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454B1 -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 Google Patents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5454B1 KR102255454B1 KR1020200129472A KR20200129472A KR102255454B1 KR 102255454 B1 KR102255454 B1 KR 102255454B1 KR 1020200129472 A KR1020200129472 A KR 1020200129472A KR 20200129472 A KR20200129472 A KR 20200129472A KR 102255454 B1 KR102255454 B1 KR 102255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concrete block
- insertion hole
- vertical frame
- self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을 하지 않고 태양광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타공을 하여 고정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태양광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면에 제1콘크리트블럭을 안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에 형성된 제1삽입홀에 수직프레임을 설치한 후 상기 제1삽입홀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지지프레임과 태양광패널을 설치하는 한편, 제2콘크리트블럭과 제3콘크리트블럭 또는 제4콘크리트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무타공 시공으로 태양광패널을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할 수 있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panel without perforation, and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olar panel by the self-weight of concrete without perforating and fixing the ground or the roof of a building. The first concrete block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so that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concrete block, and then a concrete mortar is pour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to fix the vertical frame. A support frame and a solar panel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while a second concrete block, a third concrete block, or a fourth concrete is additionally installed. Disclosed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that can be installed on a roof.
Description
본 발명은 타공을 하지 않고 태양광패널을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타공을 하여 고정하지 않고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해 태양광패널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면에 제1콘크리트블럭을 안착하여 설치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에 형성된 제1삽입홀에 수직프레임을 설치한 후 상기 제1삽입홀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지지프레임과 태양광패널을 설치하는 한편, 제2콘크리트블럭과 제3콘크리트블럭 또는 제4콘크리트를 추가로 설치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무타공 시공으로 태양광패널을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설치할 수 있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관한 기술분야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panel without perforation, and in more detail, it is possible to install a solar panel by the self-weight of concrete without perforating and fixing the ground or the roof of a building. The first concrete block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so that the vertical frame is installed in the fir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concrete block, and then a concrete mortar is pour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to fix the vertical frame. A support frame and a solar panel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while a second concrete block, a third concrete block, or a fourth concrete is additionally installed. This is a technical field related to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that can be installed on a roof.
최근 화석연료를 대체하면서도 환경오염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는 청정에너지원인 태양광, 풍력, 조력을 이용한 친환경 발전설비의 시공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Recently, the construction of eco-friendly power generation facilities using solar power, wind power, and tidal power, which are clean energy sources that do no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s while replacing fossil fuels, is gradually increasing.
이러한 발전설비 중 태양광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를 다수 어레이시켜 발전을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는 한 가구의 일일 사용 온수를 생성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을 생성할 수 있는 소규모에서부터 발전 전력량을 더욱 늘릴 수 있는 대규모까지 다양하게 시설되고 있다.Among these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that generates power by arraying a number of solar cells that convert sunlight into electric energy can generate electricity from a small scale that can generate electricity enough to generate hot water for daily use by one household. There are various facilities up to a large scale that can be expanded further.
이러한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전지 모듈이 장착된 상판을 지면에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지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있다.Such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in a manner in which a support frame for supporting the upper plate on which the solar cell module is mounted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and is fixed to the ground.
종래의 지면 고정방식의 경우 지면에 콘크리트 블록을 양생시켜 매립하고, 매립된 콘크리트 블록과 지지프레임을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하는 방식으로 하거나, 콘크리트로 된 바닥면의 경우 볼트를 콘크리트 바닥면에 심어 고정하는 방식을 적용한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ground fixing method, the concrete block is cured on the ground and buried, and the embedded concrete block and the supporting frame are fixed by fixing members such as bolts, or in the case of a concrete floor, the bolt is placed on the concrete floor. The method of planting in and fixing is applied.
그런데, 이러한 지지프레임 고정방식은 시공 과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한번 시공한 이후에 설치 장소를 변경 또는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해체 작업 이후에 다시 지면 고정작업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support frame fixing method takes a lot of time i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if you want to change or move the installation location after construction, it is not easy to move because the ground fixing work must be performed again after the dismantling work. There is a problem.
