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70B1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Google Patents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3670B1 KR102253670B1 KR1020190121000A KR20190121000A KR102253670B1 KR 102253670 B1 KR102253670 B1 KR 102253670B1 KR 1020190121000 A KR1020190121000 A KR 1020190121000A KR 20190121000 A KR20190121000 A KR 20190121000A KR 102253670 B1 KR102253670 B1 KR 1022536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insertion hole
- diameter
- elastic member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철근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하나의 철근은 나사식으로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철근은 원터치식으로 연결하는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철근과, 단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가공된 제2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철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2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철근이 나사식으로 삽입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이음관; 상기 제1삽입홀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삽입홀에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1철근의 단부가 내부를 통과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삽입홀에 각각 복수 개가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1철근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의해 상기 제1철근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열직경이 확대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배열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제1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는 편체; 및 상기 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편체를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하는 편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connecting two reinforcing bar 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ne reinforcing bar connected by a screw type and the other reinforcing bar connected by a one-touch type.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processed with male thread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rst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A joint pipe including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a second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through which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connected in a threaded manner;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one end fixedly supported by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n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passing through the inside; A plurality of the first insertion holes are arranged to form a circular shape, each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by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expanded body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and reduces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to compress and fix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a piece hold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ece to arrange the piece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The technical gist of the piece is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 개의 철근 단부를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되, 하나의 철근은 나사식으로 연결하고 다른 하나의 철근은 원터치식으로 연결하는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connecting two reinforcing bar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e reinforcing bar connected by a screw type and the other reinforcing bar connected by a one-touch type.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기초를 이루는 골조는 대부분 철근으로 이루어진다.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골조 형상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철근을 상하 수직으로 배치하고 겹이음하여 결속선이나 소둔선으로 서로 연결하여 골조를 구성한다. In general, the frame that forms the basis of architectural and civil structures is mostly made of reinforcement. A frame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vertically up and down to correspond to the frame shape of architectural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and connecting them with a bonding line or an annealing line by overlapping them.
한편 대형 교량이나 초고층 건물 등과 같은 대규모 건축 및 토목 구조물의 골조를 철근으로 구성할 때 철근의 길이가 한정됨에 따라 복수 개의 철근을 상하 수직으로 다단 연결하여 골조를 구성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rame of large-scale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s such as large bridges and high-rise buildings is composed of reinforcing bars,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is limited, so that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vertically in multiple stages to form a frame.
복수 개의 철근을 상하로 수직으로 연결하여 골조를 구성할 때 철근 간의 연결부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인장하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철근 자체의 인장강도보다 더 강한 인장강도를 발휘해야 한다. When constructing a frame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vertically up and down, a stronger tensile strength tha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s itself should be exhibited so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reinforcing bars is not easily separated by a tensile load applied from the outside.
이를 위해 철근 커플러를 사용하여 철근을 연결하고 있다. 철근 커플러는 크게 세 가지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철근을 나사식으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나사식 철근 커플러이고, 다른 하나는 철근의 마디를 이용하여 압착식으로 고정시켜 연결하는 압착식 철근 커플러이며, 나머지 하나는 철근의 마디를 이용하여 웨지식으로 고정시켜 연결하는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이다. To this end, rebar couplers are used to connect rebars. Rebar coupler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one is a screwed reinforced coupler that connects reinforcing bars by screwing, and the other is a crimped reinforced coupler that connects by crimping using the joints of reinforcing bars. The other is a one-touch rebar coupler that connects by fixing it in a wedge type using the nodes of the reinforcing bar.
나사식 철근 커플러는 양측 내주면에 암나사가 환설된 구조로서 철근의 인장강도를 높일 수 있지만 철근의 단부 외주면에 수나사를 가공해야 하고 철근과의 나사식 연결을 위해 회전 조작이 필요하여 현장 시공이 용이하지 않다. The threaded reinforcing bar coupler is a structure in which female threads are rounded on both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and can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but it is not easy to construct on-site because male threads must be proces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and rotation operation is required for screw-type connection with the rebar. not.
