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764B1 -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764B1
KR102253764B1 KR1020190086778A KR20190086778A KR102253764B1 KR 102253764 B1 KR102253764 B1 KR 102253764B1 KR 1020190086778 A KR1020190086778 A KR 1020190086778A KR 20190086778 A KR20190086778 A KR 20190086778A KR 102253764 B1 KR102253764 B1 KR 102253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unit
transfer
lifting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6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9779A (ko
Inventor
신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인텍
Priority to KR1020190086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764B1/ko
Publication of KR20210009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9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 전지 내부의 셀 스택(cell stack) 제조에 전극(음극 및 양극)을 캠 구동방식으로 적층하게 이송하여 전극의 적층 이송을 연속해서 효율적으로 구동 제어함을 제공하도록, 전방에 이송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패널을 지지한 채 좌우 X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X축이송부와; 상기 X축이송부의 이송패널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하부에 전극을 흡착 가능하며 상하 수직 직선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승강픽업유닛과, 상기 이송패널 상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유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승강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이송패널 상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구동축과, 상기 회전구동축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축 상에 설치하며 상기 승강픽업유닛에 연결 접촉상태로 회전하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승강연결캠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Electrode Transfer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ell Stack of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차 전지 내부의 셀 스택(cell stack) 제조에 전극(음극 및 양극)을 캠 구동방식으로 적층하게 이송하여 전극의 적층 이송을 연속해서 효율적으로 구동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학전지는 양극판과 음극판의 전극 한 쌍과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는 전지로서, 상기 전극과 전해질을 구성하는 물질에 따라 저장할 수 있는 에너지의 양이 달라진다. 이러한, 화학전지는 충전반응이 매우 느려서 1회 방전 용도로만 쓰이는 1차 전지와, 반복적인 충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분하여 사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 1차 전지와는 달리 충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는 산업 전반에 걸친 다양한 기술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일예로 와이어리스 모바일 기기와 같은 첨단전자기기의 에너지원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솔린 및 디젤 내연기관의 대기오염 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등의 에너지원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2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2차 전지 등이 있으며, 기본적으로 2차 전지는 양극판, 분리막, 음극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전해질 용액에 담가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을 제작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소형 2차 전지의 경우 음극판 및 양극판을 분리막 상에 배치하고 이를 말아서(winding) 젤리-롤(jelly-roll) 형태로 제작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되며, 보다 많은 전기 용량을 가지는 중대형 2차 전지의 경우에는 음극판 및 양극판, 분리막을 적절한 순서로 적층(stacking)하여 제작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이때,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을 적층식으로 제작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 중 Z-스택킹(Z-stacking) 방식에서는 분리막이 지그재그로 접힌 형태를 이루며 그 사이에 음극판 및 양극판이 교번되어 삽입된 형태로 적층되도록 한다.
이처럼,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을 제작함에는 여러 제조 단계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전극(음극 및 양극)을 연속해서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전극 이송장치를 구비토록 설비한다.
상기와 같은 전극 이송장치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3469호(1997.03.29.)에는 사각형상의 단자필름이 적재되는 박스형 단자필름 본체부의 저부 중앙으로 삽통되는 가이드바와 연설된 원판 상의 지지플레이트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바는 스프링과 탄설되어 단자필름을 성적으로 지지하며, 상기 단자필름 본체부 일측에는 상부 및 하부지그로 되는 이송장치의 수직방향 양측으로 승하강 실린더와 연설되는 수직이송바가 하향 입설되고, 상기 상부지그의 수평방향 양측에는 전후이송실린더와 연설된 전후이송바가 설치되어 상하부지그를 일체로 전후 이송 하도록하며, 상기 수직이송바 저부에는 각각 흡착판이 착설되어 단자필름을 흡착시도록 구성됨에 따라 전극 제조의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전지의 양극/음극단자 필름 적재 및 이송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962897호(2010.06.01.)