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319B1 -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319B1
KR102258319B1 KR1020190018391A KR20190018391A KR102258319B1 KR 102258319 B1 KR102258319 B1 KR 102258319B1 KR 1020190018391 A KR1020190018391 A KR 1020190018391A KR 20190018391 A KR20190018391 A KR 20190018391A KR 102258319 B1 KR102258319 B1 KR 102258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ray
imaging apparatus
head
ray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3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00296A (en
Inventor
이진복
임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텍
Priority to KR102019001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319B1/en
Publication of KR2020010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02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4Positioning of patients; Tiltable be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02Arrangements for diagnosis sequentially in different planes; Stereoscopic radiation diagnosis
    • A61B6/03Computed tomography [CT]
    • A61B6/032Transmission computed tomography [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2Arrangements for detecting radiation specially adapted for radiation diagn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엑스선 디텍터의 면적이나 엑스선 피폭량의 증가 없이도 환자의 턱관절 CT 영상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의 구성이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는 회전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을 수광하는 엑스선 디텍터;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회전을 동반한 촬영 시퀀스 진행 중에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 사이에 위치한 환자의 두부를 지지하되, 환자 두부의 종축이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회전 중심축에 평행한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환자 안면 전방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figuration of an X-ray ima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vely capturing a CT image of a jaw joint of a patient without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X-ray detector or the amount of X-ray exposure is provided.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X-ray generator that irradiates X-rays with a rotational center axis therebetween and an X-ray detector that receives the X-rays; Supports the patient's head located between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during a photographing sequence accompanied by rotation of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ient's head is parallel to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A patien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patient's face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one vertical axis; Consists of including.

Description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영상 촬영 방법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ing method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엑스선 영상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주로 환자의 구강, 턱관절 등을 촬영대상으로 하는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X-ray imaging apparatus and an X-ray imag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imaging a patient's oral cavity, jaw joint, and the like.

턱관절(Temporomandibular Joint, TMJ)이란 아래턱뼈(하악골)와 옆머리뼈 (측두골) 사이에 위치하여 두 뼈를 연결하는 관절로, 양쪽 광대뼈 밑,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한다. 턱관절은 모든 턱 운동의 중심축으로 작용하고 턱근육과 인대에 의해 지지된다. 턱관절 사이에 있는 관절원판(디스크)은 뼈와 뼈 사이에 발생할 마찰과 자극을 완충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육과 인대, 관절원판, 턱뼈가 입 벌리기(개구), 씹는 행위(저작), 말하기, 삼키기 등과 같은 다양한 움직임을 담당하는데, 여러 요인에 의해 이러한 턱관절 기능에 이상이 생길 경우, 턱관절 장애, 악관절 장애, 혹은 턱 디스크증이라 부른다.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is a joint that connects the two bones by being located between the lower jaw (mandible) and the lateral skull (temporal bone), and is located under both cheekbones and just in front of the ear. The jaw joint acts as the central axis of all jaw movements and is supported by the jaw muscles and ligaments. The joint disc (disc) between the jaw joints serves to buffer friction and stimulation that occur between the bone and the bone. These muscles and ligaments, joint discs, and jaw bones are responsible for various movements such as opening the mouth (opening), chewing (chewing), speaking, swallowing, etc.If there is an abnormality in the function of the jaw joint due to various factors, jaw joint disorder ,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or jaw discosis.

턱관절 질환은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진단 및 치료를 받게 되는데, 정확한 진단에는 엑스선 영상이 매우 유용하다. 엑스선 영상을 통해 뼈와 뼈가 서로 중첩되고, 그 사이에 연골 조직인 디스크가 개입되어 있는 상태를 시각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Temporomandibular joint disease is generally diagnosed and treated at a dentist, but X-ray images are very useful for accurate diagnosis.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visualize a state in which bones and bones overlap each other through X-ray images, and a disc, which is a cartilage tissue, is intervened between them.

