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855B1 -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 - Google Patents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855B1
KR102263855B1 KR1020190045545A KR20190045545A KR102263855B1 KR 102263855 B1 KR102263855 B1 KR 102263855B1 KR 1020190045545 A KR1020190045545 A KR 1020190045545A KR 20190045545 A KR20190045545 A KR 20190045545A KR 102263855 B1 KR102263855 B1 KR 102263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nner
finger
cradle
strap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620A (ko
Inventor
이동일
Original Assignee
이동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일 filed Critical 이동일
Priority to KR1020190045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85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2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06K7/1089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the scanner to be worn on a finger or on a wri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2007/10524Hand-held scanners
    • G06K2007/10534Scanner to be worn on a finger or on a wrist

Abstract

본원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 및 관련 스캐너 어댑터와 그 충전을 위한 크래들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검지에 착용하는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스캐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 몸체는 몸체 수평부와 몸체 수직부가 꺾인 'ㄱ'자 형태이고, 상기 몸체 수평부와 몸체 수직부가 꺾인 내측으로 손가락 고정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 수직부의 전면(前面)에는 광처리부가 위치하고, 상기 스캐너를 상기 검지에 착용함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에 상기 검지가 위치하여 상기 몸체 수직부의 후면이 검지의 앞쪽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하부 면 검지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검지에 상기 스캐너가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등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르면 손목이나 팔뚝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원발명에 의한 스캐너는 스위치 작동이 쉬우며, 본원발명에 의한 스캐너 어댑터에 의하면 스캐너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충전용 크래들에 의하면 상기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를 충전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에 의하면 스캐너의 스트랩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크래들에 거치하여 충전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크래들 간에 연결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CHARGER CRADLE FOR FINGER SCANNER}
본원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 및 관련 스캐너 어댑터와 그 충전을 위한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기기의 발달에 따라 정보전산처리장치(예를 들면, 재고 관리용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등)가 광학적으로 특정 시각적 표지(標識)를 인식하고 그 인식된 표지를 특정 정보로 전환하는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정보전산처리장치가 특정 시각적 표지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스캐너를 포함한 시각적 이미지 스캐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특정 시각적 표지로 널리 쓰이는 것에는 '바코드(barcode)'와 '큐알 코드(QR code)' 등이 있다. 바코드(barcode)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도록 고안된 굵기가 다른 흑백 막대로 조합시켜 만든 코드로, 주로 제품의 포장지에 인쇄된다. 이런 전통적인 형태의 바코드를 선형(1차원) 바코드라고 한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많은 정보를 담기 어렵기 때문에 매트릭스(2차원) 코드가 개발되었으며, 육각형이나 사각형 배열의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품,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따위의 정보가 포함된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단하고 코드화하여 정보전산처리장치에 입력하는 장치를 '바코드 센서(bar code sensor)'라 한다.
상기 바코드 센서를 포함하여 바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코드화하여 정보전산처리장치에 입력하는 장치를 '바코드 판독기(bar coder, 판독기(判讀機))' 또는 '바코드 리더(bar code reader)'라 한다. 일반적으로 이 '바코드 판독기' 또는 '바코드 리더'는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핸드 스캐너' 형태이다.
선행기술 1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1-0020592 (출원 특1991-0005807)
상기 문헌은 다축 혹은 단일축 주사패턴에서 주사기구성요소(scanner component)를 진동함으로써 바코드 표식을 판독하기 위한 고속주사장치(high speed scanning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문헌에서 개시되고 있는 바코드 인식을 위한 장치는 아래와 같이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핸드 스캐너' 형태이다.
