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510B1 -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 Google Patents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510B1
KR102254510B1 KR1020190119996A KR20190119996A KR102254510B1 KR 102254510 B1 KR102254510 B1 KR 102254510B1 KR 1020190119996 A KR1020190119996 A KR 1020190119996A KR 20190119996 A KR20190119996 A KR 20190119996A KR 102254510 B1 KR102254510 B1 KR 102254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ring
cushion
mre
pillow
magnetic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9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37398A (en
Inventor
김기선
오종석
김성육
정성민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19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510B1/en
Publication of KR2021003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739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5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8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mounted on external non-worn devices, e.g. non-medic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0Magnet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4Sound
    • A47G2200/146Sound recording or detec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0V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22Weight
    • A47G2200/226Weight sens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본체; 상기 베개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쿠션부;상기 쿠션부와 연결되고, 상기 쿠션부에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제공부; 상기 베개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골이를 감지하는 코골이감지부; 및 상기 쿠션부, 자력제공부 및 코골이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wherei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illow body supporting the user's head; A cushion unit disposed inside the pillow body and having a variable hardness by magnetic force;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cushion unit and providing magnetic force to the cushion unit; A snoring detec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ow body to detect a snoring of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ushion unit,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nd the snoring detection unit.

Description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Smart pillow for snoring prevention using MRE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본 발명은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취침자의 코골이를 감지하고, 코골이 감지 시 인가되거나 단절되는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의 경도 가변에 따라 베개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취침자의 머리 위치 또는 수면 자세가 변동되어 코골이를 멈출 수 있도록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More specifically, by detecting the snoring of a sleeping person and changing the shape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hardness of the MRE cushion member whose hardness is changed by the magnetic force applied or disconnected when snoring is detected, the position of the sleeping person's head or sleeping posture can be changed. It relates to a smart pillow for snoring prevention using MRE that can change and stop snoring.

최근 현대인들은 바쁜 일상 속에서 충분한 시간의 수면을 취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수면의 질에 대한 관심이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데 이렇게 만성적인 수면 부족 속에서 현대인들은 자연스럽게 질 높은 수면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Recently, modern people are not getting enough sleep in their busy daily lives. Therefore, interest in the quality of sleep is increasing day by day. In this chronic lack of sleep, modern people are naturally striving for quality sleep.

이에, 현대인의 대다수는 숙면에 도움이 되는 제품에 어느 정도의 금액을 지불할 의향이 있으며, 숙면을 취할 수 있게 해주는 아이템 및 소재에 대한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Accordingly, the majority of modern people are willing to pay a certain amount for products that are useful for a good night's sleep, and interest in items and materials that enable them to take a good night's sleep is high.

통상적으로, 베개는 수면을 취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곡선으로 형성된 목디스크에 따라 벨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기도의 유지에 따른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ypically, pillows are used when sleeping, and by allowing them to be belled according to a curved neck disk, they can take a good night's sleep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of natural airways.

특히, 사용자는 각자의 습관이나 취향에 따라 편안하게 느끼는 베개 높이와 쿠션감이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본인의 욕구에 맞춘 베개 높이와 베개의 쿠션감 즉 경도에 적합한 베개를 사용하기를 희망한다.In particular, users tend to have different pillow heights and cushioning feelings that they feel comfortable with according to their habits or tastes, and they wish to use a pillow that is suitable for the height of the pillow and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pillow, that is, the hardness according to their own needs.

그러나, 종래의 베개들은 개개인의 신체에 따른 최적의 상태나 개개인의 수면 습관 또는 취향에 일일히 맞추기가 불가능하게 제작된다.However, conventional pillows are manufactured in such a way that it is impossible to individually tailor them to an optimal state according to an individual's body or to an individual's sleeping habits or tastes.

또한, 종래의 베개는 특별한 수면의 장애를 갖고 있는, 즉 코골이나 이갈이 또는 수면 무호흡증과 같은 현상들을 방지하거나 중단시킬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취침자의 숙면에 방해가 됨은 물론 함께 취침하는 주변인의 수면에도 방해가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conventional pillows do not have a means to prevent or stop phenomena such as snoring, teething, or sleep apnea, which has a special sleep disorder, which interferes with sleep of sleepers as well as sleep of neighbors sleeping together. It also has a problem that interferes with it.

코골이 현상은 수면중 코를 골다가 10초 이상 숨을 쉬지 않아 공기의 흐름이 완전히 멈추는 증세가 수면 1시간 당 5번 이상 나타나거나 7시간의 수면 동안 30회 이상 나타나는 질환으로서, 수면무호흡증(睡眠無呼吸症:sleep apnea syndrome)에 해당되며, 대개의 경우 깊은 호흡을 하게 되며, 산소결핍증/아시도시스/중추성 호흡조절장애 등의 호흡곤란(呼吸困難:dyspnoea)을 일으키게 된다.Snoring is a condition in which the flow of air completely stops due to snoring while snoring during sleep for 10 seconds or more, which appears 5 or more times per hour of sleep or 30 or more times during 7 hours of sleep. It corresponds to sleep apnea syndrome), and in most cases, deep breathing occurs, and respiratory distress (dyspnoea) such as oxygen deficiency syndrome/assidosis/central respiratory control disorder is caused.

또한, 코골이 현상의 원인으로는 호흡기나 심장질환, 신장/간/내분비대사 질환 및 여러 가지 중독등을 들 수 있으며, 신경성 또는 심인성(心因性)인 경우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n addition, causes of snoring include respiratory or heart disease, kidney/liver/endocrine metabolic disease, and various addictions, and are known to be neurogenic or psychogenic.

이와 같은 코골이 현상은, 호흡중추자극제로서 카페인/캠퍼/로벨린/이산화탄소 등을 치료제로 쓰고 있으나 원인치료는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호흡중추를 진정시키기 위하여 모르핀이나 아편이 사용되기도 한다.For this snoring phenomenon, caffeine/camper/lobelin/carbon dioxide, etc., as a respiratory stimulant, are used as therapeutic agents, but it is known that the cause treatment is not possible, and morphine or opium is sometimes used to calm the respiratory center.

