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796B1 -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796B1
KR102259796B1 KR1020200174991A KR20200174991A KR102259796B1 KR 102259796 B1 KR102259796 B1 KR 102259796B1 KR 1020200174991 A KR1020200174991 A KR 1020200174991A KR 20200174991 A KR20200174991 A KR 20200174991A KR 102259796 B1 KR102259796 B1 KR 102259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engine oil
locking
oil filter
loc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4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성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인
Priority to KR1020200174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진동, 구조적 결함 등에 의해 케이스를 밀폐하는 마개가 임의로 제거되어 엔진오일이 누유되는 현상을 원천 차단하고, 특히, 마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엔진오일 교체의 작업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켜 복잡도 개선, 설계 단순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엔진오일 오일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Engine oil 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엔진오일의 이물질을 여과시키는 오일필터모듈의 주요 부품으로 사용되는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윤활장치는 엔진의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각 부품의 마찰 부분에 윤활용 오일(이하 엔진오일이라 함)을 공급하는 장치로 실린더와 피스턴이 접동하는 부분이나, 크랭크 샤프트 및 캠 샤프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은 마찰열로 인하여 부품이서로 눌어 붙거나, 마찰면이 거칠어져 빨리 마모되기 때문에 엔진의 수명을 단축케 하거나 고장의 원인이 된다. 이에, 엔진 계통의 마찰면에 엔진오일을 공급하여 유막을 형성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엔진오일의 유막은 금속의 고체마찰을 유체마찰로 바꾸어 마찰저항을 감소시켜 마모가 적고, 마찰열의 상승을 방지토록 함으로써, 엔진의 각 부품이 원활하게 작동되고 또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윤활장치는 비산식과 압송식 및 압송 비산식이 쓰이고 있으며, 특히 상기한 압송식은 오일팬에 채워진 엔진오일을 오일펌프로 펌핑하여 오일 필터를 통해 여과 시킨후 엔진의 각 윤활부에 강제로 압송 공급토록 하는데 여기서 오일필터모듈은 엔진의 구동시 발생하는 각종 불순물을 여과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통상의 오일필터모듈은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로 유입된 엔진오일의 불순물을 걸러주는 필터, 유입된 오일을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밸브 및 상기 케이스 하부부위로 고인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밸브 등으로 이루어진다.
즉, 엔진오일을 정기적으로 교환해주기 위해서는 케이스의 하부부위에 구비된 드레인밸브를 이용해 충진된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해야 하는데 오일 필터 내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드레인밸브는 케이스의 하부부위로 나사 결합되어 있고 이에 따라, 엔진오일의 배출을 위해서는 드레인밸브를 나사 해체 방식으로 풀어야하므로 그 작업성이 불편하고 특히, 드레인밸브를 제거하는 와중에 엔진오일이 조금씩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나사식 드레인밸브를 풀기 위한 작업공구 내지 오일 필터 주변이 엔진오일에 쉽게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10-077552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차량의 진동, 구조적 결함 등에 의해 케이스를 밀폐하는 마개가 임의로 제거되어 엔진오일이 누유되는 현상을 원천 차단하고, 특히, 마개의 탈착을 용이하게 구성하여 엔진오일 교체의 작업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구조를 대폭 간소화시켜 복잡도 개선, 설계 단순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엔진오일 오일 필터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케이스 내부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오일필터모듈에 사용되는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중앙이 관통된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로 오일필터를 지지하며, 하면 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편이 하향 돌출 형성되는 필터지지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엔진오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개폐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편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마개; 및 상기 마개를 수직으로 관통해 체결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제1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단에는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각도로 돌출 형성되는 걸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걸림편은,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외측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와 같은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의 하면과 접촉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걸림돌기의 외측 이탈을 제한하는 제1 경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편은, 상기 수직부재와 필터지지부의 하면 외측 연결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같은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 모서리 주변의 빈 공간을 메우는 제2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홀을 구성하는 배출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단에는 제1 체결공과 연통하는 제2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공은 상기 걸림돌기가 제2 경사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2 체결공과 상하로 편심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제1 