도 1a는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특히 CT(Computed Tomography)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 부위의 엑스선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 1b는 이와 같은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턱관절 CT 영상의 예를 보인다. FIG. 1A is a view illustrating an X-ray image of a jaw joint region using a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device, in particular, a CT (Computed Tomography) imaging device. 1B shows an example of a CT image of a jaw joint taken by such a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엑스선 빔을 조사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G)와 엑스선 제너레이터(G)에서 조사되어 촬영 대상물을 투과한 엑스선 빔을 수광해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엑스선 디텍터(S)를 구비하고, 이들이 공통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향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된 갠트리(40)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갠트리(40)는 회전축(43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43)과, 상기 회전암(43)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너레이터부(41) 및 디텍터부(42)를 갖는다. As shown, a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includes an X-ray generator (G) that irradiates an X-ray beam and an X-ray beam that is irradiated from the X-ray generator (G) and transmitted through an object to be photographed and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It includes a gantry 40 having a detector S and configured to rotate opposite to each other about a common axis of rotation. More specifically, the gantry 40 includes a rotating arm 43 rotatably installed around a rotating shaft 43x, and a generator part 41 and a detector part 42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arm 43, respectively. ).

상기 제너레이터부(41)에서 엑스선 방출 초점(F)을 갖는 엑스선 제너레이터(G)로부터 방출된 엑스선 빔(B)은 상기 회전축(43x)의 연장선에 위치한 환자의 두부(H)를 투과하여 상기 디텍터부(42)에 배치된 엑스선 디텍터(S)에 도달하도록 구성된다. CT 영상 촬영시에는 상기 회전암(43)이 회전하는 동안 다양한 각도에서 상기 환자의 두부(H)에 엑스선 빔(B)을 조사하여 다수 프레임의 프로젝션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CT 영상을 얻는다. 이 경우, 다양한 각도에서 조사된 엑스선 빔(B)의 궤적이 서로 중첩되는 원통 형상의 영역이 CT 영상의 FOV(Field Of View), 즉 촬영영역이 된다. The X-ray beam B emitted from the X-ray generator G having an X-ray emission focal point F in the generator part 41 passes through the patient's head H locat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shaft 43x to the detector part. It is configured to reach the X-ray detector S disposed at 42. When taking a CT image, while the rotating arm 43 is rotating, an X-ray beam B is irradiated to the patient's head H at various angles to obtain projection data of multiple frames, and reconstructing it to obtain a CT image. . In this case, a cylindrical area in which the trajectories of the X-ray beams B irradiated from various angles overlap each other becomes a field of view (FOV), that is, an imaging area of the CT image.

이러한 구성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TMJ)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시퀀스가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두부(H)가 움직이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20)가 활용된다. 상기 환자 지지부(20)는 지지 프레임(21)에 장착된 턱받침 유닛(23)을 이용하여 환자의 턱 아랫부분을 지지함으로써, 환자 두부(H)의 종축(L)이 전술한 회전암(43)의 회전축(43x)에 평행한 수직축(V)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환자의 두부(H)를 수직으로 정렬한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일례로 지름: 80mm, 높이: 90mm의 원통형 FOV(R1)에 대한 CT 영상을 얻는 것이 환자의 턱관절(TMJ) 부위에 대한 CT 영상을 촬영하는 기존의 방식이다. When taking a CT image of the jaw joint (TMJ) using a dental X-ray imaging device having this configuration, as shown, a patient who supports it so that the patient's head H does not move while the imaging sequence is in progress. The support 20 is utilized. The patient support part 20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patient's chin using the chin rest unit 23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1, so that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patient's head H is the aforementioned rotary arm 43 It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vertical axis (V)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43x) of. In this way, when the patient's head (H) is vertically aligned, obtaining a CT image of a cylindrical FOV (R1) of a certain size, for example, diameter: 80mm and height: 90mm, is performed on the patient's temporomandibular joint (TMJ) area. This is the conventional method of taking CT images of Korea.