한편, 코골이 현상이 취침자에게 발현될 때 취침자를 잠에서 깨워 수면무호흡증을 중단시킬 수가 있는데, 이러한 응급처치의 실행은 긴 수면시간동안 관찰자를 필요로 하며, 취침자 자신은 스스로 잠에서 깨어나기는 어렵기 때문에 코고는 상태의 취침자를 자동으로 흔들어 깨우거나, 취침자의 수면자세를 변동시켜 코골이 증상이 멈추거나 감소하게 하는 수단의 강구가 요구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snoring is manifested in the sleeper, sleep apnea can be stopped by waking the sleeper. The implementation of such first aid measures requires an observer during a long sleep period, and the sleeper himself is not able to wake himself from sleep. Because it is difficult, there is a need for a means of automatically waking a sleeping person in a snoring state by shaking or changing the sleeping posture of the sleeping person to stop or reduce the snoring symptoms.

또한, 수면시의 코골이 증상은 취침자의 머리나 어깨를 옆으로 하면 뛰어난 예방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베개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In addition, the symptoms of snoring during sleep are known to exhibit excellent preventive effects when the head or shoulder of a sleeping person is placed sideways, and many pillows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is principle have been propose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8833호는 코골이 베개에 관한 것으로, 동력전달수단의 최종 출력축에 그 일측단이 고정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레버; 상기한 레버의 타단부에 그 상측면으로 돌출 형성되어지도록 구비되는 캠돌기; 상기 캠돌기가 프레임부에 대하여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끼워지는 캠홈이 조성되어 있고, 이러한 캠돌기가 레버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상기 프레임부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와 별도의 것으로 구비되며, 그 평면이 벨 수 있는 면으로 조성되도록 형성,구비된 가동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278833 relates to a snoring pillow, a lever provided so that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final output shaft of the power transmission means; A cam protrusion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ever so as to protrude toward the upper side thereof; The cam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am protrusion is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rame part, and the frame part and the frame part and the frame part so that the cam protrusion can be moved longitudinally with respect to the frame part as the cam protrusion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lever. Disclosed i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ovable plate provided as a separate, formed and equipped movable plate so that the flat surface is formed as a bevelable surface.

이는, 베개의 내부에 모터와 캠을 설치하여 베개를 좌우로 흔들어 줌으로서 취침자의 머리가 옆으로 돌아가도록 한 방법을 추구하나, 베개 골격의 내부에 모터와 캠을 설치하여 일정한 시간이 경과할 경우 자동적으로 베개의 상부가 경사지게 기울어지기 때문에 목뒤의 경추에 대한 자극이 심하여 통증과 함께 숙면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is pursues a method of installing a motor and a cam inside the pillow so that the sleeping person's head turns to the side by shaking the pillow from side to side. However, if a certain amount of time elapses by installing a motor and a cam inside the pillow frame Since the upper part of the pillow is automatically inclined obliquely,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take a good night's sleep with pain due to severe irritation to the cervical vertebrae behind the neck.

또한 수면 중 움직임에 의해서 베개를 잘못 베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실효성이 적어 코골이를 방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워 경제적이지 못할 뿐 아니라 실효성이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are disadvantages of not only being able to prevent snoring due to low effectiveness because the pillows are often incorrectly cut by movement during sleep, and not only not economical due to difficult manufacturing due to complicated configuration, but also a lot of poor effectiveness.

따라서, 사용자가 본인의 취향에 적합한 베개의 경도 즉 쿠션감을 스스로 작동하여 조절할 수 있으며, 코골이감지부를 구비하여 취침 중 코골이를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베개의 경도가 가변되어 베개 형상의 변화를 수행하고, 가변된 베개 형상에 따라 취침자의 머리 위치 및 수면 자세를 바꾸어 주어 코골이를 중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코골이 방지 및 경도변화가 용이한 베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control the hardness of the pillow suitable for his or her own taste, that is, the cushion feeling, and the snoring detection unit is provided to detect snoring during bedtime, and the hardness of the pillow is actively changed to change the shape of the pillow. ,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pillow that is easy to change the hardness and prevent snoring that can stop or reduce snoring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head of the sleeping person and the sleeping posture according to the changed pillow shape.

[특허 문헌] KR 20-0278833호 (등록일자 2002년 06월 05일)[Patent Document] KR 20-0278833 (Registration Date June 05, 200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코골이감지부에서 감지된 코골이 신호에 기반하여 인가되거나 단절되는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 및 베개본체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쿠션부의 경도를 단계별로 수동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노브를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취침전 상기 베개의 경도를 본인 취향 및 취침습관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고, 취침 중 취침자의 코골이 상태를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베개의 경도 가변에 따른 베개 형상 변화를 수행하여 취침자의 수면 자세 또는 머리와 어깨 위치를 변화시켜 코골이를 중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여 취침자가 충분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utside the pillow body and the MRE cushion member whose hardness is variable by the magnetic force applied or disconnected based on the snoring signal sens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By including an adjustment knob configured to manually manipulate the hardness of the cushion part step by step, the user can adjust the hardness of the pillow before going to bed according to his or her taste and sleeping habits, and actively detects the sleeper's snoring state while sleeping.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which allows the sleeping person to get a good night's sleep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pillow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ardness of the pillow so that the sleeping posture or the head and shoulder positions of the sleeping person can be changed to stop or reduce snoring. Its purpose is to provide a smart pillow.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본체; 상기 베개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와 연결되고, 상기 쿠션부에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제공부; 상기 베개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골이를 감지하는 코골이감지부; 및 상기 쿠션부, 자력제공부 및 코골이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pillow body supporting the user's head; A cushion part disposed inside the pillow body and having a variable hardness by magnetic force;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cushion unit and providing magnetic force to the cushion unit; A snoring detec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ow body to detect a snoring of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ushion unit,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nd the snoring detection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쿠션부가 복수개의 쿠션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쿠션모듈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자력제공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un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ushion modules, and the cushion modules are each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쿠션모듈이 접촉하는 하중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 하단에 구비되고, 인가되거나 단절되는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or that senses a load pressure contacted by the cushion module; And an MRE cushion memb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sensor and having a variable hardness by an applied or disconnected magnetic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MRE쿠션부재가 자력이 인가되면 자력 인가 전보다 경도가 높아져 단단해지고, 자력이 단절되거나 감소하면 자력 단절 또는 감소 전보다 경도가 낮아져 부드러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MRE cushion member is applied with magnetic force, the hardness becomes higher than before applying the magnetic force and becomes harder, and when the magnetic force is disconnected or decreased, the hardness becomes lower than before the magnetic force is disconnected or decreased, and becomes soft. It is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코골이감지부가 코골이에 의한 상기 베개본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ibration sensor for sensing the vibration of the pillow body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And an acoustic sensor for detecting a snoring sou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ny on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베개본체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쿠션부의 경도를 단계별로 수동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utside the pillow body, and an adjustment knob configured to manually manipulate the hardness of the cushion part desired by the user step by step;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코골이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상기 쿠션모듈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and determines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접촉 하중 압력값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머리나 어깨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쿠션모듈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ontact load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by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s head or shoulders, and determines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It is characterized by that.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절노브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쿠션모듈의 경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hardness of the cushion module by receiving the control knob signal.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를 구비하여 취침자의 코골이 감지시 상기 MRE쿠션부재의 경도를 가변시켜 취침자의 머리나 어깨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하여 코골이 증상이 중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RE cushion member whose hardness is variable by magnetic force is provided to change the hardness of the MRE cushion member when the sleeper's snoring is detected, so that the sleeping person's head o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noring symptoms can be stopped by allowing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to change.

