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456B1 -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456B1
KR102252456B1 KR1020190045646A KR20190045646A KR102252456B1 KR 102252456 B1 KR102252456 B1 KR 102252456B1 KR 1020190045646 A KR1020190045646 A KR 1020190045646A KR 20190045646 A KR20190045646 A KR 20190045646A KR 102252456 B1 KR102252456 B1 KR 102252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ue
time
sensor
generating device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5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2667A (ko
Inventor
조병성
이원경
이종섭
한대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190045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456B1/ko
Priority to CN202080001225.2A priority patent/CN112118751B/zh
Priority to PCT/KR2020/005017 priority patent/WO2020213916A2/en
Priority to EP20747334.9A priority patent/EP3817597B1/en
Priority to JP2020540316A priority patent/JP7244173B2/ja
Priority to US16/970,814 priority patent/US20230109861A1/en
Publication of KR2020012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456B1/ko
Priority to JP2022094756A priority patent/JP729474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4F47/008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3Monitoring, e.g. fault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05Devices without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 G01L23/08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operated electrically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0Devices with integrated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23/00Devices or apparatu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or recording rapid changes, such as oscillations, in the pressure of steam, gas, or liquid; Indicators for determining work or energy of steam, internal-combustion, or other fluid-pressure engines from the condition of the working fl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1 시작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작 시간 이후,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증가하다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에 도달하는 시간인 제1 종료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종료 시간과 상기 제1 시작 시간의 차이인 제1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Method for counting puff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에 관한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에어로졸 생성 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이 생성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퍼프 횟수를 정확하게 카운트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8-0111460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1 시작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작 시간 이후,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증가하다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에 도달하는 시간인 제1 종료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종료 시간과 상기 제1 시작 시간의 차이인 제1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히터가 가열을 시작하는 시간인 가열 시작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열 시작 시간 이후, 상기 히터가 가열을 종료하는 시간인 가열 종료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가열 종료 시간과 상기 가열 시작 시간의 차이인 가열 기간과 기준 가열 기간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가열 기간이 상기 기준 가열 기간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1 시작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시작 시간으로부터 제1 기준 기간이 경과한 이후에,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증가하다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에 도달하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히터 및 상기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1 시작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작 시간 이후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증가하다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에 도달하는 시간인 제1 종료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종료 시간과 상기 제1 시작 시간의 차이인 제1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한다.
사용자의 정상적인 1회 흡입 동작이 아닌 비정상적인 흡입 동작, 외부 압력 변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의 기류의 일시적인 흔들림 등과 같은 노이즈에 의해 퍼프 횟수가 카운트되는 것을 방지하여, 퍼프 횟수 카운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단계 S19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와 이를 구비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결합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하는 카트리지(20)와, 카트리지(20)를 지지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 상태에서 본체(10)에 결합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일부분이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삽입됨으로써 카트리지(20)가 본체(10)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예를 들어 액체 상태나, 고체 상태나, 기체 상태나, 겔(gel) 상태 등의 어느 하나의 상태를 갖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보유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예를 들어,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및 비타민 혼합물의 어느 하나의 성분이나, 이들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액상 조성물은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에어로졸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 염이 첨가된 임의의 중량비의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액상 조성물에는 2종 이상의 니코틴 염이 포함될 수도 있다. 니코틴 염은 니코틴에 유기산 또는 무기산을 포함하는 적절한 산을 첨가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니코틴은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니코틴 또는 합성 니코틴으로서, 액상 조성물의 총 용액 중량에 대한 임의의 적절한 중량의 농도를 가질 수 있다.