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577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577B1
KR102254577B1 KR1020200018843A KR20200018843A KR102254577B1 KR 102254577 B1 KR102254577 B1 KR 102254577B1 KR 1020200018843 A KR1020200018843 A KR 1020200018843A KR 20200018843 A KR20200018843 A KR 20200018843A KR 102254577 B1 KR102254577 B1 KR 10225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put
object information
input information
comb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20755A (en
Inventor
강거웅
Original Assignee
강거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거웅 filed Critical 강거웅
Publication of KR20200020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7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5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7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interro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속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steps of continuously receiving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from an object, when the continuously received object information includes a consonant, constructing input information with a pai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nd the And configuring outpu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Description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본 발명은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객체로부터 객체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n input control method for receiving object information from an object, configuring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object information, and configuring outpu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and It's about the system.

최근 들어, 네트워크 인프라의 발달과 전자 단말 성능의 향상으로 인하여, IT 기기를 활용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등장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network infrastructure and improvement of electronic terminal performance, various services using IT devices have appeared.

또한, 현대 사회에서 디지털 기술이 더욱 발전할수록 아날로그적 행태가 디지털 사회를 더욱 풍부하게 해 준다는 인식이 생겨나고 있으며, 디지로그(Digilog) 제품이나 서비스 및 시스템이 더욱 많아지고 있다.In addition, as digital technology further develops in the modern society, recognition that the analog behavior enriches the digital society is emerging, and Digilog products, services, and systems are increasing.

디지로그란 디지털(Digital)과 아날로그(Analog)라는 서로 상대되는 뜻을 가진 두 개의 개념을 결합한 합성어로서, 둘을 합쳐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 새로운 트랜드를 이루는 현상을 말하며, 기본적으로는 아날로그 시스템이지만 디지털의 장점을 살려 구성된다.Digilog is a compound word that combines two concepts with opposite meanings, digital and analog, and refers to the phenomenon of forming a new product or service or a new trend by combining the two. It is constructed using the advantages of.

최근 들어, 증강 현실을 이용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증강 현실은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장치의 뷰 파인더나 전자 표시 장치를 통해 보여지는 특정 인터넷 사이트에서 건물 주소와 부동산 동향, 소매 판매 할인, 식당 이용 후기 같은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활용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applications using augmented reality have been developed. For example, augmented reality is applied to smartphones to provide information such as building addresses and real estate trends, retail sales discounts, restaurant reviews on certain Internet sites viewed through the device's viewfinder or electronic display. have.

이와 관련하여, 한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1-0000069호에는 도서의 펼쳐진 페이지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페이지 감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해당 페이지의 내용 및 배경 음악을 자동으로 출력하여 주는 음성 출력 도서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In this regard,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00069 includes a page detection mean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 the open page of the book, so that the content of the page and background music are automatically output. Is disclosed.

본 발명의 목적은 객체를 인식하고, 인식된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that recognizes an object, configures input information based on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object, and configures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provides it to a user. .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NFC, RFID 또는 AR을 이용하여 객체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학습, 게임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fficiently recognizes object information included in an object using NFC, RFID, or AR, and provides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to the user, and using this, for example, learning, game It is to provide an 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providing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연속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연속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the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tinuously receiving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from an object, and a consonant to the continuously received object information. In the case where is included, the step of configuring input information with a pai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and configuring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서로 상이한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from one or more objects, and when the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different vowels, the one or more vowels And generating one vowel by combining the vowels, constructing input information from the generated vowels, and constructing outpu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제어키와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제어키와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키와 상기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from one or more objects, and when the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a control key and a consonant, the consonant and When input information is composed of a corresponding pair of consonants, and a control key and a vowel are included in the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one vowel is created by combining the control key and the vowel, and the input information is converted to the generated vowel. And configuring outpu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식된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며,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an 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input information based on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recognized object, and configuring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to provide to a user Can provid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NFC, RFID 또는 AR을 이용하여 객체에 포함된 객체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는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이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학습, 게임 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입력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bject information included in an object is efficiently recognized using NFC, RFID, or AR, and out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hereto is provided to the user, and using this, for example, learn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put control method and system capable of effectively providing a game or the like.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and 2 are configuration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for explaining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with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electrically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terposed therebetween. .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10) 및 입력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객체(10), 입력 장치(100), 출력 장치(200) 및 제어 서버(300)를 포함하며 서로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bject 10 and an input device 10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10, the input device 100, the output device 2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are included,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network (N). have.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Network (N) is a local area network (LAN), a wide area network (WAN), a value added network (VAN), a personal area network (PAN), and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 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or a satellite communication network.

