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71B1 - Aeration devic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eration devic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3671B1 KR102253671B1 KR1020200037213A KR20200037213A KR102253671B1 KR 102253671 B1 KR102253671 B1 KR 102253671B1 KR 1020200037213 A KR1020200037213 A KR 1020200037213A KR 20200037213 A KR20200037213 A KR 20200037213A KR 102253671 B1 KR102253671 B1 KR 1022536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ation
- cover
- hole
- path part
- pa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C02F3/206—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with helical screw impell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78—Provisions for mixing or aeration of the mixed liquor
- C02F3/1284—Mixing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폭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폭기장치 작동에 따른 하폐수의 비산을 방지하고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폭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eration device and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eration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of fluid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wastewat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eration device, and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공장폐수 등은 강, 하천 등으로 방류되기 전에 하폐수 처리장을 거치게 된다.In general, domestic sewage and factory wastewater discharged from homes or factories go through a sewage treatment plant before being discharged into rivers and rivers.
그리고 이러한 하폐수 처리장에 있어 폭기조에서는 폭기조에 유입된 하폐수에 산소를 공급하거나 교반 시켜 하폐수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킴에 따라 하폐수에 포함된 각종 유기물이 제거하여 하폐수를 정화하는 공정을 거친다.And in such a sewage treatment plant, in the aeration tank, oxygen is supplied or stirred to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aeration tank to activate microorganisms in the wastewater, thereby removing various organic substances contained in the wastewater to purify the wastewater.
즉, 폭기조에 공기를 폭기시킴으로서 하폐수의 용존 산소를 증가시킴에 따라 호기성세균을 활성화시켜 하폐수를 정화시키는 폭기 작용을 함과 동시에 하폐수를 교반 시켜 하폐수로부터 질소를 배출시키는 교반 작용을 통해 하폐수를 처리할 수 있다.In other words, by aeration of the air into the aeration tank, the aerobic bacteria are activated to purify the wastewater by increasing the dissolved oxygen in the wastewater. I can.
이때, 하폐수 처리 환경에 따라 폭기조에 저장되는 하폐수의 양이 달라질 수 있으며, 폭기장치의 산소의 공급량에 따라 하폐수가 비산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At this time, the amount of wastewater stored in the aeration tank may vary according to the wastewater treatment environm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wastewater may be scatter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oxygen supplied from the a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폭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conceiv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s to provide an aeration device used in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또한, 상기 폭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it is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aeration device.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기장치는, 유체가 유입되고 배출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유체가 유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폭기유닛 및 상기 폭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폭기유닛은, 길이방향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경로부 및 상기 제1경로부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경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nd the aeration unit and the aeration unit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by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And a cover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eration unit, wherein the aeration unit is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an ax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cludes a first path part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a part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ath part. It is enclosed and provided to be elev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ay include a second path portion in which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이때, 상기 폭기유닛은, 제2경로부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경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eration unit may include a stopper protruding outward of the first path part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second path part.
또는, 상기 커버는, 일부에 커버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v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a cover hole is formed in a part.
이때, 상기 커버는, 내부에 상기 커버홀이 형성되도록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테이퍼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ver may include a protrusion part protruding outward so that the cover hole is formed therein, and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to be tapered.
이때,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otrusion may include a check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direction of the flui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은, 상기 폭기장치 및 하폐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폭기조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롤러와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n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roller form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 aeration tank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the aeration device and wastewater, and the cover May include a rail coupled to the roller and provided to be movable.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폭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nd the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폭기장치에 자유도를 높임으로써 폭기조에 저장되는 하폐수와 무관하게 하폐수를 폭기시킬 수 있다.First, by increasing the degree of freedom in the aeration device, the wastewater can be aerated irrespective of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aeration tank.