그런데 문제는 환자의 두상에 따라, 주로 환자의 머리가 큰 경우 턱관절(TMJ)의 위치가 상기 FOV(R1)의 위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거나, 심한 경우 FOV(R1)를 벗어나기도 한다는 점이다. 본 도면에서 환자의 두부(H)는 성인 환자의 평균적인 두상을 나타낸다. 여기에 다양한 환자들의 턱관절(TMJ) 위치 분포 범위(T)를 빗금으로 표시하면, 도시된 것처럼 턱관절의 평균적인 위치라고 볼 수 있는 빗금친 영역의 중심이 FOV(R1)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위치, 일례로 16.8mm 아래에 위치한다. 이는 상기 FOV(R1)의 높이가 90mm인 것을 고려할 때, 중심보다 훨씬 위쪽으로 치우친 것이며, 환자의 턱관절 위치가 적지 않은 빈도로 전술한 FOV(R1)를 벗어나게 됨을 나타낸다. However, the problem is that, depending on the patient's head, mainly when the patient's head is large, the position of the jaw joint (TMJ) is excessively skewed upwards of the FOV (R1), or in severe cases, the position of the jaw joint (TMJ) may deviate from the FOV (R1). In this figure, the patient's head (H) represents the average head of an adult patient. Here, if the distribution range (T) of the jaw joint (TMJ) position of various patients is indicated by hatching, the center of the hatched area, which can be seen as the average position of the jaw joint, is a certain position from the top of the FOV (R1) as shown. , For example, it is located below 16.8mm. This indicates that, when considering that the height of the FOV (R1) is 90 mm, it is skewed much upwards than the center, and the position of the jaw joint of the patient deviates from the above-described FOV (R1) at a not small frequency.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장 쉽게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의 FOV를 수직 방향으로 더 확장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겠으나, 그럴 경우 기존보다 더 큰 면적의 엑스선 디텍터를 적용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이 따르고, 더불어 환자의 엑스선 피폭량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As a solution to this problem, the easiest way to consider extending the FOV of the X-ray imaging device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considered. However, in that case, it is necessary to apply an X-ray detector with a larger area than the existing one, which incurs an economic burden. In addition, a problem arises that the amount of X-ray exposure of the patient is increased.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은, 엑스선 디텍터의 면적이나 엑스선 피폭량의 증가 없이도 환자의 턱관절 CT 영상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and the X-ray imaging apparatus and the ima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effective imaging of a patient's jaw joint CT image without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X-ray detector or the amount of X-ray exposure. Its purpose is to present the composi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은 흔히 치과용으로 활용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의 규격으로 이비인후과 진단에 필요한 부비동 CT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 X-ray imaging apparatus and a method for photograph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 standard of an X-ray imaging apparatus commonly used for dentistry,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us CT image required for otolaryngology diagnosis.

전술한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는, 회전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엑스선을 조사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을 수광하는 엑스선 디텍터;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회전을 동반한 촬영 시퀀스 진행 중에 상기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 사이에 위치한 환자의 두부를 지지하되, 환자 두부의 종축이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상기 엑스선 디텍터의 회전 중심축에 평행한 수직축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로 환자 안면 전방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 를 포함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X-ray generator for irradiating X-rays with a rotation center axis therebetween and an X-ray detector for receiving the X-rays; Supports the patient's head located between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during a photographing sequence accompanied by rotation of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and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ient's head is parallel to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X-ray generator and the X-ray detector. A patien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patient's face at a predetermined inclination with respect to one vertical axis; Includes.

상기 환자 지지부는, 엑스선 영상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위치가 고정된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고, 환자의 안면에 접촉하여 환자의 두부가 상기 소정의 기울기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안면 지지 유닛; 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atient support unit may include a support frame having a fixed position while X-ray imaging is in progress; And a face support unit that is replace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nd contacts the patient's face to support the patient's head to maintain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It may include.

상기 소정의 기울기는 20도 내지 30도일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may be 20 degrees to 30 degrees.

한편, 상기 안면 지지 유닛은 환자의 코와 입 사이의 인중 부분에 접촉되어 기울어진 환자의 두부를 지지하는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acial support unit may include a pad portion for supporting the inclined patient's head by contacting the gravitational portion between the nose and the mouth of the patient.

이때, 상기 수직축에 대해 상기 패드부의 중앙부를 상하로 잇는 중심선이 이루는 기울기는 상기 수직축에 대해 상기 환자의 두부 종축이 이루는 기울기보다 작을 수 있다. In this case, a slope formed by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pad portion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may be smaller than a slope formed by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ient's hea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방법은, 환자의 턱관절에 대한 엑스선 영상 촬영 시에, 환자 두부의 종축이 갠트리의 회전 중심축에 대해 환자 안면 전방 쪽으로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어지도록 상기 환자의 두부를 지지하고, 상기 소정의 기울기가 유지된 상태로 상기 갠트리를 회전시켜 엑스선 프로젝션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시퀀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In an X-ray imaging method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ing an X-ray image of a patient's jaw joint,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ient's head is tilted toward the front of the patient's fac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rotation of the patient. The head is supported and the gantry is rotated while the predetermined inclination is maintained to perform a photographing sequence of acquiring X-ray projection data.