특히, 콘크리드 바닥으로 형성된 옥상에 태양광 발전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옥상면에 지지프레임 고정용 볼트를 심는 과정에서 옥상의 균열 또는 누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installing a photovoltaic device on a roof formed with a concrete floor, there is a problem that cracks or leaks on the roof may occur in the process of planting a bolt for fixing a support frame on the roof surface.
또한, 태양광 발전설비의 설치규모에 따라 바닥면과의 고정하는 힘을 적절하게 조정하여야 하는데, 바닥면 고정식의 경우 고정력에 대한 조정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fixing force with the floor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scale of the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In the case of the floor fixing typ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fixing forc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0991호에는 태양광 발전 모듈이 어레이된 태양광 발전모듈 패널의 저부에서 상호 나란하게 이격되게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지지유니트와, 지지유니트의 지면에 대한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해 지지유니트와 결합된 지지력 보강유니트를 구비하고, 지지유니트는 태양광 발전모듈 패널의 저부에 제1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결합되는 메인 지지바와, 메인 지지바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다리바와, 제1 및 제2 다리바의 하단에 각각 결합되되 제1 및 제2다리바를 상호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관통홀이 형성된 지면 밀착함체를 구비하고, 지지력 보강 유니트는 지면 밀착 함체의 제1 및 제2관통홀을 통해 삽입되어 지면 밀착 함체 외부로 연장되게 형성된 메인 지지봉과, 지면 밀착함체의 제1관통홀이 형성된 전면과 제2관통홀이 형성된 후면에 각각 직렬상으로 어레이되어 지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메인 지지봉이 삽입될 수 있는 제3관통홀이 형성된 밀착 보강단위 웨이터와, 밀착보강 단위 웨이터를 상호 밀착되게 메인 지지봉에 구속시킬 수 있게 메인 지지봉의 양단에서 결합되는 제1구속결합부재를 구비하는 자중형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구조체를 개시하고 있다.As a conventional technique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70991 discloses a plurality of supports supported on the ground by being joined to be parallel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solar power module panel in which the photovoltaic power module is arrayed. The unit and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unit coupled with the supporting unit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supporting unit against the ground, the supporting unit includes a main supporting bar extending along the first direction to the bottom of the photovoltaic module panel, The first and second leg bars extending downward from the main support bar and the first and second leg bars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leg bars, and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are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inter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leg bars. A ground-contact box is provided, and the supporting force reinforcing unit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through holes of the ground-contact box to extend to the outside of the ground-contact box, and the front surface of which the first through hole is formed. The main support rod is arranged in series on the rear side of which the and second through holes are formed, and the third through hole is formed in which the main support rod can be insert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ground, and the tight reinforcement unit waiter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isclosed is a self-weighted photovoltaic module support structure having a first binding member coupled at both ends of a main support rod so as to be constrained to the main support ro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 개의 밀착 보강단위 웨이터를 설치하기 위한 작업소요 시간이 증대되어 설치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태양광 발전 모듈의 규모가 커지는 경우 한정된 넓이의 지면 또는 한정된 넓이의 건축물 옥상 등에 설치시 설치공간에 제약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work required to install a plurality of close reinforcement unit waiters increases, the efficiency of installation decreases, and when the size of the photovoltaic module is increased, when installed on a limited area of the ground or on the roof of a limited area of a building, etc.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space is restrict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태양광 발전설비는 태양전지 모듈 즉, 태양광패널이 장착된 상판을 지면에 이격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지면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블록을 지면에 양생 및 매립하거나 지면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함에 따라 지면의 파손에 의한 지면의 강도 약화 및 건축물의 균열 또는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하여;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y, a support frame that supports a solar cell module, that is, a top plate on which a solar panel is mounted, is fixed to the ground. As the concrete block for supporting the support frame is cured and buried in the ground or fixed with bolts on the ground, the strength of the ground is weakened due to damage to the ground, and cracks or leakage of the building occur. By happening;
