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793B1 - Led용 파워 케이블 - Google Patents

Led용 파워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793B1
KR102260793B1 KR1020200181579A KR20200181579A KR102260793B1 KR 102260793 B1 KR102260793 B1 KR 102260793B1 KR 1020200181579 A KR1020200181579 A KR 1020200181579A KR 20200181579 A KR20200181579 A KR 20200181579A KR 102260793 B1 KR102260793 B1 KR 102260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nut
socket
cabl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인
Priority to KR102020018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7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465Identification means, e.g. labels, tags, mark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1Bolt, set screw or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02G15/1806Heat shrinkable sleev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용 파워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시 오결합이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식별내식튜브에 의하여 점등 LED의 식별성을 가지면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외부 오염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소켓너트커넥터부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내식튜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시 오결합이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식별내식튜브에 의하여 점등 LED의 식별성을 가지면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외부 오염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LED용 파워 케이블{Power distribution cable for LED}
본 발명은 LED용 파워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소켓너트커넥터부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내식튜브로 구성하여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시 오결합이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식별내식튜브에 의하여 점등 LED의 식별성을 가지면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외부 오염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용 파워 케이블은 LED의 점등을 위한 직류전원을 SMPS에서 LED로 공급하는 케이블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LED용 파워 케이블은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는 판형플러그커낵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 판형소켓커넥터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LED용 파워 케이블은 통상 플러그케이블을 SMPS에 결선하고, 소켓케이블은 LED에 결선하는 것이다.
그리고, 판형플러그커넥터와 판형소켓커넥터를 결합하여 SMPS의 전원이 LED로 공급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LED용 파워 케이블은 플러그케이블과 소켓케이블의 연결이 판형플러그케넥터와 판형소켓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되게 구성되어 있어 그 결합내구성이 약하여 외부 오염물질로부터의 보호가 용이하지 않고 절연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84405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LED용 파워 케이블이 플러그케이블과 소켓케이블의 연결이 판형플러그케넥터와 판형소켓커넥터에 의하여 접속되게 구성되어 있어 그 결합내구성이 약하여 외부 오염물질로부터의 보호가 용이하지 않고 절연강도가 낮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소켓너트커넥터부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내식튜브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플러그너트커넥터부를 플러그케이블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양극접속단자와 플러그케이블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음극접속단자, 상기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양극접속단자 측의 외면에 두 개의 정결합가이드홈을 형성한 너트플러그몰드,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솔더단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플러그피복부,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외면에 돌출형성한 너트지지플랜지에 구속되어 소켓너트커넥터부와 나사 결속되게 구비되는 커넥터너트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켓너트커넥터부를 소켓케이블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양극핀단자와 소켓케이블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음극핀단자, 상기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소켓부를 돌출형성한 너트소켓몰드,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핀솔더단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소켓피복부,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외면에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커넥터너트부가 나사 결합되게 나사산을 형성한 소켓나사부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소켓너트커넥터부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내식튜브로 구성함으로써,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시 오결합이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식별내식튜브에 의하여 점등 LED의 식별성을 