둘째, 폭기장치를 유동하는 유체를 우회 시킴으로써 하폐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Second, it is possible to prevent scattering of wastewater by bypassing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aeration devic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폭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폭기유닛의 확대도 및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폭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nlarged view and driving of the aer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detai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additional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tated in advance that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are only used with the same names and symbols, and are not substantially the same as in the prior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of them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eyond that is not preliminarily exclud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폭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폭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폭기유닛(300)의 확대도 및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폭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With reference to Figures 1 to 5 will be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1 is a view showing the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views showing an enlarged view and driving of the
본 발명의 폭기장치는, 폭기유닛(300) 및 커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aer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상기 폭기유닛(300)은, 유입구(310), 배출구(390), 제1경로부(330), 제2경로부(350), 모터, 개폐밸브 및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유입구(310)는, 하폐수의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유체 즉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구성으로서, 유입구(310) 하단부에 위치하는 개폐밸브에 의해 공기의 유입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The
상기 배출구(390)는, 상기 유입구(310)를 경유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배출구(390)의 외측에는 나선형의 날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날개부는, 폭기조(10) 내에 하폐수가 저장되어 있는 공간에서 회전하며 하폐수를 교반 시킴으로써 교반 작용을 할 수 있다.The
상기 제1경로부(330)는, 길이방향의 중공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에 제1관통홀(331)이 형성될 수 있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1경로부(330)는, 상기 유입구(310) 및 상기 배출구(390)를 연결하여 상기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상기 배출구(39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그리고 상기 제1관통홀(331)은 후술할 제2관통홀(351)이 형성되는 위치에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경로부(330)는, 모터에 의해 본 발명의 폭기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관통홀(331)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설치됨에 따라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상기 제1경로부(330)에 대하여 유체는 돌출부(130) 방향으로 일정량이 토출될 수 있도록 제2경로부(350)로 유동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the first through
상기 모터는, 회전하며 상기 모터와 연동되는 상기 제1경로부(330)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날개부가 회전하여 교반 작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tor rotates and rotates the
그리고 상기 제2경로부(350)는, 상기 제1경로부(330)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에 제2관통홀(351)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제2경로부(350)는, 상기 제1경로부(330)의 외측에서 승강하며 상기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가 배출구(390) 및 커버홀(110)을 통해 양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즉, 상기 제2경로부(350)는, 상기 제1경로부(330)와 달리 회전하지 않으며, 상기 제1경로부(330)에 대하여 슬라이딩 함에 따라 유체의 커버홀(110) 방향으로의 유동을 결정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제2경로부(350)는, 상기 제2경로부(350)의 일단부에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그립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재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2경로부(350)는 상기 제1경로부(33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폭기유닛(300)은, 제2경로부(350)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경로부(3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스토퍼(37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스토퍼(370)에 의해 상기 제2경로부(350)는 일정 거리 내에서의 승강이 가능하다. 상기 스토퍼(370)는, 상기 제2경로부(350)의 양쪽 방향으로 상기 제1경로부(330)의 외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By the
상기 제2경로부(350)의 길이 및 상기 스토퍼(370)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제2경로부(350)가 일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췄을 때, 유체가 상기 제1관통홀(331)을 경유하여 상기 제2관통홀(351)로 유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length of the
그리고 상기 제2경로부(350)가 타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관통홀(331)에 대하여 상기 제2관통홀(351)이 어긋나게 위치하여, 유체는 상기 제2관통홀(351)을 경유할 수 없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상기 커버(100)는, 상기 폭기유닛(3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구성으로서, 일부에 커버홀(110)이 형성될 수 있다.The
이때, 상기 커버(100)는, 내부에 상기 커버홀(110)이 형성되도록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2경로부(350)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커버(10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부가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상기 제2경로부(350)를 경유하는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유체는, 상기 제2경로 및 상기 커버홀(110)을 경유하여 상기 돌출부(13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배출구(390) 방향으로 테이퍼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30)가 테이퍼지며 형성됨에 따라,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구(390)와 상기 돌출부(130)를 통해 동시에 토출될 때, 다 방향으로의 폭기 기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배출구(390)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날개부의 회전에 의해 폭기조(10)의 저장공간으로부터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The
그리고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밸브에 의해, 하폐수가 상기 돌출부(130)를 통해 상기 제2경로부(35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술한 폭기장치의 구성 간의 연동에 따른 폭기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aeration action according to the linkage between the configurations of the above-described aeration device will be described.