압착식 철근 커플러는 내주면이 철근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몸체와, 몸체의 양단에 각각 나사식으로 외삽되는 압착구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몸체의 양단 내측에 철근을 각각 삽입한 후 압착구를 각각 회전조작해야 하므로 현장 시공이 용이하지 않다. A crimp-type rebar coupler consists of a body whos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correspond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and a crimp hole that is extrapolated with screws at both ends of the body. Site construction is not easy.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철근의 수나사 가공이 전혀 필요하지 않고 원터치식으로 철근과 연결됨에 따라 현장 시공이 가능한 이점이 있으므로 인건비 절감과 공기 단축에 관심이 집중된 현재의 요구에 부합되면서 사용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The one-touch rebar coupler does not require external thread processing of the reinforcing bar at all, an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struct on-site as it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 by one-touch method, so the frequency of use is gradually increasing as it meets the current demands focused on labor cost reduction and time reduction. .
한편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는 이음관과, 이음관의 내부에서 이음관에 삽입되는 철근의 외주면을 압착하는 복수 개의 편체와, 이음관의 내부에서 편체에 연결되어 편체를 원형으로 배치하고 지지하는 편체홀더와, 이음관의 내부에서 편체가 철근의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가압하는 탄성부재와, 이음관의 단부에 체결되어 편체를 구속하는 마개로 구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ne-touch rebar coupler includes a joint pipe, a plurality of flat bodies that compres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inserted into the joint pipe from the inside of the joint pipe, and a flat body holder that is connected to the flat body inside the joint pipe to arrange and support the flat body in a circular shape. And,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that presses the knitted body to pressuriz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inforcing bar inside the fitting tube, and a stopper that is fastened to the end of the fitting tube to restrain the knitted body.
따라서 이음관의 양측에 각각 철근의 단부를 삽입하면 철근의 단부에 의해 편체홀더가 이음관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편체와 분리되고, 분리된 편체는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서로 간에 이루는 직경이 감소되게 이음관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여 철근을 서로 연결하게 된다. Therefore, when each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joint pipe, the flat body holder moves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joint pipe by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and separates from the flat body, and the separated flat body is the diameter formed between each other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s this decreases,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ressing and fix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while mov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joint pipe.
그러나 종래의 원터터식 철근 커플러는 철근의 삽입에 따라 편체를 편체홀더에서 완전히 분리되기 이전까지 편체의 위치가 이음관의 내부 특정 위치로 고정되어야 하므로 편체에 대한 정밀가공이 요구되어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제품단가도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one-touch rebar coupler, the position of the piece must b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joint pipe until the piece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iece holder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reinforcing bar, so precision processing of the piece is required,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 unit price also rises.
그리고 철근의 삽입시 편체가 이동하지 않도록 편체가 이루는 내경도 철근의 외경보다 더 커야 하므로 이음관의 직경 축소도 한계가 있어 자재비용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부피와 무게도 증가하여 운반 및 보관에도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unit must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unit does not move when the rebar is inserted, there is a limit to the reduction of the diameter of the joint pipe,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material cost, but also increases the volume and weight, so there is a lot of space for transportation and storage. There is a problem to occupy.
또한 편체는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이 발휘될 때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는 구조인데, 탄성부재의 양단이 제대로 고정 지지되지 않음에 따라 탄성부재가 수직방향으로 곧게 압축되고 인장되지 않으므로 각 편체가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는 압착력도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knitted body is a structure that com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when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exerted. As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re not properly fixed and supported,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stra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s not stretche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compressive force for compress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not uniform.
게다가 이음관의 내부에서 탄성부재의 양단이 지지되지 않아 탄성부재가 수직으로 압축되지 않고 비스듬하게 압축되면서 편체가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는 압착력이 균일하지 못하여 철근이 수직방향으로 곧게 연결되지 않아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철근이 이음관에서 분리될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re not supported inside the joint pipe, the elastic member is not compressed vertically, but is compressed oblique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reinforcing bar may be separated from the joint pipe by an impact or.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구조물의 안전을 위한 철근의 인장강도 확보를 위해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와 나사식 철근 커플러를 혼용하여 철근을 연결하도록 시공사가 요구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Due to this problem, the number of cases required by the contractor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by mixing the one-touch reinforcing bar coupler and the screwed reinforcing bar coupler is increasing in order to secur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for the safety of the structure.