가지면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게 하고 외부 오염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분해 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보인 결합 상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상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단면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너트커넥터부의 상세 예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너트커넥터부의 단면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켓너트커넥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정면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시 오결합이 방지되게 함과 더불어 점등 LED의 식별성을 가지면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유지 미 외부 오염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은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플러그케이블(100)과 플러그너트커넥터부(200), 소켓케이블(300), 소켓너트커넥터부(400) 및 식별열수축튜브(5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플러그케이블(100)은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케이블(100)은 양극이 결선되며 독립적으로 절연피복되는 양극케이블과 음극이 결선되며 독립적으로 절연피복되는 음극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양극케이블과 음극케이블의 감싸 피복하는 케이블피복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너트커넥터부(200)는 플러그케이블(100)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너트커넥터부(200)는 양극접속단자(210)와 음극접속단자(220), 너트플러그몰드(240), 플러그피복부(246), 커넥터너트부(2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접속단자(210)는 플러그케이블(100)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음극접속단자(220)는 플러그케이블(100)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접속단자(210)와 음극접속단자(220)는 너트플러그몰드(240)에 인서트되는 도전성 선재로 이루어진 단자몸체(231)와 상기 단자몸체(231)의 전단에 소켓너트커넥터부(400)와 전기적접속되게 관체로 절곡 형성된 핀접속부(232)와 상기 단자몸체(231)의 후단에 너트플러그몰드(24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일면으로 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안착되는 플러그솔더수용홈(233a)을 형성하는 플러그솔더단(23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너트플러그몰드(240)는 전면에 소켓너트커넥터부(400)와 결합되는 플러그부(241)를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부(241)는 양극접속단자(210)와 음극접속단자(220)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양극접속단자(210) 측의 외면에 두 개의 정결합가이드홈(242)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피복부(246)는 너트플러그몰드(24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접속단자(210)와 음극접속단자(220)의 플러그솔더단(233)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커넥터너트부(250)는 너트플러그몰드(240)의 외면에 돌출형성한 너트지지플랜지(243)에 구속되어 소켓너트커넥터부(400)와 나사 결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너트지지플랜지(243)에는 소켓너트커넥터부(400)와 결합시 수밀 유지를 위한 수밀오링(260)이 구비되어 실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너트플러그몰드(240)의 후방에는 양극접속단자(210)와 음극접속단자(220)의 솔더단이 합선방지되도록 양 플러그솔더단(233) 사이로 돌출되는 플러그합선방지돌기(244)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양극접속단자(210)와 음극접속단자(220)의 솔더단에 케이블의 솔더 작업을 위한 케이블의 안착과정에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플러그솔더수용홈(233a)이 상하로 배열되게 너트플러그몰드(240)에 인서트되는 양극접속단자(210)와 음극접속단자(220)의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플러그솔더수용홈(233a)에 케이블의 솔더과정에 너트플러그몰드(240)가 플러그솔더수용홈(233a)이 케이블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상면으로 노출되게 안착 유도되도록 상기 플러그솔더수용홈(233a)의 반대측에 너트플러그몰드(240)의 내부에 플러그안착홈상향유도웨이트(245)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켓케이블(300)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케이블(300)은 양극이 결선되며 독립적으로 절연피복되는 양극케이블과 음극이 결선되며 독립적으로 절연피복되는 음극케이블로 구성되고, 상기 양극케이블과 음극케이블의 감싸 피복하는 케이블피복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너트커넥터부(400)는 소켓케이블(300)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너트커넥터부(400)는 양극핀단자(410)와 음극핀단자(420), 너트소켓몰드(440), 소켓피복부(445), 소켓나사부(450)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핀단자(410)는 소켓케이블(300)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음극핀단자(420)는 소켓케이블(300)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양극핀단자(410)와 음극핀단자(420)는 너트소켓몰드(440)에 인서트되는 도전성 선재로 이루어진 핀몸체(431)와 상기 핀몸체(431)의 전단에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전기적접속되게 핀 형상으로 형성되 너트소켓몰드(440)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접속핀부와 상기 핀몸체(431)의 후단에 너트소켓몰드(44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일면으로 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안착되는 핀솔더수용홈(433a)을 형성하는 