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969B1 -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 Google Patents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969B1
KR102255969B1 KR1020200078455A KR20200078455A KR102255969B1 KR 102255969 B1 KR102255969 B1 KR 102255969B1 KR 1020200078455 A KR1020200078455 A KR 1020200078455A KR 20200078455 A KR20200078455 A KR 20200078455A KR 102255969 B1 KR102255969 B1 KR 10225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construction
halambong
tunnel
elevator
hal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4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공명
이나현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078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96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96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4Function thereof
    • E05Y2201/41Function thereof for clo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Planetary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ing box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the elevating box for tunnel construction used in constructing a tunnel comprising: a floor plate that provides a working space; a frame that makes up an external skeleton; an upper plate that covers an upper side of the frame; and a protection handrail formed on an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wherein a plurality of halam rod holders that can hold a plurality of halam rods used for tunnel construction are formed on the bottom plat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ensuring safety during construction of the tunnel.

Description

터널 시공용 승강함{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Elevator box for tunnel construction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터널 시공시에 터널 굴착을 위하여 차징카를 사용하고 있다. 차징카에 터널 굴착을 위한 천공장치 또는 폭발 장치 등을 가지고 터널 작업 대상으로 접근하여 터널 굴착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할암봉은 파암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고 터널 굴착 작업시에 사용되지는 않고 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할암봉이 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굴착에 사용되기 위한 공법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할암봉이 터널 시공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할암봉을 통한 작업을 행하는 작업자가 터널의 굴착면에 접근하여 굴착 작업 공간에 작업자가 매우 근접해야 한다. 따라서, 굴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낙석 등의 위험에 작업자가 노출되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터널 굴착 규모가 상당하기 때문에 높은 곳에서의 작업이 필요한데 할암봉 작업시에 높은 곳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도 필요하다.In general, a charging car is used for tunnel excavation during tunnel construction. Tunnel excavation work is being performed by approaching the target of the tunnel work with a drilling device or an explosive device for tunnel excavation in the charging car. In addition, Haambong has been used to carry out breaking, and has not been used during tunnel excavation. However, due to various advantages, a construction method has been developed to be used in excavation for constructing a tunnel of Halambong. However, in order for Halambong to be used for tunnel construction, the worker who works through Halambong must approach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tunnel and the worker must be very close to the excavation work space. Therefore, the worker is exposed to the risk of rockfall occurring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and thus a solution is needed. In addition, since the scale of tunnel excavation is considerable, it is necessary to work at a high place, but there is also a need for a plan to reach a high place at the time of haambong work.

이를 위하여,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이 장착된 차량을 통하여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차량의 작업대에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면 여전히 굴착 과정에서 발생하는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다. 또한, 할암봉 작업을 위하여 할암봉을 터널 굴착면에 접근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는데 작업자가 이를 행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육체적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To this end, work may be performed through an elevated ladder or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vated rail. However, when a worker boards the workbench of such a vehicle, the problem of still being exposed to the danger that occurs during the excavation process is not solved. In addition, in order to work on Halambong, it is necessary to keep Halambong close to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but a considerable amount of physical energy is required for the worker to do this.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799794 호 (2017. 11. 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99794 (2017. 11. 15)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널 시공에 할암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가차량에 장착 가능한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that can be mounted on an expensive vehicle in order to be able to use the Halambong for tunnel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널 시공 시에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that can ensure safety during tunnel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터널 시공을 위하여 할암봉을 사용하는 공법에 따를 경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that facilitates work when a method of using a halam rod for tunnel construction is follow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차량에 장착 가능한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that can be mounted on a variety of vehicl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시공에 사용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에 있어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바닥판; 외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터널 시공을 위하여 이용되는 복수 개의 할암봉을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할암봉 거치대가 형성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levating for tunnel construction used in the tunnel construction, the floor plate to provide a working space; A frame constituting an external skeleton; A top plate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frame; Including; a protective railing formed on the top of the floor plate, the floor plat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amam rod cradles for mounting a plurality of hamam rods used for tunnel construction, a lift box for tunnel construction do.

상기 터널 시공용 승강함은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의 작업대에 설치될 수 있다.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may be installed on an elevated ladder or a workbench of an elevated rail.

상기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의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to be installed on the work table of the elevated ladder or the elevated rail.

상기 결합부는 클램프(clamp)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may have a clamp structure.

상기 터널 시공용 승강함의 일측에는 상기 할암봉이 할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may be provided with an open part so that the halam rod can perform halam work.

