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515B1 - 메인풀 - Google Patents

메인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515B1
KR102260515B1 KR1020200187996A KR20200187996A KR102260515B1 KR 102260515 B1 KR102260515 B1 KR 102260515B1 KR 1020200187996 A KR1020200187996 A KR 1020200187996A KR 20200187996 A KR20200187996 A KR 20200187996A KR 102260515 B1 KR102260515 B1 KR 102260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tank
water
lay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백기
Original Assignee
정백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백기 filed Critical 정백기
Priority to KR1020200187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0075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de of concret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4/00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 E04H4/1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H2004/146Fixing of l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풀에 관한 것으로, 수조 바닥(110) 및 상기 수조 바닥(110)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는 수조 측벽(120)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조(130)를 형성하며, 상기 수조 측벽(12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외부 바닥(140)에는 상기 수조 측벽(120)의 단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수조(130)를 둘러싸는 형상의 드래인트렌치(150)가 시공된다. 본 발명은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누수가 방지되며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메인풀{Main pool}
본 발명은 메인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 또는 실외에서 수영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성인용 수영장인 메인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영장은 야외 또는 실내의 지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일정량의 물을 담수시켜 운동이나 물놀이를 즐길수 있도록 시공된 것이다. 이러한 수영장은 최근들어 단순히 수영만 하는 곳이 아니라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남녀노소가 모두 이용하는 대중적인 스포츠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수영장은 다른 스포츠를 위한 공간보다 시설 확보를 위한 공사비가 상대적으로 많이 소요되는 운동 시설이다. 또한, 수영장은 만들어진 이후에도 누수로 인하여 다른 운동 시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하자 발생률이 높은 편이다.
수영장을 시공하는 공법 중에는 바닥과 측벽 전체를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형성하고 여기에 페인트를 칠하거나 타일을 부착하여 마감하여 누수를 방지하는 수영장 시공 공법이 있었다.
하지만 수영장 전체를 스테인레스 스틸을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 공사 비용이 상당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급수 및 배수가 모두 수조의 바닥이 아닌 측면에서 이루어지므로 침전물 또는 부유물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에 페인트를 칠하여 마감한 경우 페인트가 벗겨지면서 배수구를 막거나 수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누수가 방지되며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메인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풀은 수조 바닥 및 상기 수조 바닥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는 수조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조를 형성하며, 상기 수조 측벽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외부 바닥에는 상기 수조 측벽의 단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수조를 둘러싸는 형상의 드래인트렌치가 시공된다.
상기 수조 측벽의 단부와 상기 드래인트렌치의 사이에 골타일이 시공되며, 상기 메인풀은, 상기 수조 측벽에 계단 형태로 요입되어 형성된 입수용 사다리와 상기 입수용 사다리의 상측에 해당하는 외부 바닥에 설치된 입수용 핸드레일과 상기 외부 바닥에 설치되며 배영턴 5m 지점에 설치되는 배영턴 표시지주와 상기 수조 바닥에 표시된 바닥레인과 상기 수조에서 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된 코스로프(course rope)를 더 포함한다.
상기 드래인트렌치는, 상기 외부 바닥의 일부가 하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드래인홈과 상기 드래인홈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배수공과 상기 드래인홈의 상부를 덮으며 물이 통과하기 위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트렌치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커버는 상기 드래인홈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수조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조 측벽의 단부에는 손잡이타일이 시공된다.
상기 수조 바닥은, 지면에 지지되는 콘크리트층과 상기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시공된 가대층과 상기 가대층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용접접합으로 연결하여 평판 형태로 시공된 바닥판넬층과 상기 바닥판넬층의 상면에 평판 형태로 시공되며 상기 바닥레인 형상이 별도의 색으로 표현된 포맥스층을 포함한다.
상기 수조 측벽은, 콘크리트벽과 상기 콘크리트벽의 전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시공된 가대벽과 상기 가대벽의 전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용접접합으로 연결하여 평판 형태로 시공된 수조판넬과 상기 수조판넬 상에 부착되는 측벽 리턴레인을 포함한다.
상기 포맥스층은 폴리스틸렌을 발포하고 고밀도로 압축한 포맥스(fomex)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맥스층은 두께가 10t이다.