Figure 112019040033510-pat00001
그런데 이와 같이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핸드 스캐너' 형태는 사용자의 한 손으로 핸드 스캐너를 계속 쥐고 있게 하여 다른 작업간에 그 쥔 손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가 있고, 두 손 작업이 필요한 때에는 양손을 쓸 수 없어 결국 핸드 스캐너를 내려놓고 작업 후 다시 핸드 스캐너를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선행기술 2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3-0022235 (출원 특1993-0005400)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작동자가 일상 업무를 수행하는 데 지장을 주지 않게끔 작동자의 손등이나 팔목에 설치되는 손이 자유로운 바코드 스캐너가 개시되었다. 선행기술 2는 손이 자유로운 바코드 스캐너에 의해 작동자의 손과 팔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고도 바코드를 주사하고 판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19040033510-pat00002
선행기술 2의 경우 후술하는 선행기술 3이나 본원발명과 같이 손가락에 착용하는 것이 아니라, 손등에 착용하는 것인데, 따라서 이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른 손으로 기기를 조작하여야 한다. (선행기술 2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캐너를 작동하게 하지만 이는 작동 단계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버튼 또는 접촉식 스위치를 병행 사용해야 한다면 다른 손으로 조작해야 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선행기술 2의 스캐너가 선행기술 3이나 본원발명과 같이 손가락에 착용하는 것이 아닌 이유는, 선행기술 2가 비교적 오래 전에 개시된 것인데 당시 기술 수준에 비추어 스캐너의 크기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어 이를 손가락에 착용하기에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상술한 선행기술 1, 2와 달리 근래 손가락에 착용하는 바코드 스캐너가 등장하고 있다. 이는 관련 기술의 발달로 바코드 스캐너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경량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바코드 스캐너를 손가락에 착용한 상태로 양손을 사용하면서도 필요할 때 스캔을 하기 위한 것이다. 아래 선행기술 3 내지 5는 일본, 미국, 대한민국에서 공개된 손가락 착용 스캐너에 관한 것이다.
선행기술 3 (특허문헌)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263581 (1996. 10. 11.)
선행기술 3은 링에 부착된 하우징으로 구성된 스캐너를 개시하며, 상기 링은 검지에 끼우는 것이다. 상기 링의 측면으로는 스캐너를 작동시키는 트리거 버튼이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트리거 버튼을 사용자가 눌러 이 스캐너를 작동시킨다.
Figure 112019040033510-pat00003
10: 주사 레이저 빔(走査レㅡザビㅡム)
100: 하우징 상부(ハウジング上部)
102: 링(ring, リング)
104: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 トリガㅡボタン)
선행기술 4 (비특허문헌)
인터넷상 웹 페이지:
https://www.zebra.com/us/en/products/mobile-computers/wearable-computers/rs6000.html
(2019. 3. 22. 방문)
상기 웹 페이지에 개시된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19040033510-pat00004
선행기술 5 (특허문헌)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50919 (출원 10-2017-0145330)
Figure 112019040033510-pat00005
10: 본체 / 110: 디스플레이부 / 120: 광원부 / 130: 버튼부 / 140: 입력단자 / 20: 착용부 / 210: 지지부 / 230: 밴드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1-0020592 (출원 특1991-000580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1993-0022235 (출원 특1993-0005400)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8-263581 (1996. 10. 1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850919 (출원 10-2017-0145330)
인터넷상 웹 페이지: https://www.zebra.com/us/en/products/mobile-computers/wearable-computers/rs6000.html (2019. 3. 22. 방문)
본원발명은 손목이나 팔뚝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스위치 작동이 쉬운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스캐너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스캐너 착용 어댑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 크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스캐너의 스트랩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한 크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크래들이 인접하는 것끼리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작업자의 검지에 착용하는 스캐너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는 스캐너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 몸체는 몸체 수평부와 몸체 수직부가 꺾인 'ㄱ'자 형태이고, 상기 몸체 수평부와 몸체 수직부가 꺾인 내측으로 손가락 고정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몸체 수직부의 전면(前面)에는 광처리부가 위치하고, 상기 스캐너를 상기 검지에 착용함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에 상기 검지가 위치하여 상기 몸체 수직부의 후면이 검지의 앞쪽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하부 면이 검지의 상부에 밀착되어 상기 검지에 상기 스캐너가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몸체 수직부의 하단에는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후단에는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와 상기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에 양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손가락에 상기 스캐너를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광처리부는 상기 스캐너를 착용한 손의 손바닥 방향이 몸쪽을 향하고 상기 스캐너가 검지 위에 놓인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캐너가 작동하도록 하는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몸체 수평부의 상부 면에 형성되어 엄지손가락이 위아래로 이동하면 상기 트리거 스위치를 누르거나 터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캐너에는 배터리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스캐너 몸체에는 상기 배터리 교체를 위한 탈착 가능한 배터리 커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은 본원발명의 스캐너를 착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캐너에 대응하여 'ㄱ' 자 형상이고, 상기 스캐너가 안쪽으로 넣어져 안치되는 스캐너 끼움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ㄱ' 자 형상의 양 끝 단부에 손가락에 착용하기 