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724B1 - Door stopper - Google Patents

Door sto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724B1
KR102260724B1 KR1020190073296A KR20190073296A KR102260724B1 KR 102260724 B1 KR102260724 B1 KR 102260724B1 KR 1020190073296 A KR1020190073296 A KR 1020190073296A KR 20190073296 A KR20190073296 A KR 20190073296A KR 102260724 B1 KR102260724 B1 KR 10226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door
stopper body
plane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2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44985A (en
Inventor
이범현
Original Assignee
이범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범현 filed Critical 이범현
Priority to KR102019007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724B1/en
Publication of KR2020014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49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54Portable devices, e.g. wedges; wedges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05D2011/0072Covers, e.g. for protection for the gap between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용이하게 설치되어 안전하게 문을 고정시킬 수 있는 문 스토퍼가 개시된다. 이러한 문 스토퍼는 스토퍼 몸체 및 삽입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몸체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문과 문틀 사이에 배치되어 문이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는 상기 스토퍼 몸체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가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문 스토퍼를 잡아서 상기 문 스토퍼의 삽입 몸체를 상기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음으로써, 상기 문이 닫히지 않도록 상기 문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Disclosed is a door stopper that is easily installed and can safely fix the door. This door stopper includes a stopper body and an insert body. The stopper body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o fix the door from closing. The insertion body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opper body,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topper body in the first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topper body, is inserted into a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nd the stopper body is connected to the door It may be fix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oor frames. In this way, the user grabs the door stopper and inserts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into the door gap, thereby easily and safely fixing the door so that the door is not closed.

Description

문 스토퍼{DOOR STOPPER}door stopper {DOOR STOPPER}

본 발명은 문 스토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이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문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topp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stopper capable of preventing a door from closing.

문(door)은 방이나 사무실 등으로 출입하는 곳이면 어디에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문은 사람이 문손잡이를 잡아서 밀거나 당기게 되면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특히, 사람의 이동이 빈번한 경우에는 문이 항상 열어놓은 상태에 놓이는 것이 일반적이다.A door is installed wherever there is an entrance to a room or an office. Such a door is opened or closed when a person grabs the door handle and pushes or pulls it. In particular, when the movement of people is frequent, the door is generally placed in an open state.

하지만, 문이 열려진 상태에 있더라도,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의 힘에 의해 갑자기 닫힐 수 있다. 이때, 아이가 문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을 집어놓고 있다면,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문이 의도하지 않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로, 문 스토퍼가 있을 수 있다.However, even when the door is in an open state, it may close suddenly due to an external impact or wind force. At this time, if a child puts a finger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 safety accident in which the finger is caught may occur. As a tool used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closed unintentionally, there may be a door stopper.

이러한 문 스토퍼의 가장 대표적인 예로써, 문과 바닥에 끼워서 문을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그러나, 아이가 호기심으로 문과 바닥에 끼워진 문 스토퍼를 빼낼 경우, 또는 사람이 이동하다가 의도하지 않게 문 스토퍼를 차고 지나갈 경우, 문이 고정 상태에서 해제되어 언제든지 문이 닫힐 수 있다.As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a door stopper, it is a method of fixing the door by inserting it into the door and the floor. However, if a child removes the door stopper inserted into the door and the floor out of curiosity, or if a person unintentionally kicks the door stopper while moving, the door is released from the fixed state and the door may be closed at any time.

최근 개발된 문 스토퍼의 다른 방식으로, 문과 문틀 사이를 연결하는 경첩에 끼워서 문을 고정시키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경첩이 있는 문에서만 사용되므로, 경첩을 사용하지 않는 문에서는 사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첩에 문 스토퍼가 끼어져 있는지 모르고 문을 닫으려고 하거나, 아이가 재미로 문을 닫으려고 할 때, 지렛대의 원리에 의한 힘이 문 스토퍼에 강하게 전달되어 문 스토퍼의 일부분이 파손될 위험도 있다.As another method of the recently developed door stopper, there is also a method of fixing the door by inserting it into the hinge connecting the door and the door frame. However, since this method is used only for doors with hinges,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use in doors without hinges. In addition, when trying to close the door without knowing that the door stopper is stuck in the hinge, or when a child tries to close the door for fun, the force of the lever principle is strongly transmitted to the door stopper, and there is a risk that a part of the door stopper may be damaged.

한편, 문 스토퍼 이외에도 문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도구로, 문틈 커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틈 커버는 문과 문틀 사이를 커버하여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방지하는 장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틈 커버는 문과 문틀에 부착시켜 설치해야만 하므로 설치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이를 해체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addition to the door stopper, there may be a door gap cover as a tool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used by pinching a finger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Such a door gap cover is a device for preventing fingers from being caught by covering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However, since such a door gap cover has to be installed by attaching it to the door and the door frame, it is not only inconvenient to install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dismantle it.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이하게 설치되어 안전하게 문을 고정시킬 수 있는 문 스토퍼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s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stopp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and safely fixed a do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스토퍼 몸체 및 삽입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몸체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문과 문틀 사이에 배치되어 문이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는 상기 스토퍼 몸체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가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The door stopp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pper body and an insertion body. The stopper body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o fix the door from closing. The insertion body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opper body,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topper body in the first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topper body, is inserted into a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nd the stopper body is connected to the door It may be fix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oor frames.

상기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삽입 몸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끼어질 수 있는 제1 및 제2 끼임골들이 형성될 수 있다.Between the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long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and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intersecting an imaginary plan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valleys that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may be formed.

