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055B1 -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 Google Patents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055B1
KR102255055B1 KR1020190032563A KR20190032563A KR102255055B1 KR 102255055 B1 KR102255055 B1 KR 102255055B1 KR 1020190032563 A KR1020190032563 A KR 1020190032563A KR 20190032563 A KR20190032563 A KR 20190032563A KR 102255055 B1 KR102255055 B1 KR 1022550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ser
unit
sensor
virt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25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12296A (en
Inventor
김장백
김장오
김재우
Original Assignee
김장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장백 filed Critical 김장백
Priority to KR1020190032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055B1/en
Publication of KR2020011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296A/en
Priority to KR1020210060264A priority patent/KR10229336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0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4Exercising apparatus with means for competitions, e.g. virtual r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37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on a target surface or at impact on the ground
    • A63B2024/0046Mechanical means for locating the point of impact or en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63B2024/0096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using performance related parameters for controlling electronic or video games or avat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3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sensor
    • A63B2220/836Sensors arranged on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2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means for remote communication, e.g. internet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가상운동기는,
사용자가 보행시 보행정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감지센서가 포함되는 센서부 및
상기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보행정보에 관련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장치; 및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로드맵을 할당하는 로드맵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에 로딩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로드맵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virtual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nsor unit including an impact detection sensor that generates a signal by detecting walking information when a user is walking, and
And a signal input unit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related to walking information while the user is walking,
A wearing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And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comprising a road map unit for allocating a road map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sensor unit and the signal input unit and controlling an image loaded on the display unit, and
And a visu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road map.

Description

가상운동기 및 가상운동시스템{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본 발명의 일측면은 가상체험이 가능한 가상운동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지도상의 공간을 운동하여 가상체험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상운동기에 관한 것이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exercise device capable of a virtual experien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irtual exercise device capable of maximizing a virtual experience by exercising a space on a map provided by a display device.

또한 다른 측면은 가상체험이 가능한 가상운동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동작신호에 따라서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의 동작을 제어하는 가상 운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another aspect relates to a virtual exercise system that controls the motion of an avatar in a virtual space according to motion signals of users using a virtual exercise device capable of virtual experience.

일반적으로 보행은 사람의 하지 관절 및 근의 연속운동을 통해서 좌우의 다리를 번갈아 전방으로 내놓으면서 몸을 이동시키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보행의 의미는 이와 같이 포괄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천천히 산보하는 것, 빠르게 걷는 것, 달리는 것, 그리고 보행과 유사한 동작으로 자전거를 타는 것을 포괄하여 사용된다. In general, walking refers to moving the body while alternately placing the left and right legs forward through the continuous motion of the lower limb joints and muscles of a person. In this specification, the meaning of walking has been used comprehensively as described above, and walking slowly , Walking fast, running, and riding a bicycle with a motion similar to walking.

근래 들어, 건강관리와 건강유지 및 건강 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에서 유산소운동으로 러닝머신이나 사이클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단순히 운동만을 강조하여 매우 단조롭고 지루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체력 안배에 따른 운동을 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면이 있다.In recent years, as people's interest in health management, maintenance, and health promotion is increasing, treadmills and cycles are used a lot for aerobic exercise indoors. However, this is not only very monotonous and boring by emphasizing only exercise, but also has a very insufficient aspect to exercise according to the physical fitness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a person.

사용자는 러닝머신을 이용하여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하는 중에 운동의 지루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걷는 속도나 런닝 속도를 취향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하지만, 혼자서 해야되는 운동이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낮고 이로 인해 꾸준히 계속하기에는 단조로움으로 인하여 쉽게 포기하는 단점이 있었다.Users use a treadmill to walk or run to relieve the boredom of exercise while walking or running. Therefore, there was a disadvantage of giving up easily due to monotony to continue steadily.

또한 러닝머신 앞에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 TV나 드라마를 시청하면서 지루함을 해소하는 운동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자칫 화상에 집중하여 부상으로 이어지는 위험성이 있다. In addition, there are cases in which a display device is provided in front of a treadmill to relieve boredom while watching TV or a drama, but there is a risk of leading to injury by focusing on burns.

이러한 지루함을 해소하는 좋은 방안은 실제 실외 도로상을 달리는 실감을 느끼게 하여 운동에도 집중하면서 지루함을 해소하는 방안이 요구된다.A good way to get rid of such boredom is to make you feel the real feeling of running on an outdoor road, so that while focusing on exercise, there is a need for a way to relieve boredom.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869696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 1869696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341678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341678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운동사용자가 간단한 휴대용 센서를 통해 얻어지는 인체의 보행정보로 연동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지도를 조작할 수 있는 가상운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exercise machine that allows an exercise user to manipulate a map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linked with walking information of a human body obtained through a simple portable senso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가상운동기에서 전달되는 동작신호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아바타의 동작을 제어하고, 아바타들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하는 가상운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irtual exercise system that controls an avatar's motion to a display device with motion signals transmitted from a virtual exercise machine and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the avatars.

