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863B1 - Mop - Google Patents

Mo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863B1
KR102255863B1 KR1020200041325A KR20200041325A KR102255863B1 KR 102255863 B1 KR102255863 B1 KR 102255863B1 KR 1020200041325 A KR1020200041325 A KR 1020200041325A KR 20200041325 A KR20200041325 A KR 20200041325A KR 102255863 B1 KR102255863 B1 KR 10225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onnection
cleaning
cleaning member
lower surf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1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승휘
Original Assignee
김승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휘 filed Critical 김승휘
Priority to KR1020200041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mop cleaner, capable of cleaning using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head while rotating the head by attaching a cleaning member to both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When the mop cleaner is connected to a connection socket coupled to the handle to be rotatable to separate the head from the cleaning surface, and when the head is rotated to stand up by its own weight for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is pressurized after the head touches the cleaning surface, the head is rotated for any one sele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The head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so as to overlap each other and be folded, and thus after the cleaning member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both end portions may include a head unit fixed by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overlapping surfaces.

Description

밀대 청소기{MOP}Pusher vacuum cleaner{MOP}

본 발명은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부에 클리닝부재를 부착하여 청소면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닦아 제거할 수 있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leaner capable of wiping and removing foreign substances on a cleaning surface by attaching a cleaning member to a head portion.

일반적으로 밀대 청소기는 손잡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헤드에 걸레나 1회용 청소포 또는 물청소포 등과 같은 각종 클리닝부재를 결합시켜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장소에서 바닥이나 각종 청소면을 닦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청소도구이다.In general, a push rod cleaner is a cleaning tool that enables cleaning by wiping the floor or various cleaning surfaces in places such as homes or offices by combining various cleaning members such as a mop, disposable cleaning cloth, or water cleaning cloth with a head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andle. to be.

이와 같은 밀대 청소기의 경우 헤드 상부면에 직물이나 부직포 소재로 제작된 클리닝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복수개의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클리닝부재가 상기 헤드의 바닥면을 감싸도록 상기 클리닝부재의 모서리부를 상기 결합부에 결합시킨 후, 상기 클리닝부재가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헤드를 청소면에 가압시킨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를 전후좌우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청소면의 각종 이물질을 닦아내어 청소를 진행하게 된다.In the case of such a pusher cleaner, a plurality of coupling portions for coupling a cleaning member made of a fabric or non-woven fabric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so that the cleaning member surrounds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d, so that the corner portion of the cleaning member is the coupling portion. After bonding to the cleaning member, the head is pressed against the cleaning surface so that the clean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and the head is slid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using a handle, to wipe off various foreign substances on the cleaning surface to proceed with cleaning.

이러한 밀대 청소기의 경우, 사용자가 앉아서 바닥 등과 같은 청소면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닦아내지 않고 선 자세로 이동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넓은 공간을 빠르게 청소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ase of such a push-stick cleaner, it is widely used because it allows the user to clean by moving in a standing position without wiping off foreign substances on the cleaning surface such as the floor, etc., thereby solving the user's discomfort and quickly cleaning a large space. to be.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에는 헤드부를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를 할 수는 있으나 손잡이가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하좌우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특성 상, 상기 헤드부의 하부면에만 클리닝부재를 밀착시켜 사용할 수 있을 뿐, 헤드부의 상부면은 상기 손잡이부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클리닝부재를 밀착시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eneral vacuum cleaner as described above, the cleaning surface can be cleaned while freely rotating the head part up and down, left and right,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handle is connected to rotat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the head par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member can only be used in close contact with only the low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cannot be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member due to interference with the handle.

한편, 상기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에는 헤드부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기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부가 존재하게 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를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부와 수평하게 접는다 하더라도 상기 헤드부의 상부면으로부터 연결부가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어 있으므로 옷장이나 서랍장과 벽면 사이의 틈새나 냉장고와 벽면 사이의 틈새 등과 같이 좁은 틈새에는 상기 헤드부를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eneral vacuum cleaner, a connection par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head part and the handle part is present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so that the handle part is rotated around the connection part and horizontally folded with the head part Even so, since the connection part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part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ead part cannot be inserted and cleaned in a narrow gap such as a gap between a closet or a drawer and a wall, or a gap between a refrigerator and a wall.

따라서, 최근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252호(고안의 명칭 : 청소기)에 개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와 수평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분리 교체 가능하게 탄성패널을 결합하여 상기 탄성패널의 양측면에 클리닝부재를 부착시켜 상기 탄성패널의 양측면 모두를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좁은 틈새에도 상기 클리닝부재가 부착된 탄성패널을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청소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recently,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1252 (name of the design: vacuum cleaner), an elastic panel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portion so as to be horizontal with the handle portion to be clean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panel. There is a situation in which a cleaner that can clean the cleaning surface using both sides of the elastic panel by attaching a member, as well as cleaning by inserting the elastic panel to which the cleaning member is attached to a narrow gap, has been developed and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탄성패널을 손잡이부와 수평하도록 결합시킨 종래의 청소기의 경우 일반적으로 손잡이부가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서 보관하는 청소기의 특성 상, 상기 손잡이부를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서 보관하게 되면 탄성적으로 휘어지는 상기 탄성부재가 손잡이부의 중량과 탄성부재의 자중에 의해 일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보관됨으로써 소정시간 이상 세워서 보관하게 되면 상기 탄성부재의 형태가 휘어진 상태가 되도록 변형되어 탄성부재가 청소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밀착되지 않아 청소면의 청소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vacuum cleaner in which the elastic panel as described above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handle portion, in genera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handle portion is kept standing so as to be supported on a wall, etc. When the flexible elastic member is stored in a state bent to one side by the weight of the handle and the self-weight of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is de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is bent when stored for a predetermined time or longer, so that the elastic member does not adhere evenly to the cleaning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cleaning surface is lowered.

또한, 상기 탄성부재가 손잡이부와 수평하게 결합된 탄성부재의 양측면을 모두 이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는 종래의 일반적인 청소기의 경우 탄성부재의 매우 좁은 하부면만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로 손잡이부가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져 보관됨으로써 청소기에 매우 작은 외력이 가해지기만 하면 청소기가 넘어지는 등 세워서 보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eneral vacuum cleaner in which the elastic member can clean the cleaning surface using both sides of the elastic member horizontal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only the very narrow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and the handle par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it upright, such as topple over, if a very smal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vacuum cleaner by being stored upright to be supported.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패널을 손잡이부에 수평하게 결합시킨 청소기의 경우에는 청소 시 탄성패널을 청소면에 가압하여 휘어진 상태로 밀착시켜 청소를 하게 되는 특성 상, 청소 시 클리닝부재가 부착된 상기 탄성패널을 청소면에 가압하여 밀착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패널의 끝단부의 경우 청소면에 밀착되지 않고 청소면으로부터 들떠있는 상태가 됨으로써 탄성패널 전체가 균일한 힘으로 청소면에 밀착되지 않아 청소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vacuum cleaner in which the elastic panel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handle, the elastic panel to which the cleaning member is attached during cleaning is performed by pressing the elastic panel to the cleaning surfac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When the elastic panel is pressed and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panel does not adhere to the cleaning surface, but is in a state of being lif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so that the entire elastic panel does not adhere to the cleaning surface with a uniform force, thereby reducing cleaning efficiency.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0153호(2015.10.07.)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560153 (2015.10.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1877호(2019.11.01.)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41877 (2019.11.0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252호(2014.02.04.)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1252 (2014.02.04.)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클리닝부재를 헤드의 상, 하부면에 모두 부착시켜 상기 헤드를 회전시켜 가면서 상기 헤드의 상, 하부면을 모두 이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er cleaner capable of cleaning using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while rotating the head by attaching a cleaning member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청소기로 평평한 청소면과 각종 틈새 청소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잡이부를 세워서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보관한다 하더라도 헤드의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sher cleaner that not only can clean a flat cleaning surface and various gaps with a single cleaner, but also does not deform a head even if the handle is erected and stored so as to be supported on a wall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적은 힘만 손잡이부에 가하게 되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탄성패널 전체가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청소면 상태에 상관없이 클리닝부재 전체를 항상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면을 닦아 낼 수 있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user applies only a small force to the handle, the elastic panel is variab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ing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through the handle, so that the entire elastic panel is elastically adhered to the cleaning surface. Thus, regardless of the state of the cleaning surface, the entire cleaning member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to provide a swab cleaner capable of wiping the cleaning surfa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리닝부재의 원단 종류나 크기 및 두께에 제한 없이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두께가 매우 얇은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경우에도 쿠션감 있게 청소면에 전체면을 견고하게 밀착시킨 상태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는 밀대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fficient cushioning feeling without limitation on the type, size, and thickness of the cleaning member, so that even in the case of a disposable cleaning member having a very thin thickness, the cleaning surface is firmly adhered to the cleaning surface with a feeling of cushioning. It is to provide a swab cleaner that can be wiped off.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In addition, detailed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through specific cont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되고, 상기 헤드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 하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가 회전되며, 상기 헤드는 상, 하 이분되어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클리닝부재가 상, 하부면과 전, 후방면을 둘러싼 후 양측 끝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는 면 사이로 끼워져 고정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를 제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ead is rotatably connected to a connection socket that is coupled to the handle and separates the head from the cleaning surface, the head is rotat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the head is in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After pressing, the head is rotated so th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and the head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verlapped and folded. , A pusher cleaner including a head unit that surrounds the rear surface and then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surfaces at which both end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s provided.

일예를 들면,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결합부와, 상기 회전 결합부에 상단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와 하단부 사이에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연결부 및,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되며, 제1, 2 헤드부로 상, 하 이분되어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클리닝부재가 상, 하부면과 전, 후방면을 둘러싼 후 양측 끝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는 제1, 2 헤드부 사이로 끼워져 고정되는 헤드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unit includes at least one rotation coupling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an upper end portion fixedly connect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and a rotation space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When the side of the head connec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cleaning surface, the self-weigh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is rotated and standing by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and is formed so as to be folded and overlapped with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so that the cleaning member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n the first and second end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It may include a head that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head portion.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헤드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에 마련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unit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ember attaching means provided on the head so as to detachably attach the cleaning membe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일예를 들면,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연결소켓의 하단부에 좌, 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tation coupling part may include a connection bracke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ocket, and a connection block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is inserted and fixedly connected. have.

일예를 들면,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 연결부와,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삽입된 제1 연결부를 관통하여 연결블록에 상기 제1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블록에 체결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전 결합부와의 사이에 헤드가 회전되는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헤드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헤드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제1,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의 헤드부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connection part penetrates the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lock of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to be fastened, and the first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lock of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fixes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the connection block.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the head side so that a rotation space through which the head is rotated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member fastened to the connection block so that the rotational connection part is rotated,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It may include a thir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ad and rotatably connected to a side portion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of the head.

또한,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제3 연결부를 따라 헤드가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부로부터 상기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connection part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head from sliding along the third connection part or separation of the head from the third connection part.

일예를 들면,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된 제3 연결부에 마련되는 고정 홈과, 상기 고정 홈에 체결되는 이탈 방지 링 및, 상기 이탈 방지 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이동 방지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may be provided inside the head so as to support a fixing groove provided in a third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head, a separation prevention ring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It may include a protruding movement preventing block.

한편, 상기 헤드는 상기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는 제1, 2 헤드부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서로 포개어지는 제1, 2 헤드부 사이로 끼워지는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fixing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overlapping each other while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to be folded and fixed to each other. I can.

일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 홈부 및, 상기 제1, 2 헤드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2 헤드부가 서로 포개어져 접혀졌을 시 상기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means i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and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overlap each other. When folded, the clean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can be pressed and fixed.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2 헤드부 사이에 삽입되는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의 일부를 삽입하여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cutout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s so as to insert and insert some of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s. Can include.

일예를 들면, 상기 헤드는 내부에 웨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weight may be inserted into the hea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무게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head may have different weights on both sides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의 센터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될 수도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head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side portion at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may be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head connection portion.

한편,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ad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elastic panel coupled to the head.

여기서, 상기 탄성패널은 상기 헤드와의 사이에 헤드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헤드의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탄성적으로 휘어진 형태로 상기 헤드에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elastic panel may be coupled to the head in a form that is elastically curved in a convex arch shape in a lower or upper direction of the head so that an elastic space portion penet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ead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어 한 번의 클리닝부재 부착만으로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에 비하여 오염된 클리닝부재의 교체 시간이 대폭 연장됨으로써 청소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있는 효과가 있다.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clea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by alternately contacting the cleaning surface to clea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alternately with only one attachment of the cleaning member. Therefor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ontaminated cleaning member is significantly extend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usher cleaner, so that convenience in use during cleaning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헤드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로 헤드에 힘을 가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연결부를 중심으로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손잡이부와 연결소켓 및 헤드가 수평이 되도록 하면 가구나 가전제품과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나, 창틀, 문틀, 창문과 창문 사이의 틈새, 바닥면과 소파 사이의 틈새 등과 같은 각종 틈새의 청소까지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force to the head while the user grips the handle after attaching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to the cleaning surface, like a conventional pusher cleaner. In addition to cleaning the cleaning surface, if the handle part is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so that the handle part, the connection socket, and the head are horizontal, the gap formed between the furniture or home appliance and the wall surface, window frames, door frames, windows and window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clean various gaps such as gaps, gaps between the floor surface and the sofa.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하나의 청소기로 바닥면이나 벽면 등과 같은 평평한 면과 각종 틈새 청소까지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청소기 구매 부담까지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clean flat surfaces such as floors or walls and various gaps with a single cleaner, thus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and reducing the user's burden of purchasing a clean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클리닝부재 전체를 헤드의 상, 하부면에 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청소 시 상기 클리닝부재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 사이에 슬립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청소 시 클리닝부재로 인한 단차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클리닝부재 전체가 항상 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is used, the entire cleaning member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for cleaning. There is no slip phenomenon at all, so there is no step caused by the cleaning member during cleaning, so that the cleaning surface can be wiped while the entire cleaning member is always stably adhered to the cleaning surface, thus further improving the cleaning efficiency. There is.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 일회용 클리닝부재를 사용하게 될 시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를 헤드 상부로 접어 올려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 모서리를 헤드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 홈부에 삽입하여 클리닝부재를 헤드에 고정시키는 특성 상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밀대용 청소기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클리닝부재 전체가 헤드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낭비되는 면적 없이 클리닝부재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부재의 소모량을 종래의 밀대 청소기에 비해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eneral pusher cleaner, when a disposable cleaning member is use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leaning member are folded up to the top of the head, and the front and rear corners of the cleaning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ead to clean the cleaning member.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leaning member cannot be used at all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fix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head. However, when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is used in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clean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Since the entire cleaning member can be used without wasted area by being attached by means of the cleaning member,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membe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usher cleaner, and thus there is excellent effect in terms of resource sav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헤드와 탄성패널 사이에 탄성 공간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패널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 전체가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leaning surface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exerted by the user through the handle part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anel, while an elastic space part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and the elastic panel in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elastic panel is variably deformed, the entire cleaning member elastically adheres to the cleaning surface with a greater force, so that the user can clean the cleaning surface more cleanly with less force, so that cleaning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도 클리닝부재 전체를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고도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 전체를 청소면에 밀착시켜 클리닝부재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fficient cushioning feeling to firmly adhere the entire cleaning member to the cleaning surface even when cleaning using a cleaning member such as a disposable cleaning cloth made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very thin thickness. Therefore, even if the user applies less force, the entire cleaning membe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with a greater force, and the cleaning surface can be wiped using the entire cleaning member, so that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greatly improved.

또한, 보관 시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마찬가지로 헤드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로 손잡이부를 벽면 등에 기대어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상의 편의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during storage, the handle can be stored while leaning against a wall or the like while the hea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imilar to a conventional pusher cleaner, so that convenience in storage can be secured.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는 청소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나의 청소기로 평평한 청소면과 각종 틈새까지도 청소할 수 있으며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소모량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청소기 및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구매 부담을 대폭 줄여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까지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Ultimately, the push rod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cleaning efficiency to provide convenience for cleaning to the user, and can also clean a flat cleaning surface and various gaps with a single cleaner. Since consumption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not only can the user's purchase burden of a vacuum cleaner and disposable cleaning member be greatly reduced, but also resources can be saved.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Other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early understood and understood by experts or researchers in this technical field during the process of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or through the detailed contents described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헤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이탈 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헤드가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제2 헤드부를 제1 헤드부에 포개서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
도 10 내지 도 11은 손잡이부와 연결소켓을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헤드유닛 측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head unit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departure preventing means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ead is upright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d is folded over the first head
6 to 8 are detailed views for explaining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1 are views showing a state that the handle part and the connection socket ar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coupling part and folded toward the head uni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and various forms may be applied,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form disclose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nstituent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es no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헤드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이탈 방지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헤드가 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제2 헤드부를 제1 헤드부에 포개서 접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head uni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and FIG. 4 is a It is a view showing the stat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ead is folded over the first head, and Figures 6 to 8 are detailed views for explaining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손잡이부(110), 연결소켓(120) 및, 헤드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8,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handle part 110, a connection socket 120, and a head unit 130.

상기 손잡이부(110)는 텔레스코프 형태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부(110)의 하단부에는 나사부가 형성된 결합부(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연결소켓(120)과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handle part 110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such as a telescope, so that the user can adjust it to a desired length, and a coupling part (not shown) having a threaded portion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art 110. It may be connected detachably to the connection socket 120.

한편, 상기 손잡이부(110)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복수개로 나뉘어져 제작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로 서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handle part 110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length desired by the user.

상기 연결소켓(120)은 내부에 나사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110)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socket 120 may be screwed to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10 by forming a threaded portion (not shown) therein.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는 나사 결합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손잡이부(110)의 하단부를 상기 연결소켓(120)에 삽입한 후 상기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를 관통하도록 상기 연결소켓(120)에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를 결합시켜 상기 연결소켓(120)을 상기 손잡이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socket 120 and the handle part 110 may be screwed together, and after inserting the lower end of the handle part 110 into the connection socket 120, the connection socket 120 The connection socket 120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handle part 110 by coupling a fixing member (not shown) to the connection socket 120 so as to penetrate the handle part 110.

상기 헤드유닛(130)은 상기 연결소켓(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후술되는 헤드유닛(130)의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는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133)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133)가 회전될 수 있다.When the head unit 1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20 to separate the head 133 of the head unit 130 to be described later from the cleaning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which the cleaning member 140 is attached The head 133 may be rotated and stood vertically by its own weight so that it is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when pressing the head 133 after contacting the cleaning surface, one selecte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The head 133 may be rotated so that the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이와 같은 헤드(133)는 상, 하 이분되어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클리닝부재(140)가 상, 하부면과 전, 후방면을 둘러싼 후 양측 끝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는 면 사이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The head 133 i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is formed so as to be folded over each other, so that the cleaning member 140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n the both ends of the head 133 may be sandwiched and fixed between the surfaces overlapping each other.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유닛(130)의 헤드(133)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잡고 청소면에 상기 헤드(133)를 가압하게 되면 헤드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바닥 등과 같이 개방되어 있는 청소면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fter contacting the head 133 of the head unit 130 with the cleaning surface, the user holds the handle 110 and presses the head 133 on the cleaning surface. If so, the head 133 can be rotated so th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so that a cleaning surface that is open such as a floor can be used like a general pusher cleaner.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헤드(133)의 상, 하부면 모두를 사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보관 시 헤드(133)를 바닥면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110)를 벽면 등에 기대어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보관을 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nables cleaning by contacting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thereby allow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to be cleaned. In addition to enabling cleaning using all of the lower surfaces, the head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during storage, and then the handle 110 is leaned against the wall so that it can be stored like a general pusher cleaner.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유닛(133)을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어 있는 헤드(133)의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133)가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되지 않은 옷장이나 냉장고 등과 같은 물건들과 벽체 사이의 틈새에도 상기 헤드유닛(133)을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head unit 133 is spaced apart from the cleaning surface,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to which the cleaning member 140 is attach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ince the head 133 is automatically rotated by its own weight, the head unit 133 can be inserted and cleaned even in a gap between the wall and objects such as a closet or refrigerator that are not opened.

예를 들면, 상기 헤드유닛(130)은 회전 결합부(131), 헤드 연결부(132) 및, 헤드(13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unit 130 may include a rotation coupling part 131, a head connection part 132, and a head 133.

상기 회전 결합부(131)는 상기 연결소켓(1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120.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전 결합부(131)는 상기 연결소켓(120)의 하단부에 좌우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131c)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hinge 131c so as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ocket 120.

예를 들면, 상기 회전 결합부(131)는 연결 브래킷(131a) 및, 연결블록(131b)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may include a connection bracket 131a and a connection block 131b.

상기 연결 브래킷(131a)은 상기 연결소켓(120)의 하단부에 좌, 우 회전 가능하게 힌지(131c)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racket 131a may be connected to the hinge 131c so as to be rotatable left and right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ocket 120.

상기 연결블록(131b)은 상기 연결 브래킷(131a)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block 131b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131a and may be fixedly connected by inserting the upp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132.

여기서, 상기 연결블록(131b)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에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홈(131d)이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삽입 홈(131d)이 상기 연결블록(131b)의 양측면 모두에 마련될 경우에는 상기 연결블록(131b)의 양측면에 마련된 삽입 홈(131d)은 서로 연통된 홀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Here, an insertion groove 131d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is inserte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block 131b, and the insertion groove 131d is formed of the connection block 131b. When provided on both sides, the insertion grooves 131d provid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connection block 131b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hole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적어도 하나가 상기 회전 결합부(131)에 상단부가 고정 연결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head connection parts 132 may have an upper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예를 들면,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일측에 하나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양측에 한 쌍이 연결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only one head connection part 13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as shown in the drawing, but if necessary, a pair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It can also be connected.

이와 같은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와 연결되는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에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is manufactured such that a rotation space part S1 is provided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connected to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예를 들면,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제1 연결부(132a), 고정부재(132d), 제2 연결부(132b) 및, 제3 연결부(132c)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art 132a, a fixing member 132d, a second connection part 132b, and a third connection part 132c.

상기 제1 연결부(132a)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연결블록(131b)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on part 132a may be partially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connection block 131b of the rotational coupling part 131.

상기 고정부재(132d)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의 연결블록(131b)에 삽입된 제1 연결부(132a)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블록(131b)에 상기 제1 연결부(132a)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블록(131b)에 체결될 수 있다.The fixing member 132d may pas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132a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lock 131b of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to fix the first connection part 132a to the connection block 131b. It can be fastened to the connection block (131b) so that.

상기 제2 연결부(132b)는 상기 회전 결합부(131)와의 사이에 헤드(133)가 회전되는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132a)로부터 헤드(133) 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on part 132b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first connection part 132a toward the head 133 so that a rotation space part S1 in which the head 133 is rotated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I can.

상기 제3 연결부(132c)는 상기 제2 연결부(132b)로부터 헤드(133)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133)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connection part 132b toward the central part of the head 133 so that the side part of the head 133 may be rotatably connected.

여기서, 상기 제3 연결부(132c)에는 상기 헤드(133)의 제1, 2 헤드부(1331)(1332) 중 어느 하나의 헤드부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Here, a side portion of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31 and 1332 of the head 133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2c.

예를 들면, 상기 제3 연결부(132c)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헤드부(1331)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a side portion of the first head portion 1331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2c as shown in FIG. 1.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 연결부(132)는 이탈 방지수단(132e)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132e.

상기 이탈 방지수단(132e)은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따라 헤드(133)가 좌우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부(132c)로부터 상기 헤드(13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paration preventing means 132e prevents the head 133 from sliding left and right along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2c or the head 133 being separated from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2c.

예를 들면, 상기 이탈 방지수단(132e)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홈(1321), 이탈 방지 링(1322) 및, 이동 방지 블록(1323)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parture prevention means 132e may include a fixing groove 1321, a separation prevention ring 1322, and a movement prevention block 1323 as shown in FIG. 3.

상기 고정 홈(1321)은 상기 헤드(133) 내부, 즉 제1 헤드부(1331) 내부로 삽입된 제3 연결부(132c)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fixing groove 1321 may be provided inside the head 133, that is,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2c inserted into the first head portion 1331.

상기 이탈 방지 링(1322)은 상기 고정 홈(1321)에 체결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1322 may be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1321.

상기 이탈 방지 블록(1323)은 상기 이탈 방지 링(1322)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의 내부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The separation prevention block 1323 may be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head 133 to support the separation prevention ring 1322.

상기 헤드(133)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에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head 133 may have a side portion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ng portion 132.

이와 같은 상기 헤드(133)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 즉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어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는 상, 하부면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ead 133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that is,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and the head 133 is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a cleaning member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o which 140) are attached may be rotated by their own weight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s shown in FIG. 4 to stand upright.

한편, 상기 헤드(133)는 제1, 2 헤드부로 상, 하 이분되어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클리닝부재(140)가 상, 하부면과 전, 후방면을 둘러싼 후 상기 클리닝부재(140)의 양측 끝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는 제1, 2 헤드부(1331)(1332) 사이로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d 133 is formed to be folded up and fol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so that the cleaning member 140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cleaning member 140 Both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31 and 1332 overlap each other and may be inserted and fixed.

예를 들면, 상기 헤드(133)는 내부에 웨이트(133a)가 삽입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head 133 has a weight 133a inserted therei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2c,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ng portion 132. If) is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rotated by their own weight so that they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nd can stand upright.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133)는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양측이 무게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head 133 i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weights on both sides of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so that the third connection part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When the head 133 is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by allowing the center of gravity to be eccentric about 132c,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may be rotated by their own weight so that they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stand upright.

또 다른 예를 들면, 상기 헤드(133)는 측면부의 센터로부터 전방부 또는 후방부 측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를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연결부(132)의 하단부인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될 수 있다.For another example, the head 133 is rotatably connected to a third connection part 132c, which is a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ide part toward the front part or the rear part. When the head 133 is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by making the center of gravity eccentric about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which is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by its own weigh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can be rotated to stand up.

이에 더하여, 상기 헤드(133)는 고정수단(133b)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d 133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ans (133b).

상기 고정수단(133b)은 상기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는 제1, 2 헤드부(1331)(1332)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서로 포개어지는 제1, 2 헤드부 사이로 끼워지는 클리닝부재(140)의 양측 끝단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xing means (133b) is a cleaning member (140) that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s that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ile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31 and 1332 to be interlocked and fixed with each other. It can be fixed by pressing both ends of the.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133b)은 고정 홈부(1331b) 및, 고정 돌출부(1332b)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xing means 133b may include a fixing groove 1331b and a fixing protrusion 1332b.

상기 고정 홈부(1331b)는 상기 제1, 2 헤드부(1331)(1332) 중 어느 하나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fixing groove portions 1331b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31 and 1332 at predetermined intervals.

예를 들면, 상기 고정 홈부(1331b)는 상기 제1 헤드부(1331)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xing groove portions 1331b are formed in the first head portion 1331 at predetermined intervals.

상기 고정 돌출부(1332b)는 상기 제1, 2 헤드부(1331)(1332) 중 다른 하나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2 헤드부(1331)(1332)가 서로 포개어져 접혀졌을 시 상기 클리닝부재(140)의 양측 끝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홈부(133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xed protrusions 1332b are formed on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31 and 1332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ead parts 1331 and 1332 are overlapped and folded. When lost, the cleaning member 14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331b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140 may be pressed and fixed.

예를 들면, 상기 고정 돌출부(1332b)는 상기 제2 헤드부(1332)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헤드부(1331)에 제2 헤드부(1332)가 포개어져 접혀졌을 시 클리닝부재(140)의 양측 끝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홈부(1331b)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plurality of the fixed protrusions 1332b are formed to protrude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second head portion 1332, and the second head portion 1332 is overlapped and folded on the first head portion 1331. The cleaning member 140 may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xing groove 1331b so as to fix at least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140 by pressing.

이에 더하여, 상기 고정수단(133b)은 절개부(133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ans 133b may further include a cutout 1333b.

상기 절개부(1333b)는 상기 제1, 2 헤드부(1331)(1332) 사이에 삽입되는 클리닝부재(140)의 양측 끝단부의 일부를 삽입하여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2 헤드부(1331)(1332) 중 어느 하나에 복수개가 소정간격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cutout portion 1333b is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31 to insert and insert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140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31 and 1332. ) A plurality of 1332 may b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예를 들면, 상기 절개부(1333b)는 상기 제1, 2 헤드부(1331)(1332) 사이에 삽입되는 클리닝부재(140)의 양측 끝단부의 일부를 삽입하여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홈부(1331b)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cutout portion 1333b is the fixing groove portion 1331b so that a portion of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140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1331 and 1332 can be inserted and inserted. ) Is preferably provided.

한편, 상기 헤드유닛(130)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ead unit 130 may further include a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as shown in FIGS. 4 and 5.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140)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에 마련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may be provided on the head 133 so that the cleaning member 14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이와 같은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140)를 전체를 고르게 탈착 가능하도록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걸레질을 하는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마련될 수 있다.The cleaning member attaching means 134 can attach the cleaning member 140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so that the whole can be evenly detached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mopping user. It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so as to be able to be used.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헤드(133)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헤드(133)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T'자 형상의 복수개의 부착돌기일 수 있다.For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may be a plurality of'T'-shaped attachment protrusions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head 133 so as to be integral with the head 133. .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접착수단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수단으로는 양면테이프나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에 봉재, 열융착, 고주파 방식 등에 의해서도 부착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by an adhesive means. Here, as the adhesive means,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may be used. On the other hand,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may be attached to the head 133 by a bar material, heat fusion, a high frequency method, or the like.

이와 같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헤드(133)와 함께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클리닝부재(140)를 상기 헤드(133)에 부착하여 사용할 시 상기 클리닝부재(140)가 청소면에 밀착되는 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여 두께가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한 청소를 한층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Such a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provides a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together with the head 133, so that when the cleaning member 140 is attached to the head 133 and used, the cleaning member 14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By allowing the area to be widened, cleaning using a cleaning member 140 such as a disposable cleaning cloth made of a thin non-woven fabric or the like can be further facilitated.

예를 들면,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바디부(134a) 및, 결합부재(134b)를 포함 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may include a body portion 134a and a coupling member 134b.

상기 바디부(134a)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133)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The body portion 134a is formed in a square shape and may be attached to the head 133 by an adhesive means.

상기 결합부재(134b)는 상기 바디부(134a)에 결합되어 상기 클리닝부재(140)를 탈착 가능하게 상기 헤드(133)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upling member 134b may be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34a and formed in the form of tongs so that the cleaning member 14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ead 133.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134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가 동일한 집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상기 결합부재(1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길이가 서로 다른 집게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134b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ongs having the same length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6. For another example, the coupling member 134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of tongs having different lengths on both sides as shown in FIG. 7.

한편, 상기 결합부재(134b)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나 하단부는 클리닝부재(140)의 부착력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빗자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8, the coupling member 134b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at its upper end, but may have a broom shape at its lower end to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of the cleaning member 140.

이와 같은 결합부재(134b)는 집게 형태로 형성되어 끝단부가 직물이나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클리닝부재(140)의 틈새에 끼워짐으로써 헤드에 마른 클리닝부재(140) 뿐만 아니라 젖은 클리닝부재(140)도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다.Such a coupling member (134b) is formed in the form of tongs, and the end is inserted into the gap of the cleaning member 140 made of fabric or nonwoven fabric, so that not only the dry cleaning member 140 but also the wet cleaning member 140 Make sure to attach it firmly.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140)의 원단 선택의 폭이 매우 넓음과 동시에 마르거나 물에 젖은 클리닝부재(140)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청소 작업을 진행할 시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very wide selection of fabrics of the cleaning member 140,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use all of the cleaning members 140 that are dry or wet with water, so that various clean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various places.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when proceeding.

<제2 실시예><Second Example>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사시도이다.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탄성패널(135)이 추가되는 구성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기 탄성패널(135)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elastic panel 135 is added. A detailed description of will be omitted.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의 헤드유닛(130)은 탄성패널(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head unit 130 of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panel 135.

상기 탄성패널(135)은 상기 헤드유닛(130)의 헤드(133)에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elastic panels 135 may be coupled to the head 133 of the head unit 130.

예를 들면, 상기 탄성패널(135)은 상기 헤드(133)와의 사이에 헤드(133)의 좌우방향으로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되도록 상기 헤드(133)의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탄성적으로 휘어진 상태로 상기 헤드(133)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panel 135 is convex in the lower or upper direction of the head 133 so that the elastic space S2 is provid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head 133 between the head 133 It may be coupled to the head 133 in an elastically bent state.

이와 같은 탄성패널(135)은 헤드(133)와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됨과 동시에 자체 탄성 복원력에 의해 탄성패널(135)을 청소면에 밀착시켜 슬라이딩 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할 시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11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청소면에 전체가 탄성적으로 밀착되도록 한다.The elastic panel 135 is provided with an elastic space (S2) between the head 133 and the shape of the cleaning surface when cleaning while sliding and moving the elastic panel 135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by its own elastic restoring force. And while being variably deform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hrough the handle 110 by the user, the whole is elastically adhered to the cleaning surface.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패널(135)은 두께가 얇은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할 시에도 걸레질을 하는 사용자에게 두께가 두꺼운 걸레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할 시와 동일한 쿠션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더라도 손잡이부(110)로부터 전달되는 힘이 클리닝부재(140)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At the same time, the elastic panel 135 provides the same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who mops even when using the cleaning member 140 such as a disposable cleaning cloth with a thin thickness as when using the cleaning member 140 such as a thick cloth. Even if the user applies less force, the force transmitted from the handle 110 is evenly distributed and transmitted throughout the cleaning member 140.

한편, 상기 탄성패널(135)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중앙부에서부터 헤드의 전후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보다 탄성적으로 가변되면서 청소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panel 135,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to gradually increase in thickness from the center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ead, so that the elastic panel 135 is more elastically variable and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의 경우 상기 헤드(133)에 탄성패널(135)이 결합됨으로써 클리닝부재(140)가 부착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상기 탄성패널(135)에 부착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ase of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to which the cleaning member 140 is attached by coupling the elastic panel 135 to the head 133 is the elastic panel ( 135).

여기서,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은 탄성패널(135)에 부착되는 것을 제외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과 실질적으로 동일함으로써 상기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of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that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is attached to the elastic panel 135, thereby attaching the cleaning member.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eans 134 will be omitted.

다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Again, 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11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effect of the push rod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1는 손잡이부와 연결소켓을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헤드유닛 측으로 접은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to 11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andle part and the connection socket ar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coupling part and folded toward the head unit.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회전 결합부(131)에 고정 연결되는 제1 연결부(132a)와 헤드(13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132c) 사이에 상기 헤드(133)가 상기 제3 결합부(132c)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는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되도록 헤드 연결부(132)가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1 to 11, i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nnection part 132a fixedly connected to a rotation coupling part 131 and a head 133 are rotatably connected. The head connecting portion 132 is formed between the third connecting portions 132c so that the head 133 is freely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ng portion 132c so that the head connecting portion 132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Am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133), the desired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so that the cleaning surface can be cleaned.

즉,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는 헤드를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회전시키면서 청소면을 청소를 할 수 있으나, 손잡이부가 헤드의 상부면 중앙부에 상하좌우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특성 상, 헤드와 손잡이부와의 간섭으로 인하여 상기 헤드의 상부면과 하부면이 서로 전환되도록 상기 헤드를 180도 회전시켜 청소면에 밀착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헤드의 상부면에는 클리닝부재를 부착시켜 사용할 수 없으므로 청소 시 헤드의 하부면만 사용된다.That is, a conventional pusher cleaner can clean the cleaning surface while freely rotating the hea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but due to the characteristic that the handle is connected to rotat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head and the handle. The head cannot be rotated 180 degrees so tha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are switched to each other so that the head cannot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and a cleaning member cannot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to be used.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는 청소면의 청소 시 헤드의 하부면만 사용할 수 있고 상부면은 전혀 사용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오염된 클리닝부재를 자주 교체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Therefore, in the conventional general push rod cleaner, when cleaning the cleaning surface, only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can be used and the upper surface cannot be used at all, so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frequently replace the contaminated cleaning member.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 연결부(132)의 제1, 3 연결부(132a)(132c) 사이에 헤드(133)가 회전될 수 있는 회전 공간부(S1)가 마련됨으로써 헤드(133)가 손잡이부(110)나 회전 결합부(131) 등과의 간섭 없이 상, 하부면이 전환되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However,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otating space portion S1 in which the head 133 can be rotated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nnecting portions 132a and 132c of the head connecting portion 132. By being provided, the head 133 can be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switch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handle part 110 or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또한,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헤드 연결부(132)의 제3 연결부(132c)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헤드(133)의 측면에 상기 제3 연결부(132c)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은 평평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is not connected to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but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is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ead 133. ) Is connect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remain flat.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청소 시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모두에 클리닝부재(140)를 부착한 후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다.Therefore,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the cleaning member 140 to bot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when cleaning, and t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are Alternately, you can clean by sticking to the cleaning surface.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청소 시 한 번의 클리닝부재(140) 부착만으로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에 비하여 오염된 클리닝부재(140)의 교체 시간이 대폭 연장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ean the cleaning surface by altern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with only one attachment of the cleaning member 140 when cleaning. As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leaning member 140 is significantly extended, convenience in use may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상기 헤드(133)가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측면부가 제3 연결부(132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133)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기 헤드(133)가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상기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기립된다.In addition, i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 portion is rotated to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2c so that the head 133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ortion 132c. When the user moves the head 133 apart from the cleaning surface by using the handle unit 110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by being connected so as to be possible, the head ( 133 is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to stand up.

상기와 같이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헤드(133)가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기립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헤드 연결부(132)의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손잡이부(110), 연결소켓(120) 및, 헤드(133)를 수평하게 만들게 되면 상기 헤드(133)를 각종 가구와 벽면 사이의 틈새, 냉장고 등과 같은 전자제품과 벽면 사이 틈새, 유리창과 유리창 사이의 틈새 등에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ile the head 133 is erect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the handle part 110 is connected to the third connection part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 When the handle part 110, the connection socket 120, and the head 133 are made horizontal by rotating around 132c), the head 133 is moved to a gap between various furniture and a wall surface, electronic products such as refrigerators, etc. It can be cleaned by inserting it into the gap between the wall, the gap between the window and the window.

한편,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면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110)를 헤드 연결부(132)의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헤드(133)와 함께 손잡이부(110), 연결소켓(120)을 바닥면에 밀착시켜 수평하게 만들게 되면 상기 헤드(133)를 각종 가구와 바닥면 사이의 틈새에 삽입하여 청소를 할 수 있다.Meanwhile, the handle part 110 is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of the head connection part 132 in a state in which the user's desired surface am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When the handle part 110 and the connection socket 120 together with the head 13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surface to be horizontal, the head 133 may be inserted into a gap between various furniture and the floor surface to perform clean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33)를 들어 올려 기립시키거나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원하는 면을 바닥에 밀착시킨 후 손잡이부(110)를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부(110)와 연결소켓(120)을 상기 헤드(133)와 수평하게 만든 상태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가 제3 연결부(132c) 측으로 접히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소켓(120)과 손잡이부(110)가 헤드(133)의 후면부 측으로 접히도록 상기 손잡이부(110)를 회전 결합부(131)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상, 하부 높이가 매우 낮은 좁은 틈새에도 헤드(133)를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ifts the head 133 to stand up as described above, or a desired surface amo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and then the handle In a state in which the part 110 is rotated about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to make the handle part 110 and the connection socket 120 horizontal with the head 133, as shown in FIG. 9, the connection socket 120 ) And the handle part 110 is folded towar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or the connection socket 120 and the handle part 110 are folded toward the rear part of the head 133 as shown in FIG. ) Can be rotated around the rotation coupling part 131, so that the head 133 can be inserted and cleaned even in a narrow gap where the upper and lower heights are very low.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사용하지 않고 보관할 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이 바닥에 밀착된 상태에서 손잡이부(110)를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들어 올려 상기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바닥면에 밀착되고 손잡이부(110)는 벽면 등에 지지되도록 세워서 보관이 가능함으로써 헤드(133)가 변형되는 현상 없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ush rod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without being used, as shown in FIG. 5, in a state in which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loor. The handle part 110 is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and lifted so th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and the handle part 110 is supported on a wall surface, etc. Since it can be stored uprigh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head 133 can be stored regardless of the location without being deform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10)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으로 헤드(133)의 표면에 돌출 형성된 부착돌기를 사용하거나, 상기 헤드(133)에 접착수단에 의해 부착되는 바디부(134a))에 집게 형태로 결합된 결합부재(134b)로 형성된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을 사용할 경우에는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usher clean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n attachmen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head 133 as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or is attached to the head 133 by an adhesive means. In the case of using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formed of the coupling member 134b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34a in the form of tongs, the cleaning surface may be cleaned using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즉,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는 헤드의 상부면에 복수개의 결합 홈부가 형성되어 헤드의 하부면에 클리닝부재를 밀착시킨 후 상기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를 헤드의 상부면 측으로 접어 올린 후 상기 클리닝부재의 모서리부를 상기 결합 홈부에 삽입하여 상기 클리닝부재를 헤드에 고정시켜 사용하게 된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general push rod cleaner,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and after the cleaning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head, the front and rear parts of the cleaning member are folded up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and the cleaning member By inserting the corner portion of the into the coupling groove to be used by fix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head.

따라서, 일회용 클리닝부재를 사용하여 청소를 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헤드의 상부면 측으로 접어 올려져 상기 결합 홈부에 삽입되는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 측은 전혀 사용되지 않고 클리닝부재가 버려지게 됨으로써 일회용 클리닝부재의 소모량이 증가되어 자원이 낭비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cleaning is performed using a disposable cleaning member,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cleaning member fol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ead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re not used at all, and the cleaning member is discarded. There is a problem that resources are wasted due to increased consumption.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이 헤드(133)에 마련될 경우에는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을 이용하여 헤드의 상, 하부면에 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낭비되는 면적 없이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를 할 수 있어 클리닝부재(140)의 소모량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the cleaning member attaching means 134 is provided on the head 133 as shown in FIGS. 5 and 9, the cleaning member 140 is By attaching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using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so that cleaning can be performed, even if the disposable cleaning member 140 is used,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is used without wasted area for cleaning. Sin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member 140, there is an excellent advantage in terms of resource sav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133)와 탄성패널(135)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패널(1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11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135)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까지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space portion S2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133 and the elastic panel 135 and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surface is clea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anel 135. As the elastic panel 135 is variab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hrough the handle 110 by the user,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elastically adheres to the cleaning surface with a greater force. Since the cleaning surface can be cleaned more cleanly with less effor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cleaning efficiency.

또한,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도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고도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밀착시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cleaning using a cleaning member 140 such as a disposable cleaning cloth made of a very thin nonwoven fabric,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can be provided with a sufficient cushioning feeling to firmly adhere to the cleaning surface. Even if a smaller force is applied,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with a greater force to wipe the cleaning surface using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so that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의 경우 스티로폼이나 우레탄 등으로 형성된 탄성부재를 설치하지 않고 헤드(133)와의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되도록 탄성패널(135)을 헤드(133)에 결합시키는 구조만으로도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여 습식 청소를 한다 하더라도 물이 스며드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각종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식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물이 스며드는 현상을 방지하가 위한 방수포나 별도의 탄성부재를 전혀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청소기의 제작비용 또한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함과 더불어 보다 저렴한 비용의 청소기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ushe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panel 135 is provided so that the elastic space S2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133 without installing an elastic member formed of styrofoam or urethane. Even if the cleaning member 140, such as a disposable cleaning cloth made of a very thin non-woven fabric, is used for wet cleaning, water penetration does not occur, so that various bacteria and molds can grow. No phenomenon occurs, and there is no need to use a waterproof cloth or a separate elastic member to prevent water from penetrating, so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vacuum cleaner can be greatly reduced, enabling more hygienic management and a cleaner with lower cost.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133)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면에 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어 한 번의 클리닝부재(140) 부착만으로 헤드의 상, 하부면을 번갈아 가면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에 비하여 오염된 클리닝부재(140)의 교체 시간이 대폭 연장됨으로써 청소 시 사용상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있는 장점이 있다.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cleaned by alternately touch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to the cleaning surface. Sinc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lternately, the replacement time of the contaminated cleaning member 140 is significantly extended compared to a conventional pusher cleaner, so that convenience in use during cleaning can be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와 같이 헤드(133)의 상, 하부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청소면에 밀착시킨 후 사용자가 손잡이부(110)를 파지한 상태로 헤드(133)에 힘을 가하여 청소면을 청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3 연결부(132c)를 중심으로 손잡이부(110)를 회전시켜 손잡이부(110)와 연결소켓(120) 및 헤드(133)가 수평이 되도록 하면 가구나 가전제품과 벽면 사이에 형성된 틈새나, 창틀, 문틀, 창문과 창문 사이의 틈새, 바닥면과 소파 사이의 틈새 등과 같은 각종 틈새의 청소까지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press the handle part 110 after making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like a conventional pusher cleaner 100. The cleaning surface can be cleaned by applying force to the head 133 while holding the handle, and the handle 110 and the connection socket 120 are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132c. When the head 133 is horizontal,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clean various gaps such as gaps formed between furniture or home appliances and walls, window frames, door frames, gaps between windows and windows, gaps between floors and sofas, etc. have.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하나의 청소기로 바닥면이나 벽면 등과 같은 평평한 면과 각종 틈새 청소까지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청소의 편의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청소기 구매 부담까지도 줄여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at is,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clean a flat surface such as a floor surface or a wall surface and various gaps with a single vacuum cleaner, thus providing the user with convenience of cleaning and the user's burden of purchasing a clea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ven reduce i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을 사용하게 되면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부착시켜 청소를 할 수 있으므로 청소 시 상기 클리닝부재(140)와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 사이에 슬립 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청소 시 클리닝부재(1140)로 인한 단차가 전혀 발생되지 않음으로써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항상 청소면에 안정적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leaning member attachment means 134 is used i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to perform cleaning. Therefore, there is no slip phenomenon between the cleaning member 140 and the cleaning member attaching means 134 during cleaning, so that there is no step caused by the cleaning member 1140 during cleaning, so that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is always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improved because the cleaning surface can be wiped while stably adhered to the cleaning surface.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밀대 청소기의 경우 일회용 클리닝부재를 사용하게 될 시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를 헤드 상부로 접어 올려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 모서리를 헤드 상부에 마련되어 있는 결합 홈부에 삽입하여 클리닝부재를 헤드에 고정시키는 특성 상 클리닝부재의 전, 후방부는 전혀 사용할 수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밀대용 청소기(100)는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헤드(133)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 부착수단(134)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낭비되는 면적 없이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클리닝부재(140)의 소모량을 종래의 밀대 청소기에 비해 대폭 절감할 수 있으므로 자원 절약 측면에서도 탁월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general pusher cleaner, when a disposable cleaning member is used,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leaning member are folded up to the top of the head, and the front and rear corners of the cleaning member ar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head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cleaning member cannot be used at al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fixing the cleaning member to the head. However, in the vacuum cleaner 100 for a pu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ember 140 is entirely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133 Since it is attached by the means 134,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can be used without wasted area, so that the consumption amount of the cleaning member 140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usher cleaner, so there is an excellent advantage in terms of resource saving.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헤드(133)와 탄성패널(135) 사이에 탄성 공간부(S2)가 마련됨과 동시에 탄성패널(13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청소면의 형상과 사용자에 의해 손잡이부(110)를 통해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라 탄성패널(135)이 가변적으로 변형되면서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가 청소면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들이고도 청소면을 보다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pusher clean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lastic space portion S2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133 and the elastic panel 135 and at the same time, the cleaning surface is clea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panel 135. As the elastic panel 135 is variab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nd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hrough the handle 110 by the user,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elastically adheres to the cleaning surface with a greater force. Since it is possible to clean the cleaning surface more cleanly with less effor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밀대 청소기(100)는 두께가 매우 얇은 부직포 등으로 제작된 일회용 청소포와 같은 클리닝부재(140)를 사용하여 청소할 시에도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보다 적은 힘을 가하고도 보다 큰 힘으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청소면에 밀착시켜 클리닝부재(140) 전체를 사용하여 청소면을 닦아낼 수 있으므로 청소 효율을 더욱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cleaning using a cleaning member 140 such as a disposable cleaning cloth made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very thin thickness,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is firmly attached to the cleaning surface. Since the user can provide a sufficient cushioning feeling to be closely contacted,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with a greater force even when the user applies less force to wipe the cleaning surface using the entire cleaning member 140. The cleaning efficiency can be further greatly improved.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a range no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field.

(110) : 손잡이부 (120) : 연결소켓
(130) : 헤드유닛 (140) : 클리닝부재
(110): handle part (120): connection socket
(130): head unit (140): cleaning member

Claims (15)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헤드를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헤드가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되고, 상기 헤드를 청소면에 접촉시킨 후 가압하게 되면 상, 하부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면이 청소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헤드가 회전되며, 상기 헤드는 상, 하 이분되어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클리닝부재가 상, 하부면과 전, 후방면을 둘러싼 후 양측 끝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는 면 사이로 끼워져 고정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연결소켓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결합부;
상기 회전 결합부에 상단부가 고정 연결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와 하단부 사이에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드 연결부; 및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도록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청소면으로부터 이격시키게 되면, 상, 하부면이 지면과 수직이 되도록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기립되며, 제1, 2 헤드부로 상, 하 이분되어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클리닝부재가 상, 하부면과 전, 후방면을 둘러싼 후 양측 끝단부가 서로 포개어지는 제1, 2 헤드부 사이로 끼워져 고정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연결소켓의 하단부에 좌, 우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브래킷; 및
상기 연결 브래킷의 하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고정 연결되는 연결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일부가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1 연결부;
상기 회전 결합부의 연결블록에 삽입된 제1 연결부를 관통하여 연결블록에 상기 제1 연결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결블록에 체결되는 고정부재;
상기 회전 결합부와의 사이에 헤드가 회전되는 회전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제1 연결부로부터 헤드 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 연결부; 및
상기 제2 연결부로부터 헤드의 중앙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헤드의 제1,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의 헤드부의 측면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헤드를 들어 올려 기립시킨 후 손잡이부를 제3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손잡이부와 연결소켓을 상기 헤드와 수평하게 만든 상태에서 연결소켓과 손잡이부가 제3 연결부 측으로 접히거나 연결소켓과 손잡이부가 헤드의 후면부 측으로 접히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 하부 높이가 매우 낮은 좁은 틈새에도 헤드를 삽입하여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밀대 청소기.
When the hea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that is coupled to the handle and separates the head from the cleaning surface, the head is rotated by its own weigh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standing up, and pressing the head after contacting the cleaning surface. When doing so, the head is rotated so that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and the head is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overlapped and folded, so that the cleaning member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cleaning surface. It includes a head unit that is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surfaces where both end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fter surrounding the
The head unit,
A rotation coupling part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ocket;
At least one head connection portion fixedly connected to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and formed to provide a rotation space portion between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And
When the side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and separated from the cleaning surfac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rotated by their own weight so that they are perpendicular to the ground. It stands up and is formed to be folded up and fol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heads, so that the cleaning member surround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n the both ends are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s overlapping each other. It includes a fixed head,
The rotation coupling part,
A connection bracket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socket so as to be rotated left and right; And
It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nection bracket and includes a connection block 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is inserted and fixedly connected,
The head connection part,
A first connection part which is partially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connection block of the rotational connection part;
A fixing member fastened to the connection block so as to pass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block of the rotation connection part and fix the first connection part to the connection block;
A secon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head so that a rotation space portion through which the head rotates is provided between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and the rotation coupling portion; And
Including a third connect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central portion of the head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ide portion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of the head,
After lifting the head up and standing, the handle part is rotated around the third connection part to make the handle part and the connection socket horizontal with the head, and the connection socket and the handle part are folded toward the third connection part, or the connection socket and the handle part of the head A pusher cleaner that rotates the handle part around a rotation coupling part so that it folds toward the rear part so that the head can be inserted and cleaned even in a narrow gap with very low upper and lower height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헤드의 상, 하부면에 클리닝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킬 수 있도록 상기 헤드에 마련되는 클리닝부재 부착수단을 더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unit,
A pusher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cleaning member attaching means provided on the head so as to detachably attach the cleaning member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ea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연결부는,
상기 제3 연결부를 따라 헤드가 슬라이딩 이동되거나 상기 제3 연결부로부터 상기 헤드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connection part,
A pusher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separation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head from sliding along the third connection part or separation of the head from the third connection part.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헤드 내부로 삽입된 제3 연결부에 마련되는 고정 홈;
상기 고정 홈에 체결되는 이탈 방지 링; 및
상기 이탈 방지 링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의 내부에 돌출 형성된 이동 방지 블록을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6,
The departure preventing means,
A fixing groove provided in a third connect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head;
A separation preventing ring fastened to the fixing groove; And
A pusher cleaner comprising a movement preventing block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head so as to support the separation preventing r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서로 포개어져 접혀지는 제1, 2 헤드부가 서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서로 포개어지는 제1, 2 헤드부 사이로 끼워지는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The pusher cleaner further comprises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overlapped and folded to each other and fixed at the same time, and fixing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 portions overlapped with each other.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 홈부; 및
상기 제1, 2 헤드부 중 다른 하나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2 헤드부가 서로 포개어져 접혀졌을 시 상기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의 적어도 일부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고정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 돌출부를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fixing means,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form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s;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head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s, when the first and second heads are overlapped and folded, at least some of the ends of both sides of the cleaning member are pressed and fixed. A pusher cleaner comprising a plurality of fixed protrusion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제1, 2 헤드부 사이에 삽입되는 클리닝부재의 양측 끝단부의 일부를 삽입하여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제1, 2 헤드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복수개의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9,
The fixing means,
A pusher cleaner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cutouts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ds so as to insert and insert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cleaning member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ead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내부에 웨이트가 삽입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A pushe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weight is inserted therein so that a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a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ar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양측이 무게가 서로 다르게 제작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A pushe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of both sides of the head connecting portion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ng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에 측면부의 센터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헤드 연결부의 하단부를 중심으로 어느 한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A pushe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ide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ortion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eccentric to one side around the lower end of the head connection por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패널을 더 포함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head unit,
A pusher cleaner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elastic panel coupled to the head.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널은,
상기 헤드와의 사이에 헤드의 좌우방향으로 관통되는 탄성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기 헤드의 하부 또는 상부 방향으로 볼록한 아치 형태로 탄성적으로 휘어진 형태로 상기 헤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대 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4,
The elastic panel,
A pusher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upled to the head in an elastically curved form in a convex arch shape in a lower or upper direction of the head so that an elastic space portion penetrat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the head is provided between the head.
KR1020200041325A 2020-04-06 2020-04-06 Mop KR102255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25A KR102255863B1 (en) 2020-04-06 2020-04-06 Mo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1325A KR102255863B1 (en) 2020-04-06 2020-04-06 Mo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863B1 true KR102255863B1 (en) 2021-05-24

Family

ID=76152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1325A KR102255863B1 (en) 2020-04-06 2020-04-06 Mo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8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572A (en) * 2021-06-25 2023-01-03 최규호 Bottom cleanning tool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41Y1 (en) * 2000-08-02 2001-01-15 이점식 Dustcloth for mop
KR20050113556A (en) * 2005-07-12 2005-12-02 이정숙 A mop
KR200471252Y1 (en) 2013-08-27 2014-02-12 김태열 Cleaner
KR101560153B1 (en) 2014-04-04 2015-10-15 임상철 Double sided mop cleaner
US10052008B1 (en) * 2013-01-25 2018-08-21 Erik Stanton Chan Cleaning implement with disposable cleaning pad sleeves
KR102041877B1 (en) 2019-04-26 2019-11-06 김제훈 Multifunctional mop
KR102061799B1 (en) * 2019-01-31 2020-01-02 김태열 Mop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741Y1 (en) * 2000-08-02 2001-01-15 이점식 Dustcloth for mop
KR20050113556A (en) * 2005-07-12 2005-12-02 이정숙 A mop
US10052008B1 (en) * 2013-01-25 2018-08-21 Erik Stanton Chan Cleaning implement with disposable cleaning pad sleeves
KR200471252Y1 (en) 2013-08-27 2014-02-12 김태열 Cleaner
KR101560153B1 (en) 2014-04-04 2015-10-15 임상철 Double sided mop cleaner
KR102061799B1 (en) * 2019-01-31 2020-01-02 김태열 Mop
KR102041877B1 (en) 2019-04-26 2019-11-06 김제훈 Multifunctional mop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572A (en) * 2021-06-25 2023-01-03 최규호 Bottom cleanning tool
KR102541341B1 (en) * 2021-06-25 2023-06-12 최규호 Bottom cleanning to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430B1 (en) Cleaning tool
WO2005084516A1 (en) Cleaning implement
KR102255863B1 (en) Mop
US20080222825A1 (en) Cleaning utensil with flexible peripheral regions
US10070768B2 (en) Cleaning apparatus, a method of cleaning, and a retrofitting method
KR102061799B1 (en) Mop
KR102255854B1 (en) Mop
CA2594609A1 (en) Cleaning device and method
JP3917580B2 (en) Cotton cloth sweeper
WO2006002653A1 (en) Mopping device for mopping surfaces to be cleaned, mop holder and mop cover for a mopping device
KR20160046485A (en) A Cleaning Tool With a Function Of Cartridge
US20190269282A1 (en) Cleaning towel system
KR200471252Y1 (en) Cleaner
KR102197584B1 (en) Mop
KR102197592B1 (en) Mop
KR102541341B1 (en) Bottom cleanning tool
US20210196097A1 (en) Universal handheld grip for cleaning
CN211460076U (en) Self-squeezing mop
WO2017193941A1 (en) Handle, tool with handle, and method for connecting flexible material to handle
US20210196096A1 (en) Universal handheld grip for cleaning
CN215959762U (en) Tableware cleaning tool
CN212853325U (en) Face washing towel with good face cleaning effect
CN213155708U (en) Cleaning tool
KR20220000624U (en) a hand mop hanle
US20170086636A1 (en) Cleaning and Drying Device Utilizing Removably-Attached Materi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