경사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2 체결공과 동심원 상에 배치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마개 자체를 소정의 상방이동 시키지 않고서는 특별히 회전시킬 수 없고 또한, 빼낼 수 없게 되므로, 마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마개를 일차적으로 상부로 가압한 다음 이차적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이중 안전구조를 갖추고, 이에 더하여 마개의 상하 이동을 제한토록 체결핀까지 체결되므로 마개를 삼중 안전구조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엔진오일의 기밀성이 보다 향상되고, 불측의 사유로 마개가 케이스로부터 제거되는 현상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엔진오일의 누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엔진오일의 교체를 위해 마개를 보다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마개의 제거를 위해 별도의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대폭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 마개의 제거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마개의 제거 과정에서 엔진오일이 손이나 기타 공구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한 쌍의 걸림돌기 모두가 걸림편 상에 걸림 지지되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에서 마개의 반복 조작에 따른 걸림돌기 내지 걸림편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하고, 걸림돌기와 걸림편의 억지 과결합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하부케이스를 상부케이스에서 분해할 때 걸림돌기가 걸림편을 타고 원주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와중에 걸림돌기와 걸림편이 서로 과도하게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걸림편을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필터지지부 구조의 간소화, 복잡도 개선, 설계 단순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의 요부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오일필터모듈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오일필터모듈의 전체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마개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마개가 편심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마개가 상사점에 위치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체결핀이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걸림돌기가 걸림편에 걸림 지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이하 필터 조립체라 함)는 케이스(11,12) 내부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오일필터모듈의 일부 구성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크게, 필터지지부(100), 마개(200) 및 결속핀(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즉, 이러한 필터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오일필터모듈의 구성, 예컨대, 케이스(11,12) 등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조립체를 설명함에 있어, 불가분에 있으므로,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예컨대, 케이스(11,12)는 오일필터모듈의 외관을 구성하며 내부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인 필터지지부(10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오일필터모듈의 구체적인 사항은 공지된 바를 따르고,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요부인 필터지지부(100), 마개(200) 및 체결핀(300)의 주요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4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상하를 나누고, 케이스(11,12)를 향하는 방향을 외측, 오일필터(20)의 중앙을 향하는 방향을 내측이라 정의하여 다른 도면과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기준에 따라 방향기준을 특정한다.
먼저, 필터지지부(100)는 케이스(11,12) 내부에서 오일필터(20)를 지지하고, 마개(200)의 경우, 케이스(11,12) 내부에 충전된 엔진오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며, 체결핀(300)은 마개(200)를 케이스(11,12) 상에 결속하는 구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필터지지부(100)는 중앙이 관통된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로 오일필터(20)를 지지하며, 하면 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편(110)이 하향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필터지지부(100)는 케이스(11,12)의 내부 적소에 안착 구성될 수 있다.
오일필터(20)는 중공 원통형으로 이루어지고, 필터지지부(100)의 중앙 내측으로는 별도 도시하지 않은 바이패스밸브가 수용될 수 있다. 오일필터(20)는 엔진오일을 여과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선에서 공지된 유체용 여과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필터지지부(100)의 중앙 내주면에는 상부를 향해 플랜지(120)가 돌출 형성되어 오일필터(20)의 내측으로 삽입 고정된다.
이에, 오일필터(20)가 필터지지부(100)의 상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오일필터(20)를 보다 용이하게 필터지지부(100)에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걸림편(110)은 케이스의 하부로 체결된 마개(200)를 걸림 지지하여 별도 마개(200)의 회전조작이 없을 경우 케이스에 체결된 마개(200)의 하방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다.
걸림편(110)은 필터지지부(100)의 하면에 필터지지부(10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필요에 따라 필터지지부(100)와는 별개의 구성으로써 필터지지부(100)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편(110)의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 마개(200)의 설명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마개(200)는 케이스 내부의 엔진오일이 배출되는 배출홀(14)을 개폐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편(110)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된다.
