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823B1 - Coffee grinding machine - Google Patents

Coffee grind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823B1
KR102260823B1 KR1020190163421A KR20190163421A KR102260823B1 KR 102260823 B1 KR102260823 B1 KR 102260823B1 KR 1020190163421 A KR1020190163421 A KR 1020190163421A KR 20190163421 A KR20190163421 A KR 20190163421A KR 102260823 B1 KR102260823 B1 KR 102260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operating shaft
handle unit
handle
coff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4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빈스코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빈스코프
Priority to KR1020190163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823B1/en
Priority to CN202022192157.2U priority patent/CN214284613U/en
Priority to PCT/KR2020/017637 priority patent/WO2021118172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8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02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 A47J42/04Coffee mills; Spice mills having grinding cone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6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mechanically 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A coffee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grinder body provided with an operating shaft that rotates when grinding coffee beans; a handle unit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and holding the coffee beans by a user when grinding the coffee beans to rotate the operating shaft; and a handle engagement means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from the first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to be moved to a second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and to se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on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As the handle unit can be combined or detached very simply and easily, it is convenient to adjust a grinding level of the coffee beans.

Description

커피 그라인더{COFFEE GRINDING MACHINE}Coffee grinder {COFFEE GRINDING MACHINE}

본 발명은 커피 그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커피 원두를 미리설정된 분쇄도로 분쇄하기 위한 커피 그라인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gri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ffee grinder for grinding coffee beans to a preset grinding degree.

일반적으로, 커피 그라인더는 커피 원두를 잘게 부스러뜨려 커피 가루를 만드는 기계로서, 커피 원두를 원하는 분쇄도로 균일하게 분쇄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커피 원두가 균일하게 분쇄하지 않으면 커피의 맛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In general, a coffee grinder is a machine for making coffee powder by crushing coffee beans, and it is important to uniformly grind the coffee beans to a desired grinding degree. This is because if the coffee beans are not ground uniformly, the taste of coffee becomes unstable.

커피 그라인더의 그라인딩(grinding) 작업은 커피 원두의 추출 면적을 넓혀 주기 위한 작업으로서, 커피 원두를 곱게 분쇄할수록 뜨거운 물과 커피 가루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추출이 잘 일어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추출은 커피 가루와 뜨거운 물이 만나면서 세포조직 사이에 있던 가스가 빠져나간 후 입자 내부에 갇혀 있던 수많은 물질들이 물에 용해되는 과정이다.The grinding operation of a coffee grinder is an operation to widen the extraction area of coffee beans, and as the coffee beans are finely ground, the contact area between hot water and coffee powder increases, so that extraction can occur easily. In general, extraction is a process in which coffee powder and hot water meet, gas between cell tissues escapes, and numerous substances trapped inside particles are dissolved in water.

따라서, 커피 그라인더에 의해서 커피 원두가 균일한 입자 크기로 분쇄되면, 커피 가루의 입자 사이에 공간을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뜨거운 물과 커피 가루가 균일하게 접촉하여 커피의 맛과 향기를 결정하는 성분을 고르게 녹여낼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coffee beans are ground to a uniform particle size by the coffee grinder, the space between the coffee powder particles can be uniformly secured, so that the hot water and the coffee powder are in uniform contact to determine the taste and aroma of coffee. The ingredients can be dissolved evenly.

상기와 같은 커피 그라인더는, 동력원의 종류에 따라 수동식과 전동식으로 구분된다.The coffee grinder as described above is divided into a manual type and an electric type according to the type of power source.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는, 인력을 사용하여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핸드밀(hand mill)이 대표적이다.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는, 전력이 필요 없고, 단순한 구조로 형성하여 잔고장이 적으며, 가격이 대체로 저렴한 편이다.A typical example of a manual coffee grinder is a hand mill that grinds coffee beans using manpower. The manual coffee grinder does not require electric power, has a simple structure, so there is little trouble, and the price is generally low.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는, 간단한 버튼 조작만으로 커피 원두의 정밀 분쇄가 가능하고, 다량의 커피 원두도 빠른 시간에 분쇄한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는 전력에 의해 작동하여 핸드밀의 단점을 보완한 것이지만, 각종 전자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약하고, 잔고장의 위험도 높은 편이다.The electric coffee grinder can precisely grind coffee beans with a simple button operation, and grind a large amount of coffee beans in a short time. The electric coffee grinder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by electric powe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hand mill, but since it uses various electronic devices, it is weak to external shocks and has a high risk of small breakdowns.

커피 전문점이나 커피 업체 등과 같이 상업용으로는 전동식 커피 그라인더가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에는 홈 카페 문화가 자리 잡으면서 집에서 직접 내린 커피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됨에 따라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의 사용도 증가되는 추세이다.Although electric coffee grinders are mainly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such as coffee shops and coffee companies, the use of manual coffee grinders is increasing as more and more people enjoy home-brewed coffee as home cafe culture is established.

즉,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는 가격이 저렴하고 설치 공간의 제약도 작기 때문에 소비자가 개인적으로 구매하여 사용하는데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이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개인용으로 사용이 용이한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가 출시되고 있다.In other words, the manual coffee grinder has the advantage of having a relatively low burden for consumers to personally purchase and use because the price is low and the installation space is small. Therefore, recently, interest in a manual coffee grinder that is easy to use for personal use is increasing, and a manual coffee grinder to satisfy various needs of consumers has been released.

예를 들면, 한국등록특허 제10-1011692호(발명의 명칭: 필터 일체형 핸드밀, 등록일: 2011.01.24)에는, 소형화되어 휴대가 가능하고 별도의 필터부재가 없이도 원두의 파쇄와 추출을 하나의 케이싱에 의해 수행할 수 있는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가 개시되어 있다. For example, in Korea Patent No. 10-1011692 (title of invention: filter-integrated hand mill, registration date: January 24, 2011), it is compact and portable, and crushing and extraction of coffee beans without a separate filter member is performed in one casing. A manual coffee grinder that can be performed by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95873호(발명의 명칭: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등록일: 2010.11.16)에는, 휴대가 용이하게 되고, 밀을 통한 원두를 파쇄 후 가열된 물을 통하여 원두커피를 제조할 때 커피통 등에 핸들을 사용하여 파쇄된 원두가 저장되는 하부케이싱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가 개시되어 있다. In addition, in Korea Patent No. 10-0995873 (Title of the invention: Portable coffee extraction device with built-in wheat, registration date: November 16, 2010), it is easy to carry, and after crushing coffee beans through wheat, heated water Disclosed is a manual coffee grinder capable of easily supporting a lower casing in which crushed coffee beans are stored by using a handle, such as a coffee container, when manufacturing coffee beans.

즉, 한국등록특허 제10-1011692호(발명의 명칭: 필터 일체형 핸드밀, 등록일: 2011.01.24) 및 한국등록특허 제10-0995873호(발명의 명칭: 밀이 내장되는 휴대용 커피 추출장치, 등록일: 2010.11.16)에서는, 소형화를 통해 휴대가 용이하면서 현장에서 원하는 커피를 직접 간편하게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at is, Korean Patent No. 10-1011692 (title of invention: filter-integrated hand mill, registration date: January 24, 2011) and Korean Patent No. 10-0995873 (title of invention: portable coffee extraction device with built-in wheat, registration date: In 2010.11.16), it is easy to carry through miniaturization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obtain the desired coffee directly on site.

그런데, 기존의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는, 사용자의 인력을 이용하여 커피 원두를 파쇄하기 때문에 커피 원두의 파쇄력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하여 핸들을 길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since the existing manual coffee grinder crushes coffee beans using a user's manpower, it is preferable to form a long handle in order to sufficiently secure the crushing power of the coffee beans.

상기와 같이 핸들의 길이가 길어지면, 커피 원두의 파쇄력을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지만, 그에 반하여 핸들에 의해 휴대성과 보관성이 떨어져 사용자의 편의성이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핸들을 분리하여 별도로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러한 방법은 핸들의 분실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핸들을 별도로 휴대 및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실질적으로 높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ength of the handle is increased, the crushing power of coffee beans can be smoothly secured.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user's convenience is lowered due to the portability and storability due to the hand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lso a method of separately carrying or storing the handle, but in such a method, the user's convenience is not substantially high because the handle has to be separately carried and stored as well as a high risk of loss of the handle.