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혈중 니코틴 흡수 속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작동 온도, 향미 또는 풍미, 용해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코틴 염의 형성을 위한 산은 벤조산, 락트산, 살리실산, 라우르산, 소르브산, 레불린산, 피루브산, 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부티르산, 발레르산, 카프로산, 카프릴산, 카프르산, 시트르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페닐아세트산, 타르타르산, 숙신산, 푸마르산, 글루콘산, 사카린산, 말론산 또는 말산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독의 산 또는 상기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산들의 혼합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달되는 전기 신호 또는 무선 신호 등에 의해 작동함으로써 카트리지(20)의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트리지(20)는 본체(1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초음파 진동 방식을 이용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카트리지(20)가 자체적인 전력원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본체(10)로부터 카트리지(20)에 전달되는 전기적인 제어 신호나 무선 신호에 의해 카트리지(20)가 작동함으로써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카트리지(20)는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하는 액체 저장부(21)와, 액체 저장부(21)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에어로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화기(atomizer)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가 내부에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수용한다'는 것은 액체 저장부(21)가 그릇(container)의 용도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단순히 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과, 액체 저장부(21)의 내부에 예를 들어 스펀지(sponge)나 솜이나 천이나 다공성 세라믹 구조체와 같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함침(함유)하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화기는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액체 전달 수단(wick; 윅)과, 액체 전달 수단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전달 수단은 예를 들어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전기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킴으로써 액체 전달 수단에 전달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하여 구리, 니켈, 텅스텐 등의 금속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예를 들어, 금속 열선(wire),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니크롬선과 같은 소재를 이용하여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현되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무화기는 또한 별도의 액체 전달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흡수하여 에어로졸로 변환하기 위한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과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메시 형상(mesh shape)이나 판 형상(plate shape)의 발열체로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내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는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21)는 본체(10)에 결합할 때에 본체(10)의 홈(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액체 저장부(21)로부터 돌출하는 돌출창(21a)을 포함한다. 마우스피스(22) 및 액체 저장부(21)의 전체가 투명한 플라스틱이나 유리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액체 저장부(21)의 일부분에 해당하는 돌출창(21a)만이 투명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본체(10)는 수용 공간(19)의 내측에 배치된 접속 단자(10t)를 포함한다. 본체(10)의 수용 공간(19)에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가 삽입되면 본체(10)는 접속 단자(10t)를 통하여 카트리지(20)에 전력을 제공하거나, 카트리지(20)의 작동과 관련한 신호를 카트리지(20)에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20)의 액체 저장부(21)의 일측 단부에는 마우스피스(22)가 결합된다. 마우스피스(2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사용자의 구강으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마우스피스(22)는 액체 저장부(21)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에어로졸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공(22a)을 포함한다.
본체(10)에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더(7)는 본체(10)에 대해 이동함으로써 본체(10)에 결합된 카트리지(20)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덮거나 마우스피스(22)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슬라이더(7)는 카트리지(20)의 돌출창(21a)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장공(7a)을 포함한다.
슬라이더(7)는 내부가 비어 있으며 양측 단부가 개방된 통 형상을 갖는다. 슬라이더(7)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의 가장자리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한 클립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절곡된 판의 구조나, 만곡된 원호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 구부러진 반원통 형상 등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7)는 본체(10)와 카트리지(20)에 대한 슬라이더(7)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자성체를 포함한다. 자성체는 영구자석이나, 철, 니켈, 코발트, 또는 이들의 합금 등과 같은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성체는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1 자성체(8a)와, 슬라이더(7)의 내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제2 자성체(8b)를 포함한다.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는 슬라이더(7)의 이동 방향, 즉 본체(10)가 연장하는 방향인 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가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 고정 자성체(9)를 포함한다. 본체(10)의 고정 자성체(9)도 수용 공간(1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7)의 위치에 따라, 고정 자성체(9)와 제1 자성체(8a) 또는 고정 자성체(9)와 제2 자성체(8b) 사이에서 작용하는 자력에 의하여 슬라이더(7)는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거나 노출시키는 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체(10)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 슬라이더(7)의 제1 자성체(8a)와 제2 자성체(8b)의 이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3)를 포함한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3)는 예를 들어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하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한 홀 센서(hall I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서 본체(10)와 카트리지(20)와 슬라이더(7)는 길이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의 단면 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지만, 실시예는 이러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형상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예를 들어 원형이나 타원형이나 정사각형이나 여러 가지 형태의 다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할 때 반드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구조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편하게 예를 들어 유선형으로 만곡되거나 특정 영역에서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며 길게 연장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일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덮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마우스피스(22)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며 청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는 슬라이더(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을 시각적으로 확인함으로써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사용하기 위해서 슬라이더(7)를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예시적인 다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는 슬라이더(7)가 본체(10)와 결합된 카트리지의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구강에 마우스피스(22)를 삽입하여 마우스피스(22)의 배출공(22a)을 통해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을 흡입할 수 있다.
