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277B1 -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277B1
KR102258277B1 KR1020200139874A KR20200139874A KR102258277B1 KR 102258277 B1 KR102258277 B1 KR 102258277B1 KR 1020200139874 A KR1020200139874 A KR 1020200139874A KR 20200139874 A KR20200139874 A KR 20200139874A KR 102258277 B1 KR102258277 B1 KR 102258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frame
vaccine
subject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8277B9 (ko
Inventor
김희
임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얼타임메디체크
Priority to KR1020200139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277B1/ko
Priority to KR1020210063214A priority patent/KR102453074B1/ko
Priority to PCT/KR2021/006181 priority patent/WO202209246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77B1/ko
Publication of KR102258277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77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2Market predictions or forecasting for commercial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을 결합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되 피검사체를 수용하기 위한 피검사체 수용부를 정의하는 바디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하측면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피검사체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와, 식별코드의 인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식별정보 알림부와, 식별코드에 의해 식별된 상기 피검사체의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VACCINE MANAGEMENT DEVICE AND VACCINE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신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처별 개별 백신주사기의 소진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하여 백신의 안정적, 합리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백신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백신은 타 물류 대비 유통보관조건이 까다롭고 유통기한이 짧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나아가 매년 지역별 유행하는 감염병의 특성 및 유행 정도가 상이하여 정확한 백신의 수요예측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백신 부족 현상 또는 과잉 재고 발생 현상을 방지하고 근본적인 재고관리 및 수요예측을 가능하도록 하는 백신관리 디바이스 및 시스템의 마련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삭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20-115939호(2020.08.06.) 미국특허공보 US6223988(2001.05.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743호(2016.11.07.) 미국특허공보 US4587407(1986.05.0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처별 개별 백신주사기의 소진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하여 백신의 안정적, 합리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백신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결합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되, 피검사체를 수용하기 위한 피검사체 수용부를 정의하는 바디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면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체에 구비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 상기 식별코드의 인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식별 알림부; 및 상기 식별코드에 의해 식별된 상기 피검사체의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피검사체인 백신 주사기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관리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한편,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피검사체의 곡면(曲面)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피검사체 수용부의 양 측면 중 일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식별코드가 상기 피검사체의 상기 곡면 영역에 형성되어 발생하는 간섭광을 차단하는 측면 가림판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면은 전면 단부가 후면 단부보다 높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면에 대하여 제1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측면 가림판들은 상측 단부에서의 상기 측면 가림판들간 이격 거리가 하측 단부에서의 상기 측면 가림판들간 이격 거리보다 좁아지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면의 법선과 제2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 가림판들이 가지는 상기 제2 각도는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13806128-pat00001
(여기서, An1은 상기 제1 각도[°], An2는 상기 제2 각도[°], R은 상기 식별코드가 구비된 상기 피검사체의 곡면 영역의 곡률반경[mm]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에 의할 경우, 사용처별 개별 백신 주사기의 소진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하여 백신의 안정적, 합리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백신 부족 현상 또는 과잉 재고 발생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재고관리 및 수요예측이 가능하다.
나아가, 백신 주사기 등의 피검사체에 특화된 최적의 광량확보 및 간섭광 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식률 및 사용성이 증가된 백신 관리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의 예시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디바이스의 사용상태를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백신 관리 디바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4 각각은 상기 백신 관리 디바이스를 나타낸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는 바디 프레임(110), 식별코드 인식부(120), 통신부(130) 및 식별 알림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식화되지 않았으나,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에는 식별된 피검사체의 정보를 확인, 분석 및 저장하는 식별정보 관리모듈과, 식별된 피검사체의 정보를 관리서버 등으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바디 프레임(110)은,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상부 프레임(111)과 하부 프레임(112)을 결합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113)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프레임(112)은 테이블 등에서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를 지지하는 베이스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11), 하부 프레임(112) 및 수직 프레임(113)이 대략 "ㄷ"형상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디 프레임(110)은 피검사체(1000)를 수용하기 위한 피검사체 수용부를 정의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는 바디 프레임(110)에 의해 정의된 피검사체 수용부에 피검사체(100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위치시킴으로써 피검사체(1000)를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에 인식시킬 수 있다.