상기 상판의 하부에는 안전망이 형성될 수 있다.A safety net may be formed under the upper pl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시공에 할암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가차량에 장착 가능한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that can be mounted on an expensive vehicle in order to enable the use of a halambong for tunnel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시공 시에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that can ensure safety during tunnel constru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터널 시공을 위하여 할암봉을 사용하는 공법에 따를 경우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that facilitates work when a method of using a halam rod for tunnel construction is follow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차량에 장착 가능한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that can be mounted on various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의 측면도
도 4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이 고가 레일이 장착된 차량의 작업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에서 사용되는 할암봉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도 5의 할암봉에 포함되는 피스톤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피스톤이 암반을 가압한 초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는 도 6의 피스톤이 암반을 가압한 중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암반을 가압한 후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8의 터널 시공용 승강함에 있어서 할암봉을 꺼내어 터널 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8의 터널 시공용 승강함에서 인출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터널 시공용 승강함에서 할암봉 거치대에 할암봉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is installed on the workbench of a vehicle equipped with an expensive rail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haambong used in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FIG. 6(a) is a view showing a piston included in the halam rod of FIG. 5, and FIG. 6(b)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piston pressurizes the rock mass.
7(a) is a diagram showing a mid-term state in which the piston of FIG. 6 pressurizes the rock mass, and FIG. 7(b) is a view showing a late state in which the rock mass is pressed.
8 is a view showing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nnel work is performed by taking out a halam rod in the elevating and descending tunnel construction of FIG. 8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thdrawal means in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of FIG. 8
11 is a view showing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Haambong is mounted on the Halambong cradle in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of FIG. 11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users or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are only one means for efficiently describ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은 작업자에게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바닥판(11),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의 외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frame; 12), 프레임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판(13), 바닥판의 둘레를 따라 바닥판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의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난간(14)을 포함할 수 있다.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은 금속재, 특히 철재로 이루어져서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로부터 작업자를 충분히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10 is a floor plate 11 for providing a working space to the operator, a frame 12, a frame that forms the outer frame of the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10 It may include a top plate 13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a protective railing 14 form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ottom plate to protect the worker inside.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especially a steel material, so that workers can be sufficiently protected from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during work.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은 터널 시공시 할암봉(100)을 활용하여 터널 굴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업시에 특히 활용될 수 있다. 터널을 굴착함에 있어서 터널의 상부에 대한 굴착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히 높은 곳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이 장착된 차량이 사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은 이러한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의 작업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이 고가 레일이 장착된 차량(20)의 작업대에 설치된 상태는 도 4에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은 차량(20)에 장착된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의 작업대에 설치되어 터널의 높은 부위에 대해서도 터널 굴착 작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할암봉의 동작을 위하여 발전기(50) 등이 할암봉에 연결될 수 있다. 할암봉에 의한 터널 시공 방식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may be particularly used in the operation of enabling tunnel excavation by utilizing the halambong 100 during tunnel construction. When excavating a tunnel, in order to enable excavation to the upper part of the tunnel, it is necessary to enable the operation at a sufficiently high place. To this end, a vehicle equipped with an elevated ladder or an elevated rail may be used, and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worktable of such an elevated ladder or an elevated rail. . In this way, a state in which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is installed on the work table of the vehicle 20 equipped with an expensive rail is shown in FIG. 4. Referring to FIG. 4,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is installed on an elevated ladder mounted on the vehicle 20 or on a working table of an elevated rail, so that tunnel excavation work can be performed even on a high part of the tunnel. In addition, a generator 50 or the like may be connected to the Halambong for the operation of the Halambong. The tunnel construction method using Halambong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그리고, 터널 시공에 할암봉을 사용하는 공법을 위하여 별도의 작업 차량을 제작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이 장착된 차량에 적용될 수 있도록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separate work vehicle for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alam rod for tunnel construction,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monly used expensive ladder or expensive It is desirable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a vehicle equipped with a rail.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이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의 작업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6)는, 예를 들어, 클램프(clamp) 구조로 되어서 작업대에 대한 착탈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Again, referring to FIG. 1, a coupling part 16 may be formed in order to allow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to be installed on an elevated ladder or a workbench of an elevated rail. The coupling portion 16 is, for example, a clamp (clamp) structur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work tabl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은 할암봉(100)이 터널을 굴착하기 위한 면에 삽입되어 할암 작업을 통해 터널을 굴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의 일측에는 할암봉(100)이 할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부(17)를 통해 할암봉(100)이 노출되고 노출된 할암봉(100)이 터널 굴착면에 진입하여 할암 작업에 의하여 터널 굴착면에 대한 터널 시공이 행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may provide a work space in which the halambong 100 is inserted into a surface for excavating the tunnel so that the tunnel can be excavated through a halam operation. Accordingly, an opening 17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so that the halam rod 100 can perform halam operation. The halambong 100 is exposed through the opening 17 and the exposed halambong 100 enters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nd the tunnel construction on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may be performed by the halam opera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의 정면도이다.FIG. 2 is a front view of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FIG. 1.