전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은, 엑스선 디텍터의 면적이나 엑스선 피폭량의 증가 없이도 환자의 턱관절 CT 영상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X-ray imaging apparatus and the imag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effectively capturing a CT image of the jaw joint of a patient without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X-ray detector or the amount of X-ray exposur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흔히 치과용으로 활용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의 규격으로도 이비인후과 진단에 필요한 부비동, 예컨대 전두동(Frontal Sinus) 및 상악동(Maxillary Sinus)을 포함하는 촬영영역(FOV)의 CT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T image of an imaging area (FOV) including the sinuses required for otolaryngology diagnosis, such as the Frontal Sinus and the Maxillary Sinus, as a standard of an X-ray imaging device commonly used for dentistry.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provide.

도 1a는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 부위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 1b는 상기 도 1a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턱관절 CT 영상의 예를 보인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 부위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 2b는 상기 도 2a의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턱관절 CT 영상의 예를 보인다.
도 3은 상기 도 2a의 실시예에 적용된 턱관절 촬영용 안면 지지 유닛을 보인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부비동(sinus) 부위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부비동 CT 영상의 예를 보인다.
1A is a view illustrating a CT image of a jaw joint region using a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1B shows an example of a CT image of a jaw joint taken by the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of FIG. 1A.
2A is a view illustrating a CT image of a jaw joint region us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shows an example of a CT image of a jaw joint taken by the X-ray imaging apparatus of FIG. 2A.
3 shows a facial support unit for jaw joint photographing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
FIG. 4A is a view illustrating a CT image of a sinus region us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shows an example of a sinus CT image taken by the X-ray imaging apparatus of FIG. 4A.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좀 더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이하에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re clearly understood through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도 2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 부위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 2b는 상기 도 2a의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턱관절 CT 영상의 예를 보인다. 아래에서는 편의상 본 발명을 CT 촬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CT 촬영에 한정되지 않고 엑스선 파노라마 영상 등 관련 기술부문에 모두 적용 가능함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수 있다.2A is a view illustrating a CT image of a jaw joint region us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shows an example of a CT image of a jaw joint taken by the X-ray imaging apparatus of FIG. 2A. Hereinafter, for convenien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CT scann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CT scanning an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는, 공통의 회전 중심축에 대하여 서로 대향하며 회전하도록 구성된 엑스선 제너레이터(G)와 엑스선 디텍터(S)를 구비하는 갠트리(40)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갠트리(40)는 일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43x)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암(43)과, 상기 회전암(43)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 제너레이터부(41) 및 디텍터부(42)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gantry 40 including an X-ray generator G and an X-ray detector S configured to rotate while facing each other with respect to a common rotational central axis. The gantry 40 is, for example, a rotating arm 43 that is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a rotating shaft 43x, a generator part 41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rotating arm 43, and It may be configured to have a detector unit 42.

상기 제너레이터부(41)에서 엑스선 방출 초점(F)을 갖는 엑스선 제너레이터(G)로부터 방출된 엑스선 빔(B)은 상기 회전축(43x)의 연장선에 위치한 환자의 두부(H)를 투과하여 상기 디텍터부(42)에 배치된 엑스선 디텍터(S)에 도달하게 된다. CT 영상 촬영시에는 상기 회전암(43)이 회전하는 동안 다양한 각도에서 상기 환자의 두부(H)에 엑스선 빔(B)을 조사하여 다수 프레임의 프로젝션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재구성하여 CT 영상을 얻는다. 이 경우, 다양한 각도에서 조사된 엑스선 빔(B)의 궤적이 서로 중첩되는 원통 형상의 영역이 CT 영상의 FOV(Field Of View), 즉 촬영영역이 된다. The X-ray beam B emitted from the X-ray generator G having an X-ray emission focal point F from the generator part 41 passes through the patient's head H located on an extension line of the rotation shaft 43x to the detector part. It reaches the X-ray detector (S) disposed at (42). When taking a CT image, while the rotating arm 43 is rotating, an X-ray beam B is irradiated to the patient's head H at various angles to obtain projection data of multiple frames, and reconstructing it to obtain a CT image. . In this case, a cylindrical area in which the trajectories of the X-ray beams B irradiated from various angles overlap each other becomes a field of view (FOV), that is, an imaging area of the CT image.

이러한 구성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턱관절(TMJ)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시퀀스가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두부(H)가 움직이지 않도록 이를 지지하는 환자 지지부(200)가 활용된다. 상기 환자 지지부(200)는 지지 프레임(21)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된 안면 지지 유닛(230)을 구비하고, 상기 안면 지지 유닛(230)은 환자의 인중 부분을 비스듬히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aking a CT image of the jaw joint (TMJ) using a dental X-ray imaging device having this configuration, as shown, a patient who supports it so that the patient's head H does not move while the imaging sequence is in progress. The support part 200 is utilized. The patient support part 200 includes a face support unit 230 that is interchange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1, and the face support unit 230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patient's throat at an angle.