식별코드 인식부(120)는 상부 프레임(111)의 하측면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피검사체(1000)에 구비된 식별코드(1030)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식별코드(1030)는 예를 들면 QR코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식화되지 않았으나, 식별코드 인식부(120)는 피검사체(1000)에 구비된 식별코드(1030)를 광학적으로 인식하기 위한 코드식별 렌즈를 포함하며, 나아가 식별코드 인식부(120)는 어두운 공간에서 코드인식에 필요한 조사량을 확보하기 위한 메인 발광 유닛, 사용자가 피검사체(1000)를 피검사체 수용부의 인식률이 높은 영역으로 위치시키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발광 유닛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피검사체 수용부 내 피검사체(1000)의 존부 자체를 감지하거나, 사용자가 피검사체(1000)를 피검사체 수용부로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동작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식별 알림부(140)는 피검사체(1000)에 구비된 식별코드(1030)가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에 정확하게 인식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식별 알림부(1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식별여부를 시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유닛(예를 들어, LED)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식별 알림부(140)는 식별여부를 청각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소리 발생 유닛(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나아가, 식별 알림부(140)는 상기 발광 유닛 및 소리 발생 유닛을 모두 구비할 수도 있으며, 더 나아가 식별 여부와 함께 식별된 피검사체(1000)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제조년월일)를 제공하는, LCD 등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통신부(130)는 피검사체(1000)의 식별코드(1030)에 의해 식별된 피검사체의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도시된 것처럼 외장형 안테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바디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된 내장형 안테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에 의해 인식 및 관리되는 피검사체(100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백신 주사기일 수 있으며, 피검사체(1000)의 식별코드(1030)는 백신 주사기의 원통형 몸체(1010)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식별코드(1030)는 예를 들면 제품명 등이 기재된, 백신 주사기의 원통형 몸체(10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부착된 식별 스티커(1020)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에 의해 인식 및 관리되는 피검사체(1000)의 식별코드(1030)가 곡면(曲面) 영역에 부착될 경우 도 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가 위치하는 공간의 간섭광(Interference light)에 의해 식별코드(1030)의 일부 영역에 간섭광 잔영(IL)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식별코드 인식부(120)가 식별코드(1030)를 정확히 인식하는 데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는 간섭광에 의한 인식률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측면 가림판들(115)을 구비할 수 있다. 즉, 측면 가림판들(115)은 주변 간섭광이 피검사체(10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측면 가림판들(115)은 상부 프레임(111) 및 하부 프레임(112)의 사이 공간의 양 측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 가림판들(115)은 도시된 것처럼 상부 프레임(111)의 하측면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간섭광 차단 및 사용자의 일반적인 백신 주사기 인입 동작 양태에 기초하여 더욱 높은 인식률을 가지며 사용편의성을 확보하고자, 본 발명의 상부 프레임(111)의 하측면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전면측 단부가 후면측 단부보다 높아지도록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부 프레임(111)의 하측면은 하부 프레임(112)의 상측면에 대하여 제1 각도(115An1)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피검사체(1000)의 형상(즉, 굴곡진 정도)에 따라 간섭광을 효율적으로 차단함과 동시에 피검사체(1000)의 인식을 위해 필요한 조사량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 상기 측면 가림판들(115)은 상측 단부에서의 측면 가림판들간 이격 거리(115dU)가 하측 단부에서의 측면 가림판들간 이격 거리(115dD)보다 좁아지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가림판들(115) 각각은 하부 프레임(112)을 이루는 평면에 대한 법선과 제2 각도(115An2)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각도(115An1)는 대략 5°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일 수 있으며, 제2 각도(115An2)는 대략 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10°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2 각도(115An2)는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피검사체의 특성에 따라 최적 조건으로 간섭광을 차단함과 동시에 충분한 광량 또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수학식 1에서, An1은 상기 제1 각도[°], An2는 상기 제2 각도[°], R은 상기 식별코드가 구비된 상기 피검사체의 곡면 영역의 곡률반경[mm]을 나타낸다.