또한, 코골이감지부를 구비하여 취침자의 수면을 관찰하는 관찰자 없이도 취침자의 코골이 증상을 감지하여 즉각적이고 능동적으로 코골이 방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noring detection unit is provided to detect the snoring symptoms of the sleeping person without an observer observing the sleeping person's sleep, so that the snoring preven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and actively.

또한, 상기 MRE쿠션부재의 경도 가변에 따른 취침자의 머리나 어깨의 위치 변동을 수행함으로써, 취침자의 신체 구조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performing the position change of the head or shoulder of the sleeping pers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hardness of the MRE cushion member,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a comfortable sleep without burdening the body structure of the sleeping person.

또한, 조절노브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취침전 베개의 쿠션감이나 높이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게 수동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개를 사용하는 개개인의 신체, 수면 습관 또는 취향에 맞춰 상기 베개의 쿠션감이나 높이등을 조절하여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n adjustment knob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adjust the cushioning feeling or height of the pillow before going to b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request, so that the cushion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body, sleep habit, or taste using the pillow.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apply by adjusting the sense or height.

또한, 상기 베개의 쿠션부를 복수개의 모듈로 구성하고, 각각의 쿠션모듈이 자력제공부와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자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개의 형상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골이 취침자의 자세 변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part of the pillow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es, and each cush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to independently receive magnetic force, so that the shape of the pillow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so that snoring sleep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ruler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베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코골이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취침자의 자세 변동에 필요한 상기 쿠션모듈 각각의 경도 값을 도출하여 코골이 취침자의 자세 변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illow is provided to receive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and derive the hardness value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required for the change of the sleeper's pos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change of the snoring sleeper's posture.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it to be performed.

또한, 코골이를 중지시키기 위한 취침자의 자세변동을 위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자력의 제공만으로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경도 변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an MRE cushion member having a variable hardness for change of the sleeping person's posture to stop snor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hardness change can be implemented simply and efficiently by only providing magnetic force.

아울러,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생산 및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conomical effect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 manufacturing is easy, and produc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쿠션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코골이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조절노브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ushion part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first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b) is a second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noring detection unit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knob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or parts in the drawings denot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전반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개본체(100), 쿠션부(200), 자력제공부(300), 코골이감지부(400), 조절노브(500) 및 제어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llow body 100, a cushion part 200, a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300, a snoring detection part 400, an adjustment knob as shown in FIG. 500) and a control unit 600.

상기 베개본체(100)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도록 구비된다.The pillow body 100 is provided to support the user's head.

구체적으로, 상기 베개본체(100)는 상기 베개의 외장을 구성하는 외장 하우징으로, 잠을 자거나 누워있는 사용자의 머리와 목 또는 어깨를 편안하게 받쳐주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쿠션부(200), 자력제공부(300) 및 제어부(600)를 내장하고, 외부 일측에 상기 코골이감지부(400) 및 조절노브(500)가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llow body 100 is an exterior housing constituting the exterior of the pillow, and is configured to comfortably support the head, neck, or shoulders of a user sleeping or lying down, and the cushion unit 200, magnetic force The providing unit 300 and the control unit 600 may be built-in, and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and the adjustment knob 500 may be disposed on an external side.

또한, 상기 베개본체(100)는 표피가 부드러운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는 상기 쿠션부(200)가 충전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pillow body 100 is made of a fabric having a soft outer skin, and the cushion part 200 is filled therein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또한, 상기 베개본체(100)는 중심부로부터 양측 단부로 갈수록 베개의 두께가 증가하는 경사만곡부(미도시)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llow body 100 may form an inclined curved portion (not shown) in which the thickness of the pillow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both ends.

상기 경사만곡부(미도시)는 상기 경사만곡부(미도시)의 굴곡면에 의해 옆으로 누워서 수면을 취하는 취침자의 머리가 베개본체(100)의 바깥쪽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억제시키는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inclined curved portion (not shown) can perform a functional role of restraining the head of a sleeper sleeping on the side by the curved surface of the inclined bent portion (not shown) from deviating from the outside of the pillow body 100. hav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쿠션부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1상태도이며,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제2상태도이다.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cushion part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a) is a first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state diagram, and Fig. 3(b) is a second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of a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쿠션부는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본체(100) 내부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된다.The cushio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side the pillow body 100 as shown in FIGS. 2 to 3 (b), and is provided so that the hardness is varied by magnetic force.