상기 지지 프레임(21)은 엑스선 영상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 환자의 신체를 지지하여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 적어도 촬영이 진행되는 동안은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가 설치된 공간에 대하여 고정된다. 환자 두부(H)는 상기 지지 프레임(21)과 상기 안면 지지 유닛(230)에 의해 상기 두부(H)의 종축(L)이 전술한 회전암(43)의 회전축(43x)에 평행한 수직축(V)에 대하여 약 25도 정도 기울어진 채로 지지 된다. 이와 같이 환자의 두부(H)가 환자의 안면 전방을 향해 기울어지게 지지된 상태에서, 일정 크기, 일례로 지름: 80mm, 높이: 90mm의 원통형 FOV(R1)에 대한 CT 영상 촬영함으로써 환자의 턱관절(TMJ) 부위에 대한 CT 영상을 얻을 수 있다. The support frame 21 is provided to support the patient's body during X-ray imaging to suppress shaking, and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space where the X-ray imaging apparatus is installed at least while the imaging is in progress. The patient's head H is a vertical axis in which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head H is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43x of the rotating arm 43 by the support frame 21 and the facial support unit 230 ( It is supported with an inclination of about 25 degrees with respect to V). In this way, with the patient's head (H) supported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patient's face, CT images of a cylindrical FOV (R1) of a certain size, for example, diameter: 80mm, height: 90mm, are performed to the patient's jaw joint. CT images of the (TMJ) site can be obtained.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환자의 두상에 따른 턱관절 위치 분포 범위(T)는 전부 상기 FOV(R1) 내에 속하게 된다. 환자의 평균적인 턱관절(TMJ) 위치를 나타내는 상기 턱관절 위치 분포 범위(T)의 중심은 상기 FOV(R1)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위치, 일례로 44.2mm의 거리를 두고 위치하게 되어, 도 2b에 보이는 것처럼 환자의 턱관절 위치가 대체로 상기 FOV(R1)의 중심부에 근접하게 된다. 이는 촬영시 의도된 턱관절 및 그 주변부에 대한 CT 영상을 얻는 데에 매우 효과적이다. In this case, as shown, all of the jaw joint position distribution ranges (T) according to the head images of various patients fall within the FOV (R1). The center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position distribution range (T) representing the patient's average temporomandibular joint (TMJ) position is located at a certain posi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FOV (R1), for example, at a distance of 44.2 mm, as shown in FIG. 2B. As can be seen, the position of the patient's jaw joint is general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FOV (R1). This is very effective in obtaining a CT image of the intended jaw joint and its periphery during imaging.

상기 안면 지지 유닛(230)은 환자의 안면 일부에 접촉되어 환자의 두부(H)를 지지하며, 환자 두부(H)의 종축(L)이 상기 수직축(V)에 비해 20도 내지 30도 정도 앞으로 기울어지도록 유도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안면 지지 유닛(230)은 환자를 지지하는 패드 부분이 환자의 인중 부분, 즉 코와 윗입술 사이의 부분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종래의 턱받침 유닛(23, 도 1a 참조)을 이용했을 때에 비해 환자의 턱관절(TMJ) 위치를 이동시킨다. The facial support unit 230 is in contact with a part of the patient's face to support the patient's head (H), and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patient's head (H) is in front of the vertical axis (V) by about 20 to 30 degrees. Induce it to ti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ce support unit 23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ad portion supporting the patient is in contact with the patient's gravitational portion, that is, the portion between the nose and the upper lip, and the conventional chinrest unit 23 (see FIG. 1A) The patient's temporomandibular joint (TMJ) position is moved compared to when using.

한편,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른, 턱관절 CT 영상 촬영을 위한 엑스선 영상 촬영 방법은, 엑스선 프로젝션 데이터를 획득하기 전에 환자의 두부(H)가 수직축(V)으로부터 안면 전방 쪽으로 기울어지도록 환자의 두부를 지지하고, 그 기울기를 유지한 채로 다양한 각도의 엑스선 프로젝션 데이터를 획득하는 촬영 시퀀스를 진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 즉 환자 두부(H)의 종축(L)이 상기 수직축(V)에 대해 이루는 각도는 20도 내지 3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 an X-ray imaging method for CT imaging of the jaw join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of the patient is inclined toward the front of the face from the vertical axis V before acquiring the X-ray projection data. It is configured to perform a photographing sequence for acquiring X-ray projection data of various angles while supporting and maintaining the inclina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that is, the angle formed by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patient's head H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V, is between 20 degrees and 30 degrees.

