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813B1 -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813B1
KR102259813B1 KR1020210018753A KR20210018753A KR102259813B1 KR 102259813 B1 KR102259813 B1 KR 102259813B1 KR 1020210018753 A KR1020210018753 A KR 1020210018753A KR 20210018753 A KR20210018753 A KR 20210018753A KR 102259813 B1 KR102259813 B1 KR 10225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equipment
surveillance camera
surroundings
stree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준호
Original Assignee
제우스전기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우스전기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제우스전기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210018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8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21S8/08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with lighting device attached sideways of the standard, e.g. for roads and high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F21V23/0478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by means of an image recording device, e.g.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8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V or radio broadcas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04N5/23206
    • H04N5/23299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변을 조명하는 가로등에 감시카메라를 포함하여 각종 편의장비와 안정장비를 설치한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급상황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감시카메라가 추적촬영하고 방송장비가 경고방송을 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한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기구; 주변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 외부와 통화를 지원하는 비상통화장비; 주변으로 방송하는 방송장비;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는 음향수신기;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영상과 상기 음향수신기의 수신음향을 분석하는 이벤트 분석기; 상기 이벤트분석기의 분석결과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감시카메라가 추적촬영하고, 상기 방송장비가 경고방송을 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관제센터와 통신하여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통신장비;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구, 감시카메라, 비상통화장비, 방송장비, 모니터, 음향수신기, 이벤트 분석기, 컨트롤러 및 통신장비가 설치되는 가로등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Security CCTV system for smart street light}
본 발명은 주변을 조명하는 가로등에 감시카메라를 포함하여 각종 편의장비와 안정장비를 설치한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급상황의 이벤트가 발생되면 감시카메라가 추적촬영하고 방송장비가 경고방송을 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한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도로나 공원, 아파트 단지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야간 운행이나, 보행자의 야간 통행시에 안전을 도모함과 동시에 주변의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조명 수단으로써 통상적으로는 일정 지역이나, 일정 구간에 걸쳐서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하게 된다.
최근에는 스마트 가로등이라는 개념이 도입되고 있으며, 가로등에 감시카메라, 방송장미, 모니터, 통신장비 등의 각종 장비를 설치하여, 통행인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고, 각종 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은 감시카메라가 주변을 촬영할 뿐이고 통행인에게 위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위급상황을 적극적으로 타개하는 기능이 없거나 미약하다.
스마트 가로등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10-2021-0000491 "스마트 가로등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등록특허 10-2078841 "스마트 가로등의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가로등 주변에서 위급상황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감시카메라를 이를 추적촬영하고 방송장비를 경고방송을 하는 등으로 위급상황에 적극 대처하여 방범 기능을 강화한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자가발전하는 쏠라셀장비를 도입하고, 통행인이 없는 경우에 조명기구의 조도를 낮추고 통행인이 출현하면 조도를 높여 에너지를 절감한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감시카메라는 가로등 본체의 지지대에 원터치 방식으로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되는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기구;
주변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
외부와 통화를 지원하는 비상통화장비;
주변으로 방송하는 방송장비;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는 음향수신기;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영상과 상기 음향수신기의 수신음향을 분석하는 이벤트 분석기;
상기 이벤트분석기의 분석결과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감시카메라가 추적촬영하고, 상기 방송장비가 경고방송을 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관제센터와 통신하여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통신장비;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구, 감시카메라, 비상통화장비, 방송장비, 모니터, 음향수신기, 이벤트 분석기, 컨트롤러 및 통신장비가 설치되는 가로등 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기구, 감시카메라, 비상통화장비, 방송장비, 모니터, 음향수신기, 이벤트 분석기 및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태양광으로 발전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쏠라셀장비;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접속된 외부단말을 충전시키는 충전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이벤트분석기의 분석결과 통행인이 출현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기구의 조도를 높이고, 통행인의 이동방향에 있는 인접하는 스마트 가로등으로 이를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감시카메라가 장착되는 장착판을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결합판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원터치결합블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원터치결합블록은
상기 장착판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이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결합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 및 상기 인입방지추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 및 상기 핸들러와 인입방지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을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상기 인입홈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인입방지추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가로등을 지나는 통행인에게 위급상황이 발생되면 감시카메라가 추적활영하고 방송장비를 경고방송을 하여 통행인의 안전을 도모하고, 자가발전과 소비전력을 줄여 에너지 효율이 높고, 감시카메라는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으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의 블럭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가로등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감시카메라의 장착판과 지지대 결합판의 결합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결합블럭의 구성과 작동 매커니즘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과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은 조명기구(10), 감시카메라(20), 비상통화장비(30), 방송장비(40), 모니터(50), 음향수신기(60), 이벤트 분석기(70), 통신장비(80), 컨트롤러(90), 배터리(100), 쏠라셀장비(110), 충전장비(120), 가로등 본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명기구(10)는 가로등 본체(130)의 지지대(133)에 설치되어서 주변을 조명한다.