에는 판상의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에 복수의 분리판과 MEA가 각각 적층되어 공급 가능한 공급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 양단부에 각각 이격 설치되어 공급부의 후방을 향해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제1 이송부 및 상기 제1 이송부의 상측에 상기 제1 이송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분리판과 MEA를 각각 이동시켜 적층되도록 배치된 제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이송부에는, 양단이 한 쌍의 제1 이송부 상측에 직교되게 안착되는 이송바와, 상기 이송바의 후면에 서로 이격 설치되어 상기 분리판과 MEA를 각각 흡착 가능한 제1,2 흡착부가 구비하며, 상기 제1,2 흡착부는 상기 이송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 부재, 일측이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 기립되게 연동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면을 향해 수평 배치된 지지 브라켓, 상기 지지 브라켓의 타측 저부에 지지설치되어 상기 분리판과 MEA를 흡착시키는 에어 챔버부, 상기 지지 브라켓의 일측에 지지설치되어 상기 에어 챔버부를 승, 하강시키는 실린더부 및 상기 에어 챔버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외부의 공기를 상기 에어 챔버부 내부에 공급하는 에어 튜브를 각각 구비하게 구성됨에 따라 적층 불량에 의한 오조립을 방지하고 작업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전지 스택 조립장치용 이송기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중 공개특허공보 제13469호 및 등록특허공보 제962897호는 양자 모두 실린더 및 모터 구동에 의한 상하 직선왕복운동의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동 특성상 하강, 하강상태에서의 부가작업, 상승을 연속동작으로 수행 가능한 모션을 만들려면 가속/감속, 정지, 가속/감속의 구동형태로 제어해야만 하여 전극의 이송 및 적재 과정에서의 작업지연으로 스택 제조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고, 이는 제품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이송장치 중 복수의 이송유닛마다 상하 승강 구동을 위한 실린더 및 모터의 구동원이 개별 장착되기 때문에 장치의 설비 구축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유지관리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KR 공개특허공보 제10-1997-0013469호(1997.03.29.) KR 등록특허공보 제10-0962897호(2010.06.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셀 스택 제조를 위한 전극의 이송 승강 구조가 캠 구동방식을 이루게 구성하므로 전극의 이송/적재 과정에서의 구동 안정성과 함께 작업의 고속화를 구현할 수 있는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셀 스택의 스택킹 공정을 향한 단계별 전극 이송의 승강 구동원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장치의 설비 구축비용과 함께 유지관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는 전방에 이송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패널을 지지한 채 좌우 X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X축이송부와; 상기 X축이송부의 이송패널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하부에 전극을 흡착 가능하며 상하 수직 직선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승강픽업유닛과, 상기 이송패널 상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유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승강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이송패널 상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구동축과, 상기 회전구동축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축 상에 설치하며 상기 승강픽업유닛에 연결 접촉상태로 회전하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승강연결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픽업유닛은, 하부에 전극을 픽업 가능하게 흡착력을 생성하는 흡착수단과,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바로 연결하며 상하 위치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구동유닛의 승강연결캠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하게 회전하는 승강구름롤러를 구성한다.
상기 승강픽업유닛에는, 상기 승강블록의 가이드바 상에 구비하고 상기 승강블록의 수직이동을 완충하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흡착수단과 상기 승강블록의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흡착수단에 가해지는 접촉력을 완충하는 제2완충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픽업유닛은 상기 X축이송부의 이송패널 상에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여 X축 방향을 향한 상기 승강이송부의 이동이 일괄 구동하게 구성하고,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구동유닛은 복수의 상기 승강픽업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구동축 상에 복수 개의 승강연결캠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구동유닛의 승강연결캠은, 전극에 대한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구동유형별로 상기 승강픽업유닛과의 접촉영역을 구분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에 의하면 전극의 픽업 및 공급 이송을 위한 승강 구동을 캠 구동방식으로 제어하므로, 작업의 불필요한 지연현상을 방지하면서 스택의 제조공정에 대한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승강픽업유닛에 대한 X축 방향으로의 일괄 구동은 물론 하나의 구동원으로 복수 개의 승강 수직 구동을 일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설비 자체적인 구동원을 최소화하여 설비 구축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하고, 일괄적인 구동으로 구동 안정성 및 정확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는 승강 픽업 구동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복수의 구동모션을 생성하게 구성하므로, 전극 이송의 기능성과 함께 적용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승강연결캠의 다른 실시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예시도.
도 5의 (a),(b)는 도 4의 승강연결캠에 대한 영역별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전방에 이송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패널을 지지한 채 좌우 X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X축이송부와; 상기 X축이송부의 이송패널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하부에 전극을 흡착 가능하며 상하 수직 직선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승강픽업유닛과, 상기 이송패널 상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유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승강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이송패널 상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구동축과, 상기 회전구동축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축 상에 설치하며 상기 승강픽업유닛에 연결 접촉상태로 회전하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승강연결캠을 포함하는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축이송부(100)와, 승강이송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X축이송부(100)는 전극의 작업 경로를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게 상기 승강이송부(200)를 반복해서 연속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X축이송부(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택 적층스테이지(10)를 기준으로 상기 승강이송부(200)가 좌우 작업 경로로 왕복 이송하게 구성한다.