따라서 철근을 흔들림 없도록 수직방향으로 곧게 연결할 수 있고 철근의 인장강도 확보를 위해 나사식 연결 방식과 원터치식 연결 방식의 혼용을 요구하는 상황에 부응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 reinforcing bar coupler that can be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are not shaken, and that can meet the situation that requires a combination of a screw connection method and a one-touch connection method in order to secur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철근을 흔들림 없도록 수직방향으로 곧게 연결할 수 있고 철근의 인장강도 확보를 위해 나사식 연결 방식과 원터치식 연결 방식의 혼용을 요구하는 상황에 부응할 수 있도록, 일측에 원터치식 연결 구조가 적용되고 타측에 나사식 연결 구조가 적용된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straight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not to shake, and to meet the situation requiring a mixture of the screw connection method and the one-touch connection method to secur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to which a one-touch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to one side and a screw 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to the other side.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는 단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가공된 제2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철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2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철근이 나사식으로 삽입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이음관; 상기 제1삽입홀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삽입홀에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1철근의 단부가 내부를 통과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삽입홀에 각각 복수 개가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1철근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의해 상기 제1철근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열직경이 확대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배열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제1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는 편체; 및 상기 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편체를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하는 편체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connect the second reinforcing bar processed with male threads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through. A connection pipe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part, a second connection part extend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a second insertion hole formed therethrough,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connected in a threaded manner;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one end fixedly supported by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n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passing through the inside; A plurality of each of the first insertion holes are arranged to form a circular shape, support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move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by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expanded body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and reduces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to compress and fix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a piece hold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ece to arrange the piece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먼저, 이음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원터치식 연결 구조와 나사식 연결 구조가 적용되어 철근을 복합식으로 연결 가능함에 따라 원터치식 연결 구조에 의해 철근 연결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나사식 연결 구조에 의해 철근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First, a one-touch connection structure and a screw-type connection structure are applied to one and the other side of the joint pipe, respectively, so that the reinforcing bar can be connected in a complex manner, so that the convenience of rebar connection work can be increased by the one-touch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screw connection structure As a result,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can be improved.
그리고 이음관의 일측에 적용된 원터치식 연결 구조에서 복수 개의 편체가 철근의 삽입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탄성부재를 압축하는 과정에서 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함에 따라 제1철근을 견고하게 압착 고정할 수 있다. And in the one-touch connection structure applied to one side of the joint pipe, a plurality of pieces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and in the process of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firmly compressed and fixed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s compressed and fixed. can do.
그리고 복수 개의 편체가 편체홀더에 의해 서로 간에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됨에 따라 조립성이 향상되어 공사 현장에서 편리하게 조립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plurality of pieces are arranged in a circle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by the piece holder, the assembling property is improv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assembled and used at the construction site.
또한 이음관의 내측에서 탄성부재의 양단이 편체의 단부와 이음관의 삽입홀에 각각 지지됨에 따라 편체의 이동에 따라 탄성부재가 수직방향으로 곧게 압축되고 인장되어 모든 편체의 압착력이 철근의 단부 외주면에 균일하게 가해짐으로써 철근을 흔들이 없이 길이방향으로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are supported by the end of the piece and the insertion hole of the connecting tube,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and stretch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iece, so that the compressive force of all pieces is reduc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rebar. By uniformly applied to the rebar, it is possible to firmly connect the reinforcing bar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out shaking.
그리고 철근을 이음관의 일측에 삽입할 때 편체가 철근에 의해 이동되도록 편체의 배열직경이 철근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됨에 따라 이음관의 제조시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자재비용을 절감하고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joint pipe,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of the uni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unit is moved by the reinforcing bar, so that the diameter can be minimiz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joint pipe, thus reducing material cost and reducing volume. And weigh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홀더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편체홀더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ngle body of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ece holder of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iece of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ngle-body holder of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ed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구조물의 철골 등을 위해 두 개의 철근을 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for connecting two reinforcing bar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for a steel frame of a structure.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는 철근을 흔들림 없도록 수직방향으로 곧게 연결할 수 있고 철근의 인장강도 확보를 위해 나사식 연결 방식과 원터치식 연결 방식의 혼용을 원하는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In particular, the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onnect the reinforcing bar straight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not to shake, and to meet the desired demand for a combination of a screw connection method and a one-touch connection method to secure the tensile strength of the reinforcing bar. to be.
