포 맵을 생성하되, 상기 표시정보의 중요도는 표시정보가 나타내는 기능이 안전에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는, 상기 표시정보 분포맵과 시인성 영역의 형태의 유사성과 상기 표시정보의 중요도를 기초로 클러스터 UI 디자인의 연관도를 판단하고, 상기 클러스터 관리부는, 상기 연관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내 클러스터 UI 디자인들 중 일부를 나열하여 운전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눈 위치 검출부는,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의 눈 위치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시인성 영역 결정부는, 상기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양안 시인성 영역과 단안 시인성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는, 상기 표시정보 분포맵과 시인성 영역의 형태의 유사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UI 디자인의 연관도를 판단하되, 상기 단안 시인성 영역은 유사성 판단시 양안 시인성 영역보다 가중치를 낮게 판단하고, 상기 클러스터 관리부는, 상기 연관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내 클러스터 UI 디자인들 중 일부를 나열하여 운전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며, 상기 방법은, 차량 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눈 위치, 차량 내 클러스터의 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기초로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연관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중 운전자가 선택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차량 내 클러스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스터 화면의 일부가 스티어링휠에 의해 가려져 운전자가 볼수 없는 영역이 아닌 볼 수 있는 시인성 영역에 최대한 클러스터 디자인 UI 표시요소가 배치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인성 영역에 표시될 클러스터 디자인 표시 요소의 종류나 기능을 고려해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인성 영역과 클러스터 UI 디자인 표시요소의 영역을 비교하여 중첩되는 영역의 넓이나 중첩되는 영역에 포함된 표시요소의 성질을 기초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러스터 화면의 영역을 단안 시인성 영역과 양안 시인성 영역으로 구분하거나, 좌안과 우안의 시력을 이용하여 상술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추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발명의 효과는 위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아래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내용들로 확장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UI 디자인 요소를 관리하는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 오로라 시스템TM)의 동작환경을 나타낸다.
도 2는 차량 내 운전자와 스티어링휠(St) 그리고 클러스터(1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위치 및 자세의 스티어링휠에의해 가려지는 클러스터(10) 상의 시인성 영역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디자이너들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51,52,53,54)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운전자에게 제공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을 나타낸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150)에의해 각 클러스터 UI 디자인에 대하여 생성된 표시정보 분포맵(71,71’,72,72’)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가 시인성 영역과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비교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안 및 양안 시인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UI 디자인 요소를 관리하는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 오로라 시스템TM)의 동작환경을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은 복수의 디자이너들(D)로부터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을 수신할 수 있다.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은 자동차 클러스터(vh)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하 클러스터 UI 디자인) 및/또는 이에 대응되는 사용자 장치(M, 예컨대 스마트폰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이하 스마트폰 UI 디자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클러스터 UI 디자인과 스마트폰 UI 디자인은 복수개의 표시정보(디자인 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정보들은 동적으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표시정보들은 사용자 인터렉션을 통해 변화될 수 있다. 예컨대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구성하는 표시정보는 임의의 미적인 이미지이거나 특정 기능을 표시하는 기능표시 이미지일 수 있다. 기능표시 이미지는 자동차 속도계, RPM, 유량, 냉각수, 차문열림, 날씨, 네비게이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디자이너가 제작한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은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에서 제공하는 웹 또는 앱을 통해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에 수신되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은 이러한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을 웹 또는 앱을 통해서 사용자 장치 또는 차량용 시스템에(직접 또는 사용자 장치를 경유해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공된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은 디자이너 또는 디자인 관리 시스템에 의해 수정되거나 보완될 수 있으며,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다양한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제공되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을 선택하여 자신의 스마트폰 또는 클러스터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클러스터 화면과 운전자 사이에는 스티어링휠이 존재하여 운전자의 시야가 일부 가려지는 문제가 있으며,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이 제공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스티어링휠에의해 가려지는 표시정보의 상태나 종류를 예측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도 2는 차량 내 운전자와 스티어링휠(St) 그리고 클러스터(10)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운전자의 시야는 스티어링휠에 가려져 P1이 아닌 P2 시선 경로에 의한 부분만 보여지는 문제가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은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의 블록도이다.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100)는 상술한 디자인 관리 시스템(1000, 즉 차량과 별도의 외부 서버)에 포함되거나, 차량내 제어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100)는 눈 위치 결정부(110), 시인성 영역 결정부(120),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 클러스터 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15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160, DB)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160)는 상술한 클러스터 관련 디자인 및 이에 대한 업데이트 사항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장치(1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장치(100)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눈 위치 검출부(110)는 차량 내 카메라(c, 도 2 참조)를 통해 촬영된 얼굴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카메라(c)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외부 화상을 디지털화하는 임의의 이미지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카메라(c)는 CCD 카메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카메라(c)는 모노, 스테레오 카메라일 수 있으며, 운전자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에 장착될 수 있다.
