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358B1 - 애완동물 목욕장치 - Google Patents

애완동물 목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358B1
KR102261358B1 KR1020190045548A KR20190045548A KR102261358B1 KR 102261358 B1 KR102261358 B1 KR 102261358B1 KR 1020190045548 A KR1020190045548 A KR 1020190045548A KR 20190045548 A KR20190045548 A KR 20190045548A KR 102261358 B1 KR102261358 B1 KR 102261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et
washing
head
body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3330A (ko
Inventor
오성진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4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358B1/ko
Publication of KR20200123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3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5Floor coverings, e.g. bedding-down sheets ; Stable floors
    • A01K1/0152Lit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6Protective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산하게 움직이는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척과 건조까지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목욕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는, 상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애완동물이 놓여지는 깔판이 구비되는 본체부;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두부 방향인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회동되며, 회동에 따라 본체부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두부를 보호하는 두부 보호부; 수용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을 세척시키는 세척부; 세척부와 연결되어, 세척부에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부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두부 보호부와 대향되는 본체부의 타측과 힌지결합되어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회동되며, 회동에 따라 본체부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세척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본체부의 상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애완동물 목욕장치{Bath apparatus of pets}
본 발명은 애완동물 목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산하게 움직이는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척과 건조까지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목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완동물은 사람과 생활공간을 공유하며, 특히 최근에는 개인 주택뿐만 아니라 아파트와 같은 공동 주택에서도 실내에서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애완동물과 함께 생활함으로써, 어린아이들의 면역력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으나, 기본적인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것이 불가피하다.
한편, 애완동물을 목욕시키는 장소는 욕실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애완동물의 움직임 때문에 매우 번거로우며, 애완동물이 큰 개일 경우, 물리적 힘의 한계상황도 있을 수 있다. 또한, 욕실등 목욕장소가 지저분해지기 때문에, 후처리에 소요되는 노력도 상당할 것이다.
따라서, 애완동물을 통제하면서 목욕시킬 수 있는 기술들이 제안되었으며, 이들 종래의 기술들은 주로 애완동물을 반 밀폐된 공간에 수용하고, 목욕에 필요한 각종 기구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043호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에는 애완견이 수용되는 덮개, 상기 덮개의 하단에 결합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펄세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 및 샤프트조립체가 구비되고 바닥면은 물을 배수하기 위해 경사가 형성되는 배수구가 형성된 하부베이스, 및 애완견이 놓여지며 표면에 다수개의 통수공이 관통되어 상기 펄세이터의 물살에 의해 애완견을 골고루 씻기게 되는 깔판을 포함하는 애완견 목욕장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은 구조와 작동이 복잡하고 별도의 전기 장치를 사용하는 구조가 많기 때문에, 부산하게 움직이는 애완동물을 통 목욕기 내부에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으며, 견주가 사용함에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이용한 목욕과정에서 전기장치가 인접되어 설치됨으로써, 안전 사고의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043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부산하게 움직이는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척과 건조까지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목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세척에 필요한 급수기능과 건조에 필요한 냉, 온풍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세척과 건조까지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애완동물 목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눈이나 호흡구를 확인하여 호흡이 원활한지 확인하면서 애완동물을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는 애완동물 목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는, 상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수용공간에 애완동물이 놓여지는 깔판이 구비되는 본체부;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두부 방향인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회동되며, 회동에 따라 본체부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두부를 보호하는 두부 보호부; 수용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을 세척시키는 세척부; 세척부와 연결되어, 세척부에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본체부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및 두부 보호부와 대향되는 본체부의 타측과 힌지결합되어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회동되며, 회동에 따라 본체부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세척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본체부의 상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의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두부 보호부는,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 힌지결합부; 및 제1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동되며, 회동에 따라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두부가 인입되어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두부를 보호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부는, 두부가 인입된 애완동물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두부가 인입된 애완동물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호흡공;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부는, 본체부의 타측과 힌지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제2 힌지결합부에 의해 회동되며, 회동에 따라 본체부의 상측을 폐쇄한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는 망형구조물로서 깔판의 상측에 배치되되, 본체부의 수용공간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일측에는 급수부의 급수 연결부재를 통해 급수부와 연결되는 유입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타측에는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한편, 세척부는, 본체부의 상측을 폐쇄할 때, 깔판을 향하게 되는 덮개부의 일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급수부의 급수 연결부재를 통해 급수부와 연결되는 유입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타측에는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분사부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구비되어, 세척수의 분사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애완동물 목욕장치는, 세척부와 송풍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송풍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세척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송풍부;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세척부는,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수용공간에 분사하여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을 건조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산하게 움직이는 애완동물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안전사고의 가능성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세척과 건조까지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에 필요한 급수기능과 건조에 필요한 냉, 온풍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세척과 건조까지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의 사용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깔판이 분해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체부의 상측이 개방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체부의 상측이 폐쇄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체부의 상측이 폐쇄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배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일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의 사용예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깔판이 분해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체부의 상측이 개방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체부의 상측이 폐쇄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체부의 상측이 폐쇄된 본체부, 두부 보호부 및 덮개부의 배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는 본체부(100), 두부 보호부(200), 덮개부(300), 급수부(400), 송풍부(500), 세척부(600) 및 배출부(700)가 구비된다.