위한 스트랩의 양 끝단을 고정하는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와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캐너 어댑터도 제공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ㄱ' 자 형태이되, 상기 'ㄱ' 자 행태의 어느 끝단에는 크래들 연결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스캐너를 안치하여 충전시키는 크래들로서, 크래들 몸체에는 우묵하게 함몰되어 스캐너 삽입 소켓이 형성되어 상기 스캐너의 'ㄱ' 자 형태의 어느 끝단이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스캐너가 안치되고,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의 내측으로 상기 스캐너가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되어 안치되었을 때 상기 크래들 연결 단자와 접하여 상기 스캐너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캐너 연결 단자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을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ㄱ' 자 형태의 스캐너는 양 끝단을 잇는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더 포함하여, 상기 'ㄱ' 형태의 스캐너와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 사이에 손가락 고정 공간을 형성하고, 그 손가락 고정 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스캐너를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크래들은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상기 스캐너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에 안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스캐너의 'ㄱ' 자 형태의 어느 끝단이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랩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스트랩 안치 확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은 상기 크래들에 2개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크래들의 일측에는 크래들 연결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래들의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 연결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크래들 연결 돌출구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2개 이상의 크래들 간에 크래들 연결 홈과 크래들 연결 돌출구를 끼워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한 스캐너는 손목이나 팔뚝에 통증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본원발명에 의한 스캐너는 스위치 작동이 쉬우며, 본원발명에 의한 스캐너 어댑터에 의하면 스캐너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충전용 크래들에 의하면 상기 손가락에 착용하는 스캐너를 충전할 수 있다. 특히, 본원발명에 의하면 스캐너의 스트랩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크래들에 거치하여 충전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인접하는 크래들 간에 연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캐너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가 손가락에 착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3의 아래 부분 사진은 손바닥이 지면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고, 위 부분 사진은 손바닥이 몸 쪽 방향인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후면에 연결되는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4는 스트랩을 연결하기 전의 것이고, 도 5는 스트랩을 연결한 후의 것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캐너 착용 어댑터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캐너 착용 어댑터에 스캐너가 끼워지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끼워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충전 크래들을 보인 것으로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만이 크래들에 거치된 상태를, 도 11은 스트랩이 연결된 상태에서 스캐너가 크래들에 거치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라 스캐너 삽입 소켓이 6개 형성된 크래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른 2개의 크래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개념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원발명에 따라 2개의 크래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은 최적의 구조설계를 통한 일체형 구조의 스캐너를 제공한다. 즉 하나의 몸체에 스캔을 위한 광처리부 및 트리거 스위치 등을 배치한 스캐너를 제공한다. 크래들의 단자에 접점 방식으로 충전,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을 할 수 있는 접점 단자도 일체형 몸체에 형성되어 있다. 본 스캐너는 내장하는 배터리에 분리형 배터리 커버를 적용하여 편리하게 배터리를 교체하며 사용하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치 가능한 충전용 크래들을 이용하여 충전 방식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일체형 구조인 몸체 상부에 스위치를 적용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스캔 시 지향 방향과 스캐너의 상태를 한정하여 사용자의 팔뚝과 손목을 보호하고자 한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캐너의 사시도와 측면도를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는 작업자가 검지에 착용하는 것이다. 물론, 검지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착용할 수 있으며,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착용하는 손가락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이 아니나, 일반적으로 작업자는 검지에 착용할 것이다. 도 2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가 손가락에 착용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는 엄지와 검지로 잡아 사용하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로 잡을 뿐만 아니라 스캐너를 잡은 엄지와 검지로 상기 스캐너가 2개 이상 기능이 선택적으로 발휘되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상기 스캐너는 바코드 센서(bar code sensor), 회로 기판(PCB), 배터리 등을 내장하는 하우징인 스캐너 몸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스캐너 몸체의 외관은 몸체 수직부(110)와 몸체 수평부(120)가 꺾인 'ㄱ'(기역) 자 형태이다. 상기 몸체 수평부와 몸체 수직부가 꺾인 내측으로 손가락 고정 공간(200)이 형성된다. 도 1에는 상기 '몸체 수직부(110)'와 상기 '몸체 수평부(120)' 및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200)'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파선으로 해당 부분을 표시하였다.
