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927B1 -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 Google Patents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927B1
KR102262927B1 KR1020200046007A KR20200046007A KR102262927B1 KR 102262927 B1 KR102262927 B1 KR 102262927B1 KR 1020200046007 A KR1020200046007 A KR 1020200046007A KR 20200046007 A KR20200046007 A KR 20200046007A KR 102262927 B1 KR102262927 B1 KR 102262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branch
smart key
connector
pay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0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정민
김연희
김윤재
양원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림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림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림에이스
Priority to KR10202000460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92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92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n an embodiment, is a combined-type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including: a first earphone outputting an audio; a second earphone coupled to the first earphone; and a processor that performs a key mode or a payment mode when the first earphone and the second ear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processor generates a signal for opening/closing a vehicle in the key mode, and generating card information in the payment mode.

Description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Combined earphone device with smart key and payment function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실시예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 relates to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일반적으로 이어폰은 스피커를 귀에 삽입하여 스피커의 음향이 사용자의 귓속에 직접 방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적은 출력으로도 음의 청취가 가능하고 음을 청취하는 과정에서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 거의 없기 때문에 휴대전화, 카세트 테이프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휴대용 음향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음향을 청취하기 위해 널리 사용된다.Generally  Earphones have speakers inserted into the ears so that the sound of the speaker can be emitted directly into the user's ear. It is widely used to listen to sound output from portable audio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cassette tape players, and MP3 players.

또한, 이어폰은 스마트 단말기(예컨대, 스마트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스마트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lso, the earphone may be connected to a smart terminal (eg, a smart phone) by wire or wirelessly to output an au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그리고 이러한 이어폰은 휴대용으로 실생활에서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간편하게 사용되고 있다.And these earphones are portable and are conveniently used by many users in real life.

최근, 이러한 이어폰과 관련하여 다양한 활용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utilization methods in relation to these earphones have been discussed.

실시예는 스마트 키 및 결제 카드로 이용가능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를 제공한다.The embodiment provides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usable as a smart key and a payment card.

또한, 결합이 용이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that is easy to combine.

또한, 조작이 간단하고 컴팩트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it provides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imple and compact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purpose or effect that can be grasped from the solution means or embodiment of the problem described below is included.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이어폰; 상기 제1 이어폰과 결합하는 제2 이어폰; 및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서로 연결되면 키 모드 또는 결제 모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모드에서 차량을 개폐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모드에서 카드 정보를 생성한다.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earphone for outputting audio; a second earphone coupled to the first earphone; and a processor that performs a key mode or a payment mode when the first earphone and the second ear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rein the processor generates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in the key mode, and card information in the payment mode create

제1 이어폰은, The first earphone,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와 연결되고 절곡되는 제1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head portion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and a first branch connected to the first head and bent.

상기 제2 이어폰은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와 연결되고 절곡되는 제2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arphone may include a second head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and a second branch connected to the second head and bent.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제1 가지부와 상기 제1 헤드부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branch may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branch and the first head.

상기 제2 가지부는 최대 폭이 상기 제1 가지부와 상기 제1 헤드부 사이의 최소 거리보다 클 수 있다.A maximum width of the second branch may be greater than a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branch and the first head.

상기 제1 가지부는 내측면이 상기 제2 가지부의 외측면과 접할 수 있다.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may be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상기 제1 이어폰은 상기 제1 가지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earphone may include a first connecto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상기 제2 이어폰은 상기 제2 가지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earphone may include a second connecto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상기 제1 커넥터는 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넥터는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may be formed of a hole, and the second connector may be formed of a pin.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면 상기 키 모드 또는 상기 결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perform the key mode or the payment mod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키 및 결제 카드로 이용가능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usable as a smart key and a payment card may be implemented.

또한, 결합이 용이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payment function that is easy to combine.

또한, 조작이 간단하고 컴팩트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imple and compact smart key and payment function.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Various and advantageous advantag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will be more easily understood in the course of describ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일 측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다른 측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어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어폰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1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2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2 동작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순서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3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3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ma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ide view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nother side view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6 is a block diagram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operation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operation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9 is a flowchart of a second operation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each operation of FIG. 9 in detail;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operation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 detail a third opera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the other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e overlapping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시스템은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 차량(200), 서버(300), 단말기(S)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smar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 a vehicle 200 , a server 300 , and a terminal S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실시예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단말기(S)와 연결되고 단말기(S)로부터 음향 정보를 갖는 전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원하는 오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In an embodiment,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S) and may receive an electrical signal having sound information from the terminal (S). Accordingly,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y convert an electrical signal into audio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rough this,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desired audi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차량(200)은 차량(200)을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차륜, 사용자에게 차량(200)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 차량(200)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 사용자에게 차량(200)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손잡이, 리어 윈도 글래스, 트렁크 및/또는 트렁크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렁크 도어는 테일게이트(tailgate)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차량(200) 후면의 도어를 포함한다.The vehicle 200 is a wheel that provides driving force to move the vehicle 200, a side mirror that provides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200 to the user, a door that shields the inside of the vehicle 200 from the outside, and a vehicle 200 to the user ) may include a windshield that provides a view of the front, a handle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 door, a rear window glass, a trunk and/or a trunk door. The trunk door corresponds to a tailgate and includes a door at the rear of the vehicle 200 .

차륜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을 포함하며, 차량(200) 내부에 마련되는 구동 장치(미도시)는 차량(200)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전륜 또는 후륜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 또는 축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일 수 있다.The wheel includes  a front wheel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vehicle,  rear wheel provid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a driving device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vehicle 200 is a front wheel or rear wheel so that the vehicle 200 moves forward or rearward. can provide rotational force. Such a driving device may be an engine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ossil fuel or a motor for generating rotational force by receiving power from a capacitor.