본체부(100)는 상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애완동물(1)이 수용되는 수용공간(101)을 형성한다. 이러한 본체부(100)는 깔판(110) 및 슬립방지부(120)가 구비된다.
깔판(110)은 상측에 애완동물(1)이 놓여지고, 급수부(400)에서 급수되어 세척부(6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405)와, 송풍부(503)에서 토출되어 세척부(600)로부터 분사되는 냉풍(501) 또는 온풍(503)이 통과되는 관통공(115)이 복수로 형성된다.
또한, 깔판(110)은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다. 이는, 본체부(100)의 내벽에 끼움을 통해 본체부(100)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깔판(110)은 본체부(100)의 하면과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공(115)을 통과하여 배출부(700)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체부(100)는 내벽으로부터 돌출부(103)가 연장형성된다. 이는, 깔판(110)의 둘레부의 하측을 지지하여 깔판(110)이 애완동물(1)에 의해 본체부(100)의 하면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관통공(115)을 통과하여 배출부(700)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본체부(100)는 급수부(400) 및 송풍부(500)가 세척부(600)와 각각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급수부(400) 및 송풍부(500)와 세척부(600) 간의 연결부가 인입되는 연결구(미도시)가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슬립방지부(12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깔판(110)에 놓여진 애완동물(1)의 움직임에 의해 본체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슬립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슬립방지부(120)는 지지부(121) 및 슬립방지부재(122)가 구비된다.
지지부(121)는 슬립방지부재(122)가 하측에 접착되며, 본체부(100)의 하부와 결합되어 본체부(100)를 지지한다.
또한, 지지부(121)는 일례로 동물(예: 거북이)의 다리 형상으로 본체부(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슬립방지부재(122)는 지지부(121)의 하측에 접착되며,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져 깔판(110)의 상측에 놓여지는 애완동물(1)의 움직임에 의해 본체부(100)가 유동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슬립방지부재(122)는 일례로 동물(예: 거북이)의 발바닥 형상으로 지지부(121)의 하측에 접착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두부 보호부(200)는 본체부(100)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깔판(110)의 상측에 놓여지는 애완동물(1)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부(210) 및 제1 힌지결합부(220)가 구비된다.
또한, 두부 보호부(200)는 애완동물(1)의 상측 일부를 폐쇄하면서 애완동물(1)의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깔판(110)의 상측에 놓여진 애완동물(1)의 두부 방향인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비된다.
커버부(210)는 제1 힌지결합부(22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며, 제1 방향으로 회동할 때는 본체부(100)의 애완동물(1)의 두부가 인입되어, 애완동물(1)의 두부를 보호한다. 이러한 제1 방향과 대향되는 제2 방향으로 회동할 때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를 개방하며, 애완동물(1)의 두부 보호를 해제한다.
또한, 커버부(210)는 애완동물(1)의 시야가 확보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애완동물(1)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호흡공(215)이 복수로 구비된다.
더 나아가, 호흡공(215)은 일례로 동물(예: 거북이)의 눈 형상으로 커버부(210)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힌지결합부(220)는 커버부(210)가 본체부(100)의 애완동물(1)의 두부를 보호하도록 하거나 본체부(100)의 상부를 개방하기 위해, 커버부(210)와 힌지결합되어 커버부(210)를 회동시킨다.
또한, 제1 힌지결합부(220)는 커버부(210)를 회동시킬 뿐만 아니라, 커버부(210)의 일측을 감싸는 면적을 가지게 된다. 이를 통해, 제1 방향으로 회동할 때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를 폐쇄하되, 제2 방향으로 회동할 때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를 개방한다.
