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183B1 -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183B1
KR102258183B1 KR1020190155507A KR20190155507A KR102258183B1 KR 102258183 B1 KR102258183 B1 KR 102258183B1 KR 1020190155507 A KR1020190155507 A KR 1020190155507A KR 20190155507 A KR20190155507 A KR 20190155507A KR 102258183 B1 KR102258183 B1 KR 102258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ible light
translucent panel
lens unit
image fil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익수
Original Assignee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5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1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3/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the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22Processes or apparatus for obtaining an optical image from holograms
    • G03H1/2249Holobject properties
    • G03H2001/2273Pseudo-dynamic holobject, e.g. due to angle multiplexing and viewer mo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23/00Optical components
    • G03H2223/14Diffuser, e.g. lens array, random phase mas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반투명패널과,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부와,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와, 상기 제1 렌즈부의 제1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제2 렌즈부의 제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제어부와, 가시광을 방사하는 가시광방사부와, 상기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로 방사하여 상기 제1 렌즈부의 상기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1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방사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2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방사되는 광분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Apparatus for projecting a pseudo-hologram image,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storing program to perform the method}
본 발명은 이미지 투영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기구는 천장이나 벽면 등에 설치되어 실내외를 밝게 비추는 조명의 일종으로, 최근에는 전등이 갖는 본래의 목적 이외에 장식적 효과와 미관을 높이기 위한 인테리어의 한 분야로도 간주되어 이에 적합한 형태로 개발 및 시공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기구의 광원에는 여러 종류가 존재하며,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LED라 함)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조명기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LED는 전력을 빛으로 변환시키는 효율이 뛰어나고, 백열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단위 전력대비 빛의 효율이 월등히 높아 경제성이 뛰어나며, 또한 저전압으로도 고효율의 조도를 얻을 수 있고 눈부심이 발생하지 않으며 빛의 산란이 적고 안정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기 때문에 실내, 외의 조명공간을 은은한 분위기로 조성하기 위한 용도나 실내의 공간활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LED 모듈에 다양한 형태의 이미지나 문자를 인쇄하여 다채로운 분위기의 인테리어를 조성하거나, 광고 효과를 얻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2017-0039782호 2017년 04월 12일 공개 (명칭: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하고 방습 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광원을 통해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반투명패널과,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부와,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와, 상기 제1 렌즈부의 제1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제2 렌즈부의 제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제어부와, 가시광을 방사하는 가시광방사부와, 상기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로 방사하여 상기 제1 렌즈부의 상기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1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방사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2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방사되는 광분할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벽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반투명패널을 향하여 빔스플릿터를 통해 초음파를 방사하고,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초음파처리부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초음파처리부는 트랜스듀서와,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상기 트랜스듀서를 통해 방사하는 초음파송신모듈와, 상기 트랜스듀서를 통해 초음파 신호에 대한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에코수신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2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의 동일한 형상의 색은 상호간에 보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은 고밀도 유리로 형성되며, 투명도가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은 제어부가 제1 렌즈부의 제1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제2 렌즈부의 제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와, 가시광방사부가 가시광을 방사하는 단계와, 광분할부가 상기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로 방사하여 상기 제1 렌즈부의 상기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1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방사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2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방사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조절하는 단계 전, 초음파처리부가 상기 반투명패널을 향하여 빔스플릿터를 통해 초음파를 방사하는 단계와, 상기 초음파처리부가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2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의 동일한 형상의 색은 상호간에 보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은 고밀도 유리로 형성되며, 투명도가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제어부가 제1 렌즈부의 제1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제2 렌즈부의 제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가시광방사부가 가시광을 방사하도록 제어하여 광분할부가 상기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로 방사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부의 상기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1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방사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2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방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조절하는 단계 전, 제어부가 초음파처리부를 통해 상기 반투명패널을 향하여 초음파를 방사하는 단계와, 제어부가 초음파처리부를 통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벽면에 반투명패널을 설치하고, 반투명패널의 상면 및 하면에 이미지를 투영함으로써,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조명 광고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 및 제2 렌즈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미지 필름 및 제2 이미지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렌즈부 및 제2 렌즈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이미지 필름 및 제2 이미지 필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처리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10, 이하, '투영장치'로 축약함)는 반투명패널(P) 상에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영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투영장치(10)는 가시광방사부(110), 광분할부(120), 제1 렌즈부(130), 제2 렌즈부(140), 빔스플릿터(200), 초음파처리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가시광방사부(110)는 가시광을 방사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으로, LED 광원을 예시할 수 있다. 가시광방사부(110)는 60W의 LED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광의 도달거리가 20m 이상이 될 수 있으며, 색온도는 6,000K 이상이 될 수 있다.