상기 측벽 리턴레인은 ABS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판넬 상에 부착된 가장자리가 실리콘으로 실링처리된다.
상기 수조 바닥에는 하나의 배수구와 다수 개의 급수구가 형성된다.
상기 코스로프는 상기 수조 측벽의 상측 요입부에 설치된 고정부에 턴버클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수질 처리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질 처리수단은 메인풀의 수조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풀의 수위를 감지하며, 상기 감지 결과를 근거로 상기 메인풀의 수위가 자동 조절되도록 하는 수위조절부와 상기 수위조절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메인풀의 물을 배수하고 급수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메인풀의 물을 순환시킴에 있어 상기 물에 오존을 포함시키는 오존믹싱장치와 상기 메인풀의 물을 순환시킴에 있어 상기 물의 온도를 가열하는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가대층과 가대벽을 시공하고, 그 상부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시공한 다음 그 상부를 포맥스로 마무리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누수가 방지되며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고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시공한 가대층과 가대벽이 지진력을 흡수, 감소, 소멸시키는 구조이므로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 재질의 바닥판넬층과 수조판넬이 시공되므로 수영수에 포함된 각종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바닥의 최상부층이 포맥스층으로 이루어지고, 수조 측벽의 최전방층이 측벽 리턴레인이 부착된 수조판넬로 이루어지므로, 페인트칠을 하지 않고도 바닥레인과 측벽 리턴레인을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스로프가 수조 측벽의 상측 요입부에 설치된 고정부에 턴버클을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외부 바닥을 걸어다니는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설치 및 해제도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의 장변 수조 측벽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의 일측과 타측의 단면 수조 측벽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조 바닥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조 측벽 및 드래인트렌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드래인트렌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영턴 표시지주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스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스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의 수질 처리 방법을 보인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의 장변 수조 측벽을 보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의 일측과 타측의 단면 수조 측벽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100)은 문화센터, 체육관 등의 실내에 시공되거나 호텔의 인피니트 풀과 같이 실외에 시공되는 성인용 수영장이다.
메인풀(100)은 수조 바닥(110)과 수조 바닥(110)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는 수조 측벽(120)을 포함한다. 메인풀(100)은 수조 바닥(110)과 수조 바닥(110)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는 수조 측벽(120)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조를 형성한다. 수조(130)에는 물이 채워진다.
수조 측벽(12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상부면은 외부 바닥(140)을 형성한다. 외부 바닥(140)에는 물기가 있는 곳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물이 고이지 않도록 드래인트렌치(150)가 설치되며, 논슬립 처리된 타일이 시공된다.
수조 측벽(12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외부 바닥(140)에 수조 측벽(120)의 단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수조(130)를 둘러싸는 형상의 드래인트렌치(150)가 시공된다. 드래인트렌치(150)는 수조(130)에서 넘치는 물이 사면으로 고르게 배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배수로이다. 드래인트렌치(150)는 약 200~250mm의 폭으로 설치될 수 있다.
수조 측벽(120)의 단부와 드래인트렌치(150)의 사이에 골타일(161)이 시공된다. 수조 측벽(120)의 단부와 드래인트렌치(150)의 사이는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부분으로 항상 물에 차있는 부분이므로 타일 흡수율이 거의 없어야 하자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수조 측벽(120)의 단부와 드래인트렌치(150)의 사이는 흡수율이 0.1% 이하 기준을 만족하는 골타일(161)로 시공하고 가로, 세로 줄이 있는 형태를 채용하여 이물질이 걸러지고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다.
수조 측벽(120)의 단부는 손잡이타일(163)이 시공된다. 수조 측벽(120)의 단부는 물 속에 유영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으로 위생상 때가 타지 않도록 유광인 것이 바람직하다. 무광은 표면이 거칠어서 때가 타며 위생상 문제로 청소가 잘 되지 않는다. 또한 손잡이타일(163)은 눈에 잘 띄는 색상으로 한다. 손잡이타일(163)은 안전선의 역할도 하므로 눈에 잘 띄는 색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손잡이타일(163)은 진코발트색으로 시공된다. 또한 손잡이타일(163)의 경우도 가로, 세로 줄이 있는 형태를 채용하여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하며 청소가 용이하도록 한다. 손잡이타일(163)은 표면이 논슬립으로 처리되어 미끄럼 등이 방지되며 가장자리 부분은 그립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메인풀(100)은 수조 측벽(120)에 계단 형태로 요입되어 형성된 입수용 사다리(171)와 입수용 사다리(171)의 상측에 해당하는 외부 바닥(140)에 설치된 입수용 핸드레일(173)과 외부 바닥(140)에 설치되며 배영턴 5m 지점에 설치되는 배영턴 표시지주(175)와 수조 바닥(110)에 표시된 바닥레인(114a)과 수조(130)에서 레일 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된 코스로프(course rope)(177)를 더 포함한다.
