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573B1 - Tumbler for tea bag - Google Patents

Tumbler for tea b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573B1
KR102256573B1 KR1020190112422A KR20190112422A KR102256573B1 KR 102256573 B1 KR102256573 B1 KR 102256573B1 KR 1020190112422 A KR1020190112422 A KR 1020190112422A KR 20190112422 A KR20190112422 A KR 20190112422A KR 102256573 B1 KR102256573 B1 KR 102256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ea bag
container body
tea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0795A (en
Inventor
김대호
Original Assignee
김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호 filed Critical 김대호
Priority to KR1020190112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573B1/en
Publication of KR20210030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07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2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means for securing the filter holder to the beverag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15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making tea or the like, e.g. where the infusion liquid is kept a certain time in the filter before flowing out

Abstract

음료를 담거나 차를 우리는 텀블러를 제시하며, 손잡이 및 손잡이줄이 구비된 티백을 우리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바깥쪽에 단열된 손잡이를 제공하는 관체형의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또는 상기 손잡이줄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상기 티백의 높이 조절을 허용하는 티백홀더를 포함한다.We present a tumbler for a drink or a tea, and a container body for accommodating water for a tea bag equipped with a handle and a handlebar; A tubular sleev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ing an insulated handl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tea bag holder provided in the sleeve to provide a locking portion of the handle or the handle string while allowing the height of the tea bag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to be adjusted.

Description

티백용 텀블러{TUMBLER FOR TEA BAG}Tumbler for tea bags{TUMBLER FOR TEA BAG}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티백용 텀블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투입된 티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티백용 텀블러에 관한 것이다.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 to a tumbler for a tea bag, and more particularly, to a tumbler for a tea bag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ea bag put into the container.

일반적으로, 차의 종류는 녹차, 둥글레차, 메밀차 등의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 종류는 현재 1회용의 티백형태로 포장되어 간편하고 신속하게 먹을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다.In general, there are various types of tea such as green tea, round green tea, and buckwheat tea, and these types of tea are currently packaged in disposable tea bags and provided so that they can be eaten simply and quickly.

이러한 티백은 차가 담겨진 티백부와, 티백부의 일측에 일정길이로 형성되는 손잡이줄과, 손잡이줄의 끝단에 구비되어 티백부를 건져낼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된다.This tea bag is composed of a tea bag portion containing tea, a handle strap formed on one side of the tea bag portion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handle provided at the end of the handle strap so that the tea bag portion can be retrieved.

이에 따라, 티백을 이용하여 차를 마실 경우에는 티백부를 컵이나 텀블러에 넣고 물을 넣은 후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하로 여러 번 흔들어 찻물을 우려낸 후, 어느 정도 찻물이 우려지면 티백을 건져내고 차를 마신다.Accordingly, when drinking tea using a tea bag, put the tea bag in a cup or tumbler, add water, and shake the tea water up and down several times while holding the handle. Drink.

그런데, 찻물을 우려내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는 티백의 침지상태가 유지되지 못하므로 찻물이 제대로 우려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lthough it takes a long time to brew the te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ea bag is not properly bred because the immersion state of the tea bag is not maintained in the above process.

한편 근래 들어 차문화가 발달되면서 이동 중에도 차를 마실 수 있도록 휴대용 텀블러가 제공되고 있다.Meanwhile, with the development of tea culture in recent years, portable tumblers are being provided so that you can drink tea while on the go.

이러한 텀블러는 냉온 및 보온 가능하도록 제작된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밀폐토록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This tumbler is composed of a container body made to be able to cool and keep warm and a lid that is coupled to seal the container body.

그런데 통상적인 텀블러는 티백을 이용하여 차를 우려먹기가 어렵고, 설령 티백을 이용해 찻물을 우려먹을 경우에도 티백을 용기에 넣고 뚜껑을 통해 손잡이를 고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t is difficult to eat tea using a tea bag in a conventional tumbler, and even when eating tea water using a tea bag, there is a hassle of putting the tea bag into the container and fixing the handle through the lid.

