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077B1 -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 Google Patents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077B1
KR102261077B1 KR1020200085223A KR20200085223A KR102261077B1 KR 102261077 B1 KR102261077 B1 KR 102261077B1 KR 1020200085223 A KR1020200085223 A KR 1020200085223A KR 20200085223 A KR20200085223 A KR 20200085223A KR 102261077 B1 KR102261077 B1 KR 10226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lock
zct
bus bar
hole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왕산업
Priority to KR1020200085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0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6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 H01R9/2625Clip-on terminal blocks for side-by-side rail- or strip-mounting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2Mean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specially adapted for thermome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Instrument Details And Bridges, And Automatic Balanc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CT와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ZCT가 단자대에 통합적으로 구비된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Current sensor integrated terminal stand}
본 발명은 배선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CT와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ZCT가 단자대에 통합적으로 구비된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규모 이상의 전기설비에는 배선용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를 선택적으로 분기 설치하여 배전 계통과 각종 분기 선로의 단락 또는 지락사고로 인한 과대전류가 사용부하로 흐르는 것을 차단하거나 단속함으로써, 부하의 사용에 따른 인체의 감전이나 누전 부하에 의한 화재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배선용 차단기는 각각의 선로에서 발생되는 누전상태를 알지 못함에 따라 지락사고에 의한 인체의 감전이나 화재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었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사용부하와 연결되는 단상이나 3상 또는 중성선이 포함된 배선용 차단기의 출력선로에 각상으로 흐르는 전류균형의 붕괴가 감지되는 영상 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전기위험 사고를 줄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영상 변류기는 코일을 권선한 자성체코어를 금속재 케이스로 케이싱하거나 또는 합성수지재 케이스로 케이싱하여 보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영상 변류기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고정장치가 소요되고, 작업시간과 그에 따른 설치공간을 미리 확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배전반에 있어서, 배선용 차단기를 통해 전원기를 입력하고 단자대를 통해 전원을 출력할 시, 환형의 영상 변류기가 배전반 일측에 설치되고, 영상 변류기 내부를 통과하도록 전력라인을 출력해야 하기 때문에, 굵기가 비교적 큰 전력라인을 영상 변류기로 통과시키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영상 변류기와 단자대가 별도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배전반 내부에 많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특히 굵은 전력라인을 휘면서 영상 변류기를 통과시키는 조립과정이 어려워 배선 작업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107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CT와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ZCT가 단자대에 통합적으로 구비된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는, 서로 대향하는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입력측 단자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출력측 단자대에 타측이 결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스바; 상기 버스바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CT(Current Transformer); 및 상기 다수개의 버스바 모두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버스바에 흐르는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ZCT(Zero 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에는 상기 입력측 단자대와 상기 출력측 단자대 사이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CT 및 상기 ZCT가 배치되는 센싱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에는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버스바가 관통될 수 있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싱블록에는 상기 CT 각각의 내부와 상기 ZCT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싱블록이 상기 몸체와 결합되면, 상기 각 버스바가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버스바의 일측이 상기 입력측 단자대에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의 타측이 상기 출력측 단자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CT와 상기 ZCT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CT 및 상기 Z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CT의 전류 정보 및 상기 ZCT의 영상 전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값 및 영상 전류값을 검출하고, 상기 전류값 및 영상 전류값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전류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 전류값이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에는 외부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버스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PCB 이거나 SOC(System On Chip)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체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조립 방법은, 서로 대향하는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 사이에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각 버스바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CT 및 상기 ZCT가 배치되며, 상기 CT 각각의 내부와 상기 ZCT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된 센싱블록;을 포함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의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CT 및 상기 ZCT가 내부에 배치된 센싱블록을 준비하는 제1 단계; 상기 몸체의 홈에 상기 센싱블록을 삽입하여,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이 연통되도록, 상기 센싱블록을 상기 몸체에 결합시키는 제2 단계; 및, 상기 버스바를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시켜, 상기 버스바의 일측을 상기 입력측 단자대에 결합시키고, 타측을 상기 출력측 단자대에 결합시키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단계 이후, 상기 버스바의 일측과 타측을 체결볼트로 결속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 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CT와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ZCT가 단자대에 통합적으로 구비된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로서, 전장 설비의 소형화, 집적화, 및 제작공정의 간소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몸체와 센싱블록만을 분리하여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에 대해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상면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대(10)는 몸체(100), 다수개의 버스바(310, 320, 330, 340), CT(400) 및 ZCT(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0)는 서로 대향하는 입력측 단자대(110)와 출력측 단자대(120)를 포함한다.
