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77B1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77B1
KR102253677B1 KR1020140151893A KR20140151893A KR102253677B1 KR 102253677 B1 KR102253677 B1 KR 102253677B1 KR 1020140151893 A KR1020140151893 A KR 1020140151893A KR 20140151893 A KR20140151893 A KR 20140151893A KR 102253677 B1 KR102253677 B1 KR 102253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frequency
luminance
display panel
flick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18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3377A (en
Inventor
이희은
서웅진
장준우
박태용
김태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1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77B1/en
Publication of KR20160053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35Non-linear optics
    • G02F1/353Frequency conversion, i.e. wherein a light beam is generated with frequency componen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incident light bea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07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for displaying colours or for displaying grey scales with a specific pixel layout, e.g.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47Flicker reduction other than flicker reduction circuits used for single beam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패널,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구동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제어부는 표시패널의 휘도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부의 구동 주파수를 가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The driver drives the display panel. The control unit varie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driving unit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Description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driving method thereof.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FPD)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소형화뿐만 아니라 대형화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As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s, the market for display devices, which is a connection medium between users and information, is growing. Accordingly, a flat panel display (FPD)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a plasma display panel (PDP), etc. ) Is on the rise. Among them,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pable of realizing high resolution and capable of miniaturization as well as enlargement is widely used.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 중 일부 예컨대, 액정표시장치나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서브 픽셀을 포함하는 표시패널과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구동부에는 표시패널에 스캔신호(또는 게이트신호)를 공급하는 스캔 구동부 및 표시패널에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부 등이 포함된다.Some of the above-described display devices,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e a display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and a driver driving the display panel. The driver includes a scan driver that supplies a scan signal (or a gate signal) to the display panel, and a data driver that supplies a data signal to the display panel.

위와 같은 표시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에 스캔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display device, when a scan signal and a data signal are supplied to sub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selected subpixel emits light, thereby displaying an image.

표시장치는 텔레비전, 모바일장치(예: 스마트폰), 웨어러블 표시장치(예: 스마트워치), 차량용 표시장치(예: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된다. 표시장치가 사용자 편의용 표시장치(모바일장치, 웨어러블 표시장치, 네비게이션 등)로 구현된 경우, 이는 장시간 사용될 수 있도록 소비전력을 낮출 필요가 있다.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in various products such as a television, a mobile device (eg, a smart phone), a wearable display device (eg, a smart watch), and a vehicle display device (eg, a navigation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for user convenience (a mobile device, a wearable display device, a navigation device, etc.), it is necessary to lower power consumption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휘도 변화에 따른 플리커 인지 정도가 달라지는 인지적 특징을 고려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고 플리커 이슈(Flicker issue)를 제거하면서 소비전력을 절감함과 동시에 표시품질을 향상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background technology i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and display at the same time while varying the driving frequency and removing the flicker issue in consideration of the cognitive feature that the degree of flicker percep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luminance is changed. It is to improve the quality.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표시패널, 구동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한다. 구동부는 표시패널을 구동한다. 제어부는 표시패널의 휘도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부의 구동 주파수를 가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display panel, a driving unit, and a control unit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display panel displays an image. The driver drives the display panel. The control unit varie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driving unit in response to the change in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제어부는 표시패널의 휘도가 높아지면 구동 주파수를 높이고 표시패널의 휘도가 낮아지면 구동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increase the driving frequency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ncreases, and may decrease the driving frequency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decreases.

제어부는 표시패널의 변화되는 휘도 구간에 대응하여 구동 주파수를 단계별로 가변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vary the driving frequency step by step in response to the changing luminance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제어부는 표시패널의 변화되는 휘도 구간과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를 기준으로 구동 주파수를 단계별로 가변하되, 구동 주파수는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높을 수 있다.The control unit varies the driving frequency step by step based o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prepared based on the changed luminance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but the driving frequency may correspond to or be higher tha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have.

구동 주파수와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 간의 차이는 10Hz 이내 일 수 있다.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frequency and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may be within 10 Hz.

외부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조도를 판별할 수 있는 조도신호를 생성하는 조도 감지부와, 사람의 휘도 인지 특성을 기반으로 마련된 참조데이터값을 갖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참조데이터값과 조도신호를 기반으로 표시패널의 휘도를 조절함과 더불어 가변되는 휘도 구간에 대응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변할 수 있다.Further comprising an illuminance sensing unit that detects external light and converts the detected light into an electric signal to generate an illuminance signal capable of determining illuminance, and a memory unit having a reference data value provided based on a person's luminance perception characteristic, Th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based on the reference data value and the illuminance signal, and may change the driving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variable luminance section.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표시패널에 대한 휘도 조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표시패널의 휘도가 조절되면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includes driving a front panel; Determining whether luminance adjustment of the display panel occurs; And changing a driving frequency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adjusted.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에서, 표시패널의 휘도가 높아지면 구동 주파수를 높이고 표시패널의 휘도가 낮아지면 구동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In the step of varying the driving frequency,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increased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increased, and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decreased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decreased.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에서, 표시패널의 변화되는 휘도 구간에 대응하여 구동 주파수를 단계별로 가변할 수 있다.In the step of varying the driving frequency,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changed step by step corresponding to the changed luminance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구동 주파수는 표시패널의 변화되는 휘도 구간과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를 기준으로 구동 주파수를 단계별로 가변하되, 구동 주파수는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높을 수 있다.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step by step based o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prepared based on the changed luminance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but the driving frequency corresponds to or higher tha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I can.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휘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휘도 변화에 따른 플리커 인지 정도가 달라지는 인지적 특징을 고려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므로 플리커 이슈(Flicker issue)를 제거하면서 표시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주파수의 가변으로 표시패널뿐만 아니라 프레임 버퍼 및 관련 버스와 연관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differentially applying a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a display panel.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ed in consideration of a cognitive feature in which the degree of flicker perception varies according to a change in luminanc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display quality while removing a flicker issu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ssociated with a frame buffer and a related bus as well as a display panel by varying a driving frequency.