본 발명에 따른 가상운동기는, The virtual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보행시 보행정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감지센서가 포함되는 센서부 및 A sensor unit including an impact detection sensor that generates a signal by detecting walking information when a user is walking, and

상기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보행정보에 관련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입력부를 포함하고, And a signal input unit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related to walking information while the user is walking,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장치; 및A wearing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And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로드맵을 할당하는 로드맵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에 로딩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 및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comprising a road map unit for allocating a road map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nd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sensor unit and the signal input unit and controlling an image loaded on the display unit, and

상기 로드맵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visu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road map.

이 때, 상기 보행정보는 사용자가 보행시 발생시키는 사용자 신체의 충격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시선에 관한 정보, 사용자의 진행방향, 및 사용자의 보행위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walking information preferably includes information on the impact of the user's body generated when the user is walking, information on the user's gaze, the user's moving direction, and information on the user's gait value.

또한, 상기 센서부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진행방향을 전진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mpact detection sensor of the sensor unit generates a signal for detecting the impact, the control unit may advance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map of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충격감지 신호의 주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전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forward speed of the road map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impact detection sensor.

또한, 상기 신호입력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신호가 발생하는 시선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변경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시선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includes a gaze changing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relating to a user's gaze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gaze direction of the road map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gaze changing means.

또한, 상기 신호입력부는 센서에서 발생되는 충격 신호당 지도에서의 이동거리를 설정하여 보행과 자전거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이동거리를 변경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includes a mode changing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for changing to a walking and a bicycle mode by setting a moving distance on the map per impac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and the control unit is the moving distance of the road map of the display unit Can be changed.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착용장치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사용자의 신체 중 다리, 무릎, 또는 신발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nsor unit may be separated from the wearing device and attached to a leg, a knee, or a shoe of the user's body, respectively.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가상운동기와 가상공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가상운동시스템으로서,As a virtual exercise system including a virtual exercise machine and a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상기 가상운동기는,The virtual exercise machine,

사용자가 보행시 보행정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감지센서가 포함되는 센서부, 및A sensor unit including an impact sensor for generating a signal by detecting walking information when a user is walking, and

상기 사용자가 보행하면서 보행정보에 관련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입력부를 포함하고, And a signal input unit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related to walking information while the user is walking,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장치; 및A wearing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And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로드맵을 할당하는 로드맵부,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로딩되는 화상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로드맵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대화할 수 있는 가상공간을 개설하는 가상공간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 및 A road map unit that allocates a road map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signals according to the sensor unit and the signal input unit and controls an image loaded on the display unit, and a virtual device that the user can talk to on the road map.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ncluding a virtual space unit to establish a space, and

상기 로드맵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시각장치;를 포함하고,Including; a visual device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oad map,

상기 가상공간관리서버는,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공간부에서 선택한 가상의 보행코스로 사용할 상기 로드맵을 제공하는 코스제공부;A cours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road map to be used as a virtual walking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virtual space unit;

상기 사용자들의 인적정보를 전달받아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표시하는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 및An avatar generation unit that receive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generates an avatar to be displayed on behalf of the user in a virtual space; And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따른 신호 및 상기 사용자들의 대화정보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아 아바타의 보행 및 대화를 상기 로드맵상에서 구현하는 아바타 제어부를 포함한다. And an avatar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the sensor unit and the signal input unit and a signal related to convers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implement walking and conversation of the avatar on the road map.

이 때, 상기 아바타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성별, 나이, 캐릭터, 옷을 포함하는 정보로부터 아바타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avatar generator may generate an avatar from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character, and clothes input by the user.

또한, 상기 가상운동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촬영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exercis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photographing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또한, 상기 촬영장치로 특정 사용자가 촬영하는 화상이 가상공간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되어 대화에 참여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촬영하는 화상이 제공하는 로드맵으로 운동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captured by a specific user is transmitted to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so that the image taken by other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can exercise as a roadmap provided.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저가의 센서를 사용하여 제조된 가상운동기를 사용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현되는 실제와 같은 가상의 위치에서 보행, 달리기, 자전거 타기 등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다. Using a virtual exercise machine manufactured using a low-cost senso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exercise, such as walking, running, and riding a bicycle, at a virtual location that is actually implemented on the display device.

특히 제자리걸음에서도 자체 제작 코스 또는 구글맵이나 다음지도 네이버지도의 로드뷰를 통해 산보 혹은 산책을 실감나게 할 수 있다.In particular, you can make a walk or walk through a self-made course or a road view of Google Maps or Daum Maps and Naver Maps.

