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445B1 -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445B1
KR102251445B1 KR1020200021077A KR20200021077A KR102251445B1 KR 102251445 B1 KR102251445 B1 KR 102251445B1 KR 1020200021077 A KR1020200021077 A KR 1020200021077A KR 20200021077 A KR20200021077 A KR 20200021077A KR 102251445 B1 KR102251445 B1 KR 102251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ion animal
food
a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0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엔드
Priority to KR1020200021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44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device and a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device comprises: a big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big data information about a plurality of food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a pet of a user; a factor output unit that determines state information of the pet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the pet and outputs a state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e information; and a food recommendation unit for recommending at least one food among a plurality of foods based on the outputted state factor and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Description

맞춤형 반려동물 식품 추천 장치 및 그 방법{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device and its method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반려동물 식품 추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하는 기술적 사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anion animal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cal idea of recommending companion animal food based on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 및 개인이 늘어나면서 반려동물을 위한 사료 시장 및 의약품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나, 전문가가 아닌 경우에는 대부분 사료의 성분 보다는 브랜드를 신뢰하기 때문에, 반려동물에 대한 정확한 영양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Recently, as the number of households and individuals raising companion animals increases, the feed market and pharmaceutical market for companion animals are growing rapidly.However, most non-professionals trust the brand rather than the ingredients of feed, so the supply of accurate nutrition for companion animals This is not being done.

따라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고, 식별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맞는 최적의 사료를 추천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technology that identifies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and recommends optimal feed for companion animals based on the identified information.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78458호, "동물 개체별 맞춤형 식료품 제공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8-0078458, "Method of providing customized food products for each animal"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07630호, "반려동물 용품 선택정보 제공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107630, "Method of providing selection information for companion animals" 미국공개특허 제2014/0236622호, "RECOMMENDING CONSUMER PRODUCTS USING PRODUCT-INGREDIENT EFFICACY AND/OR USER-PROFILE"US Patent Publication No. 2014/0236622, "RECOMMENDING CONSUMER PRODUCTS USING PRODUCT-INGREDIENT EFFICACY AND/OR USER-PROFI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및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an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user's companion animal and big data information about the companion animal food.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정량적으로 평가된 정보에 대응되는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nd method for quantitatively evaluating status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based on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and recommending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corresponding to the quantitatively evaluated information. I want to.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수집부와,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와,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인수 출력부 및 출력된 상태 인수 및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식품 추천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big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information on a companion animal of a user, and information on the received companion animal. A factor output unit that determ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outputs a status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us information, and recommends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foods based on the output status factor and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It may include a food recommendation.

일측에 따르면, 식품 추천부는 복수의 식품 각각을 상태 인수에 따라 사전에 구분하고, 사전에 구분된 식품 중 출력된 상태 인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may pre-classify each of the plurality of foods according to the state factor, and may recommend at least one foo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tate factor among the pre-categorized foods.

일측에 따르면,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가격 정보, 브랜드 정보, 인증마크 정보, 성분 등급 정보, 이용 연령 정보 및 이용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ice information, brand information, authentication mark information,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use age information, and review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foods.

일측에 따르면,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반려동물의 품종 정보, 연령 정보, 체중 정보, BCS(body condition score) 수치 정보, 기초 대사량 정보, 일일 대사량 정보, 식품 급여량 정보, 알러지 정보, 기호성 정보, 활동량 정보, 중성화 정보 및 식품 구입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received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includes breed information, ag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CS (body condition score) numerical information, basic metabolism information, daily metabolism information, food feeding amount information, allergy information, palatability information. , Activity amount information, neutralization information, and food purchase cost information.

일측에 따르면, 식품 추천부는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및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may recommend at least one foo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1 임계 연령 미만이면 기설정된 제1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1 임계 연령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미만이면 기설정된 제2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actor output unit outputs a preset first state factor if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less than a preset first threshold age, and if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ge, and less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A preset second state argument may be output.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면 기설정된 제3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generated state, the factor output unit may output a preset third state factor.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며, 반려동물이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이면 기설정된 제4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actor output unit may output a preset fourth state factor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generated stat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pregnant or lactating.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중성화 상태이면 기설정된 제5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eutralized state, the factor output unit may output a preset fifth state factor.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는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 제5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제5 상태 인수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6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 제5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제5 상태 인수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7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or equal to '3', the factor output unit outputs a six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mming a fifth state factor with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fifth state factor,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6', a seve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btracting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fifth state factor from the fifth state factor may be output.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중성화 상태이면, 활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제8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 제8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제8 상태 인수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9 상태 인수를 출력하며,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 제8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제8 상태 인수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10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actor output unit outputs a preset eighth state factor based on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eutralized state, and the companion animal's BCS value is' If it is less than 3', the ni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the operation of summing the 8th state factor and the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8th state factor is output.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6' or more, the 8th A te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btracting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state factor from the eighth state factor may be output.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은 빅데이터 수집부에서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인수 출력부에서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식품 추천부에서 출력된 상태 인수 및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the steps of collecting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in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user's companion animal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and receiving it in the acceptance output unit. Determining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outputting a status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us information, and a plurality based on the status factor output from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and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commending at least one food of the food.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및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recommend an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based on information about a user's companion animal and big data information about the companion animal food.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정량적으로 평가된 정보에 대응되는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may quantitatively evaluate status information on a companion animal based on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recommend an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corresponding to the quantitatively evaluated information.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반려동물 식품 추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되는 연령 정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되는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되는 제2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questionnaire-typ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food recommenda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ge defini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irst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econd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ized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of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exemplifi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the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disclosed forms, and includes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erms such as first 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바로~사이에" 또는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the middle.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the middle. Expressions descri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for example, "between" and "just between" or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specified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preliminary exclus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oes not.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shown in each drawing indicate the same members.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100)는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및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ommend an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based on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and big data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food.

또한,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100)는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정량적으로 평가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100 may quantitatively evaluate status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recommend an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corresponding to the quantitatively evaluated status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100)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 및 맞춤형 식품 분석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반려동물에게 가장 적합한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100 may recommend a companion animal food most suitable for a companion animal of a user based on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and a customized food analysis algorithm.

예를 들면, 복수의 식품은 반려동물의 사료 및 간식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빅데이터 정보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가격 정보, 브랜드 정보, 인증마크 정보, 성분 등급 정보, 이용 연령 정보 및 이용후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oods may be at least one of pet food and snacks, and the big data information includes price information, brand information, certification mark information,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age information and reviews of the plurality of foods. May contain information.

일측에 따르면, 맞춤형 식품 분석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으로 수신할 수 있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수신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유의미한 패턴이나 규칙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한 패턴이나 규칙에 기초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customized food analysis algorithm can receive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mpanion animal as an input, and detect meaningful patterns or rules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using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In addition,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foods may be recommended to a user through big data analysis based on a detected pattern or rule.