입력 장치(100) 및 출력 장치(200)는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로봇(robot) 및 텔레비전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스마트 TV(Smar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은 입력 신호 또는 주위 환경 조건 등을 수신하고, 수신 결과에 따라 자신이 적절한 반응 또는 행동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제어, 유도 장치 및 프로그램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The input device 100 and the output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computers, portable terminals, robots, televisions, etc. that connect to a remote server through a network N or connect to other terminals and servers. Here, the computer includes, for example, a notebook equipped with a web browser, a desktop, a laptop, and the like,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for exampl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guarantees portability and mobility. , PCS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 (Personal Digital Cellular), PHS (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 (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 (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 terminal, including all kinds of handheld-bas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can do. In addition, the television may include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IPTV), Internet Television (Internet Television), Smart Television, terrestrial TV, cable TV,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robot refers to a system including at least one of a control, induction device, and a program necessary to receive an input signal or an ambient environmental condition, and to cause an appropriate reaction or action on the robot according to the reception resul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00)와 출력 장치(200)는 네트워크(N)로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입력 장치(100)와 출력 장치(2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100 and the out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a network (N), for exampl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Bluetooth, Wi-Fi, etc.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100 and the output device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ny kind of networ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로서,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 태그 블록(Block), 태그가 포함된 캐릭터 용품, AR 마커가 부착된 객체 등으로부터 객체 정보 등을 수신하고,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소정의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 또는 AR 마커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원격 조정기(Remote Control), 모바일 단말, 게임 단말, TV 단말, 로봇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객체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객체 정보 예를 들어, 객체의 식별 정보를 제어 서버(300)로 전송하고, 제어 서버(300)로부터 객체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소정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device 100 is a device that receives a user's input, and includes an object such as a tag card, a tag block, a character article including a tag, and an object with an AR marker attached thereto. Object information or the like may be received from the etc., and predetermined input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based on the object information. Also, the input device 100 may configure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and provide it to the user. The input device 100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a remote control capable of recognizing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tag or an AR marker, a mobile terminal, a game terminal, a TV terminal, a robot, etc., For example, a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to provide predetermined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to a user.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100 transmits object information,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to the control server 300,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from the control server 300, and provides it to the user. can do.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객체의 일례인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100)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접근시키면, 입력 장치(100)는 예를 들어, NFC 모듈을 이용하여 태그 카드(10)에 포함된 소정의 객체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 따르면, 입력 장치(100)는 태그 카드(10)로부터 태그 정보로서 영어 알파벳 “a”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a”와 연관된 소정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에는 “a”에 대한 정의, “a”로 시작하는 추천 단어 등을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when a user approaches a tag card, which is an example of an object, within a preset distance from the input device 100, the input device 100 uses, for example, an NFC module to the tag card 1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predetermined obje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1, the input device 100 may receive an English alphabet “a” as tag information from the tag card 10.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100 may provide predetermined information related to “a”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For example, a definition for “a” and a recommended word starting with “a”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출력 장치(200)는 입력 장치(100) 또는 제어 서버(300)로부터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 또는 수신된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정의 장치를 의미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device 200 receives input information or out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100 or the control server 300, and receives output information or received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input information. It means a given device to provide t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서버(300)는 입력 장치(100) 및 출력 장치(200)와 네트워크(N)로 연결될 수 있으며, 입력 장치(100)로부터 객체 정보 또는 입력 정보 등을 수신하고, 출력 장치(200)로 입력 정보 또는 출력 정보 등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서버(300)는 입력 정보, 출력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검색하거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input device 100 and the output device 200 through a network N, and receives object information or input information from the input device 100, and , Input information or outpu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device 200. In addition, the control server 300 may include a database capable of managing input information, output information, etc., and may search for input information based on received object information or search for output information based on input information. hav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10), 입력 장치(100), 출력 장치(200) 및 제어 서버(300) 중 하나 이상은 네트워크(N)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인 원격 조정기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객체(10)로부터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0)는 수신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동영상 정보인 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객체 정보, 구성된 입력 정보, 출력 정보 등을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장치(200) 예를 들어, 스마트 TV는 원격 조정기로부터 수신한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출력 장치(200)인 스마트 TV는 원격 조정기로부터 출력 정보에 대한 식별 정보만을 수신할 수도 있으며, 수신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스마트 TV의 로컬 저장소 또는 제어 서버(300)에 위치한 출력 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object 10, the input device 100, the output device 2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N). have. For example, a remote controller, which is the input device 100, may receive object information from the object 10 by a user's manipulation. The input device 100 may configur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object information, and may configure output information, for example video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s input information. Also, the input device 100 may transmit object information, configured input information, and output information to the output device 200 through a network connection. Output device 200 For example, a smart TV may display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a remote controller. The smart TV, which is the output device 200, may receive only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output information from a remote controller, and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e user can search for output information located in the local storage of the smart TV or the control server 300. It can also be provided to.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10)와 입력 장치(10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출력 장치(200) 및 제어 서버(300)의 구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 입력 장치(100)를 중심으로 각각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be composed of only the object 10 and the input device 100, or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the configuration of the output device 200 and the control server 3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centering on the input input device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 정보 수신부(110), 입력 정보 구성부(120), 출력 정보 구성부(130), 출력 정보 제공부(140), 송수신부(150) 및 문제 정보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includes an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n input information constituting unit 120, an output information constituting unit 130, an outpu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50, and a problem. It may include an information providing unit 160.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한다.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eives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from one or more objects.

여기서, 객체는 태그 카드, 태그 블록(Block), AR 마커, 이미지 등을 포함하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객체는 객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객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입력 장치(100)로 소정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NFC 태그 카드, NFC 태그 블록, RFID 태그 카드, RFID 태그 블록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bject may include an object including a tag card, a tag block, an AR marker, an image, and the like, and the object may include object information. However, the objec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include all of an NFC tag card, an NFC tag block, an RFID tag card, an RFID tag block, and the like capable of transmi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input device 100.

예를 들어, 태그 카드는 NFC 태그를 통해 객체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객체 정보는 예를 들어, 문자의 자음 및 모음, 숫자, 기호, 제어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객체 정보는 다양한 언어의 단위 문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자, 일본어의 히라가나, 가타가나 등의 단위 문자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tag card may store object information through an NFC tag, and the o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for example, consonants and vowels of characters, numbers, symbols, control key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object information may include unit characters of various languages, and may include unit characters such as Chinese characters, Japanese hiragana, and katakana.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인 모바일 단말은 태그 카드(10)로부터 ‘a’라는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단말은 ‘a’에 해당하는 객체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문자 ‘A’의 경우, 예를 들어 아스키코드의 정수 값으로 ‘65’를 식별 정보로서 수신할 수도 있다. 여기서, 대문자 ‘A’의 경우, 상술한 예와 같이 대문자 ‘A’를 포함하는 객체를 통해 해당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지만, ‘a’와 제어키의 조합을 통해 대문자 ‘A’를 객체 정보로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어키 ‘shift’가 포함된 객체와 ‘a’가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동시에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대문자 ‘A’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shift’가 포함된 객체는 제어키의 일례이며,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대문자를 입력하고 싶은 경우, 해당 기능의 제어키를 포함하는 객체를 입력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which is the input device 100, may receive object information “a” from the tag card 10. Alternatively, the mobile terminal may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object corresponding to'a'.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uppercase letter'A', for example, '65' as an integer value of an ASCII code may be receiv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Here, in the case of the uppercase letter'A', 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an object including the uppercase letter'A' as in the above example, but the uppercase letter'A' is used as the object inform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a' and the control key. It can also be received as. For example, the user may input an object containing the control key'shift' and an object containing'a' into the input device 100 at the same time, or input the uppercase letter'A' by sequentially inputting it within a preset time. I can. Here, the object including'shift' is an example of a control key, and when the user wants to continuously input uppercase letters, an object including a control key for a corresponding function may be inpu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는 객체 정보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NFC 칩이 내장되거나, 객체의 표면에 마커가 포함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ncludes object information, and for example, an NFC chip may be embedded or a marker may be included on the surface of the object.