또한, 도어는 차량(20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차량(200)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20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In addition, the door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200 so that a driver or a passenger can ride inside the vehicle 200 when it is opened, and when closed, the interior of the vehicle 200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make it

전면 유리는 본체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2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200)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이드 미러는 차량(20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200)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200)의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The windshield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body so that a driver inside the vehicle 200 can acquire visual information in front of the vehicle 200 . The side mirror includes a left side mirro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vehicle 200 and a right side mirro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vehicle 200, and a driver inside the vehicle 200 can obtain visual information on the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200 let it be

또한, 차량(200) 전방의 시야를 확보해주는 헤드램프가 차량의 좌측과 오른쪽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headlamps for securing a view in front of the vehicle 200 may b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이외에도 차량(200)은 차량 주변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RPM을 감지하는 RPM 센서, GPS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서, 차량의 운동 상태를 감지하는 속도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ehicle 200 includes a proximity sensor that detects obstacles or other vehicles around the vehicle, a rain sensor that detects whether precipitation is present and the amount of precipitation, an RPM sensor that detects RPM, and a location sensor that detect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vehicle by receiving a GPS signal. ,   may include a sensing device such as a speed sensor for detecting the movement state of the vehicle.

근접 센서는 차량(200)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200) 측면이나 후면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The proximity sensor may transmit a detection signal to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200 and receive a reflected signal reflected from an obstacle such as another vehicle. Based on the waveform of the received reflected signal,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obstacle on the side or rear of the vehicle 200 , and detect the position of the obstacle.

차량(200)은 상술한 구성요소 외에,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차량(200)은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와 통신하여 트렁크 개폐 또는 차량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입력 신호에 따라 차량(200)의 트렁크가 개폐되거나, 차량이 개폐 예컨대 차량 도어의 잠금 및 잠금 해제가 수행될 수 있다.The vehicle 200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vehicle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to perform trunk opening or closing or vehicle opening and closing. That is, the trunk of the vehicle 200 may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input from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or the vehicle may be opened and closed, for example, locking and unlocking of a vehicle door may be performed.

서버(300)는 단말기(S) 및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300)는 단말기(S)를 통해 등록된 카드 정보 및 이에 대응하는 인증 정보를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server 300 may communicate with the terminal S and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The server 300 may receive card information registered through the terminal S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from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실시예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서버(300)로 인증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인증 정보에 대응하는 카드 정보를 이용한 결제를 서버(300)로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300)는 요청된 카드 정보를 반영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인증 정보는 핀(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사용자 고유 패턴 관련 데이터 등일 수 있으나 이하에서 핀(PIN)으로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y transmit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 Through this,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may request payment using the car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300 . And the server 300 may perform payment by reflecting the requested card information. Here,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a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user-specific pattern related data, etc., but will be described as a PIN below.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단말기(S)로부터 수신한 음향 정보를 통해 사용자에게 오디오를 제공하고, 경우에 따라서 차량(200)에 대한 키 또는 결제 디바이스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provides audio to the user through the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S, and in some cases, to the vehicle 200 . It can operate as a key or payment device fo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일 측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다른 측면도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제1 이어폰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제2 이어폰의 사시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3 is another side view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4 is an embodiment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ar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arpho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제1 이어폰(110) 및 제2 이어폰(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이어폰(110)은 사용자의 왼쪽 귀에 안착할 수 있고, 제2 이어폰(120)은 사용자의 오른쪽 귀에 안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은 형상이 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 to 4 ,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earphone 110 and a second earphone 120 . For example, the first earphone 110 may be seated on the user's left ear, and the second earphone 120 may be seated on the user's right ear.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제1 이어폰(110)은 제1 헤드부(111), 제1 가지부(112), 디스플레이부(113), 제1 입력부(114), 제1 출력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이어폰(110)은 제1 이어팁(T1), 제1 커넥터(h)를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earphone 110 may include a first head unit 111 , a first branch unit 112 , a display unit 113 , a first input unit 114 , and a first output unit 115 . Furthermore, the first earphone 110 may include a first ear tip T1 and a first connector h.

제1 헤드부(111)는 제1 이어폰(1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헤드부(111)에는 제1 입력부(114) 및 제1 출력부(115)가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ead unit 11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earphone 110 . A first input unit 114 and a first output unit 115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head unit 111 .

제1 헤드부(111)는 일측에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헤드부(111)는 제1 돌출부를 통해 제1 이어폰(110)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귀 내부에 안착할 수 있다. The first head part 111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earphone 110 may be seated inside the user's ear through the first protrusion of the first head unit 111 .

제1 가지부(112)는 제1-1 제1 가지부(112a) 및 제1-2 가지부(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가지부(112a)는 제1 헤드부(111)와 접하고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1-1 가지부(112a)는 일단이 제1 헤드부(111)와 접하고, 타단이 제1-2 가지부(112b)와 접할 수 있다. The first branch 112 may include a first-first branch 112a and a 1-2-th branch 112b. The 1-1 branch portion 112a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d portion 111 and extend to one side. In an embodiment, the first-first branch 112a may have one end in contact with the first head portion 111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1-2-th branch portion 112b.

특히, 제1-1 가지부(112a)는 절곡되어 사용자의 귀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1-1 가지부(112a)는 'U' 형상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1-1 branch portion 112a may be bent to surround the user's ear. For example, the 1-1 branch portion 112a may have a 'U' shape.

그리고 제1-1 가지부(112a)를 통해, 제1 이어폰(110)은 사용자의 귀와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사용시 귀와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nd through the 1-1 branch portion 112a, the first earphone 110 can easi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ear. Accordingly,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ear during use.

제1-2 가지부(112b)는 제1-1 가지부(112a)의 타단과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 가지부(112b)는 폭이 제1-1 가지부(112a)보다 폭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1-2 가지부(112b)는 귀의 뒷면과 접하도록 귀의 뒷면 상에 안착하여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1-2 th branch 112b may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1-1 th branch 112a. In addition, the width of the 1-2 th branch 112b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1-1 th branch 112a. In addition, the 1-2 first branch portion 112b may be seated on the back of the ear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ear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user.

제1-2 가지부(112b)에는 디스플레이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가지부(112)에는 후술하는 프로세서, 통신 유닛 등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이어폰(110) 내에 위치할 수 있다.A display unit 113 may be disposed on the 1-2-th branch portion 112b.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such as a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ranch unit 11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in the first earphone 110 .

디스플레이부(1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2 가지부(112b)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이어폰(110) 또는 제2 이어폰(120)에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The display unit 113 may be disposed on the first-second branch portion 112b as described above.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position and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earphone 110 or the second earphone 120 .

