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50B1 - Smart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 Google Patents
Smart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3650B1 KR102253650B1 KR1020200010339A KR20200010339A KR102253650B1 KR 102253650 B1 KR102253650 B1 KR 102253650B1 KR 1020200010339 A KR1020200010339 A KR 1020200010339A KR 20200010339 A KR20200010339 A KR 20200010339A KR 102253650 B1 KR102253650 B1 KR 102253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front cover
- smartphone
- pinion
- ar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1/00—Suppor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specific devices to cycles, e.g. supports for attaching map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토바이, 자전거, 차량 등에서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유/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phone cradle capable of mounting a smart phone in a motorcycle, a bicycle, a vehicle, etc. and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mart phone by wire or wirelessly.
일반적으로, 오토바이, 자전거의 운행 중 스마트폰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오토바이 등의 핸들 주변에 스마트폰 거치대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폰을 통한 모바일 환경의 급속한 발달과 유용한 콘텐츠의 제공에 따라 스마트폰의 활용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네비게이션 기능을 이용하거나, 블루투스 기술을 통한 핸즈프리 및 오디오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 거치대는 그 활용과 동시에 배터리 충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 결과, 차량용 스마트폰의 거치대의 보급률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In general, in order to use the functions of a smartphone while driving a motorcycle or a bicycle, a smartphone holder is installed and used around a handle of a motorcycle or the like. This is because the utilization of smartphones is continuously increasin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obile environments and the provision of useful contents through smartphones. For example, a user can use a navigation function through a smartphone, or a hands-free and audio function through Bluetooth technology. In addition, the smartphone cradle provides a battery charging function at the same time as its utilization. As a result, the penetration rate of in-vehicle smartphone cradles continues to rise.
한편,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각기 다른 규격에 대해서도 안정된 장착 상태를 유지하며, 오토바이 등의 운행 중에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진동이나 충격 등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오토바이 등의 운행 환경에서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기능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고정 상태가 해제될 가능성이 항상 제기되었다.On the other hand, the smartphone cradle maintains a stable mounting state even for different standards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smartphone, and must maintain a solid fixed state while driving a motorcycle or the like. However, the conventional smart phone cradle has a problem in that the function of stably fixing the smart phone in a driving environment such as a motorcycle in which vibration or shock frequently occurs is weak. As a result, the possibility that the fixed state will be released has always been raised.
또한, 거치대에 센서 등의 전자적 모듈을 채택하는 경우, 제품 가격이 높아지며, 동시에 고장 등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바, 구매자 입장에서는 추가적인 비용 부담과 또 다른 번거로움의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n electronic module such as a sensor is used in the cradle, the product price increases and the possibility of failure is increased at the same time, and there is a problem of additional cost burden and another hassle from the buyer's point of view.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쉽게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탈착시킬 수 있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 phone holder for a vehicle that can be easily mounted and detached from a smart phone by a simple operation of a user.
또한, 스마트폰에 대한 강력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많은 오토바이 등의 차량 운행에서도 신뢰도 높은 안전성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ong fixing function to the smartphone, it is intended to provide high reliability even in the operation of vehicles such as motorcycles with a lot of vibration or shock.
또한,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유/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거치대에 차별화된 기구 구조를 적용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ired/wireless charging function with a simple operation while the smartphone is mounted. In addition, by applying a differentiated mechanism structure to the cradle,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스마트폰의 후면이 안착되는 전면커버와 상기 전면커버와 조립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커버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 배치되며,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고, 일측에는 제1랙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암내지제4암; 상기 제1랙부와 각각 치합되고, 축 회동을 통해 상기 제1암내지제4암을 신장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키는 피니언부; 및 일측에 상기 피니언부와 치합되는 제2랙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직선 이동되면 상기 피니언부를 회동시켜 상기 제1암내지제4암을 신장시키는 가압신장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comprising a front cover on which the rear of a smartphone is seated and a rear cover assembled with the front cov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first arm to a fourth arm disposed on each corner side of the main body, interworking with each other, and each having a first rack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pinion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rack portion, respectively, and extending or contracting the first to fourth arms through axial rotation; And a second rack portion engaged with the pinion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body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and when the pinion portion is moved in a straight line toward the inside of the body by pressure by a user, the pinion portion is rotated and the It provides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including; a pressure extension member for elongating the first arm to the fourth arm.
상기 피니언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신장부재가 상기 제1암내지제4암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차단 해제시키는 락킹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A locking member may be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pinion part to block or release the pressure extending member from linear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arms are contracted.