특히 일반 러닝머신을 이용하는 경우 본 가상운동기만의 간단한 추가로 실감하는 가상 런닝머신을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a general treadmill, a virtual treadmill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addition of this virtual exercise machine.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 운동 시스템은 가상운동기를 착용한 사용자들의 아바타가 제공되어 사용자의 운동이 아바타의 동작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아바타끼리 대화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이 마련되어 사용자는 아바타를 통해 서로 커뮤니케이션하면서 운동을 할 수 있다. In the virtual exercis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vatars of users wearing virtual exercise machines are provided so that the user's exercise can be implemented as an avatar motion, and a community space where avata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s provided. You can exercise while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착용장치와 시각장치를 사용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관리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치의 화상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ea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vi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wearing device and a visu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5 is a block diagram of a vi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of a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mage of a vi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일측면에 따른 가상운동기는 착용장치(100) 및 시각장치(200)를 포함한다. The virtual exercise machin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ing device 100 and a visual device 200.

도 1 및 도 2에 따른 착용장치(100)는 센서부(100), 신호입력부(120), 통신부 및 케이스(140)를 포함한다. The wearing device 100 according to FIGS. 1 and 2 includes a sensor unit 100, a signal input unit 120, a communication unit and a case 140.

센서부(100)는 센서(101), 통신수단(113), 충전수단(115) 및 제1웨어러블수단(117)을 포함한다. 센서(101)는 상하 충격감지센서(101)로 이루어진다. 센서부(100)는 사용자의 걷기나 달리기를 센싱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신체, 예를 들면, 다리, 신발, 무릎등 양쪽에 부착되는 적어도 2개가 필요하다. The sensor unit 100 includes a sensor 101, a communication unit 113, a charging unit 115, and a first wearable unit 117. The sensor 101 is composed of an upper and lower impact sensor 101. The sensor unit 100 needs at least two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user's body, for example, legs, shoes, and knees, so as to sense the user's walking or running.

센서(101)는 충격감지센서(101)가 사용되며, 충격감지센서(101)는 사용자가 보행시 발생되는 주행정보, 즉 충격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보행시 충격이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신호로 발생시킨다. As the sensor 101, an impact sensor 101 is used, and the impact sensor 101 can detect driving information generated when a user walks, that is, an impact. Therefore, when an impact occurs while the user is walking, it is detected and generated as a signal.

충격감지센서(101)는 보행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지하여 신호로 발생시키는 모든 종류의 센서(101)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에조센서나 각종의 진동센서들이 사용될 수 있다. The impact detection sensor 101 may be any type of sensor 101 that detects an impact generated during walking and generates a signal. For example, piezo sensors or various vibration sensors may be used.

통신수단(113)은 센서(101)에서 발생한 신호를 통신부에 전달한다. 이 때 신호는 착용장치(100)의 통신부에 전달되거나, 후술할 시각장치(200)의 통신부로 직접 전달될 수 있으며, 신호전달은 무선 근거리 통신방식으로 전달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means 113 transmits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101 to the communication unit. In this case, th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wearing device 100 or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of the visual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and signal transmission may be transmitted by a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

충전수단(115)은 센서(10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충전지와 충전을 위한 단자를 포함한다. 충전은 후술할 바와 같이 본체에 구비된 센서부(100) 수납공간에 센서부(100)를 수납시킴으로써, 수납공간의 충전단자를 통해 충전할 수 있다. The charging means 115 is a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the sensor 101 and includes a rechargeable battery and a terminal for charging. Charging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storage space by accommodating the sensor unit 100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ensor unit 100 provided in the main body as will be described later.

제1웨어러블수단(117)은 센서부(100)를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클립, 벨크로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부(100)는 아래쪽에 클립으로 되어 있어 신발 또는 양말 목에 쉽게 끼워서 사용할 수 있다. 자전거 사용시에는 경우에 따라 무릎위쪽에 밴드형태로 장착할 수 있다.The first wearable means 117 is for attaching the sensor unit 100 to the user's body, and a clip or Velcro may be applied. For example, since the sensor unit 100 is a clip at the bottom,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neck of shoes or socks. When using a bicycle, it can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band above the knee in some cases.

신호입력부(120)는 사용자가 필요시 직접 진행방향이나 시선방향등을 변경할 수 있는 신호를 입력하는 것으로서, 좌우방향수단(121), 전후전환수단(123), 시선변경수단, 모드변경수단등을 포함한 다양한 신호입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The signal input unit 120 inputs a signal capable of directly changing the direction of progress or gaze direction, etc., when the user needs it, and includes a left and right direction means 121, a front and rear switching means 123, a gaze changing means, a mode changing means, etc. Various signal input means including, may be provided.

좌우방향수단(121)은 디스플레이부(210)에서 보여지는 영상의 진행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방향을 전환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후전환수단(123)은 디스플레이부(210)에서 보여지는 영상에서 진행방향을 전진 또는 후진으로 선택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고, 시선변경수단은 화상을 사용자의 진행방향으로 변경시키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화상을 변경시키는 수단이다.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eans 121 generates a signal for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10 to the left or right, and the front and rear switching means 123 is used in the image shown on the display unit 210. A signal for selecting the moving direction as forward or backward is generated, and the gaze changing means is a means for changing the image according to the user's gaze rather than changing the image to the user's moving direction.