예를 들어, 마커는 특정 정보를 부호화한 표식으로서, 예를 들어, 1 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칼라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기 설정된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rker is a marker that encodes specific information,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one-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barcode, a three-dimensional barcode, a color barcode, a quick response (QR) code, or a preset patter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는 하나 이상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한글, 영어, 일어 등의 알파벳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한글과 연관된 태그 카드는 자음 14개, 모음 10개 등 총 24개의 태그 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영어와 연관된 태그 카드는 알파벳 26개의 태그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어의 경우, 예를 들어 히라가나, 가타카나 등을 포함하는 태그 카드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for example, a tag card, may include one or mor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lphabet information such as Korean, English, and Japanese. That is, a tag card related to Korean may be composed of a total of 24 tag cards, such as 14 consonants and 10 vowels, and a tag card related to English may be composed of 26 alphabetic tag cards. In addition, in the case of Japanese, for example, it may be composed of a tag card including hiragana and katakana.

또한, 객체는 객체 정보로서, 제어키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bject is object information and may include a control key.

예를 들어, 객체는 제어키로서, 입력된 객체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백스페이스’ 객체, 입력의 종료를 알리기 위한 ‘엔터’ 객체, 입력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스페이스’ 객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키는 예를 들어, 알파벳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하는 객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는 알파벳을 구성하는 객체와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하는 객체를 함께 입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입력하여 소문자를 대문자로 변환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키를 객체 정보로서 포함하는 객체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어, 문장 또는 단락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제어 기능과 연관된 객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object is a control key and may include a'backspace' object to delete input object information, an'enter' object to notify the end of input, and a'space' object to classify input information. have. In addition, the control key may include, for example, an object that converts lowercase letters into uppercase letters, and in this case, the user inputs an object constituting the alphabet and an object converting lowercase letters into uppercase letters together, or sequentially inputs them. You will be able to convert lowercase letters to uppercase letters. The object including the control key as object inform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may include all objects associated with a control function required to compose a word, sentence, or paragraph.

입력된 객체 정보를 삭제하기 위한 ‘백스페이스’ 태그 카드, ‘엔터’ 태그 카드, ‘스페이스’ 태그 카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단어, 문장, 또는 단락을 구성할 수 있는 기능과 연관된 태그 카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숫자와 연관된 태그 카드도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0’, ‘1’, ‘2’ … ‘9’와 같이 아라비아 숫자를 포함하는 태그 카드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숫자와 연관된 태그 카드에는 ‘(‘, ‘+’, ‘-‘, ‘/’, *’, ‘)’ 등의 사칙 연산과 수학과 관련된 모든 수식 기호가 포함될 수 있다. Tag cards related to the ability to compose words, sentences, or paragraphs, and may include a'backspace' tag card,'enter' tag card, and'space' tag card to delete input object information. Can also be implemented. In addition, tag cards associated with numbers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0’, ‘1’, ‘2’… Tag cards containing Arabic numerals, such as '9', can be configu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ag card associated with a number may include four arithmetic operations such as'(','+','-','/', *',')' and all formula symbols related to mathematics.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객체를 순차적으로 인식하여 객체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순차적으로 인식을 시킴으로써,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예를 들어,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로서 ‘a’, ‘p’, ‘p’, ‘l’, ‘e’를 순차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의 종료를 알리는 제어키를 최종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신된 복수의 객체 정보는 후술할 입력 정보 구성부(120)에 의해 입력 정보 ‘apple’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simultaneously receiv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from one or more objects, or sequentially receive object information by sequentially recognizing each object. You may. For example, by allowing the user to sequentially recognize a plurality of objects in the input device 100,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for example, as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a','p', 'p','l', and'e' may be sequentially received, and a control key indicating the end of user input may be finally received. The plurality of object information receiv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as input information “apple” by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ng unit 120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NFC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NFC 통신을 통해,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When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NFC tag,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from one or more objects through NFC communication.

도 4의 예시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입력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된 수학 문제, 예를 들어, “37 + 24”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답으로서, “61”을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객체 정보 ‘6’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와 객체 정보 ‘1’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100)에 접근 시킴으로써, NFC 통신을 통해 각가 ‘6’과 ‘1’을 순차적으로 입력 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예시에서 사용자는 제어키로서, ‘엔터(enter)’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100)에 접근하여 입력 장치(100)에 입력의 종료를 전달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example of FIG. 4,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a math problem displayed on the input device 100, for example, “37 + 24”, and may input “61” as an answer. . The user, for example, by accessing the tag car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nformation '6' and the tag card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nformation '1' to the input device 100, each value '6' and '1' through NFC communication. It may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input device 100. In addition, in the example of FIG. 4, the user may access the input device 100 with an “enter” tag card as a control key and transmit the end of the input to the input device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객체가 AR(augmented reality) 마커를 포함하는 경우, 객체 정보 수신부(110)는 객체에 포함된 AR 마커를 인식하고, 인식된 AR 마커에 기초하여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마커리스(Markerless) 기술을 활용하여 객체로부터 소정의 객체 정보를 추출하여 활용할 수도 있다. When an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ugmented reality (AR) marker,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recognizes an AR marker included in the object, and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object based on the recognized AR marker Information can be extracted. 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determined object information may be extracted and utilized from an object using a markerless technology.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한다.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120 configures input information based on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동시에 수신하고,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가 자음 및 모음을 포함하는 경우, 자음을 초성 또는 종성으로 하고, 모음을 중성으로 조합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 ‘ㄱ’, ‘ㅏ’를 동시에 수신하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입력 정보로서, ‘가’를 구성할 수 있다.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120 simultaneously receives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by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and when the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includes consonants and vowels, the consonant is made an initial or final consonant, and the vowel is made neutral. It can be combined to form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receiving object information'ㄱ' and'ㅏ' at the same time,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120 may configure'ga' as input information.