입수용 사다리(171)는 수조 측벽(120)에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안정성이 우수하도록 한다. 입수용 핸드레일(173)은 유영자가 잡고 입수용 사다리(171)를 통해 수조에 안전하게 입수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입수용 핸드레일(173)은 안정성 확보 및 내구성 확보를 위해 스테인레스 재질로 된다.
배영턴 표시지주(175)는 외부 바닥(140)에 세워지도록 설치된 봉 형상으로 유영자가 배영턴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배영턴 표시지주(175)의 상단에는 유영자가 배영턴 위치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배영턴 깃발이 설치될 수 있다. 배영턴 표시지주(175)는 장변 양측의 배영턴 5m 지점에 설치된다.
바닥레인(114a)은 유영자가 물 속에 레인을 따라 수영할 수 있도록 확인시켜 주는 물 속 안전레인이라 할 수 있다. 이는 유영자가 타 수영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바닥레인(114a)은 무광 검은색으로 될 수 있다.
코스로프(177)는 물 위에 설치된 안전라인이다. 코스로프(177)는 레인별로 구획하며, 유영자가 수영시 타 수영자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메인풀(100)의 일측(a)과 타측(b)의 단면 수조 측벽(120)에는 측벽 리턴레인(124b)이 구비된다. 측벽 리턴레인(124b)은 바닥레인(114a)과 대응되게 구비되어 각 레인의 유영자가 물 속에서 리턴할 수 있도록 확인시켜 주기 위함이다. 측벽 리턴레인(124b)은 무광 검은색으로 될 수 있다.
수조 바닥(110)에는 하나의 배수구(117)와 다수 개의 급수구(119)가 형성된다. 배수구는 물의 배수를 위한 것이다. 물의 배수를 위한 배수구(117)가 수조 바닥에 형성되므로 침전물 또는 부유물과 같은 이물질 제거가 용이하다. 또한, 다수 개의 급수구(119)는 용이한 급수를 위한 것이다. 실시예에서는 급수구(119)가 수조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수조 측벽(120)에 하나 이상의 급수구(11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조 바닥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조 바닥(110)은 콘크리트층(111), 가대층(112), 바닥판넬층(113) 및 포맥스층(114)을 포함한다.
콘크리트층(111)은 지면에 지지된다. 콘크리트층(111)은 굴착한 지면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형성한다. 콘크리트층(111)은 콘크리트 타설 후 약 28일간의 양생기간을 거친 후 수조(130)의 방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14일 동안 물을 채워 방수 시험을 수행한 다음, 하자가 있는 경우 방수 조치를 취한다. 방수 시험에서 콘크리트층(111)의 하자가 없는 경우 콘크리트층(111)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가 되게 가대층(112)을 시공한다.