한편, 공지된 케이스는 크게 상부케이스(11)와 하부케이스(12)가 나사결합 방식으로 분해조립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특히 하부케이스(12)에는 상기 배출홀(1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홀(14)로 마개(20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배출홀(14)을 개폐하게 된다.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배출홀(14)에 마개(200)가 장착되어 엔진오일의 외부 유출이 제한되나, 엔진오일의 교체시 마개(200)가 제거되어 배출홀(14)이 개방되면 배출홀(14)로 케이스에 충전된 엔진오일이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마개(200)는 기존 오일 필터의 드레인밸브처럼 나사체결 방식으로 케이스에 장착 또는 제거되는 것이 아니라 필터지지부(100)의 걸림편(110)에 단순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배출홀(14)을 폐쇄하고 또는 제거시 걸림편(110)에서 빠져나오기만 하면 배출홀(14) 내에서 수직으로 잡아 빼낼 수 있는 구조를 갖추기 때문에 충분한 기밀성을 보장하면서도 엔진오일의 배출을 위한 제거를 보다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개(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핀(300)이 체결되는 제1 체결공(211)이 관통 형성되는 몸통부재(210) 및 상기 몸통부재(2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단에는 걸림돌기(221)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각도로 돌출 형성되는 걸쇠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몸통부재(210)는 배출홀(14)과 상보적인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외주면에는 배출홀(14) 내벽에 기밀하게 접촉되는 오링(212)이 마련될 수 있다. 몸통부재(210)의 하단에는 얇은 판 형태의 핸들(213)이 구비되어 마개(200)의 회전을 위해 손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배출홀(14)에 삽입되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마개(200)의 회전상태를 손잡이의 방향으로 사용자가 인지토록 할 수 있다.
배출홀(14)에 장착된 마개(2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걸림돌기(221)는 케이스(11,12) 내부에서 회전하여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지지부(100)의 걸림편(110)에 걸림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배출홀(14)에 장착된 마개(20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면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110)에 걸림 지지된 걸림돌기(221)가 걸림편(110)으로부터 빠져나와 마개(200)를 배출홀(14)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마개(200)가 배출홀(14)을 막은 상태로 걸쇠부재(220)가 걸림편(110)에 걸림 지지될 경우 엔진오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으며, 동시에 마개(200) 자체의 하방이동이 제한되어 임의로 케이스 상에서 분리되지 않게 되는 안전구조가 갖춰진다.
걸쇠부재(220)는 상하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지며 걸림돌기(221)의 경우 한 쌍이 걸쇠부재(220)의 상단 양측에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마개(200)가 배출홀(14)에 장착되어 상사점에 위치할 때 걸쇠부재(220)의 상면은 필터지지부(100)의 하면에 접촉되어 더 이상의 상방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걸쇠부재(22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돌기(221)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되는데 이때 수평선에 대한 걸림돌기(221)의 경사 각도는 13°로 설정되는 것이 걸림돌기(221)가 걸림편(110)에 보다 강하게 결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필터지지부(10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편(110)은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마련되어 마개(200)가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걸림편(110)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즉, 상부케이스(11)에서 하부케이스(12)를 분해하기 위해 마개(200)가 장착된 하부케이스(12)를 상부케이스(11)에서 돌려 빼더라도 하부케이스(12)의 회전에 연동해 마개(200)가 걸림편(110)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에, 마개(200)가 배출홀(14)을 폐쇄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동시에 마개(200)에 의해 하부케이스(12)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므로, 하부케이스(12)의 분해를 위해 배출홀(14)에서 마개(200)를 불필요하게 제거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를 위해 걸림편(1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지지부(1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재(111), 상기 수직부재(111)의 하단에서 외측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111)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돌기(221)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재(112) 및 상기 수평부재(112)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221)와 같은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221)의 하면과 접촉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걸림돌기(221)의 외측 이탈을 제한하는 제1 경사부재(1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한 쌍의 걸림돌기(2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만 걸림편(110)의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걸림돌기(221)가 걸림편(110)에 걸림 지지될 수 있는 구조가 되며, 이는 불필요하게 한 쌍의 걸림돌기(221) 모두가 걸림편(110) 상에 걸림 지지되는 구조가 아니라는 점에서 마개(200)의 반복 조작에 따른 걸림돌기(221) 내지 걸림편(110)의 불필요한 마모를 방지하고, 걸림돌기(221)와 걸림편(110)의 억지 과결합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하부케이스(12)를 상부케이스(11)에서 분해할 때 걸림돌기(221)가 걸림편(110)을 타고 원주방향으로 가이드되는 와중에 걸림돌기(221)와 걸림편(110)이 서로 과도하게 마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걸림편(110)을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필터지지부(100) 구조의 간소화, 복잡도 개선, 설계 단순화 등의 효과로 생산 단가를 현저히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걸림편(110)에는 한 쌍의 걸림돌기(221) 중 어느 하나만 걸림 지지되므로, 걸림돌기(221)를 보다 강하게 걸림 지지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된다.