눈 위치 검출부(110)는 카메라의 차량 내 위치,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이용해서 차량 내 운전자의 눈의 3차원 상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눈 위치 검출부(110)는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의 눈 위치를 각각 검출할 수도 있다.
시인성 영역 결정부(120)는 검출된 눈 위치, 차량 내 클러스터의 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기초로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 및 비시인성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인성 영역 결정부(120)는 클러스터의 형태(화면의 형태)와 스티어링휠의 형태를 더 이용해서 시인성 영역과 비시인성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클러스터의 형태, 스티어링 휠의 형태와 위치등에 대한 정보는 차량 내 센서 또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위치 및 자세의 스티어링휠에의해 가려지는 클러스터(10) 상의 시인성 영역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이하 도 4)를 참조하면 스티어링휠에의해 가려지는 위치와 방향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시인성 영역이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좌측은 클러스터 상의 비시인성 영역(s)과 가려지지 않는 시인성 영역(v)을 나타내고, 우측은 해당 각도에서 시인성 영역(v1~ v4)을 어둡게 표시한 시인성 영역 맵(pv1 ~ pv4)을 나타낸다. 예컨대 시인성 영역 맵(pv1)은 서로 이격된 3 개의 시인성 영역 v1으로 구성되며, 시인성 영역 맵 (pv2)는 1개, 시인성 영역 맵(pv3)는 4개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즉 운전자의 상반신 높이나 시트의 기울기, 스티어링휠의 위치등에 따라서 운전자마다 클러스터 상의 시인성 영역의 형태가 매우 다양해짐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디자이너들로부터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51,52,53,54)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디자이너들은 자신의 스타일에 따라서 클러스터 UI 디자인에 표시할 표시요소들(511,512,513,514? 521,522,523,524? 531,532,533? 541, 542, 543?)을 선택하고 디자인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클러스터 UI 디자인은 안전벨트 표시요소(515,526,545)가 포함되나 어느 클러스터 UI는 이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술한 안전벨트 표시요소의 표시여부(클러스터 UI 디자인에 포함여부)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법에서 정한 항시 표시요소인 경우 법에 따라 표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 표시요소들은 기능 또는 중요도에 따라서, 필수기능 표시요소, 부가기능 표시요소, 디자인 표시요소로 구분될 수 있다. 필수기능 표시요소는 안전에 관련된 것으로서, 안전벨트 표시요소(515), 배터리 표시요소(525,541)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부가기능 표시요소는 안전에 필수적이지 않지만 운전자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날씨 표시요소(513), 속도계 표시요소(511), 이메일 표시요소(5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자인 표시요소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고 미적인 목적으로만 구성된 표시요소로서, 도 5에서 516, 531, 522, 544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필수적, 부가적의 의미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에의해 그 기준이 정해질 수 있는 것으로서 특정한 규칙에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은 결정된 시인성 영역의 형태(또는 시인성 영역 맵)와 연관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할 수 있다. 그 후, 클러스터 관리부(140)는 검색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중 운전자가 선택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차량 내 클러스터에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운전자에게 제공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관리부(140)는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가 운전자의 시인성 영역 형태(시인성 영역 맵)을 확인하고 이에 대응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후보군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제공하면 이를 클러스터(10)에 표시하고 운전자에게 선택을 요청(60)할 수 있다. 운전자는 제공된 후보군 클러스터 UI 디자인들(61,62)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개를 선택(직접 선택 또는 추천 순위 중 최상위 것으로 자동선택 또는 순차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수많은 클러스터 UI 디자인들 중에서 시인성 영역맵을 기초로 운전자에게 적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서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150)는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가공할 수 있다. 예컨대,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15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에 포함된 표시정보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표시정보의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클러스터 내 표시정보 분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그 후,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는, 생성된 표시정보 분포맵과 상기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비교하여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150)에의해 각 클러스터 UI 디자인에 대하여 생성된 표시정보 분포맵(71,71',72,72')을 나타낸다.