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239B1 - 안테나 구조체 - Google Patents

안테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239B1
KR102251239B1 KR1020190116241A KR20190116241A KR102251239B1 KR 102251239 B1 KR102251239 B1 KR 102251239B1 KR 1020190116241 A KR1020190116241 A KR 1020190116241A KR 20190116241 A KR20190116241 A KR 20190116241A KR 102251239 B1 KR102251239 B1 KR 102251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substrate
ground
antenna structure
block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742A (ko
Inventor
전찬익
문병인
정현동
최인호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190116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239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52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 H01Q1/521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 H01Q1/523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tennas; Means for reducing coupling between an antenna and another structure reducing the coupling between adjacent antennas between antennas of an arr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안테나 구조체는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 영역, 상기 기판에 위치하고, 상기 접지 영역과 구분되는 오픈 영역, 상기 기판에 위치하여 상기 접지 영역의 접지 패턴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단 회로부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 회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에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연장부, 제1 및 제2 연장부 중 인접한 연장부의 일부를 에워싸되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 사이에 위치하고 각 끝단이 인접한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에 연결되어 있는 유도성 패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테나 구조체{ANTENNA STRUCTURE}
본 발명은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 구조체에서 인접하게 위치한 안테나 소자들 사이의 차단(isolation) 효율을 향상시키는 안테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의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폰(smart phone) 등과 같은 전자 장치는 전화 및 텍스트 메시지의 송수신 기능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 방송 수신 및 전자 금융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원활히 제공하기 위해, 해당 전자 장치는 방대한 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고속 데이터 처리율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전자 장치는 무선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시하는 안테나 소자를 복수 개 구비하여 원활한 무선 데이터의 송수신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셀룰러(cellular) 통신용 안테나,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등의 다양한 무선 통신용 안테나 소자,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용 안테나 소자 및 방송 수신용 안테나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가 존재할 경우 안정적인 무선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인접한 두 안테나 소자 사이는 각 안테나 소자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의 파장의 절반(λ/2) 이상의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전자 장치의 소형화 추세와 많은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구조의 복잡화로 인해, 복수 개의 안테나 소자가 실장될 수 있는 영역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실장된 안테나 소자 간의 간격은 점점 좁아지게 되었다. 따라서, 인접한 두 안테나 소자 사이에 신호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신호 간섭으로 인해, 안테나 소자의 성능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 해당 전자 장치의 성능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097774호(2010년 09 월 06일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안테나 소자 간의 신호 간섭을 감소시켜 안테나 구조체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안테나 소자 간의 신호 간섭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전자 장치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은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안테나 구조체로서,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 영역, 상기 기판에 위치하고, 상기 접지 영역과 구분되는 오픈 영역, 상기 기판에 위치하여 상기 접지 영역의 접지 패턴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단 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회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연장부, 제1 및 제2 연장부 중 인접한 연장부의 일부를 에워싸되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 사이에 위치하고 각 끝단이 인접한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에 연결되어 있는 유도성 패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는 각각 상기 접지 영역에서 상기 오픈 영역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차단 회로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는 각각 '역 C'자형과 'C'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유도성 패턴부는 적어도 한 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사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지 영역은 상기 제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2 안테나 소자 사이에서 상기 오픈 영역과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접지 패턴 및 일부가 상기 오픈 영역과 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마주보게 위치하는 제2 접지 패턴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차단 회로부는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상기 제2 접지 패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차단 회로부는 상기 기판과 별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안테나 소자와 제2 안테나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기판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차단 회로부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보조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에 위치하는 보조 차단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부는 상기 보조 기판에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부는 상기 보조 기판의 서로 반대편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접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부는 제1 연결부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접지부는 제2 연결부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접지 패턴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비아홀일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집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는 연결 집중 소자가 위치하는 복수의 소자 실장 패턴부를 포함할 수 있고, 하나의 연결 집중 소자는 인접한 두 소자 실장 패턴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자 실장 패턴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소자 실장 패턴, 상기 제1 소자 실장 패턴과 이격되게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의 유도성 패턴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소자 실장 패턴, 상기 제2 소자 실장 패턴과 나란히 이격되게 위치하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의 유도성 패턴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제3 소자 실장 패턴 및 상기 제3 소자 실장 패턴과 이격되게 상기 제1 소자 실장 패턴과 나란히 위치하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의 제2 용량성 패턴과 연결되어 있는 제4 소자 실장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비아홀일 수 있다.
