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200B1 -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200B1
KR102256200B1 KR1020190177288A KR20190177288A KR102256200B1 KR 102256200 B1 KR102256200 B1 KR 102256200B1 KR 1020190177288 A KR1020190177288 A KR 1020190177288A KR 20190177288 A KR20190177288 A KR 20190177288A KR 102256200 B1 KR102256200 B1 KR 102256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release layer
floor plat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호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지메디칼
서호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지메디칼, 서호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지메디칼
Priority to KR102019017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7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an underlayer;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04F15/105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2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laying 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원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는 몸체; 탄소 성분을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는 방사층; 방사층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선; 방사층 및 도선을 폐쇄하면서 몸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의 일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접착층을 폐쇄하는 이형층을 포함하되, 전원이 도선에 공급될 때, 도선은 방사층을 가열하고, 방사층은 원적외선을 몸체를 투과시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floor sheet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평평한 면에 시공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판은 주택 등과 같은 건물의 실내에서 구획된 바닥면에 대한 마감재로서 시공된다. 특히, 주택의 실내 바닥면은 난방을 위하여 보일러에 연결되는 배관들을 배열한 상태에서 시멘트 모르타르에 의해 마감된다. 이러한 마감된 바닥면에 장판은 시공된다.
하지만, 장판은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시공된 상태로 유지되기 위하여, 별도로 접착제 등을 도포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접착제 등의 도포 작업은 장판의 시공을 다소 번거롭게 하는 실정이다.
한편, 원적외선은 인체에 조사되어 체온을 상승시키고 혈행 및 신진 대사를 촉진하며 향균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원적외선은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고 기분을 상쾌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기도 한다. 하지만, 단순히 바닥면에 시공된 장판을 통해 건강 증진 및 기분 전환 등과 같은 효과가 기대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쉽게 시공되어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쉽게 보관되고 운반될 수 있는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강 증진, 기분 전환 등을 유발할 수 있는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원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는 몸체; 탄소 성분을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는 방사층; 방사층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선; 방사층 및 도선을 폐쇄하면서 몸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의 일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접착층을 폐쇄하는 이형층을 포함하되, 전원이 도선에 공급될 때, 도선은 방사층을 가열하고, 방사층은 원적외선을 몸체를 투과시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방사층은 몸체의 일면에 인쇄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방사층은 망사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장판체는, 각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층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면서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장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이동 샤프트; 및 각각 휠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 샤프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동 몸체를 포함하되, 이동 몸체가 시공면 상에 위치될 때, 이형층은 시공면을 마주하면서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장판체는, 이형층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이형층을 따라 위치되는 분리 부재를 포함하되, 분리 부재가 당겨져 고정 부재가 이형층을 따라 이동할 때, 이형층의 선단부는 접착층을 따라 이동하고, 이형층은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 제조 방법은, (a) 몸체가 펼쳐져 위치되는 단계; (b) 탄소 성분을 갖는 방사층이 몸체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는 단계; (c)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선이 방사층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는 단계; (d) 접착층이 방사층 및 도선을 폐쇄하면서 몸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단계; 및 (e) 이형층이 접착층의 일면에 위치되어 접착층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는, 탄소 잉크가 몸체의 일면에 인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 단계는, 망사 형태로 이루어진 방사층이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판체 제조 방법은, 복수 개의 이동 샤프트가 접착층의 양측면에서 장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단계; 및 휠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 몸체가 이동 샤프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장판체 제조 방법은, 고정 부재가 이형층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단계; 및 와이어 형태의 분리 부재가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이형층을 따라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1) 장판체가 손쉽게 시공되어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2) 장판체가 손쉽게 보관되고 운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3) 건강 증진, 기분 전환 등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달성할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가 시공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 1, 제 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실시예들을 차례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1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100)는 몸체(101), 방사층(102), 도선(103), 접착층(104) 및 이형층(105)을 포함하되, 변형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실내 공간 등의 평평한 바닥면에 시공될 수 있다.