상기 조명기구(10)는 저전력소비, 높은 조도, 반영구적인 수명 등의 장점을 갖는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조명기구(10)는 조도의 조절이 가능하여서, 통행인이 없는 시기에는 낮은 조도로 조명하고, 통행인이 출현하면 높은 조도로 조명하여,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으면서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시카메라(20)는 가로등 주변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관제센터로 전송하여 외부에서 녹화 및 감시한다.
상기 감시카메라(20)는 촬영방향이 고정되고 넓은 영역을 촬영하는 고정형카메라와, 팬 및 틸트 기능을 가져 촬영방향이 변경 가능하고 줌 및 포커싱 기능을 가져 집중확대가 가능하여 추적촬영하는 이동형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감시카메라(20)에는 적외선 LED가 구비되어서, 어두운 시기에도 촬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상통화장비(30)는 스피커와 마이크 그리고 통화버튼을 포함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통화버튼을 눌러 경찰서, 병원, 소방서 등의 관계기관에 전화통화하여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송장비(40)는 날씨, 온도, 미세먼지, 재난상황, 공지사항 등을 안내방송하여 통행인에게 알리고, 긴급버튼이 눌리거나 이벤트 분석기(70)에서 위급상황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는 싸이렌이나 동작을 멈추라는 등의 경고방송을 하여 통행인이 위급상황에 대처하고 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니터(50)는 기후, 온도, 미세먼지와 같은 기상정보와, 각종 정책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여 통행인에게 알린다.
상기 음향수신기(60)는 가로등 주변에서 발생되는 음향을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분석기(70)로 전송한다.
상기 이벤트 분석기(70)는 상기 감시카메라(20)가 촬영하는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음향수신기(60)가 수신하는 음향을 분석하여, 가로등 주변에서 위급상황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감시카메라(20)의 영상에서 폭행이 행해지고 있거나, 칼이나 몽둥이 같은 무기를 소지한 자가 출현하는 것이 위급상황의 일례이고, 음향수신기(60)에서 비명소리가 수신 되거나, '살려주세요', '도와주세요' 등이 도움을 요청하는 소리가 수신되는 것이 위급상황의 일례이다.
상기 통신장비(80)는 감시카메라(20)의 촬영영상, 음향수신기(60)의 수신음향, 조명기구(10)등의 작동 상태 등에 관한 데이터를 관제센터(140)에 전송하여 관제센터(140)에서 원격감시가 가능하고, 관제센터(140)에서 전송하는 명령신호, 방송내용, 기상정보 등을 수신하여 컨트롤러(90)를 통해 해당 장비로 전달되도록 하여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배터리(100)는 상기 조명기구(10), 비상통화장비(30), 방송장비(40), 모니터(50), 음향수신기(60), 이벤트 분석기(70), 통신장비(80), 컨트롤러(90) 등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쏠라셀장비(110)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고, 발전된 전력으로 상기 배터리(100)르 충전시킨다.
상기 배터리(100)는 상기 쏠라셀장비(110)에서 발전되는 전력으로 충전되되, 쏠라셀장비(110)에서 발전되는 전력량이 부족한 때에는 상용전원으로 충전되어서 다른 장비들에 구동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부족함이 없도록 한다.
상기 충전장비(120)는 상기 배터리(100)의 전원을 이용해 접속된 외부단말을 충전시킨다. 외부단말로는 스마트폰이 대표적이다.
상기 컨트롤러(90)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야간 시기와 주간 시기에 따라 상기 조명기구(10)를 온오프시키고, 주간 시기에도 주변의 조도가 일정 수준이하로 어두우면 조명기구(10)를 온시키고, 상기 이벤트 분석기(70)에서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감시카메라(20)의 팬,틸트,줌을 제어하여 추적촬영 되도록 하며 방송장비(40)를 통해 경고방송이 출력되도록 하고, 관제센터(140)에서 수신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명령을 수행하고 해당하는 장비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제어한다.