이러한 특징은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이루어지는 이음관과, 이음관의 제1연결부에 구비되어 철근의 단부를 원터치식으로 연결하는 구성과, 이음관의 제2연결부에 구비되어 철근의 단부를 나사식으로 연결하는 구성을 포함한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se features include a connection pipe comprising a first connection part and a second connection part, a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at the first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pipe and connects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in a one-touch manner, and the second connection part of the connection pipe is provided to prevent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This can be achieved by a structure including a screw connection configura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100)는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음관(10), 탄성부재(20), 편체(30) 및 편체홀더(40)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omposite connection type
먼저, 상기 이음관(10)은 일측과 타측 내부에 연결하고자 하는 제1철근(R1)과 제2철근(R2)의 단부를 삽입하여 제1철근(R1)과 제2철근(R2)을 길이방향으로 일체로 연결하는 구성이다. First, the
이때 제2철근(R2)은 이음관(10)의 타측 내부에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연결되도록 단부 외주면에 수나사(S)가 형성된다. 이와 달리 제1철근(R1)은 이음관(10)의 일측 내부에 삽입되어 원터치식으로 연결되므로 단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필요하지 않다. 그리고 제1철근(R1)과 제2철근(R2)은 직경이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reinforcing bar R2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이를 위해 이음관(10)은 길이방향 중심에 제1삽입홀(111)이 관통 형성되는 제1연결부(11)와, 제1연결부(11)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 중심에 제1삽입홀(111)보다 직경이 작은 제2삽입홀(121)이 관통 형성되는 제2연결부(12)와, 제2연결부(12)의 제2삽입홀(122)의 내측에 나사식으로 삽입 연결되고 길이방향 중심에 중공(131)이 형성되는 접속부(13)로 구성된다. To this end, the
그리고 제1연결부(11)의 제1삽입홀(111) 내주면에는 이음관(10)의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루는 이동안내면(112)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 moving
단, 제2연결부(11)는 단부로 갈수록 내외경으로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형태를 가지고, 제2연결부(11)의 제1삽입홀(111) 단부 내주면에는 내경이 단부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압착유도면(113)이 형성된다. However, the
또한 접속부(13)의 중공(131) 내주면에는 제2철근(R2)의 단부가 삽입되어 나사식으로 연결되도록 수나사(S)와 대응되는 암나사(132)가 형성된다. In addition, an end of the second reinforcing bar R2 is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131 of the
그리고 제2연결부(12)과 접속부(13)가 서로 나사식으로 연결되도록 제2연결부(12)의 제2삽입홀(121)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22)가 형성되고 접속부(13)의 외주면에는 암나사(122)와 대응되는 수나사(133)가 형성된다. And a
다음으로, 상기 탄성부재(20)는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삽입되어 편체(30)가 제1철근(R1)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탄성복귀력을 통해 편체(40)를 가압하는 구성이다. Next, the
이를 위해 탄성부재(20)는 길이방향 중심에 철근(R)이 통과하는 통과홀(21)이 관통 형성되고, 일단이 이음관(10)의 환턱(131)에 밀착되고 타단이 편체(30)에 밀착되어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서 길이방향으로 곧게 압축되고 인장된다. To this end, the
단, 탄성부재(20)는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압축과 인장이 원활하도록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가지되, 일단이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압입 고정되도록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외경확대부(22)가 형성된다. However, the
따라서 탄성부재(20)는 일단이 이음관(10)의 제1압입홀(111)에 밀착 지지되고 타단이 편체(30)에 밀착 지지된 상태이므로 편체(30)의 이동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곧게 압축되고 인장될 수 있다. Therefore, the
다음으로, 상기 편체(30)는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원형으로 배열되어 제1철근(R1)의 단부가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탄성부재(20)의 탄성복귀력으로 제1철근(R1)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는 구성이다. Next, the
즉, 편체(30)는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서 제1철근(R1)의 삽입과 마개(50)의 내경과 이음관(10)의 내경에 따라 배열직경이 변화하면서 탄성부재(2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제1철근(R1)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여 제1철근(R1)과 제2철근(R2)을 견고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That is,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이를 위해 편체(30)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서로 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되고, 제1철근(R1)이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간에 이루는 배열직경(내경 기준)이 제1철근(R1)의 직경(외경 기준)보다 작게 배열된다. To this end, the
그리고 편체(30)는 일측 외주면에 외경 변화가 없어 이음관(10)의 이동안내면(112)과 면접촉되는 수평이동안내면(32)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면에 탄성부재(20)의 타단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33)이 소정깊이로 함몰 형성된다. And the