즉, 두부 보호부(200)는 커버부(210)로 애완동물(1)의 두부를 보호하며, 제1 힌지결합부(220)를 통해 본체부(100)의 상부 일측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덮개부(300)는 본체부(100)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세척부(600)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제2 힌지결합부(310)가 구비된다.
여기서, 덮개부(300)가 폐쇄하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라 함은, 두부 보호부(200)가 폐쇄하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가 아닌 나머지 본체부(100)의 상측을 의미한다.
또한, 덮개부(300)는 본체부(100)의 상측을 폐쇄하기 위해, 두부 보호부(200)와 대향되는 본체부(100)의 타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덮개부(300)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할 뿐 아니라, 깔판(110)에 놓여지는 애완동물(1)의 부산스런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300)는 제2 힌지결합부(220)의 회동에 따라 회동되며, 제1 방향으로 회동할 때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를 폐쇄하며, 이러한 제1 방향과 대향되는 제2 방향으로 회동할 때는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를 개방한다.
이와 같은, 덮개부(300)는 일례로 동물(예: 거북이)의 등(등껍질) 형상으로 구비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힌지결합부(310)는 덮개부(300)가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본체부(100)의 상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기 위해, 덮개부(300)와 힌지결합되어 덮개부(300)를 회동시킨다.
급수부(400)는 세척부(600)와 연결되어, 세척부(600)에 세척수(405)를 급수한다. 여기서, 급수부(400)는 세척수(405)를 세척부(600)에 급수하기 위해, 세척부(600)와 연결되는 급수부 연결부재(4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급수부(400)는 세척수(405)를 세척부(600)에 급수하기 위한 수단(예: 펌프, 급수관, 저수조, 수도전 등)을 의미한다.
또한, 급수부(400)는 견주(사용자)에 의해 급수 횟수 및 급수 시간이 설정된다. 일례로, 급수부(400)의 급수 횟수는 급수 시간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송풍부(500)는 세척부(600)와 연결되어, 세척부(600)에 냉풍(501) 또는 온풍(503)을 토출한다. 여기서, 송풍부(500)는 냉풍(501) 또는 온풍(503)을 세척부(600)에 토출하기 위해, 세척부(600)와 연결되는 송풍부 연결부재(510)가 구비된다.
이러한 송풍부(500)는 냉풍(501) 또는 온풍(503)을 세척부(600)에 토출하기 위한 수단(예: 헤어드라이기, 냉풍 건조장치, 온풍 건조장치 등)을 의미한다.
또한, 송풍부(500)는 견주(사용자)에 의해 토출 횟수 및 토출 시간이 설정된다. 일례로, 송풍부(500)의 토출 횟수는 토출 시간에 비례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급수부(400)와 송풍부(500)는 세척부(600)와 각각 연결되나, 세척 과정과 건조 과정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중복되게 동작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례로, 급수부(400)가 동작될 때는 송풍부(5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반대로, 송풍부(500)가 동작될 때는 급수부(400)는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세척부(600)는 깔판(110)에 놓여지는 애완동물(1)을 세척하기 위해 세척수(405)를 분사하며, 세척된 애완동물(1)을 건조하기 위해 냉풍(501) 또는 온풍(503)을 토출한다.
즉, 세척부(600)는 세척 뿐만 아니라 건조 과정도 수행하는 장치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세척부(600)는 전기장치가 아니라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세척부(600)는 애완동물(1)을 세척 및 건조하기 위해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는 망형구조물이며, 깔판(110)의 상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세척부(600)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됨에 따라, 내부에 깔판(110)에 놓여진 애완동물(1)이 위치된다.
이와 같은, 세척부(600)는 유입부(610), 분사부(620), 관로(630) 및 장착부(640)가 구비된다.
유입부(610)는 일측에 구비되어 급수부 연결부재(410)를 통해 급수부(400)와 연결되고, 송풍부 연결부재(510)를 통해 송풍부(500)와 연결된다.
이를 통해, 유입부(610)에는 급수부(400)로부터 급수되는 세척수(405)가 유입되고, 송풍부(500)로부터 토출되는 냉풍(501) 또는 온풍(503)이 유입된다.
더 나아가, 유입부(610)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유입될 수 있으나, 둘 이상 유입되지 않게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례로, 유입부(610)에 세척수(405)가 유입될 때에는 냉풍(501), 온풍(503)은 유입부(610)에 유입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분사부(620)는 유입부(610)를 통해 유입되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를 분사한다.