몸체(10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종이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판체(100)가 바닥면에 시공된 상태에서 몸체(101)는 노출되어 사람 및 물건 등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101)는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갖는 종이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몸체(101)는 원적외선의 투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층(102)은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탄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층(102)은 몸체(101)의 일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몸체(101)의 일면은 도 2를 기준으로 하여 평평하게 이루어진 몸체(101)의 상면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101)의 평평한 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방사층(102)은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고, 원적외선은 몸체(101)를 투과할 수 있다.
특히, 방사층(102)은 몸체(101)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되, 몸체(101)의 일면에 걸쳐 고르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방사층(102)은 몸체(101)의 일면에 인쇄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사층(102)은 몸체(101)의 일면에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방사층(102)은 망사의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101)의 일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선(103)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선(103)은 구리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선(103)은 방사층(102)의 일면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선(103)의 종단에는 전원 장치가 연결될 수 있고, 전원 장치가 도선(103)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방사층(102)은 도선(103)에 의해 가열되고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원적외선은 일반열보다 80배 이상 깊숙하게 체내에 흡수되어 1분당 2,000회 이상 미세하게 진동을 발생시키고, 세포조직을 왕성하게 활동시키고 신체의 기(氣)를 증강시킴으로써 체온을 적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온열 작용, 신체의 기(氣)를 증강시키고 신체의 발달을 촉진시켜 성장을 돕도록 하는 숙성작용, 인체의 영양 균형을 유지시키고 지공간질ㆍ단백질ㆍ탄수화물의 분해촉진 및 체력을 증진시키는 공명작용, 이온작용에 의해 뼈를 튼튼하게 하고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시키는 자정작용,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인체의 활력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중화작용, 동통 치료와 어깨 결림, 신경통, 요통 등의 완화 작용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접착층(104)은 접착성을 갖되, 방사층(102) 및 도선(103)을 폐쇄하면서 몸체(101)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방사층(102) 및 도선(103)은 접착층(104)에 의해 몸체(101)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04)은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착층(104)이 시공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 장판체(100)는 접착층(104)에 의해 시공면에 시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장판체(100)에서 몸체(101)가 시공면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형층(105)은 접착층(104)의 일면에 위치되어 접착층(104)의 일면을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이형층(105)의 적어도 일면은 코팅 처리되고, 이형층(105)에서 코팅 처리된 부분은 접착층(104)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접착층(104)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층(104)은 몸체(101)와 이형층(105) 사이에 위치되고 이형층(105)에 의해 직접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이형층(105)은 접착층(10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장판체(100)에서 접착성을 갖는 접착층(104)은 몸체(101)와 이형층(105) 사이에 위치되어 보호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장판체(100)는 시공면에 시공될 때 장판체(100) 또는 시공면에 대한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의 도포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104)은 보호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장판체(100)는 감길 수 있고, 감긴 상태로 손쉽게 보관되고 운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판체(100)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어, 원적외선으로 인한 건강 증진, 기분 전환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장판체(100)에서 이형층(105)이 접착층(10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접착층(104)은 바로 시공면에 부착되어 장판체(100)를 시공면에 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장판체(100)는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면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판체(100)는 집기류가 위치된 시공면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3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3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300)는 몸체(301), 방사층(302), 도선(303), 접착층(304), 이형층(305), 이동부(306) 및 분리부(307)를 포함하되, 변형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고, 실내 공간 등의 평평한 바닥면에 시공될 수 있다.
몸체(30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종이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장판체(300)가 바닥면에 시공된 상태에서 몸체(301)는 노출되어 사람 및 물건 등에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몸체(301)는 상대적으로 높은 내구성을 갖는 종이 또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몸체(301)는 원적외선의 투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사층(302)은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탄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층(302)은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몸체(301)의 일면은 도 3 및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평평하게 이루어진 몸체(301)의 하면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301)의 평평한 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방사층(302)은 가열되어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고, 원적외선은 몸체(301)를 투과할 수 있다.