상기 연결 집중 소자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상기 보조 기판은 보조 차단 회로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고, 인접한 두 보조 차단 회로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판은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위치한 도전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전층은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성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는 적어도 한 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사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는 상기 보조 차단부를 덮도록 위치하는 몰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인접한 두 안테나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차단 회로부에 의해, 인접한 두 안테나 소자 간의 신호 간섭이 최소화되거나 차단한다.
또한, 안테나 소자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테나 구조체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공간 활용도 역시 증가된다.
본 예의 차단 회로부가 오픈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공간적 여유도가 높은 접지 영역에 위치하므로, 차단 회로부의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안테나 구조파의 동작 주파수 범위에 맞게 원하는 상태로 차단 회로부의 설계가 용이하므로,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각 부분의 설계 변경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에 대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해당 분야에 이미 공지된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부가하는 것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분명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에서 이를 일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해당 분야의 관련된 사람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체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설치된다.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등 이동 통신 단말기, 중계기 장치, 스마트 워치 등 웨어러블 전자 장치, 랩-톱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 내비게이션 장치 및 개인 정보 단말기 등이 될 수 있다.
도 1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서 안테나 구조체가 위치한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의 편의를 위해, 안테나 구조체 부근에 실장될 수 있는 전자 부품은 도시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는 기판(100), 기판(100)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 및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를 전기적으로 차단(isolation)하는 차단 회로부(300)를 구비한다.
본 예의 기판(100)은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일 수 있다. 이때,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은 구동 칩(chip), 능동소자 및 수동 소자 등과 같이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여러 소자와 배선 패턴 등이 위치하고, 전자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과 접지를 제공하는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안테나 구조(201, 202)는 도 1과 같이, 차단 회로부(300)이 위치한 기판과 동일한 기판(100)에 위치하지만, 제1 및 제2 안테나 구조(201, 202)와 차단 회로부(300)는 서로 다른 기판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안테나 구조(201, 202)는 메인 기판에 위치하고, 차단 회로부(200)는 메인 기판과 별개인 보조 기판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서 보조 기판은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과 별개로 설계되어 메인 기판과 연결되게 위치하는 별도의 기판이다.
이러한 기판(100)은 평탄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오픈 영역(111)과 접지 영역(113)을 구비한다. 차단 회로부(300)가 보조 기판에 위치할 때, 본 예의 보조 기판은 오픈 영역만을 구비할 수 있다. 오픈 영역(111)은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의 일부, 구동 칩 및 능동소자 등이 실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는 메인 기판에 위치하고 차단 회로부(300)가 보조 기판에 위치할 때,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202)와 차단 회로부(300) 사이의 연결은 비아홀(via hole)이나 와이어(wire) 등과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 영역(113)에는 접지 전위를 갖는 도전성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GND11, GND12)이 위치하여,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뿐만 아니라 전자 장치에 접지 전위를 제공한다.
도 1의 경우, 접지 영역(113)의 상면에는 서로 분리되어 있는 두 개의 접지 패턴(GND11, GND12)을 구비하고 있다.
제1 접지 패턴(GND11)은 오픈 영역(113)에 접해 있고, 섬(island)로 이루어져 있고, 제2 접지 패턴(GND12)은 제1 접지 패턴(GND11)의 반대편에서 제1 접지 패턴(GND11)과 마주보게 위치한다.
이러한 제2 접지 패턴(GND12)은 일부가 오픈 영역(111)과 접하게 위치하며 제1 접지 패턴(GND11) 보다 훨씬 넓은 영역을 갖고 있으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와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는 오픈 영역(111)과 접지 영역(113) 모두에 위치한다.