도 1은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구성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표시장치를 이용한 실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도 7의 휘도별 구동 주파수 설정 방법을 구체화한 흐름도.
도 9는 휘도에 따른 플리커 인지-한계 구동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도 9의 구동 주파수에 따른 표시패널의 소비전력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
도 11은 조도 감지부를 미사용할 때의 구동 주파수 가변 예시도.
도 12는 조도 감지부를 사용할 때의 구동 주파수 가변 예시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 sub-pixel shown in FIG. 1.
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perimental example using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5 and 6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driving frequency for each luminance of FIG. 7.
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icker perception-limit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10 is a simulation result graph showing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of FIG. 9.
11 is an exemplary view of variable driving frequency 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is not used.
12 is an exemplary view of variable driving frequency when using an illuminance sens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의 구성 예시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isplay device, and FIG. 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pixel shown in FIG. 1.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는 영상 제어부(180), 표시패널(100), 타이밍 제어부(110), 데이터 구동부(120), 스캔 구동부(130, 140), 메모리부(160) 및 조도 감지부(170)가 포함된다.As shown in FIG. 1,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n image controller 180, a display panel 100, a timing controller 110, a data driver 120, a scan driver 130 and 140, a memory 160, and an illuminance. A sensing unit 170 is included.

표시패널(100)에는 상호 교차하는 데이터 라인들(DL) 및 스캔 라인들(GL)에 구분되어 연결된 서브 픽셀들이 포함된다. 표시패널(100)은 서브 픽셀들이 형성되는 표시영역(100A)과 표시영역(100A)의 외측으로 각종 신호라인들이나 패드 등이 형성되는 비표시영역(100B)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패널, 유기발광표시패널, 전기영동표시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데이터 구동부(120) 및 스캔 구동부(130, 140)에 의해 구동된다.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subpixels divided and connected to the data lines DL and the scan lines GL intersecting each other.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display area 100A in which sub-pixels are formed and a non-display area 100B in which various signal lines or pads are formed outside the display area 100A.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an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or the like. The display panel 100 is driven by the data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s 130 and 14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SP)에는 스캔 라인(G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스위칭 트랜지스터(SW)를 통해 공급된 스캔신호에 대응하여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동작하는 픽셀회로(PC)가 포함된다. 서브 픽셀(SP)은 픽셀회로(PC)의 구성에 따라 액정소자를 포함하는 액정표시패널이나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표시패널 등으로 구현된다.As shown in FIG. 2, one sub-pixel SP is supplied in response to a scan signal supplied through a switching transistor SW and a switching transistor SW connected to the scan line GL1 and the data line DL1. A pixel circuit PC that operates in response to the data signal DATA is included. The sub-pixel SP is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device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nclud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pixel circuit PC.

표시패널(100)이 액정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구현된다. 표시패널(100)이 유기발광표시패널로 구성된 경우, 이는 전면발광(Top-Emission) 방식, 배면발광(Bottom-Emission) 방식 또는 양면발광(Dual-Emission) 방식으로 구현된다.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compos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t is a TN (Twisted Nematic) mode, VA (Vertical Alignment) mode, IPS (In Plane Switching) mode, FFS (Fringe Field Switching) mode, or ECB (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mode. It is implemented in mode. When the display panel 100 is composed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 it is implemented in a top-emission method, a bottom-emission method, or a dual-emission method.

영상 제어부(180)는 데이터신호를 영상처리하고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신호 등과 함께 출력한다. 영상 제어부(180)는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클럭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을 타이밍 제어부(110)에 공급한다. 영상 제어부(180)는 시스템 회로기판(인쇄회로기판 등)에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 IC) 형태로 형성된다.The image controller 180 processes the data signal and outputs it together with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The image controller 180 supplie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data enable signal, a clock signal, and a data signal to the timing controller 110. The image controller 18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ircuit (IC) on a system circuit board (such as a printed circuit board).

타이밍 제어부(110)는 시스템 회로기판에 연결된 LVDS 또는 TMDS 인터페이스 수신회로 등을 통해 영상 제어부(180)로부터 수직 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신호 등의 타이밍신호를 입력받는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입력된 타이밍신호를 기준으로 데이터 구동부(120)와 스캔 구동부(130, 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제어신호들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제어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The timing controller 110 receives timing signals such as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from the image controller 180 through an LVDS or TMDS interface receiving circuit connected to the system circuit board. The timing control unit 110 generates timing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ing unit 120 and the scan driving units 130 and 140 based on the input timing signal. The timing controller 11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C on the control circuit board.

데이터 구동부(120)는 다수의 소스 드라이브 IC들을 포함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데이터신호(DATA)와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공급받는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소스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디지털신호에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표시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DL)을 통해 공급한다. 소스 드라이브 IC들은 COG(Chip On Glass) 공정이나 TAB(Tape Automated Bonding) 공정에 의해 표시패널(100)의 데이터 라인들(DL)에 접속된다. 데이터 구동부(120)는 표시패널이나 소스 회로기판에 IC 형태로 형성된다.The data driver 120 includes a plurality of source drive ICs. The source drive ICs receive a data signal DATA and a source timing control signal DDC from the timing controller 110. The source drive ICs convert the data signal DATA from a digital signal to an analog signal in response to the source timing control signal DDC, and supply it through the data lines DL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source drive ICs are connected to the data lines DL of the display panel 100 by a chip on glass (COG) process or a tape automated bonding (TAB) process. The data driver 120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C on a display panel or a source circuit board.

스캔 구동부(130, 140)는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IC 형태로 형성된 레벨 시프터부(130)와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이하 GIP) 방식으로 형성 시프트 레지스터부(140)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The scan driving units 130 and 140 are formed to include a level shifter unit 130 formed in an IC form or an IC form and a shift register unit 140 formed in a gate in panel (GIP) method.