상기 가압신장부재는 전체적으로 로드(rod) 형상이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동작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신장부재에는 가압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The pressure and extension members have a rod shape as a whole, and are made of a pair of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an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ressure and extension member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pressed.
상기 락킹부재는 일면 중앙에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 및 상기 누름돌기의 둘레에 복수 개가 원형으로 연속 배치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the pressing protrusion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누름돌기가 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락킹부재가 비연속적으로 걸림 결합되면 상기 락킹부재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홈이 형성될 수 있다.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essing protrusion is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front cover, and when the locking member is non-continuously engaged, a constraining groove may be formed to restrict the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상기 구속홈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straining groove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이너커버가 결합될 수 있다.An inner cover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may be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front cove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쉽게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대한 강력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많은 오토바이 등의 차량 운행에서도 신뢰도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unted and detached from the smartphone by a simple operation of a user. 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ong fixing function to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reliability even in the operation of a vehicle such as a motorcycle with a lot of vibration or shock.
또한,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유/무선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에 차별화된 기구 구조를 적용하여,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ired/wireless charging function with a simple operation while the smartphone is mounted. In addition, by applying a differentiated mechanism structure to the cradle, it is possible to secure product price competitiven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가압신장부재를 가압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전면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
도 4는 제1암내지제4암을 제거한 후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5는 피니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전면커버의 부분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sure extension member is pressed in Figure 1;
Figure 3 is a view of the front cover removed.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fter removing the first to fourth arm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nion portion.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ver.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 as matter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 respect to known func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가압신장부재를 가압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전면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는 제1암내지제4암을 제거한 후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는 피니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전면커버의 부분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a pressure extension member is pressed in FIG. 1, and FIG. 3 is a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cover is removed, and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perspective view after removing the first to fourth arms,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nion portion, and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cover.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본체(10), 제1암내지제4암(20), 피니언부(30), 가압신장부재(40), 락킹부재(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1 to 6, a vehicl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체(10)는 스마트폰의 후면이 안착되는 전면커버(11)와 전면커버(11)와 조립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후면커버(13)로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1)와 후면커버(13)가 조립되면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 결합된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10)는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충전케이블 중 케이블의 어느 일 부분이나 커넥터(c타입, 5핀 등) 등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무선충전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와 무선충전모듈은 상용화된 부품을 채용하거나 공지의 기술에 의해 다른 형태로 설계 가능한 바, 이하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The
후면커버(13)의 내측면에는 가압신장부재(40), 피니언부(30) 등이 수용되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한편, 수용홈의 바닥면에는 충격 등에 대한 강성을 높이기 위한 리브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홈에는 피니언부(30)가 축 회동 가능하게 피니언부(30)의 하단이 수용되는 제1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용홈 일측에는 후술할 제2스프링(44)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고정돌기 등이 더 형성될 수 있다.On the inner side of the
