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822B1 -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7822B1 KR102257822B1 KR1020210005241A KR20210005241A KR102257822B1 KR 102257822 B1 KR102257822 B1 KR 102257822B1 KR 1020210005241 A KR1020210005241 A KR 1020210005241A KR 20210005241 A KR20210005241 A KR 20210005241A KR 102257822 B1 KR102257822 B1 KR 102257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fixed
- purification
- data
- sewa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13523 data manag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3480 data coll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GHMLBKRAJCXXBS-UHFFFAOYSA-N resorcinol Chemical compound OC1=CC=CC(O)=C1 GHMLBKRAJCXX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21578 Iron(III)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GZVHEAJQGPRDLQ-UHFFFAOYSA-N 6-phenyl-1,3,5-triazine-2,4-diamine Chemical compound NC1=NC(N)=NC(C=2C=CC=CC=2)=N1 GZVHEAJQGPRD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1 Terb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glutaryl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RBTARNINKXHZNM-UHFFFAOYSA-K iron trichloride Chemical compound Cl[Fe](Cl)Cl RBTARNINKXHZNM-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GZCRRIHWUXGPOV-UHFFFAOYSA-N terbium atom Chemical compound [Tb] GZCRRIHWUXGP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3 transition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01150012579 ADSL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0775 Adenylosuccinate ly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700040193 Adenylosuccinate ly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RWSOTUBLDIXVET-UHFFFAOYSA-N Dihydrogen sulfide Chemical compound S RWSOTUBLDIXVE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SXRSQZLOMIGNAQ-UHFFFAOYSA-N Glutaraldehyde Chemical compound O=CCCCC=O SXRSQZLOMIGN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LRPTPMANUNPDV-UHFFFAOYSA-N Silane Chemical compound [SiH4] BLRPTPMANUNPD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61 Whit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4 del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37 hydrogen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5 ir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02 lanthano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RYZCLUQMCYZBJQ-UHFFFAOYSA-H lead(2+);dicarbonate;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Pb+2].[Pb+2].[Pb+2].[O-]C([O-])=O.[O-]C([O-])=O RYZCLUQMCYZBJQ-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1 rare earth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910 rare earth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077 sila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4 transition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9 white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2—Arrangement of sewer pipe-lines or pipe-line system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관거 유량계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여 하수유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량계 고장시 신속한 대응 복구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관거 유량계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여 하수유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량계 고장시 신속한 대응 복구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거의 정비사업은 생활하수의 적정처리 및 효율 증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다.
특히, 하수의 유량을 모니터링하는 기술은 관리의 기본이다.
종래에는 도 1의 예시와 같이, 유량계 센서(10)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현재 사용되는 유량계센서는 초음파 방식, 플륨 방식 등이 사용되고 있다.
유량계 센서(10)는 유속, 수위, 유량 등을 계측하는데, 유량계 센서(10)에서 계측된 전기 신호는 유량계 변환기(12)에서 수치 데이터로 변환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현장 제어반에 설치된 데이터 수집장치(20)는 통상 RTU(Remote Terminal Unit)로 지칭되며, 유량계 변환기(12)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한다. 수집된 데이터는 단독형 DSU(22, Digital Service Unit)에서 AD 변환된다.
도 3은 중앙 제어실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독형 DSU(22)에서 96Kbps의 유선 전용회선을 통해 중앙 제어부의 집합형 DSU(30)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집합형 DSU(30)에서 터미널 서버(32, 예컨대, 게이트웨이)를 거쳐 TCP/IP 데이터로 변환되고 변환된 데이터는 통신서버(34)로 전송된다. 통신서버(34)는 데이터를 단위 변환 및 오류 보정한 후 각 지자체의 데이터베이스 서버(36)에 저장한다. 그리고 중앙 제어실의 모니터링 서버(38)가 지자체의 데이트베이스 서버(36)에 저장된 데이터를 조회 및 분석하는 것으로 하수관거 유량계 모니터링이 실시된다.