레벨 시프터부(130)는 표시패널(100)에 접속되는 스캔 회로기판에 형성된다. 레벨 시프터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10)로부터 공급되는 온 및 오프 클록신호 등을 기반으로 게이트 클록신호와 더불어 전원을 생성하고 생성된 게이트 클록신호와 전원의 레벨을 시프팅한 후 시프트 레지스터부(140)에 공급한다. 레벨 시프터부(130)는 전원을 생성 및 출력하는 전원공급부 내에 포함되기도 한다.The level shifter unit 130 is formed on a scan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00. The level shifter 130 generates power along with the gate clock signal based on the on and off clock signals supplied from the timing control unit 110, and shifts the generated gate clock signal and the power level, and then shifts the register unit. Supply to (140). The level shifter 130 may be included in a power supply that generates and outputs power.

시프트 레지스터부(140)는 표시패널(100)의 비표시영역(100B)에 박막 트랜지스터 형태로 형성된다. 시프트 레지스터부(140)는 레벨 시프터부(13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클록신호 및 전원에 대응하여 스캔신호를 시프트하고 출력하는 스테이지들로 구성된다. 시프트 레지스터부(140)에 포함된 스테이지들은 출력단들을 통해 스캔신호들을 순차적으로 출력한다.The shift register unit 140 is formed in the form of a thin film transistor in the non-display area 100B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shift register unit 140 includes stages for shifting and outputting a scan signal in response to a gate clock signal and power supplied from the level shifter 130. Stages included in the shift register unit 140 sequentially output scan signals through output terminals.

위와 같이 레벨 시프터부(130)와 시프트 레지스터부(140)가 구분되어 형성된 내장형 스캔 구동부는 시프트 레지스터부(140)를 산화물이나 아몰포스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등으로 구현된다.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는 전류의 이동 특성이 우수하여 아몰포스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회로의 크기를 축소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몰포스 실리콘 박막 트랜지스터는 시간이 지나도 문턱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대비 스트레스 바이어스에 따른 문턱전압의 회복 특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evel shifter unit 130 and the shift register unit 14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the built-in scan driver is implemented with the shift register unit 140 as an oxide or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Oxide thin film transistors have an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duce the size of a circuit compared to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s because they have excellent current transfer characteristics. Since the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can maintain a constant threshold voltage over time, the amorphous silicon thin film transistor has a good advantage of recovering the threshold voltage according to the stress bias compared to the oxide thin film transistor.

메모리부(160)는 사람의 휘도 인지 특성을 기반으로 마련된 참조데이터값을 갖는다. 메모리부(160)는 내부에 저장된 참조데이터값(BRC)을 타이밍 제어부(110)에 제공한다.The memory unit 160 has a reference data value prepared based on a person's luminance perception characteristic. The memory unit 160 provides the reference data value BRC stored therein to the timing controller 110.

조도 감지부(170)는 주변광(ambient light)을 감지(또는 받아들여)하고 감지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조도(illumiance)를 판별할 수 있는 조도신호(LIS)를 생성한다. 조도 감지부(170)는 조도신호(LIS)를 타이밍 제어부(110)에 공급한다. 조도 감지부(170)는 광센서, 카메라, 조도센서(Cds) 등과 같이 외부광을 감지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센서부 그리고 아날로그 형태의 전기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전기신호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illuminance detector 170 detects (or receives) ambient light and converts the detected light into an electric signal to generate an illuminance signal LIS capable of determining illuminance. The illuminance sensor 170 supplies an illuminance signal LIS to the timing controller 110.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is a sensor unit capable of detecting external light such as an optical sensor, a camera, and an illuminance sensor (Cds) and converting it into an electric signal, and a sensor unit capable of converting an analog type electric signal into a digital type electric signal. It may be composed of a conversion unit or the like.

앞서 설명된 표시장치는 텔레비전, 모바일장치(예: 스마트폰), 웨어러블 표시장치(예: 스마트워치), 차량용 표시장치(예: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다양한 제품으로 구현된다. 표시장치가 사용자 편의용 표시장치(모바일장치, 웨어러블 표시장치, 네비게이션 등)로 구현된 경우, 이는 장시간 사용될 수 있도록 소비전력을 낮출 필요가 있다.The display device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s a variety of products such as a television, a mobile device (eg, a smart phone), a wearable display device (eg, a smart watch), and a vehicle display device (eg, a navigation device). When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for user convenience (a mobile device, a wearable display device, a navigation device, etc.), it is necessary to lower power consumption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이하, 표시장치가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것을 일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구체화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of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mbodi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표시장치를 이용한 실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3 and 4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n experimental example using a conventional display device, and FIGS. 5 and 6 are diagrams for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마트폰을 두 가지의 환경 조건하에서 구동을 해 보았다. 표시패널의 휘도를 도 3의 우측과 같이 100 cd/㎡ 환경 조건과 좌측과 같이 400 cd/㎡ 환경 조건 하에 구동을 해 본 결과, 종래의 스마트폰은 표시패널의 휘도가 변경되더라도 동일하게 60 Hz의 주파수로 구동되었다.As shown in FIGS. 3 and 4, a conventional smart phone was driven under two environmental conditions. As a result of driving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under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of 100 cd/m2 as shown on the right side of FIG. 3 and 400 cd/m2 as shown on the left, the conventional smart phone is equal to 60 Hz even if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is changed. Was driven at a frequency of.

사람의 플리커(Flicker) 인지 특성(인지 능력 기준)에 따르면, 100 cd/㎡ 환경 조건과 같이 낮은 휘도에서 플리커를 인지하는 능력이 둔감한 것으로 보고된다. 반면, 400 cd/㎡ 환경 조건과 같이 높은 휘도에서 플리커를 인지하는 능력이 민감한 것으로 보고된다.According to a person's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perception ability criterion), it is reported that the ability to perceive flicker at low luminance such as 100 cd/m2 environmental conditions is insensitive. On the other hand, it is reported that the ability to perceive flicker at high luminance such as 400 cd/m2 environmental conditions is sensitive.