또한, 상기 쿠션부(200)는 복수개의 쿠션모듈(210)로 구성되고, 상기 쿠션모듈(2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자력제공부(300)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In addition, the cushion part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ushion modules 210, and the cushion modules 210 are provided to be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part 300, respectively.

구체적으로, 상기 쿠션부(200)는 상기 베개본체(100)의 내부에 충전되어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쿠션모듈(210)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ushion part 200 is filled in the pillow body 100 and provided to provide a cushioning feeling to the user,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ushion modules 210.

따라서, 상기 쿠션부(200)는 복수개의 쿠션모듈(210)로 구성되고 각각의 쿠션모듈(210)이 자력제공부(300)와 연결되어 이웃하는 쿠션모듈(210)과 독립적으로 자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의 경도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베개의 형상 변화가 다양하고 이에 따라 코골이 취침자의 자세 변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cushion unit 20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cushion modules 210, and each cushion module 210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to receive magnetic force independently from the neighboring cushion modules 210. By allowing the cushion module 210 to vary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the shape of the pillow is varied, and accordingly, the change of the snoring sleeper's posture can be easily performed.

또한, 상기 쿠션모듈(210)은 상기 코골이감지부(3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취침자의 자세 변동을 위해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는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자력이 인가되거나 단절되고 또는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ushion module 210 receives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300 and controls the control unit 600 to determine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for a change in the sleeper's posture. As a result,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or interrupted, or increases or decreases.

또한, 상기 쿠션모듈(210)은 상기 베개본체(100) 내부에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쿠션모듈(210)의 갯수, 배열상태 또는 형상은 도시된 개수, 배열상태 또는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module 21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inside of the pillow body 100, the number, arrangement, or shape of the cushion module 210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arrangement, or shape shown. It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이에, 상기 쿠션모듈(210)은 압력센서(211) 및 MRE쿠션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ushion module 210 may include a pressure sensor 211 and an MRE cushion member 212.

상기 압력센서(211)는 접촉하는 하중 압력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The pressure sensor 211 is provided to sense a contact load pressure.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센서(211)는 상기 쿠션모듈(210)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쿠션모듈(210)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로서,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600)가 취침자의 머리나 어깨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pressure sensor 211 is a pressure sensor that is disposed on the upper end of the cushion module 210 to detect the pressure acting on the cushion module 210, the measured pressure value to the control unit 600 By transmitting, the control unit 600 is provid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head or shoulder of the sleeping person to determine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따라서, 상기 압력센서(211)는 상기 제어부(600)가 취침자의 자세를 변동시켜 코골이를 중지시키기 위해 취침자의 자세를 변동시키고자 할 경우 현재 취침자의 자세 및 머리나 어깨의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의 적절한 경도 변화값을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pressure sensor 211 determines the current sleeper's posture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or shoulder when the control unit 600 attempts to change the sleeper's posture to stop snoring by changing the sleeper's posture. It is possible to derive an appropriate hardness change value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이에, 상기 압력센서(211)는 상기 제어부(600)와 연결되어 측정된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pressure sensor 21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600 to transmit and receive measured information.

상기 MRE쿠션부재(212)는 상기 압력센서(211) 하단에 구비되고, 인가되거나 단절되는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도록 구비된다.The MRE cushion member 212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sensor 211, and is provided so that the hardness is varied by an applied or disconnected magnetic force.

구체적으로, 상기 MRE쿠션부재(212)는 상기 압력센서(211)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인가되거나, 차단되는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자기유변탄성체)를 포함하는 쿠션부재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RE cushion member 212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essure sensor 211 and appli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or the hardness is varied by a magnetic force that is blocked (MRE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It may be a cushion member including a rheological elastic body).

상기 MRE(자기유변탄성체)는 자성유체와 탄성중합체가 혼합된 재료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자성유체(magnetic fluid)란, 오일 등의 용매에 자성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일종의 서스펜션 액체로, 외부 자기장이 없으면 액체의 역할을 하고,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자성입자가 일렬로 배열해서 고체의 성질을 가지는 물질이다. The MRE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can be viewed as a material in which a magnetic fluid and an elastomer are mixed. Here, a magnetic fluid is a type of suspension liquid in which magnetic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solvent such as oil, and an external magnetic field If there is no, it acts as a liquid, and when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magnetic particles are arranged in a row, and it is a substance that has a solid property.

따라서, 점도의 관점에서 보면 자기장이 강해짐에 따라 점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항복강도의 관점에서 보면 외부 자기장이 없을 때에는 0에 불과하던 항복강도가 외부 자기장이 가해짐에 따라 항복강도가 발생한다.Therefore, from the point of view of viscosity, the viscosity tends to increase as the magnetic field becomes stronger,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yield strength, the yield strength, which was only zero in the absence of an external magnetic field, occurs as an external magnetic field is applied. .

또한, 탄성중합체(elastomer)는 외력(外力)을 가해서 잡아당기면 몇 배나 늘어나고,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의 길이로 돌아가는 성질을 가지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In addition, an elastomer is a polymer compound that has a property that it increases several times when pulled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nd returns to its original length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대표적인 예로는 탄성고무라고 하는 가황(加黃)고무가 있고, 이외에도 화학적 결합이 없는 탄성중합체인 탄성섬유(스판덱스)가 있다.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vulcanized rubber called elastic rubber, and elastic fibers (spandex), which are elastomers without chemical bonding, are also known as elastic rubber.

이 경우 힘을 가하면 늘어나는 것은, 긴 선상(線狀) 고분자 사이가 미끄러져서 전체적으로 길어지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the reason why it is stretched when a force is applied is because the long linear polymer slips and becomes long as a whole.

그러나 거기에는 다리(가황고무에서는 예를 들면 -S-S-라는 황이다)가 걸쳐져 있기 때문에, 가하던 힘을 멈추면 변형되었던 다리의 관계가 분자운동에 의해서 원래의 안정된 상태로 돌아오게 된다.However, since there are legs (in vulcanized rubber, for example, -S-S- is sulfur), when the applied force is stopped, the relationship of the deformed legs returns to its original stable state by molecular motion.