특히, 방사층(302)은 몸체(301)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되, 몸체(301)의 일면에 걸쳐 고르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방사층(302)은 몸체(301)의 일면에 인쇄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방사층(302)은 몸체(301)의 일면에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방사층(302)은 망사의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선(303)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선(303)은 구리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선(303)은 방사층(302)의 일면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선(303)의 종단에는 전원 장치가 연결될 수 있고, 전원 장치가 도선(303)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방사층(302)은 도선(303)에 의해 가열되고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다.
원적외선은 일반열보다 80배 이상 깊숙하게 체내에 흡수되어 1분당 2,000회 이상 미세하게 진동을 발생시키고, 세포조직을 왕성하게 활동시키고 신체의 기(氣)를 증강시킴으로써 체온을 적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온열 작용, 신체의 기(氣)를 증강시키고 신체의 발달을 촉진시켜 성장을 돕도록 하는 숙성작용, 인체의 영양 균형을 유지시키고 지공간질ㆍ단백질ㆍ탄수화물의 분해촉진 및 체력을 증진시키는 공명작용, 이온작용에 의해 뼈를 튼튼하게 하고 세포를 활성화시켜 피부를 탄력있게 유지시키는 자정작용, 체내의 노폐물을 배출시키고 인체의 활력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중화작용, 동통 치료와 어깨 결림, 신경통, 요통 등의 완화 작용 등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접착층(304)은 접착성을 갖되, 방사층(302) 및 도선(303)을 폐쇄하면서 몸체(301)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방사층(302) 및 도선(303)은 접착층(304)에 의해 몸체(301)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접착층(304)은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착층(304)이 시공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 장판체(300)는 접착층(304)에 의해 시공면에 시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장판체(300)에서 몸체(301)가 시공면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상태로 위치되면서 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형층(305)은 접착층(304)의 일면에 위치되어 접착층(304)의 일면을 폐쇄할 수 있다. 여기서, 이형층(305)의 적어도 일면은 코팅 처리되고, 이형층(305)에서 코팅 처리된 부분은 접착층(304)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접착층(304)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층(304)은 몸체(301)와 이형층(305) 사이에 위치되고 이형층(305)에 의해 직접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이형층(305)은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동부(306)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접착층(304)의 양측면에 장판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형층(305)이 시공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이동부(306)는 시공면에 위치되어 이형층(305)을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부(306)는 시공면 상에서 이동가능하여, 장판체(300)를 시공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장판체(300)는 원활하게 운반될 수 있고, 시공면에서 시공될 위치에 대응하도록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306)는 이동 샤프트(361) 및 이동 몸체(36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샤프트(36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층(304)의 양측면에 직교하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이동 샤프트(361)는 각각 접착층(304)에 고정되고, 장판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이동 샤프트(361)는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동 몸체(363)는 휠(wheel)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몸체(363)의 중앙에는 이동 샤프트(361)가 삽입되고, 이동 몸체(363)는 이동 샤프트(36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형층(305)이 시공면과 마주하고 이동 몸체(363)가 시공면 상에 위치될 때, 이형층(305)은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이동 몸체(363)는 회전하여 시공면 상에서 이동하여 장판체(300)를 시공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분리부(307)는 이형층(305)에 설치되어, 이형층(305)을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하는 데에 이용된다. 특히, 이형층(305)은 이동부(306)에 의해 시공면을 마주하면서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분리부(307)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307)는 고정 부재(371) 및 분리 부재(37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71)는 이형층(305)의 선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이형층(305)의 선단부는 이형층(305)에서 이동부(306)들 사이에 위치되는 종단부로써, 이동부(306)에 의해 이동할 때 장판체(300)의 앞쪽에 위치된다.
또한, 고정 부재(371)는 이형층(30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371)는 집게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리 부재(373)는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리 부재(373)는 고정 부재(371)에 연결되고, 이형층(305)을 따라 위치된다. 여기서, 분리 부재(373)는 이형층(305)에 접촉된 상태로 이형층(305)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분리 부재(373)가 당겨져 고정 부재(371)가 이형층(305)을 따라 이동할 때, 이형층(305)의 선단부는 접착층(304)을 따라 이동한다. 이로 인해, 이형층(305)은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되어 벗겨질 수 있다.