상기 스토퍼 몸체는,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 몸체 상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 몸체 하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문과 접촉할 수 있는 제1 스토퍼 몸체 측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문틀과 접촉할 수 있는 제2 스토퍼 몸체 측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측면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토퍼 몸체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는,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과 연결된 삽입 몸체 상면과,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과 연결된 삽입 몸체 하면과, 상기 삽입 몸체 상면 및 상기 삽입 몸체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측면들 사이를 연결하는 삽입 몸체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끼임골은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측면 및 상기 삽입 몸체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끼임골은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측면 및 상기 삽입 몸체 측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body may include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formed parallel to the imaginary plane, a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in the third direction and formed parallel to the imaginary plane,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the stopper A side of the first stopper body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body and contacting the door, a second stopper body connect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contacting the door fram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ies. The insertion body includes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It may include a side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between the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ies. The first clipping bone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of the first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and the second pinching bone may be formed between the side of the second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손잡이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oor stopper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body formed to protrud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상기 손잡이 몸체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손잡이 홀이 형성될 수 있다.A handle hole may be formed in the handle body to penetrate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스토퍼 몸체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스토퍼 몸체 내부홀이 형성될 수 있다.An inner hole of the stopper body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body to penetrate in the third direction.

상기 스토퍼 몸체 내부홀은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홀은,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측면과 대향하는 제1 스토퍼 내측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스토퍼 내측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과 대향하는 제3 스토퍼 내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홀은,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스토퍼 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홀과 대칭이 되는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측면과 대향하는 제4 스토퍼 내측면,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5 스토퍼 내측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과 대향하는 제6 스토퍼 내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홀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선을 따라 형성된 스토퍼 중앙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body inner hole may includ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holes. The first stopper body hole may include a first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opposite to a side surface of the first stopper body,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third inner surface of the stopper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can be formed with The second stopper body hole has a shape that is symmetrical with the first stopper body hole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topper body, and faces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body and a fourth stopper inner surface, an inner surface of a fifth stopper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an inner surface of a sixth stopper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The stopper body may include a stopper central support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holes and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 사이의 간격은 끼임골 폭이라 정의하고,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 중 가장 긴 폭을 삽입 몸체 폭이라 정의할 때, 상기 삽입 몸체 폭이 상기 끼임골 폭보다 길 수 있다.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bones is defined as the interdigital width, and when the longest width among the widths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insertion body is defined as the insertion body width, the insertion body width is the width of the insertion body. It may be longer than the inset bone width.

상기 삽입 몸체 폭은,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The width of the insertion body may becom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이와 다르게,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삽입 몸체 상면과 평행하는 가상의 제1 평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및 상기 삽입 몸체 하면과 평행하는 가상의 제2 평면과, 상기 제1 및 제2 평면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들과 평행한 가상의 제3 평면이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 폭은, 상기 제1 평면에서 상기 제3 평면까지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평면에서 상기 제2 평면까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Alternatively, a first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 second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nes When an imaginary third plane located in and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planes exists, the width of the insertion body is formed to be the same length from the first plane to the third plane, and the third plane to the second plane may b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은,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A width of the insertion body i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narrower in the first direction from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bones.

상기 삽입 몸체는,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스토퍼 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insertion body may have a shape inclin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center lin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topper body.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 사이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끼임 수축홀이 상기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삽입 몸체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bone, a pinching contraction hole may be formed over the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so as to penetrate in the third direc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문 스토퍼에 따르면, 사용자가 문 스토퍼를 잡아서 상기 문 스토퍼의 삽입 몸체를 문과 문틀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음으로써, 상기 문이 닫히지 않도록 상기 문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문 스토퍼가 상기 문틈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문가 열려져 있을 때, 외부의 힘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문이 회전 이동하게 되더라고, 상기 문 스토퍼가 탄성에 의해 해당 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으므로, 해당 힘에 의해 상기 문 스토퍼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door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grabs the door stopper and inserts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into the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reby easily and safely fixing the door so that the door is not closed. can In add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while the door stopper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gaps, even if the door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or impact, the door stopper absorbs some or all of the force by elasticity Since it can be buffere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stopper from being torn or damaged by the corresponding force.

한편, 상기 문 스토퍼의 제1 및 제2 끼임골들 사이에 끼임 수축홀이 더 형성됨에 따라, 상기 문 스토퍼는 보다 넓은 범위의 폭을 갖는 문틈에 삽입되어 문을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용이하게 상기 문틈으로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pinching shrinkage hole is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grooves of the door stopper, the door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oor gap having a wider range of width and can be fixed so as not to close the door as well as , can be more easily inserted into the door gap.

또한, 상기 삽입 몸체가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으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의 하단부를 먼저 삽입할 경우, 보다 더 용이하게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insertion body has a width that becomes narrower downward, when the user tries to insert the door stopper into the door gap,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body first, inserts more easily so you can insert 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문 스토퍼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문 스토퍼 중 손잡이 몸체에 손잡이 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문 스토퍼 중 스토퍼 몸체에 스토퍼 몸체 내부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문 스토퍼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8의 문 스토퍼 중 삽입 몸체가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8의 문 스토퍼 중 삽입 몸체가 비대칭 형상을 갖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의 문 스토퍼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도 14의 문 스토퍼에서 끼임골 폭 및 끼임 수축홀 폭이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4의 문 스토퍼 중 삽입 몸체가 중간 지점까지는 동일한 폭을 갖다가 그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stopp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door stopper of FIG. 1 viewed from the top.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 1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 1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hole is formed in the handle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1 .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opper body inner hole is formed in the stopper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1 .
8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stop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lan view of the door stopper of FIG. 8 as viewed from above.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 8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8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irst direction.
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8 has an asymmetric shape.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 12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1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stopp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of the door stopper of FIG. 14 as viewed from abov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cut along the line I-I' of FIG. 15 .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 16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jammed valley and the width of the jammed constriction hole in the door stopper of FIG. 14 becom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14 has the same width up to the midpoint and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disclosed form,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includes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ddi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문 스토퍼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도 1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stopp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door stopper of FIG. 1 viewed from the top, and FIGS. 3 and 4 are the door stopper of FIG. It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andwiching process,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ure 1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10) 및 문틀(20)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끼어져 상기 문(10)이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장치로써, 스토퍼 몸체(100), 삽입 몸체(200) 및 손잡이 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10) 및 상기 문틀(20)은 경첩(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1 to 5 , the door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a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to fix the door 10 so that the door 10 is not closed, and the stopper body 100 ), the insertion body 200 and the handle body 300 may include. Here,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may be connected by a hinge 30 .