상기 컨트롤러(90)는 야간시기에 조명기구(10)를 온시켜 주변을 조명하되, 통행인이 없는 시기에는 조명기구(10)의 조도를 낮춰 소비전력을 줄이고, 이벤트 분석기(70)에서 통행이 출현한 것으로 분석되면 조명기구(10)의 조도를 높여 통행인에게 불편이 없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분석기가 분석한 통행인이 이동방향에 있는 인접 가로등으로 통행인이 그쪽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정보를 전달하여서 인접 가로등이 미리 높은 조도로 조명하도록 하여 통행인 편의를 높인다.
상기 가로등 본체(130)는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131)와, 지주(131)의 상부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지지대(133)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133)에는 감시카메라(20)와 조명기구(10)가 장착되고, 상기 지주(131)의 상부나 지지대(133)에는 쏠라셀장비(110)가 장착되고, 상기 지주(131)의 하부측에는 비상통화장비(30), 방송장비(40), 음향수신기(60), 이벤트 분석기(70), 컨트롤러(90), 배터리(100), 충전장비(120) 등이 내외장되는 함체가 장착되고, 함체 위의 지주(131)에는 모니터(50)가 장착된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감시카메라(20)에는 장착판(21)이 구비되고, 상기 장착판(21)은 가로등 본체(130)의 지지대(133)에 구비되는 결합판(135)에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으로 구성되는 원터치결합블록(TB)을 통해 별도의 공구가 필요 없이 원터치 동작으로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 및 분리되어서, 감시카메라(20)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간편신속하며 효율적이다.
상기 원터치결합블록(TB)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21)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B13)이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엘리베이터카(10)의 결합판(135)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과 상기 끼움홈(B2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인입되는 인입홈(B23)이 형성된 제2블록(B2)과,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B33) 및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B31) 및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B31)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상기 인입홈(B23)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에 인입방지추(B33)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4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도면에 자세한 사시도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상기 제2블록(B2)은 결합판(135)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B21)의 양측에는 인입홈(B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입홈(B23)은 상기 제1블록(B1)이 끼움홈(B21)에 끼워질 때, 상기 고정팔(B1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게 된다.
다시, 제1블록(B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블록으로, 하부는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도면과 같이, 중앙에는 T자형의 T형공간부(B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T형공간부(B11)와 연통되되 상기 제2블록(B2)의 양측으로 개방되는 인출로(B12)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로(B1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구비되는 수납부(B335)가 형성된다.
먼저 고정팔(B1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블록(B1)에는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팔(B13)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팔(B13)은 상기 인출로(B12)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동작에 의해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입홈(B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팔(B13)의 외측에는 각각 지지날개(B1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팔(B13)을 감싸는 복귀탄성체(B133)가 상기 지지날개(B131)와 제1블록(B1)의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제1블록(B1) 내측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받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하거나 뺄 때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아 원활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팔(B13)의 내측 일단에는 대응경사부(B13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이동할 때 상기 고정팔(B13)을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밀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블록(B1)의 외주연에는 상기 장착판(21)의 표면을 가압하여 눌러주는 가압판(B17)이 구비되고, 상기 가압판(B17)은 스프링(B18)으로 탄성지지된다.