이렇듯, 종래의 장치는 휘도가 높아질수록 사람이 플리커를 인지하는 한계 주파수가 낮아짐에도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을 반영하지 않고(휘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높은 구동 주파수 (대부분 60 Hz)를 사용함에 따라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 밖에, 종래의 장치는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구동 주파수를 낮출 경우 플리커(Flicker)가 수반되는 등의 문제로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As such, conventional devices use the same high driving frequency (mostly 60 Hz) without reflecting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of a person (regardless of changes in luminance) even though the threshold frequency at which a person perceives flicker decreases as the luminance increases. Accordingly,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evice, when the driving frequency is lower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display quality is deteriorated due to problems such as flickering.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휘도 가변시 구동 주파수가 상이하게 가변 되도록 스마트폰을 구현하였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a smart phone such that a driving frequency varies differently when the luminance is varied based on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도 실험예와 같이 스마트폰을 두 가지의 환경 조건하에서 구동을 해 보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표시패널의 휘도가 변경되면 이에 대응하여 구동 주파수 또한 변경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종래의 기술 대비 소비전력이 절감됨이 확인되었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experimental example, the smartphone was driven under two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changed, the driving frequency is also changed in response theret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을 고려하되, 휘도를 구간으로 나누고 표시패널의 휘도가 특정 범위에 속하면 그에 따른 구동 주파수를 따르도록 구현하였다.Furthermore,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consider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of a person, but divide the luminance into sections and follow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ly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falls within a specific rang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기에 표현된 ISO 13406-2 플리커 에너지(Flicker energy) 수식을 기반으로 한다. 그리고, Epred < Eobs 가 되면 플리커가 인지되는 것으로 판별한다.Specifically,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ISO 13406-2 Flicker energy equation expressed below. And, when E pred <E obs , it is determined that flicker is recognized.

앞서 설명된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1
로 표현된다.Previously described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1
It is expressed as

위의 수식에서, Epred 는 플리커 기준값을 의미하고, a, b는 시야 각도(Visual angle)에 따른 상수이고, f는 표시패널의 구동 주파수이고, e는 자연상수를 의미한다.In the above equation, E pred means a flicker reference value, a and b are constants according to the visual angle, f is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display panel, and e is a natural constant.

ISO 13406-2 플리커 에너지 수식에 따르면 a, b는 각도 변화에 따라 다음의 표 1과 같은 값을 갖는다.According to the ISO 13406-2 flicker energy formula, a and b have values as shown in Table 1 below according to the angle change.

[표 1][Table 1]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2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2

앞서 설명된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3
로 표현된다.Previously described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3
It is expressed as

위의 수식에서, Eobs 는 사람의 인지 특성을 의미하고, L은 휘도(luminance)를 의미하고, A는 사람의 눈의 크기(눈에 들어오는 빛의 양에 대응)를 의미하는 ㄱ것으로서 A = b0 Lb1, C0 = L (b0 = 12.45184, b1 = -0.16032)로 표현될 수 있고, C0는 암실에서의 휘도(빛의 양)를 의미하고, AMP는 표시패널에서 나타나는 플리커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4
로 표현될 수 있다. FFT(Fast Fourier Transform)는 주파수를 시간으로 변경했을 때의 진폭값을 의미한다.In the above equation, E obs means human cognitive characteristics, L means luminance, and A means the size of the human eye (corresponding to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eye), and A = b 0 L b1 , C 0 = L (b 0 = 12.45184, b 1 = -0.16032) can be expressed, C 0 means the luminance (amount of light) in the dark room, and AMP is the flicker that appears on the display panel. As to mean the ratio of,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4
It can be expressed as FFT (Fast Fourier Transform) refers to the amplitude value when the frequency is changed to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위의 수식을 기반으로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다음의 표 2와 같은 조건으로 조절하도록 구현한다. 다만, 표 2는 ISO 13406-2 Annex. B에 따라 모바일 프로토타입(mobile prototype)을 적용하여 도출된 결과이다.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to adjust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based on the above equation under the conditions shown in Table 2 below. However, Table 2 shows ISO 13406-2 Annex. This is the result derived by applying a mobile prototype according to B.

[표 2][Table 2]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5
Figure 112014106023663-pat00005

위의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구동 주파수는 표시패널의 변화되는 휘도 구간과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를 기준으로 가변된다.As can be seen from Table 2 above,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ed based on the changeable luminance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prepared based on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구동 주파수는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설정되거나 이보다 1Hz ~ 10Hz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휘도 구간이 50 cd/㎡ 일 경우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는 32.4Hz이다. 그러므로, 휘도 구간이 50 cd/㎡ 일 경우 구동 주파수는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는 32.4Hz로 가변될 수 있다.The driving frequency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or may be set higher than this by 1Hz to 10Hz. For example, when the luminance section is 50 cd/m2,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is 32.4Hz. Therefore, when the luminance section is 50 cd/m2,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changed to 32.4Hz corresponding to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하지만, 사람에 따라 플리커 인지 한계를 느끼는 구동 주파수는 다를 수 있다. 이 때문에, 구동 주파수는 사람에 따른 플리커 인지 한계 특성의 차이를 더욱 고려하기 위해 구동 주파수 + 마진값(구동 주파수와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 간의 차이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표 2에서 32.4Hz가 아닌 35Hz를 구동 주파수로 예시한 이유는 마진값 2.6Hz가 포함되었기 때문이다.However, depending on the person, the driving frequency at which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is felt may be different. For this reason,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set to have a driving frequency + a margin value (a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driving frequency and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in order to further consider the difference i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person. That is, in Table 2, the reason why 35Hz is not 32.4Hz as the driving frequency is because a margin value of 2.6Hz is included.

위의 설명을 통해 알 수 있듯이, 구동 주파수는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가변될 수 있으나 이보다 높은 주파수로 가변될수록 플리커 인지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varied to correspond to the flicker recognition limit driving frequency, but the higher the frequency is, the lower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the flicker.