디스플레이부(11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이 제1 커넥터(h) 및 제2 커넥터(P)를 통해 연결되면 원하는 모드(예컨대, 키 모드(Key Mode) 또는 결제 모드(Pay Mode)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113)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 내에서 수행되는 동작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3 may display a desired mode (eg, a key mode) when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are connect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as will be described later. Mode) or payment mode (Pay Mode) can be displayed to the user to select, that is, the display unit 113 i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performed in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can be provided to users.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다양한 표시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Also, the display unit 113 may be formed of various display devices.

제1 입력부(114)는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하여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1 입력부(114)는 상술한 모드에 따라 제1 입력 신호 또는 제3 입력 신호를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입력부(114)는 터치, 버튼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input unit 114 may receive an input signal by a user's touch or the like. The first input unit 114 may provide the first input signal or the third input signal to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ode. Also, the first input unit 114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touch screen and a button.

그리고 제1 입력부(11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11)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input unit 114 may be located in the head unit 111 as described above.

제1 출력부(115)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향 정보를 진동 등의 동작을 통해 오디오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1 출력부(11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에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first output unit 115 may convert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to audio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vibr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first output unit 115 may be located on the first protrus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in the audio signal provided to the user.

제1 이어팁(T1)은 제1 돌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귀 내의 이물질이 제1 이어폰(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어팁(T1)은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1 이어폰(110)을 착용 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first ear tip T1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rotrus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 the user's ear from flowing into the first earphone 110 . In addition, the first ear tip T1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Through this, the user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that occurs when wearing the first earphone 110 .

그리고 제1 커넥터(h)는 제1 가지부(11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커넥터(h)는 홀 또는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커넥터(h)는 홀이며, 이를 기준으로 이하 설명한다.In addition, the first connector h may be located on the first branch portion 112 . The first connector h may be formed of a hole or a pin. Hereinafter, the first connector h is a hole,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ased on this.

제1 커넥터(h)는 제1 이어폰(110)의 내측면(IS1)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커넥터(h)는 제1 가지부(112)에서 내측면(IS1)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내측면은 제1 이어폰 및 제2 이어폰이 귀에 안착한 경우에 귀와 인접하거나 접하는 면일 수 있다. 즉, 내측면(IS1)은 귀와 직접 접하며 귀를 감쌀 수 있다. 이와 달리, 외측면(OS1)은 내측면의 반대면으로 귀와 접하지 않는 면일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h may be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IS1 of the first earphone 110 . More 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or h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IS1 of the first branch portion 112 .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ner surface may be a surface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ear when the first earphone and the second earphone are seated on the ear. That is, the inner surface IS1 may directly contact the ear and wrap the ear. Alternatively, the outer surface OS1 may be a surface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and not in contact with the ear.

그리고 제2 이어폰(120)은 형상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어폰(110)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이에, 제2 이어폰(120)은 제2 헤드부(121), 제2 가지부(122), 제2 입력부(124), 제2 출력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이어폰(120)은 제2 이어팁(T2), 제2 커넥터(p)를 포함할 수 있다. And the shape of the second earphone 120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first earphone 11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econd earphone 120 may include a second head unit 121 , a second branch unit 122 , a second input unit 124 , and a second output unit 125 . Furthermore, the second earphone 120 may include a second ear tip T2 and a second connector p.

제2 헤드부(121)는 제2 이어폰(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헤드부(121)에는 제2 입력부(124) 및 제2 출력부(125)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head unit 121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earphone 120 . A second input unit 124 and a second output unit 125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head unit 121 .

제2 헤드부(121)는 일측을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헤드부(121)는 제2 돌출부를 통해 제2 이어폰(120)의 적어도 일부가 사용자의 귀 내부에 안착할 수 있다. The second head part 121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In the second head part 121 ,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earphone 120 may be seated inside the user's ear through the second protrusion.

제2 가지부(122)는 제2-1 제2 가지부(122a) 및 제2-2 가지부(12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1 가지부(122a)는 제2 헤드부(121)와 접하고 일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로, 제2-1 가지부(122a)는 일단이 제2 헤드부(121)와 접하고, 타단이 제2-2 가지부(122b)와 접할 수 있다. The second branch portion 122 may include a 2-1 second branch portion 122a and a 2-2 second branch portion 122b. The 2-1 branch portion 122a may contact the second head portion 121 and extend to one side. In an embodiment, one end of the 2-1 th branch 122a may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head 121 and the other e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2-2 th branch 122b.

특히, 제2-1 가지부(122a)는 절곡되어 사용자의 귀를 감싸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제2-1 가지부(122a)는 'U' 형상일 수 있다.In particular, the 2-1 branch portion 122a may be bent to surround the user's ear. For example, the 2-1 branch portion 122a may have a 'U' shape.

그리고 제2-1 가지부(122a)를 통해, 제2 이어폰(120)은 사용자의 귀와 용이하게 접할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사용시 귀와 쉽게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And through the 2-1 branch portion 122a, the second earphone 120 can easil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ear. Accordingly,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ear during use.

제2-2 가지부(122b)는 제2-1 가지부(122a)의 타단과 접할 수 있다. 제2-2 가지부(122b)는 폭이 제2-1 가지부(122a)보다 폭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제2-2 가지부(122b)는 귀의 뒷면에 배치되어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2-2nd branch part 122b may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2-1th branch part 122a. The width of the 2-2nd branch 122b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2-1th branch 122a. In addition, the 2-2nd branch portion 122b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ide of the ear to provide a sense of stability to the user.

제2-2 가지부(122b)에는 디스플레이부(11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지부(122)에는 후술하는 프로세서, 통신 유닛 등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이어폰(120) 내에 위치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13 may be disposed on the 2-2nd branch portion 122b. In addition, other components such as a processor and a communication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branch 12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located in the second earphone 120 .

디스플레이부(미도시됨)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2 가지부(122b)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2-2nd branch 122b as described above. As for this description, the above contents may be applied in the same way.

제2 입력부(124)는 사용자의 터치 등에 의하여 입력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제2 입력부(124)는 상술한 모드에 따라 제2 입력 신호 또는 제4 입력 신호를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입력부(124)는 터치, 버튼 등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input unit 124 may receive an input signal by a user's touch or the like. The second input unit 124 may provide the second input signal or the fourth input signal to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ode. Also, the second input unit 124 may have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touch screen and a button.