또한 모드변경수단은 센서에서 발생되는 충격 신호당 지도에서의 이동거리를 설정하여 보행과 자전거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센서에서 발생하는 1충격신호당 보행모드에서는 대략 70cm 의 거리를 이동시키고, 자전거모드에서는 1.5 내지 3m의 거리를 이동시킨다. 모드변경수단은 보행모드나 자전거모드의 2가지 보다 많은 다양한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모드에서도 1충격신호당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 도 있다. In addition, the mode changing means generates a signal for changing the walking and cycling modes by setting the moving distance on the map per impac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For example, per impac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a distance of approximately 70 cm is moved in the walking mode and 1.5 to 3 m in the bicycle mode. The mode changing means may have more than two different modes of a walking mode or a bicycle mode. For example, even in the walking mode, the distance traveled per shock signal can be adjusted.

신호입력부(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케이스(140)상에 버튼이나 다이얼 또는 스위치 형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ignal input unit 120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button, a dial, or a switch on the case 140.

제1통신부는 통신수단(113)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나, 신호입력부(120)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후술할 시각장치(200)에 무선 통신방식으로 전달한다.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eans 113 or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ignal input unit 120 to the visual apparatus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케이스(140)는 센서부(100), 제1통신부, 및 신호입력부(120)가 수납되며, 특히 센서부(100)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센서부(100)의 수납공간에는 충전단자가 구비되어 있어서, 센서(101)를 충전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140)는 사용자의 허리등에 착용될 수 있는 제2웨어러블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제2웨어러블수단은 허리 벨트에 클립 형태로 장착하는 형태일 수 있고, 벨트가 없는 운동복일 경우 간단한 벨트와 같이 착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se 140 accommodates the sensor unit 100,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signal input unit 120, and in particular, has a storage space in which the sensor unit 100 is accommodated, and the storage space of the sensor unit 100 is charged. Since a terminal is provided, the sensor 101 can be charged. In addition, the case 140 includes a second wearable means that can be worn on the user's waist or the like. For example, the second wearable means may be in the form of a clip attached to the waist belt, and in the case of a sportswear without a belt, it is preferable to wear it with a simple belt.

도 3에 따른 시각장치(200)는 제2통신부(230),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220), 디스플레이부(210)를 포함한다. The visual apparatus 200 according to FIG. 3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220, and a display unit 210.

제2통신부(230)는 제1통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220)으로 전달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receiv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s it to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220.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220)은 로드맵부(221), 제어부(223)를 포함한다.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220 includes a road map unit 221 and a control unit 223.

로드맵부(221)는 사용자가 사용할 로드맵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택에 따른 로드맵을 서버로부터 해당 로드맵을 다운로드한다. 이 때, 본 명세서에서는 로드맵이라고 설명하였으나 실제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맵을 로드맵에 국한되지 않는다. The road map unit 221 allows the user to select a road map to be used, and downloads the road map according to the selection from the server. In this cas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as a roadmap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map that can be actually downloaded is not limited to the roadmap.

제어부(223)는 제2통신부(230)로부터 사용자의 보행정보에 대한 다양한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210)에 로딩되는 화상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로드맵상의 진행방향을 전진방향, 후진방향, 좌회전방향, 우회전방향으로 진행방향에 관한 신호를 보내거나, 로그맵을 보행하는 사용자의 시선의 방향을 바꾸는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에 로딩된 로드맵의 진행방향이나 시선방향을 변경한다. The control unit 223 receives various signals for the user's walking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and controls an image loaded on the display unit 210. For example, the user sends a signal about the direction of progress on the roadmap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turn, and right turn directions, or loads the log map on the display according to a signal that changes the direction of the user's gaze. Change the direction of the roadmap or the direction of sight.

한편, 충격감지센서(101)의 충격감지 신호의 주기에 따라서 제어부(223)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10)의 상기 로드맵의 전진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trol unit 223 may control the forward speed of the roadmap of the display unit 210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impact detection sensor 101.

디스플레이부(210)는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220)에서 실행되는 로드맵을 디스플레이 한다. 로드맵은 상용의 로드맵, 예를들어, 다음의 로드뷰나 구글의 스트리트뷰를 이용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10 displays a road map executed in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220. As the roadmap, you can use a commercial roadmap, for example, the following roadview or Google's streetview.

시각장치(200)는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컴퓨터와 모니터, 모바일폰, 테블렛PC, 스마트폰 탑재된 3D안경등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Various devices may be used as the vision device 200. For example, computers and monitors, mobile phones, tablet PCs, and 3D glasses equipped with smartphone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이하에서는 가상운동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센서부(100)를 웨어러블 수단을 이용하여 무릅, 신발, 다리등에 착용하고, 보행등을 시작하면, 센서부(100)의 센서(101)가 충격을 센싱하고, 이를 신호화하여 제1통신부 또는 제2통신부(230)로 송신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virtual exercise machine will be described. When the user wears the sensor unit 100 on the knees, shoes, legs, etc. using a wearable means, and starts walking, the sensor 101 of the sensor unit 100 senses the impact and signals the first. It transmits to the communication unit or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예를 들어, 신발에 센서부(100)를 부착하고, 보행을 시작하는 경우 보행시 충격을 센싱하여 전진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sensor unit 100 is attached to a shoe and starts walking, a forward signal may be generated by sensing an impact during walking.