여기서, 원격지에 위치한 공단 통합 모니터링 센터는 ADSL 및 보안 가상사설망(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하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서버(36)에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데이터를 조회하고 분석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 하수관거 유량계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량계가 검침 방식에 따라 초음파 방식, 플륨 방식을 사용하여 유속, 수위, 유량 등을 계측하는데, 이러한 유량계의 종류에 대응하여 데이터 수집장치 역시 종류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유량계와 데이터 수집장치간 호환이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지점의 유량계 장애 발생시 다른 종류의 유량계를 사용할 수가 없어 해당 유량계가 수리, 교체되기까지 데이터 계측이 중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저속의 유선통신으로 데이터를 통심함으로 인해, 노후된 설비의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데이터 처리속도가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하수관거 유량계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여 하수유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량계 고장시 신속한 대응 복구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모니터링 지점인 하수관거(110)에 설치되는 유량계 센서(100)와, 현장제어반에 설치되는 데이터 수집기(200)와, 상기 유량계 센서(100)와 데이터 수집기(200)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여 종합 관리하도록 중앙제어실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하는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하수관거(110)의 하천 배출단(EX)에 수질정화용 생물막유닛을 더 설치하되, 상기 수질정화용 생물막유닛은 상기 배출단(EX) 일부를 막아 배수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댐(DAM); 상기 댐(DAM)의 길이 일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깊이 요입 형성된 정화홈(HOM); 상기 댐(DAM)의 폭 중앙 양단에 세워 고정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VER); 상기 수직프레임(VER)의 상단을 연결 고정하는 수평프레임(HOZ); 각 정화홈(HOM)의 직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수평프레임(HOZ) 상에 고정된 양축 윈치(WIC); 상기 윈치(WIC)의 양축에 각각 고정되고 와이어(WR)가 감겨 있는 드럼(DR); 상기 와이어(WR)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정화홈(HOM)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정화용 볼이 채워져 있는 그물망 형태의 생물막정화통(1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수관거 유량계로부터 유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여 하수유입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유량계 고장시 신속한 대응 복구가 가능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하수관거 유량계 모니터링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계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막통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막통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막통 고정 안정화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데이터 수집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계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막통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막통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생물막통 고정 안정화부재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4의 예시와 같이, 모니터링 지점인 하수관거(110)에 설치되는 유량계 센서(100)와, 현장제어반에 설치되는 데이터 수집기(200)와, 중앙제어실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한다.
통상, 주택(122), 빌딩(124), 공장(126) 등에서 발생한 하수는 하수관거(110)로 유입된다.
그리고, 하수관거(110)에는 하수의 유속, 수위, 유량 등을 계측하는 유량계 센서(100)가 설치된다. 상기 유량계 센서(100)는 하수의 유량 등을 계측하는 계측기와, 계측된 전기 신호를 수치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기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유량계측 센서이다.
아울러, 상기 유량계 센서(100)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는 현장제어반으로 전송된다.
이 경우, 유량계 센서(100)는 RS-232C를 통한 직렬 신호 또는 전류값으로 계측 데이터를 전송함이 바람직하며, 유량계 센서(100)에서 생성되는 계측 데이터는 예컨대, 유량(FLOWVOLUME), 수위(FLOWLEVEL), 유속(FLOWRATE), 적산(FLOWTOTAL), 보조수위(FLOWSUBLEVEL), 전도도(CONDUCTRATE) 등의 데이터이다.
또한, 유량계 센서(100)는 측정된 측정값의 상태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데, 상태정보는 예컨대, 정상, 계측이상, 음수값, 유효범위초과 등의 정보이다.
한편, 현장제어반은 복수의 모니터링 지점, 즉, 복수의 유량계 센서(100)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한다.
이를 위해, 각 현장제어반에는 RTU(Remote Terminal Unit) 장치인 데이터 수집기(20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데이터 수집기(200)에서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공통 데이터로 변환하고, 네트워크 전송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데이터 수집기(2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모니터링 서버(300)와 통신한다. 이 경우, 바람직한 네트워크는 CDMA 망(400)일 수 있다.
그리고, 모니터링 서버(300)는 중앙제어실(예컨대, 하수관거 유량계 모니터링을 위한 통합 전산센터 등과 같은)에 설치되며, 전국의 하수관거 유량계 데이터를 통합하여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실시한다.
모니터링 서버(300)는 무선통신 사업자의 CDMA 망(400)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내부 네트워크의 보호를 위하여 방화벽(340)을 구비할 수 있고, 데이터 수집기(200)로 수신된 계측 데이터는 방화벽(340)을 경유하여 내부 네트워크의 DMZ(Demilitarized Zone)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 서버(310)로 전달되며, 통신 서버(310)는 데이터 수집기(200)로부터 정상적인 계측 데이터 수신이 확인될 경우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 서버(320)에 저장한다.
아울러, 중앙제어실의 모니터링 장치(330)(예컨대, 컴퓨터 단말장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20)에 접속하여 계측 데이터를 모니터링한다.