또한 편체(30)는 내주면에 제1철근(R1)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는 복수 개의 압착래치(31)가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타측 외주면에 외경이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축소되고 이음관(10)의 압착유도면(113)과 면접촉되는 경사이동안내면(34)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따라서 제1철근(R1)의 단부를 이음관(10)의 삽입홀(111)에 삽입하면 편체(30)의 배열직경이 제1철근(R1)의 직경보다 작으므로 편체(30)가 제1철근(R1)에 의해 견인되면서 이음관(10)의 삽입홀(111)의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R1 is inserted into the
이때 편체(30)는 경사이동안내면(34)이 이음관(10)의 압착유도면(113)과 면접촉된 후부터 서로 간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배열직경이 확대된다. 그러다가 편체(30)는 수평이동안내면(32)이 이음관(10)의 이동안내면(112)과 면접촉된 후부터는 서로 간의 간격이 유지되면서 배열직경이 유지된다. At this time, after the
그리고 편체(30)는 이음관(10)의 환턱(131)과 지지홈(33)에 의해 일단과 타단이 지지된 탄성부재(20)를 압축시키고 압착래치(31)를 통해 제1철근(R1)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게 된다. And the
단, 수평이동안내면(32)이 이음관(10)의 이동안내면(112)과 면접촉된 후부터는 편체(30)에 탄성부재(20)의 탄성복귀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면 편체(30)는 탄성부재(2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경사이동안내면(34)에 따라 배열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인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의 외측방향으로 가압된다. However, after the horizontal
따라서 편체(30)는 탄성부재(20)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경사이동안내면(34)과 이음관(10)의 압착유도면(113) 간의 면접촉 면적이 넓어지도록 배열직경이 축소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압착래치(31)로 제1철근(R1)의 단부를 더욱 강하게 압착하게 된다. Therefore, the
여기서 제1철근(R1)을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삽입하기 이전인 조립상태에서 편체(30)의 배열직경이 제1철근(R1)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배열되어 이음관(10)의 직경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자재비용을 절감하고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Here, in the assembled state prior to insert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R1 into the
그리고 탄성부재(20)는 일단이 외경확대부(22)에 의해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압입 고정되고 타단이 편체(30)의 지지홈(33)에 삽입 지지되어 편체(30)에 의해 가압되거나 탄성복귀력을 발휘할 때 틀어짐 없이 수직방향으로 곧게 압축되거나 인장될 수 있다. And the
따라서 편체(30)의 압착력이 제1철근(R1)의 단부 외주면에 균일하게 작용하여 제1철근(R1)을 수직방향으로 곧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도 불구하고 편체(30)의 압착력이 해제되지 않아 제1철근(R1)과 제2철근(R2)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sing force of the
한편 편체(30)의 일단에는 편체홀더(40)와의 결합을 위해 결합수단이 마련된다. 이때 결합수단은 제1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체(30)의 일단 주연부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35)로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 coupling means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그리고 결합수단은 제2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체(30)의 일단 주연부에 함몰 형성된 결합홈(36)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 결합홈(36)은 이웃하는 다른 편체(30)의 결합홈(36)과 원주방향을 따라 서로 연통되도록 양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coupl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마지막으로, 상기 편체홀더(40)는 편체(30)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편체(30)를 원형으로 배열하기 위한 구성이다. Finally, the
이를 위해 편체홀더(40)는 제1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진 홀더몸체(41)와, 홀더몸체(41)의 일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함몰 형성되고 편체(30)의 결합돌기(35)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홈(42)과, 홀더몸체(41)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삽입홈(42)을 구획하는 구획돌기(43)로 구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따라서 편체(30)의 결합돌기(35)를 홀더몸체(4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삽입홈(52)에 각각 삽입하면 편체(30)를 원형으로 배열 고정할 수 있으므로 편체(30)를 마개(50)의 내측에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공사 현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refore, by inserting the
여기서 편체홀더(40)는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제1철근(R1)이 삽입될 때 편체(30)와 함께 제1철근(R)에 의해 견인될 수도 있고 편체(30)에서 분리되어 이동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편체(30)와 함께 제1철근(R1)에 의해 견인될 경우 직경 확대가 가능해야 한다. Here,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R1 is inserted into the