슬라이더(7)가 마우스피스(22)의 단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도 슬라이더(7)의 장공(7a)을 통하여 카트리지의 돌출창(21a)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사용자가 카트리지가 보유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잔량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배터리(31), 히터(32), 센서(33), 사용자 인터페이스(34), 메모리(35) 및 제어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설계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본체만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에 위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될 수 있고,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은 본체 및 카트리지에 나뉘어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포함된 하드웨어 구성들 중 적어도 일부는 본체 및 카트리지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포함된 각 구성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한정하지 않고,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배터리(3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즉, 배터리(31)는 히터(32)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 내에 구비된 다른 하드웨어 구성들, 즉, 센서(33), 사용자 인터페이스(34), 메모리(35) 및 제어부(36)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31)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이거나 일회용 배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31)는 리튬폴리머(LiPoly) 배터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히터(32)는 제어부(36)의 제어에 따라 배터리(31)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는다. 히터(32)는 배터리(31)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삽입된 궐련을 가열하거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장착된 카트리지를 가열할 수 있다.
히터(3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본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본체 및 카트리지로 구성되는 경우, 히터(32)는 카트리지에 위치할 수 있다. 히터(32)가 카트리지에 위치하는 경우, 히터(32)는 본체 및 카트리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위치한 배터리(3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히터(32)는 임의의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전기 저항성 물질은 타이타늄, 지르코늄, 탄탈럼, 백금, 니켈, 코발트, 크로뮴, 하프늄, 나이오븀, 몰리브데넘,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니크롬 등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히터(32)는 금속 열선(wire),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이 배치된 금속 열판(plate), 세라믹 발열체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히터(32)는 카트리지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히터(32), 액체 전달 수단 및 액체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액체 저장부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액체 전달 수단으로 이동하고, 히터(32)는 액체 전달 수단에 흡수된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히터(32)는 니켈크롬과 같은 소재를 포함하고 액체 전달 수단에 감기거나 액체 전달 수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히터(32)는 유도 가열식 히터일 수 있다. 히터(32)는 궐련 또는 카트리지를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궐련 또는 카트리지에는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센서(33)에서 센싱된 결과는 제어부(36)로 전달되고, 센싱 결과에 따라 제어부(36)는 히터의 동작 제어, 흡연의 제한, 궐련(또는 카트리지) 삽입 유/무 판단, 알림 표시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센서(33)는 퍼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퍼프 감지 센서는 온도 변화, 유량(flow) 변화, 전압 변화 및 압력 변화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내부의 기류 패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내부에 기류 패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는 기류 패스의 인근에 배치되어 기류 패스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는 저항 센서 또는 커패시턴스 센서 등과 같은 접촉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감지 센서는 사용자의 입술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접촉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는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감지 센서는 히터(32)(또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가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히터(32)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거나,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대신 히터(32) 자체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히터(32)가 온도 감지 센서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별도의 온도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33)는 위치변화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변화 감지 센서는 본체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의 위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4)는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4)는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램프, 촉각 정보를 출력하는 모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입/출력(I/O) 인터페이싱 수단들(예를 들어, 버튼 또는 터치스크린)과 데이터 통신을 하거나 충전 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단자들, 외부 디바이스와 무선 통신(예를 들어, 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Field Communication) 등)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싱 모듈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싱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는 위의 예시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4) 예시들 중 일부만이 취사 선택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메모리(3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 내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하드웨어로서, 메모리(35)는 제어부(36)에서 처리된 데이터들 및 처리될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5)는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과 같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의 다양한 종류들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35)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동작 시간, 최대 퍼프 횟수, 현재 퍼프 횟수, 적어도 하나의 온도 프로파일 및 사용자의 흡연 패턴에 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3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하드웨어이다. 제어부(36)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어부(36)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에 의해 센싱된 결과를 분석하고 뒤이어 수행될 처리들을 제어한다.