이에, 걸림편(110)의 제1 경사부재(113)가 수용공간 저부에 걸림돌기(221)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면을 구성함으로써 걸림돌기(221)의 하면이 제1 경사부재(113)의 상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접해 걸림돌기(221)가 수용공간 내에서 임의로 회전되거나 이탈하지 않게 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즉, 걸림돌기(221)의 하면이 제1 경사부재(113)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마개(200)를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적어도 걸림돌기(221)가 제1 경사부재(113)에서 이격되도록 마개(200)를 소정 거리 상부로 이격시킨 다음 마개(200) 자체를 회전시켜 걸림돌기(221)가 수용공간에서 빠져나오도록 조작해야 하는 바, 배출홀(14)에서 마개(2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마개(200)를 상부로 가압해 걸림돌기(221)를 제1 경사부재(113)로부터 이격시키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따라서, 걸림돌기(221)가 제1 경사부재(113)에 안착되면 걸림돌기(221) 자체를 소정의 상방이동 시키지 않고서는 수용공간 내에서 특별히 회전시킬 수 없고 또한, 빼낼 수 없게 되므로, 마개(2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마개(200)를 일차적으로 상부로 가압한 다음 이차적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이중 안전구조를 갖추고, 이에 더하여 후술 될 체결핀(300)까지 체결되면 마개(200)를 삼중 안전구조로 체결할 수 있다.
한편, 마개(200)의 걸쇠부재(220)가 필터지지부(100)의 하면에 접촉되어 더이상의 상방이동이 제한되는 위치, 예컨대, 마개(200)의 상사점에서 하향 경사져 돌출되는 걸림돌기(221)의 구조에 의해 걸림돌기(221)와 필터지지부(100) 하면 사이에는 일정 공극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공극에 의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00)의 상사점에서 마개(200)가 편심으로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만일 마개(200)가 배출홀(14) 내부에서 편심으로 기울어지면 배출홀(14)에 빈틈이 생겨 마개(200)가 제거되기도 전에 그 사이로 엔진오일이 유출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공극 발생을 방지하고자, 걸림편(110)은, 수직부재(111)와 필터지지부(100)의 하면 외측 연결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221)와 같은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221)의 상단 모서리 주변의 빈 공간을 메우는 제2 경사부재(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200)의 상사점에서 걸림돌기(221)의 상면이 제2 경사부재(114)의 하면인 경사면에 접촉 지지되므로 제2 경사부재(114)가 지지대 역할을 해 마개(200)가 편심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항시 수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경사부재(113)와 제2 경사부재(114)를 별도로 표시하고 기술하였는데, 이들은 인접 부재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하부케이스(12)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홀(14)을 구성하는 배출단(13)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단(13)에는 제1 체결공(211)과 연통하는 제2 체결공(15)이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마개(200)가 배출홀(14)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하는 제1 체결공(211)과 제2 체결공(15)으로 마개(200)를 수직으로 관통해 체결핀(300)을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체결공(211)은 상기 걸림돌기(221)가 제2 경사부재(114)에 접촉된 상태, 즉 마개(200)의 상사점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공(15)과 상하로 편심되고, 상기 걸림돌기(221)가 제1 