버스바(310, 320, 330, 340) 각각은 일측이 입력측 단자대(110)와 결합되고 타측이 출력측 단자대(120)와 결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된다.
CT(400)는 각 버스바(310, 320, 330, 34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도록 버스바(310, 320, 330, 340) 각각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대(10)는 버스바(310, 320, 330, 340)가 4개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CT(400)가 4개 구비될 수 있다.
ZCT(500)는 버스바(310, 320, 330, 340)에 흐르는 영상 전류를 측정하도록 버스바(310, 320, 330, 340) 모두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즉, CT(400)와 달리 ZCT(500)는 한개만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에서 몸체와 센싱블록만을 분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10)는 몸체(100), 센싱블록(200), 버스바(300), CT(400) 및 ZCT(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CT(400)와 ZCT(500)에 대해 우선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T(400, Current Transformer)는 변류기로서, 환형의 자성체 코어와 자성체 코어에 권선된 코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자성체 코어 내부에 선로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선로에 흐르는 전류 변화로부터 유도 기전력에 의해 코일에 흐르게 되는 유도 전류를 이용하여 선로에 흐르는 전류의 값을 측정할 수 있다.
ZCT(500, Zero Current Transformer)는 변류기와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나, CT(400)는 CT(400) 내부를 관통하는 선로가 하나로서 해당 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인 반면, ZCT(500)는 입력 전원의 선로 모두가 ZCT(500)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ZCT(500)의 자성체 코어 내부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선로에 흐르는 전체 전류의 벡터 합, 즉 영상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CT(400)와 ZCT(5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선로는, 정격전류 및 차단용량 등에 따라, 용량이 작은 선로 상에서는 케이블일 수 있고, 용량이 큰 선로 상에서는 버스바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CT(400)와 ZCT(500)를 관통하는 선로가 버스바(30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CT(400)와 ZCT(500)는 버스바(30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몸체(100)와 센싱블록(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는 입력측 단자대(110)와 출력측 단자대(120)를 포함하고, 입력측 단자대(110)와 출력측 단자대(120) 사이에 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몸체의 홈(130)은 센싱블록(200)이 삽입되는 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홈(130)에 센싱블록(200)이 삽입되어 몸체(100)와 센싱블록(200)이 결합될 수 있다.
센싱블록(200)은 내부에 CT(400)와 ZCT(500)가 배치되며, 몸체의 홈(130)에 삽입되어 몸체(100)와 결합된다. 센싱블록(200)은 CT(400)와 ZCT(500)가 배치 내지 장착될 수 있는 구조와 위치를 제공하며, 센싱블록(200)의 전체 외형 및 부피는 몸체의 홈(1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서 센싱블록(200)의 외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센싱블록(200)과 몸체(100)에는 서로 대응되는 구조의 걸림부재가 구비되어, 센싱블록(200)이 몸체(100)에 결합될 시 걸림부재 등을 통해 서로 걸림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몸체(100)의 입력측 단자대(110)와 출력측 단자대(120)에는 각각 U자형 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U자형 홈의 