이 때문에, 구동 주파수는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보다 1Hz ~ 10Hz 높게 설정될 수 있다. 소비전력 절감 측면에서는 구동 주파수를 낮추는 것이 좋으므로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가까운 1Hz 정도를 마진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set higher tha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by 1 Hz to 10 Hz.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reduction, it is better to lower the driving frequency, so about 1 Hz, which is close to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can be set as a margin value.

이와 달리, 플리커 개선 측면에서는 구동 주파수를 높이는 것이 좋으므로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보다 높은 2Hz 이상, 5Hz 이상, 8Hz 이상 등을 마진값을 설정할 수 있다.On the contrary, in terms of flicker improvement, since it is good to increase the driving frequency, a margin value of 2 Hz or more, 5 Hz or more, or 8 Hz or more, which is higher tha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can be set.

휘도 구간에 대응하여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까지 구동 주파수를 낮출수록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으나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보다 구동 주파수를 높일수록 플리커 개선 효과가 좋은바, 이들 간에는 트레이드 오프 관계가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소비전력과 플리커 개선 두 가지 특성을 모두 고려하기 위해서는 구동 주파수를 1Hz 이상으로 가변하되 10Hz를 넘지 않도록 가변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In response to the luminance section, the lower the driving frequency up to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the mor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ut the higher the driving frequency tha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the better the flicker improvement effect. I can. Therefore, in order to consider both power consumption and flicker improvement characteristics, it will be effective to vary the driving frequency to 1 Hz or more but not to exceed 10 Hz.

위의 수식 및 실험에 따르면, 사람은 휘도가 높아질수록 플리커에 둔감한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된 인지 특성을 기준으로 휘도 변화에 따라 구동 주파수가 변경되도록 다음과 같이 장치를 구현한다.According to the above equations and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humans tend to be insensitive to flicker as the luminance increas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s the apparatus as follows so that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luminance based on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described above.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타이밍 제어부(110)에 의해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동 주파수가 상이하게 가변 된다. 특히, 타이밍 제어부(110)는 휘도 가변 시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에 대응하여 구동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구현된다.1, 5, and 6, 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ly changed based on the flicker recogni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by the timing control unit 110. In particular, the timing control unit 110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ed in response to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when the luminance is varied.

이를 위해, 타이밍 제어부(110)는 메모리부(160)로부터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에 대응하여 구동 주파수가 가변되도록 마련된 참조데이터값(BRC)을 전달받고, 조도 감지부(170)로부터 조도신호(LIS)를 전달받는다. 그리고 타이밍 제어부(110)는 참조데이터값(BRC)과 조도신호(LIS)를 기반으로 표시패널(100)의 휘도를 조절함과 더불어 가변되는 휘도 구간에 대응하여 데이터 구동부(120) 및 스캔 구동부(130, 140)의 구동 주파수를 가변한다.To this end, the timing control unit 110 receives the reference data value BRC provided so that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able in response to the flicker recogni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from the memory unit 160, and the illuminance signal ( LIS) is delivered. In addition, the timing controller 110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nel 100 based on the reference data value BRC and the illuminance signal LIS, and controls the data driver 120 and the scan driver in response to a variable brightness section. 130, 140) to vary the driving frequency.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8은 도 7의 휘도별 구동 주파수 설정 방법을 구체화한 흐름도이며, 도 9는 휘도에 따른 플리커 인지-한계 구동 주파수 간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은 도 9의 구동 주파수에 따른 표시패널의 소비전력을 나타낸 시뮬레이션 결과 그래프이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riv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driving frequency for each luminance of FIG. 7, and FIG. 9 is a flicker recognition-limit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luminance. And FIG. 10 is a graph showing a simulation result showing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of FIG. 9.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패널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장치의 구동이 이루어진 후 사용자 및 조도 센서(조도 감지부) 등에 의한 휘도 조절이 발생하면(S110), 샘플별 표준 휘도 산출(S120)이 진행된다. 휘도 조절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일어나거나 조도 센서가 있는 경우,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일어난다.As shown in FIG. 7, after the device is driven to display an image on the display panel, when luminance is adjusted by the user and the illuminance sensor (illumination sensor) (S110), the standard luminance calculation for each sample (S120) is performed. It goes on. The luminance adjustment occurs manually by the user or, if there is an illuminance sensor, automatically by the sensor.

샘플별 표준 휘도 산출이 진행되는 이유는 표시패널마다 구현할 수 있는 휘도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샘플별 표준 휘도 산출 단계(S120)에서는 최대(Max) 휘도 대비 퍼센트(%)를 통해 휘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 reason that the standard luminance for each sample is calculated is tha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luminance that can be implemented for each display panel. In the standard luminance calculation step S120 for each sample, the luminance may be calculated through a percentage (%) of the maximum luminance.

예컨대, 제1시료에 해당하는 표시패널의 최대 휘도가 "max 400 cd/㎡ = 100%" 라면, "50% 휘도 setting = 200 cd/㎡"와 같이 50%에 해당하는 휘도로 표준 휘도가 산출된다. 그러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샘플별 표준 휘도 산출 단계(S120)는 공정 수율 등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For example, if the maximum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ample is "max 400 cd/㎡ = 100%", the standard luminance is calculated as 50% luminance, such as "50% luminance setting = 200 cd/㎡". do.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tandard luminance calculation step S120 for each sample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rocess yield.