예를 들면, 기계학습 기법은 컨텐츠 기반의 필터링(content-based filter) 기법, 협업 필터링(collaboative filtering) 기법 및 최근접 이웃(nearest neighbor) 기법 중 적어도 하나의 기법을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machine learning techniqu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tent-based filter technique, a collaboative filtering technique, and a nearest neighbor technique.

한편, 맞춤형 식품 분석 알고리즘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상태 인수를 도출할 수 있으며, 도출된 상태 인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ustomized food analysis algorithm can derive a status factor by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status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recommends at least one food to the user based on the derived status factor. I can.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는 이후 실시예 도 2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in the following embodiment.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200)는 빅데이터 수집부(210), 정보 수신부(220), 인수 출력부(230) 및 식품 추천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big data collection unit 210,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220, a takeover output unit 230, and a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have.

구체적으로, 일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수집부(210)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collect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일측에 따르면,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가격 정보, 브랜드 정보, 인증마크 정보, 성분 등급 정보, 이용 연령 정보 및 이용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price information, brand information, authentication mark information,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use age information, and review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foods.

예를 들면, 복수의 식품은 반려동물의 사료 및 간식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으로, 동물성 식품, 식물성 식품 및 첨가물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oods may be at least one of pet foods and snacks, and may be at least one of animal foods, plant foods, and additive foods.

또한, 성분 등급 정보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식품에 대한 영양성 및 안정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를 의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may mean a result of quantitatively evaluating the nutritional properties and stability of a plurality of foods consumed by the companion animal.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성분 등급 정보는 하기 표1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For a more specific example, component grade information may be derived through Table 1 below.

성분 특성Ingredient characteristics 동물성Animal 식물성Vegetable 첨가물additive 비고Remark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그룹, 2A그룹으로 분류한 성분인가?Is it a component classified into Group 1 and Group 2A by the International Cancer Research Institute (IARC)? 66 66 66 국제암연구소(IARC) 자료 확인International Cancer Research Institute (IARC) data check 미국환경보호청(USEPA)에서 A그룹, B그룹으로 분류한 성분인가?Is it a component classified as Group A or Group B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66 66 66 미국환경보호청(USEPA) 자료 확인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data check 유럽화학물질청(ECHA) 에서 Cat 1, Cat 2으로 분류한 성분인가?Is the component classified as Cat 1 or Cat 2 by the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66 66 66 유럽화학물질청(ECHA) 자료 확인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data verification 미국의 독성프로그램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으로 K,R 분류한 성분인가?Is the ingredient classified K,R under the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66 66 66 미국 독성프로그램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자료 확인US 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data verification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의 Ingredient Concerns(원재료 위험사항) 중 고위험군에 속하는 성분인가?Is it a high-risk component among the Ingredient Concerns of 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 (EWG)? 66 66 66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자료 확인EWG (Environmental Working Group) data check 섭취시 완치 불가 또는 사망에 이르는 질병이 발생하는가?Does ingestion cause incurable diseases or death? 66 66 66 관련 논문 또는 공신력 있는 기관의 자료 확인Confirmation of related thesis or data from a well-known institution 성분을 전혀 알 수 없는가?Is the composition completely unknown? 55 55 55 -- 육분, 동물성 다이제스트, 동물성지방, 육류 및 뼈 분말(육골분 등), 가금류 부산물, 불특정지방 및 기름 등 FDA에서 4D-animals (Dead,Diseased, Dying, Disabled)을 포함할 수 있는 성분인가?Is it possible to contain 4D-animals (Dead, Diseased, Dying, Disabled) by FDA such as meat meal, animal digest, animal fat, meat and bone powder (meat and bone meal, etc.), poultry by-products, unspecified fat and oil? 55 -- -- -- 동물성 원료 중 출처가 불분명하고 종류를 알 수 없는가? Ex) 동물육수, 동물스프Are the sources of animal sources unclear and the type unknown? Ex) Animal broth, animal soup 55 -- -- --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2B그룹, 3그룹 물질로 분류한 성분인가?Is it a component classified as Group 2B and Group 3 substances by the International Cancer Institute (IARC)? 44 44 44 국제암연구소(IARC) 자료 확인International Cancer Research Institute (IARC) data check 미국환경보호청(USEPA)에서 C그룹, D그룹으로 분류한 성분인가?Is it a component classifi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into Groups C and D? 44 44 44 미국환경보호청(USEPA) 자료 확인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data check 유럽화학물질청(ECHA) 에서 Cat 3으로 분류한 성분인가?Is the component classified as Cat 3 by the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44 44 44 유럽화학물질청(ECHA) 자료 확인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data verification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의 Ingredient Concerns(원재료위험사항) 중 중위험군에 속하는 성분인가?Is it a component in the medium-risk group among the Ingredient Concerns of the Environmental Working Group (EWG)? 44 44 44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자료 확인EWG (Environmental Working Group) data check 동물성 원재료 중 출처는 명확하나, 종류를 알 수 없는가? Ex) 가금류, 가금류분, 어분, 가금류간, 가금류내장Of animal raw materials, the source is clear, but the type is unknown? Ex) Poultry, poultry meal, fish meal, poultry liver, poultry internal organs 33 -- -- -- 동물성 원재료 중 출처는 명확하고, 부위가 불분명한 성분인가?Ex) 닭내장, 소내장, 돼지내장Among animal raw materials, is the source clear and the part is unclear? Ex) Chicken intestine, cow intestine, pig intestine 33 -- -- -- 동물성 원재료 중 렌더링 공정을 거친 성분인가?Ex) 탈수~, 건조~, ~밀, ~분, ~분말Is it an ingredient that went through the rendering process among animal raw materials? Ex) Dehydrated~, dried~, ~wheat, ~min, ~powder 33 -- -- 섭취 효능이 증명되지 않았으며, 섭취시 완치 가능한 질병이 발생하는가?Ingestion efficacy has not been proven, and does ingestion cause curable diseases? 33 33 33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정의하지 않았으나 동물 실험 결과 독성이 발견된 연구결과가 있는 성분인가?Is there a research result that has not been defined by a well-established institution, but has been found to be toxic as a result of animal testing? 33 33 33 -- 사료 관리법에서 섭취량을 제한한 성분인가?Is it a limiting ingredient in the feed management method? 33 33 33 -- 식물 성분 중 출처는 명확하고, 원재료 종류를 알 수 없는가? Ex) 야채~, 식물~Is the source of the plant ingredients clear and the type of raw material unknown? Ex) Vegetables~, plants~ -- 33 -- -- 적절량 섭취시 도움이 되나 다량 섭취시 완치 가능한 질병이 발생하는가?Is it helpful when ingested in an appropriate amount, but does a curable disease occur when ingested in large amounts? 22 22 22 동물성 원재료 중 종류와 부위가 명확한 내장 부위인가? Are the types and parts of animal raw materials a clear visceral part? 22 -- -- 출처, 원재료가 명확하고, 생육 위주의 동물성 단백질인가?Is the source and raw material clear, and is it a growth-oriented animal protein? 1One -- -- -- 제품 구성을 위한 첨가물 목적인가?Is it the purpose of additives for product composition? 00 00 00 --