이를 통해, 분사부(620)는 세척수(405)를 통해 애완동물(1)을 세척하며, 냉풍(501) 또는 온풍(503)을 통해 애완동물(1)을 건조시킨다.
더 나아가, 분사부(620)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짐에 따라,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 각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부(620)의 분사 각 변경은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분사부(620)의 분사 각을 변경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관로(630)는 유입부(610)에 유입되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순환되도록 하는 경로를 제공하여 분사부(620)로부터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러한 관로(630)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의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세척부(600)의 망형구조를 이루는 부재이기도 하다.
장착부(640)는 세척부(600)가 본체부(100)의 상측에 걸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다.
배출부(700)는 본체부(100)의 하부에 구비되어, 세척부(600)로부터 분사되어 하면에 잔존하는 세척수(405)와, 세척부(600)로부터 분사되는 냉풍(501) 또는 온풍(503)을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본체부(100)는 하면에 잔존하게 되는 세척수(405)의 배출을 위해, 하면이 배출부(700)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지금까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는 급수부(400), 송풍부(500), 세척부(6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어부(미도시)는 일례로 두부 보호부(200)와 덮개부(300)가 본체부(100)의 상측을 폐쇄하는지 감지하며, 본체부(100)의 상측이 폐쇄될 때, 급수부(400) 또는 송풍부(500)를 동작시켜 세척부(600)로부터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가 분사되도록 세척부(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두부 보호부(200)가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를 폐쇄하지 않아도 급수부(400), 송풍부(500), 세척부(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견주(사용자)가 깔판(110)에 놓여지는 애완동물(1)의 두부를 손으로 만져주어 세척 및 건조 과정 동안에 애완동물(1)에게 안정감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덮개부(300)가 본체부(100)의 상측 일부를 폐쇄하지 않아도 급수부(400), 송풍부(500), 세척부(6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견주(사용자)가 깔판(110)에 놓여지는 애완동물(1)의 두부를 제외한 부분을 손으로 만져주어 세척부(600)와 함께 세척 및 건조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다만, 일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편의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 목욕장치는 일 실시예와 달리 세척부(600)가 덮개부(300)에 장착된다.
세척부(600)는 일 실시예와 달리, 깔판(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덮개부(30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의 세척부(600)와 달리 하측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
또한, 세척부(600)의 분사부(620)는 세척수(405), 냉풍(501), 온풍(503)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 각을 변경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세척부(600)의 장착부(640)는 일 실시예와 달리 덮개부(300)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를 통해, 세척부(600)는 덮개부(300)의 회동과 무관하게 덮개부(300)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덮개부(300)는 세척부(600)의 동작을 위해, 급수부(400) 및 송풍부(500)와 세척부(600) 간의 연결부가 인입되는 연결구(미도시)가 일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애완동물,
100: 본체부,
101: 수용공간,
103: 돌출부,
110: 깔판,
115: 관통공,
120: 슬립방지부,
121: 지지부,
122: 슬립방지부재,
200: 두부 보호부,
210: 커버부,
215: 호흡공,
220: 제1 힌지결합부,
300: 덮개부,
310: 제2 힌지결합부,
400: 급수부,
405: 세척수,
410: 급수 연결부재,
500: 송풍부,
501: 냉풍,
503: 온풍,
510: 송풍 연결부재,
600: 세척부,
610: 유입부,
620: 분사부,
630: 관로,
640: 장착부,
700: 배출부.