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150)는 클러스터 UI 디자인(51, 52)에 포함된 각 표시요소들의 위치, 형태 및 크기를 기초로 각 표시요소들이 차지하는 영역에 관련된 표시요소 분포맵(71,72)를 생성할 수 있다. 각 표시요소 분포맵(71,72)는 각 표시요소들을 커버하는 커버영역(711, 712, 713)(721,722,723,7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에 의한 커버영역의 생성은 개별 표시요소별로 이루어지거나(도 7b의 71', 72'), 인접한 표시요소들끼리는 통합되어 이루질(도 7a의 711, 713,723)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에 의한 커버영역의 생성은 표시요소들의 기능(상술한 필수기능, 부가기능, 디자인기능)을 기초로 그루핑될 수도 있으나 이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7a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UI 디자인 (51)에 대하여 속도계 표시요소와 RPM계 표시요소는 하나로 그루핑되어 커버영역(7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러스터 UI 디자인(52)에 대하여 속도계 표시요소와 디자인 표시요소가 각각의 커버영역(721, 722)으로 그루핑됨을 알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클러스터 UI 디자인(51)의 표시요소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커버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각 커버영역은 각 커버영역이 포함하는 표시요소의 종류에 따라서 다른 커버영역과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영역(713c)는 안전벨트 표시요소를 커버하는 영역으로서 필수기능 요소로 구분되어 다른 커버영역(713a, 713b) 보다 중요도를 높게 평가하여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시 이용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커버영역(712)는 미적인 디자인만을 포함하고 있어 이 또한 다른 커버영역(713a, 713b) 보다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여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시 이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가 시인성 영역과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비교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일 예에서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는(130)는 생성된 표시정보 분포맵(71,72)과 시인성 영역의 형태(v4)를 비교하여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는 현재 운전자에 대한 시인성 영역의 형태(v4)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들의 표시요소 분포맵(71, 72)과 비교하여 매칭되는 비율에 따라서 유사도를 산출하고 유사도를 기초로 검색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참고로 표시요소 분포맵(71)은 복수의 커버영역(711,712,713)으로 구성된 것이고, 표시요소 분포맵(72)는 복수의 커버영역(721,722,723,724)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각 커버영역은 소정의 기준에 의해 생성된 것으로서 더 세분화되거나 더 포괄적으로 표시요소들이 그루핑되면서 각 커버영역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8을 더 참조하면,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는 현재 운전자에 대한 시인성 영역의 형태(v4)를 표시요소 분포맵(71,72)에 각각 오버랩하여 중첩되는 범위를 기초로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클러스터 UI 디자인 과의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위 유사도는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오버랩되는 커버영역의 면적이나 커버영역 내 표시요소의 종류(필수기능, 부가기능, 디자인 등)을 기초로 산출될 수 있다. 도 8에서 표시요소 분포맵(71)은 커버영역(712)의 일 부분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부분이 시인성 영역의 형태(v4)에 포함되나, 표시요소 분포맵(72)는 커버영역(723)이 시인성 영역의 형태(v4)에 포함되지 않으며 커버영역(724)의 일부 또한 포함되지 않고 있다. 이 경우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는 시인성 영역의 형태(v4)에 포함되는 각 커버영역의 합을 비교하여 유사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술한 시인성 영역의 형태(v4)에 포함되는 커버영역의 합이 표시요소 분포맵(71)의 경우 100이고, 표시요소 분포맵(72)의 경우 92라면,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는 표시요소 분포맵(71)에 대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우선하여 검색결과로 도출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커버영역(723)에는 표시요소가 3개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커버영역(723)에 포함되는 표시요소는 전조등 표시요소(523), 이메일 표시요소(524) 및 배터리 표시요소(525)이다. 이 중에서 전조등 표시요소(523)와 배터리 표시요소(525)는 안전에 관련된 필수기능 표시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가 커버영역에 포함되는 표시요소의 중요도 또는 기능을 더 이용해서 시인성 영역의 형태에 대응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검색하는 경우 도 8에서 표시요소 분포맵(723)은 필수기능 표시요소를 2개나 포함함에도 시인성 영역의 형태(v4)와 오버랩되지 않으므로(즉 운전자에게 보이지 않는 부분에 위치하므로) 표시요소 분포맵(72)에 대한 클러스터 UI 디자인(52)는 클러스터 UI 디자인 (51) 보다 낮은 유사도를 가지게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단안 및 양안 시인성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양안으로 인식되는 양안 시인성 영역(V9)과 운전자의 우안(오른쪽 눈) 또는 좌안(왼쪽 눈)에서만 인식되는 단안 시인성 영역(V91)이 나타난다.