그리고 제2 입력부(124)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부(121)에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input unit 124 may be located in the head unit 121 as described above.

제2 출력부(125)는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음향 정보를 진동 등의 동작을 통해 오디오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2 출력부(1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오디오 신호에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second output unit 125 may convert sou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terminal into audio through an operation such as vibr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second output unit 125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protrusion as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in the audio signal provided to the user.

제2 이어팁(T2)은 제2 돌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귀 내의 이물질이 제2 이어폰(12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이어팁(T2)은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2 이어폰(120)을 착용 시 발생하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second ear tip T2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protrus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in the user's ear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second earphone 120 . In addition, the second ear tip T2 may be made of a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Through this, the user can minimize the inconvenience that occurs when wearing the second earphone 120 .

제2 커넥터(p)는 제2 가지부(12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커넥터(p)는 홀 또는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로, 제2 커넥터(p)는 제1 커넥터(h)와 대응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셰올, 제2 커넥터(p)는 핀이며, 이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second connector p may be located on the second branch 122 . The second connector p may be formed of a hole or a pin. In an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or p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or h. Seal Sheol, the second connector (p) is a pin,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is.

제2 커넥터(p)는 제2 이어폰(120)의 외측면(OS2)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커넥터(p)는 제2 가지부(122)에서 외측면(OS2)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제2 이어폰(120)을 착용하더라도 제2 커넥터(p)가 사용자의 귀와 접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커넥터(p)가 귀를 푸쉬 또는 누르지 않게되어 사용자의 불편함이 제거될 수 있다. The second connector p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S2 of the second earphone 120 .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or p may be located on the outer surface OS2 of the second branch portion 122 . Through this, even if the user wears the second earphone 120 , the second connector p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s ear.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connector p does not push or press the ear, so that the user's discomfort can be eliminated.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은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를 통해 결합할 수 있다. 제1 이어폰(110)의 제1 가지부(112)가 제2 헤드부(121)와 제2-2 가지부(122b)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가지부(112)의 내측면(IS1)은 제2 가지부(122)의 외측면(OS2)과 접할 수 있다. 이 때, 제1 가지부(112)와 제2 가지부(122)는 서로 다른 방향(K1, K2)으로 이동하면서 제1 가지부(112)에 위치한 제1 커넥터(h)와 제2 가지부(122)에 위치한 제2 커넥터(p)가 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가지부(112)는 하부로 이동하고(K2), 제2 가지부(122)는 상부로 이동하여(K1),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Furthermore,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may be coupl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The first branch portion 112 of the first earphone 11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second head portion 121 and the 2-2 second branch portion 122b.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IS1 of the first branch part 112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S2 of the second branch part 122 .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branch part 112 are positioned in the first branch part 112 while the first branch part 112 and the second branch part 122 move in different directions K1 and K2. A second connector (p) located at (122) can be coupled. For example, the first branch 112 moves downward (K2), and the second branch 122 moves upward (K1), so that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are coupled to each other. can do.

다른 실시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이어폰(120)의 제2 가지부(122)가 제1 헤드부(111)와 제1-2 가지부(112b)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가지부(122)의 외측면(OS2)은 제1 가지부(112)의 내측면(IS1)과 접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branch portion 122 of the second earphone 120 may be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first head portion 111 and the 1-2 first branch portion 112b. Accordingly, the outer surface OS2 of the second branch portion 122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IS1 of the first branch portion 112 .

그리고 제2 가지부(122)의 외측면(OS2)에 위치한 제2 커넥터(p)와 제1 가지부(112)의 내측면(IS1)에 위치한 제1 커넥터(h)가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제1 커넥터(h)는 핀이고 제2 커넥터(p)는 홀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이 용이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핀 형상의 커넥터에 의해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불편함도 제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or p positioned on the outer surface OS2 of the second branch 122 and the first connector h positioned on the inner surface IS1 of the first branch 112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h may be a pin and the second connector p may be a hole. Accordingly,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are easily coupl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convenience provided to the user by the pin-shaped connector can be eliminated.

또한, 실시예로, 상술한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의 결합을 위해, 핀 형상의 커넥터는 푸쉬 또는 압력 등에 의해 내부로 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for the coupling of the above-described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the pin-shaped connector may be moved inside by push or pressure.

이에 따라, 핀인 제2 커넥터(p)에 의해 제1 가지부(112)의 외측면(OS1)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이 컴팩트(compact)하게 결합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outer surface OS1 of the first branch 112 by the second connector p, which is a pin, and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are compact ( compact) can be combined.

나아가, 제1 헤드부(111)와 제2-2 가지부(112b) 간의 최소 이격 거리(W1)는 제2 가지부(122)의 최대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이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minimum separation distance W1 between the first head part 111 and the 2-2 second branch part 112b may be smaller than the maximum width W2 of the second branch part 122 . Accordingly,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can be easily coupled.

또한,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 간의 결합을 통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키 모드 또는 결제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rough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the coupl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performs a key mode or a payment mode as will be described later. can do.

또한, 제2 가지부(122)의 외측면(OS2)에는 홈(GR)이 배치되고, 홈(GR)에 제2 커넥터(p)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홈(GR)에 의해 제2 가지부(122)의 외측면(OS2)은 단차를 갖고 단차의 높이(h1)는 제2 커넥터(p)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제2 커넥터(p)가 제1 커넥터(h)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Also, a groove GR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S2 of the second branch portion 122 , and a second connector p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GR. That is, the outer surface OS2 of the second branch portion 122 may have a step difference due to the groove GR, and the height h1 of the step difference may be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econd connector p.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or p can be easily coupled to the first connector h.

그리고 제2 가지부(122)의 외측면(OS)은 홈에 의해 제2-2 가지부(122b)가 제1 헤드부(111)와 제1-2 가지부(112b)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S of the second branch 122 has a groove so that the 2-2nd branch 122b can be easily inserted between the first head part 111 and the 1-2th branch 112b. can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는 프로세서(110a, 120a), 통신 유닛(110b, 120b), 센서(110c, 120c), 오디오 출력 유닛(110d, 120d), 커넥터(h, p), 인디케이터(110e, 120e), 전원 관리 유닛(110f, 120f), 저장 유닛(110g, 120g), 배터리(110h, 120h)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제1,2 입력부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includes processors 110a and 120a, communication units 110b and 120b, sensors 110c and 120c, and audio output units 110d and 120d. ), connectors h and p, indicators 110e and 120e, power management units 110f and 120f, storage units 110g and 120g, and batteries 110h and 120h. A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first and second input units will be omitted.