경사부재(113)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체결공(15)과 동심원 상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체결공(211)의 입구 주변과 체결핀(300)의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은 라운드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마개(200)의 상사점에서는 제1 체결공(211)과 제2 체결공(15)이 상하로 서로 편심되어 있다가, 체결핀(300)이 먼저 제2 체결공(15)을 관통하고, 그 단부가 제1 체결공(211)으로 접근하면서 라운드 처리된 부분에 의해 제1 체결공(211) 입구가 체결핀(300)의 단부로 가이드되어 마개(200)가 하부로 소정 거리 끌어 내려질 수 있다. 이에, 제2 체결공(15)과 제1 체결공(211)이 서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고 그 중심으로 체결핀(30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작용 및 효과는 후술 된 본 발명의 작용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작용에서는 마개(200)의 장착 및 제거과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마개(200)의 장착을 위해 마개(200)를 배출홀(14)에 삽입한다. 이때,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쇠부재(220)가 필터지지부(100)의 하면에 접촉되게끔 걸림돌기(221)를 걸림편(110)의 접선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돌기(221)가 걸림편(110)에 걸리지 않고 상승이동될 수 있도록 한 뒤 마개(200)를 상사점까지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221)가 수용공간으로 수용되도록 마개(200)를 상사점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에, 걸쇠부재(220)는 필터지지부(100)의 하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회전하고, 한 쌍의 걸림돌기(221)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이때, 제1 체결공(211)과 제2 체결공(15)은 서로 상하로 편심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걸림돌기(221)를 제1 경사부재(113)에 접촉시키기 위해 마개(200)를 아래로 별도로 잡아 뺄 필요 없이, 체결핀(300)의 체결만으로 마개(200)를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핀(300)은 먼저 제2 체결공(15)을 완전히 관통한 뒤 단부가 제1 체결공(211)의 입구 주변에 접촉되는데 이때 체결핀(300)을 연이어 삽입시키면 체결핀(300)의 단부에 제1 체결공(211)의 입구 주변이 가이드되어 체결핀(300)의 높이까지 마개(200)가 자연스럽게 끌려 내려와 제2 체결공(15)과 제1 체결공(211)이 서로 동심원 상에 배치되고, 체결핀(300)이 제2 체결공(15)과 제1 체결공(211)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별도로 마개(200)를 손으로 잡아 당길 필요 없이 간편하게 체결핀(300)의 체결만으로 도 13에서처럼 걸림돌기(22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 경사부재(113)에 안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걸림돌기(221)가 제1 경사부재(113)에 안착되면 걸림돌기(221) 자체를 소정의 상방이동 시키지 않고서는 수용공간 내에서 특별히 회전시킬 수 없고 또한, 빼낼 수 없게 되므로, 마개(2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마개(200)를 일차적으로 상부로 가압한 다음 이차적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최소한의 이중 안전구조를 갖추고, 이에 더하여 마개(200)의 상하 이동을 제한토록 체결핀(300)까지 체결되므로 마개(200)를 삼중 안전구조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반대로, 도 13에 도시된 상태의 마개(2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결핀(300)을 제거하고 마개(200)를 상부로 가압해 마개(200)가 상사점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걸림돌기(221)가 제1 경사부재(113)로부터 이격되며 마개(200)가 상승하는 와중에 배출홀(14) 주변에 고여있는 엔진오일이 오링(212)에 의해 함께 상승한다.