일 실시예에서 눈 위치 검출부(110)는,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의 눈 위치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그 후 시인성 영역 결정부(120)는, 상기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양안 시인성 영역과 단안 시인성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후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130)는, 표시정보 분포맵과 시인성 영역의 형태의 유사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UI 디자인의 연관도를 판단할 때, 단안 시인성 영역은 유사성 판단시 양안 시인성 영역보다 가중치를 낮게 적용해서 연관도를 판단할 수 있다. 단안 시인성 영역은 양안 시인성 영역에 비하여 운전자에게 명확히 인식되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단안 시인성 영역에 표시정보가 밀집될 경우 운전자가 보지 못하는 정보의 양이 늘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특정 시인성 영역이 제1 클러스터 UI 디자인과 제2 클러스터 UI 디자인과 각각 면적 100만큼 중첩된다고 가정했을 때, 제1 클러스터 UI 디자인과는 단안시인성 영역의 중첩범위가 20을 차지하고(양안 시인성 영역의 중첩 범위는 80), 제2 클러스터 UI 디자인과는 단안 시인성 영역의 중첩범위가 30을 차지(양안 시인성 영역의 중첩 범위는 70)하는 경우, 제1 클러스터 UI 디자인이 제2 클러스터 UI 디자인 보다 높은 연관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에 더 나아가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의 시력정보를 더 이용해서 시인성 영역과 클러스터 UI 디자인과의 연관도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좌안이 우안보다 높은 시력을 가진 경우, 좌안 시인성 영역을 우안 시인성 영역에 비하여 높은 중요도 또는 유사도를 가지도록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은 상술한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100)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은 차량 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눈 위치, 차량 내 클러스터의 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기초로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연관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중 운전자가 선택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차량 내 클러스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은 상술한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의 각 구성요소들에 의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술한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차량 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하는 눈 위치 검출부;
    검출된 눈 위치, 차량 내 클러스터의 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기초로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결정하는 시인성 영역 결정부;
    결정된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연관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 및
    검색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중 운전자가 선택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차량 내 클러스터에 적용하는 클러스터 관리부를 포함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가공하는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에 포함된 표시정보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표시정보의 위치정보를 이용해서 클러스터 내 표시정보 분포 맵을 생성하고,
    상기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는,
    생성된 표시정보 분포맵과 상기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비교하여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자인 데이터 가공부는,
    각 표시정보의 중요도를 반영하여 상기 표시정보 분포 맵을 생성하되,
    상기 표시정보의 중요도는 표시정보가 나타내는 기능이 안전에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기초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는,
    상기 표시정보 분포맵과 시인성 영역의 형태의 유사성과 상기 표시정보의 중요도를 기초로 클러스터 UI 디자인의 연관도를 판단하고,
    상기 클러스터 관리부는,
    상기 연관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내 클러스터 UI 디자인들 중 일부를 나열하여 운전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눈 위치 검출부는,
    운전자의 좌안과 우안의 눈 위치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시인성 영역 결정부는,
    상기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양안 시인성 영역과 단안 시인성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UI 디자인 검색부는,
    상기 표시정보 분포맵과 시인성 영역의 형태의 유사성을 기초로 클러스터 UI 디자인의 연관도를 판단하되, 상기 단안 시인성 영역은 유사성 판단시 양안 시인성 영역보다 가중치를 낮게 판단하고,
    상기 클러스터 관리부는,
    상기 연관도를 기초로 데이터베이스 내 클러스터 UI 디자인들 중 일부를 나열하여 운전자에게 추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7.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차량 내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으로부터 운전자의 눈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검출된 눈 위치, 차량 내 클러스터의 위치 및 스티어링휠의 위치를 기초로 클러스터 내 시인성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시인성 영역의 형태와 연관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는 단계; 및
    검색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운전자에게 추천하고, 추천된 클러스터 UI 디자인 중 운전자가 선택한 클러스터 UI 디자인을 차량 내 클러스터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방법.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7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00052270A 2020-04-29 2020-04-29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263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70A KR102263872B1 (ko) 2020-04-29 2020-04-29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
