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952B1 -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 Google Patents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952B1
KR102254952B1 KR1020190078253A KR20190078253A KR102254952B1 KR 102254952 B1 KR102254952 B1 KR 102254952B1 KR 1020190078253 A KR1020190078253 A KR 1020190078253A KR 20190078253 A KR20190078253 A KR 20190078253A KR 102254952 B1 KR102254952 B1 KR 102254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bar
hole
connection
coupling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2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1732A (en
Inventor
이승로
Original Assignee
이승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로 filed Critical 이승로
Priority to KR1020190078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952B1/en
Publication of KR20210001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7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95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이 있는 경사로에 설치되는 난간 가로대의 연결각도를 지주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결합된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가로대를 지주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며, 지주와 가로대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이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계단의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를 계단이 마련된 경사 노면의 각도에 적합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면 및 바닥면과 전면 및 후면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가로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통공과, 상기 후면이 지주의 좌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하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단의 상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전면의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전면에 밀착되고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면과, 전면 및 후면의 각각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로대의 단부 전,후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의 단부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공이 형성된 연장면이 형성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바닥면의 좌측에 난간동자의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해 우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격홈; 및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nection angle of the railing crossbar installed on the ramp with the stairs to be connected via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at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column, so that the crossbar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column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welding process at the site. It can be connected, and the structure is improved to have a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onnect the posts and the crossbars in a narrow space between the posts and the crossbars, to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trut arranged to stand vertically on the road surface of a staircase, a crossbar connecting the strut and the strut, and a connecting means for fixing the crossbar to suit the angle of the inclined road surface on which the steps are provided, The connecting means is formed of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 front surface and a rear surface, and a through hole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into which the end of the crossbar is inserted,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lower end so that the rear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eft surface of the post.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upwardly inclined angle toward the front, a connecting surface that is inclined upwardly extended to the right of the front sid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post and a connection hole is formed, and the end of the crossbar extending to the left from each of the front and rear sides.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to surround both side surfaces and having an extended surfac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an end portion of the crossbar; A clearance groove formed concave in the right direction for adjust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baluster on the left side of the floor surface; And a fastening member that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and is screwed into a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Description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Railing crossbar combination structure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본 발명은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단이 있는 경사로에 설치되는 난간 가로대의 연결각도를 지주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결합된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가로대를 지주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주와 가로대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이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ling crossbar coupling structure, and in particular, by allowing the connection angle of the railing crossbar installed on a ramp with a staircase to be connected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coupled at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ost, separate welding at the site In addition to making it possible to easily connect the crossbar to the post without going through the process, the structure is improved to have the useful advantage of connecting the post and the crossbar easily in the narrow space between the post and the crossbar. About.

일반적으로, 기존 난간은 지주와 지주사이에 가로대를 연결하여 사용하되, 상기 가로대는 상부 가로대와 하부 가로대로 형성되어 상기 상,하부 가로대 사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개의 난간동자가 결합된 것이 일반적이다.In general, the existing railing is used by connecting a crossbar between a post and a post, but the crossbar is formed as an upper crossbar and a lower crossbar, and a plurality of balusters are combined in a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rossbars.

상기와 같이 결합되는 난간의 경우 지주와 지주의 하부에 베이스플레이트를 형성하여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먼저 지면에 고정하여 지주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지주가 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가로대를 양측 지주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지주와 지주간의 간격과 가로대의 길이가 동일하여야만 정확하게 난간이 설치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railing combined as described above, a base plate is formed at the lower part of the post and the post, and the base plate is first fixed to the ground to prevent the post from moving. In the process of combining the pillars with the two pillars, the railing is correctly installed only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illars and the length of the crossbar are the same.

상기와 같이 난간을 설치할 경우, 현장에 미리 설치되는 지주와 지주사이의 거리에 따라 조립되어지는 가로대의 길이가 정확하게 컷팅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의 거리에 비하여 가로대의 길이가 연장된 경우 현장에서 컷팅하여 조립함으로서 별다른 문제점은 없으나 상기 가로대의 길이가 짧을 경우 지주와 지주사이에 볼팅 결합되는 볼트가 외측으로 드러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음은 물론 상기 가로대가 지주와 긴밀하게 밀착되지 않아 접합력이 저하되어 난간의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된 것이다.In the case of installing a railing as above, the length of the crossbar to be assembled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re-installed strut and the strut must be accurately cut, and the length of the crossbar is extended compar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strut and the strut. There is no particular problem by cutting and assembling the crossbar. However, if the length of the crossbar is short, the bolt that is bolted between the strut and the strut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ch is not good in terms of aesthetics. Problems such as shortening the life of the product have been raised.