상기 유입구(310)를 통해 상기 폭기유닛(300)으로 유입되는 유체는 제1경로부(330)에 대한 제2경로부(3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돌출부(130)로의 토출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Whether the fluid flowing into the
즉,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재에 의해 상기 제2경로부(350)가 일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토퍼(370)에 의해 멈추는 경우, 상기 제1관통홀(331)과 상기 제2관통홀(351)은 연통되게 겹쳐질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2 and 4, when the
상기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1경로부(330)를 통해 상기 배출구(390)로 토출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유체는 상기 제1관통홀(331), 상기 제2관통홀(351) 및 상기 커버홀(110)을 경유하여 상기 돌출부(130)를 통해 토출될 수 있다.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이와 같이 유체가 다(多)방향으로 토출됨에 따라 폭기조(10)에 저장되는 하폐수에 골고루 폭기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30)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는 상기 배출구(390)를 통해 토출되는 유체에 의해 하폐수가 비산되거나, 상기 날개부에 의해 회전하는 하폐수가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fluid is discharged in multiple directions as described above, an aeration action can be caused evenly in the wastewater stored in the
또한, 도 3 및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재에 의해 상기 제2경로부(350)가 타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관통홀(351)은 상기 제1관통홀(331)에 대하여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5, when the
이 때, 상기 유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1경로부(330)를 통해서 배출구(390)로만 토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luid flowing through the
이는, 상기 폭기조(10)에 저장되는 하폐수의 양이 적거나 상기 돌출부(130)를 통한 유체의 토출이 불필요한 경우에 상기 배출구(390)를 통해서만 유체의 토출을 유도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amount of wastewater stored in the
즉, 본 발명의 폭기장치는 환경에 따라, 배출구(390)를 통해서만 토출되는 배출1과 배출구(390)를 통해서 토출되는 배출1 및 돌출부(130)를 통해 토출되는 배출2가 동시에 토출되도록 하여 유연하게 폭기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the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lexible by allowing the
상술한 본 발명의 폭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하폐수 처리 시스템은, 상술한 폭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A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aera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understood as related to a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aeration devic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하폐수 처리 시스템은, 폭기조(10)에 롤러(5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00)는 레일(150)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sewage treat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즉, 상기 롤러(50)는 하폐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폭기조(10)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커버(100)는, 상기 롤러(50)와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레일(150)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50)는, 상기 폭기조(10)에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00)의 일측에 상기 롤러(50)에서 이동 가능하게 레일(150)이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상기 레일(150)과 상기 롤러(50)간의 결합관계에 의해 폭기장치는 폭기조(10)에 저장되는 하폐수의 양에 따라 이동 또는 회전하며 폭기 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폭기장치가 이동하는 거리와 회전하는 각도에 대한 예상이 가능하여, 일정 범위에서 폭기장치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Due to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또한, 사용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유체가 상기 폭기유닛(300)을 경유하여 토출되는 경로와 레일(150)에서의 이동 또는 롤러(50)에 의한 회전과 연동하여 환경에 따라 사용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determine the state of us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by interlocking with the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via the
상기 폭기조(10)에 레일(150)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100)에 롤러(50)가 포함되는 등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면 구성이 형성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는다.If the above-described functions, such as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amined, and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scope other tha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i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self-evident to them.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폭기조
50: 롤러
100: 커버
110: 커버홀
130: 돌출부
150: 레일
300: 폭기유닛
310: 유입구
330: 제1경로부
331: 제1관통홀
350: 제2경로부
351: 제2관통홀
370: 스토퍼
390: 배출구10: aeration tank
50: roller
100: cover
110: cover hole
130: protrusion
150: rail
300: aeration unit
310: inlet
330: first path part
331: first through hole
350: second path part
351: second through hole
370: stopper
390: outlet
Claims (6)
상기 폭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폭기유닛은,
길이방향의 중공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에 제1관통홀이 형성되는 제1경로부;
상기 제1경로부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며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부에 제2관통홀이 형성되는 제2경로부; 및
상기 제2경로부의 승강을 제한하도록 상기 제1경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커버에 고정되고, 상기 제2경로부를 경유하는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인 커버홀이 형성되도록 테이퍼지며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를 통해 하폐수가 역류하는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커버홀을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체크밸브;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경로부가 상기 스토퍼에 의해 멈출 때까지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1관통홀과 상기 제2관통홀이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장치.An aeration unit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and discharged, and connecting the inlet and the outlet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uid flows; And
A cover surroun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aeration unit;