상기 제1블록(B1)의 양측, 보다 정확하게는 도4a를 준으로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핸들러(B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러(B31)는 인입방지수단(B3)의 한 구성으로, 이하, 인입방지수단(B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인입방지수단(B3)은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양측으로 돌출시킨 후, 이들의 후퇴를 방지하는 인입방지추(B33)와,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결합되는 핸들러(B31),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인입방지추(B3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납부(B335)에 안착되어 있으며, 도4a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단부에는 상기 대응경사부(B135)와 밀착되는 진입경사부(B3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B335)에는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B33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B333)은 인입방지추(B33)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여기서 복원시키는 방향은 도4a와 같이,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도4b와 같이,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 상기 진입안내부 및 대응경사부(B135)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팔(B13)들이 벌어져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상기 인이방지추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한, 상기 고정팔(B13)들은 다시 내측으로 후퇴할 수 없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핸들러(B31)는 도4a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 제1힌지부(B311)를 통하여 힌지결합된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는 도3의 [B]와 같이 일면이 상기 제1블록(B1) 측방향에 밀착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는 도면과 같이 와이어(B35)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B3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T형공간부(B11)의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제1롤러(B15)가 구비되어 와이어(B35)를 지지하고, 상기 T형공간부(B11)의 단부, 즉 와이어(B35)가 노출되는 부분에도 제2롤러(B16)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4b와 같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한 후, 상기 한 쌍의 핸들러(B31)를 접으면, 상기 와이어(B35)가 당겨지게 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인입홈(B23)에 끼워져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상기 핸들러(B31)에는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밀착되는 면에 각각 제1마그넷(M1) 및 제2마그넷(M2)을 구비하고, 이들이 인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핸들러(B31)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인입방지추(B33)가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역으로 상기 핸들러(B31)를 다시 펼쳐야 하는데,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제1블록(B1)에 자성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러(B31)를 펼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러(B31)에 제2힌지부(B312)에 힌지결합되는 홀딩손잡이(B3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4b와 같이 상기 홀딩손잡이(B313)를 젖힌 후, 사용자가 이 홀딩손잡이(B313)를 잡고 손쉽게 핸들러(B31)를 펼칠 수 있고, 상기 핸들러(B31)가 펼쳐지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던 압축스프링(B3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수납부(B335)로 도3의 [A]와 같이 원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복귀탄성체(B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터치결합블록(TB)에 의해, 보다 손쉽게 장착판(21)과 결합판(135)을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조명기구 20 : 감시카메라
30 : 비상통화장비 40 : 방송장비
50 : 모니터 60 : 음향수신기
70 : 이벤트 분석기 80 : 통신장비
90 : 컨트롤러 100 : 배터리
110 : 쏠라셀 120 : 충전장비
130 : 가로등 본체 131 : 지주
133 : 지지대 140 : 관제센터
150 : 함체

Claims (4)

  1. 주변을 조명하는 조명기구;
    주변을 촬영하는 감시카메라;
    외부와 통화를 지원하는 비상통화장비;
    주변으로 방송하는 방송장비;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모니터;
    주변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신하는 음향수신기;
    상기 감시카메라의 촬영영상과 상기 음향수신기의 수신음향을 분석하는 이벤트 분석기;
    상기 이벤트분석기의 분석결과 이벤트가 발생되면 상기 감시카메라가 추적촬영하고, 상기 방송장비가 경고방송을 하도록 제어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고, 관제센터와 통신하여 원격감시 및 원격제어를 지원하는 통신장비;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기구, 감시카메라, 비상통화장비, 방송장비, 모니터, 음향수신기, 이벤트 분석기, 컨트롤러 및 통신장비가 설치되는 가로등 본체;
    상기 감시카메라가 장착되는 장착판을 상기 지지대에 구비되는 결합판에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원터치결합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원터치결합블록은
    상기 장착판(21)에 구비되며, 중앙에는 T자형의 T형공간부(B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T형공간부(B11)와 연통되는 인출로(B12)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로(B1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구비되는 수납부(B335)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로(B12)의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B13)이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상기 결합판(135)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과, 상기 끼움홈(B2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인입되는 인입홈(B23)이 형성된 제2블록(B2)과,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B33)와,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핸들러(B31)와,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B31)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상기 인입홈(B23)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에 인입방지추(B33)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팔(B13)의 외측에는 지지날개(B13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팔(B13)을 감싸는 복귀탄성체(B133)가 상기 지지날개(B131)와 제1블록(B1)의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제1블록(B1) 내측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받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하거나 뺄 때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아 원활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고정팔(B13)의 내측 일단에는 대응경사부(B135)가 구비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단부에는 상기 대응경사부(B135)와 밀착되는 진입경사부(B331)가 구비되어서,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승강할 때 상기 고정팔(B13)을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수납부(B335)에는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B333)이 구비되고,