기존 난간 연결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실0132118호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등록일자 : 1998.09.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계단의 난간을 이루는 휀스의 지지봉을 연결할 수 있도록 휀스 양단에 설치되는 지주봉의 상단과 일정높이에 휀스 지지봉이 이루는 경사각도에 맞추어 자유롭게 경사 조절될 수 있도록 양편으로 분리되어 힌지부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연결구를 결합 설치하고, 상기 지주봉의 하단을 현장의 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연결삽입부를 갖는 고정편을 나사로 고정 설치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고정편의 연결삽입부에 볼트공을 형성하여 U자 형상의 걸이구를 너트로 고정시킬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existing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as discl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132118 "Handrail Connection Device for Building Stairs" (Registration Date: September 23, 1998),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support rod of the fence forming the handrail of the stairs. To ensure th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rod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fence and the connector formed by a hinge part separated on both sides so that the inclination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formed by the fence support rod at a certain heigh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rod is connected to the floor of the site. 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fix and install a fixing piece having a connection insertion portion with a screw so that it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ixing piece, and a bolt hole is formed in the connection insertion portion of the fixing piece to fix the U-shaped hook with a nut.

기존 난간 연결구조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 0129098호 "난간 연결구조"(등록일자 : 1998.08.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난간연결구조에 있어서, 통상의 지주관 상단에 장식구를 형성하되, 상기 장식구는 반구형 장식캡과 횡관 연결관체로 분리 구성하여 상단 중앙부에 장식돌부와 하단주연부에는 돌출테두리를 형성하고, 횡관 연결관체는 상단부로부터 삽입부, 횡관연결용 내향만곡부, 돌출테두리 및 삽입관을 순차적으로 형성시켜 횡관 연결관체의 상단 삽입부를 장식캡의 돌출테두리에 끼운다음, 돌출테두리 끝단을 내향절곡시킴으로써, 장식구가 구성되게 하며, 상기 내향만곡부에는 수평횡관 연결구와 경사 횡관연결구를 연결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existing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129098,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registration date: August 13, 1998), in the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decoration on the top of the ordinary columnar pipe To form a sphere, the ornament is divided into a hemispherical decorative cap and a transverse pipe connector to form a decorative protrusion in the upper center and a protruding border at the lower circumference, and the transverse pipe connecting pipe body is inserted from the upper end, an inward curved part for connecting the transverse pipe, and protruding. By sequentially forming a rim and an insertion tube, inserting the upper insert of the transverse tube connector body into the protruding border of the decorative cap, and then bending the end of the protruding border inward to form a decorative tool, and in the inward curved part, a horizontal transverse tube connector and an inclined transverse tube It is to be able to connect and fix the connector.

상기 지주관의 내향만곡부에 수평 횡관연결구와 경사 횡관연결구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A work of fixing the horizontal transverse pipe connector and the inclined transverse pipe connector to the inward curved portion of the holding pipe by welding is performed.

기존 난간 연결구조는 외관상 돌출 부위를 줄이기 위해 내향만곡부를 형성시키고, 현장에서 수평횡관 연결구와 경사 횡관연결구를 지주관의 내향만곡부 내에 용접고정시켜야 하므로,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Existing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forms an inward curved part to reduce the projecting part in appearance, and the horizontal transverse pipe connector and the inclined transverse pipe connector must be welded and fixed in the inward curved part of the post pipe, which takes a long time in the field, resulting in work efficiency. There is a disadvantage of being degraded.

기존 난간 연결구조와 관련된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8334호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등록일자 : 2011.04.0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지주용 캡이 씌워지는 지주와 지주 사이에 가로대를 설치하되, 상기 지주의 양측에는 하나 이상의 반구인출작동공을 상하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주고, 가로대의 내부에서 연결용반구를 반구인출작동공으로 수납하여 설치하며, 상기 반구인출작동공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연결용반구의 외면에는 가로대고정캡을 볼트로 고정시키며, 상기 반구인출작동공의 외측으로 돌출된 연결용반구의 외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가로대고정캡에는 가로대의 단부를 삽입하여 고정시켜, 연결용반구를 기준으로 가로대를 상하좌우로 각도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related to the existing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28334, "Runger connection device for handrail with adjustable angle" (Registration date: 2011.04.04), the cap for the supporter at the top is provided. A crossbar is installed between the strut and the strut, and at least one hemisphere withdrawal operating hole is drill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on both sides of the strut, and the hemisphere for connection is received and installed as a hemisphere withdrawal actuating hole inside the crossbar. The crossbar fixing cap is bol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emisphere protruding outward of the hemisphere pull-out operation hole, and the crossbar fixing cap is bolt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hemisphere protruding outward of the hemisphere pull-out operation hole. The end is inserted and fixed so that the crossbar can be installed by adjusting the angle up, down, left, and right based on the connection hemisphere.