예를 들어,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복수의 태그 카드를 순차적으로 인식할 수 있지만, 복수의 태그 카드를 동시에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영어 단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a’, ‘p’, ‘p’, ‘l’, ‘e’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동식에 입력 장치(100)에 접근 시키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하나의 ‘a’, ‘l’, ‘e’와 두개 알파벳 ‘p’로 구성될 수 있는 단어를 조합하여 ‘apple’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파벳들로 구성될 수 있는 단어는 ‘apple’ 이외에도 펜싱에서 사용되는 기술인 ‘appel’이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입력 제어 시스템은 ‘apple’과 ‘appel’을 사용자에게 모두 제공할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검색 빈도 또는 가중치 등을 반영하여, ‘apple’를 먼저 제공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120 may sequentially recognize a plurality of tag cards, but may recognize a plurality of tag cards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when a user who wants to learn English words approaches the input device 100 with a tag card corresponding to'a','p','p','l','e', input The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120 may construct an'apple' by combining a word that may be composed of one'a','l', and'e' and two alphabets'p'. For example, a word that can be composed of the above alphabets may include'appel', which is a technique used in fencing, in addition to'apple'. In this case,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provide both “apple” and “appel” to the user, and may first provide “apple” by reflecting the search frequency or weight.

도 5 는 사용자가 3개의 태그블록(10)을 이용하여 입력 장치(100)에 알파벳 ‘A’, ‘C’, ‘T’를 입력하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입력 장치(100)는 객체 정보 ‘A’, ‘C’, ‘T’를 이용하여 조합할 수 있는 복수의 영어 단어를 구성할 수 있으며, 그 중 ‘CAT’와 ‘ACT’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기타 단어로서 ‘TAC’를 제공하고 있다.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예를 들어, ‘CAT’의 영어 발음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양이가 등장하는 애니메이션 영상 등 소정의 동영상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음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해당 음성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영어 발음을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영어 발음을 따라 하여 입력 장치(100)에 자신의 발음을 입력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를 들어, 사용자의 외국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user inputs alphabets'A','C', and'T' to the input device 100 using three tag blocks 10. The input device 100 can configure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that can be combined using object information'A','C', and'T', and displays'CAT' and'ACT' among them. As other words,'TAC' is provided. The input device 100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English pronunciation of “CAT”, for example, and may provide predetermined video information, such as an animation image in which a cat appears.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100 may receive predetermined voice information from a user, store the voic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voice information to the user. For example, the input device 100 provides the user with an English pronunciation, and the user can input his or her pronunciation into the inpu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English pronunciation, and through this, for example, the user’s foreign language Can help with learning.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한글과 연관된 복수의 태그 카드를 식별하는 경우, 예를 들어, ‘자음, ‘모음’, ‘받침’을 순서대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한글과 연관된 복수의 태그 카드를 식별할 때, 다중 태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음 태그와 모음 태그가 동시에 입력되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자음 태그와 모음 태그로 구성될 수 있는 글자를 구성할 수 있다. When identifying a plurality of tag cards associated with Hangul,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ng unit 120 may recognize, for example, a consonant, a vowel, and a support in order. In addition, when identifying a plurality of tag cards associated with Hangul, multiple tags can be recognized. For example, when a consonant tag and a vowel tag are input at the same time,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ng unit 120 includes a consonant tag and a vowel tag. You can compose letters that can be composed of.

상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태그 카드와 연관된 알파벳, 숫자 등을 포함하는 객체 정보를 다양한 조합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로서 구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120 may configure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lphabets, numbers, etc. associated with the tag card as input information based on various combination algorithms.

또한,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예를 들어 ‘스페이스’와 연관된 태그 카드를 인식하여 단어 또는 문장을 식별할 수 있으며, ‘백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기 식별된 태그 정보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태그 카드의 입력의 끝을 의미하는 ‘엔터’ 카드를 식별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120 may identify a word or sentence by recognizing a tag card associated with'space', for example, and may remove previously identified tag information using'backspace'. In addition,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120 may configure input information by identifying an “enter” card, which means the end of the input of the tag card.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순차적으로 조합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체 정보 ‘c’, ‘a’, ‘t’가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입력 정보로서, ‘cat’를 구성할 수 있다. When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is sequentially received by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ng unit 120 may construct input information by sequentially combining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object information'c','a', and't' are sequentially received,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ng unit 120 may configure'cat' as inpu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태그 카드에 기초하여, 자동 완성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 제어 시스템에 입력하는 경우, ‘a’로 시작하는 복수의 키워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a’에 이어 ‘p’에 대응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하는 경우, ‘ap’로 시작하는 키워드 예를 들어, ‘apple’, ‘april’ 등을 자동 완성 기능으로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120 may provide an auto-complete function based on, for example, sequentially received tag cards. For example, when a user inputs a tag card corresponding to'a' into the input control system, a plurality of keywords starting with'a'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when a user inputs a tag card corresponding to'p' following'a', keywords starting with'ap', for example,'apple','april', etc. may be provided as an auto-complete function. .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연속하여 수신된 객체 정보에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자음과 대응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object information continuously received by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includes a consonant,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ng unit 120 may configure the input information with a pai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consonant.

예를 들어, 한글의 쌍자음(쌍조음)을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어키 예를 들어, ‘shift’가 포함된 객체와 소정의 자음이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동시에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순차적으로 입력함으로써, 소정의 자음에 대응하는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소정의 자음이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연속으로 2번 입력할 경우, 해당 자음에 대응하는 쌍자음이 자동으로 입력되게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a pair of consonants (twin consonants) of Hangul, the user simultaneously inputs an object containing a control key, for example,'shift' and an object containing a predetermined consonant, into the input device 100, or , By sequentially inputting within a preset time, it is possible to input a pai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consonant. In addition, when the user continuously inputs an object including a predetermined consonant to the input device 100 twice, a pai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nsonant may be automatically input.