또한, 통상적인 텀블러는 뚜껑을 개방할 경우 손잡이줄이 임의로 용기본체로 들어감으로써 티백의 제거가 곤란한 문제는 물론 위생상으로도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tumbler, when the lid is opened, the handle band enters the container body arbitrarily, so that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tea bag, as well as a problem that is not good for hygiene.

따라서 최근에는 티백을 용이하게 고정하여 찻물을 우릴 수 있는 텀블러가 출시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tumbler that can easily fix tea bags to make tea water has been released.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83507호에 개시된 '티백을 고정시키는 텀블러'가 있다.As a related prior art, there is a'tumbler fixing a tea bag'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8-0083507.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용기에 결합되는 속뚜껑에 티백의 손잡이줄이 걸리는 절개부를 형성하여 티백을 고정할 수 있는 기술이다.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is a technology capable of fixing the tea bag by forming an incision in which the handle of the tea bag is caught in the inner lid coupled to the contain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단순히 티백의 손잡이줄을 고정시킬 수 있을 뿐, 티백의 높이를 조절할 수는 없어서 찻물이 우려진 후에는 반드시 티백을 텀블러에서 제거하고 마셔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can only fix the handle of the tea bag, and the height of the tea bag cannot be adjusted, so there is a trouble of removing the tea bag from the tumbler and drinking after the tea water is concerned.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necessarily a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티백을 용기본체에 고정하여 찻물을 원활히 우릴 수 있으며, 특히 티백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티백을 찻물에 침지시키거나 찻물에서 빼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티백용 텀블러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a bag can be secured to the container body to smooth the tea water, and in particular,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ea bag, a tea bag tumbler capable of being immersed in the tea water or fixed in a state removed from the tea water is provided. It has a purpose to pres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용기본체와 이격상태를 이루는 슬리브를 통해 티백 손잡이줄의 고정부위를 제공함으로써 티백을 고정하는 동시에 용기본체와 단열되는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는 티백용 텀블러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 a tumbler for a tea bag capable of providing a handle that is insulated from the container body while fixing the tea bag by providing a fixing portion of the tea bag handle through a sleev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ody. It has a purpose to present.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는, 음료를 담거나 차를 우리는 텀블러에 있어서, 손잡이 및 손잡이줄이 구비된 티백을 우리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바깥쪽에 단열된 손잡이를 제공하는 관체형의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또는 상기 손잡이줄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상기 티백의 높이 조절을 허용하는 티백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n the tumbler for tea ba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tumbler for containing beverages or tea, for accommodating water for the tea bag provided with a handle and a handlebar Container body; A tubular sleev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ing an insulated handl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 tea bag holder provided in the sleeve to provide a locking portion of the handle or the handle string while allowing the height of the tea bag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to be adjusted.

또한, 상기 티백홀더는,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줄의 끼움을 통해 상기 손잡이를 걸린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티백을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쪽에 위치시키는 제1 홀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홀을 이루면서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삽입을 허용하는 손잡이삽입부; 및 상기 손잡이삽입부의 상단부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줄의 끼움을 통해 상기 손잡이를 걸린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티백을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쪽에 위치시키는 제2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a bag holder, a first holder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cut in the lower end of the sleeve to position the tea bag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while fixing the handle in a locked state through the fitting of the handle string; A handle inserting portion formed through a hol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and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to allow the handle to be inserted; And a second holder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cut in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to position the tea bag at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while fixing the handle in a locked state through the insertion of the handle strap.

또한, 상기 제1 홀더, 상기 손잡이삽입부 및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슬리브의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lder,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formed on the same line of the sleeve.

또한, 상기 손잡이삽입부는, 마름모형태로 형성되면서 마름모의 꼭지점을 통해 상기 제2 홀더와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may be formed in a rhombus shap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through a vertex of the rhombus.

또한, 상기 티백홀더는, 상기 손잡이삽입부의 일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줄의 결속부위를 제공하는 결속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a bag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bind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to provide a binding portion of the handle string.