상기 X축이송부(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50)의 상단에 고정 설치하고, 좌우 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 X축이송부(100)는 전방에 이송패널(110)을 구비한다.
상기 X축이송부(100)의 이송패널(110)은 상기 승강이송부(200)의 구성들을 장착 지지할 수 있게 형성하고, X축 이송경로를 따라 주행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X축이송부(100)는 상기 이송패널(110)을 지지한 채 좌우 X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동한다. 즉, 상기 X축이송부(100)는 X축 방향을 향한 상기 이송패널(110)의 직선 이송경로를 형성하고, 내측에 상기 이송패널(110)이 연결 결합하여 기계적 또는 전기적인 구동력을 인가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승강이송부(200)는 상기 X축이송부(100)의 이송패널(110)에 대응하여 유동가능하게 위치하고, 각 공정별 스테이지에 대응하여 전극의 픽업 및 공급을 위한 승강 구동을 도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승강이송부(200)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 유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승강픽업유닛(210)과,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의 상하 유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유닛(220)을 구성한다.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은 하부에 전극을 흡착 가능하며 상하 수직 직선방향으로 유동 가능한 구조로서, 흡착수단(211)과, 승강블록(213), 승강구름롤러(215)를 구성한다.
상기 흡착수단(211)은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의 하부에서 전극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하면에 전극을 픽업 가능하게 흡착력을 생성한다.
상기 흡착수단(211)의 하면에는 다공 형태의 흡입공(도면에 미도시)을 형성하며, 상기 흡입공에 진공 흡착력이 생성되게 구동한다.
상기 승강블록(213)은 상기 흡착수단(211)을 지지한 채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에 의하여 승강 이동 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승강블록(213)은 복수 개가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로서, 상기 X축이송부(100)의 이송패널(110) 상에 고정 설치된 지지블록(217)을 기준으로 상하 간격을 두고 구성한다. 즉, 상기 승강블록(213)은 상기 지지블록(217)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승강블록(213a)과, 상기 지지블록(217)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착수단(211)을 지지하는 하부승강블록(213b)을 구성한다.
상기 승강블록(213)에는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바(214)를 구비하여 상기 지지블록(217) 상에 수직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속 안내되고,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승강블록(213)을 일체로 연결한다.
상기 승강블록(213)은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의 구동 동력이 전달되어 상하 위치이동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승강구름롤러(215)는 상기 승강블록(213)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승강구름롤러(215)는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의 구성 중 하기 승강연결캠(225)에 대응하여 항시 구름 접촉하게 위치한다. 즉,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의 승강블록(213)은 상기 승강구름롤러(215)를 향한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의 누름 접촉 여부에 따라 상하 승강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에는 상하 유동에 따른 완충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제1완충수단(218) 및 제2완충수단(219)을 구성한다.
상기 제1완충수단(218)은 상기 승강블록(213)의 가이드바(214) 상에 구비하되, 상기 지지블록(217)과 상기 상부승강블록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블록(213)의 수직이동을 완충하게 구성한다. 즉, 상기 승강블록(213)의 하강 동작을 완충하되 상승 동작시 상기 제1완충수단(218)의 복원력에 의해 빠른 복귀를 도모한다.
상기 제2완충수단(219)은 상기 흡착수단(211)과 상기 승강블록(213)의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승강블록(213)의 하강 동작시 상기 흡착수단(211)에 가해지는 접촉력을 완충한다.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X축이송부(100)의 이송패널(110) 상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의 상하 유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구동축(221) 및 승강구동모터(223), 승강연결캠(225)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회전구동축(221)은 상기 이송패널(110) 상에 설치하되 상기 승강구동모터(223)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이송패널(110)의 상측에 축 고정상태로 위치하여 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상기 승강구동모터(223)는 상기 이송패널(110)에 설치하되 상기 회전구동축(221)의 일단에 대응하여 연결 결합하고, 상기 회전구동축(221)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도록 구동한다.
상기 승강연결캠(225)은 상기 회전구동축(221) 상에 편심 상태로 결합하여 설치한다.
상기 승강연결캠(225)은 상기 승강구동모터(223)에 의한 상기 회전구동축(221)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승강연결캠(225)은 상기 승강구동모터(223)로부터 가해지는 상기 회전구동축(221)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승강연결캠(225)의 외주연은 상기 승강픽업유닛(210) 즉 상기 승강구름롤러(215)에 면 접촉상태로 회전하게 연결 구성한다. 즉,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은 상기 승강구름롤러(215)와 접촉상태인 상기 승강연결캠(225)의 회전 경로 중 상기 회전구동축(221)을 기준으로 편심된 상기 승강연결캠(225)의 경로에서 누르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이 하강하게 구동한다.