즉, 일실시예에 따른 성분 등급 정보는 국제암연구소(IARC), 미국환경보호청(USEPA), 유럽화학물질청(ECHA), 미국 독성프로그램(national toxicology program, NTP), 미국환경보호청(USEPA), EWG(environmental working group) 및 기타 반려동물 연구기관 중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식품의 성분 관련 빅데이터 정보를 위험(6), 주의(5), 유의2(4), 유의1(3), 보통(2), 양호(1) 및 미지정(0) 등급으로 분류한 결과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the International Cancer Institute (IARC),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the European Chemicals Agency (ECHA), the US toxicology program (NTP), and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 EWG (environmental working group) and other companion animal research institute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of the relevant institutions related to food ingredients related big data is risk (6), caution (5), caution 2 (4), caution 1 (3). ), normal (2), good (1), and unspecified (0) grades.

일측에 따르면, 빅데이터 수집부(210)는 적어도 하나의 관련 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식품의 성분 관련 빅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여 성분 등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210 may calculate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using big data data related to food ingredients collected from at least one related organization.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2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information on a companion animal of a user.

일측에 따르면,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반려동물의 품종 정보, 연령 정보, 체중 정보, BCS(body condition score) 수치 정보, 기초 대사량 정보, 일일 대사량 정보, 식품 급여량 정보, 알러지 정보, 기호성 정보, 활동량 정보, 중성화 정보 및 식품 구입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received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includes breed information, ag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CS (body condition score) numerical information, basic metabolism information, daily metabolism information, food feeding amount information, allergy information, palatability information. , Activity amount information, neutralization information, and food purchase cost information.

예를 들면, 정보 수신부(220)는 사용자 또는 반려동물을 진찰한 의료기관 으로부터 수집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220 may be collected from a medical institution that has examined a user or a companion animal.

또한, BCS 수치는 반려동물이 저체중인지, 고체중인지 또는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수치를 의미하며, BCS 수치는 '1' 내지 '9'의 수치 중 어느 하나의 수치로 표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CS value refers to a value that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underweight, solid, or maintains an appropriate weight, and the BCS value can be expressed as any one of values from '1' to '9'. have.

보다 구체적으로, BCS 수치가 '1' 내지 '3'이면 저체중 상태이고, '4' 내지 '5'이면 정상 상태이며, '6' 내지 '9'이면 고체중 상태일 수 있다.More specifically, if the BCS value is '1' to '3', it may be underweight, if it is '4' to '5', it may be in a normal state, and if it is '6' to '9', it may be in a solid state.

일실시예에 따른 인수 출력부(230)는 정보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상태 인수는 양의 실수 값일 수 있다.The argument output unit 2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through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220, and outputs a status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us information. I can. As an example, the state argument may be a positive real value.

예를 들면,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는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수유 여부, 활동 정도 및 BCS 수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중성화 여부, 임신 여부, 수유 여부, 활동량 및 BCS 수치에 따른 반려동물의 상태를 복합적으로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정량적인 값(상태 인수)으로 표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about whether or not to be neutralized, whether to be pregnant, whether to breastfeed, an activity level, and a BCS value. In other words,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status of the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whether the companion animal is neutralized, pregnant, lactating, activity, and BCS, and expresses the analysis result as a quantitative value (status factor). I can.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1 임계 연령 미만이면 기설정된 제1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1 임계 연령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미만이면 기설정된 제2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actor output unit 230 outputs a preset first state factor if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less than a preset first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ge and a preset second threshold If it is less than the age, a preset second state factor may be output.

보다 구체적으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1 임계 연령인 4개월 미만인 경우, 제1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상태 인수는 반려동물이 개인 경우에 '3'으로 결정되고, 고양이인 경우에 '2.5'로 결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4 months, which is the first threshold age, the factor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first state factor, where the first state factor is '3'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individual. It is determined as', and in the case of a cat, it can be determined as '2.5'.

또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1 임계 연령인 4개월 이상이고 제2 임계 연령인 12개월 미만인 경우, 제2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2 상태 인수는 '2'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4 months or more, which is the first critical age, and less than 12 months, which is the second critical age, the factor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second state factor, where the second state factor is' It can be determined as 2'.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면 기설정된 제3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actor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preset third state factor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generated state.

보다 구체적으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인 경우, 제3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3 상태 인수는 반려동물이 개인 경우에 '1.8'로 결정되고, 고양이인 경우에 '1.4'로 결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mor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third state factor, where the third state factor is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individual. In the case of a cat, it can be determined as '1.8', and in the case of a cat, it can be determined as '1.4'.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며 반려동물이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이면 기설정된 제4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actor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preset fourth state factor when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threshold age,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generated stat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pregnant or lactating.

보다 구체적으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며 임신 중인 경우, 제4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4 상태 인수는 '3'으로 결정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fourth state factor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more in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is pregnant, where the fourth state factor is '3'. Can be determined.

또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며, 수유 중인 경우, 제4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4 상태 인수는 '4'로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fourth state factor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longer in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is nursing, where the fourth state factor is '4'. Can be determined as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중성화 상태이면, 기설정된 제5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eutralized state, the factor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preset fifth state factor.

보다 구체적으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인 경우, 제5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제5 상태 인수는 반려동물이 개인 경우에 '1.6'으로 결정되고, 고양이인 경우에 '1.2'로 결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eutralized state,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fifth state factor, where the fifth state factor is '1.6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individual. ', and in the case of a cat, it can be determined as '1.2'.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 제5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제5 상태 인수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6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 제5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제5 상태 인수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7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or equal to '3', the factor output unit 230 is a six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that adds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to the fifth state factor and the fifth state factor. Is output, and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6', a seve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btracting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fifth state factor from the fifth state factor may be output.