도 2를 참조하면,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의 바닥면(11) 상에는 터널 시공 작업에 사용되는 할암봉(100)을 거치할 수 있는 할암봉 거치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할암봉(100)이 6개조로 되어 있고, 그에 따라 할암봉 거치대(150)도 6개가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할암봉(100) 및 할암봉 거치대(15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할암 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할암봉(100)은 복수 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할암봉 거치대(150)도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on the bottom surface 11 of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a halam rod holder 150 capable of mounting a halam rod 100 used for tunnel construction may be formed. In Fig. 2, the number of Halambong 100 and Halambong cradle 150 is shown in a group of 6, and accordingly, 6 Halambong cradle 150 is installed, but the number of Halambong 100 and Halambong cradle 150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Howev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halam opera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halam rods 100 are used, and thus a plurality of halam rod holders 150 may also be formed.

도 3은 도 1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the elevator box 10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FIG. 1.

도 3을 참조하면,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의 외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2)의 상측에 형성된 상판(13)은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에 탑승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것일 수 있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하여, 추가적으로 상판(13)의 하측에 안전망(1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안전망(15)은 터널 시공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낙석 등의 사고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큰 사이즈의 암석을 막을 수 있는 망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upper plate 1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frame 12 that forms the outer frame of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10 may be for the safety of the worker boarding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10. have. For the safety of the operator, a safety net 15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3. The safety net 15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et capable of blocking large-sized rocks in order to protect workers from accidents such as falling rocks that may occur during tunnel construction.

도 5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10)에서 사용되는 할암봉(100)을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haambong 100 used in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10).

도 5를 참조하면, 할암봉(100)은 실린더(120) 및 피스톤(110)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20)는 암반에 형성된 천공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공의 내주면과 대응되는 외주면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대응”은 상기 내주면과 상기 외주면이 일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실린더(120)의 지름이 천공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삽입이 될 수 있는 것도 포함하는 의미이다. 실린더(120)는 유압을 제공받을 수 있다. 실린더(120)의 일단에는 유압이 인가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유압라인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유압라인이 유압이 실린더(120)로 제공되는 유압유입라인(121)과 유압이 실린더(120)로부터 유출되는 유압유출라인(122)으로 구분되어 있다. 즉, 유압라인의 구분여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압의 제공 및 유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라면 만족한다.Referring to FIG. 5, the halam rod 100 may include a cylinder 120 and a piston 110. The cylinder 120 may be formed to be inserted through a hole formed in the rock mass. For example, it may be provided 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erforation. Here, "correspondence" means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incide, and the diameter of the cylinder 120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and can be inserted. The cylinder 120 may be provided with hydraulic pressure. A hydraulic line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can be applied or discharged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ylinder 120.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 the hydraulic line is divided into a hydraulic inlet line 121 in which hydraulic pressure is provided to the cylinder 120 and a hydraulic outlet line 122 in which hydraulic pressure is discharged from the cylinder 120. That is, whether the hydraulic lines are divided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tructure in which hydraulic pressure can be provided and discharged is satisfied.

그리고, 피스톤(110)은 상기 천공에 삽입되는 방향인 길이방향으로 기 결정된 간격을 두고 다수 개 배치될 수 있다. 피스톤(110)은 유압이 실린더(120)에 제공됨으로써 실린더(12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돌출되는 방향으로 암반(1)을 가압하여 암반(1)에 균열을 형성시킬 수 있다. 본 예시와 같이 일반적으로는 실린더(12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기 결정된 거리 간격으로 하나씩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형태는 아니고, 동일한 ?렝逃資? 상에서 실린더(120)의 외연으로부터 복수 개의 피스톤(110)이 돌출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istons 110 may b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a direction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The piston 110 may protrude from the cylinder 120 by providing hydraulic pressure to the cylinder 120. It is possible to form a crack in the rock 1 by pressing the rock 1 in the protruding direction. As in this example, generally one by one at predetermined distance intervals along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ylinder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s the same? A plurality of pistons 110 may protrude from the outer edge of the cylinder 120 on the top.

도 6(a)는 도 5의 할암봉(100)에 포함되는 피스톤(110)을 나타낸 도면, 도 6(b)는 피스톤(110)이 암반(1)을 가압한 초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a) is a view showing the piston 110 included in the halam rod 100 of FIG. 5, and FIG. 6(b) is a view showing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 piston 110 presses the rock 1.