상기 몸체 수직부의 전면(前面, 도면부호 111)에는 상기 바코드 센서로 바코드 등에 레이저 빔(beam)을 주사(走査)하고, 반사된 빛을 검출하는 광처리부(112)가 위치한다. 상기 광처리부는 트랜스미터(transmitter)와 리시버(receiver) 등이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스캐너 몸체에 형성된 것이다. 본원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상기 광처리부에 초소형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바코드 스캐너를 카메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운송·배송 간에 스캐너로 대상을 확인한 후 바로 스캐너로 대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캔과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은 설정에 의하여 동시에 작업이 이루어지거나, 순차적으로 스캔 후 촬영이나 촬영 후 스캔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문제는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촬영을 하는 경우인데, 이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리거 스위치 외에 추가 스위치를 두어 경우에 맞게 촬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캐너 몸체가 형성되어 상기 스캐너를 상기 검지에 착용함에 있어서, 상기 검지 고정 공간에 상기 검지를 위치시키고 상기 몸체 수직부의 후면(113)이 상기 검지의 앞쪽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하부면(122)이 상기 검지의 상부에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검지에 상기 스캐너를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수평부의 하부면(122)에는 추가 스위치(12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추가 스위치는 후술하는 트리거 스위치와 함께 작동하여 스캔을 하거나 사진 촬영을 하도록 선택하는 스위치이다.
한편, 스캐너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많은 회수의 반복 스캔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유로 많은 작업자가 팔의 아래 부분인 팔뚝과 손목 등의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 반복 작업자에게 이와 같은 고통을 주는 이유 중 하나는 스캐너가 작동할 때 작업자 손바닥의 방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스캐너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를 도 3으로 설명한다. 도 3의 아래 부분 사진은 손바닥이 지면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고, 위 부분 사진은 손바닥이 몸 쪽 방향을 바라보고 있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유의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몸 쪽'이라는 것은 정확하게 작업자의 몸통 방향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손바닥이 가리키는 방향, 양 손바닥이 마주보는 통상의 방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자연스럽게 손을 내리고 있거나 앞으로 올리면 손바닥의 방향은 작업자의 몸 쪽을 가리킨다. 본원발명은 그 상태에서 스캐너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선행기술에 따른 스캐너들은 스캔 작업을 할 때 스캐너를 착용한 손의 손바닥 방향이 지면을 향하도록 하거나 전면을 향하고 있다. 아래 표는 이를 대비하여 보인 것이다.
Figure 112019040033510-pat00006
따라서 작업자는 스캔을 할 때마다 손바닥 방향이 지면이나 전면을 향하도록 팔뚝과 손목을 회전시켜야 한다. 반복적인 스캔 작업은 반복적인 팔뚝과 손목 회전을 작업자에게 강요하는 것이고 이에 따라 많은 작업자가 팔뚝이나 손목이의 뻐근함이나 통증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광처리부의 트랜스미터나 리시버가 바코드를 리딩(reading)할 때 상기 스캐너를 착용하는 손의 손바닥 방향이 지면과 어떤 각도를 이루는 가는 작업자의 건강과 관련하여 중요한 문제이다. 본 실시 예의 광처리부는 상기 스캐너를 착용한 손의 손바닥 방향이 몸 쪽을 향하고 상기 스캐너가 검지 위에 놓인 상태에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가 스캔 작업 시 팔뚝이나 손목을 회전시키지 않도록 하였다.