도 3은 상기 도 2a의 실시예에 적용된 턱관절 촬영용 안면 지지 유닛을 보인다.3 shows a facial support unit for capturing a jaw joint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FIG. 2A.

본 실시예에 따른 안면 지지 유닛(230)은 상기 지지 프레임(21, 도2a 참조)에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233)와, 상기 몸체부(233)로부터 환자의 안면을 향해 연장된 연결부(232), 그리고 상기 지지대(232)의 단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인중 부분에 직접 접촉하는 패드부(23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31)는 대응되는 안면 윤곽에 맞게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231)의 중심부를 상하로 잇는 중심선이 수평면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 A는 직각보다 작게 형성된다. 여기서 수평면은 환자가 위치한 바닥면에 평행한 면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A는 약 75도이며, 상기 패드부(231)가 환자의 인중 부분을 대면하여 지지하는 것을 전제로 70도 내지 80도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패드부(231)의 설치 각도는 환자의 두부가 적절한 기울기로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유도한다. The facial support unit 2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body portion 233 that is interchange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21 (see FIG. 2A), and a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dy portion 233 toward the patient's face. 232, and a pad portion 231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232 to directly contact the patient's throat. The pad part 231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to fit a corresponding facial contour. An angle A formed by a center line connecting the center of the pad part 231 up and down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plane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a right angle. Here, the horizontal plane refers to a plane parallel to the floor on which the patient is located. In this embodiment, the angle A is about 75 degrees, and it is preferable to have a value of 70 to 80 degrees, assuming that the pad part 231 faces and supports the patient's gravitational portion.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pad part 231 induces the patient's head to be inclined forward with an appropriate inclination.

상기 패드부(231)의 설치 각도 A와 전술한 환자 두부(H)의 기울기의 관계는, 수평면에 직각인 상기 수직축(V, 도2a 참조)에 대한 상기 각도 A의 차가 상기 환자 두부(H)의 종축이 수직축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보다 약 10도 정도 작은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수직축에 대해 상기 패드부(231)의 중심선이 이루는 기울기는 상기 수직축에 대해 상기 환자의 두부(H) 종축(L)이 이루는 기울기보다 작은 것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10도 정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드부(231)가 인중을 부분을 지지하므로 그 내부의 골격 및 치아의 각도를 고려해야 결과적으로 적절한 두부(H)의 기울기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stallation angle A of the pad part 231 and the inclination of the patient's head H described above i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angle A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V, see Fig. 2A)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plane is the patient's head (H). It is preferable that the vertical axis of is about 10 degrees smaller than the angle ma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In other words, the slope formed by the center line of the pad part 231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is smaller than the slope formed by the longitudinal axis L of the patient's head (H)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more specifically, about 10 degrees smaller. It is desirable. This is because the pad portion 231 supports the gravitational portion, and as a result, an appropriate inclination of the head H can be obta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ngle of the skeleton and teeth therein.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안면 지지 유닛이 환자 안면의 다른 부분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안면 지지 유닛은 환자의 두부 종축이 수직축에 대해 20도 내지 30도의 범위에서 적절한 기울기로 앞으로 기울어지게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만, 상기 안면 지지 유닛은 턱관절 촬영시의 FOV(R1)를 투과하는 엑스선 빔(B)의 궤적을 침범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present embodiment, the facial support unit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other parts of the patient's face. Even in this case, the facial support unit is configured to induce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patient's head to incline forward with an appropriate inclination in the range of 20 degrees to 3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axis.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acial support unit is provided so as not to invade the trajectory of the X-ray beam B passing through the FOV R1 when photographing the jaw joint.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는,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환자의 구강을 주된 촬영영역으로 하는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와 같은 촬영부 규격을 가지면서도 환자의 턱관절에 대한 CT 영상을 더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환자마다 두상에 편차가 있음에도 전술한 턱관절 촬영용 FOV(R1) 내에 환자의 턱관절이 더 확실히 포함되도록, 환자의 턱관절이 FOV의 중앙부에 더 가깝게 위치하도록 턱관절 CT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디텍터, 그리고 이들을 대향 회전시키는 구동계를 일컫는다.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imaging unit standard as a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that uses the patient's oral cavity as the main imaging area by the above configuration, while still capturing CT images of the patient's jaw joint. You can shoot more effectively. In other words, even if there is a deviation in the head for each patient, CT images of the jaw joint can be taken so that the patient's jaw joint is located closer to the center of the FOV so that the patient's jaw joint is more reliably included in the aforementioned FOV (R1) for jaw joint imaging. have. Here, the photographing unit refers to an X-ray generator, an X-ray detector, and a driving system that rotates them to face each other.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부비동(sinus) 부위의 CT 영상을 촬영하는 모습을 보인다. 도 4b는 상기 도 4a의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된 부비동 CT 영상의 예를 보인다. 4A is a view illustrating a CT image of a sinus region using an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B shows an example of a sinus CT image taken by the X-ray imaging apparatus of FIG. 4A.