도 6(a)를 참조하면, 피스톤(110)은 실린더(120)로부터 돌출되어 암반(1)을 가압할 수 있다. 피스톤(110)은 암반(1)을 가압하는 부분을 각각의 균열유도부로 구분할 수 있다. 균열유도부는 1차균열유도부(111)와 2차균열유도부(112)로 구분된다. 1차균열유도부(111)는 암반(1)에 균열면(C)을 형성하기 위해 암반(1)과의 접촉이 최초로 이루어져 암반(1)에 균열을 형성시키는 부분이다. 또한, 2차균열유도부(112)는 1차균열유도부(111)에 의해 균열이 형성된 암반에 추가균열부(2')를 형성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the piston 110 may protrude from the cylinder 120 to press the rock 1. The piston 110 may divide a portion that presses the rock 1 into each crack inducing portion. The crack induction part is divided into a first crack induction part 111 and a second crack induction part 112. The first crack induction part 111 is a part in which a crack is formed in the rock 1 by first contacting the rock 1 in order to form a crack surface C in the rock 1. In addition, the secondary crack induction part 112 may form an additional crack part 2 ′ in the rock where cracks are formed by the first crack induction part 111.

여기서, 1차균열유도부(111)는 돌출되는 피스톤(110)에 의해 암반(1)과 가장 먼저 접촉되는 구조로서, 피스톤(110)은 암반(1)을 가압하는 가압방향(P)의 최전방에 1차균열부가 위치되고, 1차균열유도부(111)보다 후측에 2차균열유도부(112)가 위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예로써, 도 2(a)를 참조하면, 피스톤(110)의 가압방향(P) 최전방에 1차균열유도부(111)가 형성되고 피스톤(110)의 가운데 위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crack induction part 111 is a structure that firs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ck 1 by the protruding piston 110, and the piston 110 is at the foremost of the pressing direction P for pressing the rock 1 The first crack induction part may be located, and the second crack induction part 112 may be located behind the first crack induction part 111. As a preferred example, referring to FIG. 2(a), the first crack induction part 111 is formed in the foremost front of the pressing direction P of the piston 110 and may be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piston 110.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지만 콘(corn)형상의 경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외될 수 있다. 콘 형상의 경우에는 최전방에 위치한 1차균열유도부(111)에 대응되는 구성에 의해 암반(1)에 균열을 유발할 수 있으나, 1차균열유도부(111)와 암반(1)의 접촉이 점접촉(선접촉이나 면접촉과 비교하여 점접촉에 극히 가까운 형태)이므로, 암반(1)에 형성되는 균열부(2)의 성장방향이 예상하기 어렵고 균열면(C)을 형성할 수 없다.Although the above conditions are satisfied, the case of a cone shape may be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the cone shape, cracks may be caused in the rock mass 1 by a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rack inducing part 111 located at the foremost, but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crack inducing part 111 and the rock mass 1 is a point contact ( Since the shape is extremely close to point contact compared to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the growth direction of the crack 2 formed in the rock 1 is difficult to predict and the crack surface C cannot be formed.

따라서, 균열면(C)의 형성방향을 제어(예상가능한 방향으로 형성시키는 것)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1차균열유도부(111)는 선접촉(점접촉이나 면접촉과 비교하여 선접촉에 극히 가까운 형태)을 통해 암반(1)과 접촉되어 균열을 유발할 수 있다. 즉, 선접촉에 의한 균열을 통해서 균열면(C)이 예상가능한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예상 가능한 범위는 균열면(C)이 대향하는 방향 및 균열면이 형성되는 위치 등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균열부(2)는 가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선형태로 성장되는 것이 아니고 면형태로 성장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control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crack surface (C) (to form it in a predictable direction),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imary crack induction part 111 has a line contact (compared to a point contact or a surface contact). It can cause cracks by contacting the rock (1) through the form extremely close to the line contact). That is, the crack surface (C) can be formed within a predictable range through the crack caused by line contact. The predictable range refers to a direction in which the crack surface (C) faces and a location at which the crack surface is formed. Therefore, the crack portion 2 can be grown in a plane shape rather than in a linear shape as the pressing force increases.

한편, 2차균열유도부(112)는 1차균열유도부(11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각각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은 평면 또는 곡면이 될 수 있다. 2차균열유도부(112)가 경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가압방향(P)으로 점차 돌출되어 암반(1)을 가압하는 과정에서 추가균열부(2')의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 돌출정도에 따라 가압면적이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2차균열유도부(112)의 상기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2차균열부 간에 형성되는 각도인 2차균열유도부 경사각(A)은 130도 내지 160도가 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ary crack induction part 112 may be formed with respective inclined surfaces extending to both sides around the first crack induction part 111. The inclined surface can be a flat or curved surface. Since the secondary crack induction part 112 is formed in an inclined surface, it gradually protrudes in the pressing direction P to induce the formation of the additional crack 2 ′ in the process of pressing the rock 1. The pressing area may vary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otrus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econdary crack induction part 112. The inclination angle (A) of the secondary crack inducing part, which is an angle formed between the secondary cracking parts, may be 130 degrees to 160 degrees.

따라서, 2차균열유도부(112)에 의해 형성된 추가균열부(2')는 1차균열유도부(111)에 의해 발생한 균열부(2)의 주변부에 형성될 수 있다. 피스톤(110)의 가압에 의해 발생한 균열의 영향부(도 6(b)의 3)는 상기 균열부(2) 및 추가균열부(2')를 포함하는 영역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ditional crack portion 2 ′ formed by the secondary crack inducing portion 112 may be formed at the periphery of the crack portion 2 generated by the first crack inducing portion 111. The affected part (3 in FIG. 6(b)) of the crack generated by the pressure of the piston 110 may be formed over a region including the crack part 2 and the additional crack part 2 ′.

도 6(b)를 참조하면, 균열부(2)를 포함하는 영역에 영향부(3)가 형성된 것을 나타내고, 균열부(2)를 제외한 영향부(3)의 영역 내에는 추가균열부(2')가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균열부(2)는 1차균열유도부(111)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1차균열유도부(111)와 접촉된 지점으로부터 가압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된다. 여기서 연장형성은 가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균열의 정도가 증가되고 균열의 증가방향이 가압방향(P)을 향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균열부(2)의 증가로 인해 영향부(3)의 영역도 증가될 수 있다. 물론, 균열부(2)의 증가과정에서는 가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기 때문에 추가균열부(2')의 형성 및 연장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it shows that the affected area 3 is formed in the area including the crack 2, and the additional crack 2 is in the area of the affected area 3 excluding the crack 2 ') is formed. Here, the crack part 2 is formed by the first crack inducing part 111 and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point in contact with the first crack inducing part 111 toward the pressing direction. Here, the elongation formation means that the degree of cracking increases as the pressing force increases, and the increasing direction of the crack is formed toward the pressing direction (P). And, due to the increase of the crack portion 2, the area of the affected portion 3 may also be increased. Of course, in the process of increasing the crack portion 2, since the pressing force is continuously increased, the formation and extension of the additional crack portion 2'can be made.

도 7(a)는 도 6의 피스톤이 암반(1)을 가압한 중기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b)는 암반(1)을 가압한 후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7(a) is a diagram showing a mid-term state in which the piston of FIG. 6 presses the rock 1, and FIG. 7(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late state in which the rock 1 is pressed,

도 7(a)를 참조하면, 추가균열부(2')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도 6(b)로부터 보다 가압력이 더 작용하게 되면, 도 7(a)의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균열부(2)의 형성이 된 후에 가압력이 보다 강하게 작용하면, 균열부(2)의 성장 및 추가균열부(2')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도 3(a)로부터 가압력이 더 증가되어 균열부(2)의 성장 및 추가균열부(2')의 성장과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7 (a), it shows that the additional crack (2') is formed. If the pressing force is applied more than from FIG. 6(b), it may be the state of FIG. 7(a). That is, if the pressing force acts more strongly after the crack portion 2 is formed, the crack portion 2 may grow and the additional crack portion 2'may be formed. Referring to FIG. 7(b), since the pressing force from FIG. 3(a) is further increased, the crack portion 2 may be grown and the additional crack portion 2'may be grown and formed.

여기서, 균열부(2) 및 추가균열부(2')를 포함하는 영역이 영향부(3)가 될 수 있다. 상기 영향부(3)는 실린더(120)로부터 일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할암을 수행하기 위해 암반(1)에 다수 개의 할암봉(100)을 삽입하여 주변에 배치된 할암봉(100) 간에 위치된 암반(1)이 파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주변에 배치된 두 할암봉(100)은 상기 일방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영향부(3)가 중첩될 수 있고, 중첩된 영향부(3)는 암반(1)능 파쇄하게 괴고 균열면(C)이 노출될 수 있다. 즉, 중첩된 영향부(3)가 균열면(C)이 될 수 있다.Here, the region including the crack portion 2 and the additional crack portion 2'may be the affected portion 3. The influence part 3 may be formed in one direction from the cylinder 120.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halam, a plurality of halam rods 100 are inserted into the rock mass 1 so that the rock mass 1 positioned between the halam rods 100 disposed around may be crushed. To this end, the two hamam rods 100 disposed in the periphery may be disposed so that one of them faces each other. Accordingly, the affected part 3 may be overlapped, and the overlapped affected part 3 may be crushed and the crack surface C may be exposed. In other words, the overlapped impact portion 3 may become the crack surface C.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2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8 is a view showing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터널 시공용 승강함(20)은 할암봉 거치대(250)가 터널 시공용 승강함(20)의 터널에 대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할암봉 거치대(250)가 터널 작업이 이루어지는 측에 수직방향으로 할암봉(100)을 삽입할 수 있는 삽입구를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할암봉 거치대(250)가 터널 작업이 이루어지는 측에 위치하므로 작업자는 할암봉(100)을 할암봉 거치대(250)에서 들어올려서 바로 작업에 적용할 수 있다. 할암봉(100)이 할암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펌프(미도시됨)를 거치할 수 있는 펌프 거치대(25)는 할암봉 거치대(250)가 위치하는 곳의 반대 측에 위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20 may be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haambong cradle 250 is performed on the tunnel of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20. More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halam rod holders 250 may be formed in a shape having a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halam rod 100 can be insert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where the tunnel operation is performed. Since the Halambong cradle 250 is located on the side where the tunnel work is performed, the worker can lift the halambong 100 from the halambong cradle 250 and apply it to the work immediately. The pump cradle 25 capable of mounting a pump (not shown) that allows the halam rod 100 to perform the halam operation may b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place where the halam rod cradle 250 is located.

펌프 거치대(25)에 거치된 펌프와 할암봉(100) 간에는 펌프에서 공급하는 유압이 전달되는 유압유입라인 및 유압유출라인(미도시됨)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전달라인이 터널 시공용 승강함(20)의 바닥판(21)의 아래를 따라 펌프와 할암봉(100)을 연결하여 유압유입라인 및 유압유출라인이 작업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고 미관상 깔끔하게 할 수 있다.A hydraulic inlet line and a hydraulic outlet line (not shown) through which hydraulic pressure supplied from the pump is transmitted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pump mounted on the pump holder 25 and the haambong 100.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 transmission line connects the pump and the halam rod 100 along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21 of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20 so that the hydraulic inlet line and the hydraulic outlet line do not interfere with the work. You can do it neatly in terms of aesthetics.

할암봉 거치대(250)에서 할암봉(100)을 꺼냈다가 다시 할암봉 거치대(250)로 거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각 할암봉(100) 마다 복귀수단(260)이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귀수단(260)은 라인(260a)을 감고 있는 회전수단일 수 있다. 복귀수단(260)은 모터와 같은 동력수단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할암봉(100)을 꺼내는 동안은 복귀수단(260)에 감겨 있는 라인(260a)이 풀려서 할암봉(100)에 딸려 나와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작업이 마감된 경우와 같이 할암봉(100)을 다시 복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복귀수단(260)을 구동하여 복귀수단(260)이 라인(260a)을 다시 감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라인(260a)이 감기면서 할암봉(100)이 다시 할암봉 거치대(250)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In order to facilitate the removal of the Halambong 100 from the Halambong cradle 250 and then mounting it back to the Halambong cradle 250, in this embodiment, the return means 260 is corresponding to each halambong 100 Can be formed. The return means 260 may be a rotating means winding the line 260a. The return means 26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means such as a motor. While the user pulls out the halambong 100, the line 260a wound around the return means 260 may be released and come out of the halambong 100. And, when it is necessary to return the halambong 100 again, such as when the work is finished, the return means 260 may be driven so that the return means 260 rewinds the line 260a. Then, while the line 260a is wound, the halam rod 100 may be inserted into the halam rod holder 250 again.

도 9는 도 8의 터널 시공용 승강함(20)에 있어서 할암봉(100)을 꺼내어 터널 작업을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tunnel operation is performed by taking out a halam rod 100 in the elevator box 20 for tunnel construction of FIG. 8.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할암봉(100)을 할암봉 거치대(250)에서 꺼내고 터널 작업측에 형성된 선반(28)에 할암봉(100)을 걸친 상태로 터널 작업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선반(28)을 형성하여 사용자가 할암봉(100)을 사용하는 경우에 선반(28)에 걸친 상태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피로를 낮출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user can perform a tunnel operation while taking out the halam rod 100 from the halam rod holder 250 and placing the halam rod 100 on the shelf 28 formed on the tunnel working side. In this embodiment, the shelf 28 is formed so that when the user uses the halam rod 100, the user can work in a state that spans the shelf 28, thereby reducing the user's fatigue.

여기에서 사용자가 터널에 대한 할암 작업을 완료하면 복귀수단(260)을 통해 할암봉(100)을 다시 할암봉 거치대(250)에 거치되도록 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Here, when the user completes the halam operation for the tunnel, it is as described above that the halambong 100 is again mounted on the halambong cradle 250 through the return means 260.

도 10은 도 8의 터널 시공용 승강함(20)에서 인출수단(29)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withdrawal means 29 in the elevator box 20 for tunnel construction of FIG. 8.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복귀수단(260)과 별도로 인출수단(29)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할암봉(100)을 이용하여 할암 작업을 하는 동안 터널면에 할암봉(100)이 끼어서 사람의 힘으로 할암봉(100)을 빼낼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사람이 억지로 할암봉(100)을 빼내려고 하다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출수단(29)에 감겨 있는 인출선(29a)을 할암봉(100)에 연결하고 인출수단(29)을 구동하여 할암봉(100)을 터널면에서 꺼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출수단(29)을 구동하는 동력은 고출력일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this embodiment, a withdrawal means 29 may be formed separately from the return means 260. There may be a case in which the user's halam rod 100 is stuck in the tunnel surface while the user performs halam work using the halam rod 100, so that the halam rod 100 cannot be pulled out by the force of a person. In this case, a safety accident may occur while a person is forcibly trying to pull out the halambong (100).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ead line 29a wound around the withdrawal means 29 may be connected to the halambong 100 and the halambong 100 may be taken out from the tunnel surface by driving the withdrawal means 29. To this end, the power driving the withdrawal means 29 may be of high output.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30)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의 터널 시공용 승강함(30)에서 할암봉 거치대(350)에 할암봉(100)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FIG. 11 is a view showing the elevator box 30 for tunnel construc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view showing a halam rod (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100) is mounted. In this embodiment, a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common to the previous embodiment will be omitted.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널 시공용 승강함(30)에서는 앞선 실시예와 유사하게 할암봉 거치대(350)가 터널 시공용 승강함(30) 중 터널 작업 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할암봉 거치대(35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할암봉(100)이 사용될 때 작업 방향과 유사하게 할암봉 거치대(250)에서의 할암봉(100)의 거치 방향이 평행하게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할암봉 거치대(350)에서 할암봉(100)을 꺼내거나 작업이 완료되어 할암봉(100)을 다시 할암봉 거치대(350)에 거치할 때 할암봉(100)을 다시 고쳐 잡지 않아도 된다. 즉, 할암봉(100)을 할암봉 거치대(350)에서 빼낸 상태 그대로 할암봉(100)을 사용하여 작업을 할 수 있고, 할암봉(100)을 가지고 작업하던 상태 그대로 약간만 이동하여 할암봉 거치대(350)에 할암봉(100)을 거치할 수 있다.11 and 12, in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imilar to the previous embodiment, the Halambong cradle 350 is located on the tunnel side of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30 can do. However, the Halam rod holder 350 is not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but is formed so that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halam rod 100 in the halam rod holder 250 is parallel to the working direction when the halam rod 100 is used. Can be. Through this, when the user pulls out the halambong 100 from the halambong cradle 350 or when the work is completed and mounts the halambong 100 on the halambong cradle 350 again, the halambong 100 is re-fixed to the magazine. You don't have to.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work with the Halambong 100 as it is removed from the Halambong cradle 350, and move only a little while working with the Halambong cradle (100). Halambong (100) can be mounted on 350).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할암봉 거치대(350)에서 할암봉(100)을 꺼내거나 할암봉(100)을 할암봉 거치대(350)에 거치할 때 사용자의 피로를 낮추고 사용자의 인력이 적게 사용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ser takes out the halambong 100 from the halambong cradle 350 or mounts the halambong 100 on the halambong cradle 350, the user's fatigue is reduced and the user's manpower is reduced. Can be used.

본 실시예에서도 터널 시공용 승강함(30)의 작업하는 측에 선반(38)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할암봉(100)을 가지고 작업하는 동안 작업 피로도를 낮추고 작업 시 할암봉(100)을 놓치거나 할암봉(100)의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Even in this embodiment, the shelf 38 is formed on the working side of the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30 to reduce work fatigue while the user works with the halam rod 100 and miss the halam rod 100 dur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halam rod 100 from shifting.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복귀수단을 이용하여 할암봉(100)을 할암봉 거치대(350)에 거치할 때 쉽게 복귀되도록 할 수도 있고, 할암봉(100)에 유압을 공급하는 펌프(미도시됨)와 할암봉(100) 간의 유압유입라인 및 유압유출라인을 바닥판(21)의 아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시 유압유입라인 및 유압유출라인에 의해 작업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lso in this embodiment, when the halambong 100 is mounted on the halambong cradle 350 by using the return means, it may be easily returned, and a pump (not shown) that supplies hydraulic pressure to the halambong 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on from being disturbed by the hydraulic inflow line and the hydraulic outflow line during operation by placing the hydraulic inflow line and the hydraulic outflow line between the halam rods 100 below the bottom plate 21.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and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ose equivalents to the claims.

10, 20, 30 : 터널 시공용 승강함
11, 21, 31 : 바닥판
12, 22 : 프레임
13 : 상판
14, 24, 34 : 보호 난간
15 : 안전망
16 : 결합부
17 : 개방부
25 : 펌프 거치대
28, 38 : 선반
29 : 인출수단
100 : 할암봉
110 : 실린더
120 : 피스톤
121 : 유압유입라인
122 : 유압유출라인
150, 250, 350 : 할암봉 거치대
260 : 복귀수단
10, 20, 30: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11, 21, 31: bottom plate
12, 22: frame
13: top plate
14, 24, 34: guard railing
15: safety net
16: coupling part
17: opening
25: pump holder
28, 38: shelves
29: withdrawal means
100: Halambong
110: cylinder
120: piston
121: hydraulic inlet line
122: hydraulic outlet line
150, 250, 350: Haambong holder
260: return means

Claims (6)

터널 시공에 사용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에 있어서,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바닥판;
외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판;
상기 바닥판의 상부에 형성되는 보호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에는 터널 시공을 위하여 이용되는 복수 개의 할암봉을 거치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할암봉 거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할암봉 거치대 중 적어도 일부에서 이탈된 할암봉을 다시 상기 할암봉 거치대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복귀수단이 상기 복수 개의 할암봉 거치대의 인근에 형성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
In the elevating for tunnel construction used for tunnel construction,
A bottom plate providing a working space;
A frame constituting an external skeleton;
A top plate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frame;
Including; a protective railing formed on the top of the bottom plate,
The floor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alambong cradles capable of mounting a plurality of halambongs used for tunnel construction,
A plurality of return means for returning the halambong separated from at least a portion of the plurality of halambong cradles back to the halambong cradle is formed in the vicinity of the plurality of halambong cradles, a tunnel construction elevating box.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널 시공용 승강함은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의 작업대에 설치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is installed on an elevated ladder or a workbench of an elevated rail, a tunnel construction elevator.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가 사다리 또는 고가 레일의 상기 작업대에 설치되기 위한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for being installed on the work table of the elevated ladder or the elevated rail.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클램프(clamp) 구조를 가지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
The method of claim 3,
The coupling portion has a clamp structure, elevating for tunnel constru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널 시공용 승강함의 일측에는 상기 할암봉이 할암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is formed with an opening portion opened so that the hallam rod can perform the hallam operation, the tunnel construction lift box.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하부 공간에는 안전망이 형성되는, 터널 시공용 승강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afety net is formed in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plate, the elevator for tunnel construction.
KR1020200078455A 2020-06-26 2020-06-26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KR10225596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55A KR102255969B1 (en) 2020-06-26 2020-06-26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455A KR102255969B1 (en) 2020-06-26 2020-06-26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969B1 true KR102255969B1 (en) 2021-05-25

Family

ID=7614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455A KR102255969B1 (en) 2020-06-26 2020-06-26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96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777A (en) * 1992-10-15 1994-10-25 Masatoshi Uchihashi Machine drill for hydraulic shovel excavator
JPH09217595A (en) * 1996-02-15 1997-08-19 Taisei Corp Timbering erection method
KR101799794B1 (en) 2017-04-26 2017-11-21 지원섭 Composite Wedge shaped Rock splitting device and Splitt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9777A (en) * 1992-10-15 1994-10-25 Masatoshi Uchihashi Machine drill for hydraulic shovel excavator
JPH09217595A (en) * 1996-02-15 1997-08-19 Taisei Corp Timbering erection method
KR101799794B1 (en) 2017-04-26 2017-11-21 지원섭 Composite Wedge shaped Rock splitting device and Splitting Method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7737B2 (en) Armouring system for self-propelled work machines
JP4763362B2 (en) Crushing hammer, crushing hammer fixing elements, side plates and protective casing
KR102255969B1 (en) Elevating box for excavating tunnel
DE602009000774D1 (en) Protective structure for the cab of a construction machine
JP2007275734A (en) Crusher
CN113352036B (en) Welding device and welding method for processing welding seam for steel structural member
JP2019505441A (en) Vehicle maintenance dock
US10668684B1 (en) Hydraulic jack for hand tool repair
CN211205070U (en) Underwater blasting entity protection device
CN210358973U (en) Numerical control bending machine
KR101599698B1 (en) Tunnel Operation Platform
CN105649127B (en) A kind of quick change accessory bindiny mechanism
ITPC20110013U1 (en) VEHICLE UPPER PROTECTION STRUCTURE.
US2199337A (en) Percussive mechanism
CN206926598U (en) A kind of automotive trim structure
NL2013140B1 (en) Longitudinal road barrier segment for temporary use and method for coupling and de-coupling such road barrier segments.
US20170145754A1 (en) Drill basket
US6802377B2 (en) Hammer mounting apparatus
KR102051601B1 (en) Elevator transfer system for machine tool
CN204920179U (en) Construction operation platform
CN216110751U (en) Protection device for preventing soft rock tunnel working face from falling rocks
CN214082441U (en) Hot press with protector for machining automotive interior die carrier
Robertson et al. Best practices and bolting machine innovations for roof screening
US9605802B2 (en) Machine housing with rope stop safety
KR102048299B1 (en) Guide plate provided in the module frame for collecting oil s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