또한, 위와 같이 구성한 상태에서 상기 광처리부의 트랜스미터나 리시버가 작동하도록 하는 트리거 스위치(130)를 어디에 둘 것인가도 문제된다. 아래 표는 종래의 손가락 착용 스캐너의 트리거 스위치 위치와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트리거 스위치의 위치를 대비하여 보인 것이다.
Figure 112020087229633-pat00023
상기 몸체 수평부의 상부면(121)에는 트리거 스위치(trigger switch, 도면부호 130)가 형성된다. 바코드를 읽을 때 작업자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를 누르거나 터치하면 상기 광처리부를 통하여 트랜스미터나 리시버가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트리거 스위치가 몸체 수평부의 상부 면에 있되 엄지가 위아래로 이동하면서 상기 트리거 스위치를 누르거나 터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스캐너의 측면에 트리거 스위치가 형성되어 엄지로 트리거 스위치를 누를 때 옆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보다 편하게 스캐너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리거 스위치의 아래쪽인 몸체 수평부의 하부 면에는 추가 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트리거 스위치를 좀 더 세게 눌러 상기 추가 스위치도 작동하게 하면 사진촬영이 되도록 하여 손에 착용한 후 트리거 스위치를 누르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2가지 이상의 작동을 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수평부 상부면의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몸체 수평부 하부면 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추가 스위치는 본원발명의 특징 중 하나인데, 이들 스위치들은 누름이나 접촉에 의하여 작동하는 것이고, 하나의 스위치에 접촉과 누름 스위치 기능을 적절히 넣는 경우 4가지 이상의 동작을 상기 스캐너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른 손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방법으로 구현해 낼 수 있다.
예를 들면 ① 트리거 스위치 비접촉, 추가 스위치 비접촉 시 전원 오프, ② 트리거 스위치 접촉, 추가 스위치 접촉 시 스캔, ③ 트리거 스위치 누름, 추가 스위치 접촉 시 사진촬영, ④ 트리거 스위치 누름, 추가 스위치 누름 시 동영상 촬영의 기능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스위치들이 압력 센서를 포함하여 더 많은 기능으로 세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엄지와 검지로 2개의 스위치를 작동하게 하여 2개 이상의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본원발명의 매우 특별한 기능 중 하나이다. (도 2는 엄지와 검지로 트리거 스위치와 추가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의 후면에 연결되는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데, 도 4는 스트랩을 연결하기 전의 것이고, 도 5는 스트랩을 연결한 후의 것이다. 본 실시 예는 상기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와 상기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에 양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손가락에 상기 스캐너를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고정 스트랩(3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은 탄성 재질의 일종의 밴드(band)로 형성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손가락을 상기 스캐너에 안정적으로 착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검지에 상기 스캐너가 밀착되어 착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수직부의 하단에는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후단에는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와 상기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는 스트랩의 끝단을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 예의 경우 길게 통공이 있어 기다란 바가 형성되고, 상기 통공으로 스트랩이 통과한 후 상기 기다란 바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스캐너는 전원 공급이 필요한데,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내장 배터리를 이용하는 방법과 유선으로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스캐너에 배터리를 내장하고 있고 스캐너 착용 작업의 편리성을 높였다. 상기 내장된 배터리는 교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충전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 교체를 위해서 상기 스캐너 몸체에는 탈착 가능한 배터리 커버(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캐너 몸체에는 작동 상태 LED(Operating status LED, 도면 부호 116)가 형성되어 스캐너의 작동 상태나 후술하는 크래들과 접촉하여 충전되거나 데이터 통신을 하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스캐너 착용 어댑터]
장시간 스캐너를 가지고 작업을 하는 경우 스캐너를 재충전하여야 한다. 그리고 충전하는 동안은 새로운 스캐너를 사용하여야 한다. 즉, 장기간 계속 작업을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스캐너를 교체하여야 하는데, 스캐너 자체를 교체할 수도 있지만 스캐너 착용 어댑터를 계속 손가락에 착용하여, 상기 스캐너를 상기 스캐너 착용 어댑터에 탈착하는 방법으로 스캐너를 교체할 수도 있다.