보다 구체적으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고양이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이고 BCS 수치가 '3' 이하 또는 '6' 이상인 경우, 제5 상태 인수 '1.2'와 BCS 수치의 연산을 통해 제6 상태 인수 및 제7 상태 인수 각각을 출력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a cat, the age is 12 months or more, is in a neutralized state, and the BCS value is '3' or less or '6' or more, the fifth state factor '1.2' and the BCS value are Each of the sixth state argument and the seventh state argument may be output through an operation.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고양이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비중성화 상태이고 임신중 또는 수유중이 아닌 경우, BCS 수치가 '3' 이하 또는 '6' 이상인 경우, 제3 상태 인수 '1.4'와 BCS 수치의 연산을 통해 제6 상태 인수 및 제7 상태 인수 각각을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a cat, the age is 12 months or more,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is not pregnant or lactating, the BCS value is '3' or less or '6' or more, the third Each of the sixth state argument and the seventh state argument may be output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state argument '1.4' and the BCS value.

한편, 제6 상태 인수 및 제7 상태 인수의 연산 과정에서는, BCS 수치가 '1'이면 제5 상태 인수에 '0.3' 값이 반영하고, BCS 수치가 '2'이면 제5 상태 인수에 '0.2' 값을 반영하며, BCS 수치가 '3'이면 제5 상태 인수에 '0.1' 값을 반영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sixth state argument and the seventh state argument, if the BCS value is '1', the value '0.3' is reflected in the fifth state argument, and if the BCS value is '2', the fifth state argument is '0.2. 'Reflects a value, and if the BCS value is '3', a value of '0.1' may be reflected in the fifth state argument.

또한, BCS 수치가 '6'이면 제5 상태 인수에 '0.1' 값을 반영하고, BCS 수치가 '7'이면 제5 상태 인수에 '0.2' 값을 반영하며, BCS 수치가 '8'이면 제5 상태 인수에 '0.3' 값을 반영하고, BCS 수치가 '9'이면 제5 상태 인수에 '0.4' 값을 반영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BCS value is '6', the value of '0.1' is reflected in the fifth state factor, if the BCS value is '7', the value of '0.2' is reflected in the fifth state factor, and if the BCS value is '8', the value is zero. A value of '0.3' may be reflected in the 5 state argument, and a value of '0.4' may be reflected in the fifth state argument if the BCS value is '9'.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고양이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이고, BCS 수치가 2이면, "1.2 + (1.2 x 0.2)"의 연산을 통해 제6 상태 인수로서 '1.44'를 출력할 수 있다. For a more specific example, if the companion animal is a cat, the age is 12 months or more, is in a neutralized state, and the BCS value is 2, the calculation of "1.2 + (1.2 x 0.2)" 6 '1.44' can be output as a status argument.

또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고양이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이고, BCS 수치가 8이면, '1.2 - (1.2 x 0.3)'의 연산을 통해 제7 상태 인수로서 '0.84'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companion animal is a cat, the age is 12 months or more, is in a neutralized state, and the BCS value is 8,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is used as a seventh state factor through an operation of '1.2-(1.2 x 0.3)'. '0.84' can be output.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반려동물이 중성화 상태이면, 활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제8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eutralized state, the factor output unit 230 may output a preset eighth state factor based on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개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인 경우, 활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반려동물의 활동량에 기초하여 제8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8 상태 인수는 반려동물의 활동량이 "가벼운 활동량"으로 분석되면 '2'로 결정되고, "보통 활동량"으로 분석되면 '3'으로 결정되며, "높은 활동량"으로 결정되면 '5'로 결정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a dog, the age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eutralized state, the acceptance output unit 230 may analyze the activity amount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and based on the analyzed companion animal activity amount. The eighth state argument can be output. Here, the eighth state factor is determined as '2' when the companion animal's activity amount is analyzed as "light activity amount", and is determined as '3' when it is analyzed as "normal activity amount", and '5' when it is determined as "high activity amount" Can be determined as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개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비중성화 상태이고 임신중 또는 수유중이 아닌 경우, 활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활동량을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된 반려동물의 활동량에 기초하여 제8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a dog, the age is 12 months or more,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is not pregnant or lactating,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companion animal can be analyzed based on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The eighth state factor may be output based on the amount of activity of the companion animal.

예를 들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활동량 정보와 기설정된 활동량 임계값들을 이용하여, "가벼운 활동량", "보통 활동량" 및 "높은 활동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actor output unit 230 may determine whether "light activity amount", "normal activity amount", and "high activity amount" by using the activity amount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and preset activity amount threshold values.

일측에 따르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 제8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제8 상태 인수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9 상태 인수를 출력하며,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 제8 상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제8 상태 인수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10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or equal to '3', the factor output unit 230 is a ni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that adds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to the eighth state factor and the eighth state factor.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6' or more, a te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btracting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eighth state factor from the eighth state factor may be output.

보다 구체적으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개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이고, 활동량이 "가벼운 활동량", "보통 활동량" 및 "높은 활동량" 중 어느 하나의 활동량으로 분석되며, BCS 수치가 '3' 이하 또는 '6' 이상인 경우, 제8 상태 인수의 값과 BCS 수치의 연산을 통해 제9 상태 인수 및 제10 상태 인수 각각을 출력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analyzes the companion animal as an activity amount of any one of a dog, an age of 12 months or more, a neutralized state, and an activity amount of "light activity amount", "normal activity amount", and "high activity amount" And, when the BCS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3' or greater than or equal to '6', each of the ninth state argument and the tenth state argument may be output through the calculation of the value of the eighth state factor and the BCS value.

한편, 제9 상태 인수 및 제10 상태 인수의 연산 과정에서는, BCS 수치가 '1'이면 제8 상태 인수에 '0.3' 값을 반영하고, BCS 수치가 '2'이면 제8 상태 인수에 '0.2' 값을 반영하며, BCS 수치가 '3'이면 제8 상태 인수에 '0.1' 값을 반영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ninth state argument and the tenth state argument, if the BCS value is '1', the value '0.3' is reflected in the eighth state argument, and if the BCS value is '2', the eighth state argument is '0.2. 'Reflects the value, and if the BCS value is '3', the value '0.1' may be reflected in the eighth state argument.

또한, BCS 수치가 '6'이면 제8 상태 인수에 '0.1' 값을 반영하고, BCS 수치가 '7'이면 제8 상태 인수에 '0.2' 값을 반영하며, BCS 수치가 '8'이면 제8 상태 인수에 '0.3' 값을 반영하고, BCS 수치가 '9'이면 제8 상태 인수에 '0.4' 값을 반영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BCS value is '6', the value of '0.1' is reflected in the eighth state factor, if the BCS value is '7', the value of '0.2' is reflected in the eighth state factor, and if the BCS value is '8', the value is zero. A value of '0.3' may be reflected in the 8 state argument, and a value of '0.4' may be reflected in the eighth state argument if the BCS value is '9'.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개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이고 활동량이 "보통 활동량"이며 BCS 수치가 '3'이면, "3 + (3 x 0.1)"의 연산을 통해 제9 상태 인수로서 '3.3'을 출력할 수 있다.For a more specific example, if the companion animal is a dog, the age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eutralized state, the activity amount is "normal activity amount" and the BCS value is '3', "3 + (3 x 0.1)" '3.3' may be outputted as the ninth state argument through the operation of.