내측, 즉 몸체의 홈(130) 측면으로 버스바(300)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관통홀(150)이 형성되고, 센싱블록(200)에는 CT(400)와 ZCT(500)의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2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과 제2 관통홀(250)의 수는 버스바(300)의 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150)과 제2 관통홀(250)이 각각 몸체(100)와 센싱블록(200)에 형성됨에 따라, 센싱블록(200)이 몸체의 홈(130)에 삽입되어 몸체(100)와 결합되면, 버스바(300)가 제1 관통홀(150)과 제2 관통홀(250)을 통과하여 버스바(300)의 일측이 입력측 단자대(110)에 결합되고 버스바(300)의 타측이 출력측 단자대(1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관통홀(150)과 제2 관통홀(250)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스바(300)는 일측이 입력측 단자대(110)와 결합되고 타측이 출력측 단자대(120)와 결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는, 내부에 CT(400)와 ZCT(500)가 배치 내지 장착된 센싱블록(200)을 준비하고, 이를 몸체의 홈(130)에 삽입하여 몸체(100)와 결합시키면 제1 관통홀(150)과 제2 관통홀(250)이 서로 연통되며, 이와 같이 연통된 제1, 제2 관통홀(150, 250)에 버스바(300)를 통과하여 적절히 위치시킴에 따라, 버스바(300)의 일측이 입력측 단자대(1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출력측 단자대(120)에 결합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버스바(300) 각각이 CT(400) 내부를 각각 관통하고, 버스바(300) 모두가 ZCT(500) 내부를 관통하여, CT(400)와 ZCT(500)가 버스바(30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후, 체결볼트 등을 이용하여 버스바(300)를 몸체(100)에 단단히 고정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10)가 조립 완성될 수 있다. 또는, 체결볼트로 체결하는 방식이 아닌, 제2 관통홀(250)에, 또는 제1 관통홀(150)과 제2 관통홀(250) 모두에 절연탄성부재를 구비하여 버스바(300)를 관통홀에 타이트하게 통과시킴으로써 버스바(300)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10)는 입력 및 출력 전원의 분기를 위해서 일측 및 타측으로 구획 분리된 다수개의 버스바(300) 터미널을 구비하고, 이때 단자대의 입력측 단자대(110)에 구비된 다수개의 버스바(300) 터미널에 입력 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출력측 단자대(120)에 구비된 다수개의 버스바(300) 터미널에 부하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단자대(10)는 배전반과 분전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입력 전원은 배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일 수 있고, 부하는 분전반에 인가하는 전원이 될 수 있다.
이때, 입력 전원, 예를 들어 배전반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은 3상 3선식 혹은 3상 4선식일 수 있고, 3상 3선식인 경우, 다수개의 버스바(300)는 각각 R상의 전류가 흐르는 R상 버스바(310), S상의 전류가 흐르는 S상 버스바(320) 및 T상의 전류가 흐르는 T상 버스바(33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3상 4선식인 경우 위 3상 3선식의 경우에서 N상의 전류가 흐르는 N상 버스바(3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입력 전원이 3상 3선식인 경우 ZCT(500) 내부를 관통하는 버스바(300)는 R상, S상, T상 버스바(310, 320, 330)로 이루어지고, 3상 4선식인 경우 ZCT(500) 내부를 관통하는 버스바(300)는 R상, S상, T상, N상 버스바(310, 320, 330, 3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대(10)는 배전반과 분전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배전반의 입력 전원이 버스바(300)에 인가되어 각 버스바(300)에 각 상에 해당하는 전류가 흐르게 되면, 각 버스바(300)에 구비된 CT(400)의 코일, 및 버스바(300) 모두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ZCT(500)의 코일에 전류 내지 영상 전류가 유도되어 흐르게 된다.