상기 스토퍼 몸체(100)는 탄성을 갖는 물질, 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스폰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 몸체(100)는 탄성을 갖되, 외력에 의해 찢겨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100)는 상기 문(10)과 상기 문틀(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문(10)이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topper body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for example, rubber, silicone, or a sponge material. Preferably, the stopper body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but not torn or damaged by an external force. The stopper body 1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to fix the door 10 so that it is not closed.

상기 삽입 몸체(200)는 상기 스토퍼 몸체(10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 몸체(10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200)는 상기 문(10)과 상기 문틀(2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문틈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100)가 상기 문(10)과 상기 문틀(20)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sertion body 20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opper body 100 ,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D1 from the stopper body 100 to be connected to the stopper body 100 . The insertion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to fix the stopper body 100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can play a role.

상기 손잡이 몸체(300)는 상기 스토퍼 몸체(100)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 몸체(1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문 스토퍼(300)는 상기 스토퍼 몸체(100)와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스토퍼 몸체(100)에 부착 또는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 몸체(300)가 상기 스토퍼 몸체(100)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몸체(300)를 잡아서 상기 문 스토퍼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문(10)과 상기 문틀(20) 사이에 형성된 상기 문틈에 용이하게 끼어 넣거나 상기 문틈에서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The handle body 30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opper body 100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topper body 100 to the outside. Alternatively, the door stopper 300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from the stopper body 100 and then attached or coupled to the stopper body 100 . As the handle body 3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topper body 100 to the outside, the user grabs the handle body 300 and moves the door stopper to move the door stopper, so that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are formed.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door gap formed therebetween, or can be easily pulled out from the door gap.

상기 스토퍼 몸체(100) 및 상기 삽입 몸체(200)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방향(D2)는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고, 상기 제3 방향(D3)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100) 및 상기 삽입 몸체(200) 사이에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 몸체(2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상기 문틈에 삽입될 때, 상기 문(10)의 모서리가 상기 제1 끼임골(J1)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문틀(20)의 모서리가 상기 제2 끼임골(J2)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에 의해 상기 문(10)과 상기 문틀(20) 사이에 끼어질 수 있다.Between the stopper body 100 and the insertion body 200,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long a second direction D2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D1,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valleys J1 and J2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D3 intersecting with respect to the virtual plane formed by D2)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second direction D2 may be a direction crossing the first direction D1 , and the third direction D3 is a virtual direction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 It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 As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valleys J1 and J2 are formed between the stopper body 100 and the insertion body 200, the insertion body 200 moves in the first direction D1. When inserted into the door gap, the edge of the door 10 may be positioned at the first fitting bone (J1), and the edge of the door frame 20 may be positioned at the second fitting bone (J2). That is, the door stopper may be sandwich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by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grooves J1 and J2 .

한편, 상기 스토퍼 몸체(100)는,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D1, D2)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 몸체 상면(110)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D3)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 몸체 하면(120)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문(10)의 일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1 스토퍼 몸체 측면(130)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문틀(20)의 일측면과 접촉할 수 있는 제2 스토퍼 몸체 측면(140)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측면들(130, 140) 사이를 연결하는 스토퍼 몸체 외측면(150)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topper body 100, the stopper body upper surface 110 formed parallel to the imaginary plan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D1 and D2, and the stopper body upper surface 110 from the The stopper body lower surface 120 spaced apart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formed parallel to the imaginary plane, and the stopper body upper surface 110 and the stopper body lower surface 120 are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10 The first stopper body side 130 that can be in contact with one side, the stopper body upper surface 110 and the stopper body lower surface 120 ar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stopper body side surface 130 and the first stopper body contactable with one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20) 2 The stopper body side surface 140, the stopper body upper surface 110 and the stopper body lower surface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side surfaces 130 and 140 connecting the stopper body outer surface ( 150) may be included.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면서 상기 스토퍼 몸체(100)의 중심을 지나가는 가상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은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부채꼴 형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도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p surface 110 of the stopper body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center line CL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topper body 100 while being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stopper body may have a sectoral shape or a trapezoidal shap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stopper body may also b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stopper body.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측면(130)은 도면에서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곡선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측면(130)에는, 상기 문(10)의 일측면과 접촉할 때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올록볼록한 다수의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first stopper body side 130 may be formed in a flat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or alternatively, may be formed in a curved plane that is convexly rounded outward.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vex small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130 of the first stopper body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oor 10 .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측면(140)도 도면에서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곡선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측면(140)에는, 상기 문틀(20)의 일측면과 접촉할 때 마찰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올록볼록한 다수의 작은 돌기들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The side surface 140 of the second stopper body may also be formed as a flat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or alternatively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of a curved line convexly rounded outward.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nvex small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140 of the second stopper body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door frame 20 .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150)은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이 부채꼴 형상을 가질 경우, 외측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곡선의 평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질 경우,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stopper body upper surface 110 and the stopper body lower surface 120 have a sector shape, the stopper body outer surface 150 may have a curved plane convexly rounded to the outside, and the stopper body upper surface ( 110) and when the lower surface 120 of the stopper body has a trapezoidal shape, it may be formed as a flat surface.