이를 위해 편체홀더(40)는 홀더몸체(4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편체(30)의 배열직경이 확대 가능하도록 홀더몸체가 일정간격으로 파단되도록 하는 파단홈(4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한편 편체홀더(40)는 제2실시예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편체(30)의 결합홈(36)에 삽입 결합되는 홀더링(45)과, 홀더링(45)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U"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편체(30)의 사이사이로 돌출 형성되는 간격유지돌기(46)로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편체(30)의 결합홈(36)에 홀더링(45)을 삽입하면 편체(30)를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 고정할 수 있으므로 편체(30)를 마개(50)의 내측에 조립하는 작업을 공사 현장에서도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refore, if the
여기서도 편체홀더(40)는 이음관(10)의 제1삽입홀(111)에 제1철근(R1)이 삽입될 때 편체(30)와 함께 제1철근(R1)에 의해 견인될 수도 있고 편체(30)와 분리되어 이동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편체(30)와 함께 제1철근(R1)에 의해 견인될 경우 직경 확대가 가능해야 한다. Here too, when the first reinforcing bar R1 is inserted into the
이를 위해 편체홀더(40)는 간격유지돌기(46)의 절곡 형상에 따라 홀더링(45)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편체(30)의 배열직경이 확대 가능하도록 벌어지면서 홀더링(45)의 직경을 확대시키는 직경확대홈(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emplary, and other embodiments variously modified therefrom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include not only the above embodiments but also various modified oth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100: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10: 이음관
11: 제1연결부
111: 제1삽입홀
112: 이동안내면
113: 압착유도면
12: 제2연결부
121: 제2삽입홀
122: 암나사
13: 접속부
131: 중공
132: 암나사
133: 수나사
20: 탄성부재
21: 통과홀
22: 외경확대부
30: 편체
31: 압착래치
32: 수평이동안내면
33: 지지홈
34: 경사이동안내면
35: 결합돌기
36: 결합홈
40: 편체홀더
41: 홀더몸체
42: 삽입홈
43: 구획돌기
44: 파단홈
45: 홀더링
46: 간격유지돌기
47: 직경확대홈
R1: 제1철근
R2: 제2철근
S: 수나사100: composite connected rebar coupler
10: joint pipe
11: first connection
111: first insertion hole
112: moving guide surface
113: compression induction drawing
12: second connection
121: second insertion hole
122: female thread
13: connection
131: hollow
132: female thread
133: male thread
20: elastic member
21: through hole
22: outer diameter expansion unit
30: flat body
31: compression latch
32: If the horizontal is inside
33: support groove
34: If the slope is inside
35: coupling protrusion
36: coupling groove
40: single body holder
41: holder body
42: insertion groove
43: division protrusion
44: fracture groove
45: holder ring
46: gap-holding protrusion
47: diameter expansion groove
R1: first reinforcing bar
R2: Second reinforcing bar
S: male thread
Claims (10)
상기 제1철근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1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에 연장 형성되고 제2삽입홀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철근이 나사식으로 삽입 연결되는 제2연결부로 이루어지는 이음관;
상기 제1삽입홀에 삽입되고 일단이 상기 제1삽입홀에 고정 지지되고 상기 제1철근의 단부가 내부를 통과하는 탄성부재;
상기 제1삽입홀에 각각 복수 개가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며 상기 제1철근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철근의 단부에 의해 상기 제1철근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배열직경이 확대되어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시키고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귀력에 의해 배열직경이 축소되어 상기 제1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 고정하는 편체; 및
상기 편체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편체를 일정간격을 두고 원형으로 배열하는 편체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부는
단부로 갈수록 내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어 단부 내주면에 상기 편체의 배열직경을 축소시켜 상기 편체가 상기 제1철근의 단부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유도하는 압착유도면이 형성되며,
상기 편체는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외경이 일정하며 상기 제1연결부의 내주면과 면접촉되는 수평이동안내면과, 타측 외주면에 형성되고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점진적으로 축소되며 상기 제1연결부의 상기 압착유도면과의 면접촉에 따라 상기 배열직경을 축소시키는 경사이동안내면과, 내주면에 상기 제1삽입홀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압착래치와, 일측 단부면에 함몰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삽입 지지되는 지지홈과,
상기 편체의 일단 주연부에는
결합돌기가 각각 돌출 형성되고,
상기 편체홀더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각각 삽입 결합되는 삽입홈과, 상기 홀더몸체의 일면에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을 구획하는 구획돌기와, 상기 홀더몸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편체의 배열직경이 확대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몸체가 파단되도록 하는 파단홈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삽입홀의 내부에서 상기 편체에 의해 압축 가능하도록 외경이 상기 제1삽입홀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되, 일단이 상기 제1삽입홀에 압입 고정되도록 외경이 상기 제1삽입홀의 내경과 대응되는 외경확대부가 일단에 구비되며 타단이 상기 지지홈에 삽입 지지되어 상기 편체에 의해 가압되거나 탄성복귀력을 발휘할 때 틀어짐 없이 수직방향으로 곧게 압축되거나 인장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As connecting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processed with male threads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connection part through which a first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is inserted is formed, and a first connection part extending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through which a second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connected in a threaded manner. A joint pipe consisting of two connecting parts;