그런데, 기존 난간 연결구조는 계단이 마련되는 경사면의 경사 형태에 따라 난간 가로대의 연결부위를 지주에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연결구가 별도로 요구되며, 상기 연결구를 지주와 가로대에 연결시키기 위해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existing railing connection structure requires a separate connector that can easily connect the connection part of the railing crossbar to the post according to the slope shape of the slope on which the stairs are provided, and welding work in the field to connect the connector to the post and crossba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work because it has to be performed.

한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실0132118호 "건물 계단용 난간 연결장치"(등록일자 : 1998.09.23)Registered in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132118 "Building Stair Railing Connection Device" (Registration Date: 1998.09.2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실 0129098호 "난간 연결구조"(등록일자 : 1998.08.13)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129098 "Handrail connection structure" (Registration date: 1998.08.1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28334호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연결장치"(등록일자 : 2011.04.0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028334 "A device for connecting a crossbar of a handrail with adjustable angle" (Registration date: 2011.04.04)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계단이 있는 경사로에 설치되는 난간 가로대의 연결각도를 지주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결합된 연결브라켓을 매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 별도의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가로대를 지주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roblems, and its object is to connect the connecting angle of the railing crossbar installed on the ramp with the stairs at an incl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post through a connection bracket. By doing so,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s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crossbar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post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welding process in the fiel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계단의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를 계단이 마련된 경사 노면의 각도에 적합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면 및 바닥면과 전면 및 후면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가로대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통공과, 상기 후면이 지주의 좌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하단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단의 상면을 향해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과, 상기 전면의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주의 전면에 밀착되고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면과, 전면 및 후면의 각각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로대의 단부 전,후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의 단부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공이 형성된 연장면이 형성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바닥면의 좌측에 난간동자의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해 우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격홈; 및 상기 연결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st disposed to stand upright on the road surface of a staircase, a crossbar connecting the post and the post, and fixing the crossbar appropriately to the angle of the inclined road surface on which the steps are provided. And a connecting means for, wherein the connecting means is formed into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a front and a rear surface, and a through hole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into which the end of the crossbar is inserted, and the lower end so that the rear surface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eft surface of the post. An inclined surface formed at an upward inclined angle from the bottom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end, the connecting surface extending upwardly inclined to the right of the front sid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upport and forming a connecting hole, and extending to the left from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 connecting bracket coupl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crossbar before and after the end of the crossbar and having an extended surface formed with a coupling hole for coupling with the end of the crossbar; A clearance groove formed concave in the right direction for adjust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baluster on the left side of the floor surface; And a fastening member which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and is screwed into a fastening hol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상기 연결면은 단부 테두리가 상기 경사면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connection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so that the end edge has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상기 연장면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측면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두께만큼 이격된 상,하 높이에서 곡률 기울기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된다.The extension surface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be rounded with a curvature slope at an upper and lower height spaced apart by a thickness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상기 통공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로대의 단부 진입을 제한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스톱퍼턱을 더 구비한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further includes a stopper jaw protruding inward to limit entry of the crossbar end.

상기 연결면의 단부 테두리는 상기 지주와의 결합시 상기 지주의 일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The end rim of the connection surface is formed to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one side of the support when combined with the support.

본 발명은 계단의 경사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지주들을 가로대로 연결하기 위해서, 가로대의 단부를 통공의 내부에 진입시키고 결합부재로 가로대의 단부를 연결브라켓의 타측에 고정시킨 후에, 연결브라켓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을 지주의 타측에 접촉시키고 연결면을 지주의 전면에 밀착시켜 체결부재로 고정시킴에 따라 별도의 용접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가로대와 지주를 연결브라켓으로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주와 가로대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지주와 가로대를 연결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이 있으며, 외관상 연결브라켓과 지주의 연결구조에 미려함을 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clined road surface of the stairs and in order to connect the stru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end of the crossbar is entered in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and the end of the crossbar is fix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with a coupling member,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and the connection surfa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upport and fixed with a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crossbar and the support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bracket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welding process. In addition, there is a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onnect the posts and the crossbars in a narrow space between the posts and the crossbars, and has the advantage of giving a beautiful appearance to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on bracket and the posts.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의 바닥면 타측에 유격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난간동자의 조립 위치에 유격홈의 길이 범위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유격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설치 장소환경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learance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learan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clearance groove a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baluster, thereby solving the restriction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environment. Has an advantage.