이어서, 상기 삽입 몸체(200)는,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과 연결된 삽입 몸체 상면(210)과,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과 연결된 삽입 몸체 하면(220)과,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 및 상기 삽입 몸체 하면(220)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측면들(130, 140) 사이를 연결하는 삽입 몸체 측면(230)을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insertion body 200 is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insertion body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110 of the stopper body, is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the stopper body lower surface ( Insertion body connecting between the insertion body lower surface 220 connected to 120, the insertion body upper surface 210 and the insertion body lower surface 220, an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side surfaces 130 and 140 It may include a side 230 .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은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은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되며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과 연결된 타원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몸체 하면(220)도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210 of the insertion body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insertion body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and has an elliptical shape or a similar shape connected to the top surface 110 of the stopper bod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can The lower surface 220 of the insertion body may also b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insertion body.

상기 삽입 몸체 측면(230)은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 및 상기 삽입 몸체 하면(220)이 타원 형상을 가질 경우, 타원 형상으로 라운드진 곡선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When the insert body upper surface 210 and the insert body lower surface 220 have an elliptical shape, the insert body side 230 may have a curved plane rounded in an elliptical sha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끼임골(J1)은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측면(130) 및 상기 삽입 몸체 측면(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끼임골(J2)은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측면(140) 및 상기 삽입 몸체 측면(2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tercalation bone (J1)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stopper body side 130 and the insertion body side 230, and the second interlocking bone (J2) is the second It may be formed between the stopper body side 140 and the insertion body side 230 .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 몸체(300)는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150)으로부터 상기 중심선(CL)을 따라 상기 제1 방향(D1)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방향(D3)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handle body 30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topper body outer surface 150 along the center line CL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third direction D3 ) may have an extended shap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 사이의 간격은 '끼임골 폭(W1)'이라 정의하고, 상기 삽입 몸체(200)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폭 중 가장 긴 폭을 '삽입 몸체 폭(W2)'이라 정의할 때, 상기 삽입 몸체 폭(W2)이 상기 끼임골 폭(W1)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roughs J1 and J2 is defined as 'the truncated width (W1)', and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insertion body 200 . When the longest width among the widths of the 'insertion body width (W2)' is defined, the insertion body width W2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insertion valley width W1.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를 잡아서 상기 삽입 몸체(200)를 상기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음으로써, 상기 문(10)이 닫히지 않도록 상기 문(10)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user grabs the handle body 300 and inserts the insertion body 200 into the door gap, thereby making the door 10 easy to prevent the door 10 from closing. can be securely fixed.

또한, 상기 문 스토퍼가 상기 문틈에 끼어진 상태에서 상기 문(10)가 열려져 있을 때, 외부의 힘 또는 충격에 의해 상기 문(10)이 회전 이동하게 되더라고, 상기 문 스토퍼가 탄성에 의해 해당 힘의 일부 또는 전부를 흡수하여 완충할 수 있으므로, 해당 힘에 의해 상기 문 스토퍼가 찢어지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door 10 is opened while the door stopper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gaps, even if the door 10 is rotated and moved by an external force or impact, the door stopper responds by elasticity Since some or all of the force can be absorbed and buffer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stopper from being torn or damaged by the force.

도 6은 도 1의 문 스토퍼 중 손잡이 몸체에 손잡이 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handle hole is formed in the handle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1 .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 몸체(300)에는, 상기 제2 방향(D2)으로 관통되도록 손잡이 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홀(310)은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a handle hole 310 may be formed in the handle body 300 to penetrate in the second direction D2 . In this case, the handle hole 310 may be formed in a size and shape that can accommodate four fingers except for the thumb.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 몸체(300)에 상기 손잡이 홀(310)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 홀(310)에 손의 일부를 집어넣어 상기 손잡이 몸체(300)를 잡음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끼어 넣거나 상기 문틈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handle hole 310 is formed in the handle body 300 , the user puts a part of the hand into the handle hole 310 and grips the handle body 300 , thereby making it easier to The door stopper may be inserted into the door gap or pulled out from the door gap.

도 7은 도 1의 문 스토퍼 중 스토퍼 몸체에 스토퍼 몸체 내부홀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topper body inner hole is formed in the stopper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1 .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 몸체(100)에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관통되도록 스토퍼 몸체 내부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a stopper body inner hole 160 may be formed in the stopper body 100 to penetrate in the third direction D3 .

상기 스토퍼 몸체 내부홀(160)은 복수의 홀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홀들(162, 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홀들(162, 164)은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stopper body inner hole 16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for exampl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holes 162 and 164 .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holes 162 and 164 may b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line CL.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홀(162)은,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측면(130)과 대향하는 제1 스토퍼 내측면(162a),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 스토퍼 내측면(162b) 및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150)과 대향하는 제3 스토퍼 내측면(162c)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topper body hole 162 includes a first stopper inner surface 162a opposite to the first stopper body side surface 130 and a second stopper body hole 162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It may be formed of a stopper inner surface 162b and a third stopper inner surface 162c facing the stopper body outer surface 150 .

또한,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홀(164)은,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측면(140)과 대향하는 제4 스토퍼 내측면(164a),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5 스토퍼 내측면(164b) 및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150)과 대향하는 제6 스토퍼 내측면(164c)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stopper body hole 164 includes a fourth stopper inner surface 164a opposite to the second stopper body side surface 140 , and a fifth stopper inner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 164b and a sixth stopper inner surface 164c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150 of the stopper body.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 몸체(100)에 상기 스토퍼 몸체 내부홀(160)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몸체(100)에서의 탄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 몸체(100)에서 상기 스토퍼 몸체 내부홀(160)만큼의 부피가 제거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몸체(100)를 형성하는데 소요되는 물질의 양이 감소되어 제조비용이 보다 감소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stopper body inner hole 160 is formed in the stopper body 100 , elasticity in the stopper body 100 may be improved. In addition, as the volume of the stopper body internal hole 160 is removed from the stopper body 100, the amount of material required to form the stopper body 100 is reduc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further reduced. .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홀들(162, 164)이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이 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몸체(100)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홀들(162, 164)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선(CL)을 따라 형성된 스토퍼 중앙 지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손잡이 몸체(300) 및 상기 스토퍼 중앙 지지부(170)가 상기 중심선(CL)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 중앙 지지부(170)는 상기 손잡이 몸체(300) 및 상기 삽입 몸체(200) 사이를 연결시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holes 162 and 164 are form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the stopper body 100 is form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holes ( It may include a stopper center support 170 positioned between 162 and 164 and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CL. At this time, the handle body 300 and the stopper center support 170 may be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CL. That is, the stopper central support unit 170 may serve to connect and support the handle body 300 and the insertion body 200 .