즉,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1)는 오픈 영역(111)과 접지 영역(113)에 모두 위치하고, 차단 회로부(300)는 접지 영역(113)에만 위치한다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는 예를 들어, 850 MHz, 900 MHz, 1800 MHz, 1900 MHz, 2170 MHz 등에서의 셀룰러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2.4 GHz 및 5.0 GHz에서의 Wi-Fi 주파수 대역, 2.4 GHz에서의 블루투스 주파수 대역, 1550 MHz에서의 GPS 주파수 대역 또는 13.56MHz에서의 NFC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 소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예의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는 이외에도 향후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대역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는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이 적어도 일부에서 겹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안테나일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는 다중입력 다중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으로 동작하는 안테나 소자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는 각각 접지 영역(113)의 일단에서 오픈 영역(111)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는, 예를 들어,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구조물일 수 있다. 여기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진 구조물은 판형의 금속 플레이트, 유전체 플라스틱의 표면에 형성된 도금층 또는 금속 재질의 인쇄층일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는 기판(100)에 인쇄된 도전성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는 각각 세로축 방향(Y1)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11, 21), 제1 연장부(11, 21)와 연결되어 있고 세로축 방향(Y1)과 교차하는 가로축 방향(X1)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12, 22) 및 제2 연장부(12, 22)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세로축 방향(Y1)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3 연장부(13, 23)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가로축 방향(X1)은 제1 방향이고, 세로축 방향(Y1)은 제2 방향이라 한다.
각 제1 연장부(11, 21)은 오픈 영역(111)에 위치하고 있고 제2 방향(Y1)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장된 연장부이지만, 이와 달리 적어도 한 부분이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장부(11, 21)의 일단은 어떤 것에도 연결되어 있지 않는 자유단으로서 급전단(feeding terminal)으로 기능할 수 있다.
각 제2 연장부(12, 22) 역시 오픈 영역(111)에 위치하며, 인접한 제1 연장부(11, 21)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연장부(12, 22)는 연결된 제1 연장부(11, 2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한다.
각 제3 연장부(13, 23)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오픈 영역(111)과 접지 영역(113)에 걸쳐서 제1 연장부(11, 21)와 평행하게 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제3 연장부(13, 23)의 일단은 제2 연장부(12, 22)의 타단과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적어도 하나의 해당 단자(401, 402)를 통해 접지 영역(113)의 접지 패턴(GND12)과 연결되어 있다.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3 패턴(13, 23) 사이에 섬형의 접지 패턴(GND11)이 위치한다.
차단 회로부(300)는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 사이를 차단(isolation)하여 인접한 두 안테나 소자(201, 202) 간의 신호 간섭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차단 회로부(300)는 도전성 재료를 원하는 패턴으로 인쇄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동 소자 기능을 수행하는 패턴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차단 회로부(300)는 저항(resister) 기능, 커패시터(capacitor) 기능 및 인덕터(inductor) 기능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 회로부(300)의 뒤쪽[즉, 오픈 영역(111)에 인접한 쪽]상부에는 제1 접지 패턴(GND11)이 이격되게 위치하고, 앞쪽에는 제2 접지 패턴(GND12)이 이격되게 위치하며, 좌측과 우측에는 각각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가 위치한다. 따라서, 제1 접지 패턴(GND11)과 제2 접지 패턴(GND12)는 서로 반대편에서 이격되게 마주보고 있다.
이로 인해, 차단 회로부(300)는 제1 및 제2 접지 패턴(GND11, GND12)과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의 제3 연장부(13, 23)로 에워싸여져 있다.
이처럼 차단 회로부(300)는 접지 영역(113)에 위치하여 접지 패턴(GND11, GND12)으로 에워싸여져 있지만, 접지 패턴(GND11, GND12)과는 이격되게 위치하여 접지 패턴(GND11, GND12)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다.
본 예의 차단 회로부(300)는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연장부(301)과 제2 연장부(302), 제1 연장부(301)와 제2 연장부(302)의 각 일부를 감싸고 있는 제1 용량성 패턴부(311)와 제2 용량성 패턴부(312), 그리고 제1 용량성 패턴부(311)와 제2 용량성 패턴부(31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용량성 패턴부(311)와 제2 용량성 패턴부(312)에 연결되어 있는 유도성 패턴부(320)를 구비한다.
제1 연장부(301)와 제2 연장부(302) 각각 인접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 202)의 해당 제3 연장부(13, 23) 중 접지 영역(113)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에서 돌출되어 제1 방향(X1)을 따라 직선으로 뻗어 있다.