광분할부(120)는 가시광방사부(110)가 방사한 가시광을 제1 가시광과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한다. 분할된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은 각각 제1 렌즈부(130) 및 제2 렌즈부(140)에 입사된다.
제1 렌즈부(130) 및 제2 렌즈부(140)는 각각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필름을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렌즈부(130)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제1 이미지 필름(F1),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된다. 또한, 제2 렌즈부(140)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제2 이미지 필름(F2),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된다.
여기서, 제1 이미지 필름(F1) 및 제2 이미지 필름(F2)의 이미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필름(F1) 및 제2 이미지 필름(F2)의 이미지는 텍스트 도안 "호남대학교"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 필름(F1) 및 제2 이미지 필름(F2)의 이미지의 동일한 형상의 색은 상호간에 보색을 가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미지 필름(F1)의 이미지의 색이 빨간색이기 때문에 제2 이미지 필름(F2)의 이미지의 색은 빨간색의 보색인 시안색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이미지 필름(F1) 및 제2 이미지 필름(F2)은 고밀도 유리로 형성되며, 투명도가 90%이상인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빔스플릿터(200)는 가시광 및 초음파를 소정의 각도로 편광시켜 방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빔스플릿터(200)는 입사각이 다른 제1 가시광, 제2 가시광 및 초음파를 모두 동일한 방향이 되도록 편광시킨다.
도 5를 참조하면, 초음파처리부(300)는 초음파 신호를 방사하고 방사된 복수의 초음파 신호에 대한 에코 신호를 수신한다. 초음파처리부(300)는 트랜스듀서(transducer, 310), 초음파송신모듈(320) 및 에코수신모듈(330)을 포함한다. 초음파송신모듈(320)은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초음파 펄스)를 트랜스듀서(310)를 통해 방사한다. 또한, 에코수신모듈(330)은 트랜스듀서(310)를 통해 초음파 신호에 대한 에코 신호(초음파 펄스)를 수신한다.
초음파처리부(300)의 초음파송신모듈(320)은 트랜스듀서(310)를 통해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반투명패널(P)을 향하여 초음파를 방사한다. 그러면, 방사된 초음파는 빔스플릿터(200)를 통해 반투명패널(P)에 도달한 후, 초음파의 일부는 반투명패널(P)의 전면(PF)에 반사되며, 초음파의 다른 일부는 반투명패널(P)의 전면(PF)에서 편파된 후, 반투명패널(P)의 후면(PB)에서 반사될 것이다. 초음파 중 일부가 반투명패널(P)의 전면(PF)에 반사된 에코 신호(echo1) 및 초음파의 다른 일부가 반투명패널(P)의 후면(PB)에 반사된 에코 신호(echo2)는 빔스플릿터(200)를 통해 초음파처리부(300)를 입사될 것이다. 이에 따라, 초음파처리부(300)의 에코수신모듈(330)은 초음파 신호에 대한 에코 신호(echo1, echo2)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러면, 초음파처리부(300)는 반투명패널(P)의 전면(PF) 및 반투명패널(P)의 후면(PB)에 반사되는 초음파의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투영장치(10)의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반투명패널(P)의 전면(PF) 및 반투명패널(P)의 후면(PB)까지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초음파처리부(300)가 산출한 반투명패널(P)의 전면(PF) 및 반투명패널(P)의 후면(PB)까지의 거리에 따라 제1 렌즈부(130)의 복수의 렌즈를 조절하여 제1 렌즈부(130)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P)의 전면(PF)에 맞춰 조절하고, 제2 렌즈부(140)의 복수의 렌즈를 조절하여 제2 렌즈부(140)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P)의 후면(PB)에 맞춰 조절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가시광방사부(110)가 광을 방사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면, 광분할부(120)가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130)로 방사하고,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140)로 방사하여 제1 렌즈부(130)의 제1 이미지 필름(F1)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제1 가시광이 반투명패널의 전면(PF)에 맞춰 방사되고, 제2 렌즈부(140)의 제2 이미지 필름(F1)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제2 가시광이 반투명패널의 후면(PF)에 맞춰 방사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패널의 전면(PF)에 제1 이미지 필름(F1)의 이미지의 상이 맺히고, 반투명패널의 후면(PF)에 제2 이미지 필름(F1)의 이미지의 상이 맺힘으로써 착시에 의해 입체처럼 보여지는 슈도-홀로그램이미지가 생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초음파처리부(300)의 초음파송신모듈(320)은 S110 단계에서 트랜스듀서(310)를 통해 반투명패널(P)을 향하여 초음파를 방사한다. 그러면, 방사된 초음파는 빔스플릿터(200)를 통해 반투명패널(P)에 도달한 후, 초음파의 일부는 반투명패널(P)의 전면(PF)에 반사되며, 초음파의 다른 일부는 반투명패널(P)의 전면(PF)에서 편파된 후, 반투명패널(P)의 후면(PB)에서 반사될 것이다. 초음파 중 일부가 반투명패널(P)의 전면(PF)에 반사된 에코 신호(echo1) 및 초음파의 다른 일부가 반투명패널(P)의 후면(PB)에 반사된 에코 신호(echo2)는 빔스플릿터(200)를 통해 초음파처리부(300)를 입사될 것이다. 