본 발명의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이와 같이 전국 각지의 하수관거(110)로부터 계측된 데이터를 통합 전산센터에서 통합 수신하여 관리한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 서버(3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계관리처모니터링실 및 각 지자체의 대표처리장 모니터링실로 전송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수계관리처 모니터링실의 모니터링 장치(350)는 공단 전용망을 통해 통합 전산센터의 데이터베이스 서버(320)에 접속하여 계측 데이터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각 지자체의 대표처리장 모니터링실은 VPN(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모니터링 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지자체 데이터베이스 서버(360)에 저장하여 독립적으로 계측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다.
각 지자제 모니터링실의 모니터링 장치(370)는 자지체 데이터베이스 서버(360)를 참조하여, 당해 지자체의 유량계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지자체 대표처리장 하위의 단위처리장 모니터링실의 모니터링 장치(380)는 지자체 전용망을 통해 지자체 데이터베이스 서버(360)에 접속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수집기(200)는 도 5의 예시와 같이, 데이터 수집 모듈(205)과, 데이터 변환 모듈(210)과, 데이터 생성 모듈(215)과, 서버 통신 모듈(220)과, 데이터 관리 모듈(225)과, 테스트 모듈(230)과, 유지관리 모듈(235)을 포함한다.
이러한 각각의 모듈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하드웨어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각 모듈은 어떤 동작을 하는 기능부로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 구현된다.
도 6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에서와 같이, 데이터 수집기(200)는 하드웨어장치(240), 하드웨어 추상계층(242), 드라이버(244), 운영체제(246), 어플리케이션부(248)의 계층 구성을 갖는다.
이때, 하드웨어장치(240)는 CPU(예컨대, 32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 메인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LCD 등의 표시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드웨어 추상계층(242)과 드라이버(244)는 운영체제(246)와 하드웨어장치(240)간 인터페이스를 담당한다.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로는 예컨대 'WINDOWS'를 비롯한 다수의 OS중 어느 하나를 탑재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부(248)는 데이터 수집, 변환, 생성, 관리, 서버와의 통신, 통신 테스트, 유지관리 등과 같은 RTU의 실질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상술한 각 모듈들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데이터 수집 모듈(205)은 유량계 센서(100)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모듈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일정시간 간격, 바람직하게는 10분 간격으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집된 데이터는 유효성을 판단한 후에 사용 여부를 결정한다.
아울러, 데이터 변환 모듈(210)은 여러 종류의 유량계 센서(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유량계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때, 수집된 데이터들은 유량계 회사에 따라 고유의 프로토콜을 갖는데, 데이터 변환 모듈(210)은 계측기 프로토콜을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여 서로 다른 유량계 센서(100)의 계측 데이터들을 공통 데이터로 변환한다.
뿐만 아니라, 데이터 생성 모듈(215)은 유량계 센서로부터 수집한 계측 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10분 주기로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생성 모듈에서 정10분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모니터링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의 생성 주기는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서버 통신 모듈(220)은 데이터 변환 모듈(210)에서 공통 데이터로 변환된 계측 데이터를 직접 네트워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는, 범용의 공통 데이터가 데이터 생성 모듈(215)에 의해 데이터 생성 후 이를 네트워크 전송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링 서버(300)로 전송한다.
그리고, 테스트 모듈(230)은 유량계 센서(100) 및 모니터링 서버(300)와 주기적으로 통신 테스트를 수행한다. 즉, 유량계 센서(100)측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할 경우, 수 초 단위로 재접속을 시도한다. 만약, 유량계 센서(100)측과 통신이 끊어졌다면, 장애나 고장으로 판단하고 모니터링 서버(300)로 이를 알린다.
아울러, 유지관리 모듈(235)은 외부 메모리를 참조하여 데이터 수집기(200)의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수행하며, 데이터 수집기(200)의 내부 메모리를 참조하여 RTU 내부 정보를 관리한다.