통신 유닛(110b, 120b)을 이용하여 상호 기능적으로 연결(예를 들어,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가 복수의 블루투스 프로파일 중 하나를 이용하여 상호 무선으로 상호 연결을 의미할 수 있다)이 이루어질 있다. Mutually functionally connected using the communication units 110b and 120b (for example,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y mean mutually wirelessly interconnected using one of a plurality of Bluetooth profiles ) can be done.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100) 중 제1 이어폰(110)은 통신 유닛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예컨대, 단말기)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외부 장치와 연결된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이 기능적으로 상호간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earphone 110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100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y be function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eg, a terminal) using a communication unit. That is,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connected to the external device may be functionally connect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제1 이어폰(110)은 프로세서(110a), 통신 유닛(110b), 센서(110c), 오디오 출력 유닛(110d), 제1 커넥터(h), 저장 유닛(110g), 전원 관리 유닛(110f) 및 배터리(110h)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이어폰(110)은 위치 수신부(GS)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earphone 110 includes a processor 110a, a communication unit 110b, a sensor 110c, an audio output unit 110d, a first connector h, a storage unit 110g, and a power management unit ( 110f) and a battery 110h. Furthermore, the first earphone 110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receiving unit GS.

프로세서(110a)는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10a)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a)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10a)는 다른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에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load)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저장(store)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a may control a plurality of hardware or software components connected to the processor 110a by driving an operating system or an application program, and may perform various data processing and operations. The processor 110a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system on chip (SoC). The processor 110a loads and processes commands or data received from at least one of other components (eg, non-volatile memory) into a volatile memory, and stores various data in the non-volatile memory. can do.

통신 유닛(110b)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인접한 제2 이어폰(120) 또는 외부 장치(단말기, 차량 및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통신 유닛(110b)은 무선으로 제2 이어폰(120) 또는, 외부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로 이용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b may be connected to the adjacent second earphone 120 or an external device (terminal, vehicle, and server) through at least one of wired communic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b may be used as a wireless interface for wirelessly connecting to the second earphone 120 or an external device.

통신 유닛(110b)은 외부 장치(예컨대, 단말기)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으로 음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유닛(110b)은 수신된 음향 정보를 무선으로 제2 이어폰(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b may receive sound information wirelessly or wiredly from an external device (eg, a terminal). The communication unit 110b may wirelessly transmit the received sound information to the second earphone 120 .

실시예로, 무선 통신은 셀룰러 통신,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Li-Fi(light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UWB(초광대역통신)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wireless communication may include cellular communication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Short-range communication is, for example, Wi-Fi (wireless fidelity), Li-Fi (light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or, Bluetooth low energ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or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etc. Wired communication includes, for example, universal serial bus (USB),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nd recommended RS-232 (RS-232). standard 232), or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위치 수신부(GS)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위치 수신부(GS)는 제1 이어폰(110) 내에 마운트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수신부(GS)는 제2 이어폰(120) 내에 마운트될 수도 있다. 위치 수신부(GS)는 상술한 통신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위치 수신부(GS)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ation receiving unit GS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In addition, the location receiving unit GS may be mounted in the first earphone 110 . Alternatively, the location receiving unit GS may be mounted in the second earphone 120 . The location receiving unit GS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mmunication unit. For example, the location receiver GS may include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o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센서(110c)는 제1 이어폰(110) 내부의 물리량(또는 외부의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제1 이어폰(11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110c)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gyro sensor), 기압 센서(baromete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생체 센서(medical sensor), 및 조도 센서(illuminance senso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 센서는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또는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센서(110c)는 하나의 예이며, 제1 이어폰(110)의 구조 및/또는 기능에 따라 추가, 변경 또는 제외될 수 있다.The sensor 110c may measure an internal physical quantity (or an external physical quantity) of the first earphone 110 or sense an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earphone 110 to convert the measured or sensed informa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The sensor 110c is, for example, a gyro sensor, a barometer, an acceleration sensor, a proximity sensor, a medical sensor, and an illuminance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biosensor may include an electromyography sensor (EMG), an electroencephalogram sensor (EEG), or an electrocardiogram sensor (ECG). The above-described sensor 110c is an example, and may be added, changed, or exclud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or function of the first earphone 110 .

오디오 출력 유닛(110d)은 프로세서(110a)의 제어에 의해 수신되는(또는, 저장된) 음향 정보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10d)은 제1 출력부에 위치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10d may output audio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or stored) sound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a. The audio output unit 110d may be located in the first output unit.

오디오 출력 유닛(110d)은 프로세서(110a)의 제어에 의해 수신된(또는, 저장된) 음향 정보 중 하나의 채널에 대응되는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 유닛(110d)은 예를 들어,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110d may output sou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ne channel among the received (or stored) sound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a. The audio output unit 110d may include, for example, a speaker.

수신되는(또는, 저장된) 음향 정보는 프로세서(110a)의 제어에 의해 오디오 코덱(CODEC, 하드웨어,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하나(또는, 조합)로 구현, 도시되지 아니함)에 의해 디코딩(decoding)되어 오디오 출력 유닛(110d)을 통해 오디오로 출력될 수 있다.The received (or stored) sound information is decoded by an audio codec (not shown, implemented in at least one (or combination) of CODEC, hardware, firmware, and software)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10a. It may be output as audio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110d.

제1 커넥터(h)는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또는, 유선 인터페이스)의 적어도 일부로 이용될 수 있다. 제1 커넥터(h)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p)와 결합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h may be used as at least a part of an interface (or a wired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to each other. The first connector (h)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p) as described above.