Figure 112020113806128-pat00002
상술한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에 의할 경우, 사용처별 개별 백신 주사기의 소진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 및 관리하여 백신의 안정적, 합리적 공급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백신 부족 현상 또는 과잉 재고 발생 현상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재고관리 및 수요예측이 가능하다. 나아가, 백신 주사기 등의 피검사체에 특화된 최적의 광량확보 및 간섭광 방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식률 및 사용성이 증가된 백신 관리 디바이스(10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의 예시적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백신 관리 시스템은, 정보통신망(10)을 통해 관리서버(2)와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백신 사용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하는 복수의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과, 관리서버(2)에 수신 취합된 복수의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 각각에서의 백신사용 현황을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관리서버(2)와 관리자 인터페이스(3)를 별개의 엔티티로 도시하였으나, 관리서버(2)와 관리자 인터페이스(3)는 물리적으로 단일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정보통신망(10)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관리서버(2)로는 다수의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 각각에 입력된 백신 정보들 등을 저장 및 처리하고, 필요 시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의 요청에 응답함에 따라 해당 절차를 지연 없이 처리하기 위한 고성능의 프로세서 및 대용량의 저장공간을 가지는 워크스테이션 등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관리서버(2)는 누적된 백신 정보들을 기초로 빅데이터를 생성 및 분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간별/사용처별 최적의 백신 수요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예측된 수요량에 기반한 백신 재고관리 자동화 또한 도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더욱 정확한 백신 수요량 예측을 위해서, 상기 백신 관리 시스템은 정보통신망(10)을 통해 의약품 처방 조회 시스템(4, 예를 들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의약품 안전사용서비스(Drug Utilization Review; DUR))과 연결되어 의료기관별 백신처방내역 정보 등을 수집, 가공 및 활용할 수도 있다.
관리자 인터페이스(3)는 거치형 컴퓨팅 장치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와 같은 휴대형 컴퓨팅 장치 의한 구현도 가능하다.
나아가, 도식화되지 않았으나, 백신관리 시스템은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 각각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백신관리 디바이스들(1)에 의해 관리된 백신 등의 현황을 모니터링하거나, 주문 등의 재고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3)는 예를 들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고,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노트북, 랩톱(laptop) 등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관리자 인터페이스(3)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피검사체인 백신 주사기에 구비된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관리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로서,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결합 지지하는 수직 프레임을 구비하되, 상기 피검사체를 수용하기 위한 피검사체 수용부를 정의하는 바디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사이에서 상기 피검사체 수용부의 양 측면 중 일부를 덮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식별코드가 상기 피검사체의 곡면 영역에 형성되어 발생하는 간섭광을 차단하는 측면 가림판들;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면 일부 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피검사체에 구비된 상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식별코드 인식부;
    상기 식별코드의 인식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식별 알림부; 및
    상기 식별코드에 의해 식별된 상기 피검사체의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면은 전면 단부가 후면 단부보다 높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면에 대하여 제1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되 상기 측면 가림판들은 상측 단부에서의 상기 측면 가림판들간 이격 거리가 하측 단부에서의 상기 측면 가림판들간 이격 거리보다 좁아지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측면의 법선과 제2 각도를 가지며 기울어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측면 가림판들이 가지는 상기 제2 각도는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신 관리 디바이스.
    [수학식 1]
    Figure 112021027420046-pat00003

    (여기서, An1은 상기 제1 각도[°], An2는 상기 제2 각도[°], R은 상기 식별코드가 구비된 상기 피검사체의 곡면 영역의 곡률반경[mm]을 나타낸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39874A 2020-10-27 2020-10-2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KR102258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74A KR102258277B1 (ko) 2020-10-27 2020-10-2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KR1020210063214A KR102453074B1 (ko) 2020-10-27 2021-05-1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PCT/KR2021/006181 WO2022092462A1 (ko) 2020-10-27 2021-05-18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874A KR102258277B1 (ko) 2020-10-27 2020-10-2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214A Division KR102453074B1 (ko) 2020-10-27 2021-05-1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277B1 true KR102258277B1 (ko) 2021-05-31