이에 대한 해결점을 지면에 안착하여 설치되는 제1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에 형성된 제1삽입홀에 수직프레임의 하부를 삽입하여 설치함으로써, 지면의 강도 약화 및 건축물의 균열 또는 누수 발생을 방지하고, 상기 제1삽입홀에 콘크리트몰탈을 통해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과 상기 제1삽입홀의 하부를 견고하게 결합시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이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의 자중에 의해 설치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태양광패널의 규모에 따라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의 상부에 제2콘크리트블럭을 적층하여 설치하고, 제3콘크리트블럭 또는 제4콘크리트블럭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상기 수직프레임을 지지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태양광패널을 자중에 의해 설치할 수 있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o solve this problem, by inserting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into the first concrete block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rst concrete block to be installed on the ground, the strength of the ground is weakened and the occurrence of cracks or leakage of the building is prevented. And, by firmly coupling the first concrete block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insertion hole through a concrete mortar in the first insertion hole,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is more stable. Not only can it be installed by its own weight, but also install a second concrete block by stacking it on the top of the first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olar panel, and add at least one of the third concrete block or the fourth concrete block.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that can be installed to support the vertical frame so that the solar panel can be installed by its own weight more stably and firm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1삽입홀(110)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제1삽입홀(110)보다 작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1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0); 및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제1삽입홀(1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삽입홀(110)은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채움공간(112);과 상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2채움공간(1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홀(110)과 같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는 제2삽입홀(122)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삽입홀(122)은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3채움공간(122a);과 상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4채움공간(12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하부 전면, 하부 후면, 하부 일측면, 하부 타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입홀(210);과 상기 주입홀(210)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높이조절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콘크리트블럭(120)은 인접한 제2콘크리트블럭(120)과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3삽입홀(124);과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대향되는 제3삽입홀(124)에 양측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부면부터 하부면까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6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6);과 상기 관통홀(126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4삽입홀(128a)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삽입홀(128a)의 하부에 상기 제4삽입홀(128a)보다 확장되어 걸림공간(128b)이 형성되는 제3콘크리트블럭(128); 및 하부에 후크부(129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공간(128b)에 위치되고, 상부가 상기 관통홀(126a)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탈방지핀(129b)이 결합되는 고정고리(12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제4콘크리트블럭(12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은 외측면 상부에 상기 제4콘크리트블럭(127)의 상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형성된 와이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th concrete that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any one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은 제1콘크리트블럭의 제1삽입홀에 수직프레임의 하부를 삽입한 후 상기 제1삽입홀에 콘크리트몰탈을 타설하되, 상기 수직프레임의 하부에 복수 개의 주입홀을 형성하여 상기 콘크리트몰탈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중공에 타설되도록 함으로써, 사기 제1콘크리트블럭과 제1삽입홀과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안정적이고 견고한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fter inserting the lower part of the vertical frame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of the first concrete block, a concrete mortar is pour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the vertical frame By form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crete mortar to be poured into the hollow of the vertical frame,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first concrete block and the first insertion hole to enable stable and robust construction. You can get it.
또한, 본 발명은 두개의 제1콘크리트블럭의 사이에 제3콘크리트블럭을 수평프레임 및 고정고리를 통해 설치하거나 제4콘크리트블럭을 와이어를 통해 설치하여 자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더욱더 안정적이고 견고한 시공이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s the third concrete block between the two first concrete blocks through a horizontal frame and a fixing ring, or installs the fourth concrete block through a wire to more efficiently disperse its own weight, making it more stable and robust. The effect that makes this possibl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자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직프레임과 제1콘크리트블럭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2콘크리트블럭이 설치된 자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직프레임과 제1콘크리트블럭 및 제2콘크리트블럭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직프레임과 제1콘크리트블럭 및 제2콘크리트블럭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수직프레임과 제1콘크리트블럭 및 두개의 제2콘크리트블럭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3콘크리트블럭이 설치된 자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B"부분 확대 부분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C"부분 확대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제4콘크리트블럭이 설치된 자중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높이조절브라켓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weight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1;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and a first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weight structure in which a second concrete block is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a first concrete block, and a seco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a first concrete block, and a second concrete bl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vertical frame, a first concrete block, and two second concrete block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weight structure in which a third concrete block is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B" of FIG. 8;