상기 승강이송부(200)는 구동원인 하나의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으로부터 복수 개(도 1에는 4개, 도 2 및 도 3에는 2개)의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을 일괄 구동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 승강이송부(200)에서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은 상기 X축이송부(100)의 이송패널(110) 상에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고,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은 하나의 상기 승강구동모터(223) 및 상기 회전구동축(221)을 구성하면서 복수의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구동축(221) 상에 복수 개의 승강연결캠(225)을 구비토록 구성하므로, 상기 X축이송부(100)의 구동으로 X축 방향을 향한 상기 승강이송부(200) 즉 상기 승강픽업유닛(210) 및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의 이동이 일괄 구동하게 구성함과 동시에 복수 개의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이 하나의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의 동력 전달에 의해 일괄 구동하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승강이송부(200) 중 상기 승강구동유닛(220)의 승강연결캠(225)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이송부(200)의 동작 구현을 복수 개로 구분하여 모션 구현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승강연결캠(225)은 상기 승강픽업유닛(210)과의 접촉영역을 구분된 형상으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연결캠(225)의 접촉영역을 "A영역"과 "B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승강연결캠(225)의 전체 외주 반경 중 "A영역"이 "B영역"보다 외주 길이가 길게 형성하므로, 도 5에서처럼 상기 승강연결캠(225)과의 접촉 구동에 따른 상기 승강픽업유닛(210)의 유동이 "A영역"에서 하강 상태로 머무는 시간이 "B영역"에서 하강 상태로 머무는 시간보다 길게 모션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강이송부(200)의 동작 구현을 복수 개로 구분하여 모션 구현하게 되면, 승강픽업유닛(210)의 구동 유형별 즉 전극 매거진 위치에서 전극 얼라인 공정을 거쳐 전극 스택킹 공정으로 전극을 이송할 때 각 구동 유형에서 구분된 모션 구현을 도모하여 전극 이송의 기능성과 함께 적용영역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에 의하면 전극의 픽업 및 공급 이송을 위한 승강 구동을 캠 구동방식으로 제어하므로, 작업의 불필요한 지연현상을 방지하면서 스택의 제조공정에 대한 택트 타임(tact time)을 단축하고, 이에 따른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승강픽업유닛에 대한 X축 방향으로의 일괄 구동은 물론 하나의 구동원으로 복수 개의 승강 수직 구동을 일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설비 자체적인 구동원을 최소화하여 설비 구축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하고, 일괄적인 구동으로 구동 안정성 및 정확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X축이송부 110 : 이송패널
200 : 승강이송부 210 : 승강픽업유닛
211 : 흡착수단 213 : 승강블록
213a : 상부승강블록 213b : 하부승강블록
214 : 가이드바 215 : 승강구름롤러
217 : 지지블록 218 : 제1완충수단
219 : 제2완충수단 220 : 승강구동유닛
221 : 회전구동축 223 : 승강구동모터
225 : 승강연결캠

Claims (5)

  1. 전방에 이송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패널을 지지한 채 좌우 X축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구동하는 X축이송부와; 상기 X축이송부의 이송패널에 대응하여 위치하되 하부에 전극을 흡착 가능하며 상하 수직 직선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승강픽업유닛과, 상기 이송패널 상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유동을 위한 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승강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구동유닛은, 상기 이송패널 상에 X축 방향으로 연장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는 회전구동축과, 상기 회전구동축에 회전동력을 인가하는 승강구동모터와, 상기 회전구동축 상에 설치하며 상기 승강픽업유닛에 연결 접촉상태로 회전하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상하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승강연결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픽업유닛은, 하부에 전극을 픽업 가능하게 흡착력을 생성하는 흡착수단과, 상하 간격을 두고 배치하되 상하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바로 연결하며 상하 위치이동 가능하게 구성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의 상부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구동유닛의 승강연결캠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하게 회전하는 승강구름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블록은, 상기 X축이송부의 이송패널 상에 고정 설치된 지지블록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승강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흡착수단을 지지하는 하부승강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픽업유닛에는, 상기 승강블록의 가이드바 상에 구비하고 상기 승강블록의 수직이동을 완충하는 제1완충수단과, 상기 흡착수단과 상기 승강블록의 사이에 구비하고 상기 흡착수단에 가해지는 접촉력을 완충하는 제2완충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픽업유닛은 상기 X축이송부의 이송패널 상에 복수 개를 구비토록 구성하여 X축 방향을 향한 상기 승강이송부의 이동이 일괄 구동하게 구성하고, 상기 