이와 같이, 상기 스토퍼 중앙 지지부(170)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 및 상기 삽입 몸체(200) 사이를 연결시켜 지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를 잡아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끼어 넣거나 빼낼 때,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스토퍼 중앙 지지부(170)를 통해 상기 삽입 몸체(200)에 전달될 수 있다.As such, as the stopper central support 170 connects and supports between the handle body 300 and the insertion body 200, the user grabs the handle body 300 and inserts the door stopper into the door gap. When inserting or withdrawing, the force applied to the handle body 300 by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insertion body 200 through the stopper central support portion 170 .

<실시예 2><Example 2>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도 9는 도 8의 문 스토퍼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stopp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the door stopper of FIG. 8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10 is a door stopper of FIG. 8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It is a diagram showing the state.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10) 및 문틀(20)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끼어져 상기 문(10)이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장치로써, 스토퍼 몸체(100), 삽입 몸체(200) 및 손잡이 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10) 및 상기 문틀(20)은 경첩(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8 to 10 , the door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a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to fix the door 10 so that the door 10 is not closed, and the stopper body 100 ), the insertion body 200 and the handle body 300 may include. Here,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may be connected by a hinge 30 .

상기 스토퍼 몸체(100), 상기 삽입 몸체(200) 및 상기 손잡이 몸체(300)는 후술될 끼임 수축홀(SH)에 관한 내용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의 스토퍼 몸체(100), 삽입 몸체(200) 및 손잡이 몸체(300)와 각각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opper body 100, the insertion body 200, and the handle body 300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Since the stopper body 100, the insertion body 200, and the handle body 300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 사이에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관통되도록 끼임 수축홀(SH)이 상기 스토퍼 몸체(100) 및 상기 삽입 몸체(200)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bones (J1, J2), the pinching contraction hole (SH) to penetrate in the third direction (D3) is the stopper body 100 and the insertion body ( 200) can be formed.

상기 끼임 수축홀(SH)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하고 상기 스토퍼 몸체(100)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CL)을 기준으로 대칭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끼임 수축홀(SH)은 상기 제1 방향(D1)과 평행한 장축 및 상기 제2 방향(D2)과 평행한 단축을 갖는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pinching shrinkage hole SH may have a symmetrical shape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CL that 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stopper body 100 . For example, the pinching shrinkage hole SH may have an elliptical shape having a major axis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D1 and a minor axis parallel to the second direction D2 .

본 실시예에서, 상기 끼임 수축홀(SH)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폭 중 가장 긴 폭을 '끼임 수축홀 폭(W3)'이라 정의할 때, 상기 끼임 수축홀 폭(W3)은 상기 제3 방향(D3)에 따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defining the longest width among the widths of the pinching shrinkage hole SH in the second direction D2 as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in the third direction D3.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 사이에 상기 끼임 수축홀(SH)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문 스토퍼는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 사이에서의 탄성이 더욱 증가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문 스토퍼가 상기 문틈에 끼어져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이 각각 상기 문(10)의 모서리 및 상기 문틀(20)의 모서리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 간의 간격이 축소되는 길이가 상기 끼임 수축홀(SH)이 없을 때의 길이보다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끼임 수축홀(SH)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 간의 간격이 축소되는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문 스토퍼는 보다 넓은 범위의 폭을 갖는 문틈에 삽입되어 문을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pinching shrinkage hole (SH)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bones (J1, J2), the door stopper i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bones (J1, J2). The elasticity in the can be further increased. Accordingly, when the door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oor gap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grooves J1 and J2 are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door 10 and the edge of the door frame 20, respectively, the The length at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bones J1 and J2 is reduced may be greater than the length when the pinching shrinkage hole SH is not present. That is, as the length at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valleys J1 and J2 is reduced by the pinching shrinkage hole SH increases, the door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door gap having a wider range of width. It can be fixed so that the door does not close.

한편, 상기 끼임 수축홀(SH)의 일부분이 상기 삽입 몸체(200)에도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삽입 몸체(200)의 탄성이 보다 증가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을 잡고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상기 제1 방향(D1)으로 삽입하여 끼어 넣으려고 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a portion of the fitting shrinkage hole SH is also formed in the insertion body 200 , the elasticity of the insertion body 200 may be further increased. Therefore, when the user holds the handle body 300 and tries to insert the door stopper into the door gap in the first direction D1, i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도 11은 도 8의 문 스토퍼 중 삽입 몸체가 제1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11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8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first direction.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 몸체(200)의 상기 제2 방향(D2)으로의 폭이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J1, J2)에서부터 상기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 11, the width in the second direction (D2) of the insertion body 200 from the first and second interposed valleys (J1, J2) toward the first direction (D1) is narrower It may have a shape.

이와 같이, 상기 삽입 몸체(200)가 상기 제1 방향(D1)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을 잡고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상기 제1 방향(D1)으로 삽입하여 끼어 넣으려고 할 때,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다.As such, as the insertion body 200 has a narrower width in the first direction D1, the user holds the handle body 300 and inserts the door stopper into the door gap in the first direction D1. ), when you try to insert it, you can insert it more easily.