또한, 인수 출력부(230)는 반려동물이 개이고 연령이 12개월 이상이며 중성화 상태이고 활동량이 "가벼운 활동량"이며 BCS 수치가 '8'이면, "2 - (2 x 0.3)"의 연산을 통해 제10 상태 인수로서 '1.4'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gument output unit 230 is a companion animal is a dog, age is 12 months or more, is in a neutralized state, the activity amount is "light activity amount" and the BCS value is '8', through the calculation of "2-(2 x 0.3)" '1.4' can be output as the tenth state argument.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 추천부(240)는 인수 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된 상태 인수 및 빅데이터 수집부(210)를 통해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food among a plurality of foods based on the state argument output through the take-out output unit 230 and the big data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210. Can be recommended to users.

일측에 따르면, 식품 추천부(240)는 복수의 식품 각각을 상태 인수에 따라 사전에 구분하고, 사전에 구분된 식품 중 출력된 상태 인수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classify each of the plurality of foods according to a state factor in advance and recommend at least one foo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tate factor among the previously categorized foods.

예를 들면, 식품 추천부(240)는 인수 출력부(230)에서 출력된 상태 인수가 1.44인 경우, 사전에 구분된 식품 중 상태 인수 1.44에 대응된 적어도 하나의 식품들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recommend to the user at least one food corresponding to the status factor 1.44 among previously classified foods when the status factor output from the take-out output unit 230 is 1.44. .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태 인수 1.44에 대응하여 추천되는 식품은 12개월 이상의 연령에 중성화되고, BCS 수치가 '2'인 고양이에게 필요한 영양성분을 포함하는 식품일 수 있다. For a more specific example, the food recommended in response to the condition factor of 1.44 may be a food that is neutralized at the age of 12 months or more and contains nutrients necessary for a cat having a BCS value of '2'.

일측에 따르면, 식품 추천부(240)는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및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recommend at least one food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다시 말해, 식품 추천부(240)는 상태 인수를 이용한 식품 추천뿐만 아니라, 정보 수신부(220)로부터 직접 수신하는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식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recommend food using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directly received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220 as well as food recommendation using a state factor.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식품 추천부(240)는 반려동물의 품종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 품종에 적합한 식품을 분석 및 추천할 수 있다. For a more specific example,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analyze and recommend food suitable for the companion animal breed based on the breed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또한, 식품 추천부(240)는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연령에 적합한 식품을 분석 및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analyze and recommend food suitable for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age information.

또한, 식품 추천부(240)는 체중 정보, 기초 대사량 정보, 일일 대사량 정보 및 식품 급여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일일 최소 및 권장 영양 섭취를 위한 식품을 분석 및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analyze and recommend foods for minimum daily and recommended nutritional intake based on at least one of weight information, basic metabolic amount information, daily metabolic amount information, and food feeding amount information.

또한, 식품 추천부(240)는 알러지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알러지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식품을 분석 및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240 may analyze and recommend food that does not contain allergic components of companion animals based on the allergy information.

또한, 식품 분석부(240)는 식품 구입비용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가격에 부합하는 식품을 분석 및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analysis unit 240 may analyze and recommend food that meets a user's desired price based on the food purchase cost information.

또한, 식품 분석부(240)는 기호성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선호하는 식품을 분석 및 추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d analysis unit 240 may analyze and recommend foods preferred by the companion animal of the user based on the preference information.

한편, 식품 분석부(240)는 빅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신하는 성분 등급 정보, 인증마크 정보 및 브랜드 정보에 기초하여 성분 등급 스코어, 인증마크 스코어 및 브랜드 스코어를 분석하고, 분석된 스코어에 기초하여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ood analysis unit 240 analyzes the ingredient grade score, the authentication mark score, and the brand score based on the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the authentication mark information, and the br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210, and calculates the analyzed score. You can recommend food based on it.

또한, 식품 분석부(240)는 빅데이터 수집부(210)로부터 수신하는 이용후기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기반 분석을 통해 식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ood analysis unit 240 may recommend food through a user-based analysis based on the review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210.

일측에 따르면,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200)는 별도의 소프트웨어 또는 앱(app)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스프트웨어 또는 앱으로 구현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200)는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 및 '반려동물 식품 추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side,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as a separate software or app, and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200 implemented as a software or app is a'question-type member subscription. Process' and'companion animal food recommendation process' can be performed.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 및 '반려동물 식품 추천 프로세스'는 이후 실시예 도 3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question-type member registration process' and the'companion animal food recommenda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questionnaire-typ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300)는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의 이용을 원하는 사용자가 최초 이용시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questionnaire-type member sign-up process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be performed when a user who desires to use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rst uses it.

구체적으로,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300)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초기 정보 및 사용자의 이메일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Specifically, the questionnaire-type member registration process 300 may receive initial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mpanion animal and the user's e-mail information from the user.

예를 들면,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초기 정보는 반려동물의 종류(품종) 정보, 생년월일(연령) 정보, 체중 정보, BCS 수치 정보, 상태(임신, 수유, 활동량 등) 정보, 알러지 정보, 기호성 정보 및 월 식품 구입비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initial information input from the user includes information about the type (variety) of the companion animal, date of birth (ag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CS numerical information, status (pregnancy, lactation, activity level, etc.) information, allergy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monthly food purchase cost information.

이후, 사용자는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300)를 통해 입력된 정보를 통해 반려동물에게 적합한 식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Thereafter, the user may receive a recommendation for food suitable for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th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questionnaire-typ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300.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반려동물 식품 추천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mpanion animal food recommenda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식품 추천 프로세스(400)는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410)와 맞춤형 식품 분석 프로세스(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410)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설문형 회원가입 프로세스로 대체될 수도 있다. 4, the companion animal food recommendation process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410 and a customized food analysis process 420, and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410 is shown in FIG. It can also be replaced by the questionnaire-type membership registration process described in step 3.

구체적으로,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41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410, information about the user's companion animal may be input by the user.

예를 들면,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는 반려동물의 종류(품종) 정보, 생년월일(연령) 정보, 체중 정보, BCS 수치 정보, 상태(임신, 수유, 활동량 등) 정보, 기초 대사량 정보, 일일 대사량 정보, 일일 급여량 정보, 알러지 정보, 기호성 정보 및 월 식품 구입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on companion animals includes type (variety) information, date of birth (age) information, weight information, BCS level information, status (pregnancy, lactation, activity level, etc.) information, basic metabolism information, daily metabolism information , Daily feeding amount information, allergy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monthly food purchase cost information may be included.