제어부(36)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32)의 동작이 개시 또는 종료되도록 히터(32)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히터(32)가 소정의 온도까지 가열되거나 적절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히터(32)에 공급되는 전력의 양 및 전력이 공급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 후 히터(32)의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히터(32)의 모드를 예열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퍼프를 감지한 후 히터(32)의 모드를 예열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히터(32)에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제어부(36)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33)에 의해 센싱된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3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퍼프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한 후 퍼프 횟수가 기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제어부(36)는 램프, 모터 및 스피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곧 종료될 것임을 예고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별도의 크래들과 함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크래들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배터리(31)를 충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는 크래들 내부의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크래들의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배터리(31)를 충전할 수 있다.
도 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토대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살펴본다.
단계 S11에서, 제어부(36)는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1)이 제1 기준 압력값(pr_th1)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1 시작 시간(s_t1)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원이 켜진 후,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에 기초하여,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은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보다 일정 크기(pr_c) 작은 값일 수 있다.
이때, 일정 크기(pr_c)는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크기(pr_c)는 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퍼프로 인해 감소하는 정도로부터 결정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가 측정한 압력이 퍼프로 인해 40만큼 감소한다면, 일정 크기(pr_c)는 압력이 감소하는 정도인 40의 30%인 12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이 100이고, 일정 크기(pr_c)가 12라면,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은 100보다 12 작은 값인 88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은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보다 일정 비율 작은 값일 수 있다.
이때, 일정 비율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이 100이고, 일정 비율이 80%라면,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은 100의 80%인 8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압력값(pr_s)이 측정되는 임의의 시점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원이 켜진 시점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히터(32)의 예열이 완료된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만약,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을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과 동일하게 설정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미세한 압력 변화도 퍼프로 인식될 수 있다.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을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_s)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보다 강인하게 퍼프를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게 되어, 센서(33)가 측정하는 압력값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1에서 획득한 제1 시작 시간(s_t1)은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11에서, 제어부(36)는 에어로졸 생성을 위해 히터(32)가 가열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시작 시간(s_t1)은 히터(32)가 가열을 시작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제어부(36)는 제1 시작 시간 이후,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1)이 증가하다가 제1 기준 압력값(pr_th1)에 도달하는 시간인 제1 종료 시간(e_t1)을 획득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는 제1 시작 시간(s_t1)을 획득하는데 사용한 제1 기준 압력값(pr_th1)과 동일한 값에 기초하여, 제1 종료 시간(e_t1)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흡입을 종료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압력이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기 전으로 복구되어, 센서(33)가 측정하는 압력값이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기 전의 압력값으로 돌아올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13에서 획득한 제1 종료 시간(e_t1)은 사용자가 흡입을 종료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13에서, 제어부(36)는 에어로졸 생성을 중단하기 위해 히터(32)가 가열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종료 시간(e_t1)은 히터(32)가 가열을 종료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15에서, 제어부(36)는 제1 종료 시간(e_t1)과 제1 시작 시간(s_t1)의 차이인 제1 기간(pe1)이 제1 기준 기간(pe_th1)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1 종료 시간(e_t1)과 제1 시작 시간(s_t1)의 차이인 제1 기간(pe1)은 사용자가 흡입을 한 기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기간(pe_th1)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 기간(pe_th1)을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1회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적인 시간일 수 있다.
단계 S17에서, 제어부(36)는 제1 기간(pe1)이 제1 기준 기간(pe_th1)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면, 사용자의 정상적인 1회 흡입 동작이 아닌 비정상적인 흡입 동작, 외부 압력 변화, 에어로졸 생성 장치(5) 내부의 기류의 일시적인 흔들림 등과 같은 노이즈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여 퍼프 횟수가 카운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단계 S10을 더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토대로, 단계 S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단계 S10에서, 제어부(36)는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원이 켜질 때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 에 기초하여,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보다 작은 값으로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설정된 제1 기준 압력값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원이 꺼질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원이 켜진 뒤, 임의의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에 기초하여,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보다 작은 값으로 으로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원이 켜진 뒤, 히터(32)의 예열 시간이 끝난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제어부(36)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전원이 켜진 후부터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기 전 사이의 일 시점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5)가 전원이 켜질 때마다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하여, 사용자가 흡연하는 공간의 압력을 반영하여 제1 기준 압력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퍼프 횟수를 보다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다. 나아가, 히터(32)의 예열 시간이 끝난 후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에 기초하여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하여, 히터(32)의 가열 개시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는 요인을 제거하고 제1 기준 압력값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퍼프 횟수를 보다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다.