본 발명에 따른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와 같은 촬영부 규격을 가지면서도 이비인후과 진료시에 자주 활용되는 부비동(sinus) 부위, 좀 더 구체적으로 전두동(frontal sinus)(FS)과 상악동(maxillary sinus)(MS)을 포함하는 FOV(R2)에 대한 CT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The X-ray imag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same imaging unit standard as a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but is frequently used in otolaryngology treatment, and more specifically, the frontal sinus ( A CT image of the FOV (R2) including the frontal sinus (FS) and the maxillary sinus (MS) may be provided.

본 실시예에서 안면 지지 유닛(230)의 구성과 이를 이용한 환자 두부(H)의 기울기 등은 전술한 도 2a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차이점은 원통형 FOV(R2)의 지름이 전술한 실시예보다 큰 값, 일례로 160mm로서 전술한 실시예의 2배라는 점이다. 원통형 FOV의 지름은 그 높이와 달리 면적이 더 큰 엑스선 디텍터(S)를 적용하지 않고도 예컨대 촬영 시퀀스 중에 엑스선 디텍터(S)를 그 회전 궤적의 접선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of the facial support unit 230 and the inclination of the patient's head H using the same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FIGS. 2A to 3. The difference is that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FOV R2 is larger than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example, 160 mm, which is twice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FOV may be expanded by moving the X-ray detector S in the tangential direction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during the photographing sequence without applying the X-ray detector S having a larger area unlike its heigh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원통형 FOV(R2)에는 전두동(FS)과 상악동(MS) 등의 부비동(sinus) 부위가 포함된다. 이는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에서 턱받침 혹은 바이트 지지 구조물을 상기 안면 지지 유닛(230)으로 교체하는 것만으로 이비인후과 진료에 매우 유용한 부비동 CT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어서,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의 활용도와 효율성 측면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상악동(MS)은 종래와 같은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의 구성 및 촬영 방법으로는 통상의 FOV 일례로, 지름 160mm, 높이 90mm 규격의 FOV(R2)에 포함되기 어려운 부분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the cylindrical FOV R2 includes a sinus part such as the frontal sinus FS and the maxillary sinus MS. This is to obtain a very useful sinus CT image for otolaryngology treatment by simply replacing the jawrest or bite support structure with the face support unit 230 in the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and thus the utilization of the X-ray imaging apparatus and In terms of efficiency, the meaning is great. In particular, the maxillary sinus MS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FOV as a configuration and photographing method of a dental X-ray imaging apparatus as in the related art, and is a part that is difficult to be included in the FOV R2 having a diameter of 160 mm and a height of 90 mm.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엑스선 디텍터의 면적이나 엑스선 피폭량의 증가 없이도 종래의 치과용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와 같은 촬영부 규격으로 환자의 턱관절 CT 영상을 효과적으로 촬영할 수 있게 되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markable effect of effectively capturing a CT image of a patient's jaw joint with the same imaging unit as a conventional dental X-ray imaging device without an increase in the area of the X-ray detector or the amount of X-ray exposure.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흔히 치과용으로 활용되는 엑스선 영상 촬영 장치의 촬영부 규격으로도 이비인후과 진단에 필요한 부비동, 예컨대 전두동(Frontal Sinus) 및 상악동(Maxillary Sinus)을 포함하는 촬영영역(FOV)의 CT 영상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the imaging unit of an X-ray imaging apparatus commonly used for dentistry, the imaging area (FOV) including the sinuses required for otolaryngology diagnosis, for example, the frontal sinus and the maxillary sinus. CT images can be obtained.