또한,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410)에서는 입력되는 생년월일에 기초하여 연령 정의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입력되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410, the age definition proces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input date of birth, and the state factor output process may be performed based on the input state information.

일실시예에 따른 연령 정의 프로세스 및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는 이후 실시예 도 5 내지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age definition process and the state factor outpu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한편, 맞춤형 식품 분석 프로세스(420)에서는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410)를 통해 입력받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와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품종 분석, 연령 분석, 최소 영양 분석, 알러지 성분 분석, 성분 등급 분석, 인증마크 분석, 브랜드 분석, 가격 분석, 기호성 분석, 사용자 기반 분석 및 상태 인수 분석 중 적어도 하나의 분석을 수행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에 부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ustomized food analysis process 420,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input through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410 and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breed analysis, age analysis, minimum nutrition analysis, and allergy At least one of ingredient analysis, ingredient grade analysis, certification mark analysis, brand analysis, price analysis, palatability analysis, user-based analysis, and status factor analysis can be performed, and at least one food that matches the analysis result is provided to the user. I can recommend it.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되는 연령 정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ge definition proces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연령 정의 프로세스(500)에서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생년월일 정보와, 현재 날짜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연령을 정의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n the age definition process 500,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may be defined based on the date of birth information of the user's companion animal and the current date.

구체적으로, 연령 정의 프로세스(500)에서는 반려동물이 연령이 1년 미만이면 '퍼피' 또는 '키튼'으로 정의하고, 연령이 1년 이상 7년 미만이면 '어덜트'로 정의하며, 연령이 7년 이상이면 시니어로 정의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age definition process 500, i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1 year old, it is defined as'Puffy' or'Ketten', and if the age is 1 year or more and less than 7 years, it is defined as'adult', and the age is 7 years. If it is above, it can be defined as senior.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되는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first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6을 참조하면,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품종이 '개'인 경우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로, 반려동물의 품종인 '고양이'인 경우에는 이후 도 7을 통해 설명하는 제2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first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600 is a process performed when the breed of the companion animal is'dog', and when the breed of the companion animal is'cat', it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A second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may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4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3'을 출력하고, 연령이 4개월 이상이고 12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2'를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rst status factor output process 600 outputs the status factor '3'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4 months old, and outputs the status factor '2' when the age is more than 4 months and less than 12 months. can do.

또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비중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1.8'을 출력할 수 있고,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비중성화 상태이며 임신중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3'을 출력하며,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비중성화 상태이며 수유중인 경우에는 상태변수 '4'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atus argument output process 600 may output the status factor '1.8'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In case of pregnancy, the status factor '3' is output. In the case of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more, non-neutralized, and nursing, the status variable '4' can be output.

또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중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1.6'을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ate factor output process 600 may output a state factor '1.6'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longer in age and is in a neutralized state.

또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중성화 상태이면서, 활동량 분석 결과가 "가벼운 활동량"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2'를 출력하고, "보통 활동량"인 경우에는 인수 '3'을 출력하며, "높은 활동량"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5'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ate factor output process 600 outputs a state factor '2'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eutralized state, and the activity amount analysis result is "light activity amount", and is "normal activity amount". In this case, the argument '3' can be output, and in the case of the "high activity amount", the status argument '5' can be output.

한편,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에는 활동량 분석을 통해 출력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활동량 분석을 통해 출력된 인수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or equal to '3', the first state factor output process 600 performs an operation of summing a value that reflects the BCS value to the factor output through the activity level analysis and the factor output through the activity level analysis. The argument calculated through can be output.

또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에는 활동량 분석을 통해 출력된 인수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활동량 분석을 통해 출력된 인수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6' or more, the first state factor output process 600 performs an operation of subtracting a value that reflects the BCS value in the factor output through the activity level analysis from the factor output through the activity level analysis. The argument calculated through can be output.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수행되는 제2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7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econd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performed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제2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700)는 반려동물의 품종이 '고양이'인 경우에 수행되는 프로세스로, 반려동물의 품종인 '개'인 경우에는 도 6을 통해 설명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second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700 is a process performed when the breed of the companion animal is'cat', and when the breed of the companion animal is'dog', the first state argument output process 70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The status argument output process can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제2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70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4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2.5'를 출력하고, 연령이 4개월 이상이고 12개월 미만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2'를 출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state factor output process 700 outputs the state factor '2.5'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less than 4 months, and outputs the state factor '2' when the age is more than 4 months and less than 12 months. can do.

또한, 제2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70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비중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1.4'를 출력하고,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비중성화 상태이며 임신중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3'을 출력하며,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비중성화 상태이며 수유중인 경우에는 상태변수 '4'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status argument output process 700 outputs the status factor '1.4'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on-negative stat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more and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is pregnant. In the case of being in the process, the status factor '3' is output, and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older and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in lactation, the status variable '4' can be output.

또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연령이 12개월 이상이고 중성화 상태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1.2'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ate factor output process 600 may output a state factor '1.2' when the companion animal is 12 months or longer in age and is in a neutralized state.

한편,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1.2' 또는 '1.4'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상태 인수 '1.2' 또는 '1.4'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Meanwhile,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or equal to '3', the first status argument output process 600 sets the status factor '1.2' or '1.4' to reflect the BCS value and the status factor '1.2' or '1.4'. Factors calculated through the summing operation can be output.

또한, 제1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600)는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에는 상태 인수 '1.2' 또는 '1.4'에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상태 인수 '1.2' 또는 '1.4'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6' or more, the first status argument output process 600 applies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to the status argument '1.2' or '1.4' in the status argument '1.2' or '1.4'. An argument calculated through a subtraction operation can be output.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commending customized fo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다시말해, 도 8은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설명한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이후 도 8을 통해 설명하는 내용 중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를 통해 설명하는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other words,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nd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contents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8. Descriptions that are overlapping with the content described through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81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은 빅데이터 수집부에서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step 810, in the method for recommending a customized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may collect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다음으로, 82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은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Next, in step 820,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of the user from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다음으로, 83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은 인수 출력부에서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인수를 출력할 수 있다. Next, in step 830, the personal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determines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output unit, and outputs a status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us information. can do.

다음으로, 840 단계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은 식품 추천부에서 출력된 상태 인수 및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 Next, in step 840, the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recomme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s based on the state factor output from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and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및 반려동물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In the en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ommend an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big data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food.