Claims (9)

  1. 상측이 개방되며, 내부에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애완동물이 놓여지는 깔판이 구비되는 본체부;
    상기 깔판에 놓여진 애완동물의 두부 방향인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일측으로부터 회동되며,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상기 애완동물의 두부를 보호하는 두부 보호부;
    상기 수용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상기 애완동물을 세척시키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와 연결되어, 상기 세척부에 상기 세척수를 급수하는 급수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에 잔존하는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두부 보호부와 대향되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과 힌지결합되어 상기 본체부의 타측으로부터 회동되며, 상기 회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일부 폐쇄하면서 상기 세척부로부터 분사되는 세척수가 상기 본체부의 상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덮개부; 및
    상기 세척부와 송풍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송풍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된 세척부에 냉풍 또는 온풍을 토출하는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상측과 하측이 개방되는 망형구조물로서 상기 깔판의 상측과 상기 덮개부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애완동물이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며, 일측에는 상기 급수부의 급수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급수부와 연결되는 유입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급수되는 상기 세척수, 상기 송풍부로부터 공급되는 냉풍 또는 온풍을 기 수용공간에 분사하는 분사부가 하나 이상 구비되며,
    상기 분사부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동안 상기 세척수, 냉풍, 온풍 중 적어도 하나의 분사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상기 본체부는,
    고무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제로 하부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애완동물의 움직임에 의해 슬립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부 보호부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는 제1 힌지결합부; 및
    상기 제1 힌지결합부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애완동물의 두부를 보호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두부 보호를 해제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두부가 인입된 애완동물의 시야를 확보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두부가 인입된 애완동물의 호흡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호흡공;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의 타측과 힌지결합되는 제2 힌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결합부에 의해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애완동물의 두부를 제외한 부분을 보호하고, 상기 제 방향으로 회동될 때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부를 개방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두부를 제외한 부분의 보호를 해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두부 보호부 및/또는 상기 덮개부가 상기 본체부의 상측을 폐쇄하는지 감지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측이 폐쇄되는 경우, 상기 두부 보호부의 제2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부만 폐쇄되는 경우 및 상기 덮개부의 제2 방향 회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의 상측 일부만 폐쇄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일 때, 상기 급수부, 상기 송풍부 및 상기 세척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애완동물의 세척 및 건조 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 목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0045548A 2019-04-18 2019-04-18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2261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48A KR102261358B1 (ko) 2019-04-18 2019-04-18 애완동물 목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548A KR102261358B1 (ko) 2019-04-18 2019-04-18 애완동물 목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330A KR20200123330A (ko) 2020-10-29
KR102261358B1 true KR102261358B1 (ko) 2021-06-07

Family

ID=73129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548A KR102261358B1 (ko) 2019-04-18 2019-04-18 애완동물 목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3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097A (ko) 2021-07-08 2023-01-18 송문선 반려동물 항균살균미용 샤워 세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34Y1 (ko) 2003-04-16 2003-06-28 김용덕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
KR200348736Y1 (ko) * 2004-02-11 2004-04-29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471920Y1 (ko) 2013-07-15 2014-04-07 곽동식 애완 동물 샤워 부스 장치
JP2014171455A (ja) 2013-03-11 2014-09-22 Aron Kasei Co Ltd ペット用洗浄器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ペット用洗浄器具セット
KR101913963B1 (ko) * 2017-09-13 2018-10-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32Y1 (ko) 2004-06-16 2004-08-30 강동윤 애완견 목욕장치
KR100720736B1 (ko) * 2005-07-12 2007-05-22 김택석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534Y1 (ko) 2003-04-16 2003-06-28 김용덕 애완동물 자동 세척기
KR200348736Y1 (ko) * 2004-02-11 2004-04-29 주식회사 다이와테쿠노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JP2014171455A (ja) 2013-03-11 2014-09-22 Aron Kasei Co Ltd ペット用洗浄器具およびそれを備えたペット用洗浄器具セット
KR200471920Y1 (ko) 2013-07-15 2014-04-07 곽동식 애완 동물 샤워 부스 장치
KR101913963B1 (ko) * 2017-09-13 2018-10-31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097A (ko) 2021-07-08 2023-01-18 송문선 반려동물 항균살균미용 샤워 세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3330A (ko) 2020-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0736B1 (ko)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US11582950B2 (en) Pet bath
US20110297103A1 (en) Pet bathtub
US7497188B2 (en) Pet bathing apparatus
KR101913963B1 (ko) 애완동물 자동세척 목욕기
JP3798005B2 (ja) ペット洗浄乾燥装置
EP3358945B1 (en) Automated animal washing systems
CA2707181A1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WO2005077156A1 (en) Bath apparatus for pets
KR102261358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KR101525934B1 (ko) 애완동물용 스파
CN105379638A (zh) 宠物洗澡吹干一体机
KR200314068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102354338B1 (ko) 반려동물 샤워 겸용 드라이룸
JP2007037538A (ja) 犬用洗浄装置
KR101908229B1 (ko) 드라이룸을 구비한 애견욕조장치
KR101377310B1 (ko) 애완동물의 샤워장치
KR200357835Y1 (ko) 애완동물의 세척장치
KR200373465Y1 (ko) 애완동물용 세척장치
KR102398378B1 (ko) 정서교감형 반려동물 목욕기
KR100460591B1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KR20190023960A (ko)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KR200278878Y1 (ko) 애완동물용 자동 안마 목욕조
KR102370016B1 (ko) 일체형 반려견 목욕시스템
US20230165216A1 (en) Animal cleaning, drying and/or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