전면커버(11)는 그 내측에 결합되는 이너커버(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면커버(11)와 이너커버(60) 사이에는 무선충전을 위한 충전패드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이너커버(60)에는 제1암내지제4암(20)이 본체(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홈(66)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홈(66)에는 제1암내지제4암(20)의 왕복 이동을 보조적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돌기(68)가 더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전면커버(11)의 외측면에는 거치된 스마트폰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고무재, 천연고무재, 실리콘재, 우레탄재, NBR재 등 소재로 형성되는 미끄럼방지패드가 더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nti-slip pad formed of materials such as general rubber, natural rubber, silicone material, urethane material, and NBR material may be furth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제1암내지제4암(20)은 본체(10)의 각 모서리 측에 배치되며,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고, 일측에는 제1랙부(25)가 각각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암내지제4암(20)은 스마트폰의 각 모서리가 수용되어 스마트폰을 고정시키는 수용홀더(22)와, 수용홀더(22)에 결합되며 일측에 제1랙부(25)가 형성되는 로드플레이트(24)를 포함한다. 또한, 제1암내지제4암(20)에는 제1암내지제4암(20)이 본체(10)의 대각선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가이드홀(26)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홀(26)은 로드플레이트(24)에 로드플레이트(24)의 연장 방향으로 형성되는 장방형 타원 형상일 수 있다. 제1암내지제4암(20)은 로드플레이트(24)가 가이드홈(66) 내에 배치되고, 가이드홀(26)이 가이드돌기(68)에 끼움 결합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The first to
피니언부(30)는 제1랙부(25)와 각각 치합되고, 축 회동을 통해 제1암내지제4암(20)을 신장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킨다. 피니언부(30)는 가압신장부재(40)가 사용자에 의한 가압으로 본체(10)의 내측으로 직선 이동하면 일 방향(일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한편, 피니언부(30)의 하단에는 피니언부(30)의 축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는 예를 들어, 제1스프링(32)일 수 있다. 후술할 누름돌기(52)가 가압되면, 피니언부(30) 역시 눌림에 의해 하강하며,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피니언부(30)는 제1스프링(3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The
가압신장부재(40)는 일측에 피니언부(30)와 치합되는 제2랙부(42)가 형성되고, 타측이 본체(1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본체(10)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으로 본체(10)의 내측으로 직선 이동되면 피니언부(30)를 회동시켜 제1암내지제4암(20)을 신장시킨다. 가압신장부재(40)를 양쪽에서 내측으로 누르면, 제1암내지제4암(20)은 사방으로 벌어진다.The
이런, 가압신장부재(40)는 전체적으로 로드(rod) 형상이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동작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엄지를 포함하는 2개의 손가락을 이용하여 가압신장부재(40)를 가압할 수 있다. 이 때, 가압신장부재(40)의 타단에는 가압될 때 손가락의 접지력을 높이고,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도록 돌기를 포함하는 오목면이 형성될 수 있다.This, the
가압신장부재(40)에는 가압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한다. 이를 위해, 가압신장부재(40)와 전술한 고정돌기 사이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44)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압신장부재(40)가 가압에 의해 내측으로 이동하면, 제2스프링(44)의 길이는 늘어나면서 이에 비례하는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킨다.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on the
한편, 가압신장부재(40)는 제2랙부(42)를 통해 피니언부(30)와 각각 치합되는 바, 한 쌍의 가압신장부재(40)는 좌우 대칭이 아닌, 피니언부(30)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는 형상, 구조를 갖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피니언부(30)의 상면에는 가압신장부재(40)가 제1암내지제4암(20)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차단 해제시키는 락킹부재(50)가 결합될 수 있다. 락킹부재(50)는 가압신장부재(40)가 가압될 때, 제2스프링(44)에 의한 탄성복원력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가압신장부재(40)가 가압되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A locking member 5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락킹부재(50)는 일면 중앙에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52)와, 누름돌기(52)의 둘레에 복수 개가 원형으로 연속 배치되는 제1걸림부(5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걸림부(54)는 비대칭적 형상의 나사산(55)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나사산(55)은 경사면(56) 및 경사면(56)과 이웃하며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면(57)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경사면(56)은 누름돌기(52)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To this end, the locking member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누름돌기(52)는 전면커버(11)를 통해 본체(10)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 전면커버(11)에는 누름돌기(52)가 노출되는 통공(12)이 형성된다. 또한, 전면커버(11)에는 통공(12)과 연통되며, 락킹부재(50)가 비연속적으로 걸림 결합되면 락킹부재(50)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홈(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면커버(11)의 내측에는 통공(12)과 연통되는 이너커버(6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커버(60)에는 통공(12)과 연통되며, 락킹부재(50)가 비연속적으로 걸림 결합되면 락킹부재(50)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홈(16)이 형성될 수 있다.The
구속홈(16)에는 제1걸림부(54)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18)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걸림부(18)는 제1걸림부(54)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제2걸림부(18)는 구속홈(16)의 바닥면 둘레에 복수 개가 원형으로 연속 배치되는 비대칭적 형상의 나사산을 포함한다. 그리고, 나사산은 제1걸림부(54)와 동일하게 경사면 및 경사면과 이웃하며 연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면으로 이루어진다.A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의 작동을 살펴본다. 사용자는 먼저 가압신장부재(40)를 가압하여 제1암내지제4암(20)을 방사 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피니언부(30)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반복적인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이 때, 피니언부(30)는 제1걸림부(54)와 제2걸림부(18)가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치합 위치에서 최고점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치합 위치에서 피니언부(30)는 제2스프링(44)에 의한 탄성복원력에도 불구하고, 걸림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Next, it looks at the operation of the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may first press the