도 12는 도 8의 문 스토퍼 중 삽입 몸체가 비대칭 형상을 갖는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8 has an asymmetric shape, and 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 12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삽입 몸체(200)는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12 and 13 , the insertion body 200 may have a shape inclin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이와 같이, 상기 삽입 몸체(200)가 상기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형상을 가짐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을 잡고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으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200) 중 일측으로 기울어진 부분을 먼저 삽입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insertion body 200 has a shape inclin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 the user holds the handle body 300 and inserts the door stopper into the door gap. When doing this, if the inclined portion to one side of the insertion body 200 is inserted first, i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실시예 3><Example 3>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4의 문 스토퍼를 상부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5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문 스토퍼가 문 및 문틀 사이로 끼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stopp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plan view of the door stopper of FIG. 14 as viewed from above, and FIG. 16 is a cut along the line I-I' of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nd FIG.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door stopper of FIG. 16 is sandwich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도 14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문 스토퍼는 문(10) 및 문틀(20)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끼어져 상기 문(10)이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장치로써, 스토퍼 몸체(100), 삽입 몸체(200) 및 손잡이 몸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문(10) 및 상기 문틀(20)은 경첩(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14 to 17 , the door stopp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erted into a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to fix the door 10 so that the door 10 is not closed, and the stopper body 100 ), the insertion body 200 and the handle body 300 may include. Here, the door 10 and the door frame 20 may be connected by a hinge 30 .

상기 스토퍼 몸체(100), 상기 삽입 몸체(200) 및 상기 손잡이 몸체(300)는 상기 삽입 몸체 폭(W2) 또는 상기 끼임골 폭(W1)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한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기 끼임 수축홀 폭(W3)에 대한 내용을 제외하면, 도 8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제2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stopper body 100, the insertion body 200, and the handle body 300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except for the insertion body width W2 or the insertion bone width W1. Since 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o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except for the information about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it with

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 몸체 폭(W2)은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에서의 폭과 상기 삽입 몸체 하면(220)에서의 폭이 서로 상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 몸체 폭(W2)은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에서의 폭이 상기 삽입 몸체 하면(220)에서의 폭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width of the insertion body (W2)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at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insertion body and the width at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22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width W2 of the insertion body may be formed so that the width at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insertion body is longer than the width at the lower surface 220 of the insertion body.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삽입 몸체 폭(W2)은 도 16과 같이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110) 및 상기 삽입 몸체 상면(210)과 평행하는 가상의 제1 평면(UF)과,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120) 및 상기 삽입 몸체 하면(220)과 평행하는 가상의 제2 평면(LF)이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 폭(W2)은 상기 제1 평면(UF)에서 상기 제2 평면(LF)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 몸체 폭(W2)은 도 16과 같이 선형적으로, 즉 동일한 기울기로 좁아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좁아질 수도 있다.Specifically, for example, the width W2 of the insertion body may become narrower toward the third direction D3 as shown in FIG. 16 . That is, a virtual first plane UF parallel to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stopper body and the upper surface 210 of the insertion body, and a virtual first plane UF parallel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1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220 Assuming that the second plane LF exists, the insertion body width W2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from the first plane UF to the second plane LF. In this case, the width W2 of the insertion body may be linearly narrowed as shown in FIG. 16 , that is, with the same slope, but may be narrowed in such a way that the slope increases in the third direction D3 .

한편, 상기 끼임골 폭(W1) 및 상기 끼임 수축홀 폭(W3)은 각각 도 16과 같이 상기 제3 방향(D3)에 따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nching valley width (W1) and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long the third direction (D3) as shown in FIG. 16, respectively.

이와 같이, 상기 삽입 몸체 폭(W2)이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을 잡고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으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200) 중 상기 삽입 몸체 폭(W2)이 좁은 하단부를 먼저 삽입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다. 반면, 상기 삽입 몸체(200)의 상단부가 하단부보다 넓은 폭을 가짐에 따라, 상기 문 스토퍼가 상기 문틈에 보다 강하게 끼어 고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width W2 of the insertion body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D3, when the user tries to insert the door stopper into the gap between the door while holding the handle body 300 , When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body 200 with the narrow width W2 of the insertion body is first inserted, i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On the other hand, as the upper end of the insertion body 200 has a wider width than the lower end, the door stopper may be more strongly fitted into the door gap.

도 18은 도 14의 문 스토퍼에서 끼임골 폭 및 끼임 수축홀 폭이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jammed valley and the width of the jammed constriction hole in the door stopper of FIG. 14 becom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도 18을 참조할 때, 상기 끼임골 폭(W1)이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끼임 수축홀 폭(W3)도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8 , the trough width W1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D3. Similarly,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may also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D3.

이와 같이, 상기 삽입 몸체 폭(W2)과 함께 상기 끼임골 폭(W1)이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을 잡고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으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200)의 하단부를 먼저 삽입할 경우, 보다 더 용이하게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다.In this way, as the insertion body width W1 together with the insertion body width W2 are formed to become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D3, the user holds the handle body 300 and opens the door stopper. When inserting into the gap of the door, when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body 200 first, i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than inserted.

도 19는 도 14의 문 스토퍼 중 삽입 몸체가 중간 지점까지는 동일한 폭을 갖다가 그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sertion body of the door stopper of FIG. 14 has the same width up to the midpoint and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thereof.