10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C" of FIG. 8;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weight structure in which a fourth concrete block is installe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ight adjustment bracke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타공을 하지 않고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을 설치하기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면 도는 건축물의 옥상에 복수 개의 제1콘크리트블럭(100)을 안착시켜 설치하고,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형성된 제1삽입홀(110)에 수직프레임(200)의 하부를 삽입한 후 상기 제1삽입홀(110)에 콘크리트몰탈(400)을 타설하여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부에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된 수직프레임(200)의 하부를 견고하게 결합시킴으로써, 타공을 하지 않고 태양광패널(10)의 자중을 분산시켜 지지되도록 하여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보다 안정적으로 태양광패널(10)을 시공할 수 있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installing a plurality of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은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는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에 있어서,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1삽입홀(110)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제1삽입홀(110)보다 작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1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0); 및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제1삽입홀(1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in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삽입홀(110)은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채움공간(112);과 상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2채움공간(1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홀(110)과 같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는 제2삽입홀(122)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삽입홀(122)은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3채움공간(122a);과 상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4채움공간(122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하부 전면, 하부 후면, 하부 일측면, 하부 타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입홀(210);과 상기 주입홀(210)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높이조절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콘크리트블럭(120)은 인접한 제2콘크리트블럭(120)과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3삽입홀(124);과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대향되는 제3삽입홀(124)에 양측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부면부터 하부면까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6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6);과 상기 관통홀(126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4삽입홀(128a)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삽입홀(128a)의 하부에 상기 제4삽입홀(128a)보다 확장되어 걸림공간(128b)이 형성되는 제3콘크리트블럭(128); 및 하부에 후크부(129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공간(128b)에 위치되고, 상부가 상기 관통홀(126a)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탈방지핀(129b)이 결합되는 고정고리(12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또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제4콘크리트블럭(12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은 외측면 상부에 상기 제4콘크리트블럭(127)의 상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형성된 와이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urth concrete that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any one first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1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제1콘크리트블럭(100)은The first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1삽입홀(110)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복수 개가 지면에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이 각각 상기 제1삽입홀(110)에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0) 및 태양광패널(1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즉, 본 발명의 제1콘크리트블럭(100)은 자중에 의해 지면에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수직프레임(200), 지지프레임(300) 및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어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first
아울러, 상기 제1삽입홀(110)은 수직프레임(200)보다 큰 직경 또는 너비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하부가 삽입된 후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콘크리트몰탈(400)이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사이에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수직프레임(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삽입홀(110)은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채움공간(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제1채움공간(112)은 상기 제1삽입홀(110)보다 큰 직경 또는 너비를 갖도록 상기 제1삽입홀(110)의 하부에 연장형성되어 앞서 설명된 콘크리트몰탈(400)이 경화된 후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 즉, 제1삽입홀(110)로부터 분리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the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콘크리트몰탈(400)은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3,4콘크리트블럭(120)(128)(127)를 제조하는 동일한 재질의 몰탈로 이루어져 상기 제1삽입홀(110)에 타설되어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제1콘크리트블럭(100)이 제조된 상태에서 제1삽입홀(110)에 타설된 