핀솔더단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너트소켓몰드(440)는 양극핀단자(410)와 음극핀단자(420)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전면에 너트플러그몰드(240)의 플러그부(241)를 수용하는 소켓부(441)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소켓부(441)의 내면에 상기 플러그부(241)의 외면에 형성한 정결합유도홈에 대응되는 정결합유도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 소켓피복부(445)는 너트플러그몰드(24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핀속단자와 음극핀단자(420)의 핀솔더단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소켓나사부(450)는 너트소켓몰드(440)의 외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너트소켓몰드(440)의 후방에는 양극핀단자(410)와 음극핀단자(420)의 핀솔더단이 합선방지되도록 양 핀솔더단 사이로 돌출되는 핀합선방지돌기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양극핀단자(410)와 음극핀단자(420)의 핀솔더단에 케이블의 솔더 작업을 위한 케이블의 안착과정에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핀솔더수용홈(433a)이 상하로 배열되게 너트소켓몰드(440)에 인서트되는 양극핀단자(410)와 음극핀단자(420)의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핀솔더수용홈(433a)에 케이블의 솔더과정에 너트소켓몰드(440)가 핀솔더수용홈(433a)이 케이블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상면으로 노출되게 안착 유도되도록 상기 핀솔더수용홈(433a)의 반대측에 너트소켓몰드(440)의 내부에 핀안착홈상향유도웨이트(444)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별열수축튜브(500)는 결합된 플러그너트커넥터부(200)와 소켓너트커넥터부(400)의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용실시에 따른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100)과 상기 플러그케이블(100)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200),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300), 상기 소켓케이블(300)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400)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200)와 소켓너트커넥터부(400)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열수축튜브(500)로 구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시 오결합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식별열수축튜브(500)에 의하여 점등 LED의 식별성을 가지면서 플러그너트커넥터와 소켓너트커넥터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식별열수축튜브(500)가 외부 오염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것이다.
100 : 플러그케이블
200 : 플러그너트커넥터부
210 : 양극접속단자 220 : 음극접속단자
231 : 단자몸체 232 : 핀접속부
233 : 플러그솔더단 233a: 플러그솔더수용홈
240 : 너트플러그몰드 241 : 플러그부
242 : 정결합가이드홈
243 : 너트지지플랜지
244 : 플러그합선방지돌기
245 : 플러그안착홈상향유도웨이트
246 : 플러그피복부
250 : 커넥터너트부
260 : 수밀오링
300 : 소켓케이블
400 : 소켓너트커넥터부
410 : 양극핀단자 420 : 음극핀단자
431 : 핀몸체 432 : 접속핀부
433 : 핀솔더단 433a: 핀솔더수용홈
440 : 너트소켓몰드
441 : 소켓부 442 : 정결합가이드돌기
443 : 소켓합선방지돌기 444 : 핀안착홈상향유도웨이트
445 : 소켓피복부
450 : 소켓나사부
500 : 식별내식튜브

Claims (5)

  1.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소켓너트커넥터부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내식튜브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너트커넥터부는 플러그케이블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양극접속단자와 플러그케이블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음극접속단자, 상기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양극접속단자 측의 외면에 두 개의 정결합가이드홈을 형성한 너트플러그몰드,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솔더단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플러그피복부,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외면에 돌출형성한 너트지지플랜지에 구속되어 소켓너트커넥터부와 나사 결속되게 구비되는 커넥터너트부로 구성하며;
    상기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는 너트플러그몰드에 인서트되는 도전성 선재로 이루어진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의 전단에 소켓너트커넥터부와 전기적접속되게 관체로 절곡 형성된 핀접속부와 상기 단자몸체의 후단에 너트플러그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일면으로 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안착되는 플러그솔더수용홈을 형성하는 플러그솔더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플러그몰드는 전면에 소켓너트커넥터부와 결합되는 플러그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부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양극접속단자 측의 외면에 두 개의 정결합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후방에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솔더단이 합선방지되도록 양 플러그솔더단 사이로 돌출되는 플러그합선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솔더단에 케이블의 솔더 작업을 위한 케이블의 안착과정에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플러그솔더수용홈이 상하로 배열되게 너트플러그몰드에 인서트되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솔더수용홈에 케이블의 솔더과정에 너트플러그몰드가 플러그솔더수용홈이 케이블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상면으로 노출되게 안착 유도되도록 상기 플러그솔더수용홈의 반대측에 너트플러그몰드의 내부에 플러그안착홈상향유도웨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케이블.