또한, 본 발명은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정량적으로 평가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최적의 반려동물 식품을 추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quantitatively evaluate status information about a companion animal based on information about the companion animal, and recommend an optimal companion animal food corresponding to the quantitatively evaluated status information.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장치,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such as devices, structures, devices, and circuits described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form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lternatively,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an appropriate result can be achieved.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those equivalent to the claims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200: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210: 빅데이터 수집부
220: 정보 수신부 230: 인수 출력부
240: 식품 추천부
200: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210: big data collection unit
220: information receiving unit 230: argument output unit
240: food recommendation department

Claims (12)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빅데이터 수집부;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인수 출력부 및
상기 출력된 상태 인수 및 상기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식품 추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는,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는,
상기 반려동물의 종류 정보, 품종 정보, 생년월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생년월일 정보에 기초하여 1년 및 7년을 기준으로 적어도 3개의 연령대로 연령을 정의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연령을 정의하는 프로세스의 진행 후, 체중 정보, BCS(body condition score) 수치 정보,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를 진행 후, 기초 대사량 정보, 일일 대사량 정보, 일일 급여량 정보, 알러지 정보, 기호성 정보, 월 식품 구입비용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식품 추천부는,
맞춤형 식품 분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고,
상기 맞춤형 식품 분석 프로세스는,
상기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에서 수집한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급여 대상의 품종에 적합한 식품을 분석하는 과정, 급여 대상의 연령에 적합한 식품 분석 과정, 최소 영양 식품 분석 과정, 알러지 식품 포함 제품 제외 과정, 성분 등급 스코어 산출 과정, 인증마크 스코어 산출 과정, 브랜드 스코어 산출 과정, 가격 분석 산출 과정, 기호성 분석 산출 과정, 사용자 기반 추천 프로세스, 상태 인수 기반 추천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A big data collection unit that collects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An information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user's companion animal;
A factor output unit that determines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outputs a status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us information; and
A food recommendation unit that recommend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s based on the output state factor and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Including,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The companion animal type information, breed information, and date of birth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input, and based on the input date of birth information, a process of defining an age in at least three age groups based on 1 and 7 years is performed, and the age After the process of defining is performed, weight information, body condition score (BCS) numerical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input, and a state factor output process is performed based on the sequentially input information, and basic metabolic amount information, Daily metabolic information, daily feeding information, allergy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monthly food purchase cost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input,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Recomme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s through a customized food analysis process,
The customized food analysis process,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s collected in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the process of analyzing food suitable for the breed to be fed, the process of analyzing food suitable for the age of the feeding target, analyzing the minimum nutritional food, and products containing allergen Exclusion process, ingredient grade score calculation process, certification mark score calculation process, brand score calculation process, price analysis calculation process, palatability analysis calculation process, user-based recommendation process, and status factor-based recommendation process are sequentially processed to A customized food recommendation device that recommends at least one food produc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추천부는,
상기 복수의 식품 각각을 상태 인수에 따라 사전에 구분하고, 상기 사전에 구분된 식품 중 상기 출력된 상태 인수에 대응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ood recommendation unit,
Class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oods in advance according to a state factor, and recommending the at least one food corresponding to the output state factor among the pre-categorized foods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는,
상기 복수의 식품에 대한 가격 정보, 브랜드 정보, 인증마크 정보, 성분 등급 정보, 이용 연령 정보 및 이용후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price information, brand information, authentication mark information, ingredient grade information, use age information, and review information for the plurality of foods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출력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1 임계 연령 미만이면 기설정된 제1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이 상기 제1 임계 연령 이상이고,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미만이면 기설정된 제2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rgument output unit,
If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a preset first threshold age, a preset first state factor is output, and
If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irst threshold age and less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outputting a preset second state factor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출력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상기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면 기설정된 제3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rgument output unit,
If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generated state, outputting a preset third state factor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출력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상기 반려동물이 비중성화 상태이며, 상기 반려동물이 임신 중이거나 수유 중이면 기설정된 제4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rgument output unit,
Outputting a preset fourth state factor when the companion animal's 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on-neutralized stat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pregnant or lactating.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출력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상기 반려동물이 중성화 상태이면 기설정된 제5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rgument output unit,
If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eutralized state, outputting a preset fifth state factor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출력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 상기 제5 상태 인수에 상기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상기 제5 상태 인수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6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 상기 제5 상태 인수에 상기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상기 제5 상태 인수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7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9,
The argument output unit,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or equal to '3', a six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mming the fifth state factor with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and the fifth state factor is output,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6' or more, outputting a seve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btracting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from the fifth state factor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수 출력부는,
상기 반려동물의 연령이 기설정된 제2 임계 연령 이상이고, 상기 반려동물이 중성화 상태이면, 상기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 중 활동량 정보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제8 상태 인수를 출력하고,
상기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3' 이하인 경우, 상기 제8 상태 인수에 상기 BCS 수치를 반영한 값과 상기 제8 상태 인수를 합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9 상태 인수를 출력하며,
상기 반려동물의 BCS 수치가 '6' 이상인 경우, 상기 제8 상태 인수에 상기 BCS 수치를 반영한 값을 상기 제8 상태 인수에서 감산하는 연산을 통해 산출되는 제10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rgument output unit,
If the age of the companion anim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age and the companion animal is in a neutralized state, outputting a preset eighth state factor based on activity amount information among the received companion animal information,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less than or equal to '3', a ni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mming the eighth state factor with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eighth state factor is output,
When the BCS value of the companion animal is '6' or more, outputting a tenth state factor calculated through an operation of subtracting a value reflecting the BCS value in the eighth state factor from the eighth state factor
Custom food recommendation device.
빅데이터 수집부에서, 복수의 식품에 대한 빅데이터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인수 출력부에서, 상기 수신된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의 상태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상태 정보에 대응되는 상태 인수를 출력하는 단계 및
식품 추천부에서, 상기 출력된 상태 인수 및 상기 수집된 빅데이터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수신부에서,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되, 상기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는,
상기 반려동물의 종류 정보, 품종 정보, 생년월일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입력된 생년월일 정보에 기초하여 1년 및 7년을 기준으로 적어도 3개의 연령대로 연령을 정의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상기 연령을 정의하는 프로세스의 진행 후, 체중 정보, BCS(body condition score) 수치 정보, 상태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고, 상기 순차적으로 입력된 정보들에 기초하여 상태 인수 출력 프로세스를 진행 후, 기초 대사량 정보, 일일 대사량 정보, 일일 급여량 정보, 알러지 정보, 기호성 정보, 월 식품 구입비용 정보를 순차적으로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단계는,
맞춤형 식품 분석 프로세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되, 상기 맞춤형 식품 분석 프로세스는,
상기 설문형 입력 프로세스에서 수집한 상기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급여 대상의 품종에 적합한 식품을 분석하는 과정, 급여 대상의 연령에 적합한 식품 분석 과정, 최소 영양 식품 분석 과정, 알러지 식품 포함 제품 제외 과정, 성분 등급 스코어 산출 과정, 인증마크 스코어 산출 과정, 브랜드 스코어 산출 과정, 가격 분석 산출 과정, 기호성 분석 산출 과정, 사용자 기반 추천 프로세스, 상태 인수 기반 추천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처리하여 상기 복수의 식품 중 적어도 하나의 식품을 추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맞춤형 식품 추천 방법.
In the big data collection unit, collecting big data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foods;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of the user, at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In a factor output unit, determin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companion animal based on the received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and outputting a status factor corresponding to the determined status information; and
In a food recommendation unit, recommend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s based on the output state factor and the collected big data information
Including,
In the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step of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of the user,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 through a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The companion animal type information, breed information, and date of birth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input, and based on the input date of birth information, a process of defining an age in at least three age groups based on 1 and 7 years is performed, and the age After the process of defining is performed, weight information, body condition score (BCS) numerical information, and state information are sequentially input, and a state factor output process is performed based on the sequentially input information, and basic metabolic amount information, Including the step of sequentially inputting daily metabolic information, daily feeding information, allergy information, preference information, and monthly food purchase cost information,
The step of recommending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s,
Recommend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oods through a customized food analysis process, the customized food analysis process,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companion animals collected in the questionnaire-type input process, the process of analyzing food suitable for the breed to be fed, the process of analyzing food suitable for the age of the feeding target, analyzing the minimum nutritional food, and products containing allergic foods Exclusion process, ingredient grade score calculation process, certification mark score calculation process, brand score calculation process, price analysis calculation process, palatability analysis calculation process, user-based recommendation process, and status factor-based recommendation process are sequentially processed to Recommending at least one food
Custom food recommenda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021077A 2020-02-20 2020-02-20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2514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77A KR102251445B1 (en) 2020-02-20 2020-02-20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077A KR102251445B1 (en) 2020-02-20 2020-02-20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445B1 true KR102251445B1 (en) 2021-05-13