즉, 엔진오일의 낙하점이 소정 거리 상부로 이동하기 때문에 엔진오일의 낙하점을 보다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어 마개(200)를 제거하더라도 엔진오일이 배출홀(14)로 급격하게 토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시, 마개(200)를 상사점으로 위치시키고 걸림돌기(221)가 수용공간에서 빠져나오도록 소정 각도 회전이동시킨 다음 마개(200)를 하부로 잡아 빼 배출홀(14)로부터 빠르게 제거하게 되면 손이나 기타 공구가 엔진오일에 오염되지 않고 엔진오일을 케이스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필터지지부
200: 마개
300: 체결핀

Claims (5)

  1. 케이스 내부로 공급되는 엔진오일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오일필터모듈에 사용되는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에 있어서,
    중앙이 관통된 원판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로 오일필터를 지지하며, 하면 둘레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걸림편이 하향 돌출 형성되는 필터지지부;
    상기 케이스 내부의 엔진오일이 배출되는 배출홀을 개폐하며,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걸림편에 의해 선택적으로 걸림 지지되는 마개; 및
    상기 마개를 수직으로 관통해 체결되는 체결핀;을 포함하며,
    상기 마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는 제1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는 몸통부재; 및
    상기 몸통부재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단에는 걸림돌기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각도로 돌출 형성되는 걸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은,
    상기 필터지지부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수직부재;
    상기 수직부재의 하단에서 외측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수직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걸림돌기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의 상면에 상기 걸림돌기와 같은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의 하면과 접촉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걸림돌기의 외측 이탈을 제한하는 제1 경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편은,
    상기 수직부재와 필터지지부의 하면 외측 연결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같은 각도의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의 상단 모서리 주변의 빈 공간을 메우는 제2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홀을 구성하는 배출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배출단에는 제1 체결공과 연통하는 제2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되,
    상기 제1 체결공은 상기 걸림돌기가 제2 경사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2 체결공과 상하로 편심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제1 경사부재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2 체결공과 동심원 상에 배치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KR1020200174991A 2020-12-15 2020-12-15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KR102259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91A KR102259796B1 (ko) 2020-12-15 2020-12-15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991A KR102259796B1 (ko) 2020-12-15 2020-12-15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796B1 true KR102259796B1 (ko) 2021-06-02

Family

ID=76372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991A KR102259796B1 (ko) 2020-12-15 2020-12-15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79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20B1 (ko) 2006-12-18 2007-11-09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의 드레인 밸브
KR101691556B1 (ko) * 2015-11-11 2017-01-09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체결구조가 개선된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520B1 (ko) 2006-12-18 2007-11-09 주식회사 동우 오일필터의 드레인 밸브
KR101691556B1 (ko) * 2015-11-11 2017-01-09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체결구조가 개선된 드레인핀을 구비하는 오일필터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5653B (zh) 具有限流阀的竖管和滤筒
US5236579A (en) Fuel filter assembly with modular drain bowl
EP3855013B1 (en) No filter no run filter assembly with air vent
US8973760B2 (en) Filter system with fuel-water separator
CA2812728C (en) Canister filter system with drain that cooperates with filter element
JP5933572B2 (ja) フィルタ及びエレメント本体
KR102000229B1 (ko) 배관용 스트레이너
JP2014502326A5 (ko)
US20180214803A1 (en) No filter no run feature for filter
US20150202556A1 (en) Filter cartridge with flow passage in endplate
US11198076B2 (en) Bi-directional no filter no run pin
JP2011506843A (ja) 液体フィルタ、特にオイルフィルタ
EP3512617B1 (en) Liquid filter assembly
US20090078629A1 (en) Exchangeable Oil Filter With Spring-Operated Pin For Drainage
JP2004160348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流体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ドレン用冶具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EP0394585A2 (en) Oil filter
CN107002609B (zh) 具有卡口连接件的清洁侧水分离过滤元件和具有此种过滤元件的燃料过滤器
KR102259796B1 (ko)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JP2005103502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流体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ドレン用冶具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KR102244868B1 (ko) 차량용 엔진오일 필터 조립체
CN106029201A (zh) 在盖件中具有排水器件的过滤器设备
WO2019217434A1 (en) Filter cartridge locking assembly
US20220088509A1 (en) Filter cartridge, filter assembly, and methods
KR101206612B1 (ko) 필터섬프
CN115773165A (zh) 油过滤器壳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