도 8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단계 S16을 더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토대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단계 S16 및 단계 S17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단계 S16에서, 제어부(36)는 제1 시작 시간(s_t1)과 제1 종료 시간(e_t1) 사이에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2)이 제2 기준 압력값(pr_th2)보다 작은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기준 압력값(pr_th2)은 제1 기준 압력값(pr_th1)보다 작은 값으로, 미리 설정되는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압력값(pr_th2)은 사용자의 흡입으로 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압력이 감소하였는지를 판별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압력값(pr_th2)은 제1 기준 압력값(pr_th1)보다 일정 크기 작은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압력값(pr_th2)은 제1 기준 압력값(pr_th1)이 재설정됨에 따라, 함께 재설정될 수 있다.
단계 S17에서, 단계 S15와 단계 S16을 만족하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제1 시작 시간(s_t1)과 제1 종료 시간(e_t1) 사이의 기간은 사용자가 흡입하고 있는 기간에 대응된다. 사용자의 정상적인 흡입 동작에 의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여 제1 시작 시간(s_t1)과 제1 종료 시간(e_t1)이 측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의도치 않게 사용자의 비정상적인 흡입 동작 또는 외부 환경 변화 등에 의한 노이즈로 인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5)의 내부 압력이 변화하여, 제1 시작 시간(s_t1)과 제1 종료 시간(e_t1)이 측정될 수 있다. 제어부(36)는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2)과 제2 기준 압력값(pr_th2)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정상적인 흡입 동작을 판별할 수 있으며, 퍼프 횟수를 보다 정확하게 카운트할 수 있다.
도 10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단계 S19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단계 S18 및 단계 S19를 더 포함하는 점이 다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토대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단계 S18 및 단계 S19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단계 S18에서, 제어부(36)는 단계 S17에서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한 시간인 카운팅 시간(c_t1)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6)가 단계 S13 내지 단계 S17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일 수 있으며, 카운팅 시간(c_t1)은 제1 종료 시간(e_t1)과 동일하다고 간주가 가능한 시간일 수 있다.
단계 S19에서, 제어부(36)는 카운팅 시간(c_t1)으로부터 제2 기준 기간(pe_th2)이 경과할 때까지 퍼프 횟수의 카운트를 중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9는 도 11의 단계 S191 내지 단계 S193으로 구체화될 수 있다.
단계 S191에서, 제어부(36)는 카운팅 시간(c_t1) 이후,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3)이 제1 기준 압력값(pr_th1)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2 시작 시간(s_t2)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시작 시간(s_t2)은 사용자가 제1 시작 시간(s_t1)에서 제1 종료 시간(e_t1)까지의 흡입 후, 다시 흡입을 시작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192에서, 제어부(36)는 제2 시작 시간(s_t2)과 카운팅 시간(c_t1)의 차이인 제2 기간(pe2)이 제2 기준 기간(pe_th2) 미만인지 판단할 수 있다.
제2 기준 기간(pe_th2)은 사용자의 일 흡입 동작과 다음 흡입 동작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준값이다. 예를 들어, 제2 기준 기간(pe_th2)은 제1 기준 기간(pe_th1)보다 긴 기간일 수 있다.
단계 S193에서, 제어부(36)는 제2 기간(pe2)이 제2 기준 기간(pe_th2) 미만이면, 제2 시작 시간(s_t2) 이후,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상기 제1 기준 압력값(pr_th1)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3 시작 시간(s_t3)을 획득할 수 있다.
반대로, 제2 기간(pe2)이 제2 기준 기간(pe_th2) 이상이면, 제어부(36)는 제2 시작 시간(s_t2) 이후,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3)이 증가하다가 제1 기준 압력값(pr_th1)에 도달하는 시간인 제2 종료 시간(e_t2)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제2 종료 시간(e_t2)과 제2 시작 시간(s_t2)의 차이인 제3 기간(pe3)이 제1 기준 기간(pe_th1)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는 제3 기간(pe3)이 제1 기준 기간(pe_th1)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방법으로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 한 이후, 비정상적으로 빨리 퍼프 횟수가 다시 카운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의 일 예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토대로,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살펴본다.