또한, 기존의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는 핸들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기 때문에, 핸들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함이 높아서 수동식 커피 그라인더를 사용하지 않는 원인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of combining or separating the handle of the existing manual coffee grinder is very complicated and takes a lot of time, the user's inconvenience for the coupling and separation of the handle is high, which provides a reason not to use the manual coffee grinder. .

한국등록특허 제10-1011692호(등록 2011.01.24)Korean Patent No. 10-1011692 (Registration 2011.01.24) 한국등록특허 제10-0995873호(등록 2010.11.16)Korean Patent No. 10-0995873 (Registration 2010.11.16)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핸들 유닛을 매우 간편하고 간단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어 커피 원두의 분쇄도 조절 작업이 편리하면서도, 핸들 유닛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핸들 유닛이 의도치 않게 분리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커피 그라인더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unit can be combined or separated very simply and easily, so that it is convenient to adjust the grind degree of coffee beans, and also prevents the handle unit from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in the process of using the handle unit We provide coffee grinders that can do thi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피 그라인더의 비사용시 핸들 유닛을 분리한 후 커피 그라인더의 외측면에 콤팩트하게 결합할 수 있는 커피 그라인더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grinder that can be compact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ffee grinder after removing the handle unit when the coffee grinder is not in u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그라인더 날을 정위치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그라인더 날이 비정상적으로 회전하거나 진동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는 커피 그라인더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ffee grinder that can easily install a grinder blade for grinding coffee beans in a fixed position, and can prevent abnormal rotation or vibration of the grinder bla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커피 원두의 분쇄시 회전되는 작동축이 마련된 그라인더 본체, 상기 작동축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피 원두의 분쇄시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유닛, 및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를 삽입한 후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를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안착시키는 핸들 결합 수단을 포함하는 커피 그라인더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inder body provided with an operating shaft to be rotated when grinding coffee beans,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and gripped by a user when grinding the coffee beans to rotate the operating shaft a handle unit, and a handle coupling means for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at the first position of one end of the handle unit and moving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to a second position to se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at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It provides a coffee grinder comprising a.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 결합 수단은,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로 제공될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le coupling means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formed through one end of the handle unit.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 결합 수단은,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에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홀, 및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홀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handle coupling means includes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inserted, a guide hole extending long from the insertion hole and guid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to move to the second position; and a seating hole formed at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moved along the guide hole is seated.

커피 원두의 분쇄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안착홀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 유닛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안착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안내홀과 인접한 상기 안착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At one side of the seating hole adjacent to the guide hol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does not deviate from the seating hole while the user rotates the handle unit while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seated in the seating hole when coffee beans are ground. At least one step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는, 상기 핸들 유닛과의 결합시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에 상기 안내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capable of sliding along the guide hole at the head disposed above one end of the handle unit when it is coupled to the handle unit, and at both side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It may include a sliding groove that is formed to do so.

상기 삽입홀은 상기 머리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부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홀과 안착홀은 상기 머리부가 하측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The insertion hole may be formed in a size larger than the head portion so that the head portion can be inserted. The guide hole and the seating hole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at of the head so that the head does not fall out in the downward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커피 원두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분쇄된 커피 가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숫형 그라인더 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을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는 암형 그라인더 날,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가루가 담겨지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rinder body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n inlet into which coffee beans are put is form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ground coffee powder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a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so as to cover the inlet of the housing. a male grinder blad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nside the housing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a female grinder blade disposed to surround the male grinder blade in the housing and fixed to the housing; 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may include a container in which the coffee powd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ousing is contained.

여기서,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커피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작동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grinder body may further include a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to adjust the grinding degree of coffee beans to move the operating shaft in an axial direction.

상기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의 외주부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에는 상기 핸들 유닛의 회전시 상기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를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시키도록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to rotate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when the handle unit is rotated.

그리고, 상기 캡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through hole for expos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shaft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 The coupling protrusion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portion.

상기 캡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지 않도록 가장자리 부분에서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ap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ncreases in height from an edge portion to a central portion so that the coupling projection is not unintentionally sepa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are coupled.

바람직하게, 상기 핸들 유닛은,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작동축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핸들 유닛의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과 나란하게 하여 상기 그라인더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handle unit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by maki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andle unit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after separating from the operating shaft for 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age.

상기 그라인더 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핸들 유닛을 결합하기 위한 핸들 장착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핸들 장착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핸들 유닛의 타단부에 마련된 핸들 손잡이에는, 상기 핸들 유닛이 상기 핸들 장착부와 결합될 때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moun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handle unit may be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The handle unit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part through the insertion hole.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when the handle unit is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part may be formed in the handle hand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unit.