프로세서(110a)는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 간의 결합을 연결 결정 핀(미도시됨) 등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10a)는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 간의 결합으로 상호 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생하는 전기 신호를 통해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 간의 결합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에서 제1 커넥터(h)와 제2 커넥터(p) 간의 결합으로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 간의 상호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이어폰(120)은 제1 이어폰(110)에 위치하는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어폰(110)은 제2 이어폰(120)에 위치하는 통신 유닛을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The processor 110a may detect a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using a connection determining pin (not shown)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processor 110a performs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through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can be detected. Accordingly, in the coupl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connector (h) and the second connector (p) are coupled between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 Communication can take place. That is, the second earphone 12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located in the first earphone 110 . Also, the first earphone 11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located in the second earphone 120 .

저장 유닛(110g)은 제1 이어폰(110)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관계된 명령(command) 또는 데이터(data)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유닛(110g)은 소프트웨어(software) 및/또는 프로그램(program)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kernel), 미들웨어(middleware),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14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 미들웨어, 또는 API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 OS)로 지칭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0g may store a command or data related to at least one component of the first earphone 110 . The storage unit 110g may store software and/or a program. The program may include, for example, a kernel, middleware, a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and/or an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147 ), and the like. At least a part of the kernel, middleware, or API may be referred to as an operating system (OS).

저장 유닛(110g)은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volatile memory),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non-volatile memory), 플래시 메모리(예를 들어,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10g includes a volatile memory (eg, dynamic RAM (DRAM), static RAM (SRAM), or synchronous dynamic RAM (SDRAM), such as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eg, one time (OTPROM)). programmable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on-volatile memory), flash memory (e.g. NAND flash or NOR flash, etc.), a hard drive, or a solid state drive (SSD).

인디케이터(indicator, 185)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 정보(예를 들어, 재생, 정지, 충전 등), 상태 정보(예를 들어, 부팅, 데이터 수신, 충전 중, 배터리 잔량 부족 등)를 점멸 또는 색상 변경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185)는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dicator 185 blinks operation information (eg, play, stop, charging, etc.) and status information (eg, booting, data reception, charging, low battery level, etc.)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 Alternatively, it can be marked with a color change. Indicator 185 may include, for example, one or two or more LEDs.

전원 관리 유닛(110f)은 배터리(110h)에서부터 공급되는 전자 장치(100)의 전류를 관리할 수 있다. 전원 관리 유닛(110f)은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또는, 충전 IC(charger integrated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PMIC는 유선 충전 방식 및/또는 무선 충전 방식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예를 들면, 자기공명 방식, 자기유도 방식 또는 전자기파 방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방식은 무선 충전을 위한 부가적인 회로(예를 들어, 코일 루프, 공진 회로, 또는 정류기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management unit 110f may manage the current of the electronic device 100 supplied from the battery 110h. The power management unit 110f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 (PMIC) or a charger integrated circuit (IC). The PMIC may have a wired charging method and/or a wireless charging method.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may include, for example, a magnetic resonance method, a magnetic induction method, or an electromagnetic wave method. The wireless charg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circuit (eg, a coil loop, a resonance circuit, or a rectifier, etc.) for wireless charging.

제2 이어폰(120)은 프로세서(120a), 통신 유닛(120b), 센서(120c), 오디오 출력 유닛(120d), 제2 커넥터(p), 저장 유닛(120g), 전원 관리 유닛(120f) 및 배터리(120h)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이어폰(120) 의 구성 요소는 제1 이어폰(110)의 구성 요소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실질적으로 유사한 구성 요소는 제1 이어폰 및 제2 이어폰 중 어느 하나에만 위치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The second earphone 120 includes a processor 120a, a communication unit 120b, a sensor 120c, an audio output unit 120d, a second connector p, a storage unit 120g, a power management unit 120f, and It may include a battery 120h. In this case, since the components of the second earphone 120 are substantially similar to those of the first earphone 110 , the overlapping description will be omitted. Also,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bstantially similar components may be located only on either one of the first earphone and the second earphone.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1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2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2 동작의 순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각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순서도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operation of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8 is a second opera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 9 is a flowchart of a second opera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0 is a flowchart explaining each operation of FIG. 9 in detail.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제1 동작으로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결합한(S310) 후,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315).7 to 10 , in the coupl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a first operatio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S310), and then the first earphone 110 It can be checked whether communication between the and the second earphone 120 is performed (S315).

실시예로,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이동되는 경우 즉, 제1 이어폰과 제2 이어폰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 것을 검출한 이후에, 모드 선택을 제공할 수 있다. 모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키 모드(Key Mode)와 결제 모드(Pay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is when an electrical signal is moved throug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that is, after detecting that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earphone and the second earphone is performed. , can provide a mode selection. As described above, the mode may include a key mode and a payment mod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서 제1 이어폰(110)의 통신 유닛(110b) 또는 위치 수신부(GS)으로부터의 정보가 제2 이어폰(12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유닛 등이 제1 이어폰 또는 제2 이어폰 등에 위치하므로 통신 유닛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공간적 한계를 제거하여 소형화를 제공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10b or the location receiving unit GS of the first earphone 110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provided to the second earphone 120 . Accordingly, since the communication unit performing different functions is located in the first earphone or the second earphone, the communication unit can be removed. Accordingly,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provide miniaturization by removing the spatial limitation.

또한,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 간에 통신이 수행되는지 여부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를 통해 전기적 신호가 이동하는지 여부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검출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단계는 주체에 대한 설명이 없는 한 프로세서 (또는 이어폰)에 의해 수행됨을 이해해야 한다.In addition, whether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may be detected based on whether an electrical signal moves through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detection may be performed by a processor.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each step described below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r earphone)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of the subject.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 간의 통신이 수행되면,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부(113)로 모드 선택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부(113)는 키 모드 또는 결제 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W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first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is performed, the processor may display a mode selection on the display unit 113 .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13 may display a key mode or a payment mode.

그리고 프로세서는 제1 입력부(114)를 통해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모드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입력부(114)를 통해 상기 입력 신호가 수신될 때, 키 모드에서 결제 모드로 또는 결제 모드에서 키 모드로의 모드 변경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perform a mode change 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14 . For example, when the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14 , a mode change from the key mode to the payment mode or from the payment mode to the key mode may be performed.