이와 같은 처리과정을 통해 하수관거를 관류하는 하수의 유입량을 계측하고 모니터링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7의 예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수관거(110)의 배출단(EX)에 수질정화용 생물막유닛을 설치하고, 이 수질정화용 생물막유닛을 거친 후에 하천으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질 정화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질정화용 생물막유닛은 하수관거(110)의 배출단(EX) 일부를 막아 배수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댐(DAM)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댐(DAM)의 길이 일부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정화홈(HOM)이 일정깊이 요입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정화홈(HOM)의 일단, 즉 물이 흘러 내려가는 쪽 단부에는 일정높이의 걸림턱(STP)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STP)은 후술할 생물막정화통(1000)의 하단 일측이 걸려 쓸려내려가지 못하도록 스토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댐(DAM)의 폭 중앙에 양단에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VER)이 세워 고정되고, 상기 수직프레임(VER)의 상단은 수평프레임(HOZ)에 의해 연결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프레임(HOZ)에는 윈치(WIC)가 고정되는데, 상기 윈치(WIC)는 각 정화홈(HOM)의 직상부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특히, 상기 윈치(WIC)는 양축 윈치로서 양단에 각각 드럼(DR)이 고정되고, 상기 드럼(DR)에는 와이어(WR)가 권취되며, 상기 와이어(WR)의 단부는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의 상부 양단에 결속된다.
따라서, 상기 윈치(WIC)를 가동함에 따라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어 교체시에는 들어 올려 바꾸고 세팅시에는 하강시켜 안착하면 된다.
여기에서,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은 다수의 공지된 정화용 볼이 채워지는 일종의 하우징으로서,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하수관거의 물이 정화홈(HOM)을 통해 흘러 내려가면서 자연스럽게 정화처리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정화용 볼은 그물망 형태의 생물막정화통(1000)에 갇힌 상태로 하수와 접촉하면서 유해성분을 분해 제거하게 된다.
이때, 정화용 볼은 폴리우레탄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비닐옥시모실란 10중량부, 염화제2철(FeCl3) 10중량부, 벤조구아나민 3.5중량부, 목초농축액 5중량부, 레조시놀 5중량부,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 10중량부, 테르븀 5중량부를 혼합한 후 이를 액적형태로 떨어뜨리면서 냉각하여 볼 형상으로 만든 것을 사용하며, 이 정화용 볼은 정화통의 메쉬보다 커서 빠져나오지 않는 크기를 가져야 한다.
이 경우 비닐옥시모실란(Vinyl Oximeino Silane)은 전이금속인 염화제2철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염화제2철(FeCl3)은 3가의 철염으로서 산화력을 갖는 전이금속으로서 고열환경속에서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수와 접촉하면서 유해성분 분해력을 높이게 된다.
또한, 벤조구아나민은 정전 특성을 유지하면서 부착력 안정화를 유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목초농축액은 목재를 건류할 때 만들어지는 암갈색의 건류액으로서 주로 악취(황화수소)를 분해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므로 이를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레조시놀(Resorcinol)은 습윤 및 건조강도를 높이고, 고온 저항성이 커 가교강도를 유지하면서 탈취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글루타릴콘센트레이스(Glutaral Concentrate)는 하수와 반응하면서 유해성분을 흡수 분해하게 된다.
아울러, 테르븀은 란탄족에 속하는 희토류 금속으로서 전성과 연성이 큰 은백색 금속이며, 하수와 반응하여 유해금속 성분을 흡수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은 도 8의 예시와 같이, 한 쌍의 측프레임(1100)과, 상기 측프레임(1100)의 상단에 조립고정되는 상부프레임(1200)과, 상기 측프레임(1100)과 상부프레임(120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조립되는 전방프레임(1300) 및 후방프레임(140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측프레임(1100), 상부프레임(1200), 전방프레임(1300) 및 후방프레임(1400)은 사각형상의 틀(F)에 철메쉬망(W)이 고정되어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철메쉬망(W)은 상기 틀(F)에 용접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강한 강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프레임(1100), 상부프레임(1200), 전방프레임(1300) 및 후방프레임(1400)은 모두 단품으로 각각 제조되고, 이들이 설치될 댐(DAM)에 이르러 각 프레임이 서로 조립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운송, 적재에 따른 효율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해체하기도 쉽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유지보수도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각 프레임(측프레임, 상부프레임, 전방프레임, 후방프레임)이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클램프(1600)로 체결함으로써 아주 쉽고 빠르면서 견고한 생물막정화통(1000)을 조립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기 위해서는 상기 틀(F)이 사각파이프 형태이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1600)는 누름노브(1610)에 구비된 걸쇠(1620)가 고정쇠(1630)에 걸리는 방식으로 클램핑된다.