  3.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소켓너트커넥터부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내식튜브로 구성하고;
    상기 소켓너트커넥터부는 소켓케이블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양극핀단자와 소켓케이블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음극핀단자, 상기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소켓부를 돌출형성한 너트소켓몰드,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핀솔더단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소켓피복부,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외면에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커넥터너트부가 나사 결합되게 나사산을 형성한 소켓나사부로 구성하며;
    상기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는 너트소켓몰드에 인서트되는 도전성 선재로 이루어진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전단에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전기적접속되게 핀 형상으로 형성되 너트소켓몰드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접속핀부와 상기 핀몸체의 후단에 너트소켓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일면으로 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안착되는 핀솔더수용홈을 형성하는 핀솔더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너트소켓몰드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전면에 너트플러그몰드의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소켓부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소켓부의 내면에 상기 플러그부의 외면에 형성한 정결합유도홈에 대응되는 정결합유도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후방에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핀솔더단이 합선방지되도록 양 핀솔더단 사이로 돌출되는 핀합선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핀솔더단에 케이블의 솔더 작업을 위한 케이블의 안착과정에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핀솔더수용홈이 상하로 배열되게 너트소켓몰드에 인서트되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케이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핀솔더수용홈에 케이블의 솔더과정에 너트소켓몰드가 핀솔더수용홈이 케이블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상면으로 노출되게 안착 유도되도록 상기 핀솔더수용홈의 반대측에 너트소켓몰드의 내부에 핀안착홈상향유도웨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케이블.
  5. LED용 파워 케이블에 있어서;
    전원부 또는 LED 중 어느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플러그케이블과 상기 플러그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플러그너트커넥터부, 전원부 또는 LED 중 다른 일측에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며 결합극성을 갖게 구비되는 소켓케이블, 상기 소켓케이블과 전기적 결선되게 구비되는 소켓너트커넥터부 및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소켓너트커넥터부의 결합상태에서 그 외측에 열수축 피복되어 결합해제가 방지되게 하고 케이블 종류를 식별할 수 있게 구비되는 식별내식튜브로 구성하고;
    상기 플러그너트커넥터부는 플러그케이블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양극접속단자와 플러그케이블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음극접속단자, 상기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양극접속단자 측의 외면에 두 개의 정결합가이드홈을 형성한 너트플러그몰드,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솔더단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플러그피복부,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외면에 돌출형성한 너트지지플랜지에 구속되어 소켓너트커넥터부와 나사 결속되게 구비되는 커넥터너트부로 구성하며;
    상기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는 너트플러그몰드에 인서트되는 도전성 선재로 이루어진 단자몸체와 상기 단자몸체의 전단에 소켓너트커넥터부와 전기적접속되게 관체로 절곡 형성된 핀접속부와 상기 단자몸체의 후단에 너트플러그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일면으로 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안착되는 플러그솔더수용홈을 형성하는 플러그솔더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너트플러그몰드는 전면에 소켓너트커넥터부와 결합되는 플러그부를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부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양극접속단자 측의 외면에 두 개의 정결합가이드홈을 형성하며;
    상기 너트플러그몰드의 후방에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솔더단이 합선방지되도록 양 플러그솔더단 사이로 돌출되는 플러그합선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솔더단에 케이블의 솔더 작업을 위한 케이블의 안착과정에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플러그솔더수용홈이 상하로 배열되게 너트플러그몰드에 인서트되는 양극접속단자와 음극접속단자의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소켓너트커넥터부는 소켓케이블 중 양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양극핀단자와 소켓케이블 중 음극케이블과 전기적 접속되게 구비되는 음극핀단자, 상기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소켓부를 돌출형성한 너트소켓몰드,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핀솔더단을 절연피복할 수 있게 구비되는 소켓피복부,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외면에 플러그너트커넥터부의 커넥터너트부가 나사 결합되게 나사산을 형성한 소켓나사부로 구성하며;
    상기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는 너트소켓몰드에 인서트되는 도전성 선재로 이루어진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전단에 플러그너트커넥터부와 전기적접속되게 핀 형상으로 형성되 너트소켓몰드의 전면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접속핀부와 상기 핀몸체의 후단에 너트소켓몰드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일면으로 케이블이 솔더 결속되게 안착되는 핀솔더수용홈을 형성하는 핀솔더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너트소켓몰드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를 상호 이격되도록 인서트 성형되게 구비되며 전면에 너트플러그몰드의 플러그부를 수용하는 소켓부를 돌출형성하며, 상기 소켓부의 내면에 상기 플러그부의 외면에 형성한 정결합유도홈에 대응되는 정결합유도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너트소켓몰드의 후방에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핀솔더단이 합선방지되도록 양 핀솔더단 사이로 돌출되는 핀합선방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핀솔더단에 케이블의 솔더 작업을 위한 케이블의 안착과정에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핀솔더수용홈이 상하로 배열되게 너트소켓몰드에 인서트되는 양극핀단자와 음극핀단자의 측 방향으로 노출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용 파워 케이블.