이처럼, 제1 연장부(301)와 제2 연장부(302)의 일단은 인접한 제3 연장부(13, 23)에 연결되어 있지만, 타단은 자유단이다. 따라서, 제1 연장부(301)와 제2 연장부(302)는 인접한 제3 연장부(13, 23)를 통해 간접적으로 접지 패턴(GND12)과 연결되어 있다.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는 각각 인접한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대면하고 있는 부분이 개방된 원형이나 타원형 형상(즉, '역 C'자 형이나 'C'자 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개방된 부분을 통해 자유단을 포함한 인접한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의 일부가 삽입되어 있다. 이때, 서로 인접해 있는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는 접해 있지 않고 서로 떨어져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의 일부는 인접한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로 에워싸여져 기판(100)의 평면 방향으로 중첩된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차단 회로부(300)의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는 모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일정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게 중첩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의 중첩 부분은 커패시터(capacitor)로서 기능한다.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의 중첩에 의해 형성되는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는 서로 중첩하고 있는 연장부(301, 302)와 용량성 패턴부(311, 312) 사이의 이격 거리와 중첩 면적에 따라 변한다.
유도성 패턴부(320)는 서로 반대 위치에서 좌우 반전 형태로 위치하고 있는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유도성 패턴부(320)는,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적어도 한 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사형(meandering shape)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예로, 도 1의 유도성 패턴부(320)는 인접한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제1 방향(X1)으로 뻗어 있는 제1 및 제2 연장 부분(321, 322) 그리고 제1 및 제2 연장 부분(321, 322) 사이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분(321, 322)에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절곡 부분(323)을 구비한다.
이러한 유도성 패턴부(320)는 그 연장 길이에 따라 인덕턴스(inductance)가 변하는 인덕터(inductor)로서 기능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차단 회로부(300)는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 그리고 유도성 패턴부(330)의 위치, 두께, 중첩 정도 및 이격 거리를 변화시켜 커패시턴스와 인덕턴스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 구조체가 동작하는 주파수 대역의 동작 특성에 맞게 차단 회로부(30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 및 유도성 패턴부(330)의 위치, 두께 및 이격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화시켜,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가 해당 주파수 대역에 따른 최적의 동작 성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차단 회로부(300)의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 및 유도성 패턴부(330)에 대한 위치, 두께 및 이격 거리의 변화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 특성 변화를 살펴본다.
도 2는 본 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의 차단 회로부(300)의 기준 구조[도 2의 (a)]와 그에 대한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 특성[예, S-파라메터(S-parameter)][도 2의 (b)]을 도시한다.
도 3의 (a)와 (b)는 도 2의 (a)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의 기준 구조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이에 인접한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 간의 이격 거리(d11)를 제1 방향(X1)으로 변화시킬 때의 S-파라미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와 (b)는 도 2의 (a)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의 기준 구조에서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이에 인접한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 간의 제2 방향(Y1)으로의 이격 거리(d12)의 변화에 따른 S-파라미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는 도 2의 (a)와 비교할 때,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의 두께를 변화시켜 제2 방향(Y1)으로의 이격 거리(d12)(즉,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의 중첩 면적을 변화시켰다. 하지만,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 뿐만 아니라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 또는 제1 및 제2 연장부(301, 302)와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311, 312)의 형성 면적을 변화시켜 커패시턴스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다.
다음, 도 5의 (a)와 (b)는 도 2의 (a)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의 기준 구조에서 인덕터를 구성하는 유도성 패턴부(320)의 형성 길이의 변화에 따른 S-파라미터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의 차단 회로부의 유도성 패턴부는 도 2의 (a)에 비해 요부(凹部)를 하나 더 구비하여, 유도성 패턴부의 연장 길이를 도 2의 (a)의 차단 회로부보다 증가시켰다.
이와 같이, 인접한 두 안테나 소자(201, 202) 사이에 차단 회로부(300)가 위치하여 인접한 두 안테나 소자(201, 202) 간의 신호 간섭을 최소화시키거나 차단한다. 이로 인해, 두 안테나 소자(201, 202) 사이를 차단 회로부(300)를 이용한 전기적인 차단으로 두 안테나 소자(201, 202) 사이의 차단(isolation)을 충분히 확보하여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이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안테나 소자(201, 202) 사이의 이격거리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안테나 구조체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공간 활용도 역시 증가된다.