이를 위해, 누름노브(1610)의 몸체는 서로 접하는 프레임의 일측 틀(F) 고정되고, 고정쇠(1630)는 타측 틀(F)에 고정되면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의 전면, 즉 하천수가 흘러 들어오는 쪽에는 수압을 크게 받을 수 있으므로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보강프레임(1500)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또 한편, 도 9의 예시와 같이,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의 개방된 상부는 판상의 상부커버(1700)에 의해 밀폐 고정되고, 수평프레임(HOZ)에서 돌출 절곡된 고정편(FRT)에 설치되는 픽셔(2300)에 의해 상부커버(1700) 상면이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로 눌림받게 되어 생물막정화통(1000)이 들뜨지 않고 안정적인 삽입 상태를 유지하면서 정화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를 위해, 상기 픽셔(2300)는 고정편(FRT)이 끼워지는 바이트홈(2310)을 갖는 'ㄷ' 형상의 본체(2320)와, 상기 고정편(FRT)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식으로 체결되어 고정편(FRT)을 바이팅(Biting)하는 고정구(2330)와, 상기 본체(2320)의 상단에서 연장된 티바(2340)와, 상기 티바(2340)의 일단에 고정되고 하향 연장된 유압잭(2350)과, 상기 티바(2340)의 타단에 고정되고 하향 연장된 스크류잭(2360)과, 상기 스크류잭(2360)을 승강시키는 스크류핸들(2370)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본체(2320)를 고정편(FRT)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유압잭(2350)과 스크류잭(2360)을 유동시켜 상부커버(1700)의 상면에 접지되게 한 후 조금 더 압을 가하게 되면 케이스(2000)는 유압잭(2350)과 스크류잭(2360)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어 전혀 움직이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유압잭(2350)의 상부주입구(J1)과 하부주입구(J2)에는 체크밸브가 내장되어 있어 공급한 유압을 눌러 빼지 않는 한 쉽게 새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100 : 유량계 센서 110 : 하수관거
200 : 데이터 수집장치 300 : 모니터링 서버
200 : 데이터 수집장치 300 : 모니터링 서버
Claims (1)
- 모니터링 지점인 하수관거(110)에 설치되는 유량계 센서(100)와, 현장제어반에 설치되는 데이터 수집기(200)와, 상기 유량계 센서(100)와 데이터 수집기(200)가 수집한 정보를 수신하여 종합 관리하도록 중앙제어실에 설치되는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수관거(110)의 하천 배출단(EX)에 수질정화용 생물막유닛을 더 설치하되, 상기 수질정화용 생물막유닛은 상기 배출단(EX) 일부를 막아 배수를 차단하도록 설치된 댐(DAM); 상기 댐(DAM)의 길이 일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일정깊이 요입 형성된 정화홈(HOM); 상기 댐(DAM)의 폭 중앙 양단에 세워 고정된 한 쌍의 수직프레임(VER); 상기 수직프레임(VER)의 상단을 연결 고정하는 수평프레임(HOZ); 각 정화홈(HOM)의 직상부에 위치되게 상기 수평프레임(HOZ) 상에 고정된 양축 윈치(WIC); 상기 윈치(WIC)의 양축에 각각 고정되고 와이어(WR)가 감겨 있는 드럼(DR); 상기 와이어(WR)의 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정화홈(HOM)에 삽입되며, 내부에는 정화용 볼이 채워져 있는 그물망 형태의 생물막정화통(1000);을 포함하는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은 한 쌍의 측프레임(1100)과, 상기 측프레임(1100)의 상단에 조립고정되는 상부프레임(1200)과, 상기 측프레임(1100)과 상부프레임(1200)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조립되는 전방프레임(1300) 및 후방프레임(1400)을 포함하고; 상기 측프레임(1100), 상부프레임(1200), 전방프레임(1300) 및 후방프레임(1400)은 사각형상의 틀(F)에 철메쉬망(W)이 고정되어 하천을 따라 흐르는 물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철메쉬망(W)은 상기 틀(F)에 용접 고정되고; 상기 측프레임(1100), 상부프레임(1200), 전방프레임(1300) 및 후방프레임(1400)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클램프(1600)로 체결되며; 상기 클램프(1600)는 누름노브(1610)에 구비된 걸쇠(1620)가 고정쇠(1630)에 걸리는 방식으로 클램핑되고; 누름노브(1610)의 몸체는 서로 접하는 프레임의 일측 틀(F) 고정되고, 고정쇠(1630)는 타측 틀(F)에 고정되며; 상기 생물막정화통(1000)의 개방된 상부는 판상의 상부커버(1700)에 의해 밀폐 고정되고, 수평프레임(HOZ)에서 돌출 절곡된 고정편(FRT)에 설치되는 픽셔(2300)에 의해 상부커버(1700) 상면이 전후방향으로 간격을 두로 눌림받게 되어 생물막정화통(1000)이 들뜨지 않고 안정적인 