또한, 프로세서는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표시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상기 입력 신호에 의해,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차량 또는 트렁크를 개폐하는 스마트 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입력 신호에 의해,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카드와 같이 결제 카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즉, 입력 신호에 의해 각 모드를 선택하고 각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제1 입력부 및 제2 입력부의 터치 또는 푸쉬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Also, when an input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24 , the processor may select the displayed mode. For example, by the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24,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y be used as a smart key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or a trunk. Alternatively, by the input signal,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y be used as a payment card, such as a card. That is, each mode may be selected by the input signal and entered into each mode. Here, the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touch or push of the first input unit and the second input unit.

실시예로, 사용자는 키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32). 또는 사용자는 결제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S340). 본 명세서에서 키 모드는 제2 동작으로 설명하고, 결제 모드는 제3 동작으로 설명한다.In an embodiment, the user may select a key mode (S32). Alternatively, the user may select a payment mode (S340). In this specification, the key mode will be described as the second operation, and the payment mode will be described as the third operation.

먼저, 제2 동작인 키 모드에서, 프로세서는 위치 정보 및 통신을 활성화할 수 있다(S325). 즉, 프로세서는 위치 수신부를 활성화하여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First, in the key mode, which is the second operation, the processor may activate loca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 S325 ). That is,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by activating the location receiving unit.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위치 수신부를 통해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26). 그리고 프로세서는 통신 유닛 중 차량과 통신을 위해 통신을 활성화 할 수 있다(S327). 예컨대, 차량과의 통신을 위한 UWB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는 차량의 위치에 대한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S328). Specifically,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through the location receiving unit (S326).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activate commun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vehicle among the communication units (S327). For example, UWB for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may be performed. Through this, the processor may recognize the location of the vehicle ( S328 ).

이 때, 프로세서는 차량의 위치 인식이 수행되지 않는 경우 다시 위치 정보를 수신하거나(S326) 통신을 활성화할 수 있다(S327). 그리고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S326)과 통신을 활성화하는 것(S327)은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At this time, if the location recognition of the vehicle is not performed, the processor may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again (S326) or activate communication (S327). In addition, the order of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S326) and activating communication (S327) may be changed.

그리고, 프로세서는 거리 및 방향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인식된 차량의 위치와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와 차량 간의 거리 및 이동 방향을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Then, the processor may display the distance and direction.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display the distance and movement direc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vehicle through the display unit 113 by comparing the recognized location of the vehicle with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upl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그리고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S330), 입력 신호에 따라 차량의 개폐 또는 트렁크 개폐를 수행할 수 있다(S335). 실시예로, 프로세서는 제1 입력부를 통해 제1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31). 이 경우, 프로세서는 차량에서 트렁크 개폐가 수행되도록(S336) 이에 대응하는 신호가 생성하고, 상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Then, the user's input signal is received (S330), and the vehicle can be opened or closed or the trunk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S335). In an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first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S331).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generate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unk opening and closing in the vehicle (S336) and transmit the signal.

또한, 프로세서는 제2 입력부를 통해 제2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32). 이 경우, 프로세서는 차량의 개폐(또는 차량의 도어 잠금 해제(오픈))가 수행되도록(S337) 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Also,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second input signal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S332). In this case, the processor may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vehicle (or unlocking (opening) of the vehicle door) ( S337 ).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3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제3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는 순서도이다.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opera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12 is a third operation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 flowchart explaining in detail.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동작으로서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서로 결합한(S310) 후, 제1 이어폰(110)과 제2 이어폰(120) 간의 통신이 수행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S315).11 and 12 , in the coupl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upled to each other (S310) as a first opera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first It may be confirmed whether communication between the earphone 110 and the second earphone 120 is performed (S315).

이후에,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또는 프로세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입력 신호에 의해 결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or processor)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may enter the payment mode by the second input signal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프로세서는 통신 활성화를 수행할 수 있다(S345). 이를 통해,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인접한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각 모드에 따라 상이한 통신을 활성화하여 비사용 통신에 대한 전력 소모를 제거하여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각 모드에 사용되는 통신 유닛을 제1,2 이어폰 각각에 분산시켜 공간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nd the processor may perform communication activation (S345). Through this,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y communicate with an adjacent terminal. In addition, the processor activates differ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each mode to remove power consumption for unused communication, thereby improving the power efficiency of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Furthermore,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can improve spatial efficiency by distributing the communication unit used in each mode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earphones.

그리고 프로세서는 결제 모드에 대응하는 통신 예컨대, LTE를 활성화할 수 있다.And the processor may activate the communication corresponding to the payment mode, for example, LTE.

이후에, 프로세서는 활성화된 통신을 통해 서버로부터 결제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정보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S350). 또한, 프로세서는 결제 정보 확인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 통신 활성화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rocessor may receive payment information from the server through the activated communication, and perform payment information verification (S350). In addition, the processor may perform communication activation again when payment information verification is not performed.

그리고 프로세서는 결제 정보 확인이 수행되면, 상술한 제1 입력부(114)와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제3 입력 신호와 제4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351, S352). 실시예로, 결제 정보 확인이 수행되면, 사용자는 결제를 위한 인증 정보를 제1 입력부(114)와 제2 입력부(124)를 통해 단말기 또는 서버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payment information is checked,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third input signal and the fourth input signal through the above-described first input unit 114 and second input unit 124 ( S351 and S352 ). In an embodiment, when payment information is checked, the user may provide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payment to the terminal or server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14 and the second input unit 124 .

제1 입력부(114)를 통해 제3 입력 신호가 수신되어, 예컨대 원하는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숫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2 입력부(124)를 통해 제4 입력 신호가 수신되어 원하는 숫자가 입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입력 신호는 입력부의 터치 또는 푸쉬로 발생할 수 있다.A third input signal may be received through the first input unit 114 to select, for example, a desired number.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numbers. In addition, a fourth input signal may be received through the second input unit 124 to input a desired numb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put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touch or push of the input unit.

이에 따라, 프로세서는 제3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제4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13)는 상기 숫자 및 숫자의 위치(예컨대, 복수 개의 숫자 중 몇 번째)를 표시할 수 있다. 기입력된 숫자는 보안을 위해 숫자가 아닌 기설정된 문자로 표시될 수 있다(P1). 또한, 사용자에 의해 선택중인 숫자는 하이라이트 또는 깜빡임 등이 적용될 수 있다(P2).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3)는 선택 대기중인 영역에서 임의의 문자 또는 숫자를 표시할 수 있다(P3). Accordingly, the processor may receive the third input signal and receive the fourth input signal.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13 may display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the number (eg, a number of a plurality of numbers). The entered number may be displayed as a preset character instead of a number for security (P1). In addition, highlighting or blinking may be applied to the number being selected by the user (P2).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13 may display arbitrary characters or numbers in the area waiting to be selected (P3).