바람직하게,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커피 원두를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과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사이로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과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중심을 잡아주는 가이드 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grinder body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provide a passage for guiding coffee bean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etween the male grinder blade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and the male grinder blade and the female grinder It may further include a guide tube to hold the center of the blade.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작동축을 에워싸는 제1 가이드 관, 상기 제1 가이드 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과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을 에워싸는 제2 가이드 관, 및 상기 제1 가이드 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guide tube includes a first guide tube surrounding the operating shaft, a second guide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guide tube and enclosing the male grinder blade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and the housing in the first guide tub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w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inner surface and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외주면 일측에는 평면 형상의 조립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상기 조립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날 고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관에는 상기 날 고정부가 상기 조립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해당 위치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A flat assembly surface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male grinder blade. A blade fixing part protruding inwar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surface of the female grinder blade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In this case, an opening may be formed in the guide tube at a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the blade fixing part can be engaged with the assembly surfa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는, 핸들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핸들 유닛을 그라인더 본체의 작동축에 매우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고, 특히 핸들 유닛의 결합과 분리시 작업 시간 및 작업 공수를 감소시켜 사용자의 불편함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In the coffee gri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unit can be very easi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shaft of the grinder body by using the handle coupling means, and in particular, when the handle unit is coupled and disconnected, the working time and the number of work are reduced. This can greatly improve the user's discomf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는, 핸들 유닛의 일단부를 작동축의 상단부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작동축의 위치를 변경하여 커피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하는 구조이므로, 핸들 유닛의 결합과 분리가 매우 간편한 구조이기 때문에 커피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하는 작업도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고, 커피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업도 간소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ffee gri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handle unit is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and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shaft is changed to adjust the degree of grinding of coffee beans, so it is easy to combine and separate the handle unit. Since it has a very simple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grind degree of coffee beans very simply and quickly, and the operation for adjusting the grind degree of coffee beans can also be simplif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는, 핸들 결합 수단을 핸들 유닛의 일단부에 마련하여 핸들 유닛의 일단부를 작동축의 상단부에 결합 및 분리하는 구조이므로, 핸들 유닛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다양한 종류의 커피 그라인더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고, 그에 대한 비용 부담 및 조립 공수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ffee gri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andle coupling means 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to couple and separate one end of the handle unit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so the structure for coupling or separating the handle unit is Because it is very simple, it can be easily applied to various types of coffee grinders, and the cost burden and assembly man-hours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는, 핸들 유닛을 작동축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기 때문에 핸들 유닛을 작동축에서 분리하여 그라인더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작업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고, 특히 커피 그라인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핸들 유닛을 그라인더 본체의 외측면에 콤팩트하게 결합시켜 커피 그라인더의 휴대와 보관의 편의성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ffee gri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very easy to couple or separate the handle unit from the operating shaf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handle unit from the operating shaft and coupling it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is also smoothly performed. In particular, when the coffee grinder is not used, the handle unit is compact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thereby great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ing the coffee grin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는, 그라인더 본체의 외측면에 마련된 핸들 장착부를 이용하여 핸들 유닛의 핸들 바를 그라인더 본체의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하되, 작동축의 상단부가 수용홈에 수용되도록 핸들 유닛의 핸들 손잡이를 그라인더 본체의 상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배치한 구조이므로, 커피 그라인더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핸들 유닛을 그라인더 본체의 측면부와 상면부에 더욱 콤팩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ffee gri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dle bar of the handle uni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grinder body by using the handle mounting part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bu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Since the handle unit of the handle unit is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the handle unit can be more compactly and stably coupled to the side and upper surfaces of the grinder body when the coffee grinder is not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는, 핸들 유닛의 일단부에 마련된 결합돌기가 핸들 유닛의 이탈 방향으로 캡의 관통홀부에 걸리는 구조이므로, 핸들 유닛의 사용시 작동축의 상단부가 핸들 결합 수단의 안착홀에 안착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안내홀로 이탈되는 경우, 결합돌기가 관통홀부에 걸려 핸들 유닛의 비정상적인 이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ffee grin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has a structure that is caught by the through-hole portion of the cap in the direction of departure of the handle unit, so that when the handle unit is use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the handle coupling means. In the case of being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guide hole while seated in the seating hole, the coupling protrusion is caught in the through-hole portion to prevent abnormal separation of the handle unit in advan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암형 그라인더 날의 외주면 일측에 조립면을 형성하되, 조립면에 밀착되는 날 고정부를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하여 가이드 관의 조립홀을 통해 서로 조립되는 구조이므로, 날 고정부와 조립면이 서로 맞물려서 암형 그라인더 날을 정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날 고정부와 조립면의 간섭으로 인해서 암형 그라인더 날이 비정상적으로 회전하거나 진동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ssembly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male grinder blade for grinding coffee beans, and a blade fixing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through the assembly hole of the guide tube. As it is an assembl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female grinder blade precisely in the correct position because the blade fixing part and the assembly surfac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abnormal rotation or vibration of the female grinder blade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blade fixing part and the assembly surface is also prevented.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그라인더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그라인더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유닛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핸들 유닛의 회전시 작동축과 안착홀의 안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핸들 유닛의 비정상 이탈시 결합돌기가 관통홀부에 걸리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핸들 유닛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가이드 관 및 암형 그라인더 날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ffee gr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the coffee grinder shown in Figure 1;
3 and 4 are cross-sectional and exploded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coffee grinder shown in FIG. 1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handle unit shown in FIG. 1 .
6 is a view showing a seating state of the operating shaft and the seating hole when the handle unit shown in FIG. 5 is rotated.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caught in the through-hole portion when the handle unit shown in FIG. 5 is abnormally detached.
FIG. 8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mounting the handle unit shown in FIG. 2 .
FIG.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3 .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uide tube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shown in FIG. 9 .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100)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그라인더(100)의 보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그라인더(100)를 나타낸 단면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핸들 유닛(120)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핸들 유닛(120)의 회전시 작동축(222)과 안착홀(136)의 안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핸들 유닛의 비정상 이탈시 결합돌기가 관통홀부에 걸리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핸들 유닛(120)의 장착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가이드 관(230) 및 암형 그라인더 날(226)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ffee grin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state of the coffee grinder 100 shown in Figure 1, Figures 3 and 4 are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ffee grinder 100 shown in 1 . 5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the handle unit 120 shown in FIG. 1 ,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seating of the operating shaft 222 and the seating hole 136 when the handle unit 120 shown in FIG. 5 is rotated.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caught in the through-hole portion when the handle unit is abnormally separated. FIG. 8 is a view illustrating a mounting process of the handle unit 120 shown in FIG. 2 . 9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3 ,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uide tube 230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shown in FIG. 9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피 그라인더(100)는 그라인더 본체(110), 핸들 유닛(120), 및 핸들 결합 수단(130)을 포함한다.1 to 4 , the coffee grin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rinder body 110 , a handle unit 120 , and a handle coupling means 130 .

본 실시예의 커피 그라인더(100)는 사용자의 인력을 이용하여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수동식 핸드밀로서, 믹서처럼 회전하는 칼날이 부착되어 커피 원두를 깨는 충격식(impact) 그라인더가 아니라 칼날 기어의 틈으로 커피 원두가 투입되어 분쇄가 이뤄지는 간격식(gap) 그라인더로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간격식 그라인더는 버형(burr)과 롤형(roll)이 있지만, 이하에서는 원뿔형 버(conical burr) 타입의 그라인더 날을 사용하여 커피 원두를 분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충격식 그라인더로 형성되거나 롤형 버(roll burr) 타입의 그라인더 날이 채용될 수도 있다.The coffee grinder 100 of this embodiment is a manual hand mill that grinds coffee beans using the user's manpower, and it is not an impact grinder with a rotating blade attached like a mixer to break coffee beans, but coffe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blade gear. It is explained that it is formed by a gap grinder where coffee beans are put in and grinding is performed. Although the gap-type grinder as described above has a burr type and a roll type, it will be described below as grinding coffee beans using a conical burr type grinder blad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impact grinder or a roll burr type grinder blade may be employed.

또한, 본 실시예의 커피 그라인더(100)는 핸들 유닛(120)을 작동축(222)에서 분리한 후 작동축(222)의 위치를 변경하여 그라인더 부재의 분쇄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커피 원두의 입자 크기에 따라 커피의 맛과 향이 달라지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커피의 기호에 따라 그라인더 부재의 분쇄도를 적절하게 조절해주야 한다. 이를 위하여, 그라인더 부재의 분쇄도를 조절하는 작업이 원활해지기 위하여 핸들 유닛(120)을 결합하거나 분리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ffee grinder 100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s adjusting the grinding degree of the grinder member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operating shaft 222 after separating the handle unit 120 from the operating shaft 222 . That is, since the taste and aroma of coffee vary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coffee beans,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grinder member must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taste of coffee desired by the user.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of coupling or separating the handle unit 120 is performed very simply and quickly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grinding degree of the grinder member.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그라인더 본체(110)는, 커피 원두를 분쇄하도록 형성된 장치로서, 커피 원두의 분쇄시 회전되는 작동축(222)이 마련될 수 있다. 작동축(222)의 하단부는 그라인더 본체(110)의 내부에서 후술하는 숫형 그라인더 날(224)와 연결될 수 있다.1 to 5 , the grinder body 110 of this embodiment is a device formed to grind coffee beans, and an operating shaft 222 that rotates when the coffee beans are ground may be provided.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222 may be connected to a male grinder blade 224 to be described later inside the grinder body 110 .

상기와 같은 작동축(222)은 커피 원두의 분쇄시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도록 핸들 유닛(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는 그라인더 본체(110)의 상면부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그라인더 본체(110)의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The operation shaft 222 as described above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unit 120 so as to be rotated by the user when the coffee beans are ground. To this end,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to b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grinder body 110 .

예를 들면,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는, 머리부(144) 및 슬라이딩홈부(142)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may include a head 144 and a sliding groove portion 142 .

머리부(144)는, 핸들 유닛(120)과의 결합시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머리부(144)는 후술하는 핸들 결합 수단(130)의 삽입홀(132)에 삽입되거나 이탈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핸들 결합 수단(130)의 안내홀(134)과 안착홀(136)에는 걸려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핸들 유닛(12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The head 144 may be disposed above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when coupled to the handle unit 120 . The head 144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hole 132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to be described later, the guide hole 134 and the seating hole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It is formed in a shape that is hooked and fixed to the 136 , so that separation of the handle unit 120 can be prevented.

슬라이딩홈부(142)은 머리부(144)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에 안내홀(134)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홈부(142)는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의 양측부에 배치되되, 머리부(144)를 핸들 결합 수단(130)의 삽입홀(132)에 삽입한 상태에서 핸들 결합 수단(130)의 안내홀(134)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liding groove portion 142 may be forme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134 on both sides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head portion 144 . That is, the sliding groove portion 142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 the head 144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to engage the handle. It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guide hole 134 of the means 130 .

한편, 본 실시예의 그라인더 본체(11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다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rinder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gain below.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핸들 유닛(120)은, 커피 원두의 분쇄시 사용자가 파지하여 작동축(222)을 회전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작동축(222)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핸들 유닛(120)은 사용자의 작은 힘으로도 커피 원두의 분쇄력을 충분히 확보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길게 연장된 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1 to 5 , the handle unit 120 of this embodiment is a member for rotating the operating shaft 222 by gripping the user when grinding coffee beans, and one end is detachable from the operating shaft 222 . can be tightly coupled. The handle unit 120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sufficiently secure the grinding power of coffee beans even with a small force of the user.