또한 사용자가 케이스(140)를 착용하고, 신호입력부(120)를 이용하여 신호를 입력하면방향신호가 발생되어 제1통신부로 전달되며, 제1통신부는 방향신호를 제2통신부(230)로 송신한다. 예를 들어, 신호입력부(120)는 좌측 및 우측 진행버튼을 구비하여, 좌측방향진행신호를 보내거나 우측방향 진행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신호입력부(120)는 좌측방향 시선버튼 및 우측방향시선버튼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wears the case 140 and inputs a signal using the signal input unit 120, a directi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and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a direction signal to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do. For example, the signal input unit 120 may include left and right progress buttons to transmit a left direction progress signal or generate a right direction progress signal. In addition, the signal input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left gaze button and a right gaze button.

시각장치(200)의 제2통신부(230)는 제1통신부 또는 통신수단(113)으로부터 보행정보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아, 제어부(223)로 전달하며, 제어부(223)는 보행정보에 관한 신호, 즉 전진신호, 좌측방향 회전신호, 우측방향 회전신호를 받아서 디스플레이상에 구현되는 로드맵의 진행방향을 제어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0 of the visual apparatus 200 receives a signal related to the walking information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or the communication unit 113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 unit 223, and the control unit 223 is a signal related to the walking information. In other words, it receives a forward signal, a left turn signal, and a right turn signal and control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 map implemented on the display.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보행시 속력을 포함하는 전진신호에 따라 화상에 구현된 로드맵이 전진하게 되며, 사용자가 신호입력부(120)에 입력한 좌회전신호 또는 우회전신호에 따라 로드맵의 진행방향이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게 되며, 사용자는 자신의 보행에 따라 화상의 로드맵의 진행 방향이 변하는 것을 보면서 보행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walks, the road map implemented in the image advances according to the advance signal including the speed, and the direction of the road map turns left or right according to the left turn signal or the right turn signal input by the user to the signal input unit 120. The user can walk while watch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image roadmap change according to his or her walking.

이 때, 로드맵은 전용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로딩되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되는 로드를 따라 보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oadmap is loaded by a dedicated application program, so that the same effect as walking along the displayed road can be obtained by the user.

본 발명에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운동 시스템은 가상운동기 및 가상공간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A virtual exercis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exercise machine and a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300.

가상운동기는 착용장치(100) 및 시각장치(200)를 포함하며, 전술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차이가 있는 시각장치에 대해서 추가 설명한다. The virtual exercise machine includes the wearing device 100 and the visual device 200, and since it is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contents, a different visual device will be further described.

시각장치(200)의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220)은 가상공간부(225)를 더 포함한다. 가상공간부(225)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같은 로드맵에서 대화하면서 보행등 운동을 진행할 때 서로 대화할 수 있도록 가상공간을 제공한다. 즉, 사용자들은 시각장치(200)를 이용하여 자신들이 보행할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특정코스의 가상공간을 개설하면, 같이 운동할 수 있는 다른 사용자가 해당 코스에 참여할 수 있다.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220 of the visual device 200 further includes a virtual space unit 225. The virtual space unit 225 provides a virtual space so that a plurality of users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n performing an exercise such as walking while simultaneously talking on the same road map. That is, users can select a course to be walked by using the visual device 200. For example, when a specific user opens a virtual space for a specific course, other users who can exercise with him can participate in the course.

또한 가상공간부(225)는 사용자가 같이 코스에 참여할 타 사용자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같이 코스에 참여하면서 사용자는 자신이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사람, 예를 들면 건강에 관한 상담이 필요한 경우 한의사를 대화상대로 지정할 수 있고, 한편 한의사는 동반해서 운동을 하면서 유료로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space unit 225 may allow the user to select other users to participate in the course together. For example, while participating in the course together, the user can designate a person who needs communication, for example, as a conversation partner, if he/she needs health-related consultation. I can.

또한 가상공간부는 사용자가 운동하면서 사용할 신발, 의류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할 신발, 의류를 사용하면서 해당 신발, 의류를 광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virtual space unit may allow a user to select shoes and clothes to be used while exercising. Users can advertise their shoes and clothing while using their own shoes and clothing.

도 6의 가상공간관리서버(300)는 제2통신부(310), 코스제공부(320), 아바타생성부(330), 및 아바타제어부(340)를 포함한다.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300 of FIG. 6 include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310, a course providing unit 320, an avatar generation unit 330, and an avatar control unit 340.

제2통신부(310)는 시각장치(200)의 가상현실어플리케이션(220)으로부터 가상운동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시각장치(200)로 가상의 대화공간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보행정보, 가상공간정보 및 대화정보를 수신한다.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10 from the virtual reality application 220 of the visual device 200 to the visual device 200 of the user using the virtual exercise machine, walking information, virtual space information, and conversation information of users participating in a virtual chat space. Receive.