본 발명의 연장면은 상기 연결브라켓의 타측면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두께만큼 이격된 상,하 높이에서 곡률 기울기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가로대의 단부와의 결합시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The extension surfa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rounded manner with a curvature slope at an upper and lower height spaced apart by a thickness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so that when combined with the end of the crossbar, it can provide an aesthetic appearance.

또한, 본 발명은 스톱퍼턱이 통공의 내주면에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로대의 단부가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어 결합공과 고정공이 조립 정위치에 자동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결합부재를 이용한 조립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pper tuck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the end of the crossbar is inserted at the predetermined position, so that the coupling hole and the fixing hole are automatically arranged at the assembly position, great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ssembly using a coupling member. It ha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를 구성하는 연결브라켓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 연결브라켓과 가로대 및 지주의 결합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가로대와 지주가 연결브라켓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가로대에 난간동자의 조립위치를 표시한 조립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연결브라켓의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연결브라켓의 변형 실시 예가 적용된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bracket constituting the railing crossbar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 rear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 bottom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up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bracket, crossbar and support.
Figure 6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crossbar and the support are coupled by a connection bracket.
Figure 7 is an assembly state showing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baluster in the present invention crossbar.
Figure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bracket.
Figure 9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s to which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ion bracket is applied.

본 발명은 계단이 있는 경사로에 설치되는 난간 가로대를 지주에 용이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onnect a railing crossbar installed on a ramp with a staircase to a post.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a rai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a detailed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according to user intentions or custom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tion, "including" a certain componen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발명에 따른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단의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대(20)와, 상기 가로대(20)를 계단이 마련된 경사 노면의 각도에 적합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면(110) 및 바닥면(120)과 전면(130) 및 후면(140)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가로대(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통공(105)과, 상기 후면(140)이 지주(10)의 좌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하단의 바닥면(120)으로부터 상단의 상면(110)을 향해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155)과, 상기 전면(130)의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밀착되고 연결공(152)이 형성된 연결면(150)과, 전면(130) 및 후면(140)의 각각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로대(20)의 단부 전,후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20)의 단부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공(162)이 형성된 연장면(160)이 형성된 연결브라켓(100)과; 상기 바닥면(120)의 좌측에 난간동자(30)의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해 우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격홈(125); 및 상기 연결공(152)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12)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재(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a rail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nd a post 10 disposed to stand vertically on the road surface of a staircase, and between the post 10 and the post 10 A cross-bar 20 to connect, and a connecting means for fixing the cross-bar 20 to the angle of the inclined road surface on which the steps are provided, and the connecting means include the upper surface 110 and the bottom surface 120 and the front surface ( 130) and the rear surface 140, the through hole 105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into which the end of the crossbar 20 is inserted, and the rear surface 140 at the bottom so as to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eft side of the support 10 An inclined surface 155 formed at an upwardly inclined angle from the bottom surface 120 toward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top, and the inclined surface 155 extending upwardly inclined to the right of the front surface 13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upport 10 and a connection hole The connecting surface 150 on which 152 is formed, and extending to the left from each of the front surface 130 and the rear surface 140 are coupl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crossbar 20 before and after the ends of the crossbar 20. A connection bracket 100 having an extension surface 160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62 for coupling with an end portion; A clearance groove 125 formed concave in the right direction to adjust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baluster 30 o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120; And a fastening member 210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52 and is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1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0.

상기 지주(10)는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연결면(150)과의 결합을 위해 사각 단면 구조의 각관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1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quare tube pipe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he connection surface 150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도 1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브라켓(100)은 상면(110)과 바닥면(120), 전면(130)과 후면(140)으로 구성되고 내부에 가로대(20)의 단부가 삽입되는 통공(105)이 형성된 사각 단면 구조를 갖는 각관으로서, 일측 부분[후면(140)]이 지주(10)의 타측(도 5의 좌측면)과 면접촉되도록 접촉된 상태에서 일측(도 1의 우측) 전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연결면(150)이 지주(1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되며, 체결부재(210)에 의해 연결면(150)과 지주(10)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1 and 5, the connection bracket 100 is composed of an upper surface 110 and a bottom surface 120, a front surface 130 and a rear surface 140, and the end of the crossbar 20 is As a square tube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tructure in which the through hole 105 to be inserted is formed, one side (Fig. 1)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rear side 140)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left side of Fig. 5) of the post 10 and the other side (Fig. 1) The right side of) the connection surface 150 extending outward from the front portion is coup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pillar 10, the structure in which the connection surface 150 and the pillar 10 are coupled by the fastening member 210 Have.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경사면(155)은 가로대(20)를 경사진 각도로 지주(10)에 연결시키기 위해 하단의 바닥면(120)으로부터 상단의 상면(110)을 향해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것이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155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is inclin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120 at the bottom toward the upper surface 110 at the top in order to connect the crossbar 20 to the support 10 at an inclined angle. It is formed at an angle.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면(150)은 전면(130)의 일측(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며, 상기 체결부재(210)가 관통되도록 복수의 연결공(15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2 and 3, the connection surface 150 integrally extends upwardly inclined toward one side (right side) of the front surface 130,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holes 152 are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210 passes through. Has a formed structure.