위와 같이 사용자 및 조도 센서(조도 감지부) 등에 의해 표시패널에 대한 휘도 조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휘도가 조절된 것으로 판단되면, 휘도별 구동 주파수 설정(S130)이 진행된다. 휘도별 구동 주파수 설정 단계(S130)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매번 정해진 수식을 기반으로 구동 주파수가 설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luminance adjustment of the display panel occurs by a user and an illuminance sensor (illumination senso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ightness has been adjusted, a driving frequency for each luminance is set (S130). The driving frequency setting operation S130 for each luminance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driving frequency is set based on an equation that is determined each time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또한, 휘도별 구동 주파수 설정 단계(S130)는 메모리부에 저장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이하 LUT로 약기함)을 기반으로 구동 주파수가 설정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휘도가 높아지면 구동 주파수를 높이게 되고, 휘도가 낮아지면 구동 주파수를 낮추게 된다.In addition, the driving frequency setting step S130 for each luminance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driving frequency is set based on a look-up table (hereinafter abbreviated as LUT) stored in the memory unit. When the luminance in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increases, and when the luminance de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decreases.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 구간 설정(S131)이 이루어진다. 휘도 구간 설정 단계(S131)에 의해 몇 cd/㎡ 간격으로 휘도가 설정될 것인지 결정된다. 휘도 구간 설정(S131)이 이루어진 후, 휘도 변화에 따른 플리커 에너지(Flicker Energy) 분석(S132)이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8, a luminance section is set (S131). In the luminance section setting step (S131), it is determined by how many cd/m2 intervals the luminance is to be set. After the luminance section setting (S131) is made, a flicker energy analysis (S132) according to the luminance change is performed.

플리커 에너지 분석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Epred < Eobs 가 되면 플리커가 인지되는 것으로 판별한다. 플리커 에너지 분석(S132)이 이루어진 후, 휘도별 구동 주파수 도출(S133)이 이루어진다. 휘도별 구동 주파수는 표 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플리커 인지와 한계 구동 주파수보다 높은 구동 주파수로 적용된다.Flicker energy analysis determines that flicker is recognized when E pred <E ob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fter flicker energy analysis (S132) is performed, driving frequencies for each luminance are derived (S133). As can be seen from Table 2, the driving frequency for each luminance is applied as a driving frequency higher than the flicker recognition and limit driving frequency.

예컨대, 휘도 구간이 50 ~ 100 cd/㎡ 일 때, 플리커 허용 구동 주파수 범위는 35 ~ 40 Hz이고, 플리커 인지-한계 구동 주파수는 37.3 Hz 이다. 하지만, 적용할 구동 주파수는 플리커 인지-한계 구동 주파수보다 좀더 높은 40 Hz로 선택된다.For example, when the luminance section is 50 to 100 cd/m2, the flicker allowable driving frequency range is 35 to 40 Hz, and the flicker recognition-limit driving frequency is 37.3 Hz. However, the driving frequency to be applied is selected to be 40 Hz, which is higher than the flicker perception-limit driving frequency.

플리커 인지-한계 구동 주파수보다 좀더 높은 주파수로 적용할 구동 주파수를 설정하는 이유는 휘도의 급작스런 변경 등에 의해 플리커가 발생하지 않도록 마진을 둔 것이다.The reason for setting the driving frequency to be applied at a frequency higher than the flicker recognition-limit driving frequency is to set a margin so that flicker does not occur due to sudden changes in luminanc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도별 구동 주파수가 설정된 이후 구동 주파수 변환(S140)이 이루어진다. 구동 주파수 변환은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는 내부의 레퍼런스 클록신호(Reference clock)나 가변되는 주파수 신호(Variable-frequency signal)를 기반으로 구동 주파수 변환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after the driving frequency for each luminance is set, driving frequency conversion (S140) is performed. The driving frequency conversion may be performed by the timing controller. The timing controller may perform driving frequency conversion based on an internal reference clock or a variable-frequency signal.

타이밍 제어부의 주파수 변환에 의해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부의 구동 주파수는 가변된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타이밍 제어부에 의해 구동 주파수가 가변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영상 제어부에 의해서도 구동 주파수가 가변될 수도 있다.The driving frequencies of the data driving unit and the scan driving unit are varied by frequency conversion of the timing control unit. Meanwhile, in the above description, it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driving frequency is changed by the timing control unit, but the driving frequency may also be changed by the image control unit.

구동 주파수 변환(S140) 이후 영상(Output image) 송출(S150)이 이루어진다. 구동 주파수가 변환된 이후의 영상 송출은 데이터 구동부 및 스캔 구동부에 의해 이루어진다.After the driving frequency conversion (S140), an output image is transmitted (S150). The image transmission after the driving frequency is converted is performed by the data driver and the scan driver.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패널(LCD Panel)을 기반으로 장치를 구현하고, 2개의 시료로 구분하여 구동 주파수에 따른 액정표시패널의 소비전력을 측정하였다. 제1시료는 풀화이트(Full white)를 표시할 때의 소비전력을 나타내고 제2시료는 8개의 컬러(8 Color)를 표시할 때의 소비전력을 나타낸다.9 and 1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vice is implemented based on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driving frequency by dividing it into two samples. I did. The first sample represents the power consumption when displaying full white, and the second sample represents the power consumption when displaying 8 colors.

위의 설명과 같이 휘도에 따른 플리커 인지-한계 구동 주파수를 기반(기 설명된 수식)으로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장치를 구현한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소비전력이 절감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더불어, 그래프에 나타나 있지는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종래의 장치 대비 표시패널 및 프레임 버퍼 등과 관련된 부분에서 대략 20%의 소비전력이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of implementing the device to adjust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based on the flicker perception-limit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formula described abov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 power consump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avings were mad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graph,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to reduce power consumption by about 20% in parts related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frame buff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evice.