예를 들어, ‘ㄱ’을 포함하는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2번 연속으로 입력할 경우, 쌍자음 ‘ㄲ’이 입력되고, ‘ㄷ’을 포함하는 객체를 두 번 연속 입력할 경우, 쌍자음 ’ㄸ’이 입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n object including'a' is inputted to the input device 100 twice in a row, a double consonant'ㄲ' is input, and an object including'c' is inputted twice in a row, The double consonant'ㄸ' can be input.

입력 정보 구성부(120)는 객체 정보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서로 상이한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모음을 조합하여 하나의 모음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When the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received by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0 includes different vowels, the input information constructing unit 120 generates one vowel by combining the one or more vowels, and generates a vowel as the generated vowel. Input information can be configured.

예를 들어, 모음 ‘ㅒ’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어키 예를 들어, ‘shift’가 포함된 객체와 모음 ‘ㅐ’가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동시에 입력하거나,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순차적으로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모음 ‘ㅑ’가 포함된 객체를 입력 장치(100)에 입력한 후, 순차적으로 모음 ‘ㅣ’를 입력하여 새로운 모음 ‘ㅒ’를 구성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order to input the vowel'ㅒ', the user simultaneously inputs an object containing a control key, for example,'shift' and an object containing the vowel'ㅐ' into the input device 100, or It can be entered sequentially within an hour. In addition, the user may input an object including the vowel “ㅑ” into the input device 100, and then sequentially input the vowel “ㅣ” to form a new vowel “ㅒ”.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한글의 이중모음(diphthong)을 입력하기 위해 서로 상이한 모음을 입력 장치(100)에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모음과 예를 들어, 아래아(‘ㆍ’)를 연속적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fferent vowels may be continuously input to the input device 100 in order to input a diphthong of Hangul, and a vowel and, for example, a vowel ('·') may be used. You can also enter consecutively.

예를 들어, 모음 ‘ㅐ’는 모음 ‘ㅏ’와 ‘ㅣ’, 모음 ‘ㅒ’는 모음 ‘ㅑ’와 ‘ㅣ’, 모음 ‘ㅔ’는 모음 ‘ㅓ’ 와 ‘ㅣ’, 모음 ‘ㅖ’는 모음 ‘ㅕ’와 ‘ㅣ’, 모음 ‘ㅘ’는 모음 ‘ㅗ’와 ‘ㅏ’, 모음 ‘ㅙ’는 연속되는 모음 ‘ㅗ’, ‘ㅏ’, ‘ㅣ’, 모음 ‘ㅚ’는 모음’ㅗ’와 ‘ㅣ’ 모음’ㅝ’는 모음 ‘ㅜ’와 ‘ㅓ’, 모음 ‘ㅞ’는 연속되는 모음 ‘ㅜ’, ‘ㅓ’, ‘ㅣ’, 모음 ‘ㅟ’는 모음 ’ㅜ’와 ‘ㅣ’, 모음 ‘ㅢ’는 모음 ‘ㅡ’와 ‘ㅣ’의 조합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vowel'ㅐ' is the vowels'ㅏ' and'ㅣ', the vowel'ㅒ' is the vowels'ㅑ' and'ㅣ', the vowel'ㅔ' is the vowels'ㅓ' and'ㅣ', the vowel'ㅖ' Is the vowels'ㅕ' and'ㅣ', the vowel'ㅘ' is the vowels'ㅗ' and'ㅏ', the vowel'ㅙ' is the consecutive vowels'ㅗ','ㅏ','ㅣ', the vowel'ㅚ' is the vowel 'ㅗ' and'ㅣ' vowel'ㅝ' is the vowels'ㅜ' and'ㅓ', the vowel'ㅞ' is the contiguous vowel'ㅜ','ㅓ','ㅣ', the vowel'ㅟ' is the vowel'ㅜ' And'ㅣ' and the vowel'ㅢ' can be entered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vowels'ㅡ' and'ㅣ'.

출력 정보 구성부(130)는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한다. The output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130 configures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여기서, 출력 정보는 입력 정보와 연관되는 소정의 정보로서, 예를 들어, 입력 정보가 ‘cat’인 경우, 영어 단어 ‘cat'의 사전적인 의미, ‘cat’과 연관된 이미지, ‘cat’의 발음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output information is predetermin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input information is'cat', the dictionary meaning of the English word'cat', an image related to'cat', and the pronunciation of'cat' Information, etc. may be included.

출력 정보 구성부(130)는 입력 정보와 연관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로부터 추출하여 출력 정보로 구성할 수 있다. The out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130 may extract multimedia data associ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from a database (not shown) and configure it as output information.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예를 들어, 이미지, 플래쉬,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입력 제어 시스템 또는 제어 서버(300)에 포함되거나, 또는 네트워크(N)로 연결된 외부의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Here, the database plays a role of managing multimedia data such as, for example, images, flashes, and videos, and is included in the input control system or the control server 300, or located in an external space connected by a network (N). can do.

출력 정보 제공부(140)는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The outpu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provides output information to a user.

출력 정보 제공부(140)는 출력 정보를 입력 장치(1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거나, 입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여 출력 장치(200)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The output information providing unit 140 may provide output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unit included in the input device 10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put device 200 included in the input control system and provided through the output device 200. .