또한, 상기 연결면(150)은 단부 테두리가 상기 경사면(155)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면(150)의 단부 테두리는 상기 지주(10)와의 결합시 상기 지주(10)의 일측면(전면)과 밀착되고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formed such that an end edge has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55. Accordingly, the end edge of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front) of the support 10 when it is coupled to the support 10 and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상기 연장면(160)은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전면(130) 및 후면(140)의 각각으로부터 타측면(좌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두께만큼 이격된 상,하 높이에서 곡률 기울기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연장면(160)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20)의 단부 전,후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된다.The extension surface 160 is extended from the other side (left side) from each of the front surface 130 a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and the curvature at the upper and lower heights spaced apart by a thickness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It has a structure formed to be connected to be rounded at an inclination. In addition, the extension surface 160 is coupled to surround both side surfaces of the crossbar 20 before and after the end as shown in FIGS. 2 and 5.

상기 연장면(160)은 레이저 가공으로 라운드지게 성형 가공된다.The extended surface 160 is formed to be rounded by laser processing.

상기 연장면(160)에 천공 형성된 결합공(162)은 상기 통공(105) 내에 진입된 가로대(20)의 단부를 연결브라켓(100)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220)가 관통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coupling hole 162 perforated in the extension surface 160 has a structure through which a coupling member 220 for fixing the end of the crossbar 20 entered into the through hole 105 to the connection bracket 100 penetrates.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바닥면 타측(좌측)에는 난간동자(30)의 단부가 결합되는 가로대(20)의 결합 위치에 유격을 줄 수 있도록 유격홈(125)이 형성된다.4 and 7, the other sid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has a clearance groove 125 so as to give a clearance to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crossbar 20 to which the end of the baluster 30 is coupled. ) Is formed.

상,하측의 가로대(20)를 수직방향으로 연결하는 난간동자(30)의 조립 위치가 계단이 설치된 장소의 환경요인에 따라 가로 방향으로 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유격홈(125)은 가로대(20)의 진입 깊이에 따라 난간동자(30) 간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난간동자(30)가 유격홈(125)의 내부로 진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Since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baluster 30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crossbars 20 in the vertical direction may var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epending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place where the stairs are installed, the clearance groove 125 is a crossbar ( The distance between the balusters 30 may be varied according to the entry depth of 20), and in some cases, the balusters 30 may enter the inside of the clearance groove 125.

상기 체결부재(210)는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연결면(150)에 형성된 연결공(152)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12)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된다.The fastening member 210 pass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52 formed on the connection surface 150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a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12 form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0 by a screw fastening method. .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연결브라켓(100)의 통공(105) 내부에 가로대(20)의 단부를 진입시키고, 결합공(162)에 관통시킨 결합부재(220)를 가로대(20)의 전면에 형성된 고정공(22)에 체결시켜 상기 가로대(20)의 단부와 연결브라켓(100)을 결합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referring to Figures 5 and 6, first, the end of the crossbar 20 is entered into the through hole 105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and the coupling member penetrated through the coupling hole 162 ( 220 is fastened to the fixing hole 22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crossbar 20 to couple the end of the crossbar 20 and the connection bracket 100.

이어서, 상기 가로대(20)의 단부가 결합된 상태의 연결브라켓(100)의 경사면(155)을 지주(10)의 타측(도면상의 좌측)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연결면(150)을 지주(10)의 전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체결부재(210)를 상기 연결면(150)의 연결공(152)을 관통시키고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12)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시켜 연결브라켓(100)을 지주(10)에 고정시킨다.Subsequently, the inclined surface 155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in the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crossbar 20 is couple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left side of the drawing) of the support 10, and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attached to the support ( 10) in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astening member 210 through the connecting hole 152 of the connection surface 150, and fastene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to the fastening hole 12 formed in the front of the post 10 To fix the connection bracket (100) to the support (10).

상기 연결면(150)은 연결브라켓(100)의 전면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체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용접작업할 필요없이 연결브라켓(100)을 지주(10)의 전면에 연결시키는 과정에서 경사면(155)을 지주(10)의 타측에 면접촉되도록 밀착시킨 상태로 체결부재(210)와 연결면(150)을 이용하여 지주(10)와 연결브라켓(100)의 결합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Since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formed to extend integrally outward from one front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nnection bracket 100 to the front of the post 10 without the need for welding work in the field In a stat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155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post 10, the coupling of the post 10 and the connection bracket 100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by using the fastening member 210 and the connection surface 150. have.