한편, 액정표시패널은 인버전 구동에 따른 플리커 이슈(Flicker issue)로 인해 60 Hz의 구동 주파수로 구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플리커 이슈를 해결하면서 휘도 변화에 대응하여 구동 주파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치는 액정표시패널에 적용시 더욱 효과적이다. 아울러, 표시패널의 휘도가 증가할수록 플리커를 인지하는 구동 주파수의 JND(차이를 인식하는 정도)는 낮아지므로 다양한 조건하에 구동 주파수를 낮추면 소비전력을 더욱 낮출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s generally driven at a driving frequency of 60 Hz due to a flicker issue caused by inversion driving. Accordingly, a device capable of changing a driving frequency in response to a change in luminance while solving the flicker issu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effective when applied to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In addition, a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ncreases, the JND (a degree of recognizing a difference) of the driving frequency for recognizing flicker decreases, and thus power consumption may be further lowered by lowering the driving frequency under various conditions.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부가한다.Hereinafter, a description for aid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도 11은 조도 감지부를 미사용할 때의 구동 주파수 가변 예시도이고, 도 12는 조도 감지부를 사용할 때의 구동 주파수 가변 예시도이다.FIG. 1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driving frequency when the illuminance sensor is not used, and FIG. 1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variable driving frequency when an illuminance sensor is u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조도 감지부(170)와 타이밍 제어부가 비연동(조도 감지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미사용되는 경우)하여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조절(도 11의 예)하거나 조도 감지부와 연동하여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조절(도 12의 예)할 수 있다.In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and the timing control unit are not interlocked (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is not provided or not used) to adjust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example of FIG. 11) or In conjunction with the sensing unit, the driving frequency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example of FIG. 12).

삭제delete

(제1예시)(Example 1)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부(110)는 표시패널(100)에 표시할 영상에 대응되는 데이터신호를 분석하고, 표시패널(100)이 나타낼 수 있는 휘도를 산출하도록 구현된다. 타이밍 제어부(110)는 산출된 휘도 정보를 이용하여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구현된다.The timing controller 110 illustrated in FIG. 1 is implemented to analyze a data signal corresponding to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100 and calculate a luminance that can be displayed by the display panel 100. The timing controller 110 is implemented to adjust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using the calculated luminance information.

표시장치가 위와 같이 구현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조도 감지부(170)와 타이밍 제어부(110)가 비연동(조도 감지부가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미사용되는 경우)된다. 이로 인하여, 타이밍 제어부(110)는 데이터신호의 분석을 기반으로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조절하게 된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tion sensor 170 and the timing control unit 110 are not interlocked (when the illumination sensor is not provided or is not used). Accordingly, the timing controller 110 adjusts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signal.

예컨대, 도 11과 같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장치(200)의 표시패널에 밝은 영상(예: 휘도 250 ~ 300 cd/㎡ )이 표시되면 타이밍 제어부(110)는 구동 주파수를 높인다(예: F = 50 Hz). 이와 달리,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장치(200)의 표시패널에 다소 어두운 영상(예: 휘도 100 ~ 150 cd/㎡ )이 표시되면 타이밍 제어부(110)는 구동 주파수를 낮춘다(예: F = 42 Hz).For example, when a bright image (eg, luminance 250 ~ 300 cd/m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device 200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s shown in FIG. 11, the timing controller 110 in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eg, F = 50 Hz). In contrast, when a slightly darker image (eg, luminance 100 ~ 150 cd/m2)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device 200 implemented as a smartphone, the timing control unit 110 lowers the driving frequency (eg, F = 42 Hz). ).

위의 예와 같이 조도 감지부(170)가 미사용되는 경우 야외 시인성이 다소 저하될 수는 있으나 실내에서 사용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이유는 조도 감지부(170)에 포함된 조도 센서의 센싱 동작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in the above example, 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is not used, outdoor visibility may be slightly lowered, but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when used indoors. This is because the sensing operation of the illuminance sensor included in the illuminance sensor 170 can be omitted.

(제2예시)(Example 2)

도 1에 도시된 타이밍 제어부(110)는 조도 감지부(170)로부터 전달된 조도신호(LIS)와 메모리부(160)로부터 전달된 참조데이터값(BRC)을 이용하여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조절하도록 구현된다.The timing control unit 110 shown in FIG. 1 uses the illuminance signal LIS transmitted from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and the reference data value BRC transmitted from the memory unit 160 to determine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It is implemented to adjust.

표시장치가 위와 같이 구현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조도 감지부(170)와 타이밍 제어부(110)가 연동 된다. 이로 인하여, 타이밍 제어부(110)는 외부광의 변화에 의해 자동으로 가변 된 휘도 구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조절하게 된다.When th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s described above, in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and the timing control unit 110 are interlocked. For this reason, the timing controller 110 adjusts the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section that is automatically changed by the change of external light.

예컨대, 도 12와 같이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장치(200)의 표시패널에 밝은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도가 높은 환경(예: 낮)으로 나가게 되면 타이밍 제어부(110)는 구동 주파수를 높인다. 도 11과 동일한 영상이 표시패널에 표시된 경우, 표시패널의 휘도는 조도 센서에 의해 이전 대비 상승(예: 휘도 250 ~ 300 cd/㎡ -> 휘도 350 ~ 400 cd/㎡ )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구동 주파수 또한 높아지게 된다(예: F = 50 Hz -> F = 55 Hz).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when a bright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device 200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nd goes out to an environment with high illumination (eg, daytime), the timing controller 110 in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When the same image as in FIG. 1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by the illuminance sensor (eg, luminance 250 ~ 300 cd/㎡ -> luminance 350 ~ 400 cd/㎡), and driving along with The frequency will also increase (eg F = 50 Hz -> F = 55 Hz).

이와 달리, 스마트폰으로 구현된 장치(200)의 표시패널에 다소 어두운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조도가 낮은 환경(예: 밤)으로 나가게 되면 타이밍 제어부(110)는 구동 주파수를 낮춘다. 도 11과 동일한 영상이 표시패널에 표시된 경우, 표시패널의 휘도는 조도 센서에 의해 이전 대비 하강(예: 휘도 100 ~ 150 cd/㎡ -> 휘도 50 ~ 100 cd/㎡ )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구동 주파수 또한 낮아지게 된다(예: F = 42 Hz -> F = 40 Hz).On the contrary, when a rather dark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of the device 200 implemented as a smartphone and goes out to an environment with low illumination (eg, at night), the timing controller 110 lowers the driving frequency. When the same image as in FIG. 11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nel,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lowered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by the illuminance sensor (eg, luminance 100 ~ 150 cd/m2 -> luminance 50 ~ 100 cd/m2 ), and driving along with The frequency is also lowered (eg F = 42 Hz -> F = 40 Hz).