상기와 같은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는 핸들 결합 수단(130)에 의해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 간편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유닛(120)의 타단부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면서 핸들 유닛(120)을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venient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by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handle unit 120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allows the user to easily grip the handle unit 120 and rotate the handle unit 120 smoothly.

예를 들면, 핸들 유닛(120)은 핸들 바(122) 및 핸들 손잡이(12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unit 120 may include a handle bar 122 and a handle handle 124 .

핸들 바(122)의 일단부는 작동축(222)과 함께 회전하도록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핸들 바(122)의 일단부에는 핸들 결합 수단(130)이 마련될 수 있다.One end of the handle bar 12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to rotate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222 . To this end,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bar 122 .

핸들 손잡이(124)는 작동축(222)을 회전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작용력이 전달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하여 핸들 바(122)의 타단부의 상부에 핸들 바(122)의 길이 방향과 직교되는 상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핸들 손잡이(124)는 핸들 바(12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handle handle 124 is a portion to which the user's operating force for rotating the operating shaft 222 is transmitted, and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ar 12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bar 122 to be easily gripped by the user. It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n upwar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 The handle handle 124 as described above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ar 122 .

한편, 본 실시예의 핸들 유닛(120)은, 핸들 바(122)의 일단부에 형성된 핸들 결합 수단(130)의 일측에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를 삽입시키도록 제1 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다음에 핸들 바(122)의 일단부에 형성된 핸들 결합 수단(130)의 타측에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안착되도록 제1 방향(D1)과 교차되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핸들 유닛(120)을 제1 방향(D1)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제2 방향(D2)으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를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Meanwhile, in the handle unit 120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D1 to insert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to one side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bar 122 . ), and then crosses the first direction D1 so that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is se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formed at one end of the handle bar 122 . may be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D2. As described above, with a simple operation of moving the handle unit 120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n moving it again in the second direction D2,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is moved to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 can be easily combined with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 유닛(120)의 제1 방향(D1)이 핸들 유닛(120)을 수직하게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설정하고, 핸들 유닛(120)의 제2 방향(D2)이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핸들 바(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한 방향으로 설정한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피 그라인더(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핸들 유닛(120)의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irection D1 of the handle unit 120 is se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handle unit 120 is vertically lowered, and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handle unit 120 is the handle unit. Set in a horizontal directio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bar 122 toward the other end from one end of the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handle unit 120 may be set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circumstances of the coffee grinder 100 .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핸들 결합 수단(130)은,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의 제1 위치에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를 삽입한 후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의 제2 위치로 이동시켜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를 작동축(222)의 상단부에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핸들 결합 수단(130)은,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에 관통 형성되는 개구부로 제공될 수 있다. 즉, 핸들 결합 수단(130)의 개구부는, 핸들 유닛(120)의 핸들 바(122)의 일단부에 핸들 바(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될 수 있다. 1 to 6 ,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handle unit 120 after inserting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at the first position of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 ),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can be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o b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222 . As described above,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may be provided as an opening formed through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 That is, the opening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andle bar 122 of the handle unit 120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handle bar 122 .

예를 들면, 핸들 결합 수단(130)은 삽입홀(132), 안내홀(134) 및 안착홀(136)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may include an insertion hole 132 , a guide hole 134 , and a seating hole 136 .

여기서, 삽입홀(132)은, 작동축(222)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의 제1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삽입홀(132)은 핸들 결합 수단(1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는 핸들 유닛(120)의 결합시 제1 방향(D1)과 반대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은 작동축(22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서 수직하게 상측을 향하는 방향에 해당한다.Here, the insertion hole 132 may be formed at a first position of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on shaft 222 is inserted. That is, the insertion hole 132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as described above may be inser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when the handle unit 120 is coupled. In this case,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corresponds to a direction vertic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on shaft 222 when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haft 222 .

상기와 같은 삽입홀(132)은 머리부(144)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머리부(144)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부(144)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삽입홀(132)은 머리부(144)에 대응되는 원형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hole 132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head 144 to enable insertion of the head 144 . 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the head 144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insertion hole 13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hole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ad 144 .

그리고, 안내홀(134)은, 삽입홀(132)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안내홀(134)의 일단부가 삽입홀(132)의 일측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안내홀(134)은, 삽입홀(132)과 안착홀(136)에 양단부가 연결된 슬릿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핸들 바(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uide hole 134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is elongated from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32 . That is, one end of the guide hole 134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one side of the insertion hole 132 . For example, the guide hole 134 may be provided in a slit shape in which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insertion hole 132 and the seating hole 136 , and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a straight line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handle bar 122 . have.

상기와 같은 안내홀(134)은,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를 삽입홀(132)에서 안착홀(136)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는 핸들 유닛(120)의 결합시 제2 방향(D2)과 반대 방향으로 안내홀(134)를 따라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방향(D2)의 반대 방향은 작동축(222)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삽입홀(132)에서 안내홀(134)을 따라 안착홀(136)로 이동하는 방향에 해당한다.The guide hole 134 as described above may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and accordingly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can be moved to the seating hole 136 . That is,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may be relatively moved along the guide hole 134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D2 when the handle unit 120 is coupled. At this time, if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econd direction D2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operating shaft 222 ,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is positioned along the guide hole 134 from the insertion hole 132 to the seating hole 136 . ) corresponds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또한, 안착홀(136)은, 안내홀(134)을 따라 이동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안착되도록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의 제2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안착홀(136)은 핸들 결합 수단(130)의 타측에 형성되되, 안내홀(134)의 타단부와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hole 136 may be formed at a second position of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so that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moved along the guide hole 134 is seated. That is, the seating hole 136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and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end of the guide hole 134 .

상기와 같은 안내홀(134)과 안착홀(136)은 머리부(144)가 하측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머리부(144)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안내홀(134) 및 안착홀(136)은,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된 슬라이딩홈부(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안내홀(134) 및 안착홀(136)은 슬라이딩홈부(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구조이므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는 안내홀(134) 및 안착홀(136)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The guide hole 134 and the seating hole 136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head portion 144 so that the head portion 144 does not fall out in the downward direction. In this case, the guide hole 134 and the seating hole 136 may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s 14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on shaft 222 . Therefore, since the guide hole 134 and the seating hole 136 are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portion 142 ,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has the guide hole 134 and the seating hole 136 . ) can be stably supported so that it cannot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홀(134)과 인접한 안착홀(136)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단턱(138)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피 원두의 분쇄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안착홀(136)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가 핸들 유닛(120)을 회전시키면, 핸들 유닛(120)의 회전 과정에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단턱(138)에 걸려 안착홀(136)에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는, 안착홀(136)의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핸들 유닛(120)을 회전시키면, 안착홀(136)의 내부에서 단턱(138)에 걸림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and 6 , at least one step 138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seating hole 136 adjacent to the guide hole 134 . 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unit 120 while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is seated in the seating hole 136 when coffee beans are ground, the operating shaft during the rotation of the handle unit 120 . The upper end 140 of the 222 may be caught on the step 138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seating hole 136 . Therefore, when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rotates the handle unit 120 in a state disposed inside the seating hole 136 , it is caught on the step 138 inside the seating hole 136 . position can be moved.

일례로, 안착홀(136)은, 안내홀(134)에 대하여 크기가 단차지게 확장된 사각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안착홀(136)은 삽입홀(132)의 직경보다는 작고 안내홀(134)의 폭보다는 큰 폭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안착홀(136)은 슬라이딩홈부(14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이나, 안착홀(136)의 크기가 폭 방향으로 단차지게 확장됨에 따라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와 안착홀(136)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핸들 유닛(120)을 회전시키면, 핸들 유닛(120)이 후술하는 결합돌기(126)와 결합홈(242)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하여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와 안착홀(136) 사이에 형성된 간극만큼 회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안착홀(136)도 회전하여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단턱(138)에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 유닛(120)을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 결합한 상태에서 정상적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단턱(138)에 걸려서 안내홀(134)로 이탈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eating hole 136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hole in which the size of the guide hole 134 is increased by a step. The mounting hole 136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have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132 an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guide hole 134 . The seating hole 136 is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142, but as the size of the seating hole 136 expands stepwise in the width direction,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and the seating hole ( 136) may b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gap. At this time, when the user rotates the handle unit 120, the handle unit 120 is seated with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with the center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126 and the coupling groove 242 to be described later. It can rotate as much as the gap formed between the holes 136 , and accordingly, the seating hole 136 also rotates so that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on shaft 222 can be caught on the step 138 .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handle unit 120 is rotated normally in a state coupled to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is caught on the step 138 and the guide hole. (134),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escaping in advance.