삽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픽셔(2300)는 고정편(FRT)이 끼워지는 바이트홈(2310)을 갖는 'ㄷ' 형상의 본체(2320)와, 상기 고정편(FRT)이 끼워진 상태에서 볼트식으로 체결되어 고정편(FRT)을 바이팅(Biting)하는 고정구(2330)와, 상기 본체(2320)의 상단에서 연장된 티바(2340)와, 상기 티바(2340)의 일단에 고정되고 하향 연장된 유압잭(2350)과, 상기 티바(2340)의 타단에 고정되고 하향 연장된 스크류잭(2360)과, 상기 스크류잭(2360)을 승강시키는 스크류핸들(23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5241A KR102257822B1 (ko) | 2021-01-14 | 2021-01-14 |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05241A KR102257822B1 (ko) | 2021-01-14 | 2021-01-14 |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7822B1 true KR102257822B1 (ko) | 2021-05-28 |
Family
ID=7614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05241A KR102257822B1 (ko) | 2021-01-14 | 2021-01-14 |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782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03219A (zh) * | 2024-08-08 | 2024-09-06 | 河北道成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带水质监测功能的电磁流量计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2624B1 (ko) | 2012-02-02 | 2012-06-04 | 한국환경공단 | 하수관거 유량계 모니터링 시스템 |
CN106120670A (zh) * | 2016-07-04 | 2016-11-16 | 河海大学 | 一种具有水质净化功能的闸堰一体化装置 |
CN212316848U (zh) * | 2020-06-15 | 2021-01-08 | 佛山市玉凰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适用于河涌治理的水闸 |
-
2021
- 2021-01-14 KR KR1020210005241A patent/KR10225782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2624B1 (ko) | 2012-02-02 | 2012-06-04 | 한국환경공단 | 하수관거 유량계 모니터링 시스템 |
CN106120670A (zh) * | 2016-07-04 | 2016-11-16 | 河海大学 | 一种具有水质净化功能的闸堰一体化装置 |
CN212316848U (zh) * | 2020-06-15 | 2021-01-08 | 佛山市玉凰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 一种适用于河涌治理的水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8603219A (zh) * | 2024-08-08 | 2024-09-06 | 河北道成电子科技有限公司 | 一种带水质监测功能的电磁流量计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376318B (zh) | 一种排水管网入流入渗评估方法及系统 | |
KR102257822B1 (ko) | 하수관거의 하수유입 데이터 관리시스템 | |
CN206863020U (zh) | 一种城市污水管网水质在线监测系统 | |
CN109114430A (zh) | 一种城市排水管网在线监测系统 | |
KR101435183B1 (ko) | 유동 ip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plc 기반의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 |
CN107389891A (zh) | 具有预警功能的污水水质监测装置 | |
CN112374556B (zh) | 一种污水异常排放监控系统及其监控方法 | |
CN110794109A (zh) | 一种小型排水超标在线监测留样机 | |
CN113959489B (zh) | 一种入河雨水排放口的在线监测系统及监测方法 | |
CN111221286A (zh) | 智能物联排水系统及其控制方法 | |
CN208568759U (zh) | 基于互联网的测量水污染装置 | |
CN107748533B (zh) | 河道内监测水质的预警装置 | |
CN207380022U (zh) | 具有预警功能的污水水质监测装置 | |
CN107764592A (zh) | 一种污水检测取样装置 | |
CN207318475U (zh) | 一种电缆隧道积水监测装置 | |
NO20101556A1 (no) | Fremgangsmate og system for a overvake og lokalisere inntrenging av fremmedvann i ledningsnett | |
KR101864391B1 (ko) | 하수관거의 자동모니터링 시스템 | |
KR101035031B1 (ko) | 수질측정 시스템 | |
CN217027354U (zh) | 一种建筑排污泵控制系统 | |
CN214940875U (zh) | 一种排水管网管控系统 | |
CN213482213U (zh) | 一种水质在线监控系统 | |
CN112483903B (zh) | 一种管网入流检测方法、装置及系统 | |
CN213456897U (zh) | 一种管式水质检测装置 | |
CN213543725U (zh) | 一种智慧城市地下管网水位监测预警装置 | |
KR101478976B1 (ko) | 스마트 pb플륨 유량측정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