코스제공부(320)는 사용자들에게 커뮤니케이션을 진행할 가상공간을 제공하고, 사용자들이 선택한 가상의 보행코스로 사용할 로드맵을 제공한다. The course providing unit 320 provides a virtual space for communication to users, and provides a road map to be used as a virtual walking course selected by the users.

아바타생성부(330)는 상기 대화에 참여한 사용자들의 인적정보를 전달받아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표시하는 아바타를 생성한다. 이 때, 인적정보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종의 정보들, 성별, 나이, 캐릭터, 의류, 신발을 포함하며, 대용량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경우 실시간 영상을 아바타로 활용할 수 있다.The avatar generation unit 330 receives personal information of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and generates an avatar to be displayed on behalf of the user in a virtual space. In this case,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gender, age, character, clothing, and shoes, and when large-capacity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a real-time image may be used as an avatar.

아바타제어부(340)는 사용자들의 보행정보 및 대화정보에 관한 신호를 제2통신부(310)로부터 전달받아 아바타의 보행 및 대화로 구현한다. The avatar control unit 340 receives signals related to the user's walking information and conversation information from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310 and implements the walking and conversation of the avatar.

이 때 아바타제어부(223)는 시각장치(200)에서 구현되는 보행정보에 관한 신호와 동일한 내용의 전진신호, 좌측방향 회전신호, 우측방향 회전신호등의 보행정보를 전달받아 아바타가 전진, 좌회전, 우회전하도록 제어하거나, 시선정보를 전달받아 시선을 좌회전 또는 우회전하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avatar control unit 223 receives walking information such as a forward signal, a left turn signal, and a right turn signal having the same content as the signal for the walking information implemented in the visual device 200, and the avatar moves forward, left turn, and right turn. Or control to turn the gaze left or right by receiving gaze information.

또한 아바타제어부(340)는 시작장치에서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대화정보를 전달받아 이를 아바타의 대화로 구현한다. 이 때, 아바타의 대화는 음성이나 문자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vatar control unit 340 receives the conversation information made by the user from the starting device and implements it as a conversation of the avatar. At this time, the conversation of the avatar may be transmitted by voice or text.

아울러 가상공간관리서버는 보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상부는 사용자가 동행하면서 상담을 진행하거나, 사용자가 특정 의류, 신발, 선글라스등 운동시 필요한 의류, 운동기구를 아바타에 구현함으로써 해당 의류, 운동기구등을 판매하는 회사의 광고료를 포인트로 적립하여 보상받을 수 있게 한다. In addition,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ompensation unit. The compensation department provides a consultation while the user accompanies the user, or by implementing the clothing and exercise equipment necessary for exercising such as specific clothing, shoes, sunglasses, etc. on the avatar by the user, accumulating the advertising fee of the company that sells the corresponding clothing, exercise equipment, etc. as points to compensate. To be able to receive it.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운동 시스템은 운동하는 모든 사람들의 플랫폼으로 기능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irtual exercis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function as a platform for all people exercising.

본 발명에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운동 시스템은 가상운동기, 촬영장치(400) 및 가상공간관리서버(300)를 포함한다. A virtual exercis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rtual exercise machine, a photographing device 400, and a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300.

가상운동기는 착용장치(100) 및 시각장치(200)를 포함하며,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virtual exercise machine includes the wearing device 100 and the visual device 200,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the same as the above.

촬영장치(4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가 보행하는 장소를 촬영한다. The photographing device 400 is worn on the user's body and photographs a place where the user walks.

이 때 촬영장치(400)는 적어도 2개이상의 카메라를 사용하여, 보행하는 장소를 입체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촬영장치(400)가 촬영될 수도 있고, GPS좌표도 기록될 수 있다. .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hotographing apparatus 400 photographs a walking place in three dimensions by using at least two cameras. Meanwhil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400 may be photographed by a plurality of users, and GPS coordinates may be recorded. .

이 때 특정 사용자가 촬영하는 화상이 가상의 대화공간의 보행코스로 실시간 전송되어 대화에 참여하는 다른 사용자들에게도 동일한 진행 및 시선방향으로 적용되어 대화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동일한 장소를 보행하는 것과 같은 체험을 제공한다. At this time, the image taken by a specific user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walking course of the virtual chat space and applied to other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in the same progression and direction of sight, so that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walk in the same place. Provides.

한편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새로운 보행코스로서 코스제공부(320)의 로드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보행에 의해 새로이 제작되는 보행로드맵을 가상공간관리서버(300)의 운영주체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에 상응하는 보상을 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image captured in this way may be stored in the roadmap database of the course providing unit 320 as a new walking cours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In this case, the user may receive a corresponding compensation by providing a walking roadmap newly produced by walking to the operating entity of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300.