가대층(112)은 콘크리트층(111)과 바닥판넬층(113)의 사이를 지지하여 지진 발생시 배관 등에 전달되는 지진력을 흡수 또는 감소시켜 메인풀(100)이 지진에 대해 내진성을 갖도록 한다. 일 예로, 각파이프는 STS304 재질로 되고, 30mm×50mm×1.5t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
바닥판넬층(113)은 가대층(112)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용접접합으로 연결하여 평판 형태로 시공한 것이다. 바닥판넬층(113)은 가대층(112)을 형성하는 각파이프를 관통하여 콘크리트층(111)과 앵커볼트(115)로 고정될 수 있다. 바닥판넬층(113)은 STS304 재질로 되고, 2.5t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맥스층(114)은 바닥판넬층(113)의 상면에 평판 형태로 시공되며 바닥레인(114a) 형상이 별도의 색으로 표현된다. 포맥스층(114)은 바닥레인(114a) 형상이 무광 검은색으로 표시되고 나머지 부분이 청색으로 표시된다. 포맥스층(114)은 아크릴 재질로 시공이 용이하고 물에 강하고 내후성이 우수하며 청소가 용이하다. 수조 바닥(110)은 항상 물에 차 있는 부분이므로 물에 강해야 하며, 청소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포맥스층(114)은 아크릴 재질로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바닥판넬층(113)에 페인트칠하여 바닥레인을 표시하지 않아도 되고, 포맥스층(114)의 일부를 별도의 색상으로 선택하여 시공함으로써 바닥레인(114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포맥스층(114)은 바닥판넬층(113)을 덮어 수조(130)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역할도 한다. 포맥스층(114)은 완충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10t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포맥스층(114)의 완충효과는 유영자의 안전을 위한 것이다. 포맥스층(114)은 포맥스를 재료로 하며, 포맥스는 폴리스틸렌을 발포하여 완충 기능이 있도록 하고 내구성이 있도록 이를 고밀도로 압축하여 형성한 것이다.
도 5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메인풀(100)은 수조 측벽(120)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외부 바닥(140)에 수조 측벽(120)의 단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수조(130)를 둘러싸는 형상의 드래인트렌치(150)가 시공되고, 수조 측벽(120)의 단부와 드래인트렌치(150)의 사이에 골타일(161)이 시공되며, 수조 측벽(120)의 단부에 손잡이타일(163)이 시공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조 측벽 및 드래인트렌치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드래인트렌치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조 측벽(120)은 콘크리트벽(121), 가대벽(122), 수조판넬(123) 및 측벽 리턴레인(124a)을 포함한다.
콘크리트벽(121)은 수조 바닥(110)의 콘크리트층(111)을 시공할 때 일체로 시공되어 콘크리트층(111)과 일체화된다. 가대벽(122)은 콘크리트층(111)의 전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시공된다. 가대벽(122)은 콘크리트벽(121)과 수조판넬(123)의 사이를 지지하여 지진 발생시 배관 등에 전달되는 지진력을 흡수 또는 감소시켜 메인풀(100)이 지진에 대해 내진성을 갖도록 한다. 일 예로, 각파이프는 STS304 재질로 되고, 30mm×50mm×1.5t 사이즈를 사용할 수 있다.
수조판넬(123)은 가대벽(122)의 전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용접접합으로 연결하여 평판 형태로 시공된다. 수조판넬(123)은 가대벽(122)을 형성하는 각파이프를 관통하여 콘크리트벽(121)과 앵커볼트(115)로 고정될 수 있다. 수조판넬(123)은 STS304 재질로 되고, 2.5t의 두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측벽 리턴레인(124a)은 수조판넬(123)에 ABS 재질을 부착하여 시공하며, 수조판넬()의 색과 별도의 색으로 된다. 측벽 리턴레인(124a)은 무광 검은색으로 된다. 측벽 리턴레인(124a)은 수조판넬(123)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력이 좋고 수밀성이 우수하도록 가장자리가 실리콘으로 실링처리된다. 수조 측벽(120)은 항상 물에 차 있는 부분이므로 물에 강해야 하고 청소가 용이해야 하므로 스테인레스 재질 수조판넬(123)로 구성하고 여기에 ABS 재질의 측벽 리턴레인(124a)을 부착하여 리턴 위치를 표시한다.
또한, ABS 재질은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수조판넬(123)에 페인트칠하여 측벽 리턴레인을 표시하지 않아도 된다. 측벽 리턴레인(124a)은 가장자리 실링처리에 의해 박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메인풀(1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이와 같이, 수조(130)에서 수조 바닥(110)과 수조 측벽(120)의 외관은 포맥스층(114)과 수조판넬(123)이 하므로, 포맥스층(114)에 바닥레인(114a)을 형성하고 수조판넬(123)에 측벽 리턴레인(124a)을 부착할 수 있다. 이는 스테인레스 재질 바닥판넬층(113)과 수조판넬(123)을 적용하더라도 페인트칠이 생략된 미려한 외관의 수조(13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드래인트렌치(150)는 드래인홈(151), 배수공(152) 및 트렌치커버(153)를 포함한다. 드래인홈(151)은 외부 바닥(140)의 일부가 하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되며, 배수공(152)은 드래인홈(151)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어 드래인홈(151)으로 유입된 물이 배수공(15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된다. 트렌치커버(153)는 드래인홈(151)의 상부를 덮으며 물이 통과하기 위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형상으로 된다.