An elastic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one end fixedly supported by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n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passing through the inside;
A plurality of the first insertion holes are arranged to form a circular shape, each supporting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by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expanded body compresses the elastic member and reduces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by the elastic return force of the compressed elastic member to compress and fix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nd
Includes; a flat body hold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at body to arrange the flat body in a circular shape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connection part
The inner and outer diameters are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en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of the knitted body is reduc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so that the knitted body compresse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d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above body is
The outer diameter is formed on on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outer diameter is constant, and the inner surface is horizontally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on part, an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side. An inclined inner surface that reduces the array diameter according to surface contact, a compression latch protru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 and a support groove formed in a recess in one end surface and supported by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and,
At the periphery of one end of the filament
Each coupling protrusion is formed protruding,
The single body holder is
The holder body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depressed at regular intervals on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respectively inserted and coupled, and a partition protruding from the holder body at regular intervals to partition the insertion groove It includes a protrusion, a break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lder body to allow the holder body to be broken so that the arrangement diameter of the piece body can be enlarged,
The elastic member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 so as to be compressible by the piece inside the first insertion hole, the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insertion hole so that one end is press-fitted into the first insertion hole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enlarged portion is provid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and supported in the support groove and pressed by the piece or exerts an elastic return force, it can be compressed or stretched straight in a vertical direction without distortion.
상기 편체의 배열직경은
상기 제1철근보다 작은 직경으로 배열되고,
상기 편체는
상기 제1철근의 삽입에 따라 상기 제1철근의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배열직경이 확대되고 상기 배열직경이 상기 제1철근의 직경과 대응될 때까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The method of claim 1,
The diameter of the arrangement of the knitted body is
It is arranged in a smaller diameter than the first reinforcing bar,
The above body is
A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moving in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according to the insertion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until the arrangement diameter is enlarged and the arrangement diameter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first reinforcing bar.