또한, 상기 통공(105) 내에 가로대(20)의 단부가 삽입되고, 경사면(155)이 지주(10)에 밀착된 상태로 연결면(150)이 지주(10)의 전면에 결합됨에 따라, 본 발명의 연결브라켓(100)은 지주(10)와 가로대(20)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지주(10)와 가로대(20)를 연결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as the end of the crossbar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5, and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post 10 with the inclined surface 155 in close contact with the post 10, the present The connection brack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onnect the posts 10 and the cross bars 20 in a narrow space between the posts 10 and the cross bars 20.

이때, 상기 연결면(150)의 단부 테두리는 상기 경사면(155)과 대응되는 각도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주(10)와 연결면(150)의 결합시 상기 연결면(150)의 단부 테두리가 지주(10)의 일측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외관상 미려함을 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end edge of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formed at an angle that is inclined upward so as to extend outward from the bottom to the top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155, the support 10 and the connection surface 150 ), the edge of the end of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located on the same line as one side of the support 10, so that the appearance may be beautiful.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바닥면 타측에는 가로방향으로 오목한 유격홈(1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로대(20)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난간동자(30;간살)의 조립 위치를 유격홈(125)의 범위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since a clearance groove 125 conc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baluster 30 (spacer) tha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crossbar 20 is a clearance groov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in the range of (125).

상기 연결면(150)이 지주(10)의 전면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통공(105) 내부에 진입되어 결합부재(220)로 결합된 상기 가로대(20)가 지주(10)들 사이를 연결하도록 핸드레일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s the connection surface 150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0, the crossbar 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5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and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220. It performs the function of a handrail to connect them.

상기 지주(10)는 경사진 노면을 갖는 계단에 설치될 경우, 서로 이격된 위치에 지주(10)가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배치되고, 가로대(20)가 서로 이격된 지주(10)들을 연결하며, 상기 가로대(20)의 단부와 지주(10) 사이를 연결브라켓(100)으로 경사진 각도로 연결시켜 가로대(20)를 지주(10)측에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When the strut 10 is installed on a staircase having an inclined road surface, the strut 10 is arranged to be er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crossbar 20 connects the struts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onnect the crossbar 20 to the support 10 side by connecting the crossbar 20 at an inclined angle with the connection bracket 100 between the end of the crossbar 20 and the support 10.

따라서, 본 발명은 계단의 경사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이격된 지주(10)들을 가로대(20)로 연결하기 위해서, 가로대(20)의 단부를 통공(105)의 내부에 진입시키고 결합부재(220)로 가로대(20)의 단부를 연결브라켓(100)의 타측에 고정시킨 후에, 연결브라켓(100)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155)을 지주(10)의 타측(좌측)에 면접촉시키고 연결면(150)을 지주(10)의 전면에 밀착시켜 체결부재(210)로 고정시킴에 따라 가로대(20)의 단부와 지주(10)를 연결브라켓(100)으로 간편하게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지주(10)와 가로대(20) 사이의 좁은 공간에서 용이하게 지주(10)와 가로대(20)를 연결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가지며, 외관상 연결브라켓(100)과 지주(10)의 연결구조에 미려함을 줄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inclined road surface of the stairs and in order to connect the posts 1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crossbar 20, the end of the crossbar 20 enters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05 and the coupling member After fixing the end of the crossbar 20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100 with 220, the inclined surface 155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necting bracket 10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other side (left side) of the support 10 As the connecting surface 15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post 10 and fixed with the fastening member 210, the end of the crossbar 20 and the post 10 can be easily connected with the connection bracket 100. In addition, it has a useful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onnect the struts 10 and the crossbars 20 in a narrow space between the struts 10 and the crossbars 20,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ng brackets 100 and the struts 10 in appearance It has an advantage that can give you a sense of beauty.

본 발명은 연결브라켓(100)의 바닥면 타측에 유격홈(125)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난간동자(30)의 조립 위치에 유격홈(125)의 길이 범위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유격을 부여할 수 있게 되어 설치 장소환경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earance groove 12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it is possible to give a clearance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in the length range of the clearance groove 125 at the assembly position of the baluster 30. As a result, it has the advantage of solving the limit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environment.