한편, 도 2 및 도 8에는 커피 그라인더(100)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커피 그라인더(100)를 휴대하거나 보관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커피 그라인더(100)의 휴대성 및 보관성을 높이기 위하여 핸들 유닛(120)을 커피 그라인더(100)의 외측면에 콤팩트하게 장착할 수 있다.Meanwhile, FIGS. 2 and 8 show a structure for carrying or storing the coffee grinder 100 when the coffee grinder 100 is not used.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ndle unit 120 can be compactly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ffee grinder 100 in order to increase the portability and storability of the coffee grinder 100 .

도 1 내지 도 3,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핸들 유닛(120)은, 커피 그라인더(100)에 대한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작동축(222)에서 분리한 후 핸들 유닛(120)의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과 나란하게 하여 그라인더 본체(110)의 외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1 to 3 and 8, the handle unit 120 of this embodiment is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shaft 222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and storage for the coffee grinder 100, and then the handle unit ( 12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by mak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즉, 본 실시예의 커피 그라인더(100)는, 커피 원두의 분쇄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핸들 유닛(120)의 핸들 바(122)를 그라인더 본체(110)의 측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장착시킬 수 있고, 그와 아울러 핸들 유닛(120)의 핸들 손잡이(124)를 그라인더 본체(110)의 상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덮히는 구조로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핸들 유닛(120)이 그라인더 본체(110)의 외측면 중 측면부와 상면부에 밀착되게 장착된 구조이므로, 핸들 유닛(120)와 그라인더 본체(110)의 보관 구조가 매우 콤팩트하고 안정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at is, in the coffee grinder 100 of this embodiment, the handle bar 122 of the handle unit 120 can be mount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 in a situation where grinding of coffee beans is not required. , and in addition, the handle handle 124 of the handle unit 120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refore, since the handle unit 120 is moun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the storage structure of the handle unit 120 and the grinder body 110 is very compact and stable. can be

예를 들면, 커피 그라인더(100)의 보관 구조는 핸들 장착부(150), 장착홀(160) 및 수용홈(170)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orage structure of the coffee grinder 100 may include a handle mounting part 150 , a mounting hole 160 , and a receiving groove 170 .

도 1 내지 도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장착부(150)는 핸들 유닛(120)을 장착하도록 그라인더 본체(110)의 외측면 중 측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핸들 유닛(120)의 핸들 바(122)는 핸들 결합 수단(130)의 삽입홀(132)을 통해 핸들 장착부(150)와 결합될 수 있다. 1 to 3 and 8 , the handle mounting part 150 may be provided on a side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to mount the handle unit 120 . The handle bar 122 of the handle unit 120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2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일례로, 핸들 장착부(150)는 슬라이딩 가이드(152) 및 가이드 머리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may include a sliding guide 152 and a guide head 154 .

슬라이딩 가이드(152)는, 핸들 결합 수단(130)의 삽입홀(132)에 삽입될 수 있고, 핸들 유닛(120)을 지지하도록 후술하는 장착홀(16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가이드(152)는 장착홀(16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가이드(152)는, 장착홀(160)에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 유닛(120)의 하중을 상하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고, 그라인더 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핸들 유닛(120)의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다. The sliding guide 152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and may be slidably inserted along the mounting hole 160 to support the handle unit 120 . . The sliding guide 152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ounting hole 160 . Accordingly, the sliding guide 152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support the load of the handle unit 120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160 , a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grinder body 110 , the handle unit ( 120) can also be prevented.

가이드 머리부(144)는 슬라이딩 가이드(152)의 끝단에서 그라인더 본체(110)에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 머리부(144)는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의 머리부(144)와 동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핸들 결합 수단(130)의 삽입홀(132)에 삽입 관통될 수 있다. The guide head 144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grinder body 110 at the end of the sliding guide 152 . The guide head 144 may be formed similarly to the head 144 of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 and thus be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132 of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can

도 1 내지 도 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홀(160)은 삽입홀(132)의 타측에서 길게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장착홀(160)의 일단부가 삽입홀(132)의 타측에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장착홀(160)은, 삽입홀(132)에서 슬릿 형상으로 핸들 바(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1 to 3 and 8 , the mounting hole 160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elongat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132 . That is, one end of the mounting hole 160 may b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insertion hole 132 . For example, the mounting hole 160 may be formed in a slit shape in the insertion hole 132 in a straight line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bar 122 .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홀(160)이 안내홀(134)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되, 삽입홀(132)을 중심으로 안내홀(134)과 반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장착홀(160)은 핸들 결합 수단(13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핸들 바(122)의 일단부에 핸들 결합 수단(13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장착홀(160)도 함께 형성될 수 있다.Hereinaft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mounting hole 160 is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as the guide hole 134 , and is long arrang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guide hole 134 around the insertion hole 132 . Accordingly, the mounting hole 160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 and accordingly,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handle coupling means 130 at one end of the handle bar 122 , the mounting hole 160 is also can be formed together.

상기와 같은 장착홀(160)은, 핸들 장착부(150)의 슬라이딩 가이드(152)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슬라이딩 가이드(152)와 가이드 머리부(144)에 걸려 핸들 장착부(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The mounting hole 160 as described above can perform a function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liding guide 152 of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and is caught by the sliding guide 152 and the guide head 144 to the handle mounting unit ( 150) can also perform the function of stably supporting.

한편, 핸들 유닛(120)을 핸들 장착부(150)에 장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핸들 손잡이(124)를 상측에 두고 핸들 바(122)를 하측에 수직하게 배치시킨 상태로 핸들 유닛(120)을 제3 방향(D3)으로 이동시켜 핸들 장착부(150)의 가이드 머리부(144)를 삽입홀(132)에 삽입시키고, 그런 다음에 핸들 유닛(120)을 제4 방향(D4)으로 이동시켜 핸들 장착부(150)의 슬라이딩 가이드(152)를 장착홀(160)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 장착부(150)가 삽입홀(132)에 제3 방향(D3)으로 수평하게 삽입된 후 장착홀(160)을 따라 제4 방향(D4)으로 상측으로 수직 이동될 수 있고,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는 그라인더 본체(110)의 측면부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핸들 장착부(150)에 매달린 형상으로 장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process of mounting the handle unit 120 to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the handle unit 120 is removed with the handle handle 124 on the upper side and the handle bar 122 on the lower side vertically. The guide head 144 of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by moving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n the handle unit 120 is moved in the fourth direction D4 to insert the handle mounting unit. The sliding guide 152 of 150 is moved to the mounting hole 160 . 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is horizontal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32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then vertically moves upward in the fourth direction D4 along the mounting hole 160 and ,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may be mounted in a shape suspended from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while being vertically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

도 2 내지 도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홈(170)은 핸들 유닛(120)과 핸들 장착부(150)의 결합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홈(170)은 핸들 유닛(120)의 타단부에 마련된 핸들 손잡이(124)에 형성될 수 있다.2 to 4 and 8 , the receiving groove 170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when the handle unit 120 and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are coupled. have. The receiving groove 170 may be formed in the handle handle 124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unit 120 .