위의 예와 같이 조도 감지부(170)가 사용되는 경우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은 다소 낮아질 수 있으나 야외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 이유는 조도 감지부(170)에 포함된 조도 센서의 센싱 동작에 의해 휘도 변화에 적응적인 구동 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When the illuminance detection unit 170 is used as in the above example, the advantage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may be slightly lowered, but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outdoor visibility. This is because a driving frequency adaptive to a change in luminance can be generated by a sensing operation of an illuminance sensor included in the illuminance sensor 170.

이상 본 발명은 표시패널의 휘도에 따라 구동 주파수를 차별적으로 적용하여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휘도 변화에 따른 플리커 인지 정도가 달라지는 인지적 특징을 고려하여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므로 플리커 이슈(Flicker issue)를 제거하면서 표시품질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주파수의 가변으로 표시패널뿐만 아니라 프레임 버퍼 및 관련 버스와 연관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differentially applying a driving frequency according to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ed in consideration of a cognitive characteristic in which the degree of flicker perception varies according to a change in luminanc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display quality while removing a flicker issu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power consumption associated with a frame buffer and a related bus as well as a display panel by varying a driving frequency.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it can be implement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as non-limiting. In addi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In addition,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80: 영상 제어부 100: 표시패널
110: 타이밍 제어부 120:데이터 구동부
130, 140: 스캔 구동부 160: 메모리부
170: 조도 감지부
180: image control unit 100: display panel
110: timing control unit 120: data driving unit
130, 140: scan driving unit 160: memory unit
170: illuminance detection unit

Claims (10)

표시패널;
외부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조도를 판별하는 조도신호를 생성하는 조도 감지부;
사람의 휘도 인지 특성을 기반으로 마련된 참조데이터값을 갖는 메모리부;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 변화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의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참조데이터값과 상기 조도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를 조절함과 더불어 가변되는 휘도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되,
상기 표시패널의 변화되는 휘도 구간과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주파수를 단계별로 가변하고,
상기 구동 주파수는 상기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Display panel;
An illuminance detector configured to generate an illuminance signal for determining illuminance by sensing external light and converting the detected light into an electric signal;
A memory unit having a reference data value prepared based on a person's luminance perception characteristic;
A driver driving the display panel; And
A control unit for varying a driving frequency of the driving unit in response to a change in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The control unit adjusts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based on the reference data value and the illuminance signal and varies the driving frequency in response to a variable luminance section,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ed step by step based on a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prepared based on the changed luminance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licker percep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frequency corresponds to or higher tha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가 높아지면 상기 구동 주파수를 높이고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가 낮아지면 상기 구동 주파수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n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is increased and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de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is low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와 상기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 간의 차이는 10Hz 이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driving frequency and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is within 10 Hz.
삭제delete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단계;
상기 표시패널에 대한 휘도 조절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가 조절되면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는
외부광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조도를 판별하는 조도신호와 사람의 휘도 인지 특성을 기반으로 마련된 참조데이터값을 기반으로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가 조절되면,
가변되는 휘도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되, 상기 표시패널의 변화되는 휘도 구간과 사람의 플리커 인지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마련된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 주파수를 단계별로 가변하고,
상기 구동 주파수는 상기 플리커 인지 한계 구동 주파수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Driving the display panel;
Determining whether luminance adjustment of the display panel occurs; And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adjusted, changing a driving frequency,
The step of varying the driving frequency is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adjusted based on an illuminance signal that detects external light and converts the detected light into an electrical signal to determine illuminance and a reference data value prepared based on the luminance perception characteristic of a person,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ed in response to a variable luminance section, but the driving frequency is varied step by step based on a flicker recognition limit driving frequency prepared based on the changed luminance sec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the flicker recognition characteristic data of a person,
The driv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driving frequency corresponds to or higher than the flicker perception limit driving frequency.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주파수를 가변하는 단계에서,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가 높아지면 상기 구동 주파수를 높이고
상기 표시패널의 휘도가 낮아지면 상기 구동 주파수를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step of varying the driving frequency,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ncreases, the driving frequency is increased and
When the luminance of the display panel is lowered, the driving frequency is lower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40151893A 2014-11-04 2014-11-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2253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893A KR102253677B1 (en) 2014-11-04 2014-11-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1893A KR102253677B1 (en) 2014-11-04 2014-11-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377A KR20160053377A (en) 2016-05-13
KR102253677B1 true KR102253677B1 (en) 2021-05-21

Family

ID=56023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1893A KR102253677B1 (en) 2014-11-04 2014-11-04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8765A (en) 2019-09-30 2021-04-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468833B2 (en) 2020-02-06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ition between different refresh rates on a display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445B1 (en) * 2005-09-21 201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0316A (en) * 2002-10-02 2004-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KR100537680B1 (en) * 2003-05-29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controlling invertor pulse width modulation frequency in LCD
KR20080055133A (en) * 2006-12-14 2008-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JP2010122609A (en) * 2008-11-21 2010-06-03 Canon Inc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control method
KR102071628B1 (en) * 2013-04-11 2020-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445B1 (en) * 2005-09-21 201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377A (en) 2016-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545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US20200279523A1 (en) Power control circuit for display device
US1031931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EP3644303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10235321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US8487863B2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16003528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brightness of an image display
US89820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local dimming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reducing the size of an operation algorithm
EP334022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WO201416279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for
KR101324552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N206163104U (en) Peep -proof display device and peep -proof display
JP2008249780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N101202025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WO2009054223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356370B1 (en) Method of Correcting Data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EP2434474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driving same
KR20150026414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1644189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dimming controlling method of thereof
KR20160065393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102253677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50078212A (en) Display apparatus
KR102581826B1 (en) Display apparatus
KR101907385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driving of the same
KR102276244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loa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