또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용기본체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하부를 향해 관체형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을 차폐하되,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 절반부위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나머지부위를 노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leeve, while forming the same body as the container body, is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extends in a tubular shape toward the lower portion, shiel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extending to a half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The rest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exposed.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티백홀더가 티백을 고정하면서 티백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티백을 용기본체의 바닥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찻물을 우릴 수 있으며, 찻물을 우린 후에는 티백을 찻물에서 꺼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티백용 텀블러를 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the tea bag holder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ea bag while fixing the tea bag, so that the tea bag can be poured away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You can present a tumbler for tea bags that can be fixed while removed from the tea.

구체적으로, 티백홀더를 구성하는 제1 홀더를 통해 티백을 용기본체의 상부 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으며, 티백홀더를 구성하는 손잡이삽입부 및 제2 홀더를 통해 티백을 용기본체의 하부 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티백용 텀블러를 제시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a bag can be fixed in a state plac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first holder constituting the tea bag holder, and the tea bag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through the handle insertion part and the second holder constituting the tea bag holder. A tumbler for tea bags that can be fixed in a position can be presented.

또한, 손잡이삽입부에 결속돌기가 구비될 경우에는 손잡이줄을 결속함으로써 티백의 위치를 용기본체의 하부에서 상승한 상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는 티백용 텀블러를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binding protrusion is provided in the handle insertion part, a tumbler for a tea bag that can be fix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ea bag in an elevated stat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provided by binding the handle string.

또한, 티백홀더가 마련되는 슬리브가 용기본체와 이격상태를 이루면서 단열된 손잡이를 제공하므로 뜨거운 음료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티백용 텀블러를 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leeve in which the tea bag holder is provided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es an insulated handle, a tumbler for a tea bag tha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hot beverages can be presented.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ar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embodiments disclose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belong. It will be understandable.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and 4 are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and 6 are front views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order to more clearly describe the features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pertain are omitted. In addi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of being'directly connected' but also a case of being'connect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In addition, when a certain configuration "includes" a certain configuration, it means tha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nfiguratio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5 및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nd FIGS. 3 and 4 illustrate a state of use of the tumbler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It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n. In addition, FIGS. 5 and 6 are front views showing a use state of a tea bag tumb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a bag tumb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10)는 용기본체(100), 슬리브(200) 및 티백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tumbler 10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ntainer body 100, a sleeve 200, and a tea bag holder 300.

상기 용기본체(100)는 음료를 담거나 차를 우리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tainer body 100 is a component that accommodates water for containing beverages or tea.

이러한 용기본체(100)는 음료를 담을 수 있다면 모든 구성을 만족할 수 있다.This container body 100 can satisfy all configurations if it can hold a beverage.

예컨대, 용기본체(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광하협의 형태로 형성되어 음료나 차를 우리기 위한 물을 수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upper gwanghaehyeop as shown in FIG. 3 to accommodate water for drinking or tea.

또한, 용기본체(100)는 금속재,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종이재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 synthetic resin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or may be formed of a paper material.

이러한 용기본체(100)는 물과 함께 티백(1)을 수용할 수 있다.This container body 100 may accommodate the tea bag 1 with water.

상기 슬리브(200)는 용기본체(100)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용기본체(100)의 바깥쪽에 용기본체(100)와 단열 상태를 이루는 손잡이를 제공하면서 후술되는 티백홀더(300)가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다.The sleeve 200 is forme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thereby providing a handle forming an insulating state with the container body 100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a tea bag holder 3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a component that is formed.

구체적으로, 슬리브(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본체(100)와 동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하부를 향해 관체형으로 연장되면서 용기본체(100)의 외주면을 차폐함으로써 용기본체(100)와 단열 상태를 이루는 손잡이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leeve 200 may be formed in the same body as the container body 100 as shown in FIG. 3, and is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extend in a tubular shape toward the bottom while the container body ( By shiel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1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handle that forms an adiabatic state with the container body 100.