23: 턱받침 유닛
41: 제너레이터부 42: 디텍터부
43: 회전암 43x: 회전축
230: 안면 지지 유닛 231: 패드부
232: 연결부 233: 몸체부
23: chin rest unit
41: generator unit 42: detector unit
43: rotary arm 43x: rotary shaft
230: face support unit 231: pad portion
232: connection part 233: body part

Claims (6)

회전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 회전하는 엑스선 제너레이터와 엑스선 디텍터 사이의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환자의 두부를 지지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의 안면 지지 유닛으로서,
상기 지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로부터 연장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환자의 코와 입 사이의 인중을 지지하는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회전 중심축으로부터 제 1 각도로 기울어져 상기 환자의 두부가 앞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인중에 밀착되는, 안면 지지 유닛.
As a facial support unit of an X-ray imaging apparatus that is mounted on a support frame between an X-ray generator and an X-ray detector that rotates oppositely with a rotation center axis therebetween to support the head of a patient,
A body portion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A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body part; And
I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portion and includes a pad portion for supporting the gravitation between the nose and the mouth of the patient,
The pad portion is inclined at a first angle from the rotational center axis so that the head of the patient is inclined to the front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ravidaru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각도는 10~20도인 안면 지지 유닛.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angle is 10 to 20 degrees of the facial support unit.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상기 안면 지지 유닛을 포함하는 엑스선 촬영 장치.

An X-ray imaging apparatus comprising the face support unit according to claim 1 or 3.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18391A 2019-02-18 2019-02-18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KR102258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91A KR102258319B1 (en) 2019-02-18 2019-02-18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391A KR102258319B1 (en) 2019-02-18 2019-02-18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96A KR20200100296A (en) 2020-08-26
KR102258319B1 true KR102258319B1 (en) 2021-05-31

Family

ID=72242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391A KR102258319B1 (en) 2019-02-18 2019-02-18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3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800B1 (en) 2021-06-03 2023-02-28 주식회사 바텍 Object Align Apparatus and X-ray Imaging System Compri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4973A (en) * 2000-07-24 2002-02-05 Yoshida Dental Mfg Co Ltd Panorama radiography position adjusting device
US6424694B1 (en) 1999-10-08 2002-07-23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versal dental x-ray tomography
US20110152675A1 (en) 2008-05-16 2011-06-23 Sirona Dental Systems Gmbh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ositioning in cone-beam tomograph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0005B4 (en) * 2002-10-25 2009-03-19 Sirona Dental Systems Gmbh Bite device for use with a panoramic X-ray device
KR101659177B1 (en) * 2014-12-15 2016-09-2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Apparatus for arranging a examinee's head of dental in dental clin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4694B1 (en) 1999-10-08 2002-07-23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versal dental x-ray tomography
JP2002034973A (en) * 2000-07-24 2002-02-05 Yoshida Dental Mfg Co Ltd Panorama radiography position adjusting device
US20110152675A1 (en) 2008-05-16 2011-06-23 Sirona Dental Systems Gmbh system and method for patient positioning in cone-beam tomograph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0296A (en)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0042B2 (en) X-ray imaging system for panorama, CT and head measurement
JP4480041B2 (en) Panorama and CT combined X-ray imaging system
US7315608B2 (en) Combined panoramic and CT (Computed Tomography)photographing apparatus
US4104530A (en) Dental and medical X-ray apparatus
US11701071B2 (en) Dental bite block for 2D imaging
KR102258319B1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Thereof
CN210077687U (en) CBCT equipment positioning system and CBCT equipment with same
TWI488612B (en) Apparatus for x-ray photography
JP6069678B2 (en) Alignment tool for X-ray imaging apparatus and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ES2543252T3 (en) Automatic spatial adjustment of an oral panoramic x-ray source in response to a patient's real denture
JP2020534970A (en) How and system to obtain operating parameters for x-ray data acquisition
US5012501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anoramic x-ray image projections
US11341609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panoramic image
KR102292080B1 (en) Individualized Dental Panorama System using Arch Shap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H0293452A (en) Oto-rino-ophthalmic tomograph
GB2467556A (en) An alignment device for dental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Olds Diagnostic Imaging of Exotic Pet Mammals and Zoo Animals
Epistatu et al. Human skull study regarding panoramic X-ray deformations due to anterior-posterior inclination of the head with possible medico-legal implications
KR1022036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panoramic imag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I127573B (en) X-ray imaging apparatus and safety mechanism for a patient support
Reddy et al. Extraoral periapical technique: a lost discovery
KR20200082814A (en) Panoramic X-ray Imaging Apparatus
KR20210043390A (en) X-ray Imaging Apparatus
KR20170105756A (en) 3 Dimensional optical dividing Computerized tomograph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