본 발명의 연장면(160)은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타측면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두께만큼 이격된 상,하 높이에서 곡률 기울기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가로대(20)의 단부와의 결합시 외관상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다.As the extension surface 16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connected in a rounded manner with a curvature slope at an upper and lower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by a thickness, it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crossbar 20 Poetry can provide a beautiful appearance.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의 다른 변형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의 구성요소에,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통공(105) 내주면에는 상기 가로대(20)의 단부 진입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가로대(20)의 단부가 통공(105) 내부로 진입할 경우 간섭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톱퍼턱(105a)이 더 구비된 것이다.7 and 8 are views showing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mponents of the li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rossbar 20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5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In order to limit the entry of the end of the crossbar 20, when the end of the crossbar 20 enters the through hole 105, a stopper jaw 105a formed to protrude inward to interfere is further provided.

상기 스톱퍼턱(105a)은 상기 통공(105)의 내주면에 돌출되고 상기 통공(105) 내부로 진입되는 가로대(20)의 단부와 면 접촉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The stopper jaw 105a has a structu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5 and make surface contact with the end of the cross bar 20 entering the through hole 105.

이로 인해, 상기 통공(105) 내부로 진입되는 가로대(20)의 단부가 스톱퍼턱(105a)에 접촉되어 진입 거리가 제한됨에 따라 상기 연장면(160)의 결합공(162)과 상기 가로대(20)의 고정공(22)이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어 결합부재(220)를 이용한 조립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갖는다.Accordingly, the end of the crossbar 20 entering the through hole 10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jaw 105a to limit the entry distance, so that the coupling hole 162 of the extension surface 160 and the crossbar 20 ) Of the fixing hole 22 is located on the same line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assembling property using the coupling member 220.

상기 스톱퍼턱(105a)은 일 예로 랜싱(lancing)가공에 의해 타공된 부위가 내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구조로 성형될 수 있다.The stopper tuck 105a may be formed into a structure in which a portion perforated by a lancing process is bent inward to protrude.

또한, 본 발명은 스톱퍼턱(105a)이 통공(105)의 내주면에 정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로대(20)의 단부가 정해진 위치에 삽입되어 결합공(162)과 고정공(22)이 조립 정위치에 자동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결합부재(220)를 이용한 조립 편의성을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topper jaw (105a)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5), the end of the crossbar (20) is inserted into a predetermined position to assemble the coupling hole (162) and the fixing hole (22) As it is automatically disposed in the correct position, it has the advantage of greatly increasing the convenience of assembly using the coupling member 22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should not be limited,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as well as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whoever has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s a matter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10 : 지주 12 : 체결공
20 : 가로대 22 : 고정공
30 : 난간동자 100 : 연결브라켓
105 : 통공 105a : 스톱퍼턱
110 : 상면 120 : 바닥면
125 : 유격홈 130 : 전면
140 : 후면 150 : 연결면
152 : 연결공 155 : 경사면
160 : 연장면 162 : 결합공
210 : 체결부재 220 : 결합부재
10: support 12: fastening hole
20: crossbar 22: fixing hole
30: baluster 100: connection bracket
105: through hole 105a: stopper jaw
110: top surface 120: bottom surface
125: clearance groove 130: front
140: rear 150: connection surface
152: connection hole 155: slope
160: extension surface 162: coupling hole
210: fastening member 220: coupling member

Claims (5)