즉, 핸들 유닛(120)의 핸들 손잡이(124)는, 핸들 유닛(120)를 핸들 장착부(15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그라인더 본체(110)의 상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핸들 손잡이(124)는 핸들 바(122)의 타단부와 직교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핸들 손잡이(124) 중에서 그라인더 본체(110)의 상면부에 안착되는 부위에는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 대응되게 수용홈(170)이 마련될 수 있다. 수용홈(170)은 작동축(222)의 상단부(140)가 끼워지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와 연결을 통하여 핸들 유닛(120)을 지지할 수 있다. That is, the handle handle 124 of the handle unit 120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while the handle unit 120 is mounted on the handle mounting unit 150 . To this end, the handle handle 124 may be provided in a shape perpendicular to the other end of the handle bar 122 . A receiving groove 170 may b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handle handle 124 tha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110 to correspond to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 Since the receiving groove 170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to which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is fitted, the handle unit 120 can be supported through connection with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

한편, 도 3, 도 4, 도 7, 도 9 및 도 10에는 본 실시예의 그라인더 본체(110)에 대한 상세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본체(110)의 상세한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rinder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in FIGS. 3, 4, 7, 9 and 10 . Hereinafter,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grinder body 1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내지 도 4, 도 7, 도 9,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 본체(110)는 하우징(200), 캡(210), 분쇄 유닛(220), 가이드 관(230),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 및 용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4, 7, 9, and 10, the grinder bod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200, a cap 210, a grinding unit 220, and a guide tube. 230 , a grinding degree adjustment nut member 240 , and a container 250 may be included.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200)과 용기(250)를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모양의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분쇄 유닛(220)은 원뿔형 버(conical burr) 타입의 그라인더 날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200 and the container 250 are described as hav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of various shapes. In addition, the grinding unit 220 is described as composed of a conical burr (conical burr) type grinder blade.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하우징(200)은 상하 방향으로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상부에는 커피 원두가 투입되기 위한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200)의 하부에는 분쇄된 커피 가루가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200)의 투입구에는 캡(210)이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고, 하우징(200)의 배출구에는 용기(250)가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1 to 4 , the housing 200 of this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hollow ins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inlet for introducing coffee beans into the housing 200 may be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ground coffee powder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 In this case, the cap 210 may be detachably disposed at the inlet of the housing 200 , and the container 250 may be detachably disposed at the outlet of the housing 200 .

하우징(200)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분쇄 유닛(220)의 암형 그라인더 날(226)에 형성된 조립면(226a)과 대응하는 위치에 날 고정부(204)가 형성될 수 있다. 날 고정부(204)는, 하우징(200)의 내주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고, 분쇄 유닛(220)을 하우징(200)의 내부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조립면(226a)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A blade fixing part 204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surface 226a formed on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of the grinding unit 220 to be described later. The blade fixing part 204 may be provided to protrude i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00 ,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226a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crushing unit 220 inside the housing 200 . can be

하우징(20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 홀더(202)가 둘레를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 홀더(202)에는 핸들 장착부(150)이 배치될 수 있다. A housing holder 202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200 so as to be easily gripped by a user. A handle mounting part 150 may be disposed on the housing holder 202 .

도 1 내지 도 5,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캡(210)은 하우징(200)의 투입구를 덮도록 하우징(20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캡(210)은 투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로서, 하우징(200)의 상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1 to 5 and 7 , the cap 210 of this embodimen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to cover the inlet of the housing 200 . The cap 210 as described above is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and may form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

캡(210)의 중앙 부분에는 작동축(222)의 상단부(140)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작동축(222)은 관통홀부(212)에 회전 가능하도록 관통되게 배치되되, 상단부(140)가 관통홀부(212)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A through hole 212 for exposing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may b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 210 . That is, the operating shaft 222 may be disposed to be rotatably penetrated through the through hole portion 212 , and the upper end portion 14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upward of the through hole portion 212 .

여기서, 관통홀부(212)는 캡(210)의 다른 부위보다 상측으로 높게 돌출된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캡(210)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캡(210)의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관통홀부(212)의 둘레를 따라 리브 형상의 융기 구조를 형성하거나 링 형상의 부재를 관통홀부(212)의 둘레에 부착할 수도 있다.Here, the through-hole portion 212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that protrudes upwardly high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cap 210 . 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eight of the cap 210 may be increased from the edge of the cap 210 toward the center of the cap 21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 rib-shaped raised structure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unit 212 or a ring-shaped member may be attache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through-hole unit 212 .

한편, 캡(210)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캡(210)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캡(210)이 탄성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면, 핸들 유닛(120)의 결합 또는 분리시 사용자가 캡(210)의 상부를 눌러 관통홀부(212)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핸들 유닛(120)과 관통홀부(212)의 간섭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the cap 21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For example, the cap 210 may be formed of a silicon material. When the cap 210 is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 user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cap 210 to move the through-hole portion 212 to the lower side when the handle unit 120 is coupled or disconnected to move the handle unit 120 to the lower side. ) and the through-hole portion 212 can be prevented from interfering in advance.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쇄 유닛(220)은 하우징(200)에 투입된 커피 원두를 분쇄하여 원하는 분쇄도의 커피 가루를 만드는 장치이다. 분쇄 유닛(22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되어 작동축(222)에 입력되는 사용자의 작동력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 4, 9 and 10 , the grinding unit 220 of this embodiment is a device for grinding coffee beans put into the housing 200 to make coffee powder of a desired degree of grinding. The crushing unit 220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200 and driven by a user's operating force input to the operating shaft 222 .

예를 들면, 분쇄 유닛(220)은 작동축(222), 숫형 그라인더 날(224), 및 암형 그라인더 날(226)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rinding unit 220 may include an actuating shaft 222 , a male grinder blade 224 , and a female grinder blade 226 .

작동축(222)은, 하우징(200)의 내부 중심을 따라 하우징(200)의 상측으로 상단부(140)가 돌출되게 배치되되,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작동축(222)의 하단부는 숫형 그라인더 날(224)과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작동축(222)을 상하 방향으로 승강시키면 숫형 그라인더 날(224)의 위치도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어 커피 원두의 분쇄도가 가변될 수 있다.The actuating shaft 222 is disposed so that the upper end 140 protrud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200 along the inner center of the housing 200 , and may be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222 may be connected to the male grinder blade 224 . On the other hand, when the operating shaft 222 is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male grinder blade 224 is also rai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degree of grinding of coffee beans can be varied.

숫형 그라인더 날(224)은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작동축(222)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숫형 그라인더 날(224)은 작동축(222)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male grinder blade 224 may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222 inside the housing 200 . The male grinder blade 224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actuating shaft 222 .

암형 그라인더 날(226)은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숫형 그라인더 날(224)을 에워싸도록 배치될 수있다. 암형 그라인더 날(226)은 가이드 관(230)과 하우징(2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The female grinder blade 226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male grinder blade 224 inside the housing 200 .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may be fixed by the guide tube 230 and the housing 200 .

한편, 커피 원두는 암형 그라인더 날(226)과 숫형 그라인더 날(224)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으로 공급되되, 암형 그라인더 날(226)과 숫형 그라인더 날(224)의 간격 크기에 따라 분쇄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축(222)을 들어 올리면 암형 그라인더 날(226)과 숫형 그라인더 날(224)의 간격 크기가 작아져 커피 원두의 분쇄도가 높아지고, 지고 작동축(222)을 아래로 내리면 암형 그라인더 날(226)과 숫형 그라인더 날(224)의 간격 크기가 켜져 커피 원두의 분쇄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coffee beans are supplied at an interval formed between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and the male grinder blade 224, and the degree of grinding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terval between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and the male grinder blade 224. can In this embodiment, when the operating shaft 222 is lifted,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and the male grinder blade 224 is reduced to increase the grind degree of coffee beans, and when the operating shaft 222 is lowered down It will be described that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and the male grinder blade 224 is turned on to lower the grinding degree of coffee beans.

또한, 암형 그라인더 날(226)의 외주면 일측에는 평면 형상의 조립면(22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면(226a)은, 하우징(200)의 날 고정부(204)와의 간섭을 통하여 암형 그라인더 날(226)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암형 그라인더 날(226)의 회전 및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 flat assembly surface 226a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 The assembling surface 226a as described above can set the position of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through interference with the blade fixing part 204 of the housing 200 as well as reduce the rotation and vibration of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 can be prevented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가이드 관(230)은, 하우징(200)의 내부로 투입되는 커피 원두를 숫형 그라인더 날(224)과 암형 그라인더 날(226)의 사이로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숫형 그라인더 날(224)과 암형 그라인더 날(226)의 중심을 잡아주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3, 4, 9, and 10, the guide tube 230 of this embodiment is a male grinder blade 224 and a female grinder blade ( 226) may perform a function of providing a path to guide between them, and may also perform a function of holding the center of the male grinder blade 224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상기와 같은 가이드 관(230)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관(230)은, 하우징(200)의 내착면에 장착 고정될 수 있고, 분쇄 유닛(220)을 지지하도록 분쇄 유닛(220)을 감싸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guide tube 230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200 . The guide tube 230 may be mounted and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 and may be provid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grinding unit 220 to support the grinding unit 220 .