US17/234,082 US11338682B2 (en) 2020-04-29 2021-04-19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mmending cluster UI design using distribution of design elem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2270A KR102263872B1 (ko) 2020-04-29 2020-04-29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872B1 true KR102263872B1 (ko) 2021-06-11

Family

ID=76376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2270A KR102263872B1 (ko) 2020-04-29 2020-04-29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38682B2 (ko)
KR (1) KR1022638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408A (ja) * 2003-08-25 2005-03-17 Mazda Motor Corp 車両情報表示のカスタマイズシステム
KR20110103670A (ko) * 2010-03-15 2011-09-21 (주)카이티 선택형 차량 계기판의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선택형 차량 계기판
KR20160021509A (ko) * 2014-08-18 2016-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38634B1 (ko) * 2017-09-25 2019-01-1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운전자 맞춤형 차량정보 표시매체 배열위치 운영장치
KR20190050227A (ko) 2017-11-02 2019-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36167A (ko) * 2018-09-28 2020-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81182B2 (ja) * 2012-03-22 2016-08-31 株式会社デンソーアイティーラボラトリ 表示制御装置
US9463694B1 (en) * 2015-05-06 2016-10-11 Ford Global Techologies, Llc Vehicle instrument cluster
US20170162168A1 (en) * 2015-12-02 2017-06-0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daptive instrument cluster
CN111751994B (zh) * 2019-08-02 2022-11-15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以及车辆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7408A (ja) * 2003-08-25 2005-03-17 Mazda Motor Corp 車両情報表示のカスタマイズシステム
KR20110103670A (ko) * 2010-03-15 2011-09-21 (주)카이티 선택형 차량 계기판의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선택형 차량 계기판
KR20160021509A (ko) * 2014-08-18 2016-02-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38634B1 (ko) * 2017-09-25 2019-01-15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운전자 맞춤형 차량정보 표시매체 배열위치 운영장치
KR20190050227A (ko) 2017-11-02 2019-05-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자세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00036167A (ko) * 2018-09-28 2020-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38682B2 (en) 2022-05-24
US20210339630A1 (en)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2665B2 (en) Eye vergence detection on a display
CN108369482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KR20140034252A (ko)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를 위한 tfov 분류 기법
CN108885497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5236423B2 (ja) 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193977A1 (en) Self-Describing Three-Dimensional (3D) Object Recognition and Control Descriptors for Augmented Reality Interfaces
US201900645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8885856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程序
US10782776B2 (en) Vehicle display configu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60132567A1 (en) Multi-search and multi-task in search
GB2540032A (en) Data browse apparatus, data browse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20230098357A (ko) 인터페이스에서의 공간 객체들의 상대적 표현 및 명확화를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WO2015123062A1 (en) Navigation directions specific to device state
JP201804223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63872B1 (ko) 디자인 표시요소 분포를 이용한 클러스터 ui 디자인 추천 장치 및 방법
EP343893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846819B2 (en) Map image display device, navigation device, and map image display method
US2019017135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EP3438939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288091B1 (ko) 운전자의 시점을 기초로한 클러스터 디자인 요소의 시인성 개선 장치 및 방법
KR102426950B1 (ko) 자전거 라이더의 위치와 시선에 기반한 광고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Jacucci et al. Combining intelligent recommendation and mixed reality in itineraries for urban exploration
JP2018073310A (ja) 表示システム、表示プログラム
KR20240072170A (ko) 원격 디바이스들과의 사용자 상호작용들
WO201803764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