따라서, 상기 MRE쿠션부재(212)는 자력이 인가되면 자력 인가 전보다 경도가 높아져 단단해지고, 자력이 단절되거나 자력이 감소하면 자력 단절 또는 감소 전보다 경도가 낮아져 부드러워지는 특성을 갖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he MRE cushion member 212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hardness is increased and becomes harder than before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and when the magnetic force is cut off or the magnetic force is decreased, the hardness is lowered than before the magnetic force is disconnected or decreased, so that the MRE cushion member 212 has a characteristic of being soft.

이에, 상기 MRE쿠션부재(212)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취침 자세에 따른 상기 베개(1)의 경도 즉, 쿠션감이나 베개높이가 상기 조절노브(500)의 수동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MRE cushion member 212 allows the hardness of the pillow 1, that is, the cushion feel or the height of the pillow 1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sleeping posture, to be controlled by manual operation of the adjustment knob 500.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1)는 인가되는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개개인의 취향에 맞춰 상기 베개(1)의 쿠션감 또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smart pillow 1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MRE) whose hardness is variable by an applied magnetic force, so that the pillow 1 according to the user's individual taste To be able to adjust the cushioning or height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MRE쿠션부재(212)는 상기 코골이감지부(400)에서 취침자의 코골이가 감지되면, 취침자의 코골이를 중지시키기 위해 취침자의 자세나 머리 또는 어깨의 위치를 가변시키고자 경도가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noring of the sleeping person is detect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the MRE cushion member 212 has a hardness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sleeping person or the position of the head or shoulder in order to stop the snoring of the sleeping person. Can be controlled.

구체적으로, 상기 베개(1)는 코골이가 감지될 경우, 취침자의 자세를 변동시키고자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압력센서(211)에서 감지된 센서값을 전송받아 취침자의 현재의 위치 또는 자세를 감지하고, 감지된 위치나 자세를 변동시키기 위한 각각의 쿠션모듈(210)의 경도값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Specifically, when snoring is detected, the pillow 1 receives the sensor value detected by the pressure sensor 211 by the control unit 600 to change the sleeper's posture, and the current position or posture of the sleeper It detects and enables to determine the hardness value of each cushion module 210 for changing the sensed position or posture.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이렇게 결정된 각 쿠션모듈(210)의 경도 변화를 위해 상기 자력제공부(300)에서 각 모듈로 인가되는 자력을 제어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magnetic force applied from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to each module in order to change the hardness of each cushion module 210 determined in this way.

따라서, 상기 MRE쿠션부재(212)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경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여 경도 가변에 따른 취침자의 자세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MRE cushion member 212 allows the hardness of the MRE cushion member 212 to be varied as necessary, so that the sleeping person's posture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hardness.

또한, 자력이 인가되어 경도가 높아져 하드해진 MRE쿠션부재(212)는 상대적으로 단면이 높게 나타나고, 자력이 단절되어 경도가 낮아져 소프트해진 MRE쿠션부재(212)는 취침자의 체중으로 상대적으로 단면이 낮아지게 된다.In addition, the MRE cushion member 212, which is hardened by increasing the hardness due to the application of magnetic force, has a relatively high cross-section, and the MRE cushion member 212, which is softened due to the decrease in hardness due to the magnetic force cut off, has a relatively low cross-section by the weight of the sleeping person. You lose.

따라서, 코골이 중임에도 취침 중이어서 자세 변동이 어려운 취침자의 경우, 관찰자에 의한 자세 변위가 없더라도 능동적인 상기 MRE쿠션부재(212)의 경도 변화 만으로도 취침자의 자세가 변동되어 코골이가 정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sleeper who is difficult to change his posture because he is sleeping even if he is snoring, even if there is no posture displacement by the observer, even if there is no posture displacement by the observer, the sleeper's posture is changed only by the hardness change of the MRE cushion member 212 so that snoring can be stopped. There is an effect.

또한, 상기 MRE쿠션부재(212)는 상단에 압력을 감지하는 상기 압력센서(211)가 배치되고, 하단에 상기 MRE쿠션부재(212) 각각에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제공부(300)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RE cushion member 212, the pressure sensor 211 for sensing pressure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and adjacent 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for providing magnetic force to each of the MRE cushion members 212 at the lower end. Can be placed.

상기 자력제공부(300)는 상기 쿠션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쿠션부(200)에 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cushion unit 200 and is provided to provide a magnetic force to the cushion unit 200.

구체적으로, 상기 자력제공부(300)는 상기 MRE쿠션부재(212)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MRE쿠션부재(212) 각각에 자력을 제공하거나 단절시키도록 구비된다.Specificall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is connected to each of the MRE cushion members 212 and provided to provide or disconnect magnetic force to each of the MRE cushion members 212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600.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력제공부(300)는 상기 제어부(600)가 사용자에 의한 쿠션부(200) 경도 조절 또는 취침자의 코골이에 따른 자세 변동이 필요한 때 상기 MRE쿠션부재(212)의 경도를 가변시키기 위하여 해당 MRE쿠션부재(212)로 인가되는 자력을 차단하거나 차단되어 있던 자력을 인가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is the hardness of the MRE cushion member 212 when the control unit 600 is required to adjust the hardness of the cushion unit 200 by the user or change the posture according to the sleeper's snoring. In order to change the MRE,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MRE cushion member 212 is blocked or the blocked magnetic force is applied.

한편, 상기 자력제공부(300)는 전자석(electromagnet)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석은 전류가 흐르면 자기화되고, 전류를 끊으면 자기화되지 않은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는 자석으로서, 전류의 공급과 상관없이 항상 자기를 유지하는 영구자석과 구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may be an electromagnet, and the electromagnet is magnetized when a current flows, and is a magnet that returns to its original unmagnetized state when the current flows, regardless of the supply of current. It is distinguished from permanent magnets that always retain magnetism.