사용자에 의한 숫자 입력이 완료되면, 서버 또는 단말기에서 핀 번호 확인이 수행될 수 있다(S353). 핀 번호가 확인 되면 프로세서는 결제 정보 확인이 수행된 경우에 태그(TAG)가 활성화할 수 있다(S355). 이 때, 인증 정보인 핀 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서버 또는 단말기에 기 저장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input by the user is completed, pin number verification may be performed in the server or terminal (S353). When the pin number is confirmed, the processor may activate the tag (TAG) when payment information confirmation is performed ( S355 ). In this case, the PIN number, which is authentication information, may be pre-stored in the server or terminal by the user.

이후에,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는 판매자가 소유한 카드 단말 장치(예컨대, POS)와 통신(예컨대, 태그(TAG))이 이루어질 수 있다(S360). 이 경우, 사용자가 등록한 사용자 정보(예컨대, 카드 정보)를 생성하고, 카드 정보가 단말기로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태그가 수행되면 상기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결제가 완료될 수 있다(S370).Thereafter, the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the smart key and the payment function may communicate (eg, a tag (TAG)) with a card terminal device (eg, POS) owned by the seller (S360). In this case, user information registered by the user (eg, card information) may be generated, and the car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terminal. Accordingly, when tagging is performed, payment may be completed based on the payment information (S370).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The term '~ unit' used in this embodiment means software or a hardware component such as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SIC, and '~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The '~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as an example, '~' refers to components such as software components,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s, class components, and task compon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procedures. , subroutines, segments of program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s provided in the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 '~ uni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 units'. In addition, components and '~ units' may be implemented to play one or more CPUs in a device or secure multimedia card.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bove, it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re not exemplified above in a range that does not depart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And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오디오를 출력하는 제1 이어폰;
상기 제1 이어폰과 결합하는 제2 이어폰; 및
상기 제1 이어폰과 상기 제2 이어폰이 서로 연결되면 키 모드 또는 결제 모드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키 모드에서 차량을 개폐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결제 모드에서 카드 정보를 생성하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하고,
제1 이어폰은,
제1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1 헤드부; 및
상기 제1 헤드부와 연결되고 절곡되는 제1 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어폰은 제2 돌출부를 포함하는 제2 헤드부; 및
상기 제2 헤드부와 연결되고 절곡되는 제2 가지부를 포함하는
상기 제1 가지부는 내측면이 상기 제2 가지부의 외측면과 접하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
a first earphone outputting audio;
a second earphone coupled to the first earphone; and
a processor for performing a key mode or a payment mode when the first earphone and the second earphon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processor includes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for generating a signal for opening and closing a vehicle in the key mode, and for generating card information in the payment mode,
The first earphone,
a first head portion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and
and a first branch part connected to the first head part and bent.
The second earphone includes a second head including a second protrusion; and
and a second branch connected to the second head and bent.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in which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is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지부는 상기 제1 가지부와 상기 제1 헤드부 사이로 삽입되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ranch portion includes a smart key inserted between the first branch portion and the first head portion and a payment fun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지부는 최대 폭이 상기 제1 가지부와 상기 제1 헤드부 사이의 최소 거리보다 큰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branch has a maximum width greater than a minimum distance between the first branch and the first head, and includes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어폰은 상기 제1 가지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earphone is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including a first connector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branch and a payment function.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어폰은 상기 제2 가지부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second earphone is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including a second connector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branch and a payment fun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커넥터는 핀으로 이루어지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connector is made of a hole,
The second connector is a combined earphone device including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made of a pi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커넥터와 상기 제2 커넥터가 서로 연결되면 상기 키 모드 또는 상기 결제 모드를 수행하는 스마트 키 및 결제 기능을 포함한 결합형 이어폰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processor includes a smart key and a payment function for performing the key mode or the payment mode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KR1020200046007A 2020-04-16 2020-04-16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KR10226292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07A KR102262927B1 (en) 2020-04-16 2020-04-16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6007A KR102262927B1 (en) 2020-04-16 2020-04-16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927B1 true KR102262927B1 (en) 2021-06-09

Family

ID=7641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007A KR102262927B1 (en) 2020-04-16 2020-04-16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927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894A (en) * 2011-06-24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Earphon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101984562B1 (en) * 2018-05-16 2019-05-31 (주)파트론 Portable audio equipment
KR20190085433A (en) * 2018-01-10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headse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894A (en) * 2011-06-24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Earphon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KR20190085433A (en) * 2018-01-10 2019-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Wireless headset
KR101984562B1 (en) * 2018-05-16 2019-05-31 (주)파트론 Portable audio equip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7445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peripheral electronic apparatus
KR102303909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application for vehicle
KR102397895B1 (en)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EP3502862B1 (en) Method for presenting content based on checking of passenger equipment and distraction
US11437841B2 (en) Controller with inductive charging and slideable portions
KR1023933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signal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US8849358B2 (en) Mobile device display management
KR10191409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application for vehicle interworking mobile device
US9860710B2 (en) Symmetrical reference personal device location tracking
US2016005048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347560B (en) Bluetooth connec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70308689A1 (en) Gesture-based Wireless Toggl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30339720A1 (en) Automatic sleep mode prevention of mobile device in car holder
US20180359604A1 (en) Alert for left-behind mobile device
US10070225B1 (en) Vehicle entertainment system
KR102378833B1 (en) Electronic device
KR102262927B1 (en) Earphone device with function of smart key and payment
US20150072622A1 (en) Negative ion ornament with detachable wireless accessory
CN106572247B (en) Method for automatically opening motor vehicle trunk based on mobile device and mobile device
KR101821108B1 (en) Vehicle system and remote controlling method
US20090298532A1 (en) System for carrying out a data transfer and components of said system
CN206948397U (en) The housing unit and terminal of terminal
US20220332247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1999294B2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292388A1 (en) Machine learning mobile device loc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