트렌치커버(153)는 드래인홈(151)의 상부를 덮는 덮개이다. 트렌치커버(153)는 드래인홈(151)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수조(13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져 물의 배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트렌치커버(153)의 경사각도는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트렌치커버(153)의 드래인홈(151)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트렌치커버(153)의 경사각도가 10°를 초과하면 경사로 인해 미끄러거나 넘어져 다칠 위험이 있다. 드래인홈(151)의 배수공(152)에는 배수관(154)이 연결되어 배수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트렌치커버(153)는 냉약품성, 내수성이 확보되며 청소가 용이하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드래인홈(151)에 모아진 물을 배수하지 않고 수처리 시스템으로 순환시킬 수도 있다.
손잡이타일(163)은 유영자의 안전을 위하여 표면이 논슬립 처리되고 가장자리 부분은 손으로 잡기 위해 라운드지고 일부가 요입되어 그립(grip)(G)이 되어 있다. 손잡이타일(163)에 해당하는 부분은 논슬립 처리된 재질로 되는 경우 타일처리 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영턴 표시지주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배영턴 표시지주(175)는 하단이 외부 바닥(140)에 고정금구(181)를 이용하여 설치되며, 대략 중간에 걸림고리(175a)가 형성되어 배영턴 깃발(185)을 지지한 로프(185a)의 단부를 걸수 있으며, 상단에는 안내롤러(175b)가 구비되어 로프(185a)를 안내하여 배영턴 깃발(185)이 두 개의 배영턴 표시지주(175)의 상단을 연결하면서 고정될 수 있다.
메인풀(100)에서 장변 양측 외부 바닥(140)에 각각 설치된 배영턴 표시지주(175)의 상단을 배영턴 깃발(185)이 연결하도록 설치되면 유영자뿐 아니라 관중도 배영턴 위치를 확인하기 용이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코스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코스로프(177)는 수조 측벽(120)의 상측 요입부(120a)에 설치된 고정부(191)에 턴버클(178)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는 코스로프(177)를 고정하는 부분이 외부 바닥(140)으로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고 유영자 또는 사람이 외부 바닥(140)을 걸어다닐 때 걸려 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조 측벽(120)의 상측에 요입부(120a)를 두고 요입부(120a)에 설치한 고정부(191)에 턴버클(178)을 걸어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코스로프(177)의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다. 또한 턴버클(178)은 코스로프(177)의 텐션을 안정적으로 잡아줄 수 있어 유영자가 안전한 활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코스로프(177)는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하도록 ABS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요입부(120a)의 하측에는 식별이 용이한 수조안전선 타일(192)이 시공되어 유영자의 안전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코스로프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다른 실시예로 코스로프(177)는 골타일(161)에 설치된 고정부(195)에 턴버클(178)과 체인(179)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한 구조는 코스로프(177)를 고정하는 부분이 외부 바닥(140)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코스로프()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하다. 따라서 설치의 용이성 및 견고한 설치를 고려하면 도 10의 다른 실시예의 코스로프 설치구조가 바람직하고 사람들의 안전을 고려하는 경우 도 9의 실시예를 적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가대층(112)과 가대벽(122)을 시공하고, 그 상부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시공한 다음 그 상부를 포맥스로 마무리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견고하며 누수가 방지되며, 수조 바닥(110)에 주배수구(117)와 다수 개의 보조 배수구(119)를 구비하므로 급수 및 배수가 용이하고, 손잡이타일(163), 골타일(161) 및 드래인트렌치(150)가 시공되고, 배영턴 표시지주(175)의 설치가 용이하고 코스로프(177)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사용 편의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바닥(110)과 수조 측벽(120)에 각각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가대층(112)과 가대벽(122)을 시공하므로 지진력을 흡수, 감소, 소멸시켜 내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바닥(110)과 수조 측벽(120)에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넬층(113)과 수조판넬(123)을 시공하므로 수영수에 포함된 각종 화학약품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바닥(110)의 최상부층이 포맥스층(114)으로 이루어지고, 수조 측벽(120)의 최전방층이 측벽 리턴레인(124a)이 부착된 수조판넬(123)로 이루어지므로, 페인트칠을 하지 않고도 바닥레인(114a)과 측벽 리턴레인(124a)을 구현할 수 있고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지는 바닥판넬층(113)을 포맥스층(114)이 덮는 구조이므로 겨울철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운영 비용 감소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코스로프(177)가 수조 측벽(120)의 상측 요입부(120a)에 설치된 고정부(191)에 턴버클(178)을 이용하여 고정되므로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어 외부 바닥(140)을 걸어다니는 사람들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설치 및 해제도 용이한 이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은 규모가 큰 성인용 메인풀(100)에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메인풀(100) 뿐만 아니라 유아풀, 보조풀 등 규모가 작은 수영장(풀)에도 적용 가능하다.