단계 S21에서, 제어부(36)는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4)이 제1 기준 압력값(pr_th1)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1 시작 시간(s_t1)을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23에서, 제어부(36)는 제1 시작 시간(s_t1)에서 제1 기준 기간(pe_th1)이 경과한 이후,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pr4)이 증가하다가 제1 기준 압력값(pr_th1)에 도달하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면, 제1 시작 시간(s_t1)으로부터 제1 기준 기간(pe_th1)이 경과하는 동안 센서(33)가 측정하는 압력값에 영향을 받지 않고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시작 시간(s_t1)으로부터 제1 기준 기간(pe_th1)이 경과하는 동안, 노이즈 등에 의해 순간적으로 센서(33)가 측정한 압력값이 제1 기준 압력값(pr_th1)에 도달하더라도, 제어부(36)는 이러한 현상에 영향 없이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제1 시작 시간(s_t1)으로부터 제1 기준 기간(pe_th1)이 경과할 때까지 센서(33)의 동작을 정지할 수 있으며, 그에 상응하는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5)를 토대로, 도 15를 참조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의 일 예를 살펴본다.
단계 S31에서, 제어부(36)는 히터(32)가 가열을 시작하는 시간인 가열 시작 시간을 획득한다.
제어부(36)는 사용자가 흡입하는 동안 히터(32)가 가열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가열 시작 시간은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시작 시간은 배터리(31)로부터 히터(32)에 전력이 제공되기 시작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36)는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센서(33)의 출력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3)가 압력 센서인 경우, 제어부(36)는 압력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기준값 이하로 내려가면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였다고 판단하여, 압력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기준값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을 가열 시작 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3)가 접촉 감지 센서인 경우, 제어부(36)는 접촉 감지 센서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와 접촉(예를 들어, 마우스 피스를 입으로 무는 동작)한 것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흡입을 시작하였다고 판단하여, 접촉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한 시간을 가열 시작 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단계 S33에서, 제어부(36)는 가열 시작 시간 이후, 히터(32)가 가열을 종료하는 시간인 가열 종료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36)는 사용자가 흡입을 끝내면 히터(32)가 가열을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가열 종료 시간은 사용자의 흡입이 끝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가열 종료 시간은 배터리(31)로부터 히터(32)에 전력 제공이 종료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36)는 사용자가 흡입을 끝냈는지 판단하기 위해, 센서(33)의 출력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3)가 압력 센서인 경우, 제어부(36)는 압력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기준값으로 복원되면 사용자가 흡입을 마쳤다고 판단하여, 압력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기준값에 도달하는 시간을 가열 종료 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33)가 접촉 감지 센서인 경우, 제어부(36)는 접촉 감지 센서가 사용자가 에어로졸 생성 장치(5)와 접촉(예를 들어, 마우스 피스를 입으로 무는 동작)을 종료한 것을 감지하면, 사용자가 흡입을 마쳤다고 판단하여, 접촉 감지 센서가 사용자의 접촉이 사라진 것을 감지한 시간을 가열 종료 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가열 시작 시간 및 가열 종료 시간은 PWM 제어에 의해 가열 기간 도중에 히터의 On/Off가 반복되는 시간과 구별되어야 한다. 즉, 가열 시작 시간은 PWM 제어가 시작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고, 가열 종료 시간은 PWM 제어가 종료되는 시간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 S35에서, 제어부(36)는 가열 종료 시간과 가열 시작 시간의 차이인 가열 기간이 기준 가열 기간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가열 기간은 사용자가 흡입을 한 기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가열 기간은 미리 설정된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가열 기간은 사용자가 에어로졸을 1회 흡입하는데 소요되는 평균적인 시간일 수 있다.