이에 따라, 초음파처리부(300)의 에코수신모듈(330)은 S120 단계에서 트랜스듀서(310)를 통해 초음파 신호에 대한 에코 신호(echo1, echo2)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초음파처리부(300)는 S130 단계에서 수신된 에코 신호(echo1, echo2)에 따라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반투명패널의 전면(PF) 및 후면(PB)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400)는 S140 단계에서 초음파처리부(300)가 산출한 반투명패널의 전면(PF) 및 후면(PB)까지의 거리에 따라 제1 렌즈부(130)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의 전면(PF)에 맞춰 조절하고, 제2 렌즈부(140)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의 후면(PB)에 맞춰 조절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400)는 S150 단계에서 가시광방사부(110)가 가시광을 방사하도록 제어한다. 가시광방사부(110)가 방사한 가시광은 광분할부(120)에 입사된다. 그러면, 광분할부(120)가 S160 단계에서 입사되는 가시광을 제1 가시광(vr1) 및 제2 가시광(vr2)으로 분할하여 제1 가시광(vr1)을 제1 렌즈부(130)로 방사하고, 제2 가시광(vr2)을 제2 렌즈부(140)로 방사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1 렌즈부(130)의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제1 가시광(vr1)이 반투명패널의 전면(PF)에 맞춰 방사되고, 제2 렌즈부(140)의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제2 가시광(vr2)이 반투명패널의 후면(PB)에 맞춰 방사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투명패널의 전면(PF)에 제1 이미지 필름(F1)의 이미지의 상이 맺히고, 반투명패널의 후면(PF)에 제2 이미지 필름(F1)의 이미지의 상이 맺힘으로써 착시에 의해 입체처럼 보여지는 슈도-홀로그램이미지가 생성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 검침을 위한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10: 가시광방사부
120: 광분할부
130: 제1 렌즈부
140: 제2 렌즈부
200: 빔스플릿터
300: 초음파처리부
400: 제어부

Claims (13)

  1.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반투명패널;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1 렌즈부;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하는 제2 렌즈부;
    상기 제1 렌즈부의 제1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제2 렌즈부의 제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제어부;
    가시광을 방사하는 가시광방사부;
    상기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로 방사하여
    상기 제1 렌즈부의 상기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1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방사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2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방사되는
    광분할부; 및
    상기 반투명패널을 향하여 빔스플릿터를 통해 초음파를 방사하고,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초음파처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처리부는
    트랜스듀서;
    소정 주파수의 초음파를 상기 트랜스듀서를 통해 방사하는 초음파송신모듈; 및
    상기 트랜스듀서를 통해 초음파 신호에 대한 에코 신호를 수신하는 에코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2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의 동일한 형상의 색은 상호간에 보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은
    고밀도 유리로 형성되며, 투명도가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7.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가지는 제1 렌즈부의 제1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가지는 제2 렌즈부의 제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가시광방사부가 가시광을 방사하는 단계;
    광분할부가 상기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로 방사하여
    상기 제1 렌즈부의 상기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1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방사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2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방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하는 단계 전,
    초음파처리부가 상기 반투명패널을 향하여 빔스플릿터를 통해 초음파를 방사하는 단계; 및
    상기 초음파처리부가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부는
    복수의 1차 대물렌즈, 상기 제2 이미지 필름, 복수의 2차 대물렌즈 및 접안렌즈가 순차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적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의 이미지의 동일한 형상의 색은 상호간에 보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 필름 및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은