예를 들면, 가이드 관(230)은 제1 가이드 관(232), 제2 가이드 관(234), 및 날개 지지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uide tube 230 may include a first guide tube 232 , a second guide tube 234 , and a wing support 236 .

제1 가이드 관(232)은 작동축(222)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 관(232)은, 작동축(2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수직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guide tube 232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peration shaft 222 . That is, the first guide tube 232 may be formed in a vertical tube shape that rotatably supports the operating shaft 222 .

제2 가이드 관(234)은, 제1 가이드 관(232)에서 하측으로 연장될 수 있고, 숫형 그라인더 날(224)과 암형 그라인더 날(226)을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관(234)은 제1 가이드 관(232)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되, 암형 그라인더 날의 외주면을 감싸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tube 234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first guide tube 232 ,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male grinder blade 224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 The second guide tube 234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nnec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uide tube 232 ,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emale grinder blade.

날개 지지부(236)는 하우징(200)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도록 제1 가이드 관(232)에서 하우징(200)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이드 관(232)은 날개 지지부(236)에 의해 하우징(200)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The wing support 236 may extend from the first guide tube 232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to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00 . Accordingly, the first guide tube 232 may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0 by the wing support 236 .

한편, 제2 가이드 관(234)의 일측에는 날 고정부(204)가 조립면(226a)에 맞물릴 수 있도록 날 고정부(204)와 조립면(226a)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된 구조의 조립홀(234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날 고정부(204)는 조립홀(234a)을 통해 조립면(226a)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조립홀(234a)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한 부위에는, 가이드 관(230)을 하우징(200)의 내부에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조립하는 과정에서 날 고정부(204)가 조립홀(234a)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on one side of the second guide tube 234, the blade fixing part 204 is ope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lade fixing part 204 and the assembly surface 226a so that it can be engaged with the assembly surface 226a. An assembly hole 234a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blade fixing part 204 may be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assembly surface 226a through the assembly hole 234a. At this time, i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assembly hole 234a, the blade fixing part 204 is inserted into the assembly hole 234a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by inserting the guide tube 230 into the housing 200 in the axial direction. ) may be provided in an open shape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 도 3 내지 도 7,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는 커피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를 회전시키면, 작동축(222)이 축 방향으로 승강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암형 그라인더 날(226)과 숫형 그라인더 날(224)의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변경되어 커피 원두의 분쇄도가 가변될 수 있다.1, 3 to 7, 7 and 10,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240 of this embodiment is for adjusting the grinding degree of coffee beans, and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222 is It may be screwed to 140 . When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240 is rotated, the operating shaft 222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axial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interval formed between the female grinder blade 226 and the male grinder blade 224 is changed. The degree of grinding of coffee beans may be varied.

여기서,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고,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는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수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수나사부는 작동축(222)의 상단부(140) 중 슬라이딩홈부(142)의 하측에 배치되되, 수나사부의 길이는 작동축(222)의 승강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Here, a female screw part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240 , and a male thread part for screwing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240 to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on shaft 222 may be formed. . The male screw part is disposed below the sliding groove part 142 of the upper end 140 of the actuating shaft 222 , and the length of the male screw par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levating length of the actuating shaft 222 .

그리고,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의 외주부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홈(24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242)들은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를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42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240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The coupling grooves 242 may be used to rotate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240 .

한편, 핸들 유닛(120)의 일단부에는 핸들 유닛(120)의 회전시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240)를 작동축(222)과 함께 회전시키도록 복수개의 결합홈(24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126)가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결합돌기(126)는 핸들 바(122)의 일단부에서 수평하게 돌출된 후 결합홈(242)을 향해 하측으로 절곡 연장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end of the handle unit 12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242 to rotate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240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222 when the handle unit 120 is rotated. A coupling protrusion 126 to become may be provided. Referring to FIG. 7 , the coupling protrusion 126 may be formed to protrude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handle bar 122 and then be bent downwardly to extend toward the coupling groove 242 .

상기와 같은 결합돌기(126)는 관통홀부(21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돌기(126)와 결합홈(242)이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돌기(126)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면, 결합돌기(126)가 관통홀부(212)에 걸려 비정상적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핸들 유닛(120)의 사용시 핸들 유닛(120)이 의도하지 않게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서 밀려나거나 탈거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다만,.핸들 유닛(120)을 작동축(222)의 상단부(140)에 정상적으로 결합하거나 분리할 경우에는, 관통홀부(212)와 결합돌기(126)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캡(210)을 누름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upling protrusion 126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portion 212 . Therefore, when the coupling protrusion 126 is unintentionally separated while the coupling protrusion 126 and the coupling groove 242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protrusion 126 is caught by the through-hole portion 212 and abnormal separation can be prevented. . Accordingly, when the handle unit 120 is used, the problem that the handle unit 120 is unintentionally pushed out or removed from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on shaft 222 can be solved. However, when the handle unit 120 is normal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upper end 140 of the operating shaft 222 , the cap 210 is removed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through hole 212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6 . It is preferable to press and deform.

용기(250)는 하우징(200)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가루가 담겨지는 부재로서, 하우징(2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용기(250)는 커피 가루의 양을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250 is a member in which the coffee powd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ousing 200 is contained,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200 . The container 25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in order to easily check the amount of coffee powder with the naked eye.

100: 커피 그라인더
110: 그라인더 본체
120: 핸들 유닛
130: 핸들 결합 수단
140: 작동축의 상단부
150: 핸들 장착부
200: 하우징
210: 캡
220: 분쇄 유닛
222: 작동축
230: 가이드 관
240: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
250: 용기
100: coffee grinder
110: grinder body
120: handle unit
130: handle coupling means
140: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150: handle mounting portion
200: housing
210: cap
220: crushing unit
222: operating shaft
230: guide tube
240: grinding degree adjustment nut member
250: courage

Claims (14)