승강이송부의 승강구동유닛은 복수의 상기 승강픽업유닛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구동축 상에 복수 개의 승강연결캠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유닛의 승강연결캠은, 전극에 대한 상기 승강픽업유닛의 구동유형별로 상기 승강픽업유닛과의 접촉영역을 구분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KR1020190086778A 2019-07-18 2019-07-18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KR102253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78A KR102253764B1 (ko) 2019-07-18 2019-07-18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6778A KR102253764B1 (ko) 2019-07-18 2019-07-18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79A KR20210009779A (ko) 2021-01-27
KR102253764B1 true KR102253764B1 (ko) 2021-05-20

Family

ID=74238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6778A KR102253764B1 (ko) 2019-07-18 2019-07-18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76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447B1 (ko) 2021-11-19 2022-05-31 (주)와이티에스 이차전지의 셀 스태킹 장치
KR102404676B1 (ko) 2021-10-15 2022-06-02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KR102404668B1 (ko) 2021-10-15 2022-06-02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KR20230000191A (ko)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의 전극 분리 및 이송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1006A (ko) * 2022-03-04 2023-09-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흡착 장치
KR20230167995A (ko) *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송 장치
KR20240048668A (ko) 2022-10-07 2024-04-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극의 이매 취출 방지 장치
KR102566877B1 (ko) * 2022-10-12 2023-08-14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적층형 레이다 모듈 분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366B1 (ko) * 2013-07-30 2014-12-12 세광테크 주식회사 인라인 자동 pcb 본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3469A (ko) 1995-08-31 1997-03-29 배순훈 건전지의 양극/음극단자 필름 적재및 이송장치
KR100962897B1 (ko) 2007-12-13 2010-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 조립장치용 이송기
KR101536340B1 (ko) * 2013-12-30 2015-07-13 주식회사 아테코 전자부품 픽업장치
KR101692902B1 (ko) * 2014-04-14 2017-01-04 주식회사 노바 연료전지 스택 자동 적층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2366B1 (ko) * 2013-07-30 2014-12-12 세광테크 주식회사 인라인 자동 pcb 본딩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91A (ko) 2021-06-24 2023-01-02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이차전지의 전극 분리 및 이송용 픽앤플레이스 장치
KR102404676B1 (ko) 2021-10-15 2022-06-02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KR102404668B1 (ko) 2021-10-15 2022-06-02 주식회사 우원기술 이차전지용 전극판 로딩장치
KR102403447B1 (ko) 2021-11-19 2022-05-31 (주)와이티에스 이차전지의 셀 스태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9779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764B1 (ko) 2차 전지 셀 스택 제조용 전극 이송장치
CN112490479B (zh) 二次电池的电池单元堆制造系统及方法
KR101959082B1 (ko) 이차전지의 셀 스택 고속 제조장치
KR101730469B1 (ko) 이차전지의 고속 셀 스택 제조장치
CN214672717U (zh) 用于二次电池的电芯堆叠的制造设备
KR102664979B1 (ko) 이차전지의 고속 셀 스택 제조장치
KR101140447B1 (ko) 이차전지용 스택 제조장치
KR102043902B1 (ko) 이차전지용 전극적층장치
KR20210040620A (ko) 배터리해체시스템
KR20200139983A (ko) 2차 전지용 연속식 고속 셀 스택 전극 클램프장치
KR101806236B1 (ko) 이차전지용 전극판의 자동 공급장치
CN108461797B (zh) 二次电池的高速电池堆制造装置
KR20220022197A (ko) 이차 전지용 셀 스택 제조 장치
KR102192818B1 (ko)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적층 장치 및 방법
KR102320868B1 (ko) 이차전지용 셀 스택 제조장치
KR102336427B1 (ko) 전극조립체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586960B1 (ko) 이차전지 전극조립체의 단면 전극 스택용 분리막 핸들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전극조립체 제조 방법
KR102667775B1 (ko) 배터리 적재장치
KR102165376B1 (ko) 2차 전지용 연속식 고속 셀 스택 적층장치
CN220856656U (zh) 一种长条电芯极耳折弯预焊传输线
KR102628641B1 (ko) 이차전지 셀 제조 시스템의 전극 이송장치
KR102574569B1 (ko) 구동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의 극판 적층 장치
KR20230135936A (ko) 이차전지의 스윙형 셀 스택 제조장치
EP4354572A1 (en) Transfer device
CN115744291A (zh) 新能源电池分选入支架集成式移载机构及其移载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