또한, 차단 회로부(300)가 기판(100)의 오픈 영역(111)보다 상대적으로 공간적 여유도가 높은 접지 영역(113)에 위치하므로, 차단 회로부(300)의 설계를 좀더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 주파수 범위에 맞게 원하는 상태로 차단 회로부의 설계가 용이하므로,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안테나 구조체에 비해,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2와 같은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비해,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는 서로 다른 두 개의 기판에 서로 연결되게 위치하며, 접지 영역에만 위치한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처럼,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는 오픈 영역(111)과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GND11, GND12)을 구비하고 있는 접지 영역(113)을 포함하는 제1 기판(100)과 제1 기판(100)에 높이 방향(Z1)으로 중첩되게 위치하는 제2 기판(100a)을 구비한다.
이때 제1 기판(100)은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일 수 있고, 제2 기판(100a)은 메인 기판과 별개로 이루어진 보조 기판일 수 있다.
이처럼, 두 개의 서로 다른 기판(100, 100a)을 구비하고 있는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는 제1 기판(100)과 제1 기판(100)에 위치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a, 202a) 및 차단 회로부(300)를 구비한 안테나부(10) 및 제2 기판(100a)과 제2 기판(100a)에 위치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331, 332) 및 보조 차단 회로부(340)를 구비하는 보조 차단부(300a)를 구비한다.
제1 기판(100)에 위치하는 안테나부(10)는 도 1에 도시한 안테나 도전체와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단지, 차단 회로부(300)의 양 측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a, 202a)는 접지 영역(113)에만 위치한다.
이로 인해, 제1 기판(100)의 상면에 위치하는 안테나부(10)는 제1 안테나 소자(201a)와 제2 안테나 소자(202a), 그리고 차단 회로부(300)를 구비한다.
제1 안테나 소자(201a)와 제2 안테나 소자(202a), 그리고 차단 회로부(30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구조물이나 제1 기판(100)에 인쇄된 도전성 패턴일 수 있다.
본 예의 제1 안테나 소자(201a)와 제2 안테나 소자(202a)는 도 1의 제1 안테나 소자(201)와 제2 안테나 소자(202)에 비해 접지 영역(113)에만 위치하므로, 오픈 영역(111)에 위치하던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는 생략된다.
또한, 제2 방향(Y1)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제3 연장부 중 오픈 영역(111)에 위치하는 부분은 생략되고, 접지 영역(113)에만 위치하는 부분만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예의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a, 202a)는 접지 영역(113)에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위치하며, 제2 방향(Y1)으로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a, 202a)는 인접한 제1 및 제2 접지 패턴(GND11, GND12)과 접해 있지 않고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a, 202a)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단자(401, 402)를 통해 접지 영역(113)의 제2 접지 패턴(GND12)과 연결되어 있다.
차단 회로부(300)는, 도 1을 참고로 하여 이미 기술한 것처럼, 제1 안테나 소자(201a)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장부(301)와 제2 연장부(302), 제1 연장부(301)와 제2 연장부(302)의 각 일부를 감싸고 있는 제1 용량성 패턴부(311)와 제2 용량성 패턴부(312), 그리고 제1 용량성 패턴부(311)와 제2 용량성 패턴부(31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용량성 패턴부(311)와 제2 용량성 패턴부(312)에 연결되어 있는 유도성 패턴부(320)를 구비한다.
제2 기판(100a)은 접지 패턴이 존재하지 않는 오픈 영역만을 구비하는 있는 평탄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제1 기판(100) 위에 중첩되어 있다.
제2 기판(100a)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져 있고 직사각형과 같은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기판(100a)의 한 예는 인쇄회로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331, 332)는 제2 기판(100a)의 서로 반대편에 각각 위치하고 제1 방향(X1)으로 뻗어 있는 제1 및 제2 접지부(331, 332)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1 접지부(331)는 제2 기판(100a)의 상측 가장자리에 접하게 위치하며, 제2 기판(100a)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우측 가장자리까지 제1 방향(X1)을 따라 끊김없이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2 접지부(332)는 제2 기판(100a)의 하측 가장자리에 접하게 위치하며, 제2 기판(100a)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우측 가장자리까지 제2 방향(X1)을 따라 끊김없이 연장되어 있다.
이때, 제1 접지부(331)와 제2 접지부(332)의 연장 길이는 서로 동일하며 폭 역시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접지부(331)와 제2 접지부(332)는 제2 기판(100a)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서로 평행하게 뻗어있다.
이러한 제1 접지부(331)는 하부에 위치한 제1 기판(100)의 제1 접지 패턴(GND11)과 마주보고 있고, 제2 접지부(332)는 하부에 위치한 제1 기판(100)의 제2 접지 패턴(GND12)과 마주보고 있다.