송수신부(150)는 출력 정보를 입력 제어 시스템에 포함된 출력 장치(200)로 전송한다. The transmission/reception unit 150 transmits the output information to the output device 200 included in the input control system.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입력 제어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제 정보를 제공한다. The problem information providing unit 160 provides problem information through a user interface of the input control system.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도 4의 예시와 같이, 유아에게 ’37+24 = ‘과 같은 연산 문제를 제공할 수 있다.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예를 들어, 소정의 이미지를 문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에 대한 단어의 철자를 예를 들어, 태그 카드를 통해 답안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영어 단어를 문제 정보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해당 단어에 대한 뜻을 태그 카드를 통해 한글로 입력할 수도 있다. 문제 정보 제공부(160)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음성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음성으로서 문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이외에도 객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입력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문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4, the problem information providing unit 160 may provide an arithmetic problem such as '37+24 = 'to an infant. The problem information providing unit 160 may provid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image as problem information, and the user may enter the spelling of a word for the image as answer information, for example, through a tag card. . In addition, the problem information providing unit 160 may provide an English word as problem information, and the user may input a meaning of the corresponding word in Korean through a tag card. The problem information providing unit 16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problem information as a voice using a voice interface. Can provide problem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예를 들어, 유아에게 소정의 문제를 제공하고, 유아가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 태크 블록 등을 통해 답안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인지 능력과 산술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유아는 예를 들어, 손을 이용하여 태그 카드, 태그 블록 등을 다룬다는 점에서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아울러 계산 과정 등을 통해 산술 능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problem to a user, for example, an infant, and allowing the infant to input an answer through an object, for example, a tag card or a tag block, It can improve children's cognitive and arithmetic skills at the same time. That is, the infant can help to improve cognitive ability in that, for example, using a hand to handle tag cards, tag blocks, etc., it is possible to improve arithmetic ability through a calculation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는 인식 가능한 객체 정보가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해당 객체 정보를 인식하고 연관된 출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bject may include recognizable object information, and an input control system may recognize the object information and display associated output information.

예를 들어, 스마트 TV의 카메라부를 통해 AR 마커를 인식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입력된 태그 카드를 식별하여, 단어, 문장 등을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태그는 마커일 수 있는데, 마커(10)는 특정 정보를 부호화한 표식으로서, 예를 들어, 1 차원 바코드, 2차원 바코드, 3차원 바코드, 칼라 바코드,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기 설정된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커(10)는 특정 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 For example, an AR marker may be recognized through the camera unit of a smart TV, and words, sentences, and the like may be composed by identifying a tag card that has been continuously input. Here, the tag may be a marker, and the marker 10 is a marker encoding specific information, for example, a one-dimensional barcode, a two-dimensional barcode, a three-dimensional barcode, a color barcode, a quick response (QR) code, or a preset May contain patterns. In addition, the marker 10 may correspond to a specific cod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태그 카드로서, 한글이 입력되는 경우, 한글의 띄어쓰기, 문장 부호, 맞춤법, 받아 쓰기 등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 정보를 게임의 형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plurality of tag cards, when Korean is input, learning informatio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game so that Korean spaces, punctuation marks, spelling, dictation, etc. can be effectively learned.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방법은 학습, 게임 분야 등에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카드 게임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대전 게임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control method may be utilized in the field of learning and games, for example, card games, etc.,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atch gam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e together. hav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이 게임에 활용되는 예로서, 게임 진행 과정에서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사용자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응답으로서 객체를 활용할 수 있다. As an example in which the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game, when a predetermined event occurs during a game process, a user may utilize an object as a response to the event.

예를 들어, 입력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불(火)과 연관된 이미지, 동영상, 단어 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사용자는 자신이 보유한 복수의 태그 카드 중 불(火)을 진화할 수 있는 물(水)을 객체 정보로서 포함하는 태그 카드를 입력 장치에 입력하여 게임의 종료를 막고 게임을 계속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게임은 영유아의 인지 능력 및 사고 능력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put control system can provide the user with images, videos, and words related to fire. By inputting a tag card containing (water) as object information into the input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me from ending and continue the game. Games like this can help to develop cognitive and thinking skills of infants and toddlers.