참고로, 메인풀(100)은 길이가 25000mm이고 폭이 15000mm 이고 높이가 1250mm일 수 있으며, 유아풀은 길이가 15000mm, 폭이 3000mm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메인풀의 수질 처리 방법을 보인 구성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술한 메인풀(100)은 수질 처리수단(200)을 더 포함한다. 수질 처리수단(200)은 수위조절부(210), 순환펌프(220), 오존믹싱장치(230), 열교환기(240)를 포함하여 수질 처리할 수 있다.
수위조절부(210)는 메인풀(100)의 수조 측벽(120)의 최상측에 설치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자동 수위조절될 수 있으며, 순환펌프(220)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마다 수조 내의 수영수를 배수하고 급수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수조(130) 내로 수영수를 공급함에 있어 오존을 포함시켜 급수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열교환기(240)를 가동시켜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겨울철에는 일정시간마다 수영수를 순환시켜 수조 내의 수영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수영수 내에 오존을 포함시키면 수영수에서 미생물과 박테리아의 증식을 방지하여 수질을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다.
수질 처리수단(200)은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는 이물질을 걸러주길 수 있는 메쉬망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메인풀 110: 수조 바닥
111: 콘크리트층 112: 가대층
113: 바닥판넬층 114: 포맥스층
114a: 바닥레인 115: 앵커볼트
117: 배수구 119: 급수구
120: 수조 측벽 121: 콘크리트벽
122: 가대벽 123: 수조판넬
124a: 측벽 리턴레인 130: 수조
140: 외부 바닥 150: 드레인트렌치
151: 드래인홈 152: 배수공
153: 트렌치커버 154: 배수관
161: 골타 163: 손잡이타일
171: 입수용 사다리 173: 사다리 핸드레일
175: 배영턴 표시지주 177: 코스로프
178: 턴버클 179: 체인
181: 고정금구 191: 고정부
192: 수조안전선 타일 195: 고정부

Claims (2)

  1. 메인풀에 있어서,
    수조 바닥 및 상기 수조 바닥의 각 변과 수직을 이루는 수조 측벽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수조를 형성하며,
    상기 수조 측벽과 수직으로 연결되는 외부 바닥에는 상기 수조 측벽의 단부와 소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수조를 둘러싸는 형상의 드래인트렌치가 시공되며,
    상기 수조 측벽의 단부와 상기 드래인트렌치의 사이에 골타일이 시공되며,
    상기 메인풀은,
    상기 수조 측벽에 계단 형태로 요입되어 형성된 입수용 사다리;
    상기 입수용 사다리의 상측에 해당하는 외부 바닥에 설치된 입수용 핸드레일;
    상기 외부 바닥에 설치되며 배영턴 5m 지점에 설치되는 배영턴 표시지주;
    상기 수조 바닥에 표시된 바닥레인; 및
    상기 수조에서 구역을 구분하기 위해 설치된 코스로프(course rope);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래인트렌치는,
    상기 외부 바닥의 일부가 하방으로 요입되어 형성된 드래인홈;
    상기 드래인홈의 바닥면에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배수공; 및
    상기 드래인홈의 상부를 덮으며 물이 통과하기 위한 다수 개의 통공이 형성된 트렌치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커버는 상기 드래인홈의 상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수조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수조 측벽의 단부에는 손잡이타일이 시공되며,
    상기 수조 바닥은,
    지면에 지지되는 콘크리트층;
    상기 콘크리트층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시공된 가대층;
    상기 가대층의 상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용접접합으로 연결하여 평판 형태로 시공된 바닥판넬층; 및
    상기 바닥판넬층의 상면에 평판 형태로 시공되며 상기 바닥레인 형상이 별도의 색으로 표현된 포맥스층;
    을 포함하고,
    상기 수조 측벽은,
    콘크리트벽;
    상기 콘크리트벽의 전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각파이프를 이용하여 격자 형태로 시공된 가대벽;
    상기 가대벽의 전면에 스테인레스 재질의 판넬을 용접접합으로 연결하여 평판 형태로 시공된 수조판넬; 및