계단의 노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되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와 지주(10) 사이를 연결하는 가로대(20)와,
상기 가로대(20)를 계단이 마련된 경사 노면의 각도에 적합하게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연결수단은 상면(110) 및 바닥면(120)과 전면(130) 및 후면(140)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가로대(2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사각 단면 형상의 통공(105)과, 상기 후면(140)이 지주(10)의 좌측면과 면접촉되도록 하단의 바닥면(120)으로부터 상단의 상면(110)을 향해 상향 경사진 각도로 형성된 경사면(155)과, 상기 전면(130)의 우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밀착되고 연결공(152)이 형성된 연결면(150)과, 전면(130) 및 후면(140)의 각각으로부터 좌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로대(20)의 단부 전,후면 양측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로대(20)의 단부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공(162)이 형성된 연장면(160)이 형성된 연결브라켓(100)과;
상기 바닥면(120)의 좌측에 난간동자(30)의 결합 위치 조절을 위해 우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유격홈(125); 및
상기 연결공(152)을 관통하여 상기 지주(10)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공(12)에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재(21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Posts 10 arranged to stand vertically on the road surface of the stairs,
A crossbar (20) connecting between the holding (10) and the holding (10),
A connecting means for fixing the crossbar 20 appropriately to the angle of the inclined road surface on which the steps are provided,
The connecting means is formed of an upper surface 110 and a bottom surface 120 and a front surface 130 and a rear surface 140, and a through hole 105 having a square cross-sectional shape into which the end of the crossbar 20 is inserted, and the rear surface An inclined surface 155 formed at an upward inclined angle from the bottom surface 120 to the upper surface 110 of the upper end so that the 140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eft surface of the post 10,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surface 130 The crossbar 20 is extended to the left side from each of the connecting surface 150 in which the connecting hole 152 is forme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support 10 and the connecting hole 152 is formed, and the crossbar 20 is extended to the left from each of the front 130 and the rear 140 A connection bracket 100 having an extension surface 160 formed with a coupling hole 162 for coupling with an end of the crossbar 20 and coupled to surround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ends of the crossbars 20;
A clearance groove 125 formed concave in the right direction for adjusting the coupling position of the baluster 30 on the left side of the bottom surface 120; And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210 that penetrates through the connection hole 152 and is screwed into the fastening hole 1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150)은 단부 테두리가 상기 경사면(155)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갖도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surface 150 is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edg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so as to have an inclin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inclined surface (15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면(160)은 상기 연결브라켓(100)의 타측면 상측과 하측으로부터 두께만큼 이격된 상,하 높이에서 곡률 기울기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xtension surface 160 is formed to be connected to be rounded with a curvature slope at an upper and lower height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bracket 100 by a thickn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공(105)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로대(20)의 단부 진입을 제한하기 위해 내측으로 돌출된 스톱퍼턱(105a)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s,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jaw (105a) protruding inward to limit the entry of the crossbar (20)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0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면(150)의 단부 테두리는 상기 지주(10)와의 결합시 상기 지주(10)의 일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간용 가로대 결합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nd rim of the connecting surface 150 is formed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one side of the post 10 when combined with the post 10. A crossbar coupling structure for railings.
KR1020190078253A 2019-06-28 2019-06-28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KR10225495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253A KR102254952B1 (en) 2019-06-28 2019-06-28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253A KR102254952B1 (en) 2019-06-28 2019-06-28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32A KR20210001732A (en) 2021-01-06
KR102254952B1 true KR102254952B1 (en) 2021-05-24

Family

ID=7412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253A KR102254952B1 (en) 2019-06-28 2019-06-28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95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010Y1 (en) 2007-08-21 2008-07-17 비엔지 주식회사 Coupling member of structure for landscape architecture
KR101920252B1 (en) * 2018-05-02 2018-11-20 성주호 Stairway railing
US20190119924A1 (en) * 2017-10-23 2019-04-25 Fortress Iron, Lp Raking rail panel and bracke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9098B1 (en) 1994-07-25 1998-04-09 최정우 Control apparatus for appreciation of uncommon flame in boiler
KR0132118Y1 (en) 1995-08-30 1998-12-15 권영만 Connecting implement of balustrade in stairways
KR100574071B1 (en) * 2004-01-05 2006-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Work handrail
KR101028334B1 (en) 2010-08-20 2011-04-11 (주)도경이앤씨 A crossbar coupling device of handrail
KR102049362B1 (en) * 2017-12-05 2019-11-28 이승로 Connecting elements in balustrad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1010Y1 (en) 2007-08-21 2008-07-17 비엔지 주식회사 Coupling member of structure for landscape architecture
US20190119924A1 (en) * 2017-10-23 2019-04-25 Fortress Iron, Lp Raking rail panel and bracket system and method
KR101920252B1 (en) * 2018-05-02 2018-11-20 성주호 Stairway ra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732A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65403C (en) Handrail or top rail, post and panel assembly and connector therefor
KR100769517B1 (en) Handrail of building
KR20090077459A (en) Guardrail prop
KR102122981B1 (en) Banister support fixing structure of deck rod
KR101079406B1 (en) Fence having bracket for fence
KR102049362B1 (en) Connecting elements in balustrade
KR200408340Y1 (en) Chairs
KR100770219B1 (en) Handrail of building
KR102254952B1 (en)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KR200439417Y1 (en) Prefabricated balustrade
US7487941B2 (en) Universal rail mounting bracket
CA2687925C (en) Extendable baluster assembly
KR101181673B1 (en) Balcony Rail Structure
KR200436708Y1 (en) A stairway railing
JP4938396B2 (en) Handrail support structure
KR200443024Y1 (en) Stanchion for stairs
KR100763645B1 (en) Non-welding type balustrde
KR101263171B1 (en) Handrail that angle control is essy
KR101852139B1 (en) Handrail for stairs
KR200454218Y1 (en) Hand rail
KR101471489B1 (en) Frame for Balcony
KR102254953B1 (en) Angle control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JP3076305U (en) fence
KR101269984B1 (en) Synthetic wood guardrail construction mehtod with improved construction compatability utilizing connection bracket
KR102293307B1 (en) Coupling structure for crossbar of handra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