상기 이음관은
상기 제2연결부의 제2삽입홀 내측에 나사식으로 삽입 연결되고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의 내주면에 상기 수나사와 대응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제2철근이 나사식으로 삽입 연결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연결식 철근 커플러. The method of claim 1,
The joint pipe is
Including a connection part which is threadedly inserted and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insertion hol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 hollow is formed, and a female screw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so that the second reinforcing bar is inserted and connected in a threaded manner. Composite connection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characterized in tha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1000A KR102253670B1 (en) | 2019-09-30 | 2019-09-30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21000A KR102253670B1 (en) | 2019-09-30 | 2019-09-30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8184A KR20210038184A (en) | 2021-04-07 |
KR102253670B1 true KR102253670B1 (en) | 2021-05-17 |
Family
ID=7546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21000A KR102253670B1 (en) | 2019-09-30 | 2019-09-30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367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7821A (en) * | 2002-05-08 | 2004-01-29 |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 Wedge for anchoring pc steel |
KR101851104B1 (en) * | 2017-07-18 | 2018-04-20 | (주) 유니플로 | One-Touch Type Coupler with the durability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47818A (en) * | 2016-11-01 | 2018-05-10 | 주식회사 씨케이인터스틸 | One-touch Quick-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KR101926130B1 (en) | 2017-03-22 | 2018-12-06 | 주영희 | One-touch type reinforcing bar coupler |
KR20190033369A (en) * | 2017-09-21 | 2019-03-29 | 아이쓰리주식회사 | Coupler for prestressing strand |
KR102083652B1 (en) * | 2017-09-21 | 2020-03-02 | 아이쓰리 주식회사 |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
KR101845850B1 (en) | 2017-11-20 | 2018-04-06 | 주식회사 프라임메탈텍 | Steel reinforcement coupler of one-touch type enable to check insertion depth of steel reinforcement |
KR102101699B1 (en) * | 2018-02-08 | 2020-04-17 | 김태원 | Coupling for steel reinforcement connecting |
-
2019
- 2019-09-30 KR KR1020190121000A patent/KR10225367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7821A (en) * | 2002-05-08 | 2004-01-29 | Sumitomo Denko Steel Wire Kk | Wedge for anchoring pc steel |
KR101851104B1 (en) * | 2017-07-18 | 2018-04-20 | (주) 유니플로 | One-Touch Type Coupler with the durabilit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8184A (en) | 2021-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03302B1 (en) | High strength steel reinforcement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 |
KR101807467B1 (en) | Reinforcing rod a coupling device | |
KR102324815B1 (en) | Key unit for Steel Connecting coupler | |
KR102187018B1 (en) |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KR100957422B1 (en) | One-Touch Type an Iron Rod Connection Coupler for Iron Rod Concrete Construction | |
KR102220916B1 (en)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KR102058317B1 (en) | One touch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KR20170059840A (en) | a coupler for steel reinforcement | |
KR102565226B1 (en) | One-touch type reinforced coupler | |
KR102253670B1 (en) | Composite connection type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KR102203495B1 (en) | One-touch type ferrule coupler using flat plate spring | |
KR101374598B1 (en) | Reinforcing bar coupler | |
KR100725527B1 (en) | A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 | |
KR102438126B1 (en) | One-touch rebar coupler for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 |
KR100309611B1 (en) | Steel reinforcing coupler | |
KR102221614B1 (en) | Connecting coupler of one-touch type for reinforced steel bar | |
KR20200119963A (en) | Coupler for reinforcing bar | |
KR102167075B1 (en) | Rebar coupler having sequential insert assembling structure | |
KR100724634B1 (en) | Steel reinforcement coupler | |
KR102189193B1 (en) | A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bar | |
KR101654465B1 (en) | Field forming couplers improve coherence in different rivers and mountains that precision reinforced connection | |
KR200257716Y1 (en) | Wedge shaped one-touch type steel-frame coupling device | |
KR102649279B1 (en) | Deck Pla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Pressing Jig for the same | |
KR102158265B1 (en) | Semiautomatic Coupler for Connecting Reinforcing Rods | |
KR100372832B1 (en) | One touch type coupling device for reinforcing rod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