가상공간관리서버(300)의 코스제공부(320)는 사용자의 촬영장치(400)에 의해 촬영된 로드맵을 새로운 로드맵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종래 존재하지 않던 로드맵 예를 들면, 산행길, 파리의 거리, 지중해 해변등을 제공할 경우 이를 신규코스로 제공할 수 있다. The course providing unit 320 of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300 may update the road map photographed by the user's photographing device 400 to a new road map. For example, when a user provides a road map that did not exist in the past, for example, a mountain trail, a street in Paris, a Mediterranean beach, etc., it may be provided as a new cours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운동기구 뿐만아니라 VR체험이나 게임에서도 사용자의 보행구현 즉, 충격감지에 따른 신호를 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apply a signal according to the user's gait realization, that is, shock detection, not only in exercise equipment, but also in VR experiences or game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0 : 착용장치 110 : 센서부
120 : 제1통신부 130 : 케이스
140 : 케이스 200 : 시각장치
210 : 디스플레이부 220 : 가상현실어플레케이션
230 : 제2통신부 300 : 가상공간관리서버
310 : 제3통신부 320 : 코스제공부
330 : 아바타생성부 340 : 아바타제어부
400 : 촬영장치
100: wearing device 110: sensor unit
120: first communication unit 130: case
140: case 200: visual device
210: display unit 220: virtual reality application
230: second communication unit 300: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310: 3rd communication department 320: course provision department
330: avatar generation unit 340: avatar control unit
400: photographing device

Claims (11)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착용장치와 상기 착용장치에서 보내는 신호를 전달받아 화상을 제어하는 시각장치를 포함하는 가상운동기와 상기 가상운동기와 연결되는 가상공간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가상운동시스템으로서,
상기 착용장치는,
사용자가 보행시 발생하는 신체의 충격에 관한 보행정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충격감지센서에서 발생한 신호를 무선으로 전달하는 통신수단, 상기 센서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수단을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센서부,
상기 사용자의 진행방향을 전후 또는 좌우로 전환하는 정보, 상기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전환하는 정보 및 상기 센서부에서 발생되는 충격 신호당 지도에서의 이동거리를 설정하는 보행모드와 자전거 모드로 변경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보행정보에 관련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신호입력부,
상기 센서부 또는 상기 신호입력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시각장치에 무선으로 전달하는 제1통신부, 및
상기 센서부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며,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센서의 충전단자가 구비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각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른 로드맵을 할당하는 로드맵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신호입력부에 따른 신호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부에 로딩되는 상기 로드맵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어플리케이션, 및
상기 로드맵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수납공간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 무릎 또는 신발에 각각 착용되기 위한 제1웨어러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착용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기 위한 제2웨어러블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시각장치는 상기 착용장치와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상기
상기 센서부의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는 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진행방향을 전진시키고,
상기 충격감지센서의 충격감지 신호의 주기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전진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신호입력부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신호가 발생하는 시선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변경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시선방향을 변경시키며,
상기 신호입력부는 센서에서 발생되는 충격 신호당 지도에서의 이동거리를 설정하는 보행과 자전거 모드로 변경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변경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로드맵의 시간당 이동거리를 변경시키며,
상기 가상공간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가 가상공간부에서 선택한 가상의 보행코스로 사용할 상기 로드맵을 제공하는 코스제공부;
상기 사용자들의 인적정보를 전달받아 가상공간에서 사용자를 대신하여 표시하며, 상기 인적정보로서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성별, 나이, 캐릭터, 옷을 포함하는 정보를 반영하여 아바타를 생성하는 아바타 생성부;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신호입력부에 따른 신호 및 상기 사용자들의 대화정보에 관한 신호를 전달받아 아바타의 보행 및 대화를 상기 로드맵상에서 구현하는 아바타 제어부;
상기 신호입력부는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관한 신호가 발생하는 시선변경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선변경수단의 신호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상기 아바타의 시선방향을 변경시키며,
상기 가상운동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촬영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장치로 특정 사용자가 촬영한 화상은 가상공간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되며,
상기 특정 사용자와의 대화에 참여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실시간 전송된 상기 화상으로부터 제공되는 로드맵상에서 상기 아바타를 구현하여 보행하는 가상운동시스템.
A virtual exercise system comprising a virtual exercise device including a wearing device worn on a user's body and a visual device for controlling an image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wearing device, and a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connected to the virtual exercise device,
The wearing device,
Including an impact sensor for generating a signal by detecting walking information about the impact of the body generated when the user walks, a communication means for wirelessly transmitt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impact sensor, and a charging means for charging the sensor. 2 or more sensor parts,
Information for converting the user's moving direction back and forth or left and right, information for changing the user's gaze direction, and information for changing to a walking mode and a bicycle mode for setting a moving distance on the map per impact signal generated from the sensor unit A signal input unit capable of generating a signal related to walking information including,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rom the sensor unit or the signal input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it to the visual device, and
A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ensor unit is provided, and the storage space includes a case in which a charging terminal of the sensor is provided,
The vision device,
A virtual reality application including a road map unit for allocating a road map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signals according to the sensor unit and the signal input unit and controlling the road map loaded on the display unit, and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road map,
The sensor unit includes first wearable means for being separated from the storage space of the case and worn on the user's legs, knees, or shoes, respectively,
The wearing device includes a second wearable means for being worn on the user's body,
The visual device is connected to the wearing device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the
When the impact detection sensor of the sensor unit generates a signal for detecting the impact, the control unit advances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oadmap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period of the impact detection signal of the impact detection sensor,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forward speed of the road map of the display unit,
The signal input unit includes a gaze changing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relating to a user's gaze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gaze direction of the road map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gaze changing means,
The signal input unit includes a mode changing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for setting a moving distance on the map per impact signal generated by the sensor and a signal for changing to a walking and bicycle mode,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display the display according to a signal of the mode changing means. Change the travel distance per hour of the negative roadmap,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A course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road map to be used as a virtual walking cours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virtual space unit;
An avatar generator configured to receiv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display it on behalf of the user in a virtual space, and to generate an avatar by reflecting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age, character, and clothes input by the user as the personal information; And
An avatar controller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according to the sensor unit and the signal input unit and a signal related to convers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and implement walking and conversation of the avatar on the road map;
The signal input unit includes a gaze changing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regarding a user's gaze direction, and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gaze direction of the avatar of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gaze changing means,
The virtual exercise system includes a photographing device worn on the user's body,
The image captured by a specific user with the photographing device is transmitted in real time to the virtual space management server,
A virtual exercise system in which other users participating in the conversation with the specific user implement the avatar on a roadmap provided from the image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walk.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032563A 2019-03-21 2019-03-21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KR1022550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63A KR102255055B1 (en) 2019-03-21 2019-03-21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KR1020210060264A KR102293363B1 (en) 2019-03-21 2021-05-10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563A KR102255055B1 (en) 2019-03-21 2019-03-21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64A Division KR102293363B1 (en) 2019-03-21 2021-05-10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296A KR20200112296A (en) 2020-10-05
KR102255055B1 true KR102255055B1 (en) 2021-05-24