치합 위치에서 가압신장부재(40)를 더 가압하면, 제1걸림부(54)와 제2걸림부(18)는 치합 위치에서 이탈하면서 피니언부(30)는 하강 운동을 하게 한다. 가압신장부재(40)를 더 가압하면, 다시 치합 위치가 되면서 피니언부(30)는 제1스프링(32)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최고점에 위치하게 되고, 걸림 결합에 의해 고정된다. 이런 방법으로, 사용자는 제1암내지제4암(20)을 원하는 만큼 신장시킨 후 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걸림 결합과 그 해제의 반복에 따라 예를 들어, 딸각딸각거리는 소리가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pressing and extending
그 다음,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적어도 어느 두 모서리가 제1암내지제4암(20)의 각 수용홀더(22)에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후면을 이용하여 전면커버(11)를 통해 노출되는 누름돌기(52)를 가압한다. 누름돌기(52)가 가압되면 제1스프링(32)이 압축되면서 피니언부(30)는 하강 운동하게 된다. 이 때, 가압신장부재(40)에 작용하는 제2스프링(44)에 의한 탄성복원력은 순식간에 피니언부(30)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동시에 피니언부(30)와 치합되어 상호 연동하는 제1암내지제4암(20)을 수축시킨다. 동시에, 피니언부(30)는 피니언부(30)와 치합되어 있는 가압신장부재(40)를 순식간에 본체(10)의 외측으로 직선 운동하게 한다. 그 결과, 스마트폰의 각 모서리는 제1암내지제4암(20)에 의해 고정되며, 사용자의 스마트폰은 본체(10)에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Then, the user causes at least any two corners of the smartphone to be inserted into each of the receiving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는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손쉽게 스마트폰을 거치하고 탈착시킬 수 있다. 또한, 스마트폰에 대한 강력한 고정 기능을 제공하여 진동이나 충격이 많은 오토바이 등의 차량 운행에서도 신뢰도 높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smartphone hold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can easily mount and detach the smartphone by a simple oper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by providing a strong fixing function to the smartphone, it is possible to provide high reliability even in the operation of a vehicle such as a motorcycle with a lot of vibration or shock.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exemplarily described,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specific embodim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changed within the scope described in the claims.
10 : 본체 20 : 제1암내지제4암
30 : 피니언부 40 : 가압신장부재
50 : 락킹부재 52 : 누름돌기
54 : 제1걸림부 55 : 나사산
11 : 전면커버 12 : 통공
13 : 후면커버 25 : 제1랙부
26 : 가이드홀 32 : 제1스프링
60 : 이너커버 16 : 구속홈
18 : 제2걸림부 66 : 가이드홈
68 : 가이드돌기 22 : 수용홀더
24 : 로드플레이트 42 : 제2랙부
44 : 제2스프링 56 : 경사면
57 : 걸림면10: main body 20: first arm to fourth arm
30: pinion portion 40: pressurized extension member
50: locking member 52: pressing protrusion
54: first engaging portion 55: thread
11: front cover 12: through hole
13: rear cover 25: first rack portion
26: guide hole 32: first spring
60: inner cover 16: restraint groove
18: second locking part 66: guide groove
68: guide protrusion 22: receiving holder
24: load plate 42: second rack portion
44: second spring 56: inclined surface
57: locking side
Claims (7)
상기 본체의 각 모서리 측에 배치되며, 상호 연동되어 동작하고, 일측에는 제1랙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암내지제4암;
상기 제1랙부와 각각 치합되고, 축 회동을 통해 상기 제1암내지제4암을 신장시키거나 또는 수축시키는 피니언부; 및
일측에 상기 피니언부와 치합되는 제2랙부가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사용자에 의한 가압으로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직선 이동되면 상기 피니언부를 회동시켜 상기 제1암내지제4암을 신장시키는 가압신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피니언부의 상면에는 상기 가압신장부재가 상기 제1암내지제4암이 수축되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는 것을 차단시키거나 차단 해제시키는 락킹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락킹부재는 일면 중앙에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는 누름돌기; 및
상기 누름돌기의 둘레에 복수 개가 원형으로 연속 배치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누름돌기가 노출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커버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되며, 상기 락킹부재가 비연속적으로 걸림 결합되면 상기 락킹부재의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A main body comprising a front cover on which the rear of the smartphone is seated and a rear cover assembled with the front cover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therein;
A first arm to a fourth arm disposed on each corner side of the main body and operating in association with each other, and each having a first rack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A pinion portion that meshes with the first rack portion, respectively, and extends or contracts the first to fourth arms through axial rotation; And
A second rack part engaged with the pinion part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Including; a pressurized elongation member for elongating the 1 arm to the fourth arm,
A lock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nion part for blocking or releasing the pressure extending member from linear movemen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to fourth arms are contracted,
The locking member includes a pressing protrusion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in the center of one surfac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first locking portions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circle around the pressing protrusion,
The front cover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pressing protrusion is exposed, the front cover communicates with the through hole, and when the locking member is non-continuously engaged, a constraining groove for restricting rotation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holder.