후 경화되므로 외부충격 또는 수직프레임(200)의 지속적인 흔들림에 의해 경계면이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와 같이 제1채움공간(112)을 통해 경화되어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하부에 걸리도록 하는 것이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프레임(100)을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1삽입홀(110)은 상부에 상기 제1채움공간(112)과 같이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2채움공간(11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채움공간(11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2콘크리트블럭(120)이 적층되어 보다 안정적인 자중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제2콘크리트블럭(12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이 보다 안정적으로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제2채움공간(114)은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과 상기 제2콘크리트블럭(12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이 보다 큰 면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직프레임(200)이 상기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로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That is, in the
부가하여 설명하명,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은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홀(110)과 같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는 제2삽입홀(122)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블럭(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or further explanation, the first
상기 제2콘크리트블럭(120)은 설치하고자 하는 태양광패널(10)의 규모가 커질 수록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자중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이때, 상기 제2콘크리트블럭(120)은 수직프레임(200)의 직경 또는 너비보다 큰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는 제2삽입홀(122)이 형성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하부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제2삽입홀(122)에 앞서 제1콘크리트블럭(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몰탈(400)이 타설되어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second
즉, 상기 콘크리트몰탈(400)은 상기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의 제1삽입홀(110)과 제2삽입홀(122)에 타설되어 기둥을 형성함으로써,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아울러, 상기 제2삽입홀(122)은 앞서 설명된 제1삽입홀(110)의 제1채움공간(112)과 마찬가지로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3채움공간(122a)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3채움공간(122a)을 통해 제2콘크리트블럭(120)에 콘크리트몰탈(400)이 경화된 후 더욱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효과 및 상기 제1삽입홀(110)에 타설된 콘크리트몰탈(400)과의 일체성을 더욱더 향상시켜 보다 안정적으로 경화된 콘크리트몰탈(400)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제2삽입홀(122)은 앞서 설명된 제1삽입홀(110)의 제2채움공간(114)과 마찬가지로 상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4채움공간(122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4채움공간(122b)은 상부에 또 하나의 제2콘크리트블럭(120)이 적층되어 설치되는 경우 보다 견고한 결합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수직프레임(200)은The
앞서 설명된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제1삽입홀(110)보다 작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1삽입홀(110)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콘크리트몰탈(400)이 상기 제1삽입홀(110)에 타설되어 상기 콘크리트몰탈(400)에 의해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결합된다.It is formed with a diameter or width smaller than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200)은 상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지지프레임(300)이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00)의 상부에는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태양광패널(10)을 지지하되,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자중에 의해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타공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이때,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200)은 하부 전면, 하부 후면, 하부 일측면, 하부 타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형성되는 복수 개의 주입홀(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주입홀(210)은 앞서 설명된 제1,2삽입홀(112)(122)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이 중공으로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몰탈(400) 즉, 결과적으로는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과 결합이 더욱더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this case, the
부가하여 상기 주입홀(210)이 형성되는 위치 중 수직프레임(200)의 하부는 상기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의 제1,2삽입홀(112)(122)이 형성되는 위치에 해당됨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아울러, 상기 주입홀(210)은 형성되는 갯수 및 크기가 증가할수록 상기 콘크리트몰탈(400) 즉,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과 상기 수직프레임(200)의 결합력이 증대됨은 자명할 것이고, 당업자의 판단에 의해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콘크리트블럭(120)의 갯수에 맞춰 형성되는 위치 및 갯수가 조절됨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as the number and size of the injection holes 210 increase, it is obvious tha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200)은 상기 주입홀(210)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높이조절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높이조절브라켓(220)은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하부가 상기 제1삽입홀(110) 또는 제2삽입홀(12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콘크리트몰탈(400)을 타설하기 전에 제1콘크리트블럭(100) 또는 제2콘크리트블럭(200)이 안정적으로 안착 및 적층된 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부가하여 설명하면, 상기 높이조절브라켓(220)은 콘크리트몰탈(400)을 타설하기 전에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 또는 제2콘크리트블럭(200)의 상부면을 절곡된 하부를 통해 가압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200)의 주입홀(210)에 상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제2콘크리트블럭(200) 및 수직프레이(200)이 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아울러, 상기 높이조절브라켓(2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외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내입부(22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내입부(222)는 상기 제1삽입홀(110) 또는 제2삽입홀(122)의 상부에 내입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이 경화됨에 따라 상기 높이조절브라켓(220)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함께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케 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몰탈(400)이 타설되기 전에 삽입하여 설치된 수직프레임(20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addition, the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지지프레임(300)은 앞서 설명된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 브라켓(미표시)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세로프레임(미표시)과 상기 세로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가로프레임(미표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된다.The