Family

ID=728094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2563A KR102255055B1 (en) 2019-03-21 2019-03-21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KR1020210060264A KR102293363B1 (en) 2019-03-21 2021-05-10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264A KR102293363B1 (en) 2019-03-21 2021-05-10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505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32351A (en) * 2021-02-02 2022-08-02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Exercise system, method for providing exercise and computer program
KR102555933B1 (en) * 2021-08-20 2023-07-17 (주)파이네트웍스 Virtual extreme golf system
KR20230063667A (en) * 2021-11-02 2023-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intg method thereof
KR102538027B1 (en) * 2022-08-25 2023-06-01 주식회사 나인피스 Server for indoor exercise service and its providing methods
KR102609706B1 (en) * 2022-12-09 2023-12-05 김종원 System for providing internet of things based home training ser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310A (en) * 2008-06-13 2009-12-24 Sharp Corp Image data reproducer, image reproduce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64B1 (en) * 2008-06-12 2011-02-25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Training system based on on-line virtual reality
KR20140108436A (en) * 2013-02-27 2014-09-11 주식회사 멀틱스 System and method for exercise game of social network type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341678B1 (en) 2013-04-11 2013-12-16 김삼생 Virtual experience organization
KR20170099755A (en) * 2016-02-24 2017-09-01 주식회사 메타포트 Head mount display for walking simulator
KR101869696B1 (en) 2017-06-12 2018-06-21 차창민 The omnidirectional treadmills using virtual realit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7310A (en) * 2008-06-13 2009-12-24 Sharp Corp Image data reproducer, image reproducer,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head mounted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312A (en) 2021-05-18
KR20200112296A (en) 2020-10-05
KR102293363B1 (en)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055B1 (en) Virtual Exercise Device and Virtual Exercise System
US20200335006A1 (en)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and applications thereof
JP6332830B2 (en) Exercise support system, exercise support method, and exercise support program
JP5744074B2 (en)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sports balls and applications thereof
US11748959B2 (en) Device for simulating a virtual fitness partner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JP2020150987A (en) Indoor aerobic exercise device and exercise system
JP2009050699A (en) Sports electronic training system with electronic gaming function, and applications thereof
KR101638819B1 (en) Gait correc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5683976A (en) Energy expenditure device
US20170273616A1 (en) System for guiding correction of walking ga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5706095A (en) Athletic activity sessions and groups
JP2003134510A (en) Image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2003241639A (en) Virtual space simulation device
JPWO20181796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7416873B1 (en) Virtual space provision system, virtual space provision method, and virtual space provision program
JP2024018447A (en) Virtual space movement device, virtual space movement method, and virtual space movement program
Loretz Tangible Vision: Empowering visually impaired to do sports in free settings
JP2023158977A (en) Exercise menu management device, exercise manage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230158670A (en) Mountain Game System Using Stepper and Insol
KR20190081090A (en) Walking machine system showing user's mo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