Including,
The aeration unit,
A first path part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a hollow shaft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through hole formed in a part thereof;
A second path part surrounding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path part and provided to be elev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in a part of the first path part; And
A stopper protruding outwardly of the first path part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second path part;
Including,
The cover,
A protrusion formed to be tapered so that a cover hole,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uid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th portion is discharged, is formed, partially protruding outward and fixed to the cover; And
A check valve for controlling a flow direction of a fluid flowing through the cover hole in order to prevent the sewage water from flowing backward through the protrusion;
Including,
When the second path portion moves in one direction until it is stopped by the stopper,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하폐수가 저장되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는 폭기조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롤러와 결합되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일;
을 포함하는 폭기장치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 시스템.In th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aeration device of claim 1,
A roller formed to be rotatable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eration tank provided with an accommodation space for storing wastewater;
Including,
The cover,
A rail coupled to the roller so as to be movabl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an aeration device comprising 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213A KR102253671B1 (en) | 2020-03-27 | 2020-03-27 | Aeration devic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7213A KR102253671B1 (en) | 2020-03-27 | 2020-03-27 | Aeration devic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3671B1 true KR102253671B1 (en) | 2021-05-18 |
Family
ID=7615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7213A KR102253671B1 (en) | 2020-03-27 | 2020-03-27 | Aeration devic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3671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9781A (en) * | 1997-02-19 | 1998-09-02 | Kurosawa Micro Keisoku:Kk | Method and device for deffusing air into water |
WO2002038510A1 (en) * | 2000-11-08 | 2002-05-16 | Henley Industries Limited | Improved aerator and mixer |
JP2010264337A (en) * | 2009-05-12 | 2010-11-25 |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 Aeration agitator |
KR101052246B1 (en) | 2010-12-16 | 2011-07-27 |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 A aerator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using it |
KR20190090628A (en) * | 2018-01-25 | 2019-08-02 |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 A Aerator |
-
2020
- 2020-03-27 KR KR1020200037213A patent/KR10225367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29781A (en) * | 1997-02-19 | 1998-09-02 | Kurosawa Micro Keisoku:Kk | Method and device for deffusing air into water |
WO2002038510A1 (en) * | 2000-11-08 | 2002-05-16 | Henley Industries Limited | Improved aerator and mixer |
JP2010264337A (en) * | 2009-05-12 | 2010-11-25 |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 Aeration agitator |
KR101052246B1 (en) | 2010-12-16 | 2011-07-27 |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 A aerator for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using it |
KR20190090628A (en) * | 2018-01-25 | 2019-08-02 | 환경시설관리 주식회사 | A Ae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2591823B (en) | Stirring device for wastewater treatment,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US6164813A (en) | Static fluid mixing device with helically twisted elements | |
CN106430536B (en) | Aeration device | |
CN106731919B (en) | Gas-liquid mixing device | |
KR102253671B1 (en) | Aeration device and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 |
CN101432052A (en) | Rotating perforated cylinder treatment system | |
JP4266241B1 (en) | UV sterilizer for water pipes | |
KR20200080865A (en) | Aeration apparatus with self air suction function having dual axial | |
KR101114524B1 (en) | Air supply device | |
KR101929000B1 (en) | System for sewage purification | |
CN104891644A (en) | Lifting stirring aeration device | |
KR20010111996A (en) | Hydraulic mixing and circulating system in water treatment | |
KR100314747B1 (en) | Waste Water Treatment Equipment with the Function of Air Priming, Intermittent Aeration, Deoderization, Agitating and Horizontal Mixing | |
ES2367171T3 (en) | BIOLOGICAL DEPURATION DEVICE. | |
KR200203222Y1 (en) | Hydraulic mixing and circulating system in water treatment | |
KR102008244B1 (en) | Ancillary Diffuser using water film phenomenon | |
KR102271976B1 (en) | Stirring Device For Water Treatment | |
KR102292125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 |
KR102413221B1 (en) | Line mixer for easy mixing of chemicals and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010044206A (en) | A mechanical surface aeration and agitation apparatus | |
KR102399894B1 (en) | Nitrogen treatment system using low power consumption and sticky media | |
KR200409582Y1 (en) | A tap for the toilet | |
KR200257124Y1 (en) | Rotary Microbial Contact Device | |
CN117735683A (en) | Sewage treatment equipment | |
KR100972641B1 (en) | Ozone supply apparatus for water and ozone supply method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