도 19을 참조할 때, 상기 제1 및 제2 평면들(UF, LF)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들(UF, LF)과 평행한 가상의 제3 평면(MF)이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 폭(W2)은 상기 제1 평면(UF)에서 상기 제3 평면(MF)까지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삽입 몸체 폭(W2)이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 좁아지도록 형성될 때, 도 19와 같이 선형적으로, 즉 동일한 기울기로 좁아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좁아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몸체 폭(W2)은 상기 제1 평면(UF)에서 상기 제3 평면(MF)까지는 제1 기울기로 좁아지다가,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는 상기 제1 기울기보다 큰 제2 기울기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9 , a virtual third plane MF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lanes UF and LF and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planes UF and LF exists. In this case, the insertion body width W2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from the first plane UF to the third plane MF, and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third direction D3. At this time, when the insertion body width W2 is formed to narrow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linearly narrowed as shown in FIG. 19, that is, with the same inclination, but the It may be narrowed in such a way that the slope increases in the third direction D3 . In addition, the insertion body width W2 is narrowed at a first inclination from the first plane UF to the third plane MF, and then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with a second inclination greater than the first inclination.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끼임골 폭(W1)도 상기 제1 평면(UF)에서 상기 제3 평면(MF)까지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끼임골 폭(W1)이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 좁아지도록 형성될 때, 도 19와 같이 선형적으로, 즉 동일한 기울기로 좁아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좁아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끼임골 폭(W1)은 상기 제1 평면(UF)에서 상기 제3 평면(MF)까지는 제3 기울기로 좁아지다가,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는 상기 제3 기울기보다 큰 제4 기울기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Similarly, the interposed valley width W1 is also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from the first plane UF to the third plane MF, and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third direction D3. At this time, when the gap width W1 is formed to be narrower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linearly narrowed as shown in FIG. 19, that is, with the same slope, but the It may be narrowed in such a way that the slope increases in the third direction D3 . In addition, the gap width W1 is narrowed at a third inclination from the first plane UF to the third plane MF, and then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with a fourth inclination greater than the third inclination.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끼임 수축홀 폭(W3)도 상기 제1 평면(UF)에서 상기 제3 평면(MF)까지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는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끼임 수축홀 폭(W3)이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 좁아지도록 형성될 때, 도 19와 같이 선형적으로, 즉 동일한 기울기로 좁아질 수도 있지만, 상기 제3 방향(D3)으로 갈수록 기울기가 증가하는 방식으로 좁아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끼임 수축홀 폭(W3)은 상기 제1 평면(UF)에서 상기 제3 평면(MF)까지는 제5 기울기로 좁아지다가, 상기 제3 평면(MF)에서 상기 제2 평면(LF)까지는 상기 제5 기울기보다 큰 제6 기울기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Similarly,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is also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from the first plane UF to the third plane MF, and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formed to become narrower toward the third direction D3. At this time, when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is formed to be narrowed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linearly narrowed as shown in FIG. 19, that is, with the same inclination, It may be narrowed in such a way that the slope increases in the third direction D3. In addition, the pinching shrinkage hole width W3 is narrowed at a fifth slope from the first plane UF to the third plane MF, and then from the third plane MF to the second plane LF. It may be formed to be narrower with a sixth inclination greater than the fifth inclination.

이와 같이, 상기 삽입 몸체 폭(W2)이 상기 제3 방향(D3)으로 일정 지점까지는 동일한 길이로 유지되다가 그 이후에 좁아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 몸체(300)을 잡고 상기 문 스토퍼를 상기 문틈에 삽입하여 끼어 넣으려고 할 때, 상기 삽입 몸체(200)의 하단부를 먼저 삽입할 경우,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여 끼어 넣을 수 있고, 상기 삽입 몸체(200) 중 일정 지점까지 동일한 길이로 유지되는 부분에 의해 상기 문 스토퍼가 상기 문틈에 보다 더 강하게 끼어 고정될 수 있다.As such, as the width W2 of the insertion body is maintained at the same length up to a certain point in the third direction D3 and is formed to become narrow thereafter, the user holds the handle body 300 and opens the door stopper. When inserting into the gap of the door, when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insertion body 200 first, it can be inserted more easily, and the same length is maintained up to a certain point in the insertion body 200 By the part, the door stopper can be more strongly clamped in the door gap.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ll hav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100 : 스토퍼 몸체 160 : 스토퍼 몸체 내부홀
170 : 스토퍼 중앙 지지부 200 : 삽입 몸체
300 : 손잡이 몸체 310 : 손잡이홀
J1 : 제1 끼임골 J2 : 제2 끼임골
SH : 끼임 수축홀 W1 : 끼임골 폭
W2 : 삽입 몸체 폭 W3 : 끼임 수축홀 폭
100: stopper body 160: stopper body inner hole
170: stopper central support 200: insertion body
300: handle body 310: handle hole
J1: 1st trapping bone J2: 2nd trapping bone
SH : Clamping shrinkage hole W1 : Clamping bone width
W2 : Insertion body width W3 : Fit shrinkage hole width