커피 원두의 분쇄시 회전되는 작동축이 마련된 그라인더 본체;
상기 작동축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피 원두의 분쇄시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유닛; 및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를 삽입한 후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를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안착시키는 핸들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 결합 수단은,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위치에 형성되는 삽입홀;
상기 삽입홀에서 길게 연장되고,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안내홀; 및
상기 안내홀을 따라 이동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안착되도록 상기 제2 위치에 형성되는 안착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a grinder body provided with an operating shaft that rotates when coffee beans are ground;
a handle unit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the handle unit being gripped by the user when the coffee beans are ground and rotating the operating shaft; and
and a handle coupling means for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and moving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to the second position to se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at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and ,
The handle coupling means,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inserted;
a guide hole extending long from the insertion hole and guid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to move to the second position; and
Coffee grinder comprising a; seating hole formed in the second position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moved along the guide hole is sea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커피 원두의 분쇄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안착홀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자가 상기 핸들 유닛을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가 상기 안착홀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안내홀과 인접한 상기 안착홀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According to claim 1,
At one side of the seating hole adjacent to the guide hole,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does not deviate from the seating hole while the user rotates the handle unit while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seated in the seating hole when coffee beans are ground. Coffee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step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는, 상기 핸들 유닛과의 결합시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머리부; 및 상기 머리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부에 상기 안내홀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딩홈부;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머리부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머리부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홀과 안착홀은 상기 머리부가 하측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상기 머리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may include a head disposed above one end of the handle unit when coupled to the handle unit; and a sliding groove formed on both sides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head to be slidably movable along the guide hole.
The insertion hole is formed in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head so that the head can be inserted,
Coffee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hole and the seating hole is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head so that the head does not fall out in the downward dir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는 상기 슬라이딩홈부의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6. The method of claim 5,
A coffee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an indicator line indicating a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커피 원두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분쇄된 커피 가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숫형 그라인더 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을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는 암형 그라인더 날;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가루가 담겨지는 용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According to claim 1,
The grinder body is
a housing in which an inlet into which coffee beans are put is formed, and an outlet through which the ground coffee powder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inlet of the housing;
a male grinder blad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nside the housing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a female grinder blad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surround the male grinder blade and fixed to the housing; and
a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taining coffee powd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ousing;
Coffee grinder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커피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작동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의 외주부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에는 상기 핸들 유닛의 회전시 상기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를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시키도록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8. The method of claim 7,
The grinder body further includes a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to adjust the grinding degree of coffee beans to move the operating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ce,
Coffee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o rotate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when the handle unit is rotated. .
커피 원두의 분쇄시 회전되는 작동축이 마련된 그라인더 본체;
상기 작동축에 일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피 원두의 분쇄시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작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핸들 유닛; 및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제1 위치에서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를 삽입한 후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의 제2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를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안착시키는 핸들 결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커피 원두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분쇄된 커피 가루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부에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투입구를 덮도록 상기 하우징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캡;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작동축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되는 숫형 그라인더 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을 에워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는 암형 그라인더 날;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커피 가루가 담겨지는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커피 원두의 분쇄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작동축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의 외주부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 유닛의 일단부에는 상기 핸들 유닛의 회전시 상기 분쇄도 조절 너트부재를 상기 작동축과 함께 회전시키도록 상기 복수개의 결합홈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캡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한 관통홀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관통홀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캡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의 결합 상태에서 상기 결합돌기가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지 않도록 가장자리 부분에서 중앙 부분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a grinder body provided with an operating shaft that rotates when coffee beans are ground;
a handle unit having one end detachably coupled to the operating shaft, the handle unit being gripped by the user when the coffee beans are ground and rotating the operating shaft; and
and a handle coupling means for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and moving the one end of the handle unit to the second position to se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at the upper end of the actuating shaft; and ,
The grinder body may include a housing having an inlet through which coffee beans are put in, and an outlet through which ground coffee powder is discharged; a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inlet of the housing; a male grinder blade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nside the housing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a female grinder blad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surround the male grinder blade and fixed to the housing; and a container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containing coffee powder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of the housing;
The grinder body further includes a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screwed to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to adjust the grinding degree of coffee beans to move the operating shaft in the axial direction, and an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has a circumference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 At one end of the handle unit, any one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to rotate the grinding degree adjusting nut member together with the operating shaft when the handle unit is rotated. A coupling protrusion to be inserted into the
A through-hole portion for expos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ap, the coupling protrusion is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portion, and the cap is coupl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in a coupled state. Coffee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a shape that increases in height from the edge portion to the center portion so as not to be unintentionally separ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 유닛은, 휴대 및 보관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작동축에서 분리한 후 상기 핸들 유닛의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과 나란하게 하여 상기 그라인더 본체의 외측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According to claim 1,
The handle unit is separated from the operating shaft for convenience of portability and storage,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unit is parallel to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coffee grinder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본체의 외측면에는 상기 핸들 유닛을 결합하기 위한 핸들 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핸들 유닛은 상기 삽입홀을 통해 상기 핸들 장착부와 결합되며,
상기 핸들 유닛의 타단부에 마련된 핸들 손잡이에는, 상기 핸들 유닛이 상기 핸들 장착부와 결합될 때 상기 작동축의 상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1. The method of claim 10,
A handle mounting portion for coupling the handle unit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grinder body,
The handle unit is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through the insertion hole,
The coffee grind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shaft when the handle unit is coupled to the handle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andle handl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handle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인더 본체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투입되는 커피 원두를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과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사이로 안내하는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과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중심을 잡아주는 가이드 관;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8. The method of claim 7,
The grinder body is
A guid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to provide a passage for guiding coffee beans introduced into the housing between the male grinder blade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and to hold the center of the male grinder blade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tube;
Coffee grinder furth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관은,
상기 작동축을 에워싸는 제1 가이드 관;
상기 제1 가이드 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숫형 그라인더 날과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을 에워싸는 제2 가이드 관; 및
상기 제1 가이드 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접촉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지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guide tube,
a first guide tube surrounding the actuation shaft;
a second guide tub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guide tube and enclosing the male grinder blade and the female grinder blade; and
at least one wing support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guide tub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x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offee grinder comprising 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외주면 일측에는 평면 형상의 조립면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암형 그라인더 날의 상기 조립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내측으로 돌출된 날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관에는 상기 날 고정부가 상기 조립면에 맞물릴 수 있도록 해당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피 그라인더.
13. The method of claim 12,
A flat assembly surfac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emale grinder blade,
A blade fixing part protruding inwardly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surface of the female grinder blade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Coffee grin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tube has an opening form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so that the blade fixing part can be engaged with the assembly surface.
KR1020190163421A 2019-12-10 2019-12-10 Coffee grinding machine KR1022608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21A KR102260823B1 (en) 2019-12-10 2019-12-10 Coffee grinding machine
CN202022192157.2U CN214284613U (en) 2019-12-10 2020-09-29 Coffee grinder
PCT/KR2020/017637 WO2021118172A1 (en) 2019-12-10 2020-12-04 Coffee gri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21A KR102260823B1 (en) 2019-12-10 2019-12-10 Coffee grind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823B1 true KR102260823B1 (en) 2021-06-07

Family

ID=76330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421A KR102260823B1 (en) 2019-12-10 2019-12-10 Coffee grinding machin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60823B1 (en)
CN (1) CN214284613U (en)
WO (1) WO2021118172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978682U (en) * 2022-07-28 2023-05-09 宁波钛然户外科技有限公司 Coffee grinder with folding hand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73B1 (en) 2008-08-29 2010-11-22 노우철 a device for extract coffee having hand mill
KR101011692B1 (en) 2008-08-29 2011-01-28 한규암 a hand mill with all-in-one fillter
KR101677211B1 (en) * 2016-05-19 2016-11-17 주식회사 씨투 Grinder tumbler
KR101966717B1 (en) * 2018-04-13 2019-08-13 김영태 Manual coffee grin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82B1 (en) * 2013-10-30 2015-02-04 윤한상 hand drip coffee tumbler
CN205433126U (en) * 2015-12-28 2016-08-10 浙江武义万家隆塑业有限公司 Coffee cup with grind coffee beans function
JP3215558U (en) * 2018-01-16 2018-03-29 Hario株式会社 Mill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5873B1 (en) 2008-08-29 2010-11-22 노우철 a device for extract coffee having hand mill
KR101011692B1 (en) 2008-08-29 2011-01-28 한규암 a hand mill with all-in-one fillter
KR101677211B1 (en) * 2016-05-19 2016-11-17 주식회사 씨투 Grinder tumbler
KR101966717B1 (en) * 2018-04-13 2019-08-13 김영태 Manual coffee gr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8172A1 (en) 2021-06-17
CN214284613U (en) 202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2430A (en) Hand-held pulverizer
JP5097005B2 (en) Fragrance crushing grinder and its automatic opening / closing control device
US4685625A (en) Grinding mill
AU2019432462B2 (en) Dual-purpose powder grinding machine and working method therefor
ES2229174T3 (en) A MILL FOR PEPPER GRAINS, SPICES, COFFEE BEANS OR SIMILAR.
JP7227160B2 (en) bean grinder
CN109330340B (en) Juicer powered on upper part
KR101011692B1 (en) a hand mill with all-in-one fillter
KR102260823B1 (en) Coffee grinding machine
KR200467579Y1 (en) Multi purpose apparatus for roasting
KR100995873B1 (en) a device for extract coffee having hand mill
CN213850231U (en) Electric coffee bean grinder
KR20170050978A (en) A portable device equipped with coffee powder,coffee bean grinder adjustment
CN211212771U (en) Grinding device
KR101544308B1 (en) canister grinder
KR200493831Y1 (en) Hand mill with dripper
CN108784368B (en) Coffee machine
CN209733633U (en) Bean grinder
KR200473090Y1 (en) Cover for coffee beans hand mill
KR101920208B1 (en) Electric pencil sharpener
KR930004465B1 (en) Percolator
KR20110038435A (en) Mixer with detachable filter net
KR0125796Y1 (en) A food mixer
KR200161324Y1 (en) A multipurpose juice extractor
KR102160419B1 (en) Manual coffee gri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