또한, 상기 전자석은 도선에 전류가 흐르면 도선 주위에 동심원 모양의 자기장이 형성된다. In addition, in the electromagnet, when a current flows through the conducting wire, a concentric circular magnetic field is formed around the conducting wire.

또한, 상기 전자석은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영구자석으로는 얻을 수 없는 매우 강력한 자기장을 얻을 수 있는 강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ectromagnet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a very strong magnetic field that cannot be obtained with a permanent magnet by using this principle.

또한, 전자석의 철심은 어느 정도 자기화가 진행되면 전류를 더 높여도 더 이상 자기화가 진행되지 않으며 이를 자기포화 상태라고 한다.In addition, when the magnetization of the electromagnet progresses to a certain extent, even if the current is increased further, the magnetization does not proceed anymore, and this is called a self-saturation state.

또한, 상기 전자석은 전류를 인위적으로 조정하여 비교적 쉽게 자기장의 세기를 바꿀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magnet makes it possible to change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relatively easily by artificially adjusting the current.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코골이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noring detection unit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골이감지부(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본체(100)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골이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ow body 100 as shown in FIG. 4, and is provided to detect the snoring of the user.

또한, 상기 코골이감지부(400)는 코골이에 의한 상기 베개본체(100)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410) 및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감지센서(42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noring detecting unit 400 may be composed of any one of a vibration sensor 410 for detecting vibration of the pillow body 100 due to snoring and an acoustic sensor 420 for detecting a snoring sound.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코골이감지부(400)는 취침자의 코골이에 따른 진동이나 소리를 감지하는 진동센서(410) 또는 음향감지센서(42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개본체(100) 외부 일측에 구비됨이 보다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is composed of either a vibration sensor 410 or an acoustic detection sensor 420 that detects vibration or sound due to snoring of a sleeping person, and the pillow body 100 is external It is more preferable to be provided on one side.

또한, 상기 코골이감지부(400)는 상기 진동센서(410) 및 음향감지센서(420)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may be composed of the vibration sensor 410 and the sound detection sensor 420.

또한, 상기 코골이감지부(400)는 감지된 코골이 정보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600)가 취침자의 코골이를 중지시키 위한 다음 단계의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transmits the sensed snor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0 so that the control unit 600 can perform the next operation for stopping snoring of a sleeping person.

상기 코골이감지부(4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본체(100) 외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베개본체(100) 좌우측 중 어느 하나 또는 상기 베개본체(100) 좌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utside the pillow body 100, as shown, but is not shown, but an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ow body 100 or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illow body 100 Each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음향감지센서(420)는 상기 베개본체(100)에 내장되는 마이크로 폰이 사용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여 신호 케이블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the acoustic sensor 420 is configured such that a microphone embedded in the pillow body 100 senses a user's snoring sound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600 through a signal cabl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조절노브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Figure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adjustment knob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노브(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개본체(100)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쿠션부(200)의 경도를 단계별로 수동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djustment knob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on one side outside the pillow body 100 as shown in FIG. 5, and can be configured to manually manipulate the hardness of the cushion part 200 desired by the user step by step. have.

구체적으로, 상기 조절노브(500)는 사용자가 상기 쿠션부(200)의 경도 즉, 쿠션감을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한 상태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동조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작버튼으로, 상기 베개본체(100) 외부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justment knob 500 is an operation button provided to enable manual operation so that the user can adjust and use the hardness of the cushion part 200, that is, the cushion feeling in a state suitable for the user's request, and the pillow body (100) It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outside.

따라서, 상기 조절노브(500)는 상기 베개(1)의 경도조절작동을 정지 또는 실행시키는 온/오프버튼(510) 및 상기 쿠션부(200)의 경도 즉, 쿠션부(200)의 쿠션감을 단계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경도조절버튼(52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justment knob 500 is a step-by-step on/off button 510 for stopping or executing the hardness adjustment operation of the pillow 1 and the hardness of the cushion part 200, that is, the cushioning feeling of the cushion part 200 It may include a hardness control button 520 that can be selected as.

또한, 온/오프버튼(510)은 자성체의 자력에 의해 오프되는 리드스위치(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 때 상기 온/오프버튼(510) 내부에는 상기 리드스위치(미도시)를 온-오프시키는 마그네틱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온/오프버튼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력에 의한 압력을 전달받아 온-오프 될 수 있는 기계식 스위치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n/off button 510 may be composed of a reed switch (not shown) that is turned off by a magnetic force of a magnetic material, and at this time, the reed switch (not shown) is turned on inside the on/off button 510. -Although a magnetic to turn off may be provided, the on/off but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 mechanical switch capable of being turned on and off by receiving pressure from an external force.

이 때, 상기 경도조절버튼(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고(Hard), 중(Medium), 저(Soft)로 상기 쿠션부(200)의 경도 단계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rdness control button 5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set the hardness level of the cushion unit 200 to high (Hard), medium (Medium), and low (Soft) as shown. have.

또한, 상기 경도조절버튼(520)의 경도 단계는 상기한 3가지 단계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단계로 적용 실시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ardness step of the hardness control button 520 is not limited to the three steps described above, but may be applied in various steps.

또한, 상기 경도조절버튼(5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눌러서 설정되는 버튼식일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이얼을 돌려 설정되는 다이얼식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hardness control button 520 may be a button type set by pressing as shown, and although not shown, may be a dial type set by turning a dial.

또한, 상기 온/오프버튼(510) 및 경도조절버튼(520)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작동되는 음성인식작동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on/off button 510 and the hardness control button 520 may be a voice recognition operation operated by recognizing a user's voice.