따라서, 제1 접지부(331)는 비아홀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H11)를 이용하여 하부에 위치한 제1 기판(100)의 제1 접지 패턴(GND11)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2 접지부(332) 역시 비아홀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H12)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제2 접지 패턴(GND12)과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조 차단 회로부(340)는 제1 접지부(331)와 제2 접지부(332) 사이에 위치하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집중 소자(451-453)를 구비한다.
따라서, 보조 차단 회로부(340)는 연결 집중 소자(451-453)를 위치시키기 위한 복수 개의 소자 실장 패턴(41-44)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보조 차단 회로부(340)는 제1 방향(X1)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소자 실장 패턴(41), 제1 소자 실장 패턴과 이격되게 제2 방향(Y1)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소자 실장 패턴(42), 제2 소자 실장 패턴(42)과 나란히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3 소자 실장 패턴(43) 및 제3 소자 실장 패턴(43)과 이격되게 제1 소자 실장 패턴(41)과 나란히 위치하는 제4 소자 실장 패턴(44)을 구비한다.
이러한 보조 차단 회로부(340)는 비아홀과 같은 제3 연결부(H13)를 통해 하부에 위치하는 제1 기판(100)에 위치하는 회로 차단부(30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제1 소자 실장 패턴(41)은 제1 연장부(301)와 연결되어 있다. 제2 소자 실장 패턴(42)은 유도성 패턴부(3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고 제3 소자 실장 패턴(43)은 유도성 패턴부(320)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4 소자 실장 패턴(44)은 제2 연장부(302)와 연결되어 있다.
연결 집중 소자(451-453)는 인접한 두 소자 실장 패턴(44-44) 사이에 위치하며, 제1 및 제2 소자 실장 패턴(41, 42) 사이에는 제1 연결 집중 소자(451)가 위치하고, 제2 및 제3소자 실장 패턴(43, 43) 사이에는 제2 연결 집중 소자(452)가 위치하며, 제3 및 제4 소자 실장 패턴(43, 44) 사이에는 제3 연결 집중 소자(453)가 위치한다.
제1 및 제4 소자 실장 패턴(41, 44)은 서로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구비하고 있고, 제2 및 제3 소자 실장 패턴(42, 43) 역시 서로 동일한 크기와 모양으로 구비하고 있다.
제2 기판(100a)에 위치하는 소자 실장 패턴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되며, 이 소자 실장 패턴의 개수에 따라 인접한 두 소자 실장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 집중 소자(451-453)의 개수 역시 달라진다.
본 예에서, 연결 집중 소자(451-453)는 집중 소자 커패시터(lumped element capacitor)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보조 차단 회로부(340)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집중 소자(451-453)를 구비하므로, 제2 기판(100a)에 위치하는 보조 차단 회로부(340)의 동작 특성은 해당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 특성에 따라 용이하고 쉽게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안테나 구조체의 동작 특성에 맞게 연결 집중 소자(451-453)의 개수와 용량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고 간편하게 안테나 구조체의 차단 효율을 향상시키며 안테나 구조체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집중 소자(451-453)는 도 2에 도시한 차단 회로부(300)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좌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유도성 패턴부(340)의 일단은 연결부(H13)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제1 연장부(301)와 연결될 수 있고,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유도성 패턴부(340)의 타단은 연결부(H13)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제2 연장부(30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H11-H13)로 인해, 제2 기판(100a)에 위치한 보조 차단 회로부(300a)는 제1 기판(100)에 위치한 차단 회로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2 기판(100a)에 위치한 제1 및 제2 연장부(331, 332)와 유도성 패턴부(340)로 인해, 제2 기판(100a)에도 커패시터 및 리액터 등과 같은 수동 소자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100)의 차단 회로부(300)와 제2 기판(100a)의 보조 차단 회로부(300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차단 회로부(300)만으로 구현되는 수동 소자의 용량보다 차단 회로부(300)와 보조 차단 회로부(300a)으로 구현되는 수동 소자의 용량이 크게 증가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a, 202a) 사이의 차단 기능은 더욱더 증가하여, 안테나 구조체의 성능은 더욱 향상된다.