    고밀도 유리로 형성되며, 투명도가 9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
  12.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제어부가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가지는 제1 렌즈부의 제1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가지는 제2 렌즈부의 제2 접안렌즈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가시광방사부가 가시광을 방사하도록 제어하여 광분할부가 상기 가시광을 제1 가시광 및 제2 가시광으로 분할하여 상기 제1 가시광을 제1 렌즈부로 방사하고, 상기 제2 가시광을 제2 렌즈부로 방사함으로써 상기 제1 렌즈부의 상기 제1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1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방사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상기 제2 이미지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를 투과한 상기 제2 가시광이 상기 반투명패널의 후면에 맞춰 방사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조절하는 단계 전,
    제어부가 초음파처리부를 통해 상기 반투명패널을 향하여 초음파를 방사하는 단계; 및
    제어부가 초음파처리부를 통해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의 에코 신호를 수신하여 소정의 기준점으로부터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산출된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까지의 거리에 따라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에 맞춰 조절하고, 상기 제2 렌즈부의 초점거리를 상기 반투명패널의 전면 및 후면에 맞춰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3. 삭제
KR1020190155507A 2019-11-28 2019-11-28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258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07A KR102258183B1 (ko) 2019-11-28 2019-11-28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07A KR102258183B1 (ko) 2019-11-28 2019-11-28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183B1 true KR102258183B1 (ko) 2021-05-28

Family

ID=76140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507A KR102258183B1 (ko) 2019-11-28 2019-11-28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1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374A (ja) * 2003-09-09 2005-03-31 Nec Viewtechnology Ltd プロジェクタおよび三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70011380A (ko) * 2004-04-19 2007-01-24 소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투영 장치
KR20170039782A (ko) 2015-10-01 2017-04-12 박일연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하고 방습 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4374A (ja) * 2003-09-09 2005-03-31 Nec Viewtechnology Ltd プロジェクタおよび三次元画像表示システム
KR20070011380A (ko) * 2004-04-19 2007-01-24 소니 도이칠란트 게엠베하 투영 장치
KR20170039782A (ko) 2015-10-01 2017-04-12 박일연 광고 이미지의 교체가 용이하고 방습 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49829A1 (en) Lighting system for motor vehicle headlight
CN102393597B (zh) 照明光学系统、以及投影仪
EA201001227A1 (ru) Сохраняющий поляризацию проекционный экран
US9316376B2 (en) Lighting and/or signaling device having improved light efficiency and dual color function
CN203204288U (zh) 一种半导体照明光源
US20190315266A1 (en) Generating a homogeneous light diffusion based on the topography and the measured luminance density
CN103872230B (zh) 光源及光源制造方法
CN110388625A (zh) 一种控光装置、设计方法及照明系统
KR102258183B1 (ko) 슈도-홀로그램 이미지를 투영하기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102045B1 (ko) 반사 및 도광 메커니즘이 혼합된 발광 팬 장치
EP3591453A1 (en) Zoom lamp lens group
CN103994395A (zh) Led光学系统及灯具
KR101822259B1 (ko) 차량용 조명 장치
US20100118543A1 (en) Methodology of optical feedback for led lighting
CN104635411A (zh) 投影显示系统
CN104181753A (zh) 激光照明匀化装置的控制方法及控制装置
KR101755830B1 (ko) 차량용 램프 장치
KR20190016164A (ko) Led탐조등
TW200628960A (en) Light source unit and projector system
CN103592766A (zh) 一种用于增强激光亮度的光学组件及高频脉冲激光光源
CN204269921U (zh) 一种双光合一光路系统及含有该光路系统的激光瞄具
CN103365033B (zh) 一种照明装置及包括该照明装置的摄像机
JP2014099324A (ja) 車両用灯具
US8668346B2 (en) Simulated sunlight generating device
CN102466944A (zh) 可同时用于瞄准及照明的摄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