이러한 슬리브(200)는 용기본체(100)의 길이방향 절반부위까지 연장되면서 용기본체(100)의 나머지 절반부위를 노출시킬 수 있다.The sleeve 200 may extend to a half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expose the other half of the container body 100.

이와 달리, 슬리브(200)는 용기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leeve 200 may extend entire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또한, 슬리브(200)는 미도시된 논슬립돌기가 형성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leeve 200 may prevent slipping by forming a non-slip protrusion (not shown).

상기 티백홀더(300)는 티백(1)을 구성하는 손잡이(2) 또는 손잡이줄(3)의 걸림부위를 제공하여 티백(1)을 고정하면서 티백(1)의 높이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tea bag holder 300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height of the tea bag 1 to be adjusted while fixing the tea bag 1 by providing a locking portion of the handle 2 or the handle 3 constituting the tea bag 1 to be.

즉, 티백홀더(300)는 차를 우릴 경우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하부 쪽에 고정하거나, 찻물이 우려진 경우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상부 쪽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That is, the tea bag holder 300 is configured to fix the tea bag 1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when making tea, or to fix the tea bag 1 to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when tea is concerned. Element.

구체적으로, 티백홀더(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홀더(310), 손잡이삽입부(320) 및 제2 홀더(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ea bag holder 300 may include a first holder 310, a handle insertion part 320, and a second holder 330 as shown in FIGS. 1 and 2.

제1 홀더(310)는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상부 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first holder 310 is a component that fixes the tea bag 1 in a stat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이러한 제1 홀더(310)는 슬리브(200)의 하단부에서 용기본체(100)의 상부를 향해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위에 손잡이줄(3)의 끼움을 허용하여 손잡이(2)를 걸린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The first holder 310 may be formed in a groove shape cut from the lower end of the sleeve 200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handle 2 ) Can be plac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0 by fixing it in a hung state.

즉, 제1 홀더(3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00)의 하단부에 티백(1)의 손잡이(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손잡이줄(3)의 끼움부위를 제공함으로써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상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first holder 310 has a fitting part of the handle strap 3 so that the handle 2 of the tea bag 1 can be caught and fixed at the lower end of the sleeve 200. By providing the tea bag (1) can be fixed in a state plac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0).

따라서, 제1 홀더(310)는 찻물이 우려진 경우, 티백(1)을 찻물에서 꺼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holder 310 may fix the tea bag 1 in a state taken out of the tea when tea is concerned.

여기서, 제1 홀더(310)는 티백(1)의 손잡이줄(3)의 굵기보다 작은 폭으로 절개됨으로써 손잡이줄(3)을 절개홈에 파지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first holder 310 may be cut to a wid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andle 3 of the tea bag 1, so that the handle 3 may be held in the cut groove.

손잡이삽입부(320)는 후술되는 제2 홀더(330)와 함께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하부 쪽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is a component that fixes the tea bag 1 together with the second holder 330 to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in which the tea bag 1 is position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구체적으로, 손잡이삽입부(320)는 슬리브(200)의 상부에 손잡이(2)를 삽입시킴으로써 손잡이(320)가 제2 홀더(33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Specifically,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is a component that allows the handle 320 to be caught and fixed by the second holder 330 by inserting the handle 2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200.

이러한 손잡이삽입부(320)는 티백(1)의 손잡이(2)에 대응하는 크기의 홀을 이루면서 슬리브(200)의 상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200 while forming a hol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2 of the tea bag 1.

한편, 손잡이삽입부(32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름모형태로 형성되어 상부의 꼭지점을 통해 후술되는 제2 홀더(3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다각형이나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6 and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330 to be described later through a vertex of the upper part. May be.

즉, 손잡이삽입부(320)은 티백(1)의 손잡이(2)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만족할 수 있다.That is,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may satisfy any shape as long as the handle 2 of the tea bag 1 can be inserted.

제2 홀더(330)는 손잡이삽입부(320)로 삽입된 손잡이(2)의 고정부위를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The second holder 33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fixed portion of the handle 2 inserted into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320.