이에, 상기 조절노브(500)는 입력된 작동 신호를 상기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상기 제어부(600)가 상기 쿠션모듈(210)의 경도를 결정하여 상기 자력제공부(300)에서 자력이 인가되거나 단절될 수 있도록 한다.Thus, the control knob 500 transmits the input opera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0, the control unit 600 determines the hardness of the cushion module 210, and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from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Or be disconnected.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쿠션부(200), 자력제공부(300) 및 코골이감지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The control unit 600 is provid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ushion unit 200,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and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코골이감지부(40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to determine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압력센서(211)에서 감지된 접촉 하중 압력값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머리나 어깨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contact load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211,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user's head or shoulders, and determines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조절노브(500)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쿠션모듈(210)의 경도를 결정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adjustment knob 500 to determine the hardness of the cushion module 210.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코골이감지부(400)에서 감지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취침자의 코골이를 멈추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센서(211)에서 측정된 상기 베개(1)의 하중 압력값을 전송받아 현재 취침자의 자세 및 머리나 어깨의 위치를 도출하고, 현재의 취침자의 자세나 위치를 변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의 경도 변화값을 도출해내도록 한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measured value sens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and the load of the pillow 1 measured by the pressure sensor 211 to stop the snoring of the sleeping person. The pressure value is received to derive the current sleeper's posture and the position of the head or shoulder, and the hardness change value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required to change the current sleeper's posture or position is derived.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쿠션모듈(210)의 경도 변화가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자력제공부(300)에서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에 제공되는 자력을 제어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magnetic force provided to each of the cushion modules 210 by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so that the hardness change of the cushion module 210 as described above can be executed.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조절노브(500)를 통해 사용자가 수동조작으로 설정한 상기 쿠션모듈(210)의 경도값에 따른 경도 변화가 실행될 수 있도록 상기 자력제공부(300)에서 상기 쿠션모듈(210) 각각에 제공되는 자력을 제어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600 is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300 so that the change of the hardness according to the hardness value of the cushion module 210 set by the user by manual operation through the adjustment knob 500 can be executed. The magnetic force provided to each of the modules 210 is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코골이감지부(400)에서 취침자의 코골이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쿠션모듈(210)의 경도변화가 정지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does not detect the snoring of the sleeping person, the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hardness change of the cushion module 210 to be stopp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1)는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골이감지부(400)에서 코골이가 감지되면 상기 쿠션모듈(210)의 경도 변화를 실행하여 취침자의 자세 및 위치를 변동시켜 코골이가 중지될 수 있도록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취침자의 자세 및 위치의 변동에 의해 코골이가 중지됨이 감지되면 상기 쿠션모듈(210)의 경도 변화를 중지시켜 취침자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the smart pillow 1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the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ecutes the hardness change of the cushion module 210 when snoring is detected in the snoring detection unit 400 as shown in FIG. Active and continuous control is possible to stop snoring by changing the sleeping person's posture and position,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snoring is stopped due to the change of the sleeping person's posture and position, the hardness change of the cushion module 210 is stopped. So that the sleeping person can sleep comfortably.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에 의하면,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를 구비하여 취침자의 코골이 감지시 상기 MRE쿠션부재의 경도를 가변시켜 취침자의 머리나 어깨의 위치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하여 코골이 증상이 중지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RE cushion member whose hardness is variable by magnetic force is provided to change the hardness of the MRE cushion member when the sleeper's snoring is detected, so that the sleeping person's head or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can be changed so that the snoring symptoms can be stopped.

또한, 코골이감지부를 구비하여 취침자의 수면을 관찰하는 관찰자 없이도 취침자의 코골이 증상을 감지하여 즉각적이고 능동적으로 코골이 방지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snoring detection unit is provided to detect the snoring symptoms of a sleeping person without an observer observing the sleeping person's sleep, so that the snoring preven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and actively.

또한, 상기 MRE쿠션부재의 경도 가변에 따른 취침자의 머리나 어깨의 위치 변동을 수행함으로써, 취침자의 신체 구조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한 수면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leeping person's head or shoulder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hardness of the MRE cushion member, it is possible to induce a comfortable sleep without burdening the body structure of the sleeping person.

또한, 조절노브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취침전 베개의 쿠션감이나 높이를 사용자의 취향이나 요구에 맞게 수동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베개를 사용하는 개개인의 신체, 수면 습관 또는 취향에 맞춰 상기 베개의 쿠션감이나 높이등을 조절하여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n adjustment knob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manually adjust the cushioning feeling or height of the pillow before going to be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or request, so that the cushion of the pillow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s body, sleep habit, or taste using the pillow. Adjust the feeling or height so that it can be applied.

또한, 상기 베개의 쿠션부를 복수개의 모듈로 구성하고, 각각의 쿠션모듈이 자력제공부와 연결되어 독립적으로 자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베개의 형상을 다양하게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여 코골이 취침자의 자세 변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cushion part of the pillow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odules, and each cush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to independently receive magnetic force, so that the shape of the pillow can be varied in various ways so that snoring sleeps. This makes it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ruler.

또한, 상기 베개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코골이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취침자의 자세 변동에 필요한 상기 쿠션모듈 각각의 경도 값을 도출하여 코골이 취침자의 자세 변동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illow is provided to receive the measured value measur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and derive the hardness value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required for the change of the sleeper's pos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change of the snoring sleeper's posture. So that it can be done.

또한, 코골이를 중지시키기 위한 취침자의 자세변동을 위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자력의 제공만으로도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경도 변화가 구현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by using an MRE cushion member having a variable hardness for change of the sleeping person's posture to stop snoring, the hardness change can be realized simply and efficiently by only providing magnetic force.

아울러,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생산 및 유지 비용이 적게 드는 경제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conomical effect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 manufacturing is easy, and production and maintenance costs are low.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abov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present inventors appropriat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describe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nd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y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appl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a variety of equivalents and variations that may exist.