Claims (13)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문과 문틀 사이에 배치되어 문이 닫히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스토퍼 몸체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토퍼 몸체로부터 제1 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와 연결되며,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형성된 문틈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가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삽입 몸체를 포함하하고,
상기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삽입 몸체 사이에는,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방향들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평면에 대해 교차하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문과 상기 문틀 사이에 끼어질 수 있는 제1 및 제2 끼임골들이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는,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 몸체 상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스토퍼 몸체 하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문과 접촉할 수 있는 제1 스토퍼 몸체 측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문틀과 접촉할 수 있는 제2 스토퍼 몸체 측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측면들 사이를 연결하는 스토퍼 몸체 외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 몸체는,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과 연결된 삽입 몸체 상면과, 상기 가상의 평면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과 연결된 삽입 몸체 하면과, 상기 삽입 몸체 상면 및 상기 삽입 몸체 하면 사이와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측면들 사이를 연결하는 삽입 몸체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끼임골은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측면 및 상기 삽입 몸체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끼임골은 상기 제2 스토퍼 몸체 측면 및 상기 삽입 몸체 측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삽입 몸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 사이에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된 끼임 수축홀을 포함하고,
상기 끼임 수축홀은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스토퍼 몸체 및 상기 삽입 몸체에 걸쳐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끼임골들 사이의 간격을 끼임골 폭이라 정의하고, 상기 삽입 몸체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폭 중 가장 긴 폭을 삽입 몸체 폭이라 정의하며,
상기 스토퍼 몸체 상면 및 상기 삽입 몸체 상면과 평행하는 가상의 제1 평면과, 상기 스토퍼 몸체 하면 및 상기 삽입 몸체 하면과 평행하는 가상의 제2 평면과, 상기 제1 및 제2 평면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평면들과 평행한 가상의 제3 평면이 존재한다고 할 때,
상기 제1 평면 상에서의 상기 삽입 몸체 폭이 상기 제1 평면 상에서의 상기 끼임골 폭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삽입 몸체 폭은,
상기 제1 평면에서 상기 제3 평면까지는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평면에서 상기 제2 평면까지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a stopper bod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o fix the door so that it is not closed; and
It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topper body,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topper body in the first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stopper body, and is inserted into a door gap form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so that the stopper body is position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Including an insert body that can be fixed to position,
Between the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It is positioned to face each other along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has a shape extending in a third direction intersecting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plane formed by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and is located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bones that can be inserted in are formed,
The stopper body,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in the third direction and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re connected and a side of the first stopper body tha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door, a side of the second stopper body that connects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can contact the door fram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a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an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connecting between and between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ies,
The insert body,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formed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and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an insertion body sid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sides,
The first pinching bone is formed between the side of the first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side, and the second pinching bon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stopper body side and the insertion body side,
In the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and a pinching contraction hole formed to penetrate in the third dir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nching bones,
The clamping shrinkage hole is
It is formed over the stopper body and the insertion body by extending in both sides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an imaginary line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nterlocking bones,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interlocking bone is defined as the insertion bone width, and the longest width among the widths of the insertion body in the second direction is defined as the insertion body width,
An imaginary first plane parallel to an upp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 second imaginary plane parallel to a low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a lower surface of the insertion body, and the first and second planes are located between the Assuming that there is an imaginary third plane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planes,
The width of the insertion body on the first plane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insertion bone on the first plane,
The insertion body width is,
The door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lane to the third plane is formed to have the same length, and from the third plane to the second plane is narrower in the third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몸체 외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 손잡이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The door stopp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ndle body formed to protrude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body and having a shape extending in the third direction.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손잡이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According to claim 4, The handle body,
Door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hole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in the second direc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몸체에는,
상기 제3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스토퍼 몸체 내부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opper body,
The door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hole of the stopper body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in the third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몸체 내부홀은,
제1 스토퍼 몸체 홀; 및
상기 제1 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스토퍼 몸체의 중심을 지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스토퍼 몸체 홀과 대칭이 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스토퍼 몸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몸체는, 상기 제1 및 제2 스토퍼 몸체 홀들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중심선을 따라 형성된 스토퍼 중앙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스토퍼.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stopper body inner hole,
a first stopper body hole; and
a second stopper body hole having a shape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and symmetrical with the first stopper body hole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stopper body;
The stopper body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 body holes, the door stopp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opper central support formed along the center lin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73296A 2019-06-20 2019-06-20 Door stopper KR1022607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96A KR102260724B1 (en) 2019-06-20 2019-06-20 Door sto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296A KR102260724B1 (en) 2019-06-20 2019-06-20 Door stop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85A KR20200144985A (en) 2020-12-30
KR102260724B1 true KR102260724B1 (en) 2021-06-03

Family

ID=7408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296A KR102260724B1 (en) 2019-06-20 2019-06-20 Door stop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724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14Y1 (en) * 2001-10-12 2002-01-31 윤호정 Door Interval Supporter
US20050212309A1 (en) * 2002-02-07 2005-09-29 Mayer Frank F Door and window stop
US20070126248A1 (en) * 2005-11-21 2007-06-07 Ricky Mintz Door propping method and device
JP6002224B2 (en) * 2011-08-29 2016-10-05 マイヤー,フランク・エフ・エー Door and / or window stopp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2375B1 (en) * 2008-09-22 2011-11-15 김경훈 Device for preventing closing of do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014Y1 (en) * 2001-10-12 2002-01-31 윤호정 Door Interval Supporter
US20050212309A1 (en) * 2002-02-07 2005-09-29 Mayer Frank F Door and window stop
US20070126248A1 (en) * 2005-11-21 2007-06-07 Ricky Mintz Door propping method and device
JP6002224B2 (en) * 2011-08-29 2016-10-05 マイヤー,フランク・エフ・エー Door and / or window stop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4985A (en)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7026127A1 (en) Anti-movement device for closure member
KR102260724B1 (en) Door stopper
US6804914B2 (en) Door safety guard
KR102186223B1 (en) Safety device for hand protection
US6793072B2 (en) Biased, hinged cover for a golf club
KR102205532B1 (en) Safety device for hand protection
KR200428755Y1 (en) A safety device of door
KR102245818B1 (en) Hinged Door finger injury prevention device
EP1203137B1 (en) FIinger protector device
JPS616974U (en) disk cartridge
KR101531274B1 (en) Sliding windows and doors
KR101515002B1 (en) Safety door lock
KR20230030932A (en) Door stopper
JPS6240045Y2 (en)
KR200457807Y1 (en) door handle
KR102450356B1 (en) a safety door handle
JP3489452B2 (en) Fitting handle
JPS628316Y2 (en)
KR19990073175A (en) A finger protection device against the crack in the hinge side of the door.
KR200311082Y1 (en) Buffer for hinged door
JP4918691B2 (en) Doorknob safety device
KR200207162Y1 (en) A fixing device for impact prevent and opening conditions maintenance in opening and closing door
JP2981149B2 (en) Stopper for sash mounting frame
KR20240041638A (en)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hinged door
US2529878A (en) Closure for recepta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