다음,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과 비교하여, 동일한 구조를 갖고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의 도면 부호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 또한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8의 안테나 구조체와 비교할 때, 본 예의 안테나 구조체 역시 서로 별개의 기판인 제1 기판(100)과 제2 기판(100a)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1 기판(1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1 기판(100)과 제1 기판(100)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201a, 202a)와 차단 회로부(300)를 구비하는 안테나부(10) 및 제2 기판(100a)과 제2 기판(100a)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접지부(331, 332)와 보조 차단 회로부(340a)를 구비하는 보조 차단부(300b)를 구비한다.
하지만 도 6 내지 도 8과 달리, 본 예의 보조 차단 회로부(340a)는 제1 및 제2 접지부(331, 332) 사이에 이격되게 위치하고, 적어도 한 부분이 절곡되게 제1 방향(X1)으로 끊김없이 연장되어 있는 사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보조 차단 회로부(340a) 역시 제3 연결부(H13)를 이용하여 하부에 위치한 제1 기판(100)의 차단 회로부(300)에 전기적 및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차단 회로부(340a)의 일단은 제1 연장부(301)와 연결될 수 있고, 보조 차단 회로부(340)의 타단은 제2 연장부(302)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도 6 내지 도 8에 비해 보조 차단 회로부(340)의 설계가 용이하다.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한 보조 차단 회로부(300a, 300b)를 구비하는 제2 기판(100a)는, 한 예로서, 하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단층 인쇄회로기판이다.
하지만, 이와 달리,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하는 다층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층마다 보조 차단 회로부(300a, 300b)가 인쇄될 수 있고, 인접한 두 층에 위치하는 보조 차단 회로부(300a, 300b)는 비아홀 등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경우, 보조 차단 회로부(300a, 300b)에 형성되는 용량성 용량이나 유도성 용량의 크기를 용이하게 제어하므로, 안테나 구조체의 특성에 맞게 보조 차단부와 설계를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11에서, 보조 차단부(300a, 300b) 위에는 엑폭시 수지(epoxy resin)와 같이 절연 물질이 도포되어 보조 차단부(300a, 300b)를 완전히 덮는 몰딩부가 추가로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몰딩부는 불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차단부(300a, 300b)로 수분이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의 주입이 방지되며, 외부 충격 등으로 인해 보조 차단부(300a, 300b)가 손상되는 문제가 방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안테나 구조체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안테나부 41-44: 소자 실장 패턴
100, 100a: 기판 111: 오픈 영역
113: 접지 영역 201, 202, 201a, 202a: 안테나 소자
300: 차단 회로부 300a, 300b: 보조 차단부
301, 302: 연장부 311, 312: 용량성 패턴부
320: 유도성 패턴부 331, 332: 접지부
340, 340a: 보조 차단 회로부 451-453: 집중 연결 소자
GND11, GND: 접지 패턴

Claims (20)

  1.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에 설치되는 안테나 구조체에 있어서,
    기판;
    상기 기판에 위치하고,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을 포함하는 접지 영역;
    상기 기판에 위치하고, 상기 접지 영역과 구분되는 오픈 영역;
    상기 기판에 위치하여 상기 접지 영역의 접지 패턴에 연결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차단 회로부; 및
    상기 기판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보조 기판 및 상기 보조 기판에 위치하는 보조 차단 회로부를 포함하는 보조 차단부
    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회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제1 및 제2 연장부;
    제1 및 제2 연장부 중 인접한 연장부의 일부를 에워싸되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 사이에 위치하고 각 끝단이 인접한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에 연결되어 있는 유도성 패턴부
    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는 각각 상기 접지 영역에서 상기 오픈 영역으로 연장되어 있는 안테나 구조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회로부에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는 각각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및 제2 용량성 패턴부는 각각 '역 C'자형과 'C'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상기 유도성 패턴부는 적어도 한 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사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안테나 구조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영역은,
    상기 제1 안테나 소자와 상기 제2 안테나 소자 사이에서 상기 오픈 영역과 접하게 위치하고 있는 제1 접지 패턴; 및
    일부가 상기 오픈 영역과 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마주보게 위치하는 제2 접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차단 회로부는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상기 제2 접지 패턴 사이에 위치하는
    안테나 구조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전자 장치의 메인 기판인 안테나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회로부는 상기 기판과 별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1 안테나 소자와 제2 안테나 소자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기판에 위치하며,