구체적으로, 제2 홀더(330)는 손잡이삽입부(320)의 상단부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개부위에 손잡이줄(3)의 끼움을 허용하여 손잡이(2)를 걸린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holder 33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cut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and the handle 2 is held in a state by allowing the hand strap 3 to be inserted into the cut part. By fixing the tea bag (1) can be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즉, 제2 홀더(33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200)의 상부에 티백(1)의 손잡이(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손잡이삽입부(320)의 상단부에 손잡이줄(3)의 끼움부위를 제공함으로써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하부에 위치시킨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That is, the second holder 330 is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so that the handle 2 of the tea bag 1 is caught and fix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eeve 200 as shown in FIGS. 4 and 6. By providing a fitting part of the handlebar (3), the teabag (1) can be fixed in a state plac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따라서, 제2 홀더(330)는 찻물을 우릴 경우에 티백(1)을 물에 침지시킨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티백(1)이 원활하게 우러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holder 330 may allow the tea bag 1 to rise smoothly by fixing the tea bag 1 in a state of being immersed in water when making tea.

여기서, 제2 홀더(330)는 티백(1)의 손잡이줄(3)의 굵기보다 작은 폭으로 절개됨으로써 손잡이줄(3)을 절개홈에 파지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holder 330 is cut to a wid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handle 3 of the tea bag 1, so that the handle 3 can be fixed while being held in the cut groove.

한편, 제1 홀더(310)와 손잡이삽입부(320) 및 제2 홀더(330)는 슬리브(200)의 동일선상에 연장된 상태로 형성됨으로써 손잡이(2)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holder 310,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and the second holder 330 are formed to extend on the same line of the sleeve 20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andle 2 can be easily changed. .

또한, 제1 홀더(310)와 손잡이삽입부(320) 및 제2 홀더(330)는 슬리브(200)의 일측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슬리브(200)의 양쪽에 대칭상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rst holder 310,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320, and the second holder 330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sleeve 200, and otherwise,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tate on both sides of the sleeve 200. hav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속돌기(3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7, i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inding protrusion 340.

서브슬롯(330)은 제1 홀더(310)과 분리 구성되어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상부 쪽에 위치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요소로, 슬리브(200)의 하단부에 절개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손잡이줄(3)의 걸림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The sub-slot 330 is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first holder 310 to be an additional component for positioning the tea bag 1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is formed in a cut form at the lower end of the sleeve 200.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king part of the handlebar (3).

결속돌기(340)는 티백(1)의 손잡이줄(3)을 결속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binding protrusion 340 is a component that enables the handle string 3 of the tea bag 1 to be bound and fixed.

구체적으로, 결속돌기(340)는 손잡이삽입부(320)의 일부분에 돌기형태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손잡이줄(3)의 결속부위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inding protrusion 34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a portion of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320 in the form of a protrusion, thereby providing a binding portion of the handle string 3.

이러한 결속돌기(340)는 제2 홀더(330)에 끼워진 손잡이줄(3)을 감긴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티백(1)의 위치를 용기본체(100)의 하부에서 상승한 상태로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다.This binding protrusion 340 can be fixe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tea bag 1 in a state raise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00 by fixing the handlebar 3 inserted in the second holder 330 in a wound state. .

여기서, 결속돌기(3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를 이루면서 손잡이삽입부(320)에 돌출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binding protrusion 340 may protrude from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while forming a plurality as shown in FIG. 7, and may be configured in a single number as shown.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10)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A method of using the tumbler 10 for a tea b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ing the abov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차를 우릴 경우, 사용자는 용기본체(100)에 온수 또는 냉수를 담은 후, 티백(1)을 물에 침지시킨 상태로 티백(1)의 손잡이(2)를 손잡이삽입부(320)에 삽입한 후, 손잡이줄(3)을 제2 홀더(330에 끼워서 손잡이(2)를 고정한다.In the case of tea, the user puts hot or cold water in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n inserts the handle 2 of the tea bag 1 into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while the tea bag 1 is immersed in water. After that, the handle 2 is fixed by inserting the handle 3 into the second holder 330.