또한, 이형층(305)은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절단되어 분리될 수 있고, 고정 부재(371)는 절단되어 분리된 이형층(305)의 선단부로부터 분리되고, 접착층(304)에 부착된 이형층(305)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는 이동부(306) 및 분리부(307)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시공면에 시공될 수 있다.
장판체(300)는 감긴 상태에서 풀릴 수 있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판체(300)가 풀린 상태에서, 이형층(305)이 시공면과 마주하고 이동 몸체(363)가 시공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이형층(305)은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이동 몸체(363)는 이동 샤프트(36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여 시공면 상에서 이동하여 장판체(300)를 시공면 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장판체(300)는 시공될 시공면에 대하여 용이하게 위치될 수 있다.
장판체(300)가 시공될 시공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371)가 이형층(305)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분리 부재(373)가 당겨지면, 이형층(305)은 선단부부터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되어 벗겨질 수 있다.
이형층(305)이 접착층(304)으로부터 벗겨진 상태에서, 이동부(306)는 접착층(304)을 시공면과 마주하면서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샤프트(361)가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이동 몸체(363)는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층(304)은 시공면에 접촉되어 부착되고, 장판체(300)를 시공면에 시공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306) 및 분리부(307)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장판체(300)를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시공면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에서 접착성을 갖는 접착층(304)은 몸체(301)와 이형층(305) 사이에 위치되어 보호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는 시공면에 시공될 때 장판체(300) 또는 시공면에 대한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의 도포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304)은 보호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는 감길 수 있고, 감긴 상태로 손쉽게 보관되고 운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는 원적외선을 방사할 수 있어, 원적외선으로 인한 건강 증진, 기분 전환 등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에서 이형층(305)이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접착층(304)은 바로 시공면에 부착되어 장판체(300)를 시공면에 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는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면에 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장판체(300)는 집기류가 위치된 시공면에 대해서도 안정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 제조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판체 제조 방법은 장판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써,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장판체(300)의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몸체(301)가 준비되는 단계(S101)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1 단계에서 몸체(301)는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종이 또는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이어서, 방사층(302)이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되는 단계(S102)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2 단계에서, 방사층(302)은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탄소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301)의 일면은 도 3과 도 4를 기준으로 하여 평평하게 이루어진 몸체(301)의 하면을 의미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몸체(301)의 평평한 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방사층(302)은 몸체(301)의 일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S102 단계에서, 방사층(302)은 탄소 잉크를 몸체(301)의 일면에 인쇄함으로써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사층(302)은 몸체(301)의 일면에 견고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편, S102 단계에서, 방사층(302)은 망사 형태로 이루어져,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이어서, 도선(303)이 방사층(302)의 일면에 위치되는 단계(S103)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도선(303)은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지되,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선(303)은 구리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S103 단계에서 도선(303)은 방사층(302)의 일면에 걸쳐 위치될 수 있다.
이어서, 접착층(304)이 방사층(302) 및 도선(303)을 폐쇄하면서 몸체(301)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단계(S104)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4 단계에서, 방사층(302) 및 도선(303)은 접착층(304)에 의해 몸체(301)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특히, S104 단계에서, 접착제가 소정의 두께를 형성하면서 몸체(301)의 일면에 도포됨으로써 접착층(304)이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제는 방사층(302) 및 도선(303)을 폐쇄하면서 몸체(30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S104 단계에서, 접착제를 대신하여 접착시트가 이용될 수 있다. 접착 시트가 몸체(301)의 일면에 대응하도록 위치됨으로써 접착층(304)이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접착 시트는 몸체(301)의 일면 뿐 아니라, 방사층(302) 및 도선(303)에도 부착되어 방사층(302) 및 도선(303)을 몸체(301)의 일면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몸체(301)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어서, 이형층(305)이 접착층(304)의 일면에 위치되는 단계(S105)가 이루어질 수 있다. S105 단계에서, 이형층(305)은 접착층(304)의 일면을 폐쇄한다. 