KR102258277B9 KR102258277B9 (ko) 2021-08-23

Family

ID=7615006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874A KR102258277B1 (ko) 2020-10-27 2020-10-2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KR1020210063214A KR102453074B1 (ko) 2020-10-27 2021-05-1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3214A KR102453074B1 (ko) 2020-10-27 2021-05-17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258277B1 (ko)
WO (1) WO202209246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724A (ko) * 1983-06-20 1985-03-09 피. 이. 레고 봉에 고착된 바아코우드 라벨에 대한 주사장치
US6223988B1 (en) 1996-10-16 2001-05-01 Omniplanar, Inc Hand-held bar code reader with laser scanning and 2D image capture
KR200481743Y1 (ko) 2015-07-24 2016-11-07 (주)쿼티시스템 의약품 2차원 바코드 일괄 수집 처리 장치
KR20200091430A (ko) * 2017-11-23 2020-07-30 옴니셀 인코포레이티드 Ⅳ 배합용 멀티­카메라 이미징
JP2020115939A (ja) 2019-01-18 2020-08-06 株式会社ソルブ 医療用ラベル認識装置、医療用ラベル認識システム、及び医療用ラベル認識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4495B2 (ja) * 1998-03-02 2003-05-06 富士通株式会社 ポリゴンミラー、光走査装置及びバーコードリーダ
KR20190016199A (ko) * 2017-08-08 2019-02-18 이시영 전염병의 백신접종 상황 및 그 전염병의 발병상황의 추적방법
US10803265B2 (en) * 2018-03-22 2020-10-13 Symbol Technologies, Llc Aiming light patterns for use with barcode readers an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associated therewith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0724A (ko) * 1983-06-20 1985-03-09 피. 이. 레고 봉에 고착된 바아코우드 라벨에 대한 주사장치
US4587407A (en) 1983-06-20 1986-05-06 Westinghouse Electric Corp. Scanning system for bar code labels affixed to rods
US6223988B1 (en) 1996-10-16 2001-05-01 Omniplanar, Inc Hand-held bar code reader with laser scanning and 2D image capture
KR200481743Y1 (ko) 2015-07-24 2016-11-07 (주)쿼티시스템 의약품 2차원 바코드 일괄 수집 처리 장치
KR20200091430A (ko) * 2017-11-23 2020-07-30 옴니셀 인코포레이티드 Ⅳ 배합용 멀티­카메라 이미징
JP2020115939A (ja) 2019-01-18 2020-08-06 株式会社ソルブ 医療用ラベル認識装置、医療用ラベル認識システム、及び医療用ラベル認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074B1 (ko) 2022-10-11
WO2022092462A1 (ko) 2022-05-05
KR20220056093A (ko) 2022-05-04
KR102258277B9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7452B2 (en) Therapy recommendation
WO2021211155A1 (en) System and method to manage safe physical distancing between entities
Pillay et al. Digital health in South Africa: innovating to improve health
US9524337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lex issues based on social media analysis
US11862330B2 (en) Proximity based systems for contact tracing
Heidenreich et al. 2022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Heart Failure Society of America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Heart Failure: Executive Summary.
KR102258277B1 (ko) 백신 관리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백신 관리 시스템
Jersak et al. A systematic review on mobile health care
US20210250413A1 (en) Multi-modal notification based on context
KR102512744B1 (ko) 백신 헬스케어 솔루션 제공방법
Curran et al. Sampling in forensic comparison problems.
Lippoff Wireless invasion: health care's evolution to wireless connectivity.
Siddique et al. Demographic and clinical profile of patients with complicated unsafe abortion.
Goldblum Practical applications of hand-held computers in dermatology.
Popescul et al. Ethical Concerns and Solutions in Health Internet of Things
Irita et al. Peri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in the year 2000 in 502 Japanese certified anesthesia-training hospitals: with a special reference to ASA-physical status--report of the Japan Society of Anesthesiologists Committee on Operating Room Safety
Rouanet Complete response for rectal carcinoma after neoadjuvant therapy: to operate or not to operate? Surgeon’s view
Walker Case study: leading change across two sites: introduction of a new documentation system.
Saeedian et al. Cost and Delay Time Analytics in OR: A Simulation-based Approach
Deshmukh et al. DEVELOPING A DEVICE FOR HEALTH MONITORING AND HUMAN TRACKING IN COAL MINE CALAMITIES
Yu et al.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screening strategies for primary angle closure glaucoma
Ramachandran et al. Identifying Challenges and Barriers in Wearable Medical Devices Adoption through Text Mining
Aliferis et al. Temporal reasoning abstractions in QMR.
Horton et al. Profile of nurse anesthesia programs.
Takahashi et al. Protocol care for hypertension supported by an exper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