이는 스캐너를 모듈화하고, 손가락에 착용한 스캐너 착용 어댑터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도 6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캐너 착용 어댑터를 보인 도면이다. 스캐너 착용 어댑터(350)는 전술한 스캐너를 일부 감싸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캐너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ㄱ' 자 형상이다. 상기 스캐너 착용 어댑터에는 상기 스캐너가 안쪽으로 넣어져 안치되는 스캐너 끼움부(3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캐너 착용 어댑터도 상기 스캐너와 마찬가지로 상기 'ㄱ' 자 형상의 양 끝 단부에 손가락 고정 스트랩(300)을 고정하는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352)와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353)가 형성된다. 도 7은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스캐너 착용 어댑터에 스캐너가 끼워지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8은 끼워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스캐너 이외에 스캐너 착용 어댑터를 이용하면 스캐너마다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연결할 필요가 없고, 스캐너 탈착도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스캐너 착용 어댑터를 사용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추가 스위치가 작동을 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스캐너 착용 어댑터에는 상기 추가 스위치에 대응한 추가 스위치 통과부(354)가 형성되고, 상기 추가 스위치 통과부를 통과한 상기 추가 스위치는 착용자의 검지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충전 크래들]
내장 배터리를 충전하는 방법으로는 스캐너에 전원공급선을 연결하는 방법과 충전 크래들에 스캐너를 거치하는 방법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상기 배터리 커버를 통해서 내장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전용 거치 충전 크래들로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도 9는 본원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인 충전 크래들을 보인 것으로 사시도, 평면도, 저면도이다.
충전 크래들은 충전 회로 기판 등을 내장하는 하우징인 크래들 몸체(400)를 포함하되, 상기 크래들 몸체에는 2개의 충전 터미널(recharge terminal)이 형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외부 연결 단자(410)이고, 다른 하나는 스캐너 연결 단자(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크래들 외부 연결 단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를 인입받는 것이고, 상기 스캐너 연결 단자는 상기 크래들과 상기 스캐너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스캐너 연결 단자에 대응하여 상기 스캐너에서 후면에는 상기 스캐너 연결 단자에 접하는 크래들 연결 단자(12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크래들 외부 연결 단자(410)는 USB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원 공급과 데이터 통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캐너를 상기 크래들 몸체에 안정적으로 거치하여 충전하기 위해서 본 실시 예는 상기 크래들 몸체가 일부 우묵하게 함몰되어 있는 스캐너 삽입 소켓(430)이 형성되어, 상기 'ㄱ' 자 형태의 스캐너의 어느 끝단이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 거치되도록 한다. 즉, 스캐너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스캐너 충전을 위하여 별도로 전원 공급 케이블을 연결하는 번거로움 없이 스캐너를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거치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스캐너를 충전하거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크래들 몸체는 차량에 거치하여 스캐너 사용자가 차량으로 이동 시에도 충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운송·배달업 등 차량을 이용한 서비스업을 제공하면서 스캐너를 사용하는 경우는 매우 많다. 이 경우 차량으로 이동하면서 스캐너를 충전할 필요가 있는데, 매번 유선으로 스캐너를 연결하는 것보다, 본 실시 예인 크래들 몸체를 차량에 고정하고, 스캐너를 상기 크래들에 거치하여 충전하는 것은 편리하고 효율적이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크래들은 차량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크래들 몸체(400)를 차량에 대시보드 상부에 부착할 수 있는 크래들 부착부(480)가 상기 크래들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상기 'ㄱ' 자 형태의 스캐너의 양 끝단을 잇는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더 포함하고, 상기 'ㄱ' 형태의 스캐너와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 사이에 손가락 고정 공간을 형성하여, 그 손가락 고정 공간에 손가락을 넣어 상기 스캐너를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상기 크래들의 삽입 소켓과 간섭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크래들에 스캐너를 안치하여 충전할 때마다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분리하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다.