여기서, 이형층(305)의 적어도 일면은 코팅 처리되고, 이형층(305)에서 코팅 처리된 부분은 접착층(304)의 일면과 마주하도록 위치되어 접착층(304)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접착층(304)은 몸체(301)와 이형층(305) 사이에 위치되고 이형층(305)에 의해 직접적으로 보호될 수 있고, 이형층(305)은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의 장판체 제조 방법은 장판체(300)를 제조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장판체 제조 방법에 따른 장판체(300)는 접착성을 갖는 접착층(304)을 몸체(301)와 이형층(305) 사이에 위치시켜 보호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장판체(300)는 시공면에 시공될 때 장판체(300) 또는 시공면에 대한 접착제 또는 접착 시트의 도포를 필요로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장판체 제조 방법은 손쉽게 보관되고 운반될 수 있는 장판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장판체 제조 방법에 따른 장판체(300)는 이형층(305)이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접착층(304)은 바로 시공면에 부착되어 장판체(300)를 시공면에 시공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장판체 제조 방법은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면에 시공될 수 있는 장판체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장판체 제조 방법은 이동부(306)가 설치되는 단계 및 분리부(307)가 설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306)가 설치되는 단계는 이동 샤프트(361) 및 이동 몸체(363)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이동 샤프트(361)가 접착층(304)의 양측면에서 장판체(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동 샤프트(361)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되, 각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층(304)의 양측면에 직교하도록 위치된다. 한편, 이동 샤프트(361)는 접착층(304)으로부터 분리되어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이동 몸체(363)가 이동 샤프트(361)에 연결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몸체(363)는 휠(wheel)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동 몸체(363)의 중앙에는 이동 샤프트(361)가 삽입되고, 이동 몸체(363)는 이동 샤프트(361)를 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분리부(307)가 설치되는 단계는 고정 부재(371) 및 분리 부재(373)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고정 부재(371)가 이형층(305)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 부재(371)는 이형층(305)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와이어 형태의 분리 부재(373)가 고정 부재(371)에 연결되고, 이형층(305)을 따라 위치되는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리 부재(373)의 일종단부가 고정 부재(371)에 연결된 상태에서, 분리 부재(373)는 이형층(305)을 따라 이형층(305)에 접촉되도록 위치될 수 있고, 분리 부재(373)의 타종단부는 이형층(305)의 후단부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이동부(306) 및 분리부(307)는 상호 간에 조합하여 장판체(300)를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시공면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동부(306)가 설치되는 단계 및 분리부(307)가 설치되는 단계는 S105 단계 이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이동부(306)가 설치되는 단계는 S104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분리부(307)가 설치되는 단계는 S105 단계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300: 장판체
101, 301: 몸체
102, 302: 방사층
103, 303: 도선
104, 304: 접착층
105, 305: 이형층
306: 이동부
307: 분리부

Claims (10)

  1. 장판체에 있어서,
    시트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원적외선이 투과될 수 있는 몸체;
    탄소 성분을 갖는 필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몸체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는 방사층;
    방사층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선;
    방사층 및 도선을 폐쇄하면서 몸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접착층; 및
    접착층의 일면에 분리가능하도록 위치되어 접착층을 폐쇄하는 이형층을 포함하되,
    전원이 도선에 공급될 때, 도선은 방사층을 가열하고, 방사층은 원적외선을 몸체를 투과시켜 방사하며,
    장판체는,
    각각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접착층의 양측면에 분리가능하면서 직교하도록 위치되고, 장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 복수 개의 이동 샤프트; 및
    각각 휠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이동 샤프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 개의 이동 몸체를 더 포함하고,
    이동 몸체가 시공면 상에 위치될 때, 이형층은 시공면을 마주하면서 시공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2. 제1항에 있어서,
    방사층은 몸체의 일면에 인쇄된 형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3. 제1항에 있어서,
    방사층은 망사의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장판체는,
    이형층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고정 부재; 및
    와이어 형태로 이루어지되, 고정 부재에 연결되어 이형층을 따라 위치되는 분리 부재를 더 포함하되,
    분리 부재가 당겨져 고정 부재가 이형층을 따라 이동할 때, 이형층의 선단부는 접착층을 따라 이동하고, 이형층은 접착층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6. 장판체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몸체가 펼쳐져 위치되는 단계;
    (b) 탄소 성분을 갖는 방사층이 몸체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는 단계;
    (c) 전기 전도성을 갖는 도선이 방사층의 일면에 걸쳐 위치되는 단계;
    (d) 접착층이 방사층 및 도선을 폐쇄하면서 몸체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단계; 및
    (e) 이형층이 접착층의 일면에 위치되어 접착층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장판체 제조 방법은,
    복수 개의 이동 샤프트가 접착층의 양측면에서 장판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단계; 및
    휠 형상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 이동 몸체가 이동 샤프트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b) 단계는,
    탄소 잉크가 몸체의 일면에 인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b) 단계는,
    망사 형태로 이루어진 방사층이 몸체의 일면에 위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제조 방법.