단계 S37에서, 제어부(36)는 가열 기간이 기준 가열 기간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면, 히터(32)가 가열되는 기간에 기초하여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5)에 장착된 센서의 종류가 변하여도 동일한 알고리즘으로 퍼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3: 위치변화 감지 센서 5: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슬라이더 7a: 장공
8a: 제1 자성체 8b: 제2 자성체
9: 고정 자성체 10t: 단자
10: 본체 11: 홈
19: 수용 공간 20: 카트리지
21a: 돌출창 21: 액체 저장부
22: 마우스피스 22a: 배출공
31: 배터리 32: 히터
33: 센서 34: 사용자 인터페이스
35: 메모리 36: 제어부

Claims (10)

  1. 에어로졸 생성 장치가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을 베이스 압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센서가 상기 베이스 압력값보다 작은 제1 기준 압력값을 측정한 제1 시작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시작 시간 이후, 상기 센서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을 다시 측정한 제1 종료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 종료 시간과 상기 제1 시작 시간의 차이인 제1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시작 시간과 상기 제1 종료 시간 사이에 측정되는 압력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은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을 베이스 압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이 켜질 때마다, 임의의 시점에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을 상기 베이스 압력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을 재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을 상기 베이스 압력값보다 작은 값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점은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이 켜진 시점 및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히터의 예열이 완료된 시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작 시간과 상기 제1 종료 시간 사이에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제2 기준 압력값 이하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상이고, 상기 제1 시작 시간과 상기 제1 종료 시간 사이에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상기 제2 기준 압력값 이하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 압력값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은 값인,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한 시간인 카운팅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팅 시간으로부터 제2 기준 기간이 경과할 때까지 퍼프 횟수의 카운트를 중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퍼프 횟수의 카운트를 중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운팅 시간 이후,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상기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2 시작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2 시작 시간과 상기 카운팅 시간의 차이인 제2 기간이 상기 제2 기준 기간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기간이 상기 제2 기준 기간 미만이면, 상기 제2 시작 시간 이후, 상기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이 상기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아지기 시작하는 시간인 제3 시작 시간을 획득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8.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는 히터;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히터 및 상기 센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포함된 센서가 측정한 압력값을 베이스 압력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베이스 압력값보다 작은 제1 기준 압력값을 측정한 제1 시작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시작 시간 이후, 상기 센서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을 다시 측정한 제1 종료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제1 종료 시간과 상기 제1 시작 시간의 차이인 제1 기간이 제1 기준 기간 이상인지 판단하고, 상기 제1 기간이 상기 제1 기준 기간 이상이면, 퍼프 횟수를 1회 카운트하고,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제1 시작 시간과 상기 제1 종료 시간 사이에 측정되는 압력은 상기 제1 기준 압력값보다 작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45646A 2019-04-18 2019-04-18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524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46A KR102252456B1 (ko) 2019-04-18 2019-04-18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02080001225.2A CN112118751B (zh) 2019-04-18 2020-04-14 对抽吸次数计数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气溶胶生成装置
PCT/KR2020/005017 WO2020213916A2 (en) 2019-04-18 2020-04-14 Method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ffs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EP20747334.9A EP3817597B1 (en) 2019-04-18 2020-04-14 Method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ffs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20540316A JP7244173B2 (ja) 2019-04-18 2020-04-14 パフ回数をカウントする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エアロゾル生成装置
US16/970,814 US20230109861A1 (en) 2019-04-18 2020-04-14 Method for counting the number of puffs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JP2022094756A JP7294749B2 (ja) 2019-04-18 2022-06-10 パフ回数をカウントする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エアロゾル生成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5646A KR102252456B1 (ko) 2019-04-18 2019-04-18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2667A KR20200122667A (ko) 2020-10-28
KR102252456B1 true KR102252456B1 (ko) 2021-05-14

Family

ID=7283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5646A KR102252456B1 (ko) 2019-04-18 2019-04-18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109861A1 (ko)
EP (1) EP3817597B1 (ko)
JP (2) JP7244173B2 (ko)
KR (1) KR102252456B1 (ko)
CN (1) CN112118751B (ko)
WO (1) WO202021391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0312A (zh) * 2021-04-27 2021-07-30 深圳市讴可电子科技有限公司 雾化电子烟控制方法、装置、雾化电子烟和存储介质