본 발명을 달성학 위한 주요 구성요소인 콘크리트몰탈(400)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과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제3콘크리트블럭(128)의 제1삽입홀(110)과 제2삽입홀(122) 및 제4삽입홀(128a)에 타설되어 경화된 후 상기 제1,2,3콘크리트블럭(100)(120)(128)과 강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제1,2,3콘크리트블럭(100)(120)(128)을 형성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한편, 앞서 설명된 제2콘크리트블럭(120)은 인접한 제2콘크리트블럭(120)과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3삽입홀(124)과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대향되는 제3삽입홀(124)에 양측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부면부터 하부면까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6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6)과 상기 관통홀(126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4삽입홀(128a)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삽입홀(128a)의 하부에 상기 제4삽입홀(128a)보다 확장되어 걸림공간(128b)이 형성되는 제3콘크리트블럭(128) 및 하부에 후크부(129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공간(128b)에 위치되고, 상부가 상기 관통홀(126a)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탈방지핀(129b)이 결합되는 고정고리(1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second
즉, 본 발명의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은 앞서 설명된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과 함께 제3콘크리트블럭(128)을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콘크리트블럭을 통한 자중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200) 및 지지프레임(3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tably through the third
이때, 상기 제3콘크리트블럭(128)의 관통홀(126a)에는 앞서 설명된 콘크리트몰탈(400)이 타설되어 고정고리와 제3콘크리트블럭(128)이 보다 강한 결합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제2콘크리트블럭(120)에 형성되는 제3삽입홀(124)은 상기 수평프레임(126)의 직경 또는 너비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3삽입홀(124)에도 콘크리트몰탈(400)을 타설하여 상기 수평프레임(126)과 제2콘크리트블럭(1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은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제4콘크리트블럭(127)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은 외측면 상부에 상기 제4콘크리트블럭(127)의 상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형성된 와이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connection with the above,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ground so that it is located between any one first
즉, 상기 제4콘크리트블럭(127)은 와이어(230)에 의해 장력이 형성되도록 하여 앞서 설명된 제3콘크리트블럭(128)과 마찬가지로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과 함께 보다 큰 자중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수직프레임(200)과 지지프레임(3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In other words, the fourth
이때,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제4콘크리트블럭(127)은 상기 와이어(230)와 결합되는 부분에 아이볼트(미표시)가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30)의 설치 및 상기 와이어(230)에 장력을 원활하게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the
부가하여,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제4콘크리트블럭(127)은 상기 아이볼트 대신에 상기 와이어(230)를 설치하기 위해 턴버클(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턴버클을 이용해 상기 와이어(230)에 의해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중에 의한 지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200)과 제4콘크리트블럭(127)은 상기 아이볼트 또는 턴버클 대신에 자동장력조절장치(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주변 온도에 따라 수축 및 팽창되는 와이어(230)의 장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자중에 의한 지지를 실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아울러, 본 발명의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은 태양광패널(10)의 규모에 따라 앞서 설명된 제1콘크리트블럭(100)만을 이하여도 무방하고, 상황에 따라서 제1,2콘크리트블럭(100)(120)을 사용하거나 제1,2,3콘크리트블럭(100)(120)(128)을 사용하거나 제1,2,4콘크리트블럭(100)(120)(127)을 사용하거나 제1,2,3,4콘크리트블럭(100)(120)(128)(127)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무방함은 자명할 것이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위치된 제1콘크리트블럭(100) 사이에 제3,4콘크리트블럭(128)(127)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방에 위치된 제1콘크리트블럭(100) 사이에 제3,4콘크리트블럭(128)(127)을 설치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In addition,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ess than the first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은 지면 또는 건축물의 옥상에 타공을 하지 않고 제1,2,3,4콘크리트블럭(100)(120)(128)(127)을 안착시켜 상기 제1,2,3,4콘크리트블럭(100)(120)(128)(127)의 자중에 의해 수직프레임(200) 및 지지프레임(300)이 지지되도록 하고, 콘크리트몰탈(400)을 상기 제1,2,3콘크리트블럭(100)(120)(128)에 형성된 삽입홀에 타설함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한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As a result,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s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oncrete blocks 100, 120, 128, 127 without perforating the ground or the roof of the building, , The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through the above embodiment,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can be done with various changes in.