입력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어 게임에 활용될 경우, 입력 제어 시스템은 불과 관련된 영상 또는 “fire”와 같은 단어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예를 들어, ‘water’를 태그 카드를 이용하여 입력하여 게임의 종료를 막고 게임을 이어나갈 수 있다. 또한, 한글 게임의 경우, 사용자는 게임 이벤트 발생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시간 이내에 ‘물’을 입력하여 게임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The input control system can be used in various ways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xamples. For example, when used in an English game, the input control system provides an image related to fire or a word such as “fire”, and the user has a preset time. Within, for example,'water' can be entered using a tag card to prevent the end of the game and continue the ga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angul game, the user may continue the game by inputting'water' within a predetermined time from the time the game event occu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은 소정의 게임 이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게임 이벤트에 대한 응답을 입력 장치를 통해 수신하여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게임 이벤트에서 제공되는 언어와 사용자가 입력하는 언어를 서로 다르게 하여, 게임의 흥미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대전 게임 형태로 게임이 제공될 수도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provide a predetermined game event to the user, and receive a response to the game event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device to play the game. In this process, by making the language provided in the game event and the language input by the user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terest of the game may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gam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atch game in which a plurality of users participat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이 수학 학습에 활용되는 경우, 3차원 학습에 효과적인 AR환경 등을 이용하여 공간, 도형, 좌표, 미적분학 등에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mathematics learning, it can be used for space, figure, coordinates, calculus, etc. using an AR environment that is effective for 3D learning.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예를 들어, 부루마블 및 체스 게임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for example, a blue marble and a chess gam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이 소정의 이미지, 동영상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는 해당 이미지, 동영상 등을 보고, 그에 해당하는 단어를 연상하여 태그 카드 등을 통해 답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이 한글 단어, 영어 단어 등의 뜻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단어의 뜻을 보고, 해당 단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이 영어 단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어 단어와 매칭되는 타 언어, 예를 들어 한글, 일어, 중국어 등을 입력하여 언어와 관련된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provides a predetermined image, video, etc. to the user, and the user views the image, video, etc. It can be used as a way to input. In addi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be utilized in a manner in which the meaning of Korean words and English words is provided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the user sees the meaning of the word and inputs the corresponding word. In addi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provide English words through the display unit, and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language-related learning by inputting another language matching the corresponding English word, for example, Korean, Japanese, Chinese, etc.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이 객체 정보로서 한자가 포함된 객체를 인식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입력된 한자와 연관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recognize an object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as object information, and provide an image related to the Chines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display uni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은 객체와 입력 장치 간에 객체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을 포함하는데, 상기 구성은 상술한 NFC, AR 을 이용하는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object information between an object and an input device, the configura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NFC, AR, and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t can also be implemented using.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RFID를 활용하는 경우, 객체는 예를 들어, IC(Intergrated Circuit)칩을 포함할 수 있으며, IC 칩에는 객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객체 정보는 객체에 포함된 IC 칩과 입력 장치와의 통신을 통하여 수신될 수 있다. When using RF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may include, for example, an integrated circuit (IC) chip, and objec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IC chip. Also, the object information may be receiv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an IC chip included in the object and an input devic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어린이 학습용 로봇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봇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린이는 로봇에 객체를 인식시켜 소정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어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로봇은 해당 영어 단어의 발음, 해당 영어 단어와 연관된 동영상 등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어린이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객체와 로봇은 예를 들어, RFID, NFC, AR 등을 통해 객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어린이는 로봇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인지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순한 키보드 입력이 아닌 능동적인 객체 입력을 통해 학습을 수행함에 따라 운동지각능력(perceptual abitities)을 함께 발달시킬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tilized in a robot for learning children, for example, the robo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put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child can recognize an object in the robot and input predetermined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inputting an English word, the robot can display the pronunciation of the corresponding English word and a video related to the corresponding English word through a user interface. It can be provided to children through. Here, the object and the robot may transmit and receive object information through, for example, RFID, NFC, AR, or the lik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children can improve their cognitive abil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a robot, and they can develop perceptual abitities together by performing learning through active object input rather than simple keyboard input. .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6, 7 and 8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입력 제어 시스템 상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입력 제어 시스템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The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6, 7 and 8 includes steps processed in time series on the input control system shown in FIG. 3. Therefore, even if omitted below, the contents described above with respect to the input control system illustrated in FIG. 3 may also be applied to the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S. 6, 7 and 8.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Referring to FIG. 6,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로부터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를 수신한다(S6100). First, the input control system receives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from one or more objects (S61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한다(S6200). In addi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configures input information based on one or more object information (S62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한다(S6300). Also, the input control system configures outpu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S6300).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With reference to FIG. 7,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의 예시에 따르면, 입력 제어 시스템은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제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 출력 장치 및 제어 서버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xample of FIG. 7,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include an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ontrol server, and the input device, an output device, and a control server may be connected through a network.

먼저, 입력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객체 예를 들어, 태그 카드로부터 각각의 태그 카드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7100). First, the input device may receive one or more pieces of 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tag card from one or more objects, for example, a tag card (S7100).

또한, 입력 장치는 단계 S7100에서 수신한 태그 정보를 제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7200). In addition, the input device may transmit the tag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7100 to the control server (S7200).

제어 서버는 단계 S7200에서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한 하나 이상의 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7300). The control server may configure input information based on one or more ta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nput device in step S7200 (S7300).

제어 서버는 단계 S7300에서 구성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7400). The control server may configure output information based on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ed in step S7300 (S7400).

제어 서버는 S7400에서 구성한 출력 정보를 입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S7500). The control server may transmit the output information configured in S7400 to the input device or the output device (S7500).

입력 장치 또는 출력 장치는 제어 서버로부터 수신한 출력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S7600). The input device or the output device may provide the outpu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server to the user (S7600).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An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먼저 입력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에게 문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S8100). First,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provide problem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S81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객체 각각에 포함된 AR 마커를 인식할 수 있다(S8200). In addition,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recognize an AR marker included in each of one or more objects (S82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인식된 AR 마커에 기초하여 각각의 객체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8300). Also,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extract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bject based on the recognized AR marker (S83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추출된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8400). Also,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configur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extracted object information (S8400).

또한, 입력 제어 시스템은 구성된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와 연관된 출력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S8500). Also, the input control system may configure output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put information based on the configured input information (S8500).

여기서, 출력 정보는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기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Here, the output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using an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도 6, 도 7 및 도 8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The input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7 and 8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includ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a program module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Further,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a computer storage medium.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Claims (10)