이에 따라, 티백(1)은 용기본체(100)의 바닥면과 이격된 상태로 물에 침지되어 찻물이 우러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a bag 1 may be immersed in water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so that the tea water flows out.

차가 우려진 경우, 사용자는 손잡이(2)를 제2 홀더(330)에서 분리한 상태로 손잡이삽입부(320)에서 배출하여 손잡이줄(3)을 당김으로써 티백(1)을 찻물에서 꺼낸 후, 손잡이줄(3)을 제1 홀더(310)의 하단부에 끼워서 손잡이(2)를 고정한다.When the car is concerned, the user removes the handle 2 from the second holder 330 and discharges it from the handle insertion part 320 and pulls the handle string 3 to remove the tea bag 1 from the tea water. The handle 2 is fixed by inserting the handle 3 in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holder 310.

이에 따라, 티백(1)은 찻물에서 용기본체(100)의 상부 쪽에 위치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ea bag 1 may be fixed in a stat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in the tea water.

차를 마실 경우, 사용자는 슬리브(200)를 파지하여 차를 마실 수 있다.When drinking tea, the user can drink tea by holding the sleeve 200.

이때, 슬리브(200)는 용기본체(100)와 이격되어 단열된 상태를 이룸으로써 뜨거운 음료에 의한 사고 없이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leeve 200 is spaced apart from the container body 100 to achieve an insulated state, so that it can be stably gripped without accidents caused by hot beverages.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티백용 텀블러(10)는 티백홀더(300)가 티백(1)을 고정하면서 티백(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티백(1)을 용기본체(100)의 바닥면에서 이격시킨 상태로 찻물을 우릴 수 있으며, 찻물을 우린 후에는 티백(1)을 찻물에서 꺼낸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ea bag tumble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tea bag 1 while the tea bag holder 300 fixes the tea bag 1, so that the tea bag 1 is placed in the container body ( The tea water can be brewed away from the bottom of 100), and after the tea has been brewed, the tea bag (1) can be fixed in the state removed from the tea water.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elong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can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

10 : 티백용 텀블러
100 : 용기본체
200 : 슬리브
300 : 티백홀더
310 : 제1 홀더
320 : 손잡이삽입부
330 : 제2 홀더
340 : 결속돌기
1 : 티백
2 : 손잡이
10: Tumbler for tea bag
100: container body
200: sleeve
300: tea bag holder
310: first holder
320: handle insertion part
330: second holder
340: binding protrusion
1: tea bag
2: handle

Claims (6)