    상기 수조판넬 상에 부착되는 측벽 리턴레인;
    을 포함하고,
    상기 포맥스층은 폴리스틸렌을 발포하고 고밀도로 압축한 포맥스(fomex)로 이루어지고,
    상기 포맥스층은 두께가 10t이며,
    상기 측벽 리턴레인은 ABS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조판넬 상에 부착된 가장자리가 실리콘으로 실링처리되며,
    상기 수조 바닥에는 하나의 배수구와 다수 개의 급수구가 형성되고,
    상기 코스로프는
    상기 수조 측벽의 상측 요입부에 설치된 고정부에 턴버클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코스로프는 ABS 재질로 이루어지는,
    메인풀.
  2. 삭제
KR1020200187996A 2020-12-30 2020-12-30 메인풀 KR102260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996A KR102260515B1 (ko) 2020-12-30 2020-12-30 메인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996A KR102260515B1 (ko) 2020-12-30 2020-12-30 메인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515B1 true KR102260515B1 (ko) 2021-06-02

Family

ID=76372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996A KR102260515B1 (ko) 2020-12-30 2020-12-30 메인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5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402A (ko) * 2015-03-03 2016-09-19 우주통상산업(주) 수영장
KR20170023329A (ko) * 2015-08-21 2017-03-03 우주통상산업(주)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수영장의 보수공법
KR102074627B1 (ko) * 2019-10-30 2020-02-06 정태일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스테인리스강 수영장
KR102074626B1 (ko) * 2019-10-30 2020-02-06 정태일 스테인리스강 리모델링 수영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7402A (ko) * 2015-03-03 2016-09-19 우주통상산업(주) 수영장
KR20170023329A (ko) * 2015-08-21 2017-03-03 우주통상산업(주)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한 콘크리트 벽체 수영장의 보수공법
KR102074627B1 (ko) * 2019-10-30 2020-02-06 정태일 시공이 용이하고 공사비용 및 공사기간을 줄일 수 있는 스테인리스강 수영장
KR102074626B1 (ko) * 2019-10-30 2020-02-06 정태일 스테인리스강 리모델링 수영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4325A1 (en) A stair assembly for swimming pool
KR102260515B1 (ko) 메인풀
CN210483159U (zh) 拆装式游泳池
US5027613A (en) Floating ice rink
US20110113546A1 (en) Swimming Pool and Spa Cover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GB2461335A (en) Multipurpose trampoline
KR102074626B1 (ko) 스테인리스강 리모델링 수영장
KR200429494Y1 (ko) 조립식 수영장
JP2022521855A (ja) 自然石の水泳用貯水器
US20090188034A1 (en) Integrated Hot Tub, Spa, or Pool and Frame and Method of Inground Installation
KR101911616B1 (ko) 부유식 수영장
CN102071819A (zh) 深水悬浮安全游泳场
RU2357056C2 (ru) Плавательный бассейн
CN108412033B (zh) 建筑体外垂直森林外挑阳台结构及其施工方法
CN103669476B (zh) 非耗电能的取水设施
CN115917098A (zh) 临时泳池罩和地板系统
CN201981808U (zh) 深水悬浮安全游泳场
US4720949A (en) Hybrid swimming pool
TWI694035B (zh) 多功能生態浮島與多功能生態浮島組合
KR102300687B1 (ko) 누수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개량형 스테인리스 수영장
CN219974021U (zh) 跳水池、游泳池自动分隔墙
JPH046464Y2 (ko)
CN213297326U (zh) 一种拼装泳池
JP2002356807A (ja) 屋外遊び場
RU59640U1 (ru) Автономный передвижной бассейн - аквабок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