  9. 삭제
  10. 제6항에 있어서, 장판체 제조 방법은,
    고정 부재가 이형층의 선단부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단계; 및
    와이어 형태의 분리 부재가 고정 부재에 연결되고, 이형층을 따라 위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체 제조 방법.
KR1020190177288A 2019-12-30 2019-12-30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56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88A KR102256200B1 (ko) 2019-12-30 2019-12-30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288A KR102256200B1 (ko) 2019-12-30 2019-12-30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200B1 true KR102256200B1 (ko) 2021-05-26

Family

ID=7613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288A KR102256200B1 (ko) 2019-12-30 2019-12-30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2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0831A2 (en) * 1998-12-18 2000-06-21 W.R. Grace & Co.-Conn. Improved waterproofing membrane having release sheet cutting system
KR200296271Y1 (ko) * 2002-09-04 2002-11-23 조용성 시트형 바닥 발열체
KR100794624B1 (ko) * 2006-11-06 2008-01-14 이한국 원적외선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온열장판
KR20080092601A (ko) * 2007-04-12 2008-10-16 (주) 이레비젼 탄소섬유면상발열체 일체형 장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0831A2 (en) * 1998-12-18 2000-06-21 W.R. Grace & Co.-Conn. Improved waterproofing membrane having release sheet cutting system
KR200296271Y1 (ko) * 2002-09-04 2002-11-23 조용성 시트형 바닥 발열체
KR100794624B1 (ko) * 2006-11-06 2008-01-14 이한국 원적외선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온열장판
KR20080092601A (ko) * 2007-04-12 2008-10-16 (주) 이레비젼 탄소섬유면상발열체 일체형 장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7400B1 (en) A disposable patch for personal aesthetic skin treatment
US20130226269A1 (en) Disposable patch for personal aesthetic skin treatment
US10639497B2 (en) Conformal treatment device for delivering radiation
US20180049941A1 (en) Massage roller
WO2007143430A3 (en) Cosmetic applicators containing heating elements
US10369043B2 (en) Multi-layer heating mat for providing therapeutic heat to an area of the body
US20220072332A1 (en) Patch-type skincare device
WO2006103080A3 (de) Flächenheizeinrichtung
KR102256200B1 (ko) 장판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70140672A (ko) 광에 의해 활성이 강화되는 진통 패치
KR102327319B1 (ko) 원적외선 발생체 및 이의 제조 방법
US11197777B2 (en) Multi-layer heating mat for providing therapeutic heat to an area of the body
CN106999226A (zh) 治疗用能量赋予构造和医疗用处置装置
KR101604294B1 (ko) 발열한지를 이용한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535983B (zh) 具有多电极尾端件的离子电渗设备
KR102011557B1 (ko)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복합식 고데기
KR200353619Y1 (ko) 온열치료기가 부설된 매트
JP3136829U (ja) 足岩盤浴装置
KR101446549B1 (ko) 퍼머시술용 퍼머집게 및 퍼머롯드와 퍼머시트
JP2007175255A (ja) 温熱ブラシ
KR20130056366A (ko) 옥을 함유한 난방필름
KR102263363B1 (ko) 찜질기
KR20150128093A (ko) 탄소발열체를 갖는 변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JPH0745359A (ja) 面状ヒーター
TW20063889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cosmetic applic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