본 발명은 CT(400) 및 ZCT(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CT(400)의 전류 정보 및 ZCT(500)의 영상 전류 정보를 수신하여 각 버스바(300)에 흐르는 전류값 및 영상 전류값을 검출하고, 버스바(300)에 흐르는 전류값 및 영상 전류값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CT(400)의 전류 정보란 CT(400)의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를 의미할 수 있고, ZCT(500)의 영상 전류 정보란 ZCT(500)의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를 의미할 수 있고, 제어부는 이들을 수신하여 각 CT(400)를 관통하는 버스바(300)에 흐르는 각 상의 전류값 및 ZCT(500)를 관통하는 모든 버스바(300)의 영상 전류값을 검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버스바(300)에 흐르는 전류값과 영상 전류값을 전달받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에서 처리되는 정보들, 즉 전류 정보, 영상 전류 정보, 전류값, 영상 전류값 등의 정보는 아날로그 신호 및/또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어부는 영상 전류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영상 전류값이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에는 외부로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즉, 회로가 정상인 경우에는 ZCT(500)의 자성체 코어에 발생하는 자속은 서로 상쇄되어 전류가 발생하지 않으나, 회로에 누전 등이 발생하면 ZCT(500)의 자성체 코어에 누전전류에 의한 자속이 발생하여 ZCT(500)의 코일에 유도 전류가 흐르게 되며, ZCT(500)의 코일에 흐르는 유도 전류, 즉 영상 전류의 값이 기설정된 값, 예를 들어 0mA 또는 0.1mA이상인 경우에 이상이라 판단하고 이를 외부에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자대(10)는 CT 및 ZCT 전류센서가 통합된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로서, 전장 설비에 적용되는 각각 일정 간격 떨어져 설치 구성되는 전기 출력을 담당하는 단자대와, 각 상의 전류를 개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CT와, 누전/지락 등의 누설 전류를 측정하기 위한 ZCT를 하나의 통합 단자대에 구성함으로써, 전장 설비의 유지 보수, 전장 설비의 제작 공정 간소화, 설치 공간의 축소 등을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비용 절감 및 공정 단순화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단자대(10)의 관통홀 등을 통해 CT와 ZCT 내부에 버스바를 쉽게 관통시키도록 할 수 있고, 버스바를 몸체에 간편하게 결합하고 결속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공정 단순화의 이점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 외부와의 통신을 통해 외부에 단자대의 전후 전류 정보를 제공하여 외부에 의한 관리의 편의성을 더할 뿐 아니라, ZCT를 통해 전류 상태의 이상을 감지하여 알림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자대(10)는 전류센서인 CT(400)와 ZCT(500) 뿐만 아니라, 나아가 온도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함으로써, 온도 측정도 동시에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자대(10)는 각 버스바(30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센서로부터 버스바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각 버스바(30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각 버스바(300)에 근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외부로 버스바(300)의 각 상의 전류 정보, 영상 전류 정보 및 온도 정보 등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고, 이때 외부로 전달하는 정보는 상술한 각 정보를 그대로 전달하거나, 또는 정보를 가공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온도/RMS의 비례양 등으로 온도 정보와 전류 정보를 가공하여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부는 PCB로 이루어지거나 시스템온칩(SOC, System On Chip)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PCB 또는 SOC의 전기소자로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몸체(100)의 하단에 배치되도록 하여, 공간절약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제어부가 PCB로 이루어지는 경우, 센싱블록(200) 내에 구획을 두어 CT(400) 및 ZCT(500) 상부의 구획에 PCB를 매립하고, 다층으로 된 PCB의 아래층에 그라운드 레이어를 두고, 신호 선을 윗층의 레이어를 통해서 일측으로 뽑아내는 방식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노이즈 면역력을 강화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100 : 몸체
110, 120 : 입력측 단자대, 출력측 단자대
130 : 몸체의 홈
150 : 제1 관통홀
200 : 센싱블록
250 : 제2 관통홀
300 : 버스바
310, 320, 330, 340 : 각 버스바
400 : CT
500 : ZCT

Claims (10)

  1. 서로 대향하는 입력측 단자대와 출력측 단자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측 단자대와 상기 출력측 단자대 사이에 홈이 형성된 몸체;
    상기 입력측 단자대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출력측 단자대에 타측이 결합되며,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스바;
    상기 버스바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각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CT(Current Transformer);
    상기 다수개의 버스바 모두가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다수개의 버스바에 흐르는 영상 전류를 측정하는 ZCT(Zero Current Transformer);
    상기 몸체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몸체와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CT 및 상기 ZCT가 배치되는 센싱블록; 및
    상기 CT 및 상기 ZCT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CT의 전류 정보 및 상기 ZCT의 영상 전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각 버스바에 흐르는 전류값 및 영상 전류값을 검출하고, 상기 전류값 및 영상 전류값을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을 통해 외부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PCB로 이루어지고, 상기 PCB는 아래층에 그라운드 레이어가 구비되는 다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센싱블록 내에 구획을 두어, 상기 CT 및 ZCT의 상부의 구획에 상기 PCB가 매립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각 버스바가 관통될 수 있는 제1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센싱블록에는 상기 CT 각각의 내부와 상기 ZCT 내부를 관통하는 제2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센싱블록이 상기 몸체와 결합되면, 상기 각 버스바가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버스바의 일측이 상기 입력측 단자대에 결합되고 상기 버스바의 타측이 상기 출력측 단자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관통홀과 상기 제2 관통홀이 서로 연통되며,