    상기 차단 회로부는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소자와 연결되는 안테나 구조체.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단부는 상기 보조 기판에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와 이격되게 위치하고, 상기 기판의 적어도 하나의 접지 패턴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접지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9. 제8 항에 있어서,
    접지부는 상기 보조 기판의 서로 반대편에 이격되게 위치하는 제1 및 제2 접지부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지부는 제1 연결부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1 접지 패턴과 연결되고,
    상기 제2 접지부는 제2 연결부를 통해 하부에 위치한 상기 제2 접지 패턴과 연결되는
    안테나 구조체.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비아홀인 안테나 구조체.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집중 소자를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는 연결 집중 소자가 위치하는 복수의 소자 실장 패턴부를 포함하고,
    하나의 연결 집중 소자는 인접한 두 소자 실장 패턴부 사이에 위치하는
    안테나 구조체.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자 실장 패턴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1 연장부와 연결되어 있는 제1 소자 실장 패턴;
    상기 제1 소자 실장 패턴과 이격되게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의 유도성 패턴의 일측과 연결되어 있는 제2 소자 실장 패턴;
    상기 제2 소자 실장 패턴과 나란히 이격되게 위치하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의 유도성 패턴의 타측과 연결되어 있는 제3 소자 실장 패턴; 및
    상기 제3 소자 실장 패턴과 이격되게 상기 제1 소자 실장 패턴과 나란히 위치하고, 연결부를 통해 상기 기판의 제2 용량성 패턴과 연결되어 있는 제4 소자 실장 패턴
    을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비아홀인 안테나 구조체.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집중 소자는 커패시터인 안테나 구조체.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은 보조 차단 회로부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 개의 층을 구비한 다층 인쇄회로기판이고,
    인접한 두 보조 차단 회로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안테나 구조체.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은 상기 복수 개의 층 사이에 위치한 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전층은 커패시턴스 또는 인덕턴스 성분을 가지는 안테나 구조체.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단 회로부는 적어도 한 부분이 절곡되어 있는 사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안테나 구조체.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차단부를 덮도록 위치하는 몰딩부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구조체.
KR1020190116241A 2019-09-20 2019-09-20 안테나 구조체 KR102251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41A KR102251239B1 (ko) 2019-09-20 2019-09-20 안테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241A KR102251239B1 (ko) 2019-09-20 2019-09-20 안테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42A KR20210034742A (ko) 2021-03-31
KR102251239B1 true KR102251239B1 (ko) 2021-05-13

Family

ID=7523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241A KR102251239B1 (ko) 2019-09-20 2019-09-20 안테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23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88B1 (ko) 2009-02-27 2011-02-14 주식회사 모비텍 기생소자를 갖는 mimo 안테나
KR20110121792A (ko) * 2010-05-03 2011-1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모 안테나 장치
GB2484540B (en) * 2010-10-15 2014-01-29 Microsoft Corp A loop antenna for mobile handset and other applications
KR20150012932A (ko) * 2013-07-26 2015-02-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742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49115B (zh) 天线系统及移动终端
US9917357B2 (en) Antenna system
CN106972254B (zh) 移动终端
US9276307B2 (en) Antennaless wireless device
US9768506B2 (en) Multi-antennna isolation adjustment
CN111697318B (zh) 无线通信装置
DE102018214582A1 (de) Antennen einer elektronischen vorrichtung mit leitfähigen anzeigestrukturen
CN109149086A (zh) 天线系统及移动终端
US11411299B2 (en) Film antenna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9378586B (zh) 多馈入天线
US11742580B2 (en) Multifeed antenna system with capacitively coupled feed elements
CN114566783A (zh) 天线模块及电子设备
KR20170061295A (ko) 안테나 구조체
US9024820B2 (en) Miniature antenna
KR102251239B1 (ko) 안테나 구조체
US10819021B2 (en) Antenna module and mobile terminal
CN110098480B (zh) 片式天线及包括该片式天线的天线模块
US12119566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2158858B1 (ko) 휴대 기기의 커버, 및 휴대 기기
WO2019227944A1 (zh) 一种天线装置及终端
KR102241220B1 (ko) 안테나 구조체
US9721904B2 (en) Semiconductor packages including a shielding part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9923262B2 (en) Mobile device
CN103682613A (zh) 双频双馈入天线及具有其的天线组件
US20170172001A1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