1 :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100 : 베개본체 200 : 쿠션부
210 : 쿠션모듈 211 : 압력센서
212 : MRE쿠션부재 300 : 자력제공부
400 : 코골이감지부 410 : 진동센서
420 : 음향감지센서 500 : 조절노브
510 : 온/오프버튼 520 : 경도조절버튼
600 : 제어부
1: Smart pillow for snoring prevention using MRE
100: pillow body 200: cushion part
210: cushion module 211: pressure sensor
212: MRE cushion member 300: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400: snoring detection unit 410: vibration sensor
420: acoustic sensor 500: adjustment knob
510: on/off button 520: hardness control button
600: control unit

Claims (9)

사용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베개본체;
상기 베개본체 내부에 배치되어,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와 연결되고, 상기 쿠션부에 자력을 제공하는 자력제공부;
상기 베개본체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코골이를 감지하는 코골이감지부; 및
상기 쿠션부, 자력제공부 및 코골이감지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A pillow body that supports the user's head;
A cushion part disposed inside the pillow body and having a variable hardness by magnetic force;
A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connected to the cushion unit and providing magnetic force to the cushion unit;
A snoring detection uni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pillow body to detect a snoring of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ushion unit,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and the snoring detection unit;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복수개의 쿠션모듈;로 구성되고,
상기 쿠션모듈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자력제공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cushion part,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ushion modules;
The cushion module is a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dependently connected to the magnetic force providing uni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모듈은,
접촉하는 하중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및
상기 압력센서 하단에 구비되고, 인가되거나 단절되는 자력에 의해 경도가 가변되는 MRE쿠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2,
The cushion module,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a contact load pressure; And
An MRE cushion member provided below the pressure sensor and having a variable hardness by an applied or disconnected magnetic force;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MRE쿠션부재는,
자력이 인가되면 자력 인가 전보다 경도가 높아져 단단해지고,
자력이 단절되거나 감소하면 자력 단절 또는 감소 전보다 경도가 낮아져 부드러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3,
The MRE cushion member,
When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the hardness becomes higher than before the magnetic force is applied and it becomes hard,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magnetic force is cut or decreased, the hardness is lowered and softened than before the magnetic force is cut or decreas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골이감지부는,
코골이에 의한 상기 베개본체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및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1,
The snoring detection unit,
A vibration sensor that senses the vibration of the pillow body due to snoring; And
Acoustic sensor for detecting a snoring sound;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ny one.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본체 외부 일측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상기 쿠션부의 경도를 단계별로 수동 조작하도록 구성되는 조절노브;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2,
An adjustment knob provided on an outer side of the pillow body and configured to manually manipulate the hardness of the cushion part desired by the user step by step;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코골이감지부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전송받아, 상기 쿠션모듈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measured values measured by the snoring detection unit and determining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센서에서 감지된 접촉 하중 압력값을 전송받아, 사용자의 머리나 어깨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쿠션모듈 각각의 경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by receiving the contact load pressure valu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user's head or shoulders, and determining the hardness of each of the cushion modul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절노브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쿠션모듈의 경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RE를 이용한 코골이 방지용 스마트 베개.
The method of claim 6,
The control unit,
Smart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ing MRE, characterized in that receiving the control knob signal to determine the hardness of the cushion module.
KR1020190119996A 2019-09-27 2019-09-27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KR1022545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96A KR102254510B1 (en) 2019-09-27 2019-09-27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996A KR102254510B1 (en) 2019-09-27 2019-09-27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398A KR20210037398A (en) 2021-04-06
KR102254510B1 true KR102254510B1 (en) 2021-05-21

Family

ID=7547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996A KR102254510B1 (en) 2019-09-27 2019-09-27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5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572A (en)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뉴튼스마트 sleep quality analysis type smart pill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327B1 (en) * 2021-04-26 2023-02-0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Cervical pill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97947U (en) 2016-06-03 2017-05-31 厦门兔顽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illow that head position is detected using hall sensing device
KR101866169B1 (en)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Personalized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833Y1 (en) 2002-02-16 2002-06-21 권혁명 A pillow for a snorer
KR20160125840A (en) * 2015-04-22 2016-11-01 이재성 Smart pillow based on snoring sound
KR200485725Y1 (en) * 2016-02-22 2018-02-19 김혜경 Pillow including sleep inducing speaker with replaceable filling member
KR102052099B1 (en) * 2017-05-30 2019-12-04 주식회사 불스원 Apparatus and method for Height adjustment of pillow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197947U (en) 2016-06-03 2017-05-31 厦门兔顽智能科技有限公司 A kind of pillow that head position is detected using hall sensing device
KR101866169B1 (en) 2017-12-11 2018-06-11 (주)웰크론 Personalized system for preventing sno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0572A (en) 2021-12-15 2023-06-22 주식회사 뉴튼스마트 sleep quality analysis type smart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7398A (en) 202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510B1 (en) A smart pillow to prevent snoring using magnetic rheological elastomer
US10278512B2 (en) Bed with automatically adjustable properties
KR101762116B1 (en) Pillow for preventing snoring
US20150265075A1 (en) Snore suppression pillow
US8245341B2 (en) Symmetrical pressure relief foam mattress
US2011029184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 physiological alarm
CN104886975A (en) Mattress fitting human body curves and height adjusting method of mattress
US20100313359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utomatic pillow adjustment
US20140047644A1 (en) Anti-Snore Bed Having Inflatable Members
KR102073476B1 (en) sleep apnea improvement and snoring prevention pillow
CN105231717A (en) Mattress capable of intelligently adjusting hardness
CN111493584A (en) Bed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bed surface based on sleeping posture
CN108523526A (en) A kind of double mattress of the soft or hard adjustable intelligent of anti-mutual interference and its control method
US7562409B2 (en) Adjusting structure for adjusting the rise and fall of a mattress by air spring
JP3129197U (en) Health mattress structure
JP4879864B2 (en) Mattress, pillow, bed mat and cushion
KR101260501B1 (en) Sleeping posture supporting instrument
CN208388594U (en) It is embedded in the bedding of sensor
CN204654361U (en) A kind of mattress adapting to body curve
JP2012196454A (en) Pillow
CN110916422A (en) Active intervention guiding lateral-lying snore stopping mattress system
CN220495245U (en) Massage pillow capable of automatically adjusting sleep
KR102653864B1 (en) Height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ing system of the pillow and system
TWM577697U (en) Improved structure of pillow
KR102157177B1 (en) Smart sleep assistant system comprising cervical support functional pillow having dual core performing near-field communication for accessing iot network according to user's various body types to balance the head and ne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