KR1020200181579A 2020-12-23 2020-12-23 Led용 파워 케이블 KR1022607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79A KR102260793B1 (ko) 2020-12-23 2020-12-23 Led용 파워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1579A KR102260793B1 (ko) 2020-12-23 2020-12-23 Led용 파워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793B1 true KR102260793B1 (ko) 2021-06-07

Family

ID=76374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579A KR102260793B1 (ko) 2020-12-23 2020-12-23 Led용 파워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7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280A (ja) * 1996-05-15 2000-08-08 センターピ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394079Y1 (ko) * 2005-05-27 2005-09-01 전성국 케이블 연결부재
KR20060068122A (ko) * 2004-12-16 2006-06-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JP2015524982A (ja) * 2012-03-12 2015-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熱伝導性を有する電源コネクタ
KR200484405Y1 (ko)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0280A (ja) * 1996-05-15 2000-08-08 センターピン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60068122A (ko) * 2004-12-16 2006-06-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커넥터
KR200394079Y1 (ko) * 2005-05-27 2005-09-01 전성국 케이블 연결부재
JP2015524982A (ja) * 2012-03-12 2015-08-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熱伝導性を有する電源コネクタ
KR200484405Y1 (ko) 2017-03-28 2017-09-01 주식회사 천인 Led용 파워 분배 케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1196B2 (en) Power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4537416B2 (ja) 電気的なコンタクト
US7470143B2 (en) Electrical connector components
US6791840B2 (en) Incandescent tube bulb replacement assembly
US7618279B1 (en) One-piece push-i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GB2418303A (en) Coaxial connector with two interconnected contacts
US11799255B2 (en) Receptacle socket assembly for lighting equipment
US8263880B2 (en) Assembly comprising electric and/or electronic components
US7717739B2 (en) Power adapter
KR102260793B1 (ko) Led용 파워 케이블
KR102279578B1 (ko) 선로분리몰드형 led파워 분배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JP2005310763A (ja) トンネル内照明装置、トンネル照明器具用コネクタ及びトンネル照明器具用プラグ付き調光制御ケーブル
US5304075A (en) Cable clamp with stress distributing grip
US20030077947A1 (en) High voltage connector
NO317460B1 (no) Elektrisk kontaktmontasje for bruk i et flerleder-koplingsstykke
KR102307708B1 (ko) 전기기구 체결용 led용 파워 케이블
US9755386B2 (en) Device for contacting electrical conductors and/or electrical contact elements, as well as lamp or electrical device
CN210926423U (zh) 一种电连接器的外壳
CN209298358U (zh) 一种机械自动化设备的电气线缆连接器
CN201954321U (zh) 改良电源连接设计的led灯具
KR102296390B1 (ko) 직렬 결선형 led파워 분배 케이블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40998A (ko) 컨넥터
US20230076774A1 (en) Modular high-current connector system
CN109510001A (zh) 一种变送器接线端子结构
US7862386B2 (en) Power connector and power supply cord set having such power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