카드 또는 블록 형태의 객체 및 상기 객체로부터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객체 정보 수신부;
조합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입력 정보를 조합하는 입력 정보 구성부;
조합된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되는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출력 정보 구성부; 및
상기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출력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정보 수신부는,
복수의 상기 객체로부터 복수의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고,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정보는,
한글의 자음 및 한글의 모음을 포함하는 단위 문자 및 사용자 입력의 종료를 알리는 제어키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정보 구성부는,
인식한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복수의 입력 정보를 조합하되, 상기 종료를 알리는 제어키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 정보를 조합하며, 조합된 입력 정보를 검색빈도 또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
An input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object in the form of a card or a block and an input device for recognizing object information from the object,
An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ognizes the object information from the object;
An input information construction unit that combines input information constructed from the object information based on a combination algorithm;
An out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for configuring outpu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input information; And
Including an output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output information,
The object information receiving unit,
Simultaneously recognizing a plurality of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bjects from the plurality of objects,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A unit character including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and a control key notifying the end of user input,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Combini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ognized object information, combining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based on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 control key notifying the end, and combining the combined input information with a search frequency or weight An input control system that reflects and output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단위 문자 및 상기 단위 문자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An input control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of a unit character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unit charac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정보는,
한글의 자음 및 한글의 모음을 포함하는 단위 문자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입력 정보 구성부는,
자음을 초성 또는 종성으로 하고, 모음을 중성으로 하여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글자로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를 조합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Corresponds to any one of unit characters including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An input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ng input information by combining a plurality of object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letters composed of a consonant as an initial or a final sound and a vowel as a neutra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정보 구성부는,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 중 서로 상이한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서로 상이한 모음을 결합하여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글자로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를 조합하여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In the case where different vowels are included among the plurality of object information, input information is configured by combining the plurality of object information with one or more characters formed by combining the different vow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제어키와 또 다른 제어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정보 구성부는,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에 상기 다른 제어키 및 소정 자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다른 제어키 및 상기 소정 자음을 조합하여 상기 소정 자음에 대응하는 쌍자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key and another control key,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When the other control key and the predetermined consonant ar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object information, the other control key and the predetermined consonant are combined to form input information into a pair of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conson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정보는,
상기 제어키와 또 다른 제어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정보 구성부는,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에 상기 다른 제어키 및 소정 모음이 포함된 경우, 상기 다른 제어키 및 상기 소정 모음을 조합하여 상기 소정 모음에 대응하는 이중모음으로 입력 정보를 구성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key and another control key,
The input information configuration unit,
When the other control key and the predetermined vowel are included in the plurality of object information, the input information is configured as a double vowel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vowel by combining the other control key and the predetermined vowel.
카드 또는 블록 형태의 객체 및 상기 객체로부터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입력 장치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시스템이, 입력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객체로부터 상기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
조합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상기 객체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입력 정보를 조합하는 단계;
조합된 상기 입력 정보와 연관되는 출력 정보를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객체 정보는,
한글의 자음 및 한글의 모음을 포함하는 단위 문자 및 사용자 입력의 종료를 알리는 제어키를 포함하며,
상기 객체 정보를 인식하는 단계는,
복수의 상기 객체로부터 복수의 상기 객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를 동시에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정보를 조합하는 단계는,
인식한 복수의 상기 객체 정보로부터 구성되는 복수의 입력 정보를 조합하되, 상기 종료를 알리는 제어키를 포함하는 객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입력 정보를 조합하며, 조합된 입력 정보를 검색빈도 또는 가중치를 반영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 제어 방법.
An input control system comprising an object in the form of a card or a block and an input device for recognizing object information from the object, comprising:
Recognizing the object information from the object;
Combining input information constructed from the object information based on a combination algorithm;
Configuring output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combined input information; And
Includ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output information,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bjects,
A unit character including Korean consonants and Korean vowels, and a control key notifying the end of user input,
Recognizing the object information,
And simultaneously recognizing a plurality of the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bjects from the plurality of objects,
Combining the input information,
Combining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composed of a plurality of recognized object information, combining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based on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a control key indicating the end, and combining the combined input information with a search frequency or weight Including the step of reflecting and outputting.
삭제delete 제8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execute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is recorded.
KR1020200018843A 2012-06-11 2020-02-1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KR10225457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2379 2012-06-11
KR20120062379 2012-06-11
KR1020120094565A KR20130138636A (en) 2012-06-11 2012-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4565A Division KR20130138636A (en) 2012-06-11 2012-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755A KR20200020755A (en) 2020-02-26
KR102254577B1 true KR102254577B1 (en) 2021-05-21

Family

ID=4998430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80A KR101347148B1 (en) 2012-06-11 2012-07-1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KR1020120094565A KR20130138636A (en) 2012-06-11 2012-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KR1020200018843A KR102254577B1 (en) 2012-06-11 2020-02-17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8480A KR101347148B1 (en) 2012-06-11 2012-07-1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KR1020120094565A KR20130138636A (en) 2012-06-11 2012-08-28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3471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32004A (en) * 2014-12-24 2015-06-24 萍乡学院 Information exchange cloud computation system special for network teaching and control method
KR20170000713A (en) 2015-06-24 2017-01-03 김종호 3D dimensional cube system 3D by expressing Mathematical calculation
KR102633014B1 (en) * 2016-09-21 2024-02-02 강거웅 System and method for learning language using character card se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81Y1 (en) * 2002-06-11 2002-10-11 서문환 language instruction device using a character card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984B1 (en) * 2000-01-08 2001-12-22 심현보 apparutus for illustrating book contents in sound
KR20060044076A (en) * 2004-11-11 2006-05-16 주식회사 팬택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hangeul characters by using function key for us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920457B1 (en) * 2007-11-14 2009-10-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 method and system of recognizing objects for intelligent robot
KR100940295B1 (en) * 2007-11-27 2010-02-05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Educational Toy Using Questions And Answers
KR101017598B1 (en) * 2008-11-25 2011-02-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Hangeul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hangeul teaching system using augmented reality
KR101250619B1 (en) * 2010-03-25 2013-04-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user inter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1781Y1 (en) * 2002-06-11 2002-10-11 서문환 language instruction device using a character c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634A (en) 2013-12-19
KR20200020755A (en) 2020-02-26
KR101347148B1 (en) 2014-01-03
KR20130138636A (en)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5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put
Yang et al. A location-based services and Google maps-based information master system for tour guiding
US10769253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alizing verification code
CN110532381B (en) Text vector acquisition method and device, computer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20110015920A1 (en) Apparatus for chinese language education and method thereof
Rettberg Hand signs for lip-syncing: The emergence of a gestural language on musical. ly as a video-based equivalent to emoji
JP2021096886A (en) Method, apparatus, device, medium, and program for information recommendation based on fusion relation network
US20130076641A1 (en) Method and Keyboard for Inputting Chinese Characters and Electronic Apparatus Containing the Keyboard
CN101369209A (en) Hand-writt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complete mixing input
US20050107111A1 (en)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711100B2 (en) Sign language keyboard and sign language searc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Wang et al. SHRIMP: solving collision and out of vocabulary problems in mobile predictive input with motion gesture
CN107209916A (en) Caricature data presentation device and method
JP2011186994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20010054288A (en) Character input device for combining basic sentence patterns and inputting hangul and english
Verma Mawl: mobile assisted word-learning
CN116529699A (en) Emotion symbol recommendat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Abbott et al. Identifying an aurally distinct phrase set for text entry techniques
Arif et al. Mobile text entry challenges among low-income users in a developing country
KR20210057900A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combining korean and latin
KR1024455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KR102638669B1 (en) Apparatus for providing saju information using Tiangan, Dizhi and naming theory and method thereof
KR101845780B1 (en) Method for providing sign image search service and sign image search server used for same
KR102657932B1 (en) Korean language education video system
JP5182010B2 (en) Kana Romaji correspondence tab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storage medium, server, and character inpu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