    상기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에는 절연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전류값과 기설정된 값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 전류값이 상기 기설정된 값보다 큰 경우 외부로 알림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T와 상기 ZCT는 상기 버스바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버스바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로부터 상기 버스바의 온도 정보를 전달받아 외부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85223A 2020-07-10 2020-07-10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KR10226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23A KR102261077B1 (ko) 2020-07-10 2020-07-10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23A KR102261077B1 (ko) 2020-07-10 2020-07-10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077B1 true KR102261077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223A KR102261077B1 (ko) 2020-07-10 2020-07-10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0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382B1 (ko) * 2021-08-12 2021-12-06 양전관 안전선로 검출 변류기
KR102558593B1 (ko) * 2022-08-12 2023-07-24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마이크로 기술 기반의 원격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는 스마트 분전반
KR102581728B1 (ko) * 2023-04-05 2023-09-2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누전 및 과열방지 경보형 에너지하베스팅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581727B1 (ko) * 2023-04-04 2023-09-2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누전 및 과열방지 경보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715B1 (ko) 2003-01-14 2005-08-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KR20090126488A (ko) * 2008-06-04 2009-12-09 권영민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1085388B1 (ko) * 2010-09-30 2011-11-21 아이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단자대를 구비한 영상변류기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1799954B1 (ko) * 2017-03-20 2017-12-20 주식회사 베스텍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0715B1 (ko) 2003-01-14 2005-08-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KR20090126488A (ko) * 2008-06-04 2009-12-09 권영민 모니터링이 가능한 조립식 전원분배장치
KR101085388B1 (ko) * 2010-09-30 2011-11-21 아이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선용 단자대를 구비한 영상변류기
KR101629406B1 (ko) * 2015-07-20 2016-06-13 주식회사 비엠티 분,배전반용 일체형 전력 모니터링장치
KR101799954B1 (ko) * 2017-03-20 2017-12-20 주식회사 베스텍 과열로 인한 사고 확산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6382B1 (ko) * 2021-08-12 2021-12-06 양전관 안전선로 검출 변류기
KR102558593B1 (ko) * 2022-08-12 2023-07-24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마이크로 기술 기반의 원격 감시 및 보호 기능을 갖는 스마트 분전반
KR102581727B1 (ko) * 2023-04-04 2023-09-2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누전 및 과열방지 경보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2581728B1 (ko) * 2023-04-05 2023-09-22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누전 및 과열방지 경보형 에너지하베스팅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1077B1 (ko) 전류센서 일체형 단자대
US7474088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US7330022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289949B1 (ko) 3-상 전력 시스템용 접지 결함 회로 차단기 시스템
EP2663871B1 (en) Current transformer
US6809509B2 (en) Electrical monitoring system
KR20130102091A (ko)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상을 모니터링하는 측정 시스템
US20010029433A1 (en) Detection of arcing faults using bifurcated wiring system
US7161345B2 (en) Power monitoring system that determines phase using a superimposed signal
AU2020247540B2 (en) Open pen detection and shut down system
EP0983519A1 (en) Modular sensor array, metering device ,mounting and connection base
KR102336382B1 (ko) 안전선로 검출 변류기
EP0633640B1 (en) An earth leakage unit
CN1682419B (zh) 电气网保护系统
KR101200489B1 (ko) 지중 저압 분전함용 일체형 전압 변류기
KR100996779B1 (ko) 지중 저압 분전함 및 지중 저압 분전함의 제어방법
US20020080535A1 (en) Multiple ground fault trip function system and method for same
KR200356550Y1 (ko) 단자형 영상 변류기
CN109839530A (zh) 电流测量装置,电流测量装置的结构系列和电流测量方法
KR101085388B1 (ko) 배선용 단자대를 구비한 영상변류기
EP2875513B1 (en) Method and apparatus of sensing and indicating an open current transformer secondary
CN211045255U (zh) 一种大容量高精度的零序电流互感器
KR101976372B1 (ko) 마스터 차단기
GB2606005A (en) Detecting an open pen conductor
KR200399331Y1 (ko) 정밀단자형 영상변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