10 : 태양광패널 100 : 제1콘크리트블럭
110 : 제1삽입홀 112 : 제1채움공간
114 : 제2채움공간 120 : 제2콘크리트블럭
122 : 제2삽입홀 122a : 제3채움공간
122b : 제4채움공간 124 : 제3삽입홀
126 : 수평프레임 126a : 관통홀
127 : 제4콘크리트블럭 128 : 제3콘크리트블럭
128a : 제4삽입홀 128b : 걸림공간
129 : 고정고리 129a : 후크부
129b : 이탈방지핀 200 : 수직프레임
210 : 주입홀 220 : 높이조절브라켓
230 : 와이어 300 : 지지프레임
400 : 콘크리트몰탈10: solar panel 100: first concrete block
110: first insertion hole 112: first filling space
114: second filling space 120: second concrete block
122:
122b: fourth filling space 124: third insertion hole
126:
127: fourth concrete block 128: third concrete block
128a:
129: fixing
129b: separation prevention pin 200: vertical frame
210: injection hole 220: height adjustment bracket
230: wire 300: support frame
400: concrete mortar
Claims (10)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1삽입홀(110)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적층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삽입홀(110)과 같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는 제2삽입홀(122)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제2콘크리트블럭(120);과
상기 제1삽입홀(110)보다 작은 직경 또는 너비로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며, 하부가 상기 제1삽입홀(110)과 제2삽입홀(122)에 삽입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200)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부에 복수 개의 태양광패널(10)이 설치되는 지지프레임(300); 및
상기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제1삽입홀(1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몰탈(4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삽입홀(110)은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1채움공간(112);과
상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2채움공간(1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2삽입홀(122)은
하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3채움공간(122a);과
상부에 확장되어 형성되는 제4채움공간(122b);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하부 전면, 하부 후면, 하부 일측면, 하부 타측면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형성되어 콘크리트몰탈(400)이 중공으로 주입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주입홀(2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
In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olar panels 10 ar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A plurality of first concrete blocks 100 which are seat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and formed through the first insertion hole 110; And
At least one is stacked and installed on the top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00, and a second insertion hole 122 having the same diameter or width as the first insertion hole 110 passes through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And
A plurality of holes formed with a diameter or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ertion hole 110, a hollow formed therein, and a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0 and the second insertion hole 122 to be vertically installed Vertical frames 200; And
A support frame 30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200 and having a plurality of solar panels 10 installed thereon; And
Consists of including; a concrete mortar 400 pour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110 of the first concrete block 100,
The first insertion hole 110 is
A first filling space 112 that is expanded and formed in the lower part; And
Consists of including; a second filling space 114 formed to be expanded on the upper part,
The second insertion hole 122 is
A third filling space (122a) that is expanded and formed in the lower portion; and
Consisting, including; a fourth filling space (122b) formed to be expanded on the upper portion,
The vertical frame 200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210; which are formed through at least one of the lower front, lower rear, lower one side, and the other lower side so that the concrete mortar 400 is injected into the hollow;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perforated construction.
상기 수직프레임(200)은
상기 주입홀(210)에 상부가 결합되고, 하부가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높이조절브라켓(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vertical frame 200 is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comprising: a height adjustment bracket 220 formed by coupling an upper portion to the injection hole 210 and bending the lower portion in an outward direction.
상기 제2콘크리트블럭(120)은
인접한 제2콘크리트블럭(120)과 대향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3삽입홀(12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은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3삽입홀(124)과 대향되는 제3삽입홀(124)에 양측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상부면부터 하부면까지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126a)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수평프레임(126);과
상기 관통홀(126a)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고, 제4삽입홀(128a)이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삽입홀(128a)의 하부에 상기 제4삽입홀(128a)보다 확장되어 걸림공간(128b)이 형성되는 제3콘크리트블럭(128); 및
하부에 후크부(129a)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공간(128b)에 위치되고, 상부가 상기 관통홀(126a)을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상부에 이탈방지핀(129b)이 결합되는 고정고리(12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concrete block 120 is
And a third insertion hole 124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adjacent second concrete block 120,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the non-perforated construction
Both sides are inserted and installed in one of the third insertion holes 124 and the third insertion hole 124 that faces the one of the third insertion holes 124, and at least one penetration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A horizontal frame 126 formed through the hole 126a; And
It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be located under the through hole 126a, and the fourth insertion hole 128a is formed through it, and the fourth insertion hole 128a is formed under the fourth insertion hole 128a. A third concrete block 128 that is further expanded to form a locking space 128b; And