상기 가압신장부재는 전체적으로 로드(rod) 형상이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 동작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압신장부재에는 가압되는 정도에 비례하여 탄성복원력이 작용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ure elongation member has a rod shape as a whole, and consists of a pair of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in which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to which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pressure elongation member.
상기 구속홈에는 상기 제1걸림부와 치합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in which a second locking portion meshing with the first locking portion is formed in the restraining groove.
상기 전면커버의 내측에는 상기 통공과 연통되는 이너커버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The method of claim 1,
A smartphone crad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 inner cover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is coupled to an inner side of the front co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0339A KR102253650B1 (en) | 2020-01-29 | 2020-01-29 | Smart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10339A KR102253650B1 (en) | 2020-01-29 | 2020-01-29 | Smart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3650B1 true KR102253650B1 (en) | 2021-05-17 |
Family
ID=76158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10339A KR102253650B1 (en) | 2020-01-29 | 2020-01-29 | Smart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3650B1 (en)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2101B1 (en) * | 2015-03-02 | 2015-11-26 | 서치영 | Smartphone cradle for handle of vehicle |
KR101717019B1 (en) | 2016-05-04 | 2017-03-15 | 박은주 | Smart phone holder with locking structure |
KR101809061B1 (en) | 2017-08-31 | 2017-12-14 | 최상억 | Smartphone holder |
KR20180113941A (en) | 2018-08-23 | 2018-10-17 | 주식회사 인트비즈 |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method for holding and detaching a portable phone thereof |
KR101924395B1 (en) | 2018-08-30 | 2018-12-03 |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 Charging Cradle for Vehicles |
KR20190000709U (en) * | 2017-09-11 | 2019-03-20 | 주식회사 월드툴 | Portable Smart Device Holder For Vehicle |
KR20190137424A (en) * | 2018-06-01 | 2019-12-11 | 조규호 | Cradle of portable terminal |
-
2020
- 2020-01-29 KR KR1020200010339A patent/KR1022536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72101B1 (en) * | 2015-03-02 | 2015-11-26 | 서치영 | Smartphone cradle for handle of vehicle |
KR101717019B1 (en) | 2016-05-04 | 2017-03-15 | 박은주 | Smart phone holder with locking structure |
KR101809061B1 (en) | 2017-08-31 | 2017-12-14 | 최상억 | Smartphone holder |
KR20190000709U (en) * | 2017-09-11 | 2019-03-20 | 주식회사 월드툴 | Portable Smart Device Holder For Vehicle |
KR20190137424A (en) * | 2018-06-01 | 2019-12-11 | 조규호 | Cradle of portable terminal |
KR20180113941A (en) | 2018-08-23 | 2018-10-17 | 주식회사 인트비즈 | Device for holding a portable phon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and method for holding and detaching a portable phone thereof |
KR101924395B1 (en) | 2018-08-30 | 2018-12-03 | 주식회사 제이케이컴즈 | Charging Cradle for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51069B2 (en) | Mount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 |
EP2927556A1 (en) | Holder mechanism | |
CN101841581B (en) | Stylus pen ejecting mechanism | |
JP4961356B2 (en) | Pen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 |
US8886257B2 (en) | Electronic device | |
US9740243B2 (en) | Hou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60091135A1 (en) | Positionable lift stand | |
US8493368B2 (en) | Stylus fixing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JP6210675B2 (en) | Tape measure holder | |
KR101650766B1 (en) | Mounting member | |
KR102253650B1 (en) | Smart phone holder for the vehicle | |
JP2013093002A (en) | Cover case and cover case set | |
CN101877730A (e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060257196A1 (en) | Mechanism for positioning a stylus | |
KR20110081389A (en) | Antenna apparatus | |
CN104670111B (en) | Fixing device for mobile phone in vehicle | |
US9201451B2 (en) | Holding structure | |
JP5389708B2 (en) | Input pen hold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 |
JP2010165541A (en) | Electronic device | |
JP2007098522A (en) | Supporting instrument | |
JP2007123179A (en) | Battery pack | |
KR102360864B1 (en) | Hands-free neck pillow | |
JP3225411U (en) | Protective cover for electronic devices | |
JP2014120972A (en) | Holder of tablet typ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 |
KR101575799B1 (en) | Supporter for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