음료를 담거나 차를 우리는 텀블러에 있어서,
손잡이 및 손잡이줄이 구비된 티백을 우리기 위한 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바깥쪽에 단열된 손잡이를 제공하는 관체형의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또는 상기 손잡이줄의 걸림부위를 제공하면서 상기 용기본체에 수용된 상기 티백의 높이 조절을 허용하는 티백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티백홀더는,
상기 슬리브의 하단부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줄의 끼움을 통해 상기 손잡이를 걸린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티백을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 쪽에 위치시키는 제1 홀더;
상기 손잡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홀을 이루면서 상기 슬리브의 상부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의 삽입을 허용하는 손잡이삽입부; 및
상기 손잡이삽입부의 상단부에 절개된 홈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줄의 끼움을 통해 상기 손잡이를 걸린상태로 고정하면서 상기 티백을 상기 용기본체의 하부 쪽에 위치시키는 제2 홀더를 포함하는 티백용 텀블러.
For drinks or tea we are in the tumbler,
A container body containing water for holding a tea bag equipped with a handle and a handle string;
A tubular sleev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providing an insulated handl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It is provided in the sleeve and includes a tea bag holder that allows the height of the tea bag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to be adjusted while providing a locking portion of the handle or the handle line,
The tea bag holder,
A first holder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cut at the lower end of the sleeve to position the tea bag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while fixing the handle in a locked state through the fitting of the handle string;
A handle inserting portion formed through a hole having a size corresponding to the handle and formed through the upper portion of the sleeve to allow the handle to be inserted; And
A tumbler for a tea bag comprising a second holder formed in the shape of a groove cut at the upper end of the handle insertion part to position the tea bag at a low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while fixing the handle in a locked state through insertion of the handle string.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더, 상기 손잡이삽입부 및 상기 제2 홀더는,
상기 슬리브의 동일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용 텀블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holder,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and the second holder,
Tea bag tumbl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same line of the slee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삽입부는,
마름모형태로 형성되면서 마름모의 꼭지점을 통해 상기 제2 홀더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백용 텀블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handle insertion part,
A tumbler for tea bag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rhombus shape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holder through a vertex of the rhombu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백홀더는,
상기 손잡이삽입부의 일부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손잡이줄의 결속부위를 제공하는 결속돌기를 더 포함하는 티백용 텀블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tea bag holder,
A tumbler for a tea bag further comprising a binding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from a portion of the handle insertion portion to provide a binding portion of the handle str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용기본체와 동일체를 이루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서 절곡형성되어 하부를 향해 관체형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외주면을 차폐하되, 상기 용기본체의 길이방향 절반부위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용기본체의 나머지부위를 노출시키는 티백용 텀블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sleeve,
While forming the same body as the container body, it is bent at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extends toward the bottom in a tubular shape to shiel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and the rest of the container body extends to a half 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Tumbler for tea bags to expose.
KR1020190112422A 2019-09-10 2019-09-10 Tumbler for tea bag KR102256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22A KR102256573B1 (en) 2019-09-10 2019-09-10 Tumbler for tea ba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2422A KR102256573B1 (en) 2019-09-10 2019-09-10 Tumbler for tea ba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95A KR20210030795A (en) 2021-03-18
KR102256573B1 true KR102256573B1 (en) 2021-05-25

Family

ID=75232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422A KR102256573B1 (en) 2019-09-10 2019-09-10 Tumbler for tea ba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5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70331U (en) * 2010-12-11 2011-06-22 张元庆 Anti-burn tea cup
CN202009967U (en) * 2010-12-29 2011-10-19 陈俊吉 Cup capable of separating teabag from water
CN205667496U (en) * 2016-02-19 2016-11-02 宁波嘉酷电子商务有限公司 Multi-functional afternoon teacup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0469A (en) * 2008-01-10 2008-01-30 박수열 Tea bag cu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870331U (en) * 2010-12-11 2011-06-22 张元庆 Anti-burn tea cup
CN202009967U (en) * 2010-12-29 2011-10-19 陈俊吉 Cup capable of separating teabag from water
CN205667496U (en) * 2016-02-19 2016-11-02 宁波嘉酷电子商务有限公司 Multi-functional afternoon teac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0795A (en) 2021-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8173C2 (en) Cover for brewed drink container
US20120107455A1 (en) Non-floating beverage infuser and rigid clamp
KR101378808B1 (en) Eco-friendly disposable dripping tool
US2328599A (en) Device for brewing and dispensing beverages
KR102256573B1 (en) Tumbler for tea bag
KR200471638Y1 (en) A Lid for Disposable cups
TWI669089B (en) Pot with baffle
JP2005224261A (en) Drinking vessel
TWM465867U (en) Liftable filter of beverage brewer
KR101619805B1 (en) Cup holder
US20050279220A1 (en) Cup and filter combination
US20050126402A1 (en) Teacup
KR200450743Y1 (en) Cup for tea bag
KR200485670Y1 (en) Tea stick
KR20110003605U (en) Apparatus for fixing a tea bag
KR100552044B1 (en) Tea bag
US20220007865A1 (en) Drinkware with Integrated Infuser Holder
KR200446131Y1 (en) A filter net container
KR200493721Y1 (en) Coffee stick
JP3110230U (en) Tipak packaging package
KR200481348Y1 (en) Height adjustable and disposable tea infuser
JP2005538911A (en) container
KR200404017Y1 (en) The paper cup to hang tea line
KR20130073058A (en) The cake box installing on cup
EP1643888A1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