CN115336816A (zh) * 2021-05-13 2022-11-15 常州市派腾电子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基于app的气溶胶生成装置控制方法和系统
WO2023073920A1 (ja) * 2021-10-29 2023-05-04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吸引装置、基材、及び吸引装置の制御方法
KR20230163094A (ko) 2022-05-23 2023-11-30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에어로졸 발생기에서의 사용자 퍼프 감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0860A1 (en) * 2004-12-22 2006-06-22 Societe Nationale D'exploitation Industrielle Des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cigarette smoking
WO2018099663A1 (en) * 2016-11-29 2018-06-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djustable pump flow rate
KR101888281B1 (ko) * 2013-09-30 2018-08-13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1424A (en) * 1991-05-31 1993-11-16 Philip Morris Incorporated Control device for flavor-generating article
US7164993B2 (en) * 2002-08-08 2007-01-16 Plowshare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easuring smoking topography
EP2460423A1 (en) * 2010-12-03 2012-06-06 Philip Morris Products S.A. An electrically heated aerosol generating system having improved heater control
GB2507104A (en) * 2012-10-19 2014-04-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inhalation device
UA115358C2 (uk) * 2013-03-15 2017-10-25 Олтріа Клайєнт Сервісиз Ллк Система та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даних про профіль паління
GB2519101A (en) * 2013-10-09 2015-04-15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CN105916396B (zh) * 2014-01-10 2019-06-28 吉瑞高新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烟盒、电子烟盒信息管理方法及系统
JP5922168B2 (ja) 2014-03-04 2016-05-24 株式会社三井住友銀行 電子記録債権の譲渡担保管理自動化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225117A4 (en) * 2014-11-24 2018-09-19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Atomizer component, electronic cigarette having limited lifespan, and method for limiting lifespan of electronic cigarette
CA3007911A1 (en) * 2016-02-12 2017-08-1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puff detector
FR3050618B1 (fr) * 2016-05-02 2023-12-15 Sarl Gaiatrend Procede de controle d'un dispositif de vapotage et dispositif de vapotage pour la mise en œuvre du procede
US10729177B2 (en) 2016-07-31 2020-08-04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device, battery section, and charger
KR20180122314A (ko) * 2017-02-16 2018-11-12 스미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전자 흡연 장치 및 전자 흡연 장치의 흡입 횟수 측정 방법
KR102246245B1 (ko) 2017-03-30 2021-04-2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크래들
CN110545682A (zh) * 2017-04-11 2019-12-06 韩国烟草人参公社 提供基于抽吸识别的适应性反馈的气溶胶生成设备及方法
JP3216735U (ja) * 2018-03-20 2018-06-21 スリー・ア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電子タバコ用バッテリー、及び電子タバコ
CN109349690A (zh) * 2018-12-24 2019-02-19 四川三联新材料有限公司 一种气溶胶发生装置及抽吸香烟保持口感一致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30860A1 (en) * 2004-12-22 2006-06-22 Societe Nationale D'exploitation Industrielle Des Method and device for analyzing cigarette smoking
KR101888281B1 (ko) * 2013-09-30 2018-08-13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비 연소형 향미 흡인기
WO2018099663A1 (en) * 2016-11-29 2018-06-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with adjustable pump flow rat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216735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44173B2 (ja) 2023-03-22
EP3817597B1 (en) 2022-11-30
CN112118751A (zh) 2020-12-22
WO2020213916A3 (en) 2020-11-19
JP2022120115A (ja) 2022-08-17
CN112118751B (zh) 2024-04-09
JP7294749B2 (ja) 2023-06-20
WO2020213916A2 (en) 2020-10-22
JP2021523677A (ja) 2021-09-09
KR20200122667A (ko) 2020-10-28
EP3817597A2 (en) 2021-05-12
EP3817597A4 (en) 2021-09-15
US20230109861A1 (en) 2023-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456B1 (ko) 퍼프 횟수를 카운트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00048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7859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974612B2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3817598B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main body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72404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7470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16140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126588A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007727A1 (en) Cartridge and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27859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2928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72407B1 (ko) 마우스피스 교체식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32351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58050B1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350595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10042744A (ko) 궐련 및 카트리지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2286581B1 (ko) 에어로졸 발생 장치 충전용 전원변환장치,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충전하는 시스템
KR102427856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US11832648B2 (en) Cartridge for aerosol generating device
KR102512071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