    상기 T형공간부(B11)의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제1롤러(B15)가 구비되어 와이어(B35)를 지지하고, 상기 T형공간부(B11)의 단부에는 제2롤러(B16)가 구비되어서,
    상기 와이어(B35)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한 쌍의 핸들러(B31)를 접으면, 상기 와이어(B35)가 당겨지게 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승강시키게 되고,
    이 때,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상기 핸들러(B31)에는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밀착되는 면에 각각 제1마그넷(M1) 및 제2마그넷(M2)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기구, 감시카메라, 비상통화장비, 방송장비, 모니터, 음향수신기, 이벤트 분석기 및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태양광으로 발전하고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쏠라셀장비;
    상기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해 접속된 외부단말을 충전시키는 충전장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분석기의 분석결과 통행인이 출현하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명기구의 조도를 높이고, 통행인의 이동방향에 있는 인접하는 스마트 가로등으로 이를 전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4. 삭제
KR1020210018753A 2021-02-10 2021-02-10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225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53A KR102259813B1 (ko) 2021-02-10 2021-02-10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753A KR102259813B1 (ko) 2021-02-10 2021-02-10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813B1 true KR102259813B1 (ko) 2021-06-03

Family

ID=7639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753A KR102259813B1 (ko) 2021-02-10 2021-02-10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8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1467A (zh) * 2021-07-20 2021-10-22 上海筑仟城市形象设计有限公司 城市道路多杆合一功能设备
CN114872755A (zh) * 2022-05-19 2022-08-09 中铁武汉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铁路智慧灯系统
KR102498900B1 (ko) 2021-11-04 2023-02-10 주식회사 아이티에스 차량 충전기가 구비된 스마트 인공지능 보안등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660A (ko) * 2011-08-08 2013-02-18 (주) 유원컴텍 카메라센서의 모션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조명 램프의 점멸 혹은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KR20160024491A (ko)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하이트론씨스템즈 고 중량 감시 카메라용 조립 설치장치
KR101610026B1 (ko) * 2015-09-15 2016-04-07 (주)성광유니텍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KR101995401B1 (ko) * 2018-12-28 2019-07-03 (주)천일 방재기능이 구비된 멀티미디어 정보융합 기반 디밍제어 스마트 조명 시스템
KR2021000049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젬 스마트 가로등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6660A (ko) * 2011-08-08 2013-02-18 (주) 유원컴텍 카메라센서의 모션 감지 기능을 이용하여 조명 램프의 점멸 혹은 조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가로등
KR20160024491A (ko) * 2014-08-26 2016-03-07 주식회사하이트론씨스템즈 고 중량 감시 카메라용 조립 설치장치
KR101610026B1 (ko) * 2015-09-15 2016-04-07 (주)성광유니텍 하이브리드형 방범용 가로등시스템
KR101995401B1 (ko) * 2018-12-28 2019-07-03 (주)천일 방재기능이 구비된 멀티미디어 정보융합 기반 디밍제어 스마트 조명 시스템
KR20210000491A (ko) * 2019-06-25 2021-01-05 주식회사 젬 스마트 가로등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가로등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31467A (zh) * 2021-07-20 2021-10-22 上海筑仟城市形象设计有限公司 城市道路多杆合一功能设备
KR102498900B1 (ko) 2021-11-04 2023-02-10 주식회사 아이티에스 차량 충전기가 구비된 스마트 인공지능 보안등
CN114872755A (zh) * 2022-05-19 2022-08-09 中铁武汉勘察设计院有限公司 一种铁路智慧灯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9813B1 (ko) 스마트 가로등의 방범 감시카메라 시스템
KR101956529B1 (ko) 다기능 스마트 가로등
US20150362172A1 (en) Apparatus and method embedding a camera in an led streetlight
US20210071855A1 (en) Multifunction lighting control unit
KR101074116B1 (ko) 가로등장치
KR101336724B1 (ko) 조명 통합형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101439180B1 (ko) 조명 융합형 무선 감시 카메라 시스템
KR20180023195A (ko) 스마트 태양광 보안 가로등 시스템
CN111328165A (zh) 智慧路灯
WO2018201379A1 (zh) 可监控路灯
KR20200097628A (ko) 가로등용 조명 기구 및 조명 기구 시스템
CN201588504U (zh) 带自动摄像和照明的防盗门
KR101479178B1 (ko) 가로등을 대체할 수 있는 cctv용 지능형 카메라장치
KR20190107392A (ko) 다기능 안전사고 예방 조명 시스템
KR101087710B1 (ko) 센서등을 이용한 씨씨티비 녹화방법 및 그 녹화장치
KR20130020166A (ko) 비상재해 및 다용도 레이저 유도등
KR20090011780U (ko) 카메라 일체형 엘이디 가로등
JP3207338U (ja) バス停留所案内表示板
CN209845012U (zh) 一种景区智慧导览牌
JP3221685U (ja) 街路灯用24時間監視カメラ装置
KR20110031056A (ko) 실시간 화상 송출기 일체형 보안 조명등
CN111562771A (zh) 一种智能庭院灯及其控制系统
KR20160109922A (ko) 다기능 태양광 충전식 보안등
KR200484267Y1 (ko) 통합형 보안장치
CN205946033U (zh) 便携式视频采集实时布控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