Family

ID=7591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077A KR102251445B1 (en) 2020-02-20 2020-02-20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44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872B1 (en) * 2021-06-07 2021-11-04 임보연 Applcation providing method and server related to nutritional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
KR102471425B1 (en) * 2021-12-23 2022-11-25 이근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KR20230102438A (en)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십일리터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nutritional supplement curation service for companion animals and computing system performing the same
KR102572933B1 (en) * 2022-11-14 2023-08-31 주식회사 반려생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Pet Service Based on Machine Learning
WO2023221182A1 (en) * 2022-05-17 2023-11-23 江苏邦鼎科技有限公司 Pet feed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9054A (en) * 2013-03-15 2016-06-30 マー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ars Incorporated Composition comprising mannoheptulose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KR20180078458A (en) 2016-12-30 2018-07-10 이경문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food product service correspondance with individual animal
KR20180107630A (en) 2017-03-22 2018-10-02 장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order to choose pet's supplies
KR101917043B1 (en) * 2017-11-13 2019-01-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u-Health based on I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90122100A (en) * 2018-04-19 2019-10-29 최진영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diet and recipe for companion animal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519054A (en) * 2013-03-15 2016-06-30 マー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Mars Incorporated Composition comprising mannoheptulose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overweight and obesity
KR20180078458A (en) 2016-12-30 2018-07-10 이경문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food product service correspondance with individual animal
KR20180107630A (en) 2017-03-22 2018-10-02 장재원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order to choose pet's supplies
KR101917043B1 (en) * 2017-11-13 2019-01-3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u-Health based on Io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KR20190122100A (en) * 2018-04-19 2019-10-29 최진영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diet and recipe for companion anim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미국공개특허 제2014/0236622호, "RECOMMENDING CONSUMER PRODUCTS USING PRODUCT-INGREDIENT EFFICACY AND/OR USER-PROFIL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872B1 (en) * 2021-06-07 2021-11-04 임보연 Applcation providing method and server related to nutritional information of companion animal
KR102356786B1 (en) * 2021-06-07 2022-02-08 임보연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for companion animals
KR102471425B1 (en) * 2021-12-23 2022-11-25 이근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food information
KR20230102438A (en) 2021-12-30 2023-07-07 주식회사 십일리터 Method for providing customized nutritional supplement curation service for companion animals and computing system performing the same
WO2023221182A1 (en) * 2022-05-17 2023-11-23 江苏邦鼎科技有限公司 Pet feed recommend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KR102572933B1 (en) * 2022-11-14 2023-08-31 주식회사 반려생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grated Pet Service Based on Machine Learn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1445B1 (en) Customized pet food recommend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Nkukwana Global poultry production: Current impact and future outlook on the South African poultry industry
Mallick et al. Broiler poultry feed cost optimization using linear programming technique
Naspetti et al. Consumer perception of sustainable practices in dairy production
Raineri et al. Lamb production costs: Analyses of composition and elasticities analysis of lamb production costs
KR102345064B1 (en) Pet food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product composition analysis
Niemi et al. A value chain analysis of interventions to control production diseases in the intensive pig production sector
Carter et al. Awareness and evaluation of natural pet food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Alhotan Commercial poultry feed formulation: Current status, challenges, and future expectations
Banton et al. Grains on the brain: A survey of dog owner purchasing habits related to grain-free dry dog foods
Kristkova et al. The economics of food safety in India: a rapid assessment
Janocha et al. Efficiency of soybean products in broiler chicken nutrition
Casperson et al. Impact of beef consumption on saturated fat intake in the United States adult population: Insights from modeling the influences of bovine genetics and nutrition
Zu Ermgassen et al. Support amongst UK pig farmers and agricultural stakeholders for the use of food losses in animal feed
Martins et al. Differences in quality governance: the case of the Brazilian pork chain
Soleimani et 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assessments of combined genetics and nutrition optimization strategie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ustainable pork production
Zmudzińska et al. The effect of diet based on legume seeds and rapeseed meal on pig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Michel et al. Paying for sustainable food choices: The role of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consumer valuation of insect-based foods
Lasek et al. Nutrient content of different wheat and maize varieties and their impact on metabolizable energy content and nitrogen utilization by broilers
Kühn et al. Adaption of the meat attachment scale (MEAS) to Germany: interplay with food neophobia, preference for organic foods, social trust and trust in food technology innovations
Li et al. Associations of protein molecular structures with their nutrient supply and biodegradation characteristics in different byproducts of seed-used pumpkin
Duniya et al. Measurement of pig production profitability in Zangon Kataf and Jema’a local government areas of Kaduna State, Nigeria
Oliveira et al. Meta-analysis of dry matter intake and neutral detergent fiber intake of hair sheep raised in tropical areas
JOBAN et al. Cost optimization of homemade diet for dogs
Pakseresht et al. Factors affecting consumers’ evaluation of food derived from animals fed insect meal: A systematic revie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