본 실시 예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상기 스캐너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에 안치될 수 있도록 상기 스캐너의 'ㄱ' 자 형태의 어느 끝단이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스트랩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이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있는 스트랩 안치 확장부(4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원발명에 따른 스캐너만이 크래들에 거치된 상태를, 도 11은 스트랩이 연결된 상태에서 스캐너가 크래들에 거치된 것을 보인 개념도이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상기 스캐너 몸체와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의 내부에는 서로 대응하는 자석이 설치되어 있다(미도시). 이 대응하는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상기 스캐너 몸체가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끼워져 거치될 때 끼움이 가이드되며 안정적으로 접점 간의 접촉이 유지된다.
상기 크래들 몸체에는 작동 상태 LED(Operating status LED, 도면 부호 450)가 외부로 형성되어 충전 상태나 데이터 통신 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은 상기 크래들에 2개 이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원발명에 따라 스캐너 삽입 소켓이 6개 형성된 크래들을 보인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6개의 스캐너 삽입 소켓이 형성된 크래들을 예시로 보인 것이며, 스캐너 삽입 소켓의 수는 필요에 따라 조정 가능하다. 또한, 크래들과 크래들을 연결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여 안정적으로 여러 개의 크래들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크래들의 일측에는 크래들 연결 홈(4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래들의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 연결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크래들 연결 돌출구(470)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2개 이상의 크래들 간에 크래들 연결 홈과 크래들 연결 돌출구를 끼워 연결할 수 있다. 도 13은 본원발명에 따른 2개의 크래들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개념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4는 본원발명에 따라 2개의 크래들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원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스캐너 몸체
110 몸체 수직부
111 몸체 수직부의 전면(前面)
112 광처리부
113 몸체 수직부의 후면
114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
115 배터리 커버
116 작동 상태 LED
120 몸체 수평부
121 몸체 수평부의 상부면
122 몸체 수평부의 하부면
122a 추가 스위치
123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
124 크래들 연결 단자
130 트리거 스위치
200 손가락 고정 공간
300 손가락 고정 스트랩
350 스캐너 착용 어댑터
351 스캐너 끼움부
352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
353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
354 추가 스위치 통과부
400 크래들 몸체
410 외부연결단자
420 스캐너연결단자
430 스캐너 삽입 소켓
440 스트랩 안치 확장부
450 작동 상태 LED
460 크래들 연결 홈
470 크래들 연결 돌출구
480 크래들 부착부

Claims (5)

  1. 몸체는 몸체 수평부와 몸체 수직부로 꺾인 'ㄱ'자 형태이고, 상기 몸체 수평부와 몸체 수직부로 꺾인 내측으로 손가락 고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 수직부의 전면(前面)에는 광처리부가 위치하는 스캐너를 손가락에 착용함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에 상기 손가락이 위치하여 상기 몸체 수직부의 후면이 상기 손가락의 앞쪽에 밀착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하부 면이 손가락의 상부에 밀착되되, 상기 스캐너가 작동하도록 하는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몸체 수평부의 상부 면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하부 면에는 추가 스위치가 형성되어, 상기 트리거 스위치와 상기 추가 스위치를 각각 엄지손가락과 검지손가락으로 작동시켜 선택적으로 2개 이상의 작동이 되고;
    상기 몸체 수직부의 하단에는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 수평부의 후단에는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수직부 하단 스트랩 고정부'와 상기 '수평부 후단 스트랩 고정부'에 양 끝단이 고정되어 상기 손가락 고정 공간에 위치하는 작업자의 손가락에 상기 스캐너가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고정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스캐너를 안치하여 충전하는 크래들로서;
    상기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상기 스캐너의 'ㄱ' 자 형태의 어느 끝단에는 크래들 연결 단자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래들의 몸체에는 우묵하게 함몰되어 스캐너 삽입 소켓이 형성되어 상기 스캐너의 'ㄱ' 자 형태의 어느 끝단이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스캐너가 안치되고,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의 내측으로 상기 스캐너가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되어 안치되었을 때 상기 크래들 연결 단자와 접하여 상기 스캐너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캐너 연결 단자가 형성되어 있되;
    상기 스캐너에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제거하지 않고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크래들에 상기 ‘ㄱ'자 형태의 어느 끝단이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에 삽입될 때,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이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에 대응하여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도 함께 안치될 수 있는 스트랩 안치 확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ㄱ'자 형태의 끝단에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제거되어 있을 때뿐만 아니라, 상기 'ㄱ'자 형태의 끝단에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이 고정되어 있어도 상기 손가락 고정 스트랩을 제거하지 않고, 상기 스캐너를 안치하여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너 삽입 소켓은 상기 크래들에 2개 이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래들의 일측에는 크래들 연결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크래들의 타측에는 상기 크래들 연결 홈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크래들 연결 돌출구가 형성되어 인접하는 2개 이상의 크래들 간에 크래들 연결 홈과 크래들 연결 돌출구를 끼워 연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래들
KR1020190045545A 2019-04-18 2019-04-18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 KR10226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45A KR102263855B1 (ko) 2019-04-18 2019-04-18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45A KR102263855B1 (ko) 2019-04-18 2019-04-18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20A KR20200122620A (ko) 2020-10-28
KR102263855B1 true KR102263855B1 (ko) 2021-06-10

Family

ID=73018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545A KR102263855B1 (ko) 2019-04-18 2019-04-18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6351A (zh) * 2019-12-13 2020-02-21 厦门顶尖电子有限公司 一种手背式扫码终端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8149A (en) 1989-10-30 1992-12-01 Symbol Technologies, Inc. Scan pattern generators for bar code symbol readers
KR930022235A (ko) 1992-04-03 1993-11-23 시모야마 도시로오 손이 자유로운 바 코드 스캐너
JP3698788B2 (ja) 1995-02-01 2005-09-21 シンボル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学システムおよび光ポインタモジュール
KR101084046B1 (ko) * 2009-11-19 2011-11-16 조한형 휴대용 단말기용 충전 거치대
KR101850919B1 (ko) 2017-11-02 2018-04-20 이혜진 웨어러블 바코드 스캐너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UTOID hand free industrial pad collector terminal-wearable Ring Scanner, Jangsu Seuic Technology Co., Ltd., 2018.08.16*
RS6000 User Guide MN-002704-01, ZEBRA, 2016.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20A (ko) 202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195B1 (ko) 손가락 착용 스캐너
US5514861A (en) Computer and/or scanner system mounted on a glove
US8371506B2 (en) Handheld barcode code input device with no-power supplied switch trigger
CN205721811U (zh) 用于移动扫描器的手支座
US6098886A (en) Glove-mounted system for reading bar code symbols
US7416129B2 (en)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housing
US4621189A (en) Hand held data entry apparatus
EP0262943B1 (en) Portable data scanner apparatus
US9861182B2 (en) Device for supporting an electronic tool on a user's hand
US6502754B1 (en) Data acquisition device
US5763865A (en) Reader module for reading bar code symbols when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a terminal module
EP0818725A2 (en) Ergonomic housing for a micro computer
EP3644217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2263855B1 (ko) 손가락 착용 스캐너를 위한 충전용 크래들
EP0729110B1 (en) Portable optical scanning system
KR20190132506A (ko) 판독시스템 및 카메라
JP3896228B2 (ja) バーコードリーダ取り付け具および携帯情報端末
EP3502951B1 (en) Ergonomic portable data acquisition terminal
KR20200080851A (ko) 손가락 장착형 바코드 리더기
WO2018201276A1 (en) Attachment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CN212966186U (zh) 穿戴式扫描器
CN110402528B (zh) 手持式终端和手持式终端充电系统
CN212966187U (zh) 穿戴式扫描器
JP6676358B2 (ja) 光学式情報読取装置
JP2010224640A (ja) ハンディーリー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