A hook portion (129a)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is located in the locking space (128b), the upper portion is installed to protrude through the through hole (126a), and a fixing ring ( 129);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상기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은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제4콘크리트블럭(12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과 상기 어느 하나의 제1콘크리트블럭(100)과 인접한 제1콘크리트블럭(100)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200)은
외측면 상부에 상기 제4콘크리트블럭(127)의 상부와 연결되어 장력이 형성된 와이어(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타공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 자중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the non-perforated construction
A fourth concrete block 127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groun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any one first concrete block 100 and the first concrete block 100 adjacent to the one first concrete block 100; Consisting of including,
The vertical frame 200 installed on the first concrete block 100 and the vertical frame 200 installed on the first concrete block 100 adjacent to the first concrete block 100
A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comprising: a wire 230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urth concrete block 127 to form tension on an upper outer surface thereof.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472A KR102255454B1 (en) | 2020-10-07 | 2020-10-07 |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9472A KR102255454B1 (en) | 2020-10-07 | 2020-10-07 |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5454B1 true KR102255454B1 (en) | 2021-05-24 |
Family
ID=7615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9472A KR102255454B1 (en) | 2020-10-07 | 2020-10-07 |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5454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761B1 (en) | 2021-07-28 | 2021-12-15 | 주식회사 알피오 | Construction method of solar panels using Supporting structur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8495B1 (en) * | 2006-01-02 | 2006-12-15 | 주식회사 천지콘텍 | Foundation concrete for fence installation |
KR101170991B1 (en) | 2011-07-12 | 2012-08-08 |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supporting apparatus |
JP5635048B2 (en) * | 2012-09-10 | 2014-12-03 | 丸栄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Basics for installing solar panels |
JP2016077119A (en) * | 2014-10-09 | 2016-05-12 | 株式会社近畿北都住設 |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
KR102142064B1 (en) * | 2020-01-15 | 2020-08-06 | 주식회사 티에스엔지니어링 | Photovoltaic panel support structure |
-
2020
- 2020-10-07 KR KR1020200129472A patent/KR102255454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8495B1 (en) * | 2006-01-02 | 2006-12-15 | 주식회사 천지콘텍 | Foundation concrete for fence installation |
KR101170991B1 (en) | 2011-07-12 | 2012-08-08 | 주식회사 일광솔라에너지 | Solar power generation module supporting apparatus |
JP5635048B2 (en) * | 2012-09-10 | 2014-12-03 | 丸栄コンクリート工業株式会社 | Basics for installing solar panels |
JP2016077119A (en) * | 2014-10-09 | 2016-05-12 | 株式会社近畿北都住設 |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construction method fo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anel placement frame |
KR102142064B1 (en) * | 2020-01-15 | 2020-08-06 | 주식회사 티에스엔지니어링 | Photovoltaic panel support struc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39761B1 (en) | 2021-07-28 | 2021-12-15 | 주식회사 알피오 | Construction method of solar panels using Support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85218B1 (en) | Photovoltaic system with a structure for the footing rebar reinforcements | |
KR101533576B1 (en) | Composite beam having truss reinforcement embedded in a concrete | |
JP4219917B2 (en) | Solar panel support structure an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 |
KR102255454B1 (en) | Concrete self-weight structure for non-perforated construction | |
JP5622709B2 (en) | Supporting frame structure for photovoltaic panel frame | |
KR100720067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beam using arched plate | |
KR101672997B1 (en) | Pile using c type steel for generating plant,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101988971B1 (en) | Footing structure of embedded type | |
KR101317316B1 (en) | Precast module footing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with | |
CN206956979U (en) | A kind of Linear shear wall with fore-set | |
KR102548929B1 (en) | Retaining wall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with modular construction method of pc concrete block and secure stability even in high-rise design by reinforced wire tension and integrated behavior of module | |
KR101126342B1 (en) | Support for a Upper Reinforcing Bar of Footings | |
KR102455356B1 (en) | Anchor bolt installation device for solar panel installation | |
KR102578133B1 (en) | Frame Structure for Solar Panel Installation | |
KR102411351B1 (en) | Anchor bolt installation device for solar panel installation | |
CN110565679A (en) | Tenon fourth of twelve earthly branches concatenation assembled foundation device and use braced system of this foundation device | |
CN204112827U (en) | A kind of communications tower | |
JP2015086654A (en) | Truss beam frame for solar panel and assembling method using the same | |
JP6021588B2 (en) | Stand | |
KR20130112242A (en) | Compound deck having built-in internal steel girder and small watershe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 |
JP3182262U (en) | Solar cell module mount | |
CN107419740B (en) | Steel bearing platform of beam-holding tower crane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5684619B2 (en) | Solar cell module installation stand | |
CN220335866U (en) | Water surface photovoltaic box flattening platform foundation template